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220Y1 - 모심는 기계의 플로우트 접지하중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모심는 기계의 플로우트 접지하중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220Y1
KR820002220Y1 KR7906621U KR790006621U KR820002220Y1 KR 820002220 Y1 KR820002220 Y1 KR 820002220Y1 KR 7906621 U KR7906621 U KR 7906621U KR 790006621 U KR790006621 U KR 790006621U KR 820002220 Y1 KR820002220 Y1 KR 820002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oat
pressure
planting
mand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6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쓰오 부노
시계오 잔마
Original Assignee
야마오까 다다오
얀마-노오기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오까 다다오, 얀마-노오기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오까 다다오
Priority to KR7906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2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2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심는 기계의 플로우트 접지하중 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표시한 송풍형 모심는 기계의 개략측면도.
제2도는 그 평면도.
제3도는 동작 설명도.
제4도는 중요부분의 단면측면도.
제5도는 그 실시예를 표시하는 중요부분의 측단면도.
제6도는 그 평면도.
본 고안은 예컨대 모의 재치대 및 식재조를 보유하는 식재부와 농업용 트랙터 혹은 모심는 전용의 주행 차량 등으로서 구성하는 승용부로 부터 이루어지는 승용 모심는 기계의 플로우트 접지하중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플로우트에 걸리는 접지압 하중을 플로우트 자체에 그 검출수단을 설치하고 그 검출의 구체적인 수단도 통상적인 변환밸브로써 검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로서는 플로우트가 논의 흙탕물상에 있으므로 검출수단에 흙탕물이 들어가서 원활한 작용을 할수 없게 되는 폐단이 있으며 또, 변환밸브로서 검출하면 일정 이상의 하중변화가 없으면 변환밸브가 변환되지 않아서 하중의 미소한 변화에는 대응하지 않게되는 폐단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폐단을 제거하기 위해서 식재부를 승용부에 3점 링크기구 등을 개재하여 승강자재하게 장설하며, 전기한 식재부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 및 플로우트 접지하중의 증감에 대응하여 전기한 실린더를 작동 제어하는 배압조절밸브를 설치하고, 플로우트 접지하중의 변화에 관계없이 모심는 깊이를 일정하게 보전하는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전기한 식재부를 상하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링크 등의 승강링크에 전기한 배압 조절밸브를 설치하고, 플로우트 접지하중의 증감에 따라서 상부링크등의 승강링크에 의해서 배압 조절밸브를 직접 조작할 수 있으므로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예민한 배압조절 밸브 동작을 얻을 수 있으며, 예컨대 논의 깊고 얕은 변화 및 식재부의 모의 분량 변화에 대응하여 식재부를 가장 적합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모심는 기계의 플로우트 접지하중 조절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승용 모심는 기계의 개략측면도, 제2도는 평면도이며, 도면중 (1)은 모심기 전용의 주행차로서 구성하는 승용부로서 (2)는 앞차체, (3)는 뒤차체, (4)(5)는 회동지점축(6)을 개재하여 수평방면으로만 절곡자재하게 전후차체(2)(3)를 결합하는 연결 프레임, (7)(8)은 전후차체(2)(3)의 좌우에 스윙케이스(9)(10)를 개재하여 부착한 논에서 사용하는 전후차륜, (11)은 앞차체(2)에 기단을 고착시킨 지주, (12)는 전기한 지주(11)로서 지지시키는 예비모의 재치대, (13)은 앞차체(2)의 후부 위쪽에 전기한 지주(11)를 개재하여 부착하는 운전석, (14)는 전기한 운전석(13) 아래면에 설치하는 유압 변환밸브, (15)는 그 변환밸브(14)를 조작하는 승강 레버, (16)은 앞차체(2)의 앞부분 위쪽에 설치한 조향 핸들, (17)은 뒤차체(3)에 탑재하는 엔진이다.
또 도면중 (18)은 앞차체(2)의 앞부분에 3점 링크기구(19)를 개재하여 승강 자재하게 장선하는 6줄 식재용의 식재부이며, (20)은 좌우로 왕복이동시키는 앞쪽이 낮고 뒤쪽이 높은 모의 재치대, (21)은 전기한 모재치대(20)에서 한 포기분의 모를 꺼내서 식재하는 식재조, (22)는 전기한 모의 재치대(20) 및 식재조(21)를 부착한 전동 케이스, (23)은 전기한 전동 케이스(22)를 지지하는 플로우트, (24)는 전기한 전동케이스(22)에 부착하는 앞범퍼, (25)는 각 전동케이스(22)…를 지지하는 고정틀이며, PTO전동축(26)을 개재하여 모의 재치대(20) 및 식재조(21)를 적합하게 구동하여 연속적으로 모를 식재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전기한 3점 링크기구(19)는 한쌍의 하부링크(27)와 승강링크인 상부 링크(28)로 이루어지며, 앞차체(2) 하면에 핀(27″)을 개재하여 한 끝을 주축지지한 하부 링크(27)의 다른 끝을 고정틀(25) 밑끝에 핀(27′)을 개재하여 연결시킴과 아울러 고정틀(25) 위끝에 핀(25′)을 개재하여 그 한끝을 연결한 상부링크(28) 다른 끝에 배압조절밸브(29)를 연설하고, 앞차체(2)의 앞 끝부분 위쪽에 설치하는 브라켓트(30)에 핀(31)을 개재하여 전기한 밸브(29)를 연결 지지한다.
전기한 고정틀(25) 밑끝과 브라켓트(30) 사이에 옆방향 진동방지용 스프링(32)을 가설시킴과 아울러 앞 차체(2)의 앞쪽에 한 끝을 돌출한 리프트 아암(33)을 하부링크(27) 중간에 연결간(34)을 개재하여 연결시키고, 적합한 유압력으로서 리프트아암(33)을 요동시켜서 식재부(18)를 승강하도록 구성한다.
제3도의 표시와 같이 전기한 하부링크(27) 측면에 식설된 핀(35)에 전기한 연결간(34) 하단의 장공(36)을 개합시키고 그 연결간(34)과 평행으로 스프링(37)을 하부링크(27)의 리프트 아암(33) 사이에 장가시키고 모의 재치대(20)에 일정량의 모를 재치한 표준하중 상태에서 플로우트(23)가 논면에 일정한 깊이로 침강하고, 그 플로우트(23)의 접지압력 즉 플로우트(23)의 접지하중(37)과 스프링(37)의 잡아당기는 힘이 균형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또한 앞차체(2)에 부착하는 유압실린더(38)의 피스톤롯드(38′)를 리프트 아암(33)에 연결시킨다.
그리고 엔진(17)과 연동하는 유압펌프(39)를 4 포오트 3위치 형상의 수동유압 변환밸브(14)를 개재해서 배압조절밸브(29)와 유압실린더(38) 또는 어느 것인가에 배압을 보내는 것인바, 먼저 제3도에 있어서, 변환밸브(14)의 우측의 통로를 이용할 때는 유압 펌프(39)에서의 압축기름은 전환밸브(14)를 개재해서 유압실린더(38)로만 유동해서 리프트 아암(33)을 상승 회전시켜서 식재부(18)를 상승시키며, 변환 밸브(14)의 중앙의 통로를 이용할 때는 유압펌프(39)에서의 압축기름은 배압 조절밸브(29)로만 유동해서 배압 조절밸브(29)로부터 기름탱크(40)로 복귀하여 유압실린더(39) 내의 압축기름은 유출, 유입됨이 없이 리프트아암(33)은 고정지지되며 또 도시한 바와같이 변환밸브(14)의 좌측통로를 이용할 때는 유압펌프(39)에서의 압축기름은 배압조절밸브(29)를 통해서 기름탱크(40)로 복귀하는 압축기름과 가변스토틀 밸브(41)을 개재해서 다시 변환밸브(14)를 통해 유압실린더(38)로 유동하는 압축기름으로 나누어지는 것인바 이 배압조절밸브(29)로 유동하는 압축기름은 식재부(18)의 하중을 검출해서 감압 스프링(50)의 탄력을 강약으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감압밸브(51)로서 압축기름의 통로 크기를 조절해서 변환밸브(14)에서 기름탱크(40)로 유동하는 압축기름의 양을 규제하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유압 실린더(38)에의 압축 기름의 양을 조절해서 식재부(18)의 접지압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그리고 배압조절밸브(29)에 대해서 설명하면, 제4도의 표시와 같이 상기한 상부 링크(28)는 심축(42)과 이 심축(42)을 접동자재하게 삽입하는 통축을 포함하며, 전기한 심축이 돌출되는 통축(43) 끝부분에 스프링압력 조절나사(42)를 나사로 체결시킴과 아울러 심축(42)의 안쪽끝에 스프링자리(45)를 고정하고, 전기한 나사(44)와 스프링자리(45) 사이에 플로우트 접지압력의 조절 스프링(46)을 설치한다.
전기한 심축(42)의 바깥쪽 끝에 결합 볼트(47)를 고정하고, 그 볼트(47)를 개재하여 고정틀(25)에 심축(42)을 연결시킨다.
전기한 통축(43)을 배압조절밸브(29)에 연결나사(48)를 개재하여 하나로 연결시키고, 그 나사(48)에 전기한 밸브(29)의 조작샤프트(49)를 접동자재하게 끼워넣음과 아울러 전기한 심축(42)의 안쪽 끝에 전기한 샤프트의 한끝을 당접시키고, 그 샤프트(49)의 다른끝에 감압스프링(50)을 개재하여 감압밸브(51)를 설치한다.
전기한 밸브(29)에 고압유통로(52) 및 저압유통로(53)를 형성하고, 전기한 고압 유통로(52)를 변환밸브(14) 및 스로틀밸브(41)에, 또 전기한 저압유통로(53)를 탱크(40)에 각각 연통시킴과 아울러 전기한 각 유통로(52)(53) 근방의 밸브(29) 끝 부분에 결합볼트(54)를 고정시키고, 그 볼트(54)를 개재하여 전기한 밸브(29) 끝부분을 앞차체(2)의 브라켓트(30)에 연결지지시킨다.
전기한 고압유통로(52)를 저압유통로(53)에 연통제어 하도록 감압밸브(51)를 장입하고 전기한 저압유통로(53)와 감압밸브(51)의 배압실(55)을 연락하는 배압 구멍(56)을 그 밸브(51)에 형성함과 아울러 전기한 각 유통로(52)(53)를 바이패스 유통로(57)로서 연통시키고 조절해제레버(59)를 보유하는 하중조절 해제밸브(58)에 의해 전기한 바이패스 유통로(57)를 개폐 제어하며 모의 재치대(20)에서 모의 수량 및 플로우트(23)의 접지압력 등의 변화에 따른 플로우트 접지하중의 증감에 의해 식재부(18)를 승강시키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성하고 있으며, 제3도의 표시와 같이 유압변환 밸브(14)의 좌측통로를 이용할 때는 식재부(18)의 접지압 하중을 자동제어하는 경우에 있어서, 유압변환밸브(14) 및 플로우트 접지하중을 검출하는 배압조절밸브(29)를 개재하여 유압펌프(39)를 탱크(40)에 연통시키고, 또 전기한 변환밸브(14)와 밸브(29) 사이를 유압실린더(38)에 스로틀밸브(41) 및 변환밸브(14)를 개재하여 연통시켜서 플로우트(23)의 접지하중을 자동적으로 조절시키는 것으로서 적재부(18)가 사전에 설정한 중량으로서, 또한 플로우트(23)의 접지압력이 설정된 값일 경우, 유압펌프(39)에서 토출하는 압축 기름이 감압밸브(51)를 개재하여 탱크(40)에 복귀되며 유압실린더(38)에 대해서 스로틀밸브(41)를 개재하여 일정한 유압을 인가해서 식재부(18)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한다.
그리고 모심는 작업토층, 예컨대 모의 재치대(20)에 예비용의 모를 보급하여 모의 분량의 증가에 따라 모의 재치대(20)가 무겁게 되었을 경우 스프링(37)을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핀(27″)을 지점으로 하여 하부 링크(27)가 회전하여 모의 재치대(20)를 쓰러뜨리는 방향으로 변위시켜서 심축(42) 및 조작샤프트(49)를 퇴입(退入)시키고, 감압스프링(50)의 탄발압력을 강하게 하여서 감압밸브(51)의 압력이 강하된 유압을 상승시켜 주어서 펌프(39)의 압축 기름을 실린더(38)에 스로틀 밸브(41)를 개재하여 인가하고, 리프트 아암(33)을 상승회전시켜서 모의 재치대(20)를 기립시키는 방향으로 하부링크(27)를 상승 회전시키고, 실린더(38)와 감합밸브(51)의 유압이 균형잡혔을 때, 즉 플로우트(23)의 접지압력을 감소시켜서 설정 압력으로 복귀하였을 때 실린더(38)가 정지하여 각 링크(27)(28)를 고정상태로 지지해서 일정한 식부 심도로서 모심는 작업을 지속한다.
한편 모의 재치대(20)에 탑재하고 있는 모의 분량의 감소에 따라 그 재치대(20)가 가볍게 되었을 경우, 스프링(37)을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핀(27″)을 지점으로 하여 하부링크(27)가 회전하여 모의 재치대(20)를 일으키는 방향으로 변위시켜서 스프링(46)에 저항하여 심축(42) 및 조작 샤프트(49)를 진출시키므로 감압 스프링(50)의 스프링압력이 약하게 되어 감압밸브(51)의 조이는 유압을 강하시키고 실린더(38)의 유압을 스로틀밸브(41) 및 감압밸브(51)를 개재하여 탱크(40)에 복귀시키고, 리프트 아암(33)을 하강 회전시켜서 모의 재치대(20)를 쓰러뜨리는 방향으로 하부 링크(27)를 하강 회전시키고, 실린더(38)와 감압밸브(51)의 유압이 균형되었을 때, 즉 플로우트(23)의 접지압력을 증가시켜서 설정된 압력으로 복귀하였을 때 실린더(38)가 정지하여 일정한 식재심도로서 모심는 작업을 계속한다.
또한 모의 재치대(20)의 모의 중량과 스프링(37)의 힘이 균형잡혀 있을 때 예컨대 논이 깊게 되어서 플로우트(23)가 흙탕물에서 밀려 올라와서 플로우트(23)의 접지압력이 높게 되었을 경우, 핀(27′)을 지점으로 하여 모의 재치대(20)가 쓰러지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상기한 모의 재치대(20)의 중량증가와 마찬가지로 심축(42)을 퇴입시키고 실린더(38)를 개재하여 리프트아암(33) 및 하부링크(27)를 상승회전시키며, 모의 재치대(20)를 기립시키는 방향으로 변위시켜서 실린더(38)와 감압밸브(51)의 유압을 균형을 이루게 하고 플로우트(23)의 접지압력을 설정값으로 복귀시키고, 일정한 식재 깊이로서 모심는 작업을 지속한다.
한편 포장이 얕게 되어서 플로우트(23)가 강하하여 플로우트(23)의 접지압력이 낮아졌을 경우, 핀(27′)을 지점으로하여 모의 재치대(20)가 기립하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상기한 모의 재치대(20)의 중량 감소와 마찬가지로 스프링(46)에 저항하여 심축(42)을 진출시키며, 실린더(38)의 압축기름을 탱크(40)로 복귀시켜서 리프트아암(33) 및 하부링크(27)를 하강 회전시켜서 모의 재치대(20)를 쓰러뜨리는 방향으로 변위시켜서 실린더(38)와 감압밸브(51)의 유압력을 균형지게하여 플로우트(23)의 접지압력을 설정값으로 복귀하고, 일정한 식재깊이로서 모심는 작업을 지속한다.
또한 제3도의 가상선 표시와 같이 유압변환밸브(14)와 플로우트 접지하중 검출용 배압조절밸브(29) 사이를 기름탱크(40)에 연락시키는 변환 밸브(60)를 설치하고, 상기한 해제밸브(58) 대신에 변환밸브(60)를 사용하여 감압밸브(51)에 의한 조절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스프링(37)은 1쌍의 연장용 및 압축스프링을 사용하여 업쇼오버형으로 형성하고, 일정량의 모를 모의 재치대(20)에 지지한 상태에 있어서 인장용 및 압축스프링이 균형을 이루게하고, 그 모의 량의 증감에 따라 인장용 및 압축스프링을 각각 신축시켜서 심축(42)을 진퇴시키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제5도는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중요부분의 단면측면도, 제6도는 그 평면 외관도이며, 상기한 식재부(18)의 고정틀(25) 위끝에 연결하는 승강링크인 상부링크(28′)는 심축(42′)과 이 심축(42′)을 접동자재하게 삽입하는 통축(43′)을 포함하며, 전기한 심축(42′)이 돌출되는 통축(43′) 끝부분에 스프링받이 나사(44′)를 나사 체결로 고정시킴과 아울러 심축(42′)의 안쪽끝 부분에 스프링압력 조절나사(42a′)를 형성하고, 그 나사(42a′)에 스프링자리(45′)를 나사 체결시키고, 전기한 나사(44′)와 스프링자리(45′) 사이에 플로우트 접지압력조절 스프링(46′)을 장가시킨다.
전기한 통축(43′)에는 이 축심방향으로 장공(43a′)(43a′)을 형성하여서 이루어지며, 그 장공(43a′)(43a′)에 끼워 넣어서 두부를 통축(43′)의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는 회전방지나사(45a′)(45a′)를 스프링자리(45′)에 나사체결로 고정한다.
전기한 나사(42a′) 끝부분에 스프링자리(45′)의 이탈방지용핀(42b′)을 식설한다.
전기한 심축(42′)에 이 진출량을 설정하는 핀(42c′)을 식설하고, 심축(42′)에 최대진출 위치에서 그 핀(42c′)을 볼트(44′) 안쪽에 당접시킴과 아울러 볼트(44′) 바깥쪽면에 좌판(61)을 덧붙여서 부착시키고, 플로우트 접지하중 조절 해제 캠(62) 및 해제 레버(63)를 심축(42′)에 핀(64)을 개재하여 축지시키고 전기한 좌판(61)에 해제 캠(62)을 당접시키며 해제레버(63) 조작에 의하여 좌판(61)에 캠(62)이 압접되고, 스프링(46′)에 저항하여 심축(42′)을 진출시켜서 볼트(44′)에 핀(42c′)을 당접시키며, 또 그 레버(63)를 축둘레에 회전시켜서 심축(42′)을 회전시켜주어 스프링(46′)을 신장 혹은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스프링자리(45′)가 변위하도록 형성하여서 이루어진다.
전기한 심축(42′)의 바깥쪽 끝에 핀(65)을 개재하여 결합틀(66)을 회전 자재하게 연결하고, 그 결합틀(66)에 결합볼트(47′)를 고정시키며, 그 볼트(47′)를 개재하여 고정틀(25)에 심축(42′)을 연결시킨다.
또 전기한 통축(43′)에 배압조절밸브(29′)를 하나로 연설하고, 그 밸브(29′)의 조작샤프트(49′)를 심축(42′)의 안쪽 끝에 연결시킴과 아울러 그 샤프트(49′)에 감압스프링(50′)을 개재하여 감압밸브(51′)를 설치한다.
제3도의 변환밸브(14) 및 스로틀밸브(41)에 연통시키는 고압유통로(52′)와 탱크(40)에 연통시키는 저압유통로(53′)를 전기한 밸브(29′)에 설치함과 아울러 각 유통로(52′)(53′)에 가까운 밸브(29′) 끝 부분에 브라켓트(54′)을 형성하고, 앞차체(2)의 브라켓트(30)에 핀(31)을 개재하여 전기한 브라켓트(54′)을 연결 지지시킨다.
전기한 고압유통로(52′)를 저압유통로(53′)에 연통 제어하도록 감압밸브(51′)를 장입하고, 전기한 저압 유통로(53′)와 감압밸브(51′)의 배압실(55′)을 단락하는 배압구멍(56′)을 그 밸브(51′)에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모의 재치대(20)의 모의 분량 및 플로우트(23)의 접지압력등의 변화에 의한 플로우트 접지하중의 증감에 따라 식재부(18)를 승강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 표시하는 것 같이 본 기계의 지점부, 즉 앞차체(2)의 브라켓트(30)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조절밸브(29)(29′)를 부착한 것으로서 식재부(18)를 승강할 때 브라켓트(30)의 핀(31)을 중심으로 상부 링크(28)(28′) 및 밸브(29)(29′)가 승강회전하고, 그 때문에 전기한 밸브(29)(29′)의 승강 변위량은 극히 적으며, 변환밸브(14) 및 탱크(40)와 각 유통로(52)(52′)(53)(53′)를 연통시키는 유압호오스를 비교적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그 호오스의 손상을 방지하고 호오스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간단하게 호오스를 배설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실시예의 표시와 같이 본 고안은 식재부(18)를 상하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링크(28)(28′)등의 승강링크에 플로우트 접지하중 검출용 배압조절밸브(29)(29′)를 설치하였으므로 플로우트(23)의 접지 하중의 증감에 수반하여 승강 링크(28)(28′)를 개재하여 전기한 밸브(29)(29′)를 직접 조작할 수 있으며, 승강링크(28)(28′) 및 밸브(29)(29′)를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예민한 조절밸브(29)(29′) 동작을 얻을 수가 있으며, 식재부(18)의 모의 분량 변화 및 논의 깊고 얕은 변화에 따라 식재부(18)를 최적합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고 논의 흙탕물에 의한 조절 장치의 기능고장 등이 없어서 대단히 실용적인 것 등의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

  1. 플로우트(23)의 접지하중을 조절가능하게 유압실린더(38)를 장입함과 아울러 전기한 플로우트 접지하증의 증감에 대응하여 전기한 실린더(18)를 작동제어하는 모심는 기계에 있어서 식재부(28)를 상하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용상부 링크(29)에 전기한 배압조절밸브(29)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심는 기계의 플로우트 접지하중 조절장치.
KR7906621U 1979-11-02 1979-11-02 모심는 기계의 플로우트 접지하중 조절장치 KR820002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6621U KR820002220Y1 (ko) 1979-11-02 1979-11-02 모심는 기계의 플로우트 접지하중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6621U KR820002220Y1 (ko) 1979-11-02 1979-11-02 모심는 기계의 플로우트 접지하중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220Y1 true KR820002220Y1 (ko) 1982-10-15

Family

ID=19214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6621U KR820002220Y1 (ko) 1979-11-02 1979-11-02 모심는 기계의 플로우트 접지하중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2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24446B2 (ja) 農業機械
KR820002220Y1 (ko) 모심는 기계의 플로우트 접지하중 조절장치
US3269464A (en) Implement control means for tractor operated agricultural implements
JPS6245537Y2 (ko)
US3489224A (en) Tractor hydraulic control system
JPS6312665Y2 (ko)
JPH023695Y2 (ko)
JP2520500Y2 (ja) 水田作業機における油圧制御機構
JPS631771Y2 (ko)
JPS582180Y2 (ja) 田植機の機体昇降装置
JP3690500B2 (ja) ミッドマウント型農作業機
JPS608647Y2 (ja) 農用トラクタの抵抗制御装置
JPS6245536Y2 (ko)
JP3432719B2 (ja) 移植機における土圧感知装置
JPS6320255Y2 (ko)
JP2546671Y2 (ja) 水田作業機における油圧制御機構
JPH0233623Y2 (ko)
JP3930141B2 (ja) 移動農機の昇降制御装置
JPS5817361Y2 (ja) 農用トラクタの抵抗制御装置
JP2523290Y2 (ja) 水田作業機の油圧昇降装置
JPH0324005Y2 (ko)
JP3531339B2 (ja) 乗用型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昇降制御装置
JPH0317445B2 (ko)
JPS6317307Y2 (ko)
KR850003196Y1 (ko) 이앙기의 유압제어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