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653B1 - 건축용 구조재의 접속부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구조재의 접속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653B1
KR800000653B1 KR740004322A KR740004322A KR800000653B1 KR 800000653 B1 KR800000653 B1 KR 800000653B1 KR 740004322 A KR740004322 A KR 740004322A KR 740004322 A KR740004322 A KR 740004322A KR 800000653 B1 KR800000653 B1 KR 800000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frame
connecting member
horizontal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004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오 다지마
Original Assignee
가즈오 다지마
다지마 준조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오 다지마, 다지마 준조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즈오 다지마
Priority to KR740004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65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축용 구조재의 접속부재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곳을 예시한 정면도.
제2도는 종래의 접속 부재의 구조를 예시한 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접속 부재의 조립 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접속 부재의 요부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사용된 접속 부재의 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접속 부재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건축용 구조재의 접속 부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현관 출입구, 진열장, 커어튼 월(curtain wall) 등에 사용되는 유리의 테나 건구가 되는 금속제의 건축용 구조재는 수직틀과 수평틀을 서로 맞추어서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출입구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는 제1도에는 금속제의 수직틀(1a,1b,1c,……)과 수평틀(2a,2b,2c,……), 유리판(3a,3b,3c,……), 문(4) 등이 나타나 있으며, 각 수직틀과 수평틀의 접속부(J1,J2,J3,……)는 제2도에 도시된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2도는 접속부(J1)의 확대 투시도로서, 수직틀(1a)의 적당한 곳에 수평틀(2a)의 내측 단면과 같은 형태의 결합구(結合口) 안내 받침(5)을 나사(6a)(6b)(6c)(6d)로써 고정하여 놓고, 이것에 양분(兩分) 구성된 수평틀(2a)의 2개부분(2)(2′)중에서 한쪽 부분(2)을 감합시킨다. 그 다음, 미리 만들어져 있는 맞은편 판(7)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수평틀의 제1부분(2)의 내부에 끼워 넣고 부착 볼트(bolt)(8a,8b,8c,……)로써 수평틀의 제1부분(2)을 수직틀(1a)에 고정시킨 후, 수평틀의 제2부분(2′)을 수평틀의 제1부분(2)에 조합하고 나사(9a,9b,……)등으로써 고착시켜 수평틀을 형성함으로써 수평틀을 수직틀(1a)에 부착시키는 작업이 완결된다. 이때 도면중 10a,10b는 수평틀의 양 부분(2)(2′)에 의해 형성된 유리판 감합용 홈이고, 10c는 수직틀(1a)에 형성된 유리판 감합용 홈, 11은 유리를 감입시킬 때 필요한 압압 단부(壓押端部)로서 탈착(脫着)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건축용 구조재의 조립에 있어서는 수평틀(2a)을 수직틀(1a)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장축방향으로 양분된 구성으로 하며, 결합구 안내 받침(5)에 부착될 짝판(7)이 결합구 내에 미리 부착되어 있는 수평틀의 제1부분(2)을 건축현장에서 수직틀(1a)에 고착시킨 후에 이 수평틀의 양 부분(2)(2′)을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수평틀의 양 부분(2)(2′)을 공장에서 결합시켜 완성 상태의 수평틀(2a)를 공급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로서, 이 때문에 수평틀의 각 부분(2)(2′) 사이의 결합은 나사로서 고정되도록 설계할 수 밖에 없었다. 또 위와 같은 접속 방법에 의할 때에는 수직틀과 수평틀의 접속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특히 종래의 접속장치는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격이 비싼 경향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가지 결점을 제거한 접속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이하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제1도에 도시된 접속부(J1)와 같이 비교적 작은 단면형태를 갖는 수평틀(2a)을 접속시킬 때 사용되는 예로서, 수평틀(2a)는 각 부분을 공장에서 용접 등에 의해 일체화시킨 완성품으로 되어 있다. 제3도에 있어서 용접 또는 나사(12a)(12b)(12c)(12d) 등에 의해 수직틀(1a)에 고착된 접속 부재(13)는 수평틀(2a)의 단면형태와 대략 일치하는 윤곽형태를 갖는 판체(板體)로 되어 있으며, 수평틀의 결합구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접속부재(13)에는 수평틀(2a)의 중심선과 대응하는 수직선상에서 한쪽 끝으로부터 다른쪽 끝을 향하여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점차로 축소되는 수평단면을 갖는 요입부(凹入部)(1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접속 부재(13)는 부착되는 수평틀(2a)의 결합구를 안내하도록 그 두께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박판을 사용하여 타발(打拔)함과 동시에 요입부(14)를 압출 성형할 때에는 가장자리에 림(rim)(15a)(15b) 등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수평틀(2a)에는 유리 감합용 홈(10a)(10b) 및 유리를 감입시킬 때 필요하며 탈착이 자유로운 압압 단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유리 감압용 홈(10a)의 단부 받침면에는 선단이 뾰족한 부착 나사(16)가 끼워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수직틀(1a)과 수평틀(2a)의 결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접속 부재(13)를 수직틀의 필요한 곳에 점용접하거나 또는 나사(12a)(12b)(12c)(12d)로서 고정한다. 다음에 수평틀(2a)의 결합구를 위와같이 고정된 접속부재(13)와 계합시킨다. 이때 부착나사(16)가 요입부(14) 단면의 큰 개구부에 원하는대로 위치하게 된다. 여기에서 부착나사(16)를 조여주면, 수평틀(2a)는 접속부재(13)의 두께,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림(15a)(15b)과 요입부(14)를 협지한 형태로 되며, 부착나사(16)의 선단부의 뾰족한 부분 및 요입부 하방의 경사면에 의하여 수평틀(2a)을 수직틀(1a)쪽으로 당겨주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서 수평틀(2a)와 수직틀(1a)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결국 제4도에 도시된 요입부 단면도와 같이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다음에 제4도에 쇄선으로 표시된 유리(3)를 소정의 감합용 홈(10a)(10c) 등에 감입하여 압압단부(11)로써 눌러서 유리 감합용 홈내에 설치하면 된다. 또한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출입구 또는 진열장 등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하여 구조재를 부착할 때에는, 수직틀(1a,1b,1c,……)은 우선 건조물에 대하여 약간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부착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틀(2a,2b,2c,……)를 수직틀에 접속한 후 각 수직틀의 위치를 고정하는 방법이 택하여지므로 한쪽 접속부(J1)의 부착이 완료된 후에 다른 접속부(J2)의 부착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5도에는 제1도의 접속부(J2)와 같이 큰 단면 형태를 갖는 수평틀(2a)와 맞물려 사용되는 접속 부재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된 접속부재(13)에는 2개의 요입부(14a)(14b)가 있어서 폭이 좁은 쪽의 단부가 서로 맞붙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또 접속 부재(13)의 가장자리에는 림(15a)(15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구의 단면이 대형인 수평틀(2a)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단부의 상하 양면에 형성된 유리 감합용 홈(10a)(10b)내에 보강편(補强片)(17a)(17b)를 끼워 넣어 부착나사(16a)(16b)가 조여지도록 되어 있고, 수직틀(1a)에 부착된 접속부재(13)를 이들 부착나사에 의하여 협지 고정함으로써 수직틀(1a)과 수평틀(2b)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접속부재(13)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틀(15a)(15b)은 수평틀(2b)의 결합구를 안내하며, 수평틀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하여서 수평틀이 확실히 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준다. 또한 이들 접속 부재(13)에 의해 수평틀을 수직틀에 부착할때 접합부에 퍼티(putty) 등의 충진재를 사용하면 접합부에서 물이 새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접속은 수직틀에 고착된 1개의 접속부재와 수평틀에 끼워진 부착 나사에 의해 이루어지며, 수평틀을 수직틀에 부착할 때에는 수평틀에 끼워진 부착 나사를 조여줌으로써 수평틀의 단부의 결합구와 수직틀에 부착된 접속 부재를 결합시켜주면 되므로 간단하고도 확실한 부착작업이 이루어진다. 또 수평틀을 부착하기 위하여 이 수평틀을 양분 구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처음부터 완성된 수평틀을 공급할 수가 있어, 현장 공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수직틀 측면에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통모양의 수평틀의 끝부분을 접속시키기 위해서 상기한 수직틀 측면에 고정되는 접속부재에서, 상기한 접속부재는 미리 결정된 형상의 수평틀의 단부 결합구내에 감합된 때에 수평틀의 결합구내에 돌출하여 상향이나 하향으로 점차로 축소되는 요입부(凹入部)를 가지고, 상기한 접속부재의 요입부는 수평틀의 단부의 수평 외부로부터 부착나사의 선단부의 뾰죽한 부분과 결합함으로써 수평틀의 단부 결합구의 끝면을 수직틀면에 수평방향으로 압접(壓接)하고, 또한 수평틀의 결합구의 아래 혹은 윗 가장자리의 내측을 접속부재 판체부의 돌출림의 하방이나 상방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압접하여 수직틀면과 수평틀 단부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구조재의 접속부재.
KR740004322A 1974-12-21 1974-12-21 건축용 구조재의 접속부재 KR800000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4322A KR800000653B1 (ko) 1974-12-21 1974-12-21 건축용 구조재의 접속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4322A KR800000653B1 (ko) 1974-12-21 1974-12-21 건축용 구조재의 접속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653B1 true KR800000653B1 (ko) 1980-07-12

Family

ID=19200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004322A KR800000653B1 (ko) 1974-12-21 1974-12-21 건축용 구조재의 접속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6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8929A (zh) * 2022-07-13 2022-10-18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墙体安装框架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8929A (zh) * 2022-07-13 2022-10-18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墙体安装框架结构
CN115198929B (zh) * 2022-07-13 2024-04-09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墙体安装框架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18861A (en) Device for assembling and/or fixing elements of metal frames
KR800000653B1 (ko) 건축용 구조재의 접속부재
NO155411B (no) Anordnig for aa sammenfoeye to deler.
KR930004877B1 (ko) 판넬 조인트
CN210888648U (zh) 一种门窗的拼角结构
JP2560455Y2 (ja) 枠体の連結構造
JPH0125137Y2 (ko)
JPS601286Y2 (ja) ボルト連結装置
JPH0115832Y2 (ko)
JPS634789Y2 (ko)
JPS6116400Y2 (ko)
JP2560456Y2 (ja) 枠体の連結構造
JPH0348342Y2 (ko)
JPH0640317Y2 (ja) 建具用タイト材
JPS5854496Y2 (ja) 屋根
JPS5828145Y2 (ja) 建築物の開口部用枠体における隅部支持具
JPH0227118Y2 (ko)
JPS5919045Y2 (ja) パネルの連結装置
JPS6029580Y2 (ja) サツシ障子の召合せ補助材
JPH0248613Y2 (ko)
JPS6326518Y2 (ko)
JP2522702B2 (ja) 方立の面材取付具の取付装置
EP1424464A2 (en) Structure of jointing element particularly for the jointing of box-type sections
JPS6329820Y2 (ko)
JPS6246789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