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446Y1 - 문틀부재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문틀부재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446Y1
KR820001446Y1 KR2019810000281U KR810000281U KR820001446Y1 KR 820001446 Y1 KR820001446 Y1 KR 820001446Y1 KR 2019810000281 U KR2019810000281 U KR 2019810000281U KR 810000281 U KR810000281 U KR 810000281U KR 820001446 Y1 KR820001446 Y1 KR 8200014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bolt
horizontal
frame connecto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0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준
Original Assignee
김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준 filed Critical 김창준
Priority to KR2019810000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4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4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4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72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 of the connecting pieces, e.g. by expanding the connecting pieces with w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the connecting piece being part of or otherwise linked to the window or door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문틀부재의 연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사시도.
제3도와 제4도는 본 고안 사용상태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문틀 부재를 연결한 예시도.
제6도는 종래것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본 고안은 도어나 창문의 틀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재질로된 부재를 입구자(口)형으로 조립 연결할 때 사용하는 문틀부재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치부(齒部)를 외단에 형성한 2개의 물림구를 보울트 끝단에 핀과 스프링으로 탄착한 구조에 대한 것으로 이는 좌·우의 물림구를 오므려 문틀중 수평부재 내공간에 유입할때 물림구가 내공에 유입되도록 보울트를 삽입한 다음 수직부재 내공간에서 너트를 조일때 보울트가 후진하여 물림구가 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치부가 수평부재 내주벽에 박혀 고정되게 함으로써 수평 수직부재를 간편하게 조립함을 목적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6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재 양단에 적합한 수직 부재를 장보울트로 결합하거나 "ㄴ"자형의 결합구를 사용하였던 것으로 장보울트를 사용할 경우 문틀의 폭에따라 장보울트를 길게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철제값이 비싸게 가격이 높은 결점과 너트를 조일때 타측에서 보울트의 두부를 스패너로 고정하여 회동하지 못하게 하고 일측에서 너트를 조여야 하는 관계로 조립과정이 번거로우며 2명이 작업하여야 하는 관계로 인건비가 필요 이상으로 들었던 결점이 있었고 "ㄴ"자 결합구는 결합구에 천공된 다수개의 보울트공에 맞추어 수평 수직부재 전후벽에 구멍을 천공하여야 하는 작업상 난점과 보울트 및 너트가 노출되어 외관상 좋지 못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하여 그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강철판을 "ㄷ"자형으로 절곡한 물림구(1)(2)의 상하판(1a)(1b),(2a)(2b) 및 전방벽(1c)(2c)의 외측으로 각기 치부(3)(3')와 전방벽(1c)(2c)를 절곡하여 접합벽(4)(4')를 형성하고 상하판(1a)(1b),(2a)(2b)에 핀공(5)(5'),(6)(6')을 천공하여 너트(7)를 나삽하게된 보울트(8)의 전단에 핀축공(9)에 맞추어 지도록 상하판(1a)(1b),(2a)(2b)을 겹쳐 핀공(5)(5'),(6)(6')과 핀축공(9)이 상하 일치시켜 핀축(10)으로 보울트(8) 전단 좌우에 물림구(1)(2)를 축착하되, 스프링(11)을 핀축(10)에 관삽하고 스프링(11)의 양단(12)(12')을 접합벽(4)(4')의 내면에 탄지되도록 하여서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3은 문틀의 수평부재, 14는 수직부재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알루미늄으로된 문틀의 수평부재(13) 내공에 물림구(1)(2)를 핀축(10)을 중심으로 보울트(8)쪽으로 오므려 유입한 다음 보울트(8)를 수직부재(14) 내공에 유입되도록 수직부재(14)를 수평부재(13) 측단에 접합한 다음 너트(7)를 조이면 보울트(8)가 수직부재(14)쪽으로 움직이고 스프링(11)의 탄발력으로 물림구(1)(2)가 벌어지며 치부(3)(3')가 수평부재(13) 내주벽을 약간 파고 들어가면서 고정되어 제2도와 같이 수평, 수직(13)(14) 부재를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물림구(1)(2)가 벌어지면서 수평부재(13)내 주벽에 고정하게 되고 이와 축착된 보울트(8)와 너트(7)로 각 부재를 연결하게 되었으므로 종래 장보울트를 사용할때 보다는 한사람이 작업할 수 있고 문틀 조립시간이 단축되며 그 재질이 소형이어서 원자재 절감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문틀의 폭이 관계없이 사용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치부(3)(3')와 접합벽(4)(4')이 형성된 "ㄷ"자 모양의 물림구(1)(2)를 핀(1)과 스프링(11)으로 보울트(8) 전단에 천공된 핀축공(9)에 축설하여서된 문틀부재의 연결장치.
KR2019810000281U 1981-01-16 1981-01-16 문틀부재의 연결장치 KR8200014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0281U KR820001446Y1 (ko) 1981-01-16 1981-01-16 문틀부재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0281U KR820001446Y1 (ko) 1981-01-16 1981-01-16 문틀부재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446Y1 true KR820001446Y1 (ko) 1982-07-12

Family

ID=19220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0281U KR820001446Y1 (ko) 1981-01-16 1981-01-16 문틀부재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4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1580A (en) Frame assembly
US5388372A (en) Metal section with an octagonal cross-section for window or door frames
KR820001446Y1 (ko) 문틀부재의 연결장치
JPS6256808U (ko)
EP0828053A3 (fr) Profil de jonction et de coupure thermique interposé entre les profilés aluminium utilisés dans la confection de fenêtres, portes ou portes-fenêtres
JPS6215767B2 (ko)
JPS592314Y2 (ja) 組立式線格子網扉
KR810000264Y1 (ko) 가새 접속용 콘넥타
KR940001998Y1 (ko) 가구용모서리부의연결구
JPS6139767Y2 (ko)
JPH0448293Y2 (ko)
JP3211058B2 (ja) 合成樹脂製障子の補助部品取付構造
SU1185011A1 (ru)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ы со стенкой у сквозного отверсти
KR940006123Y1 (ko) 도어용 손잡이
JP3922801B2 (ja) 断熱サッシ
JPH0119757Y2 (ko)
JPH0450774Y2 (ko)
KR800000653B1 (ko) 건축용 구조재의 접속부재
KR930002968Y1 (ko) 문 손잡이 고정용 금구
JPS601126Y2 (ja) 屋根用トラス
JPS5916435Y2 (ja) 高欄における交叉部連結具
JPH0755276Y2 (ja) 門扉格子の接合構造
KR950008152Y1 (ko) 경첩
JPS5854496Y2 (ja) 屋根
JP2534494Y2 (ja) 自在門扉丁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