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990Y1 - 자동 조작 기구 - Google Patents

자동 조작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990Y1
KR820001990Y1 KR2019820004257U KR820004257U KR820001990Y1 KR 820001990 Y1 KR820001990 Y1 KR 820001990Y1 KR 2019820004257 U KR2019820004257 U KR 2019820004257U KR 820004257 U KR820004257 U KR 820004257U KR 820001990 Y1 KR820001990 Y1 KR 820001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support
wrist
support plate
arm
automatic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4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지메 이네바
시게미 이네가기
Original Assignee
후지쓰 파나크 가부시끼 가이샤
이네바 세이우에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파나크 가부시끼 가이샤, 이네바 세이우에몬 filed Critical 후지쓰 파나크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20004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9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9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조작 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투시도.
제2a도는 제1도의 쥐는 부분(II)의 측면도.
제2b도는 제2a도의 굴진상태의 측면도.
제3도는 제2a도의 III 및 III' 부분단면도.
본 고안은 컴퓨터가 부가된 수치제어 공작기계 시스템을 위한 자동기계 시스템 특히 작업물의 올리기 및 내리기와 공구류의 교환, 칩(chip)의 처리등에 사용되는 자동조작기계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가 부가된 수치제어공작기계 시스템(이하 CNC공작기계 시스템이라 한다)은 로보트 즉 자동조작 기구를 포함하며 또한 자동조작기구 주변에 놓여지는 CNC선반, 작업대 공구용 랙(Rack)등과 같은 여러종류의 공구기계류를 포함한다. 자동조작기구는 작업물의 올리고 내리기를 하여 작업물 및 공구류의 운반을 행하며 칩(Chip)을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가진다.
자동조작기구는 기본적으로 작업물 또는 공구류를 쥐는데 사용하는 적어도 두개의 지형장치(指型裝置)를 가진 하나의 손잡이와 손잡이를 회전하면서 지지하는 하나의 손목부 및 손목부를 연결해주는 하나의 아암을 가지고 있다. 손잡이는 손목부의 축에 대하여 회전성을 가지며 아암은 안으로 들어갔다 밖으로 나왔다하는 신축성을 가진다.
더우기 요구되는 것은 손잡이가 작업물과 공구류를 어느 곳에 있는 것이든 이를 쥘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손잡이의 축과 아암의 축사이의 각도는 가변적이어야 한다. 각도의 가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손잡이와 아암을 연결하기 위한 손목부는 모든 방향으로의 굴신(bend)이 가능해야 한다.
종전의 자동조작구에 있어서 손목부는 매우 다량의 기어와 또한 지지축 및 베어링을 사용함으로써 3방향으로의 굴신이 가능하다.
기어는 제어 유닛을 요하는 서어보 모우터와 같은 전기모우터에 의하여 작동되며 자동조작기구가 기어를 요구하고 있는 결과 전기모우터 및 제어유닛등 자동조작기구의 굴신기능부분이 상대적으로 대규모로서 복잡한 기계구조와 전기구조를 요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기본적 목적은 굴신기능을 수행하는 데 어떠한 제어부분의 설비없이 손으로 굴신하는 연결부를 가진 자동조작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자동조작기구의 굴신기능 부분은 상대적으로 소규모로 그리고 간단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 된다.
본 고안은 첨부도면과 연관된 다음의 설명에 의하여 더욱명백 하게 될 것이다.
제1도에서 자동조작기구는 본체(I)와 쥐는부분(II)으로 구성되어 있다. 쥐는 부분(II)은 3방향인 R,및 Z(화살표 참조) 방향으로 움직인다.
쥐는부분(II)은 구동부분(1)에 있는 모터에 의하여 R방향으로 앞뒤 움직인다. 쥐는부분(II)은 구동부분(3)에 있는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대(2)와 함께방향으로 좌우 움직인다.
더우기 쥐는 부분(II)은 두개의 구동축(4, 4') 및 하나의 안내 스크류(5)의 도움으로 구동부분(1)에 있는 모우터에 의하여 Z방향으로 상하 움직인다. 이와 같이 쥐는 부분(II)은 3방향으로 상하 움직인다. 이와 같이 쥐는 부분(II)은 3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쥐는 부분(II)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a도에서 쥐는 부분(II)은 아암(21), 손목부(22) 및 손잡이(23)으로 구성된다. 암(21)은 장착지지구조(24)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손목부(22)를 아암(21)과 연결시켜주는 것이다.
손목부(22)는 두개의 정착지지판(25, 26)을 가지고 있다. 장착지지판(25)은 볼트(24a)에 의하여 장착지지주구조(24)와 고정된다. 장착지지판(25)의 만곡부(25a)와 장착지지판(26)의 돌출부(26a)가 연결핀(27)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연결되도록 장착지지판(25)은 장착지지판(26)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장착지지판(25)과 장착지지판(26)은 연결핀(27)의 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장착지지판(25)과 장착지지판(26)간의 각도는 4개의 볼트(28)에 의하여 조정되는데 볼트를 조이기 위한 너트(29)가 각 볼트에 있다. 이와 같이 각도는 미리 결정된 범위내에 조정될 수 있다. 연결부는 또한 장착지지판(26)과 고정되어 있는 장착지지구조(30)를 가지고 있으며 손잡이(23)는 지형장치(32)두개를 가지고 있으며 각 지형장치는 네일(Nail)(도시되지 않음)을 가지고 있어 직접 작업물과 공구류를 쥐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23)는 회전자(31)에 의하여 손목부(22)에 대하여 회전할 수가 있다. 또한 손목부(22)는 아암(21)에 대하여 굴신할 수 있다. 더욱이 손목부(22)는 미리결정된 간격으로 아암(21)의 축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데 이것은 볼트(24a)를 느슨하게 연결되게 하고 손목부(22)가 90도와 같은 특정각도로 회전하므로서 가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볼트(24a)는 장착 지지구조(24)에 밀착 연결된다.
제2b도에서 2개의 볼트(28)이 장착지지판(25)에 꼭조이게 되고 반면 다른 2개의 볼트는 장착지지판(25)에 느슨하게 연결된다. 그 결과 손목부(22)축이 아암(21)의 축에 α의 각도로 설정된다.
이와같이 손목부(22)는 위아래로 굴신할 수 있다. 손목부(22)가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굴신되기 원하면 4개의 볼트(24a)를 느슨하게 연결한다.
그렇게함으로서 손목부(22)는 90도 각도와 같이 미리 결정된 각도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볼트(24a)는 장착지지판(25)에 밀착하게 되기 때문에 그결과 아암(21)과 손목부(22)는 서로 고정된다. 다음에 볼트(28)는 원하는 어느 위치에로 조정된다. 그래서 손목부(22)는 좌우로 굴신할 수가 있다.
제3도에서 장착지지판(25)는 한쌍의 만곡부(25a)를 가지고 있으며 반면 장착지지판(26)은 한쌍의 돌출부(26a)를 가지고 있는데 이 돌출부는 만곡부(25a)사이에 위치한다. 만곡부(25a)와 돌출부(26a)는 모두 그속에 연결홈을 가지고 있다. 연결핀(27)이 연결홈속에 삽입되어 있기때문에 장착 지지판 25와 26은 연결핀(27)의 축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장착지지판 25와 26사이의 각도는 볼트(28)을 밀착하게 또는 느슨하게 연결하므로서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너트(29)로 잠겨진 볼트(28)는 장착지지판(25)의 나사홈(도시되지않음)을 통하여 장착지지판(26)에 접착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고안은 종전의 기구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자동조작기구의 굴신기능부분은 규모가 적으면서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다.
왜냐하면 기어, 베어링등의 복잡한 기계부분과 전기모우터 등의 전기부분 및 제어부분을 굴신기능부분에 포함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둘째 상기 첫째이점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자동조작기구의 총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된다.

Claims (1)

  1. 아암, 소정각도로 상기 아암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손목부 및 상기 손목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손잡이로 구성된 공지의 자동조작기구에 있어서, 상기 손목부(22)의 장착지지판(25, 26)에 복수개의 수동조정용볼트(28)를 설치하여 손목부(22)의 축의 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조작기구.
KR2019820004257U 1979-01-31 1982-05-31 자동 조작 기구 KR820001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4257U KR820001990Y1 (ko) 1979-01-31 1982-05-31 자동 조작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0264 1979-01-31
KR2019820004257U KR820001990Y1 (ko) 1979-01-31 1982-05-31 자동 조작 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0264 Division 1979-01-31 1979-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990Y1 true KR820001990Y1 (ko) 1982-09-22

Family

ID=26626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4257U KR820001990Y1 (ko) 1979-01-31 1982-05-31 자동 조작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9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9529A (en) Automated device
EP0182907B1 (en) Robotic manipulator
US5533418A (en) Spherical robotic shoulder joint
KR930000301B1 (ko) 받침대형 직교축 조종장치
WO1992017313A3 (en) Mechanical manipulator
US5438647A (en) Multi-manipulator robot apparatus
US4721005A (en) Robot apparatus
US4352620A (en) Industrial robot
EP0127895A2 (en) Positioning mechanism
EP0063161A1 (en) Industrial robot
US5080415A (en) Robot gripper having auxiliary degree of freedom
CA1186005A (en) Robotic manipulator
KR820001990Y1 (ko) 자동 조작 기구
JPS59134691A (ja) 改良型ロボツト腕
CN110480762B (zh) 一种模组式三自由度加工机器人
JP3491018B2 (ja) フレキシブル治具
JP2770498B2 (ja) ハンドリング用多関節ロボット
JPS5924940A (ja) 工作機械のロボツト
SU1523337A1 (ru) Обрабат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S62297082A (ja) 産業用ロボツトの基準位置決め装置の取付構造
KR0180977B1 (ko) 5축 로보트
KR830000961Y1 (ko) 자동조작기구
JPH06625U (ja) 2軸回転テーブル装置
KR102399528B1 (ko) 가공품의 회전이 가능한 그리퍼
CN216505103U (zh) 一种可调的工业机械人支撑座及工业机器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