KR830000445B1 - 사진 식자기 - Google Patents

사진 식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445B1
KR830000445B1 KR1019790002984A KR790002984A KR830000445B1 KR 830000445 B1 KR830000445 B1 KR 830000445B1 KR 1019790002984 A KR1019790002984 A KR 1019790002984A KR 790002984 A KR790002984 A KR 790002984A KR 830000445 B1 KR830000445 B1 KR 830000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ification
lens
zoom
optical device
photographing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2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루 후세
Original Assignee
이시이 유우꼬
가부시기 가이샤 샤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이 유우꼬, 가부시기 가이샤 샤겐 filed Critical 이시이 유우꼬
Priority to KR1019790002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BMACHINES OR ACCESSORIES FOR MAKING, SETTING, OR DISTRIBUTING TYPE; TYPE; PHOTOGRAPHIC OR PHOTOELECTRIC COMPOSING DEVICES
    • B41B21/00Common details of photographic composing machines of the kinds covered in groups B41B17/00 and B41B19/00
    • B41B21/16Optical systems

Landscapes

  • Projection-Type Copi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진 식자기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표시한 블록도이고,
제2도는 조판예를 표시하며,
제3도는 문자크기의 차이를 표시한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제5도는 즈움(Zoom) 렌즈의 설명도,
제6도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즈움렌즈를 구비한 사진식자기에 관한 것이다. 즈움 렌즈를 사진식자기에 구비하는 것은 종래부터 여러가지로 많이 제안되고 있으나 아직도 실용화되지 않고 있다. 그 이유의 몇 가지를 예로들면 즈움비가 크게되는 것을 우선들 수 있다.
통상의 수동식 사진식자기에서는 7Q-100Q의 주 렌즈가 조립되고 있는데, 이것을 하나의 즈움렌즈로 처리하고자 하면 즈움비가 1 : 14로 되어버리므로 이와 같은 즈움렌즈를 사진식자기에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다음의 문제점은 배율의 재현성인데, 사진식자기는 통상의 사진기와 달라서 전술한 7Q-100Q 사이에서 약 24종 정도의 고정배율로 문자등을 재생하도록 되어있다.
또 세번째 문제점은 렌즈의 중심축이 변화되는 것이다. 통상의 즈움렌즈는 원리적으로는 A렌즈와 B렌즈의 2개의 렌즈의 위치를 변화시켜서 임의의 배율을 얻게되어있지만, 이때문에 렌즈의 중심축에 오차가 생긴다. 그 오차는 즈움비와 비례되는 것은 분명하고 어떠한 배율이라도 촬영광학 장치의 동일 결상점(結像點)에 상을 형성시키도록 되어 있는 사진식자기에 있어서는 치명적이 된다. 즈움렌즈를 여러개로 하여 각자에 배율범위를 갖게하는 방법도 생각되지만 전기한 바와 같은 많은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하나의 즈움렌즈를 촬영광학 장치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예를들면 7Q-100Q까지 고정된 배율은 종래와 같이 회전통중의 주 렌즈를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예를들면 1 : 14의 즈움비에 대처하고, 아울러서 배율의 재현성과 렌즈 중심축의 오차등의 문제도 해결될 수 있게한 것으로 이하에서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예를 표시한 개략도인데, 먼저 일반적인 사진식자기의 개략적인 설명을 제1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광원(ㄴ)에서의 빛이 렌즈(1)과 거울(2)에서 반사되어 문자판(3)에 조사(照射)된다. 그러면 조사 영역에 있었던 문자판중의 상(像)이 회전통(4) (도면에는 편의상 한개의 렌즈만 표시하였음)에 있는 임의의 배율 M을 가진 주 렌즈(5)와 필요에 응하여 촬영 광학장치(6) 중에 설치하는 변형렌즈(7), 거울(8), 셔터(S), 이동장치(9)를 경유하여 드럼(10)상에 결상하게 된다.
제2도는 이와 같이 조판된 일본어의 인자물에인데, 1행에 16자를 채우고, 10행으로 되어있다. 도면중의 틀(13)은 실제에는 없으며, 각문자의 점유면적을 표시한다. 그 예와 같이 통상의 일본어 조판에서는 전각(全角)피치로 되고 있으므로, 예를들면 8행목의 1자목과 같은 규칙에 유의하면 용이하게 인자를 진행시킬 수 있고 기계의 제어장치도 간단하게 된다.
그러나 근년에와서 사진 또는 삽화주위에 인자를 하는 방식이 성행하고 있는데 인자를 전각(全角)단위로 이송하던 것을 각 문자마다 개별적인 이송을 요구하게 되고, 정해진 길이의 행에 인자를 채울 수 있도록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글자를 채우는 것은 주지되고 있는 바와 같이 이송량을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경험으로써 인자를 할도리밖에 없다.
이것을 제6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우선 A의 "고"자를 "ㄱ"과 "ㅗ"의 성분으로 합성하는 경우, "ㄱ", "ㅗ"의 간격을 어느정도로 벌리는가, 즉 어느정도로 근접시켜야할 것인지를 생각하지 않으면 안된다.
A에서는 (1)(2)(3)의 세가지를 L1, L2만큼 근접시킨 예이고, 또 B는 "서"자인 예인데 "ㅅ", "ㅓ"를 (1')(2')(3')으로 표시하고 있다. 그런데 A의 경우는 새로로 합성할 때 L의 치가 행의 길이와 관계를 갖게되고, B에서는 가로 행의 길이와 관계를 갖게되는 것이 명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예는 A, B 뿐아니라 그수가 상당히 많은데 어느 것이나, L의 치는 문자(성분)의 조합에 따라 다르게되어 이송량을 일률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저해하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한글은 하나의 문자를 구성하는 성분과 성분을 조합할때, 인자를 채우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데 일본문과 영문에 있어서는 문자와 문자의 조합에 의하여 인자를 채우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인자 채움에 의하여 생기는 채움량에 따라 각행의 말미 글자의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각행의 말미가 가지런한 인자물을 작성하는데 있어서는 그 채움량을 경험에 의하여 적절히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회전통중의 임의의 주 렌즈의 배율을 가급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면 용이하게 처리될 것이다. 이것을 제3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그 예는 같은 일본어의 문자(가나문자)의 크기를 바꾸어서 a~e의 5종을 인자한 예인데, 각 문자사이는 적절하게 채워져있다. 그리고 a는 20Q, b는 20.2Q, c는 20.4Q, d는 20.6Q, e는 20.8Q로 인자된 것이고 a의 "な"를 인자한 후에, b~e의 "な"를 연속적으로 인자하는 것인데 그 방법 장치등에 있어서는 이미 여러가지로 제안되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크기에 따른 a~e의 인자가 끝나면, 현상하고, 지정된
이와 같이 만약에 즈움렌즈를 채용할 수 있다면, 미리 정한 방법에 의하여 순차로 즈움비를 변화시켜서 같은 문자를 계속하여 다른 행에 인자하고, 그중에서 지정된 행길이에 가까운 것을 채용함에 의하여 이송량을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는 채움식 인자라할지라도 비교적 간단히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다.
즈움렌즈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는 이와 같은 채움식 인자의 예뿐만아니라, 많은 것을 들 수 있는데, 특히 본원에서는 렌즈 회전통중의 각 렌즈간의 배율을 보정하도록 하였으므로 실질적으로는 하나의 즈움렌즈만으로 예를들면 7Q-100Q의 전부의 배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제4도는 즈움렌즈를 광학장치에 설치하는 경우의 과정을 표시한 일예인데, 그 예에서는 먼저 행길이와 자어수(字語數) 및 렌즈정보등을 설정하고, 그 설정된 조건이 행길이에 합치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합치되지 않을시에는 즈움 렌즈를 광학장치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어 있다. 또, 총합배율 N(즈움렌즈의 배율 n×주렌즈배율)가 제1도의 회전통(5)중의 주 렌즈의 배율과 일치될 경우에는 즈움렌즈가 필요없고, 회전통중에 구비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즈움렌즈의 배율 N/M을 산출하여 그치가 즈움렌즈의 배율을 가변할 수 있는 범위 nmin~nmax내에있을 때만, 즉 nmin
Figure kpo00001
N/M
Figure kpo00002
nmax일 때 즈움렌즈를 광학장치중에 설치하여 소정된 배율 N의 상(像)을 인자물상에서 얻을 수 있게 하였다. N/M<nmin, N/M>nmax일 때는 회전통을 회전시켜 소정의 주 렌즈를 광학 장치
다음에 제1도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부호(20)은 제어 테이블로서 주 렌즈와 변형렌즈, 이송량 등등 각종 정보를 설정하는 키이와 스위치가 배치되고 그 신호는 제어부(21)과 기억부(22)에 전달된다. 부호(23)은 즈움렌즈의 배율 n과 인자물상에서 얻어지는 상의 배율 N을 설정하는 설정부이고, (24)는 즈움렌즈의 배율과 제어테이블(20)에서 지령된 각종 정보를 제어부(21)를 통하여 전달하고 그 내용을 각종 표시관등에 표시하는 표시부이다. 부호(25)는 연산부로서 제어테이블(20)과 기억부(22)에서의 정보가 총합배율 N등에 따라 즈움렌즈의 배율 N/M와 이에 따른 이송량, 광량, 셔터의 속도등을 산출한다. 부호(26)은 연산부에서의 지령으로 소정의 이송량을 모우터(11)(12)에 전하는 이송제어부이고, (27)은 현재 위치의 검출부이며, (28)은 비교회로에 의하여 미리 즈움렌즈의 배율 가변범위 nmin~nmax가 설정되어 연산부에서 산출된 즈움 배율 N/M과 비교하여 nmin
Figure kpo00003
N/M
Figure kpo00004
nmax일 때에 일치된 신호를 출력하고 그 신호가 만족하지 않을 때에는 제어부(21)에 신호를 전하여 회전통(4)을 회전시켜서 필요한 배율의 주 렌즈를 광학 장치중에 위치시킨다. 부호(29)는 비교회로로부터의 일치된 신호를 받아서 작동하고, 솔레노이드(30)를 여자하여 즈움렌즈(31)를 광학장치중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즈움렌즈(31)가 전기한 즈움배율 N/M을 구성하도록 펄스 모우터등의 구동원(32)에 신호를 전하는 즈움 제어부이다. 그리고 즈움렌즈(31)는 A렌즈군과 B렌즈군으로 구성되며, 그 위치를 변경함에 의하여 nmin~nmax의 범위내의 배율을 구할 수 있는 일 예로서 다른 방식으로해도 좋은
우선 운전자가 제어테이블(20) 상의 키이와 스위치를 사용하여 주렌즈의 배율 M과 자어수 및 행길이(L)등을 설정한다. 제어부(21)은 주 렌즈의 배율 M에 따라 회전통(4)을 회전시켜 광학장치(6)중에 소정의 렌즈를 위치시킨다. 자어수 및 행길이(L)은 기억부(22)에 기억되고, 연산부(25)는 이들 정보에 따라 이송량을 산출하여 이송제어부(26)에 그 값을 설정한다. 이와 같이 준비가 끝나면, 제어테이블(20)의 인자키이와 문자판(3)을 조작하여 소정된 인자물을 작성한다.
설정한 주 렌즈의 배율 M과 자어수의 조건에 의하여는 행길이에 과부족이 생긴다. 그 경우 표시부(24)에 의하여 그 내용을 확인하고, 행길이와 렌즈 및 자어수등의 설정조건을 보정하는데, 만약 렌즈의 배율을 보정함에 의하여 해소될 수 있다면, 즈움배율 설정부(23)의 단추를 누르고, 제어부에 그 신호를 전한다.
연산부(25)는 설정한 조건하에서 총합배율 N 즉 인자물상에서 얻어지는 상의 크기를 어느정도로 해야 하는 가를 산출하여 그 결과를, 즉 예를들면 20.4Q를 기억부(22)에 전달한다. 제어부(21)은 기억부(22)의 내용에 따라 이송량을 이송제어부(26)에 다시 설정하고, 아울러서 광량과 셔터의 속도 등도 20.4Q에 일치하도록 조절한다.
연산부(25)는 또 즈움렌즈의 배율 n을 산출한다. 이것은 20.4Q를 광학장치중에 위치되고 있는 주 렌즈의 배율로 만들기 위해서는 즈움렌즈의 배율 n을 어느정도로 설
Figure kpo00005
을 산출하고, 그 값을 기억부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그 N/M을 비교회로(28)에 보내어 N/M이 미리 설정되고 있는 즈움렌즈의 배율 가변범위 nmin>nmax내에 있는지를 비교시켜서 이에 만족하고 있으면 일치신호를 즈움제어부(29)에 전달한다.
비교회로가 nmin>N/M, nmax<N/M을 판정하면 표시부(24)에 오산이 표시되고 제어부는 어떠한 배율의 주 렌즈를 광학장치에 위치시키면 좋은가를 연산부(25)를 통해 판단하여, 그 결과로 회전통(4)을 회전시킨다. 또는 운전자가 다시 주 렌즈의 키이를 설정하여 광학장치중의 주 렌즈(5)의 위치를 보정한다.
즈움제어부(29)에 비교회로(28)에서의 일치된 신호가 전달되면 우선 구동신호가 솔레노이드(30)에 전달되어, 즈움렌즈(31)를 설치한 지지구(33)를 이동시켜서 즈움렌즈를 광학장치중에 위치시킨다.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표시되고 있지만 광학장치중에 즈움렌즈를 위치시키는 방법과 장치등으로는 전기한 바와 같이 임의의 수단을 채용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또 그 즈움 제어부(29)에는 메모리와 테이블이 설비되고, 즈움의 배율 N/M을 얻기위하여 즈움렌즈를 구성하고 있는 A렌즈군과 B렌즈군의 이동량이 기억되고 있다. 따라서 그 기억내용에서 산출된 N/M에 해당하는 값과, 그 경우
Figure kpo00006
에 해당하는 부분의 값을 판독하여 이것을 펄스모우터 등의 구동원(32)에 전한다. 구동원은 지정된 만큼 회전하여 즈움렌즈(31)의 A렌즈군과 B렌즈군의 위치를 변
제5도는 즈움 제어부(29)의 전술한 테이블(T)의 일예를 표시한 설명도로서, 광축(34)을 중심으로하여 볼록렌즈(A)와 오목렌즈(B)로 즈움렌즈(31)를 구성하고 있다. V1, V2는 (A), (B) 렌즈의 위의 변화를 전개하여 평면적으로 표시한 것으로서, 횡축은 각 즈움렌즈의 배율 n을 표시하고 있다. 예를들면 20.4Q의 경우 n=20.4/20 이므로 A렌즈에 a1의 좌표를, 그리고 B렌즈에 b1 좌표를 지시해놓으면, 구동원(32)은 양렌즈를 소정량만큼 동작시켜 바라는 20.4Q를 만들게 된다. 이와 같이 미리 A렌즈와 B렌즈의 상대위치를 테이블과 메모리에 기억시켜두고, 즈움렌즈의 배율 n에 응하여 그 내용을 판독하게되면 소정의 배율을 즈움렌즈(31)에 만들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하여 즈움렌즈(31)를 광학장치중에 위치시킨뒤에, 제어테이블(20)의 인자키이를 사용하여 인자를 진행시킨다. 그러면 전술한 바와 같이 모우터(11)(12)가 글자 채움을 위한 이송과 행을 위한 이송을 하면서 소정의 배율 N에 의한 상을 드럼(10)상에 노광하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인자가 끝날 때, 즈움 배율 설정부(23)의 11셋트 단추를 눌러서 해제시키면 솔레노이드(30)가 지지구(33)를 이동시키게 하여 즈움렌즈(31)를 광학장치로부터 분리시키고, 따라서 통상의 회전통(4) 중의 주렌즈(5)에 의한 인자상태로하여, 다음의 지형에 대비케한다. 따라서 즈움렌즈를 고정하면 항상 규정된 배율, 예를들면 7Q-100Q를 재현할 수 있게된다.
이상의 설명은 연산부(25)가 즈움의 배율 N/M을 산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자동적으로 즈움렌즈(31)를 광학장치중에 위치시키는 것이었지만, 즈움 배율설정부(23)
그리고 또 비교회로(28)은 즈움의 배율 N/M 이 즈움범위 nmin~nmax내에 있을 때, 작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을 M1<N/M<M2일 때에 작동되게 해도 좋다. 즉, 광학 장치중에 위치되고 있는 주 렌즈의 배율을 M1으로 하고, 이에 인접하는 주 렌즈의 배율을 M2로하여 M1과 M2사이의 즈움 배율 N/M가 있을 때만 일치신호를 낼 수 있게 하면 그와 같은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 광학장치중에 설치되는 배율 M의 주렌즈와, 통상시에는 촬영 광학장치에서 분리 설치되고 nmin~nmax의 배율범위를 가진 즈움렌즈와, 총합배율 N(n. M)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설정된 총합배율 N과 전술한 촬영 광학장치중의 주 렌즈의 배율에 의하여 즈움 렌즈의 배율 N/M을 산출하고 그 값을 기억부에 기억시킴과 아울러 이송 제어부에 그 신호를 보내어 이송량을 설정하는 연산부와, 전술한 즈움렌즈의 즈움범위 nmin~nmax를 미리 설정하고 그것을 산출된 즈움의 배율 N/M와 비교하여 nmin
Figure kpo00007
N/M
Figure kpo00008
nmax일 때에 일치 신호를 내는 비교회로와, 그 일치신호에 따라 전술한 즈움렌즈를 촬영 광학장치 내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전술한 즈움배율 N/M을 구성하도록 즈움렌즈에 지령하는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즈움제어부를 가지며, 하나의 즈
이에 의하여 종래의 사진식자기에 장착이 곤란하였던 즈움렌즈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또 7Q-100Q라는 고정된 배율을 가진 렌즈는 종래와 같이 회전통중의 주 렌즈를 사용하는 고로 그 정밀도를 상실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배율의 재형성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등 여러가지의 큰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

  1. 사진식자기에 있어서, 촬영광학 장치중에 설치하는 배율 M의 주렌즈(5)와, 통상시에는 촬영 광학장치에서 분리 설치되고 nmin~nmax의 배율범위를 가진 즈움렌즈(31)와, 총합배율 N(즉 n. M)을 설정하는 설정부(23)와, 설정된 총합배율 N과 전기한 촬영 광학장치중의 주 렌즈의 배율 M에 의하여 즈움렌즈의 배율 N/M을 산출하여 그 치를 기억부(22)에 기억시킴과 아울러 이송제어부(26)에 그 신호를 보내어 이송량을 설정하는 연산부(25)와, 전기한 즈움렌즈의 즈움범위 nmin~nmax를 미리 설정하고 그것을 전기 산출된 즈움배율 N/M과 비교하여 nmin
    Figure kpo00009
    N/M
    Figure kpo00010
    nmax일 때 일치신호를 내는 비교회로(28)와, 그 일치신호에 따라 전기한 즈움렌즈를 촬영 광학장치내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전기한 즈움배율 N/M을 구성하도록 즈움렌즈에 지령하는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즈움제어부(29)를 구비하여, 하나의 즈움렌즈로 촬영광학 장치중에 설치하는 주 렌즈간의 배율을 보정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식자기.
KR1019790002984A 1979-08-31 1979-08-31 사진 식자기 KR830000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2984A KR830000445B1 (ko) 1979-08-31 1979-08-31 사진 식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2984A KR830000445B1 (ko) 1979-08-31 1979-08-31 사진 식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445B1 true KR830000445B1 (ko) 1983-03-08

Family

ID=1921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2984A KR830000445B1 (ko) 1979-08-31 1979-08-31 사진 식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44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35202B1 (en) Film video player/printer
EP0308967B1 (en) Photographic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4607949A (en) Photographic print making method
EP0112518A2 (en) Photocomposing apparatus and method
US4963919A (en) Method of simulating the layout of composed image
US48210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photographic negatives
JPH0575804A (ja) 画像形成装置
KR830000445B1 (ko) 사진 식자기
US3946407A (en) Manually operated photocomposing apparatus
US3915569A (en) Ortho projector to make photo maps from aerial photographs
EP0709720A1 (en) A method for enlarging images for lenticular prints
US4876568A (en) Focusing method for printer
JPH0527406A (ja) インデツクスプリント
CA1155696A (en) Orthophoto-mapping apparatus
SE450803B (sv) Anordning vid apparater for omvandling av en fergbildspresentation till en elektrisk signal och vice versa
WO19920115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varying the exposure of a photosensitive medium
US3882509A (e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for an optical scanning device
JPS58988B2 (ja) 写真植字機
US4994921A (en) Halftone imaging system and method
KR870000429B1 (ko) 사진식자방법 및 사진식자기
KR840002060B1 (ko) 사진식자기용 모니터 표시방법
JPS602923Y2 (ja) 写真植字機
JP2725525B2 (ja) 3d立体写真プリントの投影位置補正方法および装置
US4999791A (en) Computer graphics color film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JP2509688B2 (ja) レイアウトプリン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