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060B1 - 사진식자기용 모니터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사진식자기용 모니터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060B1
KR840002060B1 KR7904259A KR790004259A KR840002060B1 KR 840002060 B1 KR840002060 B1 KR 840002060B1 KR 7904259 A KR7904259 A KR 7904259A KR 790004259 A KR790004259 A KR 790004259A KR 840002060 B1 KR840002060 B1 KR 840002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display
memory
characters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4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노부 가와와다
Original Assignee
이시이 유우꼬
가부시기가이샤 샤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이 유우꼬, 가부시기가이샤 샤겐 filed Critical 이시이 유우꼬
Priority to KR7904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060B1/ko
Priority to KR1019830003090A priority patent/KR840002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BMACHINES OR ACCESSORIES FOR MAKING, SETTING, OR DISTRIBUTING TYPE; TYPE; PHOTOGRAPHIC OR PHOTOELECTRIC COMPOSING DEVICES
    • B41B23/00Auxiliary devices for modifying, mixing or correcting text or layout in connection with photographic or photoelectronic composing

Landscapes

  • Light Sources And Details Of Projection-Printing Devices (AREA)
  • Projection-Type Copi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진식자기용 모니터 표시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표시제어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제3도 및 제4도는 메모리의 기억내용의 일예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5도는 감광재상에서의 인자상태의 설명도.
제6도 및 제7도는 표시상태의 설명도.
본 발명은 사진식자기용 모니터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광재상에 이미 인자(공인자)가 끝난복수의 문자상 및 도형등의 전부 또는 그 일부와 그리고 지금부터 인자코저하는 문자상 또는 도형등을 인자할 감광재상의 인자상태와 거의 같은 상태에서 모니터용 표시수단으로 표시하도록 한 사진식자기용 모니터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임의로 변경가능한 소망하는 위치에 소망하는 크기 및 변형형상으로 지금부터인자코저하는 문자상 또는 도형등(이하 미인자문자 또는 단지 문자라 한다)에 대하여 당해 문자가 전기한소망의 위치에 인자가 끝났다고 가정한 경우에 모의인자 상태를 이미 인자(공인자)가 끝난 문자상 또는 도형등(이하 기인자문자 또는 단지문자라 한다)의 크기, 변형 형상등까지도 포함한 각 문자상호의 인자위치관계와 거의 같은 위치에서 모니터 표시하도록 한 것이다.
지금부터 인자코저하는 문자까지도 포함한 인자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하여 식자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한 사진식자기로서는 실공소 50-9956호 공보 흑은 특개소 51-135530호(특공소 54-33850호)공보에 공개된 수단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자의 수단은, 자외선을 취급하기 위한 특수한 부재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일단 표시된 문자상을 임의로 지워없애든가 다른데로 이동시키든가 할 수가 없기 때문에 미인자문자의 배치(레이아우트)를 시행착오적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여러가지 레이아우트를 모니터하는 목적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후자의 수단은 현상수단등을 구비한 특수한 구조의 매거진장치를 필요로 하고, 또한 현상액의 취급 혹은 그 발색응 답성등을 포함한 조작성에 개량의 여지가 있어서 널리 보급될 수 있었다. 한편, 예컨대 제7도 (c)에 도시한 징크(Zink)인자조판, 인자조판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문자배열을 자유로이 레이아우트하여, 인자물의 표현효과를 높이는 일의 중요성이 인식되어오고 있었다.
그런데, 종래, 이들 미적밸런스 감각을 필요로하는 복잡한 레이아우트조판의 대부분은 숙련자의 경험적인 손작업(배우는 작업등)에 의존하고 있었고, 상기 사진식자기는 단순히 개개의 문자를 인자한다는 보조적인 기능만을 수행할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요구를 감안하여 구성된 것으로 종래 사진식자기의 구조에 대폭적인변경을 가하지 않고, 그위에 다양한 문자를 고품질, 고정밀도로 발생한다는 사진식자기 본래의 기능과 문자배열의 자유로운 레이아우트라고 하는 다분히 감각적이고, 인간적인 요소와를 유기적으로 결합하고,부가가치가 높은 인자물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 제1도이 있어서, (1)은 광원, (2)는 문자판, (3)은 주렌즈,(4)는 변형렌즈 (5)는 반사재, (6)은 반투명경 또는 착탈 가능한 반사재, (7)은 촬상용결상렌즈, (8)은 셔터, (9)는 투명용결상렌즈, (10) 및 반사재(11)등으로되는 이동광학계, (12)는 감광재매거진내에 수용되는 드럼,(13)은 드럼에 감은 감광재, (14)는 촬상관이나 CCD(전하 결합소자)등의 촬상수단(15)는 후술하는 표시제어부, (16)은 음극선표시관(C6T)등으로 되는 표시수단, (17)은 인자위치제어회로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광원(1)으로부터의 광으로 조사한 문자가(2)위의 임의 소망문자상은 번호(3∼11)로 표시하는 투영광학계를 통하여 감광재(13) 및 촬상수단(14)상에 투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문자판(2)에 수용한 다수문자중에서 선택된 문자상을 감광재(13) 및 촬상수단(14)위에 결상시키도록한 일반적인 수동사진식자기에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반드시 제1도에 도시한 광학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감광재(13)상에서의 문자상의 인자위치제어는, 인자위치제어회로(17)에서의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구동원(18), (19)를 통하여 행해지는데, 보다 일반적으로는, 투영광학계와 감광재와의 상대적위치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모니터 표시방법을 실현한 표시제어부(15)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상기 제2도에 있어서, 부호(21)은 상기 촬상수단(14)상에 투어된 문자상을 기억하는 가변(미인자) 편도메모리(Fundo memory)이고, (22)는 문자신호 판독제어회로이며, (23)은 감광재(13)상에 인자가 가능한 복수개의 문자상을 기억하는 용량을 가지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한 가변(미인자) 펀도메모리(21)로 부터의 문자상을 순차로 추가기억해가는 고정(기인자)편도메모리군이며, (24)는 표시수단(16)용의 리프레쉬메모리이며, (25)는 그 리프레쉬메모리(24)의 내용을 표시수단(16)상에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표시구동회로이고, 또한 (26)은 예컨대 상기 인자위치제어회로(17)어서 보내오는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고, 감광재(13)상에서의 현재 인자위치에 추종한 정보를 후술하는 표시어드레스정보로 출력하는 현재 어드레스레지스터이며, (27)은 상기한 현재 어드레스레지스터(26)에서 전송된 정보를 상기한 고정(기인자)펀도메모리(23)에 기억시킨 각 문자상에 대응하는 표시어드레스 정보로 순차기억해가는 고정어드레스 메모리군이며, (28)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가변(미인자) 펀도메모리(21)와 고정(기인자)펀도메모리(23) 및 리프레쉬 메모리(24)사이에서의 문자상의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이다.
그런데 상기 제2도에 예시한 구성의 경우, 상기한 표시수단(16)상에는 표시구동회호(25)의 주지의 기능에 따라 리프레쉬 메모리(24)의 기억내용에 대응한 표시가 얻어지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들 대응관계에 있는 기억내용과 표시내용을 예컨대 제3도와 같이 동일한 표현형식에 의하여 설명한다.
즉 제3도는 표시수단(16)의 좌표(Ax,Ay)상에 표시된 문자상 예컨대 "ぁ"를 표시함과 아울러, 그와 같은 표시에 대응하는 리프레쉬 메모리(24)의 기억내용을 모식적으르 표시한 것이기도하다. 또 상기한 가변 및 고정의 각펀도 메모리(21)(23)의 기억내용에 대하여도,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제4도와 같이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2종류로된 편도 메모리와 리프레쉬 메모리간의 데이터 전송기술자체는 상세히 기술할 필요가 없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예를들면, 제4도에 도시한 펀도 메모리의 기억내용을 전송하여 리프레쉬 메모리(24)를 제3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그의 설정을 다시하는 경우, 이하의 설명에서는, 펀도메모리의 내용을 리프레쉬 메모리의 어드레스(Ax,Ay)로 전송하는 것으로 표현하고, 그 동작에 대하여도 제어회로(28)에 의하여 데이터 전송제어가 행하여지는 것으로서 설명을 끝낸다. 또, 감광재(13)상에서의 인자위치와 표시수단(16)상에서의 표시위치(즉, 리프레쉬 메모리(24)상에서의 어드레스)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스케일의 좌표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이상 제2도에 예시한 구성은, 고정 어드레스 메모리(27)에 기억한 각 표시어드레스정보에 따라 각문자상의 시표위치를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인데 예컨대,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변(미인자) 펀도메모리(21)에서 필요에 따라 순차로 보내온 각문자상을 그 크기, 형상 및 표시위치에 대하여 특정(재생표시)가능하게 기억시키도록되어 있다.
여기에서 다음에, 사진식자기의 인자동작과의 관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동작례를 설명한다.
우선 문자판(2)중에서 소망의 문자, 예컨대「し」자를 선택하여 투여광학계중에 이동하고, 이문자상을 촬상수단(14)상에 투영한다. 다음에 도시하고 있지않은 인자레버(또는 인자스위치)를 조작하여 문자틀을 고정(문자판(2)의 고정)하면, 그 고정완료신호(29)(제2도)에 의하여, 문자신호의 판독 제어회로(22)가 동작하고, 촬상수단(14)상이 투영된 문자상 "し"을 가변(미인자) 편도 메모리(21)로 전송기억시킨다.
그 메모리(21)이 기억된 문자상은제어회로(28)의 동작에 의하여 다시 리프레쉬 메모리(24)이 전송된다. 그 문자상의 전송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회로(28)는 현재 어드레스 레지스터(26)의 출력, 즉, 감광재(13)상에서의 현재 인자위치에 상당하는 출력을 표시(써넣음)어드레스 정보로하여 가변(미인자)펀도 메모리의 기억내용을 리프레쉬 메모리(24)에 전송제어한다. 따라서, 제5도(a)와 같이, 감광재(13)상의 점P(Px,Py)이 투영광학계의 광축, 즉 현재 인자위치가 있는 경우, 리프레쉬 메모리(24)의 기억내용은 제6도 (a)와 같이 되어, 표시구동회로(25)의 동작에 의하여 제6도 (a)의 내용이 표시수단(16)상에 표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조작자가 인자위치제어회로(17)를 조작하고 감광재(13)상에서의 투영광학계의 현재 위치를 좌표(Qx,Qy)에 이동시킨 경우, 현재 어드레스 레지스터(26)는 항상 현재 인자 위치에 추종한 값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리프레쉬 메모리(24)에 기억한 문자상「し」의 위치가 이동하고, 이에 수반하여 표시수단(16)상의 표시위치도 제6도 (b)에 도시한 것처럼 좌표(Qx,Qy)로 이동한다.
물론, 제2도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이와 같은 동작을 가능하기 하기 위하여, 예컨대 리프레쉬 메모리(24)의 내용을 주기적으르 갱신하든가, 혹은 현재 인자위치가 이동할때마다 갱신하든지 하여야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표시수단(16)은, 가변편도 메모리(21)의 기억내용, 즉 선택된 문자상을, 감광재(13)상에서의 투영광학계의 현재위치와 대용한 위치에 표시한다.
지금 예컨대, 제6도 (b)의 표시상태를 조작자가 보아서 미인자문자의 종류, 크기, 형상 혹은 위치를 확인한 후, 다음에 인자조작을 실행하면, 제5도 (b)에 도시한 것처럼, 감광재(13)상에서의 투영광학계의 현재 위치(Qx,Qy)에 소망문자「し」가 인자된다. 다시 그후, 그 인자완료신호(30)에 응답하여 제어회로(28)가 작동하고, 가변(미인자) 편도 메모리(21)의 기억내용을, 고정(기인자) 편도 메모리(23)내의 기억에어리어(23-1)에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가변(미인자) 펀도 메모리(21)의 내용을 소거한다. 또, 이와관련해서 현재 어드레스 레지스터(26)의 내용(즉 제5도 (b)에 있어서의 문자「し」의 인자위치정보)이 고정 어드레스 메모리(27)내의 기억에어리어(27-1)에 전송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하여 전기한 기억에어리어(23-1) 및 (27-1)에 전송한 문자상정보 및 어드레스정보에따라, 상기 리프레쉬메모리(24)의 기억내용이 다시 갱신된다. 다만 지금의 경우는 갱신데이터의 내용 그자체에 변화가 없으므로, 그 기억내용자체에 실질적인 변화는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표시수단(16)에서의 표시내용은, 제6도 (b)의 표시상태를 유지시킨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하여 최초의 문자「し」의 인자가 완료되면, 다음에 소망하는 두변째의 문자의 채자조작으로 넘어간다. 예컨대 두변째의 문자로서「て」를 문자판(2)중에서 선택채자하고, 문자를 고정을 행하면, 전술한 경우와 같이 상기 문자상 자가 가변(미인자) 편도 메모리(21)에 기억된다.
그리고 상기 리프레쉬 메모리(24)의 기억내용은, 새로운 문자상「て」자가 설정된 가변(미인자) 편도 메모리(21) 및 이미 인자필한 문자상「し」자가 설정되어 있는고정(기인자) 펀도 메모리(23)의 각기억내용에 따라서 다시 갱신된다. 물론 이 경우, 상기 양 펀도메모리의 내용은 현재 어드레스 레지스터(26) 및고정 어드레스 메모리(27)에 설정되어 있는 내용을 표시(써넣기) 어드레스정보로서, 리프레쉬 메모리(24)에 전송된다.
따라서, 표시수단(16)상에는 기인자 문자「し」가 고정된 상태로 또 미인자문자「て」가 감광재상에 있어서의 투영광학계의 현재 위치에 추종 대응한 상태로 표시된다. 여기서 다음에 전기한 문자「し」의 경우와 같이 인자위치 제어회로(17)를 수동조작하여 표시수단(16)상에 있어서의 문자상「て」의 위치를 적당히 이동시켜 각 표시문자 상호간의 밸런스를 보면서 예컨대 제6도 (c)와 같이 레이아우트상의 가장 바람직한위치에 문자상「て」가 나타난 것을 확인한 후 인자조작을 실행한다.
그 인자조작에 의하여 감광재(13)상에는 새로이 문자상「て」가 소망위치에 투영인자되는 동시에 가변(미인자) 펀도메모리(21)에 기억되어 있든 문자상「て」가 고정(기인자) 펀도메모리의 기억에어리어(23-2)에전송듸고, 다시 현재 어드레스 레지스터(26)의 내용이 고정어드레스 메모리의 기억에어리어(27-2)에 전송된다. 물론 이때, 전술한 경우와 같이 가변(미인자) 펀도메모리(21)의 내용은 소거되고, 다음에 새로운 문자가 선택 채자될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리프레쉬 메모리(24)는 이미 인자필의 문자상「그」 및「て」를 기억한 고정(기인자) 펀도메모리(23)에서의 정보에 따라, 그 기억내용을 갱신하는데 이때 표시수단(16)상에서의 표시내용 및 고정어드레스 메모리(27)의 내용은 전술한 경우와 같이 변화하지 않고, 제6도 (c)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하여 두번째 문자의 인자가 완료된 후, 다시 똑같이 제3번째 이후의 문자에 대하여 순차 선택 채차한 소망문자의 레이아우트 및 인자조작을 반복해 나가게 된다. 이때 순차로 인자된 문자에 관한 데이터가 상기한 고정(기인자) 편도메모리(23) 및 고정어드레스 메모리(27)에 기억되어가는 것은 물론이다.
또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고정어드레스 메모리(27)에 기억한 각 표시어드테스정보에 따라 기인자문자상의 표시위치를 개별로 관리하는 등시에 리프레쉬메모리(24)에 있어서 미인자문자와 기인자문자와를 합성하고, 이것을 표시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각 문자의 레이아우트가 결정될때마다 당해문자를 인자해가는 경우에 있어서는 리프레쉬메모리(24)상에 있어서의 소정의 표시(써넣기) 어드레스에 기인자문자상을 직접 써넣어 갈 수도있다. 이 경우, 그 리프레쉬메모리(24)에서 판독한 기인자문자상신호와, 가변(미인자) 펀도메모리에서 판독한 미인자 문자신호와를, 여어회로등 주지의 수단을 써서 합성하고, 그 합성신호를 표시수단(16)에 공급하게 된다.
또 이상 기술하여온 실시예에서는 각 문자의 레이아우트가 결정할때마다 당해 문자를 인자하여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여 왔으나, 다시 전기한 바와 같이, 고정어드레스메모리(27)에 기억한 각 표시 어드레스정보에 따라, 기인자문자상의 표시위치를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한 제2도에 도시한 구성례는, 이른바 「공인자」를 행하는 경우에도 적응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실제의 노광인자를 수반하는 일 없어 채자, 공인자를 반복하여 실행하고, 각 문자마다의 최적이송량 혹은 한정된 행장내에 다수의 문자를 인자하기 위하여 각 문자마다 요청되는 소요이송량을 미리 구한후, 이 구해진 이송량에 따라 인자위치를 이동시키면서 실제의 노광인자(본인자라고 말한다)를 잇달아 실행해가는 경우에 있어서 제1도에 도시하는 셔터(8)를 동작되지 않도록 해두면 본 발명은 즉시 인자상황사전모니터를 위한 공인자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전기한 인자완료신호(30)는 공인자 완료신호에 의하여 대응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공인자 기능을 이용한 후, 본 인자를 실시하는 경우에, 상기한 고정어드레스메모리(27)에 기억된 각 문자마다의 어드레스정보를 순차로 판독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한 인자위치제어회로(17)를 작동시키므로써 감광재(13)에 대한 광학계의 위치를 이들로부터 인자하는 문자에 대한 소정의 인자위치에 자동적으로 이동되게 하면, 본 인자에 있어서 조작자는 인자위치의 이송에 염려할 것없이 채자작업에 전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펀도메모리를 가변 및 고정의 둘로 분리하고, 촬상수단(14)으로 촬상한 후 이 기억내용을 인자완료신호에 따라 고정편도메모리(23)에 전송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설사 잘못하여 채자한 경우에도 바른 문자를 고쳐 채자만하면, 즉시 표시수단(16)상에 있어서의 표시내용이 수정되는 것인데, 본 발명으로되는 편도메모리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요컨대 촬상수단(14)에 의하여 찰상된 문자상을 차례로 다수개를 기어할 수 있게하면 된다. 그리고 이경우, 최후에 기억된 문자상이 현재어드레스레지스터(26)내에 유지되고 있는 어드레스정보에 대응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1도에 표시한 구성예에서는 촬상수단(14)을 주렌즈(3)이후의 광학계에서 분기한 광학계상에 설치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주렌즈(3)와 문자판(2)사이에서 분기한 광학계상에 설치하거나 혹은 문자판(2)상이 채자된 문자를 별도의 촬상광학계에의하여 직접 촬상하는등 여러가지의 구성이 포함된다. 물론 이와 같이 주렌즈(3)를 통하지 않고 촬상한 경우는 촬상된 문자상을 펀도메모리에 전송할 때 주렌즈(3)의 배율에 응한 수정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간명하게하는 형편상, 감광재(13)와 표시수단(16)의 위치 스케일을 같은 것으로 하고, 감광재상에서의 인자상태와 표시수단에서의 표시상태가 1대 1로 대응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한 양스케일을 동일하게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어 인자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표시스케일보다 크게 설정하고, 실제의인자 문자상보다도 일정한 배율로 확대된 문자상을 표시하도록 해도좋은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한바와 같이 큰 스케일로 표시한 경우나, 혹은 예를들어 1대 1의 스케일이라 하드라도 감광재(13)자체의 크기보다도 표시수단(16)의 표시부의 크기가 작은 경우는, 당연히 감광재(13)상에서의 인자상황의 일부만표시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대처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들어, 최후에 채자한 문자를 포함한 N개의 소정된 문자수단을 표시하게 하거나, 혹은 적어도 최후에 채자한 문자의 표시가 표시가능 범위에서 밀려나오지 않도록 표시하는 것도 하나의 해결방법이다.
제7도는 최대 3개(N=3)의 문자까지를 표시하도록한 경우의 표시상태를「예로 표시한 것인데, 예를들어「し」,「て」,「づ」,「え」,「ん」,「せ」…로 인자해 나가는데 따라, 제1도 (a)-(d)와 같이 표시가 갱신되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들론, 그 제7도와 같이 표시시키는 것도 본 발명의 요지를 깨트리는 것은 아니며, 예를들어, 문자 "え"를 채자하여 제7도 (d)와 같은 표시가 된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인자위치제어회로(17)를 별도로 조작함에 의하여 문자상 "え"의 표시위치를 적당히 이등시켜, 문자 "づ" 및 "で"의간격을 비교하면서, 문자 "え"의 최적위치를 구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같이, 최후에 채자한 문자를 배합하여 최대 N개의 문자를 표시하도록한 구체적인 실시예로서는, 예를들어 제2도의 구성에 있어서 가변 펀도메모리(21)혹은 고정편도메모리군(23)의 기억내용을 리프레쉬메모리(24)로 전송할 때, 최후에 채자한 문자를 포함하여 N개의 문자정보만을 전송하도록 제어회로(28)를 작동시키면 된다.
이때, 먼저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각 문자의 인자위치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정보, 즉 환언하면, 절대 어드레스정보가 현재의 어드레스레지스터(26) 혹은 고정어드레스메모리(27)에 유지되고 있으므로, 예를들어 제7도 (d)와 같은 표시를 얻기 위하여는, 문자 "て"의 위치를 기준으로하여 문자"つ""え"를 바라는 위치에 전송하기 위한 어드레스변환을 제어회로(28)에 있어서 실시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실시할때에 필요한 어드레스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절대 어드레스이어야할 필요는 있고, 요컨대 각 문자마다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좋고, 예를들어 하나 먼저 인자한 문자와의 간격, 즉 상대 어드레스로서 어드레스정보를 유지시켜도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대 어드레스로서 어드레스정보를 유지하게 하면, 예를들어 상기한 제7도 (d)의 경우에 있어서도, 문자"て"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문자 "つ" 및 "え"의 위치를 즉시 특정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문자상(특히 일본어의 가나문자)을 표시하는 경우에만 기술하였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림과 도형등의 패턴이나 다른 나라의 문자를 취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예를들어 문장중에 삽입하는 커트등의 배치를 레이아우트할 수 있게도 된다. 또 상기한 문자신호의 판독 제어회로(22)와 표시 구동회로(25)등의 동작에 대하여는 이미 상술하였으나, 이들 데이터의 전송제어를 위한 회로를 CPV로 치환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이상 여러가지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문자판에 수용한 문자를 채자하고 그 상을 투영광학계를 통하여 감광재에 인자하는 상태를 모니터하여 감에 있어, 이미 인자(공인자)가 끝난 복수문자상의 전부 또는 일부는 각 문자상호의 인자 위치관계에 대응한 위치관계를 가지고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채자중의문자상은 감광재에 대한 투영광학계의 현재 위치에 추종한 위치에 상기 표시수단의 기표시 문자와 관련지어서 표시하여 감광재상에 있어서의 인자상태와 거의 같은 상태로 모니터할 수 있도록한 모니터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종래 사진식자기의 구조에 대폭적인 변경을 가하지 않고, 지금부터 인자코저하는 문자의 배치를 포함한 인자상태의 모니터를 가능하게한 것이다.

Claims (1)

  1. 문자판에 수용한 문자를 선택채자하고, 그의 상을 투영광학계를 통하여 감광재에 인자하는 상태를 모니터함에 있어서, 이미 인자(공인자)가 끝난 복수개의 문자상에 대한 전부 또는 일부는 각 문자상호의 인자위치관계를 대응한 위치관계를 가지며 표시수단에 의해 표시하고, 채자중의 문자상은 감광재에 대한 투영광학계의 현재 위치에 추종한 위치에 상기 표시수단의 기표시문자와 관련지어서 표시하고, 감광재상에 있어서의 인자상태와 거의 같은 상태로 모니터할 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식자기용 모니터 표시 방법.
KR7904259A 1979-12-04 1979-12-04 사진식자기용 모니터 표시방법 KR840002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4259A KR840002060B1 (ko) 1979-12-04 1979-12-04 사진식자기용 모니터 표시방법
KR1019830003090A KR840002059B1 (ko) 1979-12-04 1983-07-06 사진식자기용 모니터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4259A KR840002060B1 (ko) 1979-12-04 1979-12-04 사진식자기용 모니터 표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060B1 true KR840002060B1 (ko) 1984-11-09

Family

ID=192137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4259A KR840002060B1 (ko) 1979-12-04 1979-12-04 사진식자기용 모니터 표시방법
KR1019830003090A KR840002059B1 (ko) 1979-12-04 1983-07-06 사진식자기용 모니터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090A KR840002059B1 (ko) 1979-12-04 1983-07-06 사진식자기용 모니터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8400020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059B1 (ko) 1984-11-09
KR840004663A (ko) 198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00168A (en) Photoprinting device
US4701044A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for composing plural partial original images into a single composite image
US4519701A (en) Side printing apparatus
KR840002060B1 (ko) 사진식자기용 모니터 표시방법
US4876567A (en) CRT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print of an image with letters
JPS64220B2 (ko)
US3620624A (en) Work arranging system
US2752818A (en) Photographic text correction machine
US3198095A (en) Photo-composing apparatus
KR830000445B1 (ko) 사진 식자기
US3622691A (en) High-speed light-responsive transform computer for a light-sensitive printing system
CA1155696A (en) Orthophoto-mapping apparatus
KR100227534B1 (ko) 사진 인화장치
US3746445A (en) Matrix layout board for making multi-character film chips
JPH0238275Y2 (ko)
EP0416519A2 (en) Silver halide photographic light-sensitive material and photographic light-sensitive material identification code printer
KR830002767B1 (ko) 사진식자기의 모니터 표시장치
US3680075A (en) System for composition of symbols
JP2001175002A (ja) 露光装置
JPS62133414A (ja) 顕微鏡写真撮影装置のデ−タ写込装置
KR830002793B1 (ko) 사진 식자기용 모니터 장치
JP4273632B2 (ja) 画像処理装置
KR830002791B1 (ko) 사진 식자기
JPH0242446Y2 (ko)
JP3066916B2 (ja) カメラのデータ写し込み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