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524Y1 - 선회식 후로팅 크레인 - Google Patents
선회식 후로팅 크레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20002524Y1 KR820002524Y1 KR2019820008238U KR820008238U KR820002524Y1 KR 820002524 Y1 KR820002524 Y1 KR 820002524Y1 KR 2019820008238 U KR2019820008238 U KR 2019820008238U KR 820008238 U KR820008238 U KR 820008238U KR 820002524 Y1 KR820002524 Y1 KR 82000252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pe
- pulley
- jib
- drum
- mai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 사용상태도로서 톱지브(Tob Jib)를 수평상태로 작동시켜 저양정작업시의 작동상태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고안의 실시 사용상태도로서 톱지브를 기립시켜 고양정 작업시의 작동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톱지브의 확대 정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톱지브의 확대 측면도.
제7a,b,c도는 공지한 후로팅 크레인의 예시도.
본 고안은 항만, 교량 또는 해양구조의 건설이나 선적작업 등과 같은 여러가지 항만하역작업용으로 사용하는 선회식 후로팅 크레인(旋回式 floating crane)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선회후레임상에 기복가능하게 취부된 주활대(boom)의 선단에 톱지브(Top Jib)를 추착하고, 이 톱지브 후측에 이와 일체로 후방지부를 돌설함과 동시에 후방지주의 선단과 선회후레임에 취부된 각 도르레 사이에 주활대와 평행이되게 백스테이와어로우프(back stay wire rope)를 설치하며, 또한 톱지브상에는 레일을 배설하고 이에 이동도르레를 고속으로 횡행 자재하게 설치하여 수평이동하게 하므로서 작업을 고속으로 단시간내에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주활대의 선단에 추착된 톱지브를 수평 또는 기립시킴에 따라 크레인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저양정이나 고양정에 구애됨이 없이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선회식 후로팅크리인에 있어서는 첨부도면 제7a,b,c도에 예시된 것과 같은 종류의 것이 대부분이었는바, 제7a도에 도시된 종래의 것에 있어서는 선회후레임(101)의 주활대(102)를 기복 가능하게 취부하고 이의 상부에 주권상훅크(103), 보조권상훅크(104)를 현설하는 장치의 구조로 구성되고 주활대(102)의 각도는 기복로우프(105)를 주기복드럼(106)에 의하여 권취, 또는 조출하여주는 상태에 따라 변화시켜주며, 주권상드럼(107), 및 보조권상드럼(108)과 주, 보조권상 로우프(109)(110)에 의하여 주, 보조권상훅크(103)(104)가 승강되도록하여서 사용하여 왔으나, 이는 주기복드럼(106)으로 기복로우프(105)를 권취, 노출함에 따라 주활대(102)의 각도를 변화시켜줄 때 이의 상부에 현설된 주보조권상훅크(103)(104)의 아웃리이치(out reach)도 변화하게되어 주, 보조권상훅크(103),(104)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됨으로서 주활대(102)의 기복 동작시 하물의 상하이동을 시켜 주기위한 동력이 별도로 부가되는 문제점이 있어 동력의 불필요한 낭비가 초래되는 결함이 있었으며, 제7b도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선회후레임(201)에 주활대(202)를 기복 가능하게 취부하고, 이의 상측에 주, 보조권상훅크(203),(204)를 각각 현설하며, 선회후레임(201)의 정상부에는 바랜싱레버(205)를 설치하여 이의 선단과 주활대(202)를 텐숀간(206)으로 연설하고 주활대(202)의 하단밑 부분에 인입로드를 형성한 인입장치(207)를 설치하여, 인입장치(207)의 신축작용에 의하여 주활대(202)의 각도를 변화시켜 주, 보조권상 훅크(203),(204)의 아웃리이치를 변환시켜주면 이에 따라 주활대(202)와 텐숀간(206)에 연결되어 있는 바랜싱레버(205)도 동시에 연동되어 주, 보조권상 훅크(203)(204)를 수평으로 이동되게 하여서 하물이 상하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찾는 구조의 장치를 사용하여 왔으며, 또는 제7c도에서와 같이 선단에 주권상훅크(301)를 현설한 톱지브(302)를 후론트링크(303) 및 백스테이(304)로 선회후레임(305)상에 지지하고 백스테이(304)를 크랭크장치나 실린터장치로된 경동장치(306)로 경동(傾動)되도록하고 백스테이(304)의 경동에 의하여 톱지브(302)를 수평으로 변위시켜 주권상훅크(301)의 아웃리이치를 수평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하여 왔으나, 이는 고양정을 요하는 작업에는 전혀 적용시켜 사용할 수 없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장치에 있어서는 모두 주, 보조권상훅크가 주활대 또는 톱지브의 선단에 현설되어 있으므로서 경향으로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이의 아웃리이치를 변환시켜 주기 위하여서는, 주활대, 톱지브 및 이에 연계 동작하는 부분등의 과중한 철구조물을 가동시켜주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많은 동력이 요구되어 비경제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철구조물전체를 움직이기 때문에 그 작업속도가 지연되는 등의 속도의 한계성이 있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결합이 있었고, 또한 제7a도 및 (b)도의 각장치에 있어서는 저양정의 하역작업 경우에도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관성력이 높은 위치에 있는 주활대 선단의 로우프도르레부분에 작용하게 되므로서 작동상태 안정성이 크게 결여되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이에 따라 선체에도 영향이 크게 미치게되는 결함이 있었으며, 제7c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은 것은 안정성의 문제점은 다소 개선되었다고는 하나 톱지브의 위치를 변형시킬 수 없는 결점이 있어 고양정을 요하는 작업시에는 전혀 적용시킬 수 없게되어 사용범위가 극히 제한되게되는 등의 여러가지 결점등이 나타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선회식후로팅 크레인의 제반 결점등을 제거하고 항만 하역등과 같이 비교적 저양정작업이 빈번한 경우에 있어서는 톱지브를 수평위치로 조작하여 도르레의 수평이동에 의하여 고속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하고, 교량, 해양구조물등의 건설작업등과 같이 고양정을 요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이동도르레를 톱지브의 선단에 고정하고 백스테이로우프를 권취하여 주활대와 일직선상으로 기립시켜주어 고양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함과 동시에 이동도르레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하여 그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하여 적은 동력의 소모로 고능률의 작업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크레인부의 중심을 낮게 보지시킬 수 있게되므로서 장치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어 선체의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는 제반 특징으로 지닌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선체(1)의 갑판상에 형성되어있는 지지후레임(2) 상부에 선회후레임(3)을 선회 자재하게 설치하고, 이에 주활대(4)의 하단을 핀(5)으로 유설하여 기복 가능하게 취부하며, 선회후레임(3)의 정상부에는 주기복로우프도르레(6)와 주권상로우프도르레(7)를 병렬로 취부하고, 중간부분에는 백스테이로우프도르레(8)와 보조권상 로우프도르레(9)를 병렬로 취부하며, 저면상에는 주기복 드럼(10), 주권상드럼(11), 백스테이로우프드럼(12) 및 보조권상드럼(13)이 배설되여있다.
주활대(4)의 선단 전방에는 주권상 로우프도르레(14)를 회전자재하게 취부하고, 주활대(4)은 선단후측에는 주기복 로우프도르레(15) 및 주권상로우프도르레(16)가 회전자재하게 병열로 취부되어 있으며, 주활대(4)의 최선단에는 톱지브(17)가 핀(18)으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 상태로 유착되어있고, 이와 일체로 형성된 후부지주(19)는 후측상부를 향하여 연출되어 있으며, 후부지주(19)의 상단에는 백스테이 로우프도르레(20) 및 보조권상 로우프도르레(21)가 회전자재하게 병열로 유설되어있고 톱지브(17)가 수평상태로 위치할때에는 주활대(4)의 하단의 핀(5)과, 선후레임(3)상의 백스테이로우프도르레(8) 및 보조권상 로우프도르레(9)와, 후부지주(19)상단의 백스테이 로우프도르레(20) 및 보조권상 로우프도르레(21), 그리고 톱지브(17)를 추착하는 핀(18)이 이루는 4지점을 결합하면 대체로 평형 4변형이 유지되도록 설치한다.
톱지브(17)의 수평빔상에는 레일(22)이 배설되어 차륜(23)을 형성한 이동도르레(24)가 레일(22)을 따라 고속으로 횡행 이동하게하여 톱지브(17)의 수평빔상을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동도르레(24)의 하측에는 보조권상 로우프도르레(25)를 회전자재하게 취부하고 톱지브(17)의 후방에는 설치된 횡행드럼(26)에 권취되어있는 횡행로우프(27)의 일단을 톱지브(17)의 선단에 설치된 횡행로우프도르레(28)를 통하여 이동도르레(24)의 전방에 결착하고, 이의 타단을 횡행드럼(26)에서 직접 이동도르레(24)방향까지 연장시켜 이동도르레(24)의 후방에 결착하여 이동도르레(24)가 톱지브(17)의 레일(22)상을 횡행이동하게되고, 톱지브(17)로부터 이탈하는 사례를 방지하도록하고, 브라켓트(29)와 이동도르레(24)의 선단측면에 핀(30)을 삽통할 수 있도록 한다.
선회 후레임(3)상의 주기복드럼(10)에 권취되어있는 주기복로우프(31)는 선회 후레임(3) 정상부에 설치된 주기복 로우프도르레(6)를 통하여 주활대(4)의 선단후방에 있는 주기복로우프도르레(15)사이에 복수조로 걸쳐져 주활대(4)를 지지하고 있으며, 주권상 드럼(11)에 권취되어있는 주권상로우프(32)는 선회 후레임(3)의 정상부에 설치된 주권상 로우프도르레(7), 주활대(4) 선단후방의 주권상로우프도르레(16) 및 주활대(4)의 선단전방에 설치된 주권상 로우프도르레(1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주권상 훅크(33)에 회전자재로 취부되어있는 도르레(34)에 복수조로 걸쳐져 주권상훅크(33)를 주권상 로우프도르레(14)에 현설되게 한다.
백스테이로우프드럼(12)에 권취된 백스테이로우프(35)는 선회 후레임(3)의 중간높이에 설치된 백스테이로우프도르레(8)를 통하여 주활대(4)와 평행으로 연출되어 후부지주(19)상단의 백스테이로우프도르레(26)사이에 복수조로 걸쳐져 톱지브(17)를 지지하고 있으며, 보조권상드럼(13)에 권취되어있는 보조 권상로우프(36) 선회 후레임(3)의 중간높이에 설치된 보조권상 로우프도르레(9), 후부지주(19)상단의 보조권상로우프도르레(21), 이 하단의 하부도르레(37) 및 이동도르레(24)하부의 보조권상 로우프도르레(2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보조권상 훅크(38)에 회전자재하게 취부되어있는 도르레(39)에 복수조로 걸쳐져 보조권상훅크(38)가 현설되게 한다음, 이의 선단을 톱지브(17)의 단부에 고정되게하고, 이동도르레(24)에는 별도의 부보조권상훅트(40)를 현설한다.
(미설명부호 41은 주활대 레스트대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선체(1)를 회항할 경우등과 같이 비작업시에는 주기복드럼(10)에서 주기복로우프(31)를 풀어주어 주활대를 완전히 수평상태로 강복시켜 선체(1)상에 설치된 주활대레스트대(41)에 재치 고정하여 주면 선체(1)등을 간단히 회항하게회고, 이때 주활대(4)의 최선단에 핀(18)으로 유설된 톱지브(17)는 백스테이와이어로우프(35)에 의하여 수평상태로 유지하게되고, 또한 주기복드럼(10)을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기복로우프(31)를 권취하면 주활대(4)는 주기복로우프(31) 주기복로우프도르레(6) 및 주활대(4) 상부의 주기복로우프도르레(15)에 의하여 기립되어 수직상태에 가깝게 기립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주활대(4), 후부지주(19), 백스테이로우프(35) 및 선회 후레임(3)이 이루는 형태가 대체로 평행 4변형을 이루고 있게되므로서 톱지브(17)는 수평상태를 보지하게 된다.
한편, 주활대(4)상부의 주권상훅크(33)와 톱지브(17)에 유설된 이동도르레(24)의 보조권상훅크(38)를 작동시켜줌에 있어서는 선회 후레임(3)상의 주권상드럼(11)을 회전시켜 주권상로우프(32)를 감어주거나 풀어주므로서 주권상훅크(33)를 승강시킬 수 있으며, 보조권상드럼(13)을 가동시켜 보조권상 로우프(36)를 조작시켜 보조권상훅크(38)를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톱지브(17)상의 횡행드럼(26)을 회전시켜주면 이동도르레(24)는 톱지브(17)에 배설된 레일(22)을 따라 톱지브(17)상을 이동하게되는데 백스테이로우프(35)를 조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톱지브(17)가 항상 수평 상태로 보지하게 되어 있으므로서 이동도르레(24) 또한 주활대(4)의 기립정도에 관계없이 항상 수평방향으로 위치하여 이동될 수 있으며, 이동도르레(24)를 톱지브(17)의 레일(22)상으로 이동시키면 이동도르레(24)에 현설되어 있는 보조권상훅크(38)의 아웃리이치가 변환되게되나, 이때 보조권상로우프(36)의 선단은 제5도에서와같이 톱지브(17)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서 이동도르레(24)가 톱지브(17)의 어떠한 위치로 이동하여 위치한다 하더라도 보조권상훅크(38)의 높이는 변화하지 않으며, 보조권상훅크(38)의 아웃리이치의 변환은 주활대(4)의 기복동작에 의하여서만 행하여질 수 있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같은 본 고안은 항만 하역작업등과 같은 저양정을 요하는 작업에 있어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톱지브(17)를 수평한 상태로 유지시킨 다음, 주활대(4)만 기립, 조작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고양정을 요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제3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톱지브(17)를 수평상태에서 기립시킴에 따라 보조권상훅크(38)를 고양정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 경우 먼저 이동도르레(24)를 횡행드럼(26)를 가동하여 톱지브(17)의 선단까지 이동시켜주고, 톱지브(17)의 선단의 브라켓(29)에 이동도르레(24)를 핀(30)을 체착하여 이동도르레(24)를 톱지브(17)의 선단에 고정시켜준 다음, 백스테이 로우프드럼(12)를 가동시켜 백스테이로우프(35)를 권취하면 백스테이로우프(35), 백스테이로우프(8) 및 톱지브(17)은 후방에 돌설된 후부지주(19)의 백스테이로우프도르레(20)등에 의하여 기립되게되고, 완전히 톱지브(17)를 기립하면 주활대(4)와 일직선상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같이 한후 주활대(4)를 기립시켜주게되면 주활대(4) 및 톱지브(17)의 길이를 합한 만큼의 길이를 활대로서 사용하게 되므로서 톱지브(17)의 선단에 위치한 보조권상훅크(38)는 상당히 높은 위치가 되며, 이때 주기복로우프(31) 및 보조권상 로우프(36)를 조작하여 고양정작업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평상작업시 주활대의 기복정도에 관계없이 최선단에 유설된 톱지브는 수평상태로 보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역하물의 수평이동이 가능하여 작업속도가 신속하여지므로서 작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이동도르레만으로 이웃리이치를 변환시킬 수 있게되므로서 불필요한 동력 소모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통상작업시 톱지브를 수평상태로 보지함에 따라 동일작업 반경을 갖는 종래의 크레인에 비하여 중심을 적게하여도 안정성이 극히 요하게되므로서 높이의 제약을 받은 항공도등과 같은 작업장에서도 그 특징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이동도르레를 톱지브 선단에 고정하고 백스테이로우프르르 조작하여 주활대와 일직선상으로 신속하게 기립시켜 보조권상훅크의 양정을 높게할 수 있으므로서 저, 고양정의 작업상태에 구애됨이 없이 그 활용범위가 확장될 수 있는 효과와, 또한 선체가 경사진 경우라 할지라도 톱지브를 백스테이장치로 항상 수평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서 작업장 고조건등에 구애됨이 능률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반 특징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Claims (1)
- 도시한 바와같이 선회 후레임(3)에 기복자재하게 취부된 주활대(4)선단에 설치된 톱지브(17)의 후부지주(19)선단에 백스테이로우프도르레(20) 및 보조권상 로우프도르레(21)와 선회 후레임(3)사이에 설치된 백스테이로우프드럼(12) 및 보조권상드럼(13)에 의하여 조정되는 백스테로우프(35) 및 보조권 로우프(36)과, 상기 톱지브(17)상에 설치된 횡행드럼(26)에 의하여 레일(22)을 따라 톱지브(17)선단에 고정시킬 수 있는 이동도르레(24)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후로팅 크레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20008238U KR820002524Y1 (ko) | 1982-10-18 | 1982-10-18 | 선회식 후로팅 크레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20008238U KR820002524Y1 (ko) | 1982-10-18 | 1982-10-18 | 선회식 후로팅 크레인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00004779 Division | 1980-12-1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20002524Y1 true KR820002524Y1 (ko) | 1982-12-08 |
Family
ID=19227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20008238U KR820002524Y1 (ko) | 1982-10-18 | 1982-10-18 | 선회식 후로팅 크레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20002524Y1 (ko) |
-
1982
- 1982-10-18 KR KR2019820008238U patent/KR820002524Y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215791B (zh) | 双悬臂回转式基座起重机及包含有该起重机的船 | |
NO842993L (no) | Flyttbar kran | |
US3286855A (en) | Crane extension and resulting crane assembly | |
WO2014043995A1 (zh) | 一种拆分式起重机 | |
US7073673B2 (en) | Wire rope reeving support system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gantry cranes | |
KR102124888B1 (ko) | 크레인의 평형추를 줄이기 위한 시스템 | |
NL2023067B1 (en) | compact jib crane | |
KR820002524Y1 (ko) | 선회식 후로팅 크레인 | |
US3084806A (en) | Tower cranes | |
CN216038342U (zh) | 一种新型大型箱式桥梁施工用吊机 | |
US4762240A (en) | Articulating crane | |
RU2290362C1 (ru) | Башенный стреловой кран | |
SU1521703A1 (ru) | Грузоподъемный кран | |
FI79075C (fi) | Kran foer tunga laster, speciellt en havskran och foerfarande foer foerankrande av denna. | |
US3091353A (en) | Retractable unloader | |
JP3268260B2 (ja) | ダブルリンク式クレーン | |
JP3000902B2 (ja) | クレーン | |
SU1299966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грузки т желовесных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х грузов | |
US3892316A (en) | Crane with folding mast and jib | |
US3317057A (en) | Derricks | |
JP3436360B2 (ja) | 岸壁クレーン | |
PL80900B1 (ko) | ||
SU1348293A1 (ru) | Судовой грузоподъемный кран | |
NO165141B (no) | Anordning paa fartoey for aa loefte over bord og ombord boeyestasjoner eller tilsvarende anordninger eller apparatkombinasjoner. | |
JP2009242051A (ja) | 橋形クレー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