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302B1 - 스테레오 신호용 잡음 저감회로 - Google Patents

스테레오 신호용 잡음 저감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302B1
KR830000302B1 KR1019780003485A KR780003485A KR830000302B1 KR 830000302 B1 KR830000302 B1 KR 830000302B1 KR 1019780003485 A KR1019780003485 A KR 1019780003485A KR 780003485 A KR780003485 A KR 780003485A KR 830000302 B1 KR830000302 B1 KR 830000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stereo
voltage
noise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80003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302A (ko
Inventor
발렌티누스 후란센 니코
후베르투스 게렌 매디아스
Original Assignee
앤.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디. 제이. 싹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앤.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디. 제이. 싹커스 filed Critical 앤.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Priority to KR1019780003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302B1/ko
Publication of KR830000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302A/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ntrol Of Turbines (AREA)
  • Stereo-Broadcasting Metho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테레오 신호용 잡음 저감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잡음 저감회로의 실시예를 적용한 FM수신기를 도시한 계통도.
제1도는 제1도의 작동 설명파형도.
제2도는 제1도의 대수 변환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잡은 저감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FM수신기를 도시한 계통도.
본 발명은 스테레오 신호의 잡음 저감을 위해 제어입력단자와 제1 및 제2출력단자 뿐만아니라 이들 두개의 출력단자간에 제어가능한 상호 신호 결합작용을 행하는 제어가능결합회로를 구비한 스테레로 신호용잡음 저감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잡음저감회로는 공개된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원 제2410430호에 발표되어 있다. 스테레오 음향신호를 재생하는 경우에 있어서 가청잡음은 다소 모노포닉재생으로 전환하는데 의해 저감될 수가 있다. 상기 공지의 잡음 저감회로에서는 이 방식을 이용하여 음향신호의 진폭이 미리 정해진 고정한계값보다 낮은 약음부분에 대해 잡음을 저감하도록 한다. 이 경우, 두 개의 출력단자강의 신호 결합작용은 최대로 된다. 음향신호의 진폭이 상기 한계값을 초과하는 강음부분에 대해 두 개의 출력은 서로 감결합되고 이에 의해 스테레오 재생이 얻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잡음저감회로로서는 약음부분에서는 공간적 스테레오 효과가 생기지 않는 외에 강음부분에서는 잡음에 의해 성가신 형태로서 스테레오 재생이 교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완전히 연속적이 아닌 공간적 스테레오 효과에 의한 음향재생을 가능하게하여, 완전히 연속적인 스테레오 재생의 경우에 생기는 잡음에 대해 약음부분뿐만 아니라 강음부분도 잡음을 저감할 수 있는 잡음저감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잡은 저감회로는 상기 제어입력단자를 진폭검파기를 거쳐 미분회로에 결합하고, 이 미분회로를 상기 제어가능한 결합회로의 제어입력단자에 결합하여, 상기 진폭검파기의 출력신호의 진폭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신호결합작용을 최소로 하게하여, 상기 진폭의 증가가 종료한후 상기 신호결합작용을 자동적으로 최대로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970년 7월 6일 델프트(Delft)에서 간행된 N.V. Franssen에 의한 논문 some consderation on the me-chanism of directional hearing에 청취시험에 대해 기재되어 있어, 이에 의하면, 음향의 소위, 어택(attack)부에 있어서 제1스피커를 거쳐 최강음에서 재생된직후 음량을 영레벨로 향해 서서히 감소 시킴과 동시에 제2스피커를 거쳐 점차로 최강음에서 재생되는 일정주파수의신호는 어떤 기간동안 제1스피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음향신호는 음향의 어택부의 직후에, 만약 다른 위치로 부터 재생될지라도, 음향신호가 생길때마다 이 음향신호를 청취하는데 의해 얻어지는 방향의감도 또는 방향의 음감은 각 어택부의 후 어떤 기간에 걸쳐 지속하는 것을 인식하여, 이것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잡음저감회로의 두 개의 출력단자는 어택부에서 서로 감결합되어 스테레오 재생이 얻어진다. 각 어택부가 종료된후 두 개의 출력단자는 상호 결합되어 이것에 따라 양방의 출력단자에 동일신호 즉 스테레오 신호의 좌측 및 우측 신호성분의 화신호 L+R 가 생겨 잡음이 대폭으로 저감한 모노포닉재생이 얻어진다. 실제로, 어택부에 맞아서 생기는 스테레오 재생의 공간적인 저감은 각 어택부분의 후 어떤 기간에 걸쳐 귀에 잔류하고 따라서 실제로는 모노포닉재생이 행하여진다. 이에 따라 통ㅅ상의 스테레오 음성 및 약음신호에 대하여는 대체로 연속적인 스테레오 재생음감이 부여되는 한편 실제상 재생은 연속스트레오 재생에 대하여 현저하게 낮게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잡은저감회로의 적합한 실시예는 상기 미분회로 및 제어가능 결합회로사이에 한계치를 갖는 제어신호성형회로를 접속하고, 제어신호성형회로의 입력이 한계치를 넘었을 경우, 제어신호성형회로는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신호 결합작용을 최소 레벨에서 최대레벨로 재조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기간은 스테레오 신호에 있어서 최저신호주파수 주기의 적어도 수배로 대응시켜, 상기 제1 및 제2기간의 화가 적어도 10m초로 되도록 구성한것을 특징으로 ㅎ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제어가능 결합회로는 제어신호성형 회로의 적절히 선정함에 따라, 작은 진폭변화를 수반하는 어택부 및 / 또는 점증하는 진폭만에 대해서는 작동되지 않게 된다. 이같은 어택부는 모노포닉 재생되고, 따라서 스테레오재생의 음감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전평균잡음 레벨이 감소한다. 남은 어택부에 따라 모노포닉재생에서 스테레오재생으로의 전환이 시작되고, 이 스테레오재생은 충분한 사후효과(a fter-effect)와 함께 행하여지도록 하기 때문에 제1기간중 유지된다.
그러나 스테레오 재생이 제1기간후에 급격히 모노포닉재생으로 전환된 경우, 이것은 모노포닉 재생에 있어서 신선한 어택부로서 지각된다. 이 모노포닉부에 잔존하는 스테레오 재생음감의 전체 또는 일부가 없어질 염려가 있다. 이것은 제1기간이 종료한후, 제2기간에 있어 스테레오 재생에서 모노포닉 재생으로의 전환을 서서히 하므로써 방지된다.
실제로, 스테레오음감의 지속을 위해서는, 제1 및 제2기간을 재생할 최저신호주파수의 주기의 적어도 수배에 걸쳐서 지속하고, 또 제1 및 제2기간의 화를 적어도 10m초로하면 유리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잡음저감회로의 다른 적합한 실시예는 한계치를 갖는 상기 제어 신호성형회로가 한계전압을 형성하는 기준전압원을 갖는 전압비교회로와 상기 한계전압을 넘는 입력전압을 공급받았을 경우 제1기간에 대응하는 펄스 지속시간을 갖는 제어펄스를 발생하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와 제어가능 전류원과의 종속 접속회로를 갖추고,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출력단에 병렬콘덴서를 설치하고, 제어가능전류원에 따라 제2기간에 있어 상기 병렬콘덴서를 방치하도록 하여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출력단을 제어가능결합회로의 제어입력단자에 결합하도록 구성한것틀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한계치를 갖는 제어신호성형회로를 간단한 형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소요에 따라 기준전압원 및 / 또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펄스 지속시산을 제어하고, 스테레오 재생의 전 기간을 잡음레벨의 감소시 또는 증대시에 연속적으로 연장 또는 단축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잡음저감회로의 다른 실시예는, 진폭검파기에서 공급되는 입력신호의 진폭변화에 대하여 대수관계의 진폭변화를 나타내는 출력신호를 공급하는 대수변환기를 전기진폭검파기 및 전기미분회로사이에 접속하도록 구성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택부의 가청도는 이 어택부에 부수되는 음향진폭의 절대적 중량보다는 상대적 증가량에 좌우되므로, 상기 구성에서 미분회로에는 그 진폭변화의 크기에 따라 어택부의 t청도를 표시하는 신호가 공급된다. 이같은 진폭변화의 크기는 미분회로의 출력펄스의 진폭의 크기에 직접반영된다.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한계전압을 적절히 선정하므로써 어떠한 결함도 수반치 않고 모노포닉재생되는 약한 가청 어택부를 간단한 방식으로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같은 잡음저감회로의 대른 실시예는 대수변환기가 직폭검파기에 접속된 전압제어형 전류원 갖추고 상기 전압제어형 전류원의 출력단을 반도체접합을 통하여 분로(分路)하여, 상기 반도체 접합을 미분회로의 입력단에 병렬로 접속배치 하도록 구성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대수변환기를 간단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잡음저감회로의 다른 실시예는 전기직폭검파기의 입력신호를 스테레오신호의 좌측 및 우측 음향신호의 합신호로로 하도록 구성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합신호 L+R를 어택부 검출신호로 이용하는데 그 이유는 어택부에 매우 유사한 간섭 또는 방해가 생기는 빈도가 스테레오신호의 두개의 음향신호의 각신호 또는 나머지 신호에서 보다 상기 합신호에 있어서 실제로 훨씬 작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잡은 저감회로의 다른 실시예는, 전기 두 개의 출력단자간의 신호결합작용을 고정한계주파수 이상에서는 제어가능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스테레오 재생의 방향성 효과는 주로 낮은 주파수대역에 있는 음향신호에 따라 형성되며, 더우기 스테레오 재생에 있어서 잡음레벨은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에서 보다 높은 주파수에 있어서 높아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경우, 한계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갖는 신호는 연속적으로 스테레오 재생되는 한편, 상기 한계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를 갖는 신호는 어택부와 만날 경우에만 스테레오재생된다.
이하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잡음저감회로의 실시예를 설치한 FM수신기를 표시하며, 이 FM수신기는 안테나 A와, 이에 순차적으로 접속한 전치증폭기 동조유닛트 1, 중간주파수부 2, FM 복조기 3, 스테레오레코더 4를 갖추고, 스테레오레코더 4는 좌측 및 우측 저주파 출력단자 5 및 6을 갖는다.
상기의 회로에서는 안테나 A에서 수신한 고주파 신호에 공지된 방식으로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여 소망의 스테레오 ㅅ니호를 도출하여 스ㅌ레오레코더 4의 출력단자 5 및 6에 가청주파 스테레오신호가 생기도록 한다. 출력단자 5 및 6은 각각 증폭기 15 및 16을 통하여 확성기(28) 및 (29)에 결합하여, 스테레오신호의 좌측신호 L 및 우측신호 R를 증폭하여 재생하도록 한다.
제어가능한 상호신호결합작용을 달성하기 위하여 출력단자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잡음저감회로(40)의 출력단자(42) 및 (43)에 각각 접속한다. 또 출력단자(5) 및 (6)은 가산회로(7)을 통하여 잡음저감회로(40)의 제어입력단자(41)에 결합한다. 가산로회(7)에서는 가청주파 스테레오신호의 좌측 및 우측신호로부터 신호(a')가 형성되며, 이것은 실제적으로 스테레오 신호의 어택부를 검출하는데에 특히 적합하다.이같은 가청주파 합신호(a')의 일예를 제1A도a에 표시하여, 이 화신호는 잡음저감회로(40)의 제어입력단자(41)에 접속한 진폭검파기(8)에서 정류되며, 어떤 시정수를 갖고서 검파된다. 이같은 검파에 따라 얻어진 화신호(b')를 제1Ab도에 표시하여, 이 화신호(b')는 진폭검파기(8)의 출력단자에서 대수변환기(9)의 입력단자(10)에 공급한다. 대수변환기(9)는 그 출력단자(11)에서 제1A도C에 표시한 출력신호(C')를 공급하고, 그 출력신호(c')의 진폭변화의 크기는 전기검파에 따라 얻은 화신호(b')에서 상대적 진폭변화에 비례한다.
어택부의 가청도는 음향신호의 상대적 진폭증가에 다라 결정되므로, 대수변환기 (9)의 출력신호(c')는 그 진폭증가의 절대적 크기를 통하여 어택부의가청도를 직접 지시하는 것으로 된다. 출력단자(11)에 결합한 미분회로(12),(13)에서 이 출력신호(c')를 미분하므로써 제1A도d에 도시한 많고 작은 펄스형의 신호(d')가 얻어지며, 이 펄스형 신호(d')의 진폭은 어택부의 가청도에 대응한다. 미분회로(12,),(13)은 출력단자( 11) 및 어스간에 직렬접속한 콘덴서(12) 및 저항(13)으로 구성한다.
상기 펄스형 신호(d')는 미분회로(12),(13)의 출력단자 즉 콘덴서(12) 및 저항(13)의 공통접속점에 생기고, 한계치를 갖는 제에신호 형성회로(46)의 입력단자( 45)에 공급한다.
한계치를 갖는 제어신호 성형회로(46)은 입력단자(45)에 접속한 전압비교회로 (14)과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17)과의 종속접속회로를 갖추고 전압비교회로(14)에는 제어가능기준 전압원(44)을 설치하여,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7)에는 조정가능 RC소자(18),(19)를 접속한다. 단안정 ㅁ러티바이브레이터(17)의 출력단자에는 병렬콘덴서(20) 및 제어가능전류원(21)내지(25)를 접속하고 또 정합저항(26)을 통하여 제어가능 결합회로(27)의 제어 입력단자(47)를 접속한다. 제어가능 결합회로(27)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로 구성하고, 그 제어전극은 제어입력단자(47)에 접속하고, 그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은 콘덴서(48) 및 (49)를 통하여 잡음저감회로(40)의 출력단자(4 2) 및 (43)에 각각 접속한다. 기준전압원(44)의 전압에 따라, 제1A도d에 있어서 D로 표시한 한계전압이 결정된다. 펄스형 신호(d')가 그 한계전압 D을 넘을 경우, 전압비교회로(14)의 출력단자에는 제1A도e에 있어서 (e')로 표시한 펄스가 발생한다. 이 펄스( e')에 따라 단안정 멀티바이블레이터(17)이 작동되어 그 출력단자에 제1A도 f에서 f'로 표시한 펄스가 발생하고, 이 펄스(f')는 조정가능 RC소자(18),(19)의 시정수에 따라 결정되는 펄스지속시간을 갖는다. 이 펄스지속시간은 전술한 제1시간에 대응한다.
제1전압원과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7)의 출력단자 사이에 접속한 콘덴서( 20)양단의 전압은 급속한 충전시정수에 기인하여 펄스(f')의 하강연부까지는 펄스(f')의 변화에 거의 정확하게 뒤따른다. 콘덴서(20)의 전압은 전어가능전류원(20) 내지 (21)를 통하는 전하이송에 따라 그 원래의 값 즉 펄스(f')가 생기기 이전의 값까지밖에 감소시킬 수 없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제어가능전류원(210 내지(25)에는 트랜지스터(2 1)을 설치하는데, 그것의 콜렉터는 콘덴서(20) 및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7)의 출력단자의 공통접속점에 결합하며, 그 에미터는 에미터저항(22)를 통하여 제1전압원에 접속한다. 트랜지스터(21)의 베이스는 공급저항(25)를 통하여 제2전압원에 접속하고, 한편 직렬접속한 두개의다이오드(23) 및 (24)을 통하여 제1전압원에 접속한다.
펄스(f')의 발생에 있어 트랜지스터(21)은 도통하여, 그 콜렉터-에미터 전류는 두 개의 다이오드(23) 및 (24)중 하나 양단의 전압과 저항(22)의 값의 몫에 따라 정하여진다.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7)의 출력은 펄스(F')의 발생시 전압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저 오음성(low-ohmic)이다. 펄스(F')가 그 하강원부에서 종료한후, 콘덴서(20)양단의 전압은 트랜지슨터(21)이 포화상태로 될때까지, 트랜지스터(21)의 콜렉터-에미터 전류에 따라 결과적으로 또 콜렉터 에미터 전압에 기인하여 직선성으로 감소한다. 그 경우 콘덴서(20)의 전압은 다시 그것의 원래의 값에 도달하게 된다. 콘덴서(20)의 단자전압이 감소하는 기간은
Figure kpo00001
에 따라 정하여지고, 여기서 Vc는 펄스(f')가 발생하고 있는 동안의 콘덴서 전압이고 I는 도통상태에 있는 트랜지스터(21)의 콜렉터-에미터전류이며, C는 콘덴서(20)의 캐패시턴스 값이다.
콘덴서(20)의 이단자 전압감소기간은 전술한 제2기간에 대응한다. 이 단자 전압감소기간후에 제어가능전류원(21)내지 (25)는 다음의 펄스(F')에 따라 콜렉터 전압이 다시 증가하고, 따라서 트랜지스터(21)이 포화상태로 부터 벗어날때까지 불작동상태로 된다.
제1A도g는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콘덴서(20)의 단자전압(g')의 변화를 표시한다.
이 콘덴서(20)의 단자전압(g')는 정합저항(26)을 통하여 제어가능 결합회로(2 7)의 입력단자(47)에 공급한다. 제어가능결합회로(27)로서 작동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경로를 통하여, 콘덴서 전압 g'이 부방향으로 증가하면 그것으 크기가 감소되던가, 또는 이와 역의 관계를 표시하는 신호임피던스가 실현된다. 따라서 가청음 어택부의 발생시에는 신호결합작용은 급격히 최저 레벨까지 감소하고 확성기(28) 및 (29)에서의 화신호 L+R의 모노포닉 재생으로부터 스테레오 재생으로으 급격한 전환이 이루어지며, 좌측음향신호 L은 확성기(28)을 통하여재생되며, 우측음향신호 R는 확성기(29)를 통하여 재생된다 상기 과도적인 감소후, 신호결합작용은 제1기간 즉 펄스 f'의 펄스지속 기간동안은 이 최저레벨에 유지되며, 제2기간 즉
Figure kpo00002
동안 증가하여 스테레오 재생에서 원래의 모노포닉 재생으로 서서히 전환된다. 실제로는 수신신호의 신호대잡음비에 따라서 스테레오재생의 전지속시간을 제어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같이하여, 수신의 질의 향상 및 저하시에 각각 완전한 스테레오 재생 및 모노포닉 재생으로 서서히 전환하는 것이 가능케된다.
이러한 목적상, 수신신호의 신호대 잡음비를 예컨대, FM복조기 3에서 측정하고, 제어신호에 변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신호대 잡음비가 증가한 경우에는 이 제어신호에 따라 조정가능저항 19의 값을 증가시켜서, 각 어택부당 스테레오 재생의 지속시간의 연장하고/하거나 기준전압원(44)의 전압이 감소하므로, 스테레오 재생으로의 전환을 일층 빈번하게 시작하던가(전환회수를 증가)또는 이와 역의 동작방식으로 할 수 가 있다. (전환 회수를 감소), 또, 어느 한계주파수 이하의 신호를 가급적 연속적 스테레오 방식으로 재생하므로써 가급적 방향성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하고, 또한 상기 한계주파수 이상의 신호에 대해선만 잡음저감회로(40)에 따라 가급적 잡음을 저감하도록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것은 콘덴서(48) 및 (49)에 의해서 달성되고 이들 콘덴서는 출력단자 5 및 6을 통하여 스테레오레코더 4의 내부 저항과 함께 RC소자를 구성하고, 그 RC시정수에 따라 상기 한계주파수가 결정된다. 구체적예로서 진폭검파기 8과 대수변환기9와 전압비교회로(14)에 TBA 221형의 연산증폭기를 설치하고,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 7)에는 HEF4528형의 집적회로를 설치하였다. 미분회로(12, 13)의 시정수는 약 2.7 m초로하고, 조정가능 RC소자(18, 19)의 시정수는 약 220m초 이하로 하였다. 이 RC소자(18, 19)의 시정수를 40m초로 하고, 조정가능 RC소자(18, 19)의 시정수는 약 220 m초 이하로 하였다. 이 RC소자(18, 19)의 시정수를 40m초(제1시간의 길이)에 조정한 경우에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트랜지스터(21)은 BC107형을 사용하여 다이오드 (23) 및 (25)의 값은 각각 1K 5Ω 및 47KΩ로 하며, 제2기간의 길이는 약 25m초로 하였다. 제2도는 전술한 입력단자(10) 및 출력단자(11)를 갖는 대수변환기(9)의 실시예를 표시한 것이다. 본예의 대수변환기(9)는 연산증폭기(30)을 갖추고 있는데, 그것의 비반전입력단자는 접지하고 아울러 반전입력단자는 저항(31)을 통하여 입력단자(10)에 접속하며 또한 트랜지스터(33)의 콜렉터에 접속한다. 트랜지스터(33)의 에미터는 저항(35)를 통하여 연산증폭기(30)의 출력단자에 접속하고, 또한 출력단자(11)에 접속한다. 트랜지스터(33)의 베이스는 접지하고 또한 콜렉터는 콜렉터저항(34)를 통하여 전원에 접속한다. 연산증폭기(30)의 출력단자는 보호다이오드(32)를 통하여 그것의 반전입력단자에 결합한다. 입력단자(10)에서의 부의 입력전압에 대하여 보호다이오드 (32)는 트랜지스터(330을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므로 과대한 전류의 흐름에 의해 이 트랜지스터(33)을 손상하는 것이 방지된다. 저항(35)는 연산증폭기(30)의 동작을 안정화하도록 작동한다. 연산증폭기(30)은 저항(31)과 함께 전압제어형 전류원으로서 작동하는데, 그것의 출력전류 I는 입력전압 Vi와 저항(31)의 저항값 R과의 몫 즉 Vi/R에 따라 정하여진다. 이 출력전류 1는 트랜지스터(33)의 콜렉터-에미터 경로를 흘러, 베이스-에미터전압 Vbe를 발생한다.이들간의 관계는 전술한바와같이 대수관계이며,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로서 표시할 수 있는데, 여기에 VT및 IO은 정수이다. 통상의 주위온도에서 VT는 약 26mV이며, IO는 트랜지스터(33)의 포화전류값과 동일하다. 입력전압 Vi가 계수 e만큼 증가한 경우에는, 전류 I도 계수 e만큼 증가하고 또한 전압 Vbe는 26mV로 변화한다. 출력전압은 에미터-베이스 전압 Veb와 동일하므로, 입력전압 Vi의 이같은 증가에 따라 출력단자 (11)에서 출력전압은 26mv로 감소된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트랜지스터(33)은 BC 107형을 사용하고, 연산증폭기(30)은 TBA(221)형을 사용하고, 다이오드(32)는 BAW 62형을 사용한다. 그리고 저항(3 1, 34) 및 (35)의 값은 각각 27KΩ, 150KΩ 및 33KΩ로 하였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잡음저감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제 2FM수신기를 표시하고 제3도에서 제1도의 FM수신기의 요소에 대응하는 요소는 동일번호로 표시하였다. 도시한 FM수신기는 스테레오 레코더(4')를 갖고, 이 스테레오레코더(4')는 출력단자(5')에 스테레오 신호(L +R)를 공급하고 또한 출력단자(6')에 스테레오신호의 차신호(L-R)를 공급한다. 출력단자(5')는 잡읍저감회로(40)의 제어입력단자(41)을 통하여 가산회로(52) 및 감산회로(53)에 결합한다. 또 출력단자(6)은 제어가능결합회로를 구성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27)을 통하여 가산회로(52) 및 감산회로(53)에 결합한다. 이들의 가산 및 감산회로에서, 화신호(L+R) 및 차신호(L-R)스피커(28)의 차가 결정되고, 그결과 생긴 좌측신호 2L및 우측신호 2R을 증폭기(15) 및 (16)을 통하여 증폭한후 스피커(28) 및 (29 )을 통하여 각각 재생할 수가 있다. 어택부가 존재치않는 경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2 7)의 소스 드레인간의 신호임피던스는 최대로됨으로, 차신호(L-R)으 통과는 저지되고 모노포닉 재생이 행하여져, 화신호(L+R)가 양방의 스피커(28) 및 (29)를 통하여 재생된다. 어택부가 전술한 방식으로 검출된 경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27)의 소스 및 드레인간의 신호 임피던스는 과도적으로 최소로 되므로, 가산회로(52)에서는 화신호(L+ R)에 차신호(L-R)가 가산되고, 또한 감산회로(53)에서는 화신호(L+R)에서 차신호( L-R)가 감산되며, 그결과 스테레오재생이 행하여진다. 또 전기 신호임피던스를 제1도의 잡음저감회로(40)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변겨시키므로써, 이에 대응한 스테레오 재생 모노포닉 재생간의 전환을 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스테레오 신호의 잡음저감에 있어 제어이력단자(41), 제1(42) 및 제2(43)출력단자, 아울러 이들 두개의 출력단자에 제어가능한 신호 결합작용을 행하는 제어가능 결합회로(27)를 갖춘 스테레오 신호용 잡음 저감회로(40)에서, 상기 제어 이력단자(41)을 진폭검파기를 통하여 미분회로(12, 13)에 결합하고 상기 미분회로를 제어신호 성형회로(46)을 통해 상기 제어 가능 결합회로(27)의 제어입력단자(47)에 결합하여 상기 진폭검파기(8)의 출력의 진폭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신호 결합작용이 최소로 되게하고, 상기 진폭의 증가가 종료한후 상기 신호 결합작용을 자동적으로 최대로 되게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용 잡음 저감회로.
KR1019780003485A 1978-11-18 1978-11-18 스테레오 신호용 잡음 저감회로 KR830000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3485A KR830000302B1 (ko) 1978-11-18 1978-11-18 스테레오 신호용 잡음 저감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3485A KR830000302B1 (ko) 1978-11-18 1978-11-18 스테레오 신호용 잡음 저감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02B1 true KR830000302B1 (ko) 1983-02-28
KR830000302A KR830000302A (ko) 1983-02-28

Family

ID=1920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80003485A KR830000302B1 (ko) 1978-11-18 1978-11-18 스테레오 신호용 잡음 저감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3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493B1 (ko) * 1991-09-27 1993-07-16 장관순 탭핑머시인겸 드릴링머시인의 자동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02A (ko) 198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0585A (en) Hearing aid
GB2074408A (en) Radio receiving and gain control system
US4648126A (en) Noise detector
US4837824A (en) Stereophonic image widening circuit
JPS633520B2 (ko)
CA2006190A1 (en) Control device for a hand-free alternate operating telephone set
US4074075A (en) Circuit for demodulating a stereo signal
KR830000302B1 (ko) 스테레오 신호용 잡음 저감회로
US4620315A (en) Automatic frequency control circuit in a stereo FM radio receiver
JPH0744996A (ja) ノイズ低減回路
JP2708153B2 (ja) 受信機
US5043676A (en) Automatic level control circuit
JP3181377B2 (ja) ラジオ受信機のマルチパス歪軽減回路
JPH0354443Y2 (ko)
JPS6214763Y2 (ko)
JP2522936B2 (ja) 自動ラウドネス制御回路
JPS626728Y2 (ko)
JPS5816256Y2 (ja) 信号圧縮伸長回路の検波回路
JP3325398B2 (ja) 受信回路
JPS5832361Y2 (ja) Fmステレオ受信回路
JPS5827372Y2 (ja) ステレオ式テ−プレコ−ダ−のalc回路
JPS5938763Y2 (ja) ミュ−ティング回路
JPS6218981Y2 (ko)
JPS61262324A (ja) Fm受信機
JPS626748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