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429B1 - 사진식자방법 및 사진식자기 - Google Patents

사진식자방법 및 사진식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429B1
KR870000429B1 KR8202580A KR820002580A KR870000429B1 KR 870000429 B1 KR870000429 B1 KR 870000429B1 KR 8202580 A KR8202580 A KR 8202580A KR 820002580 A KR820002580 A KR 820002580A KR 870000429 B1 KR870000429 B1 KR 870000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component
symbol
display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2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379A (ko
Inventor
후미오 아끼야마
바 아끼라 찌
Original Assignee
이시이 히로꼬
가부시기가이샤 샤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이 히로꼬, 가부시기가이샤 샤껜 filed Critical 이시이 히로꼬
Priority to KR8202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429B1/ko
Publication of KR840000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BMACHINES OR ACCESSORIES FOR MAKING, SETTING, OR DISTRIBUTING TYPE; TYPE; PHOTOGRAPHIC OR PHOTOELECTRIC COMPOSING DEVICES
    • B41B17/00Photographic composing machines having fixed or movable character carriers and without means for composing lines prior to pho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BMACHINES OR ACCESSORIES FOR MAKING, SETTING, OR DISTRIBUTING TYPE; TYPE; PHOTOGRAPHIC OR PHOTOELECTRIC COMPOSING DEVICES
    • B41B27/00Control, indicating, or safety devices or systems for composing machines of various kinds or types

Landscapes

  • Projection-Type Copiers In General (AREA)
  • Light Sources And Details Of Projection-Print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진식자방법 및 사진식자기
제1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사진식자기의 1실시예를 표시한 도.
제2도는 제1도에 보이는 사진식자기에서 사용 되는 문자반의 1실시예를 표시한 도.
제3도 A-F는 표시상부에 있어서의 표시상태의 1예를 표시한 설명도.
제4도 A, B는 감재상(感材上)에 있어서의 인자상태의 1예를 표시하는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사진식자기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문자반 5 : 주렌즈 터릿(turret)
7 : 배율보정 렌즈터릿 9 : 변형렌즈 터릿
12 : 모니터 문자 촬상용 광학계 15 : 촬상장치
16 : 셔터 17 : 이동광학계
20 : 감재드럼 21 : 감재
22 : 지령데이타 입력부 26 : 표시제어부
27 : 표시부 28 : 이동신호
29 : 렌즈 선택회로 30, 31' : 변배변형신호
34 : 인자위치 선택회로 35 : 메모리
36, 36' : 위치신호 41 : 문자수용 에어리어
42 : 바둑판모양 수용에어리어 43 : 구성요소 수용에어리어
44 : 문자코우드 발생부 45 : 출력부
49' : 식별코우드신호 50 : 출력매체
본 발명은 사진식자방법 및 사진식자기에 관하고, 특히 선택한 문자기호 등의 화상(畵像)을 표시부상에 표시하여 오퍼레이터가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사진식자기를 이용하므로써, 통상의 문자반에는 수용되어 있지 않은 문자, 기호, 도형(많은 경우, 사용빈도가 극단적으로 낮은것)등도 간단한 조작으로 단시간에 밸런스좋게 합성 내지 레이아우트 인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우리나라 문장에서 사용되는 문자, 기호등의 가운데 특히 한자에 착안할 경우 예컨대 「植」이 「木」과 「直」의 2개의 구성요소로 분해할 수 있는 것처럼, 많은 한자가 각각 몇개의 구성요소로 분해할 수 있음은 대체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같다.
이른바, 부수(部首)기호는 이들 구성요소의 전형인데, 이와같은 부수기호의 경우와는 달리, 예컨대 한자
Figure kpo00001
이란 4개의 구성요소로 분해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있고 더우기 이들 각 구성요소 그 자체는 다른 한자의 구성요소로소도 공용되는 것이다.
또 같은
Figure kpo00002
편의 한자일지라도, 문자
Figure kpo00003
에 있어서의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의 크기, 밸런스와 문자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의 크기, 밸런스가 통상 각각 상위하다는 예에서도 명백한 바와같이 한자의 자형은 각 구성요소의 크기, 위치등을 변동요인으로 하는 미묘한 밸런스에 의하여 전체의 조화가 도모되고 있고, 그 쓰여지는 방법에 따라, 각 구성요소의 최적위치 및 크기는 스스로 상위한 것으로 되어있다.
또, 이와는 반대로, 통상의 최적위치 및 크기의 밸런스에서 의식적으로 각 구성요소의 위치, 크기를 변경한 디자인의 자형이 주문되는 특수한 경우도 있다.
다른 한편, 한자의 종류는, 사용빈도가 낮은 것을 포함해서 수만자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이들 한자모두를 미리 사진식자기용 문자반에 수용하여 준비하여 둔다는 것은 기계의 대형화, 스톡문자반의 증가등에 관계되는 동시에, 문자선택성의 저해요인도 되고, 어떻든 그리 유리한 책략은 아니다.
그렇다고해서, 설사 사용빈도가 낮은 한자일지라도 때로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이상, 이들 낮은 빈도의 한자가 전혀 인지할 수 없다든가, 혹은, 특수한 공정을 별도로 필요로 한다고 할것 같으면 실제의 수요에 충분히 대처할 수 없게 되어버린다.
이와같은 경우 종래는, 손으로 쓰는 일, 복사지로 써넣는 작업, 혹은 각 구성요소마다로 작성한 인자물의 줄바꾸기, 맞붙이기 작업등으로 소망하는 자형에 대응하는 원판을 작성하고, 그 원판을 문자가 반화하므로써, 비로소, 사진식자 하는일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은 특수공정은, 단지 숙련과 많은 작업시간을 요할뿐만아니라 일단 작성한 원판상에 있어서의 각 구성요소의 크기, 위치관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미묘한 소망되는 평형을 얻는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한자의 특성 및 한자를 취급하는 종래의 일본글자 사진식자기에 특유의 문제점에 비추어서 이룬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문자 수용수단으로서 광학적인 문자반을 채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본 발명으로 되는 사진식자기의 일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으로 (1)은 광원, (2)는 집광렌즈, (3)은 광축, (4)는 문자반, (5)는 여러가지 배율의 주렌즈(6)을 다수 탑재하고 소망의 주 렌즈(6)을 광축(3)위에 가져오도록 설치된 주 렌즈터릿, (7)은 광축(3)위에 가져온 주렌즈(6)의 배율을 보정하기 위한 배율보정렌즈(8)이 복수장전되어있는 배율보정렌즈터릿, (9)는 변형률의 각각 상이한 실린더형렌즈(10)가 몇종류나 장착된 변형렌즈터릿, (11)은 반사경, (12)는 반사경(또 반투명경)(13) 및 렌즈(14)를 구비한 모니터 문자촬상용 광학계, (15)는 촬상장치 (16)은 셔터, (17)은 결상렌즈(18) 및 반사경으로 되고, 감재드럼(20)에 대하여 그 회전축방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므로써 감재(21)위에 있어서의 인자위치를 글자배열 송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광학계이고 이들(1)-(21)로서 도시한 구성은 사진식자기 광학계로서 종래 주지의 것이다.
또, 상기 사진 식자기 광학계의 구성은 예컨대 주 렌즈(6)과 배율보정렌즈(8)과의 조합을 주움(zoom)렌즈로 한다든가, 혹은 반사경(13)이 전반사경의 경우에 모니터 문자 촬상용 광학계(12)를 광축(3)에 대하여 출입자재로 한다든지, 또 혹은 광원(1)을 섬광광원으로 셔터(16)을 제거 가능하게 하는등, 본 발명의 요지를 깨뜨리지 않고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도에 있어서, 지령데이터 입력부(22)는 모니터상(像) 이동방향지령키이(23), 팬크신키이(24), 텐키이(25)등을 구비하고 후술하는 바와같이 각부에 소정의 지령신호를 출력한다.
또, (26)은 음극선 표시관등으로 되는 표시부(27)을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촬상장치(15)위에 투영된 문자화상을 표시부(27)위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부이다. 전기한 표시부(27)위에 있어서의 각 문자화상의 표시위치는, 모니터상 이동방향지령키이(23)을 조작하든가, 혹은 텐키이(25)에서 소망 이동거리를 직접 입액하므로써 출력되는 이동신호(28)에 따라 상하 좌우 방향으로 자재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29)는 지령데이터입력부(22), 혹은 후술하는 메모리(35)에서 공급되는 변배변형신호(30)에 따라 펄스모우터 등의 구동원(31),(32),(33)을 구동하는 렌즈 선택회로이고, 이들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설치한 전기 각 렌즈 터릿(5),(7),(9)를 적의 회전위치 결정하므로서, 각각 소망의 주렌즈(6), 배율보정렌즈(8), 실린더형렌즈(10)을 광축(3)위에 가져온다. 이때 지령데이터 입력부(22)에서 공급되는 변배변형신호(30)은 예컨대 팬크신 키이(24)에 의하여 대상이 되는 렌즈 터릿의 종류를 지령함과 아울러, 텐키이(25)에서 소망렌즈의 종류(통상, Q수로 표시되는 렌즈배율의 값, 혹은 배율보정율, 변형렌즈번호 등)를 지령하는 등 하여 소망렌즈를 광학계중에 세트하도록 되어있다. (34)는, 메모리(35)에서 공급되는 위치신호(36)에 따라서 펄스모우터등의 구동원(37),(38)을 구동하는 인자위치 선택회로이고, 이들 구동원(37),(38)의 작동에 의하여 전기 이동광학계(17), 감재드럼(20)을 화살표(39),(40)방향으로 이동 회전위치 결정하고, 감재(21)상에 있어서의 인자위치를 선택하도록 되어있다.
또, 이동광학계(17), 감재드럼(20) 및 구동원(37),(38)등으로 구성되는 이른바 송부 광학계의 구성은 요컨대 감재(21)상에 있어서의 인자위치를 적의 선택할 수 있으면 좋은 것으로서, 반드시는 제1도, 도시의 경우에 한정되는 사정은 아니고, 예컨대 감재드럼(20)자체를 회전 및 축방향으로 이동자재로 하든가, 혹은 감재(21)을 평면적으로 배치하여 이것을 2차원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든지 하여도 좋다.
전기 메모리(35)는 광축(3)위에 세트되어 있는 각 렌즈의 종류에 관한 변배변형신호(30')를 렌즈선택회로(29)에서 수신하는 동시에 표시부(27)위에 현재 표시되어 있는 문자화상의 표시위치에 관한 위치신호(36')를 표시제어부(26)에 수신하여 이들 각 정보를 기억하고, 다시 필요에 따라, 이들 기억필의 상기 변배변형신호(30)을 재차 렌즈선택회로(29)에 공급하여 렌즈선택동작을 재실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표시위치신호(36)을 인자위치 선택회로(34)에 출력하여 인자위치결정을 행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제2도는 제1도에 보이는 사진식자기에서 사용되는 문자반 4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제2도의 경우, 문자반(4)에는, 도시와 같이, 세개의 각 수용 에어리어(41),(42),(43)이 설치되어 있다. 이중 에어리어(41)은 비교적 사용빈도가 높은 통상의 문자패턴을 여러가지 다수를 수용한 문자수용 에어리어이고 거의 종래의 문자반과 동일하다. (42)는 한자를 구성요소로 분해한때에 있어서의 여러가지 구성형태를 나타내는 사각(四角)패턴이 다수 수용되어 있는 사각수용 에어리어, (43)은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와 같이 문자수용 에어리어(41)에는 수용되어있지 않으나, 문자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는 여러가지 자형(字形)패턴을 수용한 구성요소 수용 에어리어이다.
또, 각기 각 수용 에어리어(41),(42),(43)을 각각 별개의 문자반으로 구성하든가, 혹은 구성요소 에어리어(43)을 문자수용 에어리어(41)의 일부로서 구성하는등 임의로 가능하다. 또, 구성요소수용 에어리어(43), 각기 다른 자형의 구성요소를 수용한 도시의 예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각 구성요소마다 크기, 획선굵기, 위치, 서체(書體)등의 각각 다른 구성요소를 여러가지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시 4각형 수용 에어리어(42), 구성요소 수용 에어리어(43)은 그 수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광학적으로 문자반에 수용할 것없이, 자기적 문자반(ROM, RAM등)으로서, 이것을 스위치등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것도 쉽게 실시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이 되는 사진식자기의 동작을, 예컨대 문자
Figure kpo00011
을 인자하는 경우에 따라 설명한다.
지금, 문자
Figure kpo00012
을 인자하려고 하는경우 우선 당해문자의 구성형태
Figure kpo00013
에 해당하는 4각형(42-1)을 문자반(4)의 4각형 수용 에어리어(42)중에 찾아내어서 이것을 광축(3)위에 가져오고, 되어있지 않은 선택지령 스위치(레버)를 조작한다. 그러면 당해 4각형(42-1)에 상당하는 화상신호가 촬상장치(15)에서 표시제어부(26)에 읽혀지고, 표시부(27)은 이 4각형에 상당하는 화상을 소정의 기준위치에 표시한다. 이 표시상태를 제3도 A도써 표시한다. 그리고 이 표시된 4각형 패턴을 문자 디자인상의 표준으로 하여 오페레이터는 이하의 작업을 속행하여 가게된다.
그래서 먼저, 구성요소
Figure kpo00014
에 착안하여, 당해요소가 4각형(42-1)의 좌측의 장방형 영역(42-1-a)에 위치할 점에서 판단하여, 소망 장체(長體)의 변형율에 가장 가까운 변형율의 실린더형렌즈(10)을 광축(3)위에 세트함과 아울러 구성요소
Figure kpo00015
를 구성요소 수용 에어리어(43)중에서 찾아내어서 이것을 광축(3)위에 가져오고, 전기 도시하지 않은 선택지령스위치(레버)를 조작한다.
그러면 전술한 경우와 같이, 촬상장치(15)상에 투영되어 있는 장체 변형된 당해요소
Figure kpo00016
에 상당하는 화상이 전기 4각형에 중첩하여 표시부(27)상에 표시된다. 이 표시상태를 제3도 B를 나타낸다.
다음에 이 표시된 구성요소
Figure kpo00017
를 장방형 영역(42-1-a)에 이동시키기 위하여 예컨대 모니터상(像) 이동방향 지령키이(23)의 화살표「←」키이를 압하(押下)하여 소망위치까지 상기 화상을 순차 이동시키든가, 혹은 제3도 B에 있어서의 거리(ΔH)에 상당하는 값을 텐키이(25)에서 직접 입력하고, 화상
Figure kpo00018
을 상기 소망의 장방형영역(42-1-a)으로 이동시킨다. 이때의 표시상태를 제3도 c로 나타낸다.
오페레이터는 이 새로이 이동표시된 화상의 위치, 크기를 제3도의 표시로 확인하고, 만약 이것이 소망과 같은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재차 배율보정렌즈(8), 실린드리칼렌즈(10)등을 바르게 설정하든가, 화상의 이동조작을 반복하므로써, 최종적으로 소망상태의 표시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이 하여 구성요소
Figure kpo00019
의 소망상태가 구해지면, 이때에 광축(3)상에 세트되어 있는 주 렌즈(6), 배율보정렌즈(8), 실린더형 칼렌즈(10)의 종류에 관한 각 변배변형신호(30'), 및 당해표시위치에 관한 위치신호(36')가 렌즈 선택회로(29) 및 표시제어부(26)에서 읽어내고 메모리(35)는 구성요소
Figure kpo00020
에 부수하는 데이터로서 이 정보를 기억한다.
다음에 구성요소「白」에 착안하여, 당해요소가 제3도 A의 4각형(42-1)의 중앙상부영역(42-1-b)에 위치할 점에서 판단하여 소망형상의 문자배율 및 변형율에 가장 가깝다고 예상되는 Q수 및 변형율의 주렌즈(6) 및 실린드리칼렌즈(10)을 광축(3)상에 세트함과 아울러, 구성요소「白」을 문자수용 에어리어(41)중에서 찾아내서 이것을 광축(3)위에 가져오고, 선택지령스위치(리버)를 조작한다.
그러면, 전기 구성요소
Figure kpo00021
의 경우와 같이, 세트비율, 변형율에 변형된 당해요소「白」에 상당하는 화상이 전기 4각형 및
Figure kpo00022
의 표시에 중첩하여 표시부(27)상에 표시된다. 이 상태를 제3도 D로 표시한다.
다음에 새로이 표시된 구성요소「白」을 중앙상부 영역(42-1-b)에 이동시키기 위하여, 예컨대 모니터상 이동방향 지령키이(23)의 화살표 「↑」키를 압하하여 소망위치까지 상기 화상을 순차 이동시키든가, 혹은 제3도 D에 있어서의 거리 (ΔV)에 상당하는 값을 텐 키이(25)에서 직접 입력하고, 화상 「白」을 상기 소망의 중앙 상부영역(42-1-b)으로 이동시킨다. 이때의 표시상태를 제3도 E로서 표시한다.
오페레이터는 이 새로이 이동표시된 화상 「白」의 위치, 크기를 제3도 E의 표시로 확인하고, 만약 이것이 소망과 같은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재차 배율보정렌즈(8), 실린더형 렌즈(10)등을 바로 설정하든가 화상의 이동조작을 반복하므로써, 최종적으로 소망상태의 표시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이 하여 구성요소 「白」의 소망상태가 구해지면, 이때에 광축(3)위에 세트되어 있는 주렌즈(6) 배율보정렌즈(8), 실린더형렌즈(10)의 종류에 관한 각 변배변형신호, 및 당해표시위치에 관한 위치신호가 전기
Figure kpo00023
의 경우와 같이 렌즈선택회로(29) 및 표시제어부(26)에서 읽어낼 수 있고, 메모리(35)는 구성요소「白」에 부수하는 데이터로서 이 신호를 기억한다.
이하, 구성요소
Figure kpo00024
Figure kpo00025
에 대하여도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제3도 F에 표시한 것과 같은 완전한 레이아우트의 문자
Figure kpo00026
을 표시하고, 만약 더 변경을 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각 구성요소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수정작업을 하고 최종적으로 소망의 구성을 결정하여 일련의 레이아우트정보 작성과정을 종료한다.
또, 이미 기술하여온 바와같이 4각형 패턴은 문자내지 구성요소 레이아우트의 편의를 꾀하는 표준으로서 표시되는 것인데, 4각형과 각 구성요소가 중첩하여 표시되어 있으므로 진실한 밸런스가 파악될 수 없는 경우, 혹은 4각형에 구속되는일 없이 문자, 기호등을 레이아우트할 경우에 대비해서, 전기 4각형 패턴을 예컨대 스위치등으로 임의로 표시하든가 지우든가 할 수 있도록 하여두면 좋다.
다시 이상 설명한 레이아우트정보 작성과정에서는
Figure kpo00027
의 순번으로 각 구성요소를 선택하고, 레이아우트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여 왔으나, 전술한 바와같이, 각 구성요소마다 부수데이터를 메모리(35)에 기억하도록 되어있으므로 임의의 순서로 선택하여 레이아우트 정보 작성과정을 추진하여 가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감재(21)상에 실제로 문자
Figure kpo00028
을 인자하여 가는 인자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먼저 당해문자의 구성요소의 하나, 예컨대
Figure kpo00029
을 전기 에어리어(42)중에서 찾아내어 이것을 광축(3)상에 가져오고, 도시하지 않은 인자지령스위치(레버)를 조작한다.
그러면 전기 렌즈선택회로(29) 및 인자위치 선택회로(24)는 지금, 대상으로하는 구성요소가
Figure kpo00030
인 취지의 지령을 받으므로써, 당해요소에 부수하는 데이터로서 이미 기억한 변배변형신호(30) 및 표시위치신호(36)을 전기메모리(35)에서 읽어내고, 이들 정보에 따라 각 렌즈 터릿 혹은 이동 광학계(17), 감재드럼(20)의 선택위치결정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하여 각부의 위치결정이 완료한 것에 의하여 앞서의 레이아우트정보 작성과정의 경우와 같은 조건에 있어서의 인자준비가 완료하고, 셔터(16)이 동작하여 소망형상의 구성요소
Figure kpo00031
가 감재(21)상에 인자된다.
또 다음의 구성요소 「白」을 광축(3)상에 세트하여, 전기한 도시하지 않은 인자지령스위치(레버)를 조작하면, 상기
Figure kpo00032
의 경우와 같이, 소요의 변배변형신호(30) 및 표시위치신호(36)이 읽어내어져서 각부의 선택위치결정을 실시한 후, 셔터(16)이 작동하여 소망형상의 구성요소「白」에 당하는 화상이 먼저 인자한
Figure kpo00033
의 잠상(潛像)에 중첩하여 인자된다. 이때의 인자상태를 제4도 A로서 표시한다.
이하, 구성요소
Figure kpo00034
에 대하여도 같은 동작을 반복하므로써 제4도 B에 보이는 것과 같은 소망자형의 인자가 종료하는 것이 된다.
또, 이상 설명한 인자과정에서는
Figure kpo00035
의 순번으로 각 구성요소 및 당해 인자위치를 선택하고, 인자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여 왔으나 전술한 바와같이 각 구성요소를 선택할 때마다 부수 데이터를 메모리(35)에서 읽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임의순서로 선택하여 인자과정을 진행시켜 가는 일도 가능하다.
제5도는 본 발명이 되는 사진식자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면중, 문자코우드 발생부(44), 출력부(45)를 새로이 설치하는 동시에, 모니터 문자촬상용 광학계(12)를 문자반(4)와 주렌즈터릿(6)과의 사이에 설치한 점, 및 표시부(27)상에 있어서의 표시화상의 변배변형을 표시제어부(26)에 있어서의 화상신호처리에 의하여 실시하도록 한점이 제1도의 실시예의 경우와 다르다. 이 제5도에 있어서 문자코우드 발생부(44)는, 예컨대 문자반(4)의 전후좌우 방향이동을 검출하는 위치검출기(46),(47)과, 이들 검출기에서의 위치신호에 따라서 식별코우드 신호를 출력하는 코우드변환기(48)을 구비하고 제1도에 관련하여 설명한 레이아우트정보 작성과정에 있어서 광축(3)상의 선택된 구성요소에 고유의 식별코우드 신호(49')를 출력한다.
촬상장치(15)는 렌즈(14)에 의하여 규정되는 배율의 화상신호를 표시제어부(26)에 공급한다. 그리고 이 표시제어부(26)은 지령데이타 입력부(22)에서 직접 주어지는 변배변형신호(30)에 따라 전기 입력화상신호를 처리하고, 소망과 같은 변배, 변형된 화상을 표시부(27)상에 표시한다. 메모리(35)는, 표시부(27)상에 표시한 각 구성요소에 관한 변배변형신호(30') 및 위치신호(36')를 표시제어부(26)에서 수신하는 동시에, 문자코우드 발생부(44)에서 당해 구성요소의 식별코우드신호(49')를 수신하고 기억한다.
출력부(45)는 상기 메모리(35)에 기억한 신호를 예컨대 출력매체(50)(예컨대 자기테이프나 프린터)등에 뽑아내기 위하여 설치된 것으로서, 각 문자, 기호 구성요소등의 레이아우트에 필요한 테이터를 외부에 출력하여 별도의 사진식자기로 이용할때에 작동한다.
또, 전기 문자반(4)를 전후 좌우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수단을 별도 설치하고, 메모리(35)에 기억한 구성요소 식별코우드신호로 이들 위치 결정수단을 작동시키므로써, 소망구성요소를 자동적으로 광축(3)위에 가져오도록 구성하면, 제1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실제의 인자과정에 있어서, 수동(手動)으로 각 구성요소를 선택하는일 없이 소망레이아우트의 인자를 실시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1도-제5도에 따른 이상의 설명은, 문자구성요소의 조합을 표시부상에서 레이아우트한 후 소망형태의 합성문자인자를 실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여 왔으나, 본 발명의 용도는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상기 각 구성요소대신에 각기 독립한 문자를 취급하도록 한 경우, 하나의 인자물상에 인자되는 각 문자상호의 대소, 위치관계등을 레이아우트하여 소망 조판의 인자물을 작성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도-제5도에 따른 설명에서는, 문자수단으로서 광학적인 문자반(4)을 채용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여 왔다.
이에 대하여, 각 문자형상을 디지탈적인 문자신호로 변환하여 기억하는 디지탈 폰트 메모리를 문자수용수단으로서 채용한 경우, 4각형 패턴 및 문자, 기호, 구성요소등을 특정하는 식별코우드를 예컨대 텐키이(25)에서 입력하므로써 소망 문자신호를 디지탈폰트 메모리에서 표시제어부(26)으로 읽어내어 이에따라 당해 구성요소의 화상을 표시부(27)상에 표시하도록 하면 된다. 이 경우, 문자반(4)중에서 소망문자를 찾아내어서 광축(3)상으로 가져오는 조작은 필요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여 온바와같이 선택한 문자, 기호등의 화상을 표시부상에 표시하여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한 사진식자기에 있어서, 문자, 기호, 구성요소등을 문자수용수단중에서 임의의 순서로 선택하여 이것을 표시부상에표시하는 스텝과 당해표시한 문자, 기호, 구성요소등을 각 문자, 기호, 구성요소마다에 표시부상에 있어서 변배, 변형, 및 이동하는 스텝과 표시부상에 표시한 전기문자, 기호, 구성요소등에 관한 변배형정보, 및 위치정보를 각 문자, 기호, 구성요소마다에 기억하는 스텝과 로되는 레이아우트 정보작성과정과 문자, 기호, 구성요소등을 문자수용수단중에서 임의의 순서로 선택하는 스텝과 전기 기억한 변배변형정보 및 위치정보를 선택한 문자, 기호, 구성요소마다에 읽어내고, 이에 따라 소망렌즈 및 소망인자위치를 설정위치 결정하는 스텝과, 전기 선택한 문자, 기호, 구성요소등을 전기 설정위치 결정한 소망인자 위치에 인자하는 스텝과 로되는 인자과정과를 거쳐 소망상태의 인자를 행하도록 한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손작업에 가까운 상태로 더우기 숙련에 의존하여 레이아우트를 할 수 없었든 경우에 비교해서, 극히 간단한 조작으로 단시간에 밸런스 좋게, 합성내지 레이아우트 인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Claims (4)

  1. 선택한 문자, 기호 등의 화상을 표시부상에 표시하여 직접 확인할 수 있게한 사진식자기에 있어서, ① 문자 기호, 구성요소등을 문자 수용수단중에서 임의의 순서로 선택하여 이것을 표시부상에 표시하는 스텝과, ② 당해 표시한 문자, 기호, 구성요소등을 각 문자, 기호, 구성요소마다에 표시부상에 있어서, 변배, 변형, 및 이동하는 스텝과, ③ 표시부상에 표시한 전기문자, 기호, 구성요소등에 관한 변배, 변형정보, 및 위치정보를 각 문자, 기호, 구성요소마다에 기억하는 스텝과, 로되는 레이아우트정보 작성과정과, ① 문자, 기호, 구성요소등을 문자수용수단중에서 임의의 순서로 선택하는 스텝과, ② 전기 기억한 변배변형정보 및 위치정보를 선택한 문자, 기호, 구성요소마다에 읽어내고, 이것에 따라 소망렌즈 및 소망인자위치를 설정위치 결정하는 스텝과, ③ 전기 선택한 문자, 기호, 구성요소등을 전기 설정위치결정한 소망 인자위치에 인자하는 스텝과 로되는 인자과정과, 를 거쳐, 소망상태의 인자를 행하도록 한 사진식자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문자수용수단중에서 선택하여 표시부상에 표시한 4각형 패턴을 표준으로 하여, 전기문자, 기호, 구성요소등의 표시를 변배, 변형, 및 이동하도록한, 사진식자방법.
  3. 선택한 문자, 기호등의 화상을 표시부상에 표시하여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한 사진식자기에 있어서, ① 표시부상에 선택표시하는 문자, 기호, 구성요소등을 여러가지 수용한 문자수용수단과, ② 표시부상에 표시한 각 문자, 기호, 구성요소등의 변배변형상태 및 표시위치를 각 문자, 기호, 구성요소마다에 지령하는 지령데이터 입력부와, ③ 표시부상에 표시한 각 문자, 기호, 구성요소 등의 변배변형상태 및 표시위치에 관한 정보를 각 문자, 기호, 구성요소마다에 기억하는 메모리와, ④ 전기 메모리에 기억한 변배변형상태에 관한 정보에 따라 당해정보에 대응하는 배율 및 변형률의 렌즈를 선택하는 렌즈 선택회로와, ⑤ 전기 메모리에 기억한 표시위치에 관한 정보에 따라 투영인자 광학계와 감재와의 상대적위치 관계를 이동하여 당해 정보에 대응하는 인자위치를 선택하는 인자위치 선택회로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식자기.
  4. 제3항에 있어서, 전기 문자수용수단이 문자의 구성형태를 나타나는 4각형 패턴을 수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식자기.
KR8202580A 1982-06-09 1982-06-09 사진식자방법 및 사진식자기 KR870000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2580A KR870000429B1 (ko) 1982-06-09 1982-06-09 사진식자방법 및 사진식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2580A KR870000429B1 (ko) 1982-06-09 1982-06-09 사진식자방법 및 사진식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379A KR840000379A (ko) 1984-02-22
KR870000429B1 true KR870000429B1 (ko) 1987-03-10

Family

ID=1922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2580A KR870000429B1 (ko) 1982-06-09 1982-06-09 사진식자방법 및 사진식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4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379A (ko) 198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063005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out picture images reproduced from original pictures
US4121228A (en) Photocomposition machine with keyboard entry and CRT display
US3968501A (en) Photocomposition machine with improved lens control system
KR870000429B1 (ko) 사진식자방법 및 사진식자기
US40384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typesetting
US4277190A (en) Indicia printer
US3116661A (en) Automatic type placement system
US4135794A (en) Photocomposition machine
US4446491A (en) Ultrahigh resolution photocomposition system employing electronic character generation from magnetically stored data
US3416420A (en) Photographic composition apparatus
US3517591A (en) Automated drafting system
KR870000427B1 (ko) 사진식자기
US39008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 annotation of orthophotographs
US3191510A (en) Phototypographic apparatus
US3162105A (en) Type composing apparatus
US4215922A (en) Method for projecting characters at a selected point size in a photocomposition machine
US3161458A (en) Data conversion apparatus
KR830000445B1 (ko) 사진 식자기
US6313929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4358185A (en) Optical printing and typesetting machinery
JPH0330495B2 (ko)
US4189216A (en) Optical system for photographic composing apparatus
KR840002060B1 (ko) 사진식자기용 모니터 표시방법
US3792482A (en) Page printer
US3228313A (en) Type composing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