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103Y1 - 하역 용구 - Google Patents
하역 용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20002103Y1 KR820002103Y1 KR2019820006701U KR820006701U KR820002103Y1 KR 820002103 Y1 KR820002103 Y1 KR 820002103Y1 KR 2019820006701 U KR2019820006701 U KR 2019820006701U KR 820006701 U KR820006701 U KR 820006701U KR 820002103 Y1 KR820002103 Y1 KR 82000210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dy member
- shoulder
- shoulder member
- pieces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B66C5/025—Trip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며,
제2도는 종래의 예를 나타내며,
제3도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 및 제5도는 실시예의 부품도.
제6도는 다른 실시예의 부품도.
본 고안은 제1도와 같이 하역작업 등에 사용되는 삼각의 두부(頭部)로서의 하역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3개의 다리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이 하역용구에 체인블록 등을 걸어서, 이것에 의해 하역할 수 있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하역용구를 제2도에 도시하지 만, 종래의 것은 본체 부재(A)에 대한 견(肩) 부재(B)를 단지볼트(C)에 의해서 취부하였다.
그리고 견부재(B)는 본체부재(A)의 상면측에 취부되어 있다. 그 주된 이유는 견부재(B)는 사용시에 하방으로 약간 개방된 상태가 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견부재(B)가 본체 부재(A)의 하방에 있으면 본체 부재(A)가 견부재(B)의 이동에 방해가 되는 수가 있다. 그밖에 조지(弔持) 링(D)가 견부재(B)의 취부에 방해가 되는 수도 있다. 어떻게 해도, 종래의 것은 견부재(B)를 본체 부재(A)의 상면에 볼트(C)로 취부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취부한 종래품에 있어서 중대한 결점은 바르게 견부재(B)를 본체 부재(A)의 상면에 취부한 것이다.
즉, 사용시의 하중 상태를 고려하면 화물 등에 의한 하중 p1은 본체 부재(A)를 하방으로 인장하며, 다리에 의한 하중 p2는 견부재(B)를 상방으로 돌상시킨다. 따라서 전하중은 모두 볼트(C)에 가해지게 된다. 더욱 나쁜 것은 견부재(B)에 의해 볼트(C)에는 사용시에 굽힘하중이 가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명백한 것과 같이, 종래품에서는 부하가 본체 부재(A) 및 견부재(B)와는 관계없이 볼트(C)에만 가해져, 따라서 내부하 능력이 저하하는 외에 충격부하 등에 대해서는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 위험성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결점을 해소하고, 내부하 능력이 크며 안전성이 높은 것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1)은 본체부재이고 (2)는 견부재이다. 본체부재(1)은 적당한 두께를 가진 평판형상이며 중앙부의 구멍에 조지링(3)을 매달아 고정하고 있다. (4)는 고정용 너트이다. 그리고 중앙부로부터 3 방향으로 돌출한 피보지편(5)를 형성하고 있다. (6)은 볼트 삽입구멍이다.
견부재(2)는 상단의 수대부(7)와 그 수대부(7)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신장된 각수부(8)로 구성된다.
수대부(7)과 각수부(8)은 직각이상의 적당한 각도로 되어 있다. 수대부(7)의 상면의 양단에는 상방으로 돌출한 측벽(7a),(7a)를 설치하고 그 내면은 전기 본체부재(1)의 피보지편(5)의 양 측면과 대향접촉 하는 직상계합면(9)이다. 전기 양측벽(7a),(7a)로 형성된 전기 각 계합면(9)간에 본체부재(1)의 피보지편(5)를 계합시켜 취부 볼트(12)와 너트(13)에 의해 본체부재(1)과 견부재(2)간에 충분한 유동을 유지시킨 상태로 연결한다. 이 연결상태에서는 수대부(7)의 양측벽(7a),(7a)가 견부재(2)에 대한 본체부재(1)의 횡 차이를 방지함과 동시에 3개의 견부재(2)의 수대부(7)의 계합면(9)가 각 보지편(5)를 통해 본체부재(1)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형태가 된다. 또,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수대부(7)의 상면에 요홈(18)을 설치함으로써 본체부재(1)의 피보지편(5)의 3변에 대향하는 직상계합면(9)를 형성한 것이다. 전기 각수부(8)은 원통의 일부를 길이로 분할한 것 같은 형상이지만, 굽힘 안내면(14)를 외방에 향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각 수부(8)의 양 하측부에 걸쇠 취부용의 이(耳)부(15)를 형성하고 있다. (16)은 걸쇠의 삽입구멍이다. (17)은 걸쇠로서, 삽입볼트(17a)와 압박판(17b) 및 너트(17c)로 구성된다.
다리의 취부는 다리의 선박부를 전기 굽힘 안내면(14)에 따르게 함과 동시에, 선단을 진기 수지(受止)돌기(11)내에 지지시키며, 한편, 압박판(17b)를 외방으로부터 당접하여 너트(17c)로 취부한다.
걸쇠(17)에 대해서는 U볼트의 사용등 다른 수단에 의해도 좋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재(1)이 견부재(2)상에 위치하므로 본체부재(1)의 하방으로 연장하는 하중 및 견부재(2)를 상방으로 돌상하게 하는 하중에 의해서도 취부볼트(12)에는 직접 하중이 걸리지 않는다. 그리고 견부재(2)에 계합면(9)를 설치하여 본체 부재(1)의 피보지편(5)를 그들간에 계합시켰으므로 요동없이 견부재(2) 및 본체부재(1)이 적은 볼트로 견고히 결합되어 하중을 확실히 또한 안정되게 받는 것이 가능하며, 내부하강도가 향상함과 동시에 충격 등에 대한 강도도 강해지고 안전성이 대단히 높아진다. 또, 견부재(2)의 개폐작업은 불안없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Claims (1)
- 조지링(3)을 중앙에 매어달고 3방에 돌출한 피보지편(5)을 지닌 본체 부재(1)와 그 본체부재의 각 피보지편(5)을 보지하는 3개의 견부재(2)로 구성되며, 각 견부재에 각각 다리를 취부하고, 체인블록 등을 전기 조지링(3)에 가설하는 삼각대를 구성하는 하역용구에 있어서, 각 견부재(2)의 상단에 본체부재(1)의 피보지편(5)에 대한 수대부(7)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수대부의 상면에 본체부재(1)의 각 피보지편(5) 외방 3변의 적어도 2변과 대향 접촉하는 직상계합면(9)을 형성하며, 그들간에 피보지편(5)를 계합시킨 상태에서 전기 3개의 견부재(2)에 의해 전기 본체 부재(1)를 각 피보지편(5)를 통해 3방향으로부터 지지하고 각 견부재(2) 및 피보지편(5)을 볼트(12)로 고정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용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20006701U KR820002103Y1 (ko) | 1982-08-24 | 1982-08-24 | 하역 용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20006701U KR820002103Y1 (ko) | 1982-08-24 | 1982-08-24 | 하역 용구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790004386 Division | 1979-12-1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20002103Y1 true KR820002103Y1 (ko) | 1982-10-06 |
Family
ID=19226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20006701U KR820002103Y1 (ko) | 1982-08-24 | 1982-08-24 | 하역 용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20002103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8589B1 (ko) * | 2008-04-17 | 2010-01-26 | (주)대호테크 | 삼각대를 이용한 간이 크레인 |
KR20220137270A (ko) * | 2021-04-02 | 2022-10-12 | 이종석 | 랜턴 걸이대 |
-
1982
- 1982-08-24 KR KR2019820006701U patent/KR820002103Y1/ko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8589B1 (ko) * | 2008-04-17 | 2010-01-26 | (주)대호테크 | 삼각대를 이용한 간이 크레인 |
KR20220137270A (ko) * | 2021-04-02 | 2022-10-12 | 이종석 | 랜턴 걸이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30009831A (ko) | 에어백장치의 모듈커버 부착구조 | |
US5280866A (en) | Fastener for elongated bodies | |
KR820002103Y1 (ko) | 하역 용구 | |
GB2082048A (en) | Fastener | |
JP3004874B2 (ja) | ナットとナット保持部材 | |
JPH0630534Y2 (ja) | 板状体開口閉成用蓋体構造 | |
US5967839A (en) | Panel fixing connector | |
JPH0142385Y2 (ko) | ||
JPH0314566Y2 (ko) | ||
KR970008540B1 (ko) | 트렁크 뚜껑의 스톱 램프 부착 구조 | |
JP2574033Y2 (ja) | クリップ | |
KR910002323Y1 (ko) | 평판부착장치 | |
JP2556066Y2 (ja) | 部品の組付け装置 | |
JPH0751486Y2 (ja) | 結束固定具 | |
JP2964436B2 (ja) | 電気接続箱の取付け構造 | |
JP3267913B2 (ja) | 建物用化粧カバーの取付構造 | |
JPH0530500Y2 (ko) | ||
JPS63216400A (ja) | 電子機器ケ−ス | |
JP2510856Y2 (ja) | 鎖ホルダ | |
KR200148765Y1 (ko) | 공작기계 클램프용 평와셔 | |
JP2587303Y2 (ja) | バンパの取り付け構造 | |
JPH04106283A (ja) | 装置本体外部取付け着脱式部品の取付け構造 | |
US4493581A (en) | Eccentrically tightened latch device | |
KR200156650Y1 (ko) | 중량물 취급용 훅핀 | |
JPH0120423Y2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