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119B1 - 단이 부착된 기와의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단이 부착된 기와의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119B1
KR830000119B1 KR1019780000276A KR780000276A KR830000119B1 KR 830000119 B1 KR830000119 B1 KR 830000119B1 KR 1019780000276 A KR1019780000276 A KR 1019780000276A KR 780000276 A KR780000276 A KR 780000276A KR 830000119 B1 KR830000119 B1 KR 830000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tile
piece
raw materi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80000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119A (ko
Inventor
나오미찌 야노
가스히로 시노하라
조오에 사도오
Original Assignee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히로 게이 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히로 게이 다로오 filed Critical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780000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119A/ko
Publication of KR830000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9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profiling or strickling the material in ope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단이 부착된 기와의 성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성형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동상의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장치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도에 따라서 구성요소를 간략화하여 표시한 정면도.
제4도는 하형(下型) 및 이동호퍼 사면도.
제5도는 제6도 V-V선 단면도.
제6도 내지 제8도는 기와 성형시의 각 공정을 표시하는 하형 이동호퍼, 상형(上型)틀체의 동작설명도.
제9도는 단이 부착된 기와의 사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중앙 종단면도.
본 발명은 건식법에 의하여 단이 부착된 기와를 성형하고 기와본체와 삽입부와를 동일한 두께 혹은 각각 그것을 임의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기와 본체와 삽입부와의 연속부의 내면을 테이퍼면으로 하여서 접속부를 보강하는 단(段)이 부착된 기와의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종래 시멘트기와는 시멘트와 모래를 중량비로서 1대 3의 비율로서 혼합한 것을 원료로 하여 여기에 물을 가하고, 유동성 있는 몰탈로 하고, 제와기에 의하여 형판위에 프레스하여 성형품을 꺼내서 양생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시멘트기와는 중량이 크며, 단열성이 충분하지 않고, 양생시에 균열이 발생되기 쉬운 점이 있다.
출원인(또는 양수인)은 이전에 시멘트에 대하여 경석(輕石), 발포규사등의 무기질 발포골재를 혼합한 것을 원료로 하는 경량기와를 발명하였다.
이 기와는 시멘트와 무기질 발포골재를 혼합한 원료에 대하여 중량비로서 3-15% 정도의 소량의 물을 가하여 원료에 습기를 주며, 이것을 형속에 공급하고, 200-600kg/㎠의 압력으로 프레스하여 성형하고 양생시키는 것이다.
이 건식법에 의하여 제조한 시멘트기와는 원료의 무기질발포골재가 다공상태인채로 잔치되어 있으므로 비중이 적고, 경량이며, 단열성이 풍부하고 또한 양생시에 균열의 발생이 적은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은 건식법으로서 제조되는 상기한 기와의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제9도, 제10도와 같이 기와본체(2)의 1단에서 삽입부(4)가 일단 내려가서 돌출되어 있는 단이 부착된 기와를 삽입부(4) 및 기와본체(2)의 양쪽을 대략 동일한 두께로 형성하는 장치이다.
단이 부착된 기와는 삽입부(4)를 인접된 기와본체(2)의 개구단에 끼워서 제10도와 같이 1렬로 연결할 수가 있어서 지붕의 높은 곳이나 들보에 사용되는 바, 도면과 같이 아아치형뿐만 아니라 L형, V형, 평판 형들이 있으며, 본 발명의 성형장치는 각종의 단이 부착된 기와의 성형에 사용된다.
이하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의 장치는 제9도 제10도의 아아치형 본체(2)와 본체의 1단에서 단상(段狀)으로 연장한 삽입부(4)를 포함한 단이 부착된 기와를 성형하는 것으로서 베드(6) 위에 하형(下型)(8)을 배비하고, 기둥(10)의 상부에 설치한 상판(12)에 유압실린더(14)를 배비하고 상형(上型)을 승강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상형(16)은 기와의 삽입부(4) 및 기와본체(2)의 곡면형상에 합치시킨 아아치모양의 성형면(18)(20)으로 구성되며, 2개의 성형면(18)(20)의 접속부는 테이퍼면(22)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형(8)은 제9도, 제10도의 2점쇄선(24)으로서 표시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2개로 분할되어 기와본체(2)의 일부를 포함하여 삽입부(4)를 성형하는 삽입부형들편(26)과 기와본체(2)의 잔부를 설형하는 본체형돌편(28)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제1도 및 제3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삽입부형돌편(26)은 베드(6)에 고정되어 있고, 본체형돌편(28)은 베드(6)에 설치한 유압실린더(30)의 피스톤 선단에 부착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하였다.
각 기둥(10)에는 전후 양방향으로 돌출하는 2개의 브라켓트(32)(34)를 부착한 보올스터(36)가 접동가능하게 감입하여 있으며 보올스터(36)를 연결하는 연결판(38)(38)과 베드(6)에 부착한 유압실린더(40)의 피스톤선단의 연결판(42)을 컨넥팅 로드(44)로서 연결하며, 유압실린더(40)의 작용으로서 2개의 브라켓트(32) (34)은 동시에 승강된다.
삽입부형돌편(26)의 브라켓트(32)의 상부에는 기와원료의 분체를 투입하는 원료투입구(48) 및 원료투입구(48)의 하부에 대향하여 예이프론(50)이 설치되어 원료의 이동 호퍼(52)가 그 에이프론(50)에 감입되어 있다.
2개의 브라켓트(32)(34)에 걸쳐서 2줄의 레일(54)(54)이 평행하게 되며, 이동호퍼(52)는 측면에 돌설한 처륜(56)이 레일(54)에 지지되어 브라켓트(32) 위에 유압실린더등의 왕복구동장치(58)를 설치하여 이동호퍼(52)에 연결하고 있으며, 이동호퍼(52)를 원료투입구(48)와 하형(8)과의 사이를 왕복 구동시키는 것이다.
이동호퍼(52)는 제3도,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로 개구한 4각형의 책상의 내부 및 전후 양단에 삽입부형돌편(26)의 형구(型溝)(60)의 윤곽에 맞추어서 원료의 퇴적 두께만큼 적게 형성한 스크레이퍼(62)를 복수개 갖추고, 중앙의 종방향으로 부날판(64)을 설치하고, 선단에는 잉여원료를 긁어 떨어뜨리는 소취판(66)을 승강가능하게 설이함과 아울러 그 소취판(66)에 연결하여 소취판(66)을 적시에 하강시키는 전자식등의 구동장치(68)를 설치하고 있다. 다른쪽의 브라켓트(34) 위에는 성형된 기와의 회수장치(70)를 왕복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그 회수장치(70)는 성형된 기와의 내면형상의 합치시킨 윤곽의 중공의 진공상자(72)의 측면에 흡인구(74)를 개설한 것이며, 측면에 돌설된 차륜(76)을 레일(54) 위에 재치하고 유압실린더등의 구동장치(78)를 진공상자(72)에 연결하여 하형(8)과 브라켓트(34)의 사이를 왕복시킨다. 하형(8)은 제3도, 제4도,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면은 수직이며, 프레임(46)을 상하동 가능하게 끼우고, 내측에는 기와의 외형상에 합치시켜서 형구를 요설하고 있다.
삽입부형돌편(26)은 기와의 삽입부(4)에 맞추어놓은 삽입부 형구부(84) 및 그 삽입부형구부(84)의 단부에 기와본체(2)에 합치시킨 짧은 본체형구부(86)를 형성하고 있다.
본체형구부(28)는 기와본체(2)에 합치시킨 형구(80)를 요설하고 있다. 프레임(46)은 양단의 벽면에 이동 호퍼(52)의 소취판(62)의 윤곽에 일치하는 절입구(88 )(90)가 요설되어 있으며, 이동 호퍼(52)는 하형(8) 및 프레임(46)를 통과할 수가 있다.
이와같은 것으로 원료공급시 하형(8)은 제3도, 제4도와 같이 본체형 돌편(28)이 상승하여 형구(80)의 바닥은 삽입부형돌편(26)의 삽입부형구부(84)의 바닥과 동일한 높이에 있다. 따라서 본체형돌편(28)의 상연(94)은 삽입부형돌편(26)의 상연(96)보다도 삽입부(4)의 단처의 깊이만큼 상승하고 있다.
또 프레임(46)은 상승되고 있으며, 프레임(46)의 절입구(88)(90)의 바닥 및 상연(98)은 삽입부형돌편(26)의 삽입부형구부(84)의 바닥 및 본체형돌편(28)의 상연(94)보다도 원료퇴적 두께(100)만큼 높은 위치에 있다. 이동 호퍼(52)는 원료투입구(48)의 바로밑에 있어서 에이프론(50)과 각 소취판(62)과의 사이에 공간으로 원료분말을 충만시킨다. 원료는 시멘트와 경석, 발포규사등의 무기질 발포골재를 혼합한 분말에 3-15중량% 정도의 물을 산포하여 습기를 부여한 정도의 분상물인 것이다.
다음에 구동장치(58)에 의하여 이동호퍼(52)는 제6도와 같이 소취판(66)을 상승시킨 상태로서 프레임(46)의 절입구(88)를 건너뛰어 전진하고, 스크레이퍼(62)(62)의 사이에 충만하고 있었던 원료를 하형(8)의 형구(60)(80)로 공급한다.
이동 호퍼(52)는 레일(54)에 지지되면서 이동하므로 스크레이퍼(62)의 하단은 프레임(46)의 절입구(88)에 접하며, 또 형구(60)(80)에 대하여서는 균일한 높이만큼 상승하고 있으며, 제5도와 같이 형구(80)의 표면 및 하형(8)의 상연(94)(96)에 소정의 두께로 원료를 퇴적시킨다.
이동 호퍼(52)가 하형(8)을 통과하고 프레임(46)의 다른쪽의 절입구(90) 혹은 또다시 그 전방의 에이프론(102)까지 전진하고, 형구(60)(80)의 공간으로 원료를 공급한후, 이어서 구동장치(58)는 이동 호퍼(52)를 후퇴시킨다.
이동 호퍼(52)의 후퇴에 의하여 본체형 돌편(28)의 형구에 공급되고 있었던 원료는 스크레이퍼(62)에 의하여 긁어 떨어져서 스크레이퍼(62)의 윤곽을 형구(60)(80)과의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두께(25-35mm)로서 원료를 형구(60)(80) 및 상연(94)(96) 위에 남게 한다.
또한 이동호퍼(52)의 선단이 본체형돌편(28)을 지나서 삽입부형 돌편(26)까지 후퇴하면 감지장치(도면 표시하지 아니함)에 의하여 소취판(66)의 구동장치(68)가 작동하고, 소취판(66)을 제7도와 같ㅇ 하강시키고 삽입부형돌편(26)의 상연(96)의 퇴적원료를 삽입부(4)의 단차(段差) 높이(82)만큼 긁어 떨어뜨리며, 2개의 형 삽입부형 본체돌편(26)(28)의 상연(96)(94)에 퇴적하는 원료의 두께를 동일하게 한다.
이동호퍼(52)는 원료투입구(48)의 바로 밑까지 후퇴하면 소취판(66)을 올려서 다음의 원료공급에 대기한다. 상형(16)이 원료의 퇴적하고 있는 하형(8)중으로 낙하되고 하형(8)의 형구(60)(80)에 퇴적하고 있는 원료를 압축한다.
상형(16)의 낙하와 거의 동시에 하형(8)에서는 본체형돌편(28)을 지지하고 있는 유압실린더(30)가 작동하여 본체형돌편(28)을 삽입부(4)의 단차높이(82)만큼 하강하고 상연(94) 및 형구(80)는 삽입부형 돌편(26)의 상연(96) 및 단부의 형성되어 있는 본체형구부(86)와 일치하고, 본체형구부(86)에 충만하고 있었던 원료는 일부가 본체형돌편(28)의 형구(80)로 무너져서 본체형구부(86)에서는 원료의 퇴직이 경사된다(제8조 참조).
상형(16)은 2개의 형구(60)(80) 및 본체 형구부(86)에 퇴적하고 있는 원료를 200-600kg/㎠의 높은 압력으로 원료의 발포골재의 다공성이 상실하지 않을 정도로 압축하고 수초간 압축을 지속한다.
다음에 프레임(46)을 지지하고 있는 유압실린더(40)가 작동하여 프레임(46)을 하형(8)의 상연(94)(96)보다도 약간 낮은 위치까지 내려놓은 후, 상형(16)을 원래위치까지 상승시킨다.
상형(16)이 하형(8)에서 이탈하면 압축되어 있던 기와 성형체는 원료중의 기포의 팽창에 의하여 형구(60)(80)에서 자연히 박리된다. 상형(16)의 상승후 브라켓트(34) 위의 구동장치(78)가 작동되어 진공상자(72)를 하형(8)중의 성형된 기와의 상부까지 밀어내서 진공상자(72)를 성형된 기와의 곡면에 끼워서 진공작용을 이르키게 한다.
성형된 기와는 진공상자의 흡입공 주위의 패드에 밀착시키므로, 다음에 구동장치(78)는 진공상자(72)에 성형된 기와가 밀착한 그대로 진공상자(72)를 잡아당겨 되돌리고, 하형(8)에서 회수하며, 유압실린더(40)는 재차 하강하여 브라켓트(32) (34)를 내리고, 성형된 기와를 수용대(92)의 위로 내려서 진공작용을 정지하고 성형된 기와를 수용대(92)에 재치하여 원래의 위치로까지 상승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무기질 발포골재와 시멘트를 원료로 단이 부착된 기와를 건식법에 의하여 성형할 수가 있다.
하형은 본체형돌편(28)을 사전에 기와의 삽입부의 단차만큼 높여서 원료를 공급하고, 이어서 본체형돌편(28)을 하강시켜서 프레스하므로 삽입부형돌편(26) 및 본체형돌편(28)의 형구(60)(80)로 대략 동일한 두께 혹은 본체형돌편(28)의 상승높이를 바꾸는 것에 의하여 임의의 두께로 원료를 퇴적시키고 변화가 풍부한 단이 부착된 기와를 성형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 삽입부형돌편(26)으로 삽입부 형구부(84)보다도 깊게 본체 형구부(86)를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강도가 약하여지기 쉬운 단이 부착된 기와의 단부에 원료를 증량할 수가 있어서 기와의 강도를 높일 수가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하형의 형구에 기와원료를 투입하고 상형을 하강시켜서 기와원료를 압축하고 단이 부착된 기와를 성형하는 장치에 있어서, 삽입부(4)와 기와본체(2)를 보유하는 단이 부착된 기와의 외형에 일치시킨 형구(60)(80)를 요설하고, 삽입부 형구부(84)의 개소에서 삽입부형돌편(26)과 본체형돌편(28)으로 분할하고 있는 하형(8)과 본체형돌편을 지지하여 상하동시키는 유압실린더(30)와 삽입부형돌편의 형구(60)에 대하여 원료 퇴적 두께(100)만큼 적은 소취판(66)을 선단에 갖추고 하형의 형구(60)(80)중에 출입가능하게 수평으로 지지된 이동호퍼(52)와 삽입부형돌편 및 본체형돌편의 외측에 상하동 가능하게 감입되어 이동호퍼의 스크레이퍼에 일치시켜서 전후벽에 절입구(88)(90)를 요설한 프레임(46)과 지지하여 전후동시키는 구동장치(58)와 하형의 상부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기와의 삽입부 및 기와본체의 내면형상에 일치시킨 성형면(18)(20)을 갖춘 상형(1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지으로 하는 단이 부착된 기와의 성형장치.
KR1019780000276A 1978-02-02 1978-02-02 단이 부착된 기와의 성형장치 KR830000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0276A KR830000119B1 (ko) 1978-02-02 1978-02-02 단이 부착된 기와의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0276A KR830000119B1 (ko) 1978-02-02 1978-02-02 단이 부착된 기와의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119A KR830000119A (ko) 1983-02-14
KR830000119B1 true KR830000119B1 (ko) 1983-02-14

Family

ID=19206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80000276A KR830000119B1 (ko) 1978-02-02 1978-02-02 단이 부착된 기와의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1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198B1 (ko) * 2002-03-07 2005-06-07 이춘오 건축용 패널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119A (ko) 198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2836A (en) Compaction device for concrete block molding machine
KR101697760B1 (ko)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KR101357912B1 (ko) 역암 재료의 슬래브를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US40949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decorative panels in relief
CN101130260A (zh) 一种大规格超薄瓷板的压制设备及其压制方法
CN103231432B (zh) 全自动抗震砌体成型机及其实现方法
US6911167B2 (en) Method for loading ceramic tile forming moulds, relative means for its implementation, and tiles obtained thereby
US3534439A (en) Molding apparatus
CN105216107A (zh) 一种砌块成型装置
CN113001733B (zh) 一种建筑废料回收用的砖块生产设备
KR830000119B1 (ko) 단이 부착된 기와의 성형장치
CN214026206U (zh) 一种用于制备复合透水砖的成型设备
KR101843148B1 (ko)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하는 금형 및 이 금형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의 제작방법
CN204109118U (zh) 一种保温砖压制机
US4150933A (en) Apparatus for molding roofing panels having a stepped portion
GB1599453A (en) Apparatus for moulding roofing panels having a stepped portion
CN111844416A (zh) 一种基于建筑施工的混凝土片加工堆叠一体化装置
CN110696154A (zh) 一种改性石膏砌块生产的工艺方法
CN216860087U (zh) 一种混凝土砌块生产用物料成型设备
CN219748401U (zh) 一种便于脱模的空心砖模具
CN218195848U (zh) 一种混凝土砌块成型机
CN220198021U (zh) 一种环保透水砖的节能成型装置
CN110714587B (zh) 一种环保地砖结构及其制备成型方法
CN212763986U (zh) 一种环形全自动生产线布料机抹平装置
EP032453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ones in a press, and press for manufacturing said sto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