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293Y1 - 기관 점화시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기관 점화시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293Y1
KR830000293Y1 KR2019790000309U KR790000309U KR830000293Y1 KR 830000293 Y1 KR830000293 Y1 KR 830000293Y1 KR 2019790000309 U KR2019790000309 U KR 2019790000309U KR 790000309 U KR790000309 U KR 790000309U KR 830000293 Y1 KR830000293 Y1 KR 830000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negative pressure
diaphragm
ignition timing
contac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790000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요시 오오니시
도시유끼 사꾸라이
시게미 야마모도
Original Assignee
진도 사다가쓰
미쓰비시전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도 사다가쓰, 미쓰비시전기(주) filed Critical 진도 사다가쓰
Priority to KR2019790000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2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0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관 점화시기 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장치에 의해 얻어진 진각(進角) 특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다른 진각특성도이다.
본 고안은 기관점화시기를 기관흡기부압(機關吸氣負壓)에 따라 제어하는 기관점화시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분야의 업계에 있어서는 예컨대, 기관출력을 저하시킴이 없이 배기가스 정화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여러가지의 점화시기 제어가 요구되어 왔는데, 그 중 하나로서 제1도에서와 같이 계단상의 진각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위에서와 같은 진각특성을 가진 여러가지의 진각특성을 얻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특히 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립 후에 진각특성의 미세조성(微細調整)을 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하, 제2도에 나타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술하면 1은 기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캠에 의하여 개폐되는 단속기가 취부되고, 또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회동대판에 연결핀을 통하여 일단이 연결된 링크(link), 2와 3은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금구(4)를 통해 고정된 제1과 제2케이스, 5는 제1 및 제2케이스(2)(3)에 의해 외주단(外周端)이 협지되어 중앙부가 설치판(6)을 통하여 링크(1)에 고정된 단일의 다이어프램(diaphram), 7은 이 다이어프램(5)과 제2케이스(3)에 의해 형성된 부압실, 8은 다이어프램(5)의 부압실(7)측에 고정된 접촉판, 9는 제2케이스(3)의 저부와 고착된 통부(筒部)로서 그 내주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10은 통부(9)의 암나사에 나합되는 숫나사가 형성된 조정나사이며, 그 일단에는 접촉판(8)에 접촉하는 제1스톱퍼부(10a)가, 또 타단에는 조정나사(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10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11은 조정나사(10)의 숫나사에 나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캡 너트(cap nut)로서, 그 단부(11a)는 통부(9)의 받이부(9a)에 실 와서(seal washer)(12)를 통해 큰 힘으로 접촉하게 된다.
13은 조정나사(10)의 일단측에 제1스톱퍼(10a)에 계합부(13a)가 계합되어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스프링 받이이며, 접촉판(8)에 접촉할 수 있는 제2스톱퍼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14는 스프링받이(13)와 접촉판(8)간에 가설된 제1스프링, 15는 스프링받이(13)와 제2케이스(3)간에 가설된 제2스프링으로서 제1스프링(14)의 초기하중보다는 크게 설정되어 있다.
16은 제1케이스(3)에 고착도어 기관흡기부압을 부압실(7)에 도입하기 위한 니플이다.
다음으로 이 실시예의 동작을 제1도를 참조하여 상술하면, 먼저 기관흡기부압 P가 부압실(7)에 도입되어 흡기부압치가 0(零)에서 P1의 범위에 있어서는 제1, 제2스프링(14)(15)의 스프링력에 의해 다이어프램(5)는 이동되지 않고 제2도의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흡기부압이 P1을 넘으면 다이어프램(5)에 작용하는 힘은 제1스프링(14)을 압축하기 시작하게 되는데, 이 제1스프링(14)의 압축은 흡기부압이 P2에 도달하여 그 다이어프램(5)의 접촉판(8)이 스프링받이(13)의 제2스톱퍼부(13b)에 도달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때, 제1스프링(14)의 스프링 정수(定數)에 의해 제1도와 같이 흡기부압에 비례한 진각특성(a)이 얻어지며, 흡기부압이 P2일 때에는 진각도는 θ1으로 된다.
흡기부압이 P2에 달하면 접촉판(8)이 스프링받이(13)의 제2스톱퍼(13b)에 접촉되어 제1이동거리 L은 0으로 된다.
그 다음으로 흡기부압이 P2를 넘어 P3의 범위에 있어서는 다이어프램(5)에 작용하는 힘이 제2스프링(15)의 초기하중보다 작기 때문에 다이어프램(5)은 이동하지 않고 그 상태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흡기부압이 P3까지는 일정한 진각도 θ1이 계속된다.
흡기부압이 P를 넘어 다이어프램(5)에 작용하는 힘이 제2스프링(15)을 압축하기 시작하면 접촉판(8)이 스프링받이(13)의 제2스톱퍼부(13b)에 접촉된 상태로 다이어프램(5)은 다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스프링받이(13)의 계합부(13a)는 조정나사(10)의 제1스톱퍼부(10a)에서 떨어져 나가게 된다.
이 다이어프램(5)의 이동은 흡기부압이 P4에 도달하여 접촉판(8)이 조정나사(10)의 제1스톱퍼(10a)에 접촉할 때까지 계속된다.
이때 제2스프링(15)의 스프링 정수에 의해 제1도와 같이 흡기부압에 비례한 진각특성 (b)가 얻어지며, 흡기부압이 P일 때에는 직각도는 θ4로 된다. 즉, 흡기부압이 P4에 도달하면 접촉판(8)이 제1스톱퍼부(10a)에 접촉되므로 제2이동거리 L2는 0으로 된다.
흡기부압이 P4이상으로 되면 일정한 진각도(최대진각도) θ2로 되며, 그 이상의 진각은 정지하게 된다.
한편, 흡기부압이 P4에서 0으로 저하하면 위에서 언급한 동작과는 역순서로 동작하여 제1도의 특성으로 된다.
또, 제3도에서와 같이 같이 진각특성은 제2스프링(15)의 초기하중을 소망치로 설정하고 접촉판(8)이 스프링받이(13)의 제2스톱퍼부(13b)에 접촉함과 동시에, 제2스프링(15)이 압축되도록 한 경우에 얻어지는 절곡선상(折曲線狀)의 특성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 장치에 의하면 제1도, 제3도에 표시한 진각특성이 얻어지며, 그 결과 기관의 중부하시, 즉 흡기부압 P1에서 P2의 범위에서도 적절한 진각도가 얻어져 기관을 항상 적절한 시기에서 착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관의 노킹(knocking)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 진각특성에 있어서의 진각도 θ1와 θ2는 조정나사(10)에 의해 제1 , 제2이동거리 L1과 L2를 변화시키면 조정가능하며, 또 진각특성(a)(b)은 제1, 제2스프링(14)(15)의 스프링 정수를 적당하게 설정하면 소망의 특성이 얻어진다.
여기서, 본 고안의 실시예 장치의 다른 용도를 설명하기 위해서 기관의 아이들(idle) 회전시에 얻어지는 흡기부압을 P2에 설정하여 놓으면 기관의 경부하시에 있어서 스로틀(throttle)을 열면 이에 따라 흡기부압치는 커지고 기관점화시기는 진각하게 되나 그 후 흡기부압은 P2보다도 저하되므로 다이어프램(5)은 화살표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이관점화시기는 특성(a)에 따라 지각(遲角)하게 되며, 경부하시에 있어서 연소시간의 단축에 대응시킬 수가 있어 기관의 출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때 특성 (a)의 경사를 급격하게 하면 접점기관의 출력은 향상된다.
그런데 위에서 언급한 진각특성은 각종 부품의 칫수오차, 조립오차 등의 제작오차에 의해 장치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 필히 소망의 특성으로 된다고 할 수 없으므로 조립후에 조정할 필요가 있다.
즉, 흡기부압 P1,P2,P3및 P4에 대한 진각도 θ1과 θ2는 조립후 각 장치간에 어느 정도의 불균형이 발생되나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진각 θ1이 제1이동거리 L1에 대응하며, 또 진각도 θ2는 제2이동거리 L2에 대응하고 또 제2이동거리 L2를 변화시키면 필연적으로 제1이동거리 L1도 결정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진각도 θ1과 θ2의 상대관계(차)가 기관에 의해 미리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진각도 θ2를 소망의 값으로 설정하는 조정나사(10)를 통부(9)에 대하여 회전부(10b)를 통해 우측 또는 좌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이동거리 L1을 조정하면 진각도 θ1과 θ2를 동시에 소망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것은 조정나사(10)에 의해 미세 조정할 수 있다.
또, 흡기부압 P3에 대한 진극특성(b)이 올라가는 시기의 조정은 제2스프링(15)의 초기하중을 조절하는 제2스프링(15)의 제2케이스(3)의 스프링받이를 가압시켜 제2스프링(15)의 세트(set)의 길이를 변화시키면 된다.
이상으로 조정작업이 완료된 다음 조정나사(10)의 고정과 부압실(7)의 기밀(氣密)을 보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예에 있어서는 조정나사(10)의 노출부를 접착제 등으로 완전하게 피복하였으나 이들 종류의 접착제는 아무래도 기밀에 대한 신뢰성이 결여되어 있고, 또 시간경과에 의해 기밀성이 불량하였다.
그러나, 이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진각도 θ1과 θ2를 소망의 값으로 조정한 다음 조정나사(10)에 실와서(12)를 삽입하고 그 다음 조정나사(10)의 숫나사에 캡너트(11)를 나합시켜 이 캡너트(11)의 단부(11a)에서도 실와서(12)를 통부(9)의 받이부(9)에 대하여 큰 힘으로 압압하여 접촉시키면 조정나사(10)의 숫나사와 통부(9) 및 캡너트(11)의 각 암나사의 간극을 통하여 부압실(7)과 대기가 연통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기밀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캡너트 (11)은 조정나사(10)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도 있으므로 신규의 회전정지용 부품이 필요없게 된다.
또, 이 고안의 실시예가 다른 특징으로 하는 점은 장치의 조립작업이 간단하며 효율이 좋게 된다는 것이다.
즉, 조립시에 우선 제2케이스(3)와 스프링(13)간에 제2스프링(15)을 협지시켜 놓고 조정나사(10)를 도면과 같이 스프링받이(13)의 계합부(13a)공에 삽입시키고, 그 계합부(13a)에 조정나사(10)의 제2스톱퍼부(13a)를 계합시킨 상태에서 조정나사(10)를 통부(9)의 숫나사에 계합시킨다.
이때 조정나사(10)는 제2스톱퍼부(10a)와 접촉판(8)과의 제2이동거리가 대략 L2로 되도록 조여 놓는다.
이와 같이 하면 제2케이스(3), 통부(9), 조정나사(10), 스프링받이(13) 및 제2스프링(15)은 조립된 하나의 구성단위로서 취급될 수 있고, 운송 등에도 편리하며, 그 다음의 조립작업은 접촉판(8)과 스프링받이(3)간에 제1스프링(14)을 협지시킨 상태에서 제2케이스(3)를 제1케이스(2)의 외주단부에 다이어프램(5)를 통하여 고정시키면 완료되며, 이상과 같이 조립작업은 간단하며 효율이 좋게 된다.
조립후의 조정작업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이상과 같이 이 고안에 의하면 계단상 또는 절곡선상의 진각특성을 쉽게 얻을 수가 있고, 이 특성의 일정한 진각도 또는 절곡진각도와 최대진각도의 조정이 하나의 조정나사에 의해 동시에 되는 높은 정밀도의 진각특성이 얻어지게 된다.

Claims (1)

  1. 기관의 흡기부압에 따라 이동되어 기관점화시기를 제어하는 다이어프램(5), 이 다이어프램(5)과 케이스(2)(3)에 의해 형성된 부압실(7), 위 다이어프램(5)의 부압실(7)측에 고정된 접촉판(8), 위 부압실(7)내에 설치되고 위 접촉판(8)에 제1이동거리 L1을 통하여 대향된 제2스톱퍼부(13b)가 형성된 스프링받이(13), 위 케이스(2)(3)에 고정된 통부(9), 이 통부(9)에 이동 가능하게 나합되어 접촉판(8)에 제1이동거리 L1보다 큰 제2이동거리 L2를 통하여 대향되고 또 스프링받이(13)의 다이어프램(5) 측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1스톱퍼부(10a)가 형성된 조절나사(10), 접촉판(8)과 스프링받이(13)간에 가설된 제1스프링(14) 및 스프링받이(13)와 케이스(2)(3)간에 가설된 제2스프링(15) 등을 구비한 기관점화시기 제어장치.
KR2019790000309U 1979-01-20 1979-01-20 기관 점화시기 제어장치 KR830000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790000309U KR830000293Y1 (ko) 1979-01-20 1979-01-20 기관 점화시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790000309U KR830000293Y1 (ko) 1979-01-20 1979-01-20 기관 점화시기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293Y1 true KR830000293Y1 (ko) 1983-03-02

Family

ID=19210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790000309U KR830000293Y1 (ko) 1979-01-20 1979-01-20 기관 점화시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2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3734A1 (en) Scroll compressor
US4284261A (en) Stroke adjustment for vacuum motor
KR830000293Y1 (ko) 기관 점화시기 제어장치
KR930002779B1 (ko) 다이어 프램장치
JPH08246992A (ja) 筒内噴射型インジェクタの取り付け構造
IES960247A2 (en) A carburetor adjustment screw apparatus
US4478107A (en) Suction cap for an automatic gearbox
JP2589795B2 (ja) 調整可能なロッド端部
CA1086584A (en) Two position vacuum operated throttle kicker
JPS5830127Y2 (ja) バキュ−ム進角装置
CN218494291U (zh) 气体调压阀控制机构
US4320693A (en) Adjustment for carburetor control devices
US3847063A (en) Vacuum operable units for ignition distributors
JPH0342276Y2 (ko)
JPS5817927Y2 (ja) 負圧アクチユエ−タ
JPS608151Y2 (ja) 機関点火時期制御装置
JPS5830128Y2 (ja) バキュ−ム進角装置
US3924586A (en) Vacuum control assembly
KR960000031Y1 (ko) 스크롤 압축기의 실링장치
JPH031634Y2 (ko)
CA1130668A (en) Control motor for carburetors
KR100263743B1 (ko) 엔진 회전수에 따른 가변 흡기 구조
US4658784A (en) Mechanical injection pump governor
KR100204883B1 (ko) 내연기관의 밸브간극 조정장치
KR970002265Y1 (ko) 연소실 체적의 가변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