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106Y1 - 이중 선회 기중기 - Google Patents

이중 선회 기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106Y1
KR830000106Y1 KR2019820000965U KR820000965U KR830000106Y1 KR 830000106 Y1 KR830000106 Y1 KR 830000106Y1 KR 2019820000965 U KR2019820000965 U KR 2019820000965U KR 820000965 U KR820000965 U KR 820000965U KR 830000106 Y1 KR830000106 Y1 KR 8300001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ball bearing
double
cranes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09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릭크 에곤
Original Assignee
오운트카 오렌스타인 운트 코펠아겐
알후레드 벨테
오토 로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운트카 오렌스타인 운트 코펠아겐, 알후레드 벨테, 오토 로렌즈 filed Critical 오운트카 오렌스타인 운트 코펠아겐
Priority to KR20198200009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1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1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1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4Slew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0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non-adjustable and non-inclinable jibs mounted solely for slewing movements
    • B66C23/027Pivot axis separated from column axi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중 선회 기중기
제1도는 본 고안인 이중 선회 기중기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인 이중 선회 기중기의 확대된 수직단면도.
제3도는 단일 지브(Jib) 또는 이중 지브 작업위치에 있는 기중기의 평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정지위치에 있는 이중 선회 기중기의 평면도.
제6도는 제2도와 유사하나 변형된 이중선회 기중기의 개략적인 수직단면도.
제7도는 제2도의 볼 베어링 회전체의 부분 확대단면도.
본 고안은 한개의 공통 수직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치되고 그 하부에는 수평축 주위를 선회할 수 있는 수평축 주위로 회전 가능한 두 개의 횡보를 가지는 이중 선회 기중기이며 이것(횡보)은 공통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치된 회전체에 설치되어 있고, 제1기중기의 운전실을 공통수직축에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제2 기중기의 운전실은 칼러아암으로서 만들어진 회전체에 견고히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간단한 단일의 구조로, 단일 또는 이중의 운전작업을 가능히게 하므로서 모든 원하는 작업을 할수 있는 동시에 이 경우에 특히 회전 및 전복 안전성이 있는 기중기의 위치가 경비 절감의 관점에서 단순화되어진다. 나가서도 선희바퀴와 회전용 베어링의 수도 경감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모든 원하는 작업방법에 대한 회전기동체가 단지 하나의 회전체만으로 만족되며 이것은 더욱 2개의 회전기동체에 의해 커플링 장치나 특수한 제동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또 공동축으로 회전시켜 사용할 때에는 전기적 및 유압식 2가지의 가동방법을 연결하는 것으로 족하며 이 것은 결코 어려운 문제가 아니다.
또 본 고안은 배와 단단히 결합된 기중기 기초는 하나의 톱니바퀴를 가지며 여기에 2개 기중기의 작은 톱니바퀴가 결합되어 있고, 또 2개의 회전 기동체의 모터를 동시에 작동 조정할 수가 있으므로, 이중잡업중에 있는 2개의 기중기를 동시에 정확하고 균일하게 선회되어질 수 있다.
또 본 고안의 이중선회 기중기의 경우에 볼베어링회전 결합을 거쳐서 회전가능한 칼러 아암이 배측면쪽의 기중기 기초에 연결되어 있어 설치시 공간이 절약되고 또 비용이 적게드는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역시 볼베어링 회전 결합을 거쳐서 제1 기중기가 배측면쪽 기중기 기초에 결합되어 있어 전술한 장점이 달성된다. 또 본 고안에 의하면 대단히 간단한 구조형태는 2개의 볼베어링회전 결합, 즉 단일구조로써 중간링을 사이에 두고 안쪽과 바깥링에 의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4열의 중간링이 배측면쪽 기중기 기초에 견고히 결합되어 있다는데 있다.
더욱 본 고안에서는 제1 기중기가 볼베어링회전 결합을 가지는 선회축과 동축이 안되게 중심밖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써 단일 작업에서의 기중기 작업범위는 증대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결론적으로 말하면, 단일 및 이중작업을 위한 선회 기중기의 모든 원하는 바의 작업방법에 작업밤위의 확대되는 실제작업에서 단일 작업에서 가능해지는 가능한 한 단순한 구조의 이중선회 기중기를 만들 수 있는 그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단일 작업시의 작업범위에 있어서 결합부와 직선 사이의 각의 크기를 도면에서 알수 있으며 그 횡보의 앞쪽끝이 가능한한 공통 수직 회전축과 결합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하여 2개의 기중기가 한개의 회전체마다 고착되어 있으며 회전체는 공통수직축에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고, 볼베어링 회전 결합을 거쳐서 적어도 한개의 회전체가 배측면쪽 기중기 기초에 결합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구조형태는 단일 운전시에 기중기의 작업영역을 더 큰 각도를 할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즉 단일 기중기에서의 방해각이 매우 작다. 다른 장점으로는 항해시와 같이 기중기가 정지상태에 있을때 기중기의 운전실은 조타수의 시야범위내에 있지 않게된다. 배중앙에 있는 조타수의 시야가 방해받지 않기 때문이다.
또 운전실 하부쪽에 있는 2개의 횡보의 수평축들은 볼베어링회전 결합으로 베어링 되어 있으므로 기중기 건조 높이가 낮아지게되며 기중기 설비의 중심이 낮게 위치된다. 이와 같이 2개의 기중기의 수평축들은 같은 높이로 위치하여 유용하게 된다.
단일 작업에서 더 넓은 구조형태에 따라 기중기의 적어도 한개의 횡보의 수평축은 평면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고 움직일 수 있는데 이것은 공통 회전축과 운전실의 수직중앙선을 통과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2개의 기중기 횡보도 역시 유용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단일 작업에서의 특히 더 큰 작업범위를 확장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갑판 적하에 따라 기중기의 방해받는 반경을 축소시키기 위해 운전실 하부끝을 횡보의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으며 그결과 하부 정면모서리 앞쪽으로 진입면의 상부정면을 위치시키게 된다.
또 기중기의 구조를 더욱 간단화 사키기 위해 상부 회전체의 내부에 사다리를 설치할 수 있으며 그 다리쪽은 기중기 기초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다. 동시에 사다리의 하단부는 전류공급을 위해 슬리프 링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4열의 볼베어링 회전 결합체를 거쳐서 특히 간단한 구조형태에 있는 기중기의 두 회전체가 배측면의 기중기 기초와 연결되어 있고 이 경우에는 링중의 하나는 기중기 기초와 견고히 연결시키고 있다.
본 고안의 좀더 상세한 내용은 실시예에 대한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도면에서 기중기 기초(1)가 도시되지 않은 선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상단(1a)에는 폐쇄판(3)이 설치되어 있고, 폐쇄판(3)의 기중기 기초(1)위로 돌출부에는 4열의 볼-혹은 로울러베어링 회전결합체(23)의 중간링(4)이 고정되어 있는데, 이 중간링(4)은 그 상측면에 환형 톱니바퀴(5)를 가지고 있으며 중간링(4)의 내측면에는 구형 회전결합체(23)의 안쪽링(6)이 설치되어 있고 그위에 회전체(29)가 받치고 있다. 컬러아암으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29)는 볼베어링 회전 결합체(23)의 영역으로 링형으로 형성된 상자운반체(30)로 부터 한번은 설치된다. 제1기중기(8)의 방향에 있는 상자운반체(30)은 다른 것으로는 돌출부(31)를 가지는데 이 돌출부는 제2 기중기(19)의 칼러아암(17)의 원형링 운반체(32)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31)의 끝에는 제1 기중기(8)의 운전실(7)이 회전체(29)와 함께 고착되어 있으며 운전실(7)의 하단은 횡보(13)의 방향에 끌어당겨져 있어 하측전면 가장자리(50)앞쪽의 진입측면(49)의 상부전면 가장자리(48)가 위치하고 있다.
회전체(29)에는 또 회전구동체(10)가 위치하고 있으며 구동모터(11)의 회전 톱니바퀴(12)로 되어있다. 환형 톱니바퀴(5)에 맞물려져 있는 회전 톱니바퀴(12)를 거쳐서 기중기(8)는 볼베어링 회전결합체(23)의 수직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게 된다.
볼베어링 회전결합체(23)의 바깥쪽링(16)옆에, 기중기 기초(1)을 둘러싸고 있으며 칼러아암(17)의 원형링 운반체(32)로서 형성되고 있는 부분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 칼러아암(17)은 제2 기중기(19)의 우전실(18)과 함께 굳게 고정되어 있으며 이것은 제1 기중기(8)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칼러아암(17)내에 위치된 회전구동체(20)는 한개의 구동모터(21)로 되어 있는데, 이것은 환형 톱니바퀴속(5)에서와 같이 회전 톱니바퀴(22)를 거쳐서 맞물려 있다. 2개의 기중기(8)과 (19)의 회전에 있어서 의 위치 변경부분은 칼러아암(17) 및 칼러아암(31)이 함께 회전하며, 단일 작업시에는 각 기중기(8, 19)는 각각 공동수직회전축(33)주위의 다른 것과는 독립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이중 작업시에는 2개의 회전구동체(10, 20)의 구동모터(11, 21)가 동시에 조종될 수 있기때문에 그결과 2개의 기중기는 정확하게 균일하게 회전한다.
제3도에서 2중 작업상태가 실선에 의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2개의 기중기(8, 19)의 횡보(13, 37)은 특히 무거운 화물을 직접 수송하기 위해 서로 병렬로 위차하고 있으며 제2 기중기(19)의 쇄선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2개의 기중기(8, 19)는 다른 것과 독립하여 회전 및 작업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실시예에서 기중기(8, 19)는 시이소오형 기중기로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운전실(7, 18)은 공통 수직회전축(33)에서 같은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각 운전실(7)과 (18)의 하부 범위에는 수평축(25, 18)주위를 회전할 수 있도록 횡보(13, 27)가 배열되고 있으며 그의 시이소오(14) 및 인양 로오프(15)를 거쳐서 화물의 인양 및 강하가 가능하다. 그옆에 2개의 횡보(13, 27)의 수평축(25, 28)이 같은 높이로 위치되어 있으며 도시된 평면도에서 이중작업 위치에 있는 2개의 기중기(8, 19)의 수평축(25, 28)이 중심선(34)에 대칭적으로 그리고 때때로 수직회전축(33)과 그때그때의 운전실(7, 18)의 중간점을 연결하는 직선(35)사이에 각 α로 되도록 위치하고 있으며, 횡보(13, 27)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대한 각인 α는 90°보다 작다.
2개의 기중기(8, 19)의 배측방으로의 전력공급은 기중기 기초(1)위에 배치된 슬리프 링장치(slip ringbody, 36)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덮개(37)가 보통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며 계단도(38)도 함께 설치되어 있고 슬리프 링장치(36)의 상부에 계단의 종단(39)이 위치하고 있으며, 슬리프 링장치(36)의 운반부(40)에 계단의 종단(39)이 위차하고 있으며, 슬리프 링장치(36)의 운반부(40)에 계단의 종단(39)을 운반하는 사다리(41)가 고정되어 있고, 그 사다리의 상단은 제1 기중기(8)의 회전체(29)에 지지되어 있다. 전력인수를 위한 케이블(42)은 사다리(41)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사다리는 케이블(42)을 슬리프 링장치(36)로 부터 회전체(29)의 하부영역에 위치하는통로(43)까지 연장되어 있고 또 통로(passage)(43)로 부터 케이블(42)이 각 기중기의 전기 장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2 기중기(19)의 케이블(42)을 과도한 부하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이것은 제1 기중기(8)의 회전체(29)내에 위치한 케이블 안치부(saddle, 44)를 거쳐서 인도되어진다. 사다리(41)상단 영역에는 방수밀폐할 수 있는 입구(45)를 갖는 회전체(29)가 설치되어 있어 이것을 통해 좁은 판자(46, 47)를 거쳐서 기중기 운전사가 기중기(8, 19)에 들어갈 수 있다.
제6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구별되는데 이것은 4열의 볼베어링 회전 결합체(23)대신에 2개의 이중 열 볼베어링 회전결합체(51, 52) 또는 2열 교차 로울러 회전기동체를 사용한다. 동시에 제1 기중기(8)의 회전체(29)를 운반하는 볼베어링 회전결합체(51)가 기중기 기초(1)의 연결판(3)에 고정되어 있으며, 또 연결판(3)위에는 톱니바퀴(5)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안에 2개의 기중기(19)의 볼베어링회전 결합체(52)는 기중기 기초(1)에 위치한 링형 받침 선반(53)위에 있는 칼러아암(17)의 하부에 설치되어 칼러아암(17)의 작은 링운반체(32)로서 형성된 부분을 가진다.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체 결합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볼베어링 회전체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Claims (1)

  1. 그 하단부에 수평축 주위로 회전 가능한 기중기 횡보를 가지며, 그중 하나가 공통 수직축 둘레에 위치하여 동축상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두개의 회전체를 갖는 이중 선회 기중기에서 있어서, 각 회전체(17, 29)에 2개의 기중기(8, 19)가 지지되어 공통 수직 회전축(33)주위로 회전하는 동시에 볼베어링 회전 결합체(23)에 의하여 회전체(17, 29)중 적어도 하나가 배측면 기중기 기초(1)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선회 기중기.
KR2019820000965U 1975-04-24 1982-02-09 이중 선회 기중기 KR8300001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0965U KR830000106Y1 (ko) 1975-04-24 1982-02-09 이중 선회 기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50000862 1975-04-24
KR2019820000965U KR830000106Y1 (ko) 1975-04-24 1982-02-09 이중 선회 기중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50000862 Division 1975-04-24 1975-04-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106Y1 true KR830000106Y1 (ko) 1983-02-09

Family

ID=26625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0965U KR830000106Y1 (ko) 1975-04-24 1982-02-09 이중 선회 기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1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15438B2 (ja) クレ−ン車
US4601402A (en) Steerable concentric ring segment supported lift crane
US3545627A (en) Heavy duty crane for use in a narrow loading area
SE421202B (sv) Mobil lyftkran
JP2880300B2 (ja) 可動クレーン
KR830000106Y1 (ko) 이중 선회 기중기
US5791998A (en) Amusement ride featuring a number of cars
US4197953A (en) Double slewing crane construction
GB2151580A (en) A self-propelled lifting device
US4201305A (en) Rotatory crane with plural jibs
US7905302B2 (en) Omni-directional aircraft galley servicing vehicle
US3963130A (en) Coil unloader
US4343458A (en) Supports of boom end sheaves or similar for a lifting and/or handling machine
US2167026A (en) Power swing crane
EP0362306B1 (en) Cargo conveyor system
US4446977A (en) Roller support for load handling devices
US6217044B1 (en) Steerable and retractable wheels for multi-purpose carriage
JPS605520B2 (ja) 複式クレ−ン
US5829714A (en) Aerolift mechanism
US1612393A (en) Motor-propelled crane
US3245549A (en) Toppling boom
JPH0672488B2 (ja) 下部構造に対し旋回ならびに傾斜可能に結合された上部構造の垂直軸を鉛直に設立する装置
CN218085706U (zh) 独立转向轮及轮式机器人
SU1209590A1 (ru) Автомобильный кран
SU1221018A2 (ru) Одноосный прицеп с грузоподъемным оборудование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