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362B1 - 연속주조용 주형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주조용 주형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362B1
KR820001362B1 KR7702977A KR770002977A KR820001362B1 KR 820001362 B1 KR820001362 B1 KR 820001362B1 KR 7702977 A KR7702977 A KR 7702977A KR 770002977 A KR770002977 A KR 770002977A KR 820001362 B1 KR820001362 B1 KR 820001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inuous casting
nickel
mold
alloy
c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2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쯔지 우시오
사도루 다쯔구찌
호시로 다니
Original Assignee
미시마 마사가즈
미시마 고오상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시마 마사가즈, 미시마 고오상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시마 마사가즈
Priority to KR7702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9/00Machines or plants for casting ing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속주조용 주형의 제조 방법
제1-5도는 배율 400으로 한 현미경 조직확대 사진으로서
제1도는 종래물품의 니켈 전주처리 주형에 있어서 히이트크랙 발생을 정사한 것
제2,3도는 같은 종래물품의 니켈도금한 것의 열처리 변화에 있어서 표면 및 단면조직을 표시함과 아울러 양도면의 (a)는 열처리를 안한 경우, (b)는 400℃, (c)는 425℃, (d)는 450℃, (e)는 475℃, (f)는 500℃의 각 온도를 열처리한 경우를 각기 표시하며 제4,5도는 본 발명방법에 관한 주형의 열처리 변화를 표시하며 제4도는 니켈 80%, 코발트 20%, 제5도는 니켈 60%, 코발트 40%의 각 조성으로된 경우이며 또한 양도면의 (a)-(d)도면은 표면(e)-(h)도면은 단면으로서의 조직을 표시함과 아울러(a)(e)는 열처리 안한 경우, (b)(f)는 300℃, (c)(g)는 400℃, (d)(h)는 500℃의 각 온도로 열처리한 경우를 각기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속주조용 주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공지의 니켈도금에 의하여 표면처리한 연속주조용 주형에 있어서의 히이트크랙(매니스커스 부분의 몰드 표면에 발생하는 균열)과 내마모성을 개선하고 고속 연속주조 및 계속주조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연속주조용 주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현재 연속주조용 주형으로서는 용탕의 주입 중공부의 내면에 니켈도금을 실시하여 표면 처리한 연속주조용 주형이 제공되어 이 주형의 출현으로서 크롬도금에 의하여 표면 처리한 연속주조용 주형에 있어서의 냉각능력 및 동 또는 동합금제의 주형본체와 크롬도금 층간의 밀착력이 결여된 점으로 부터의 내마모성의 양자의 결함을 해소하고 특히 동 또는 동합금제의 주형 본체와 니켈도금층 간에 있어서의 친화력과 밀착력에 의하여 열응력(熱應力)과 기계적 마모에 견디는 내구성이 풍부하므로 인하여 동기술 업계에서도 크게 주목됨과 아울러 크게 보급되어 그 진가가 확인되고 있다.
그러나 니켈도금에 의한 표면처리를 실시한 연속 주조용 주형에 있어서도, 고속주조 또는 계속주조에 대한 충분한 수명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고속 연속주조에 있어서도 충분한 수명을 얻을 수 있는 연속주조용 주형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었다.
즉, 예를 들면 니켈 전주처리(電鑄處理)주형에 있어서의 히이트크랙의 발생을 면밀히 조사한 결과, 제1도의 확대 단면의 현미경사진으로 명백한 바와같이 결정입계(結晶粒界)부터의 히이트크랙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히이트크랙을 상기 전주처리 주형 500차지 사용의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의 니켈도금에 의하여 표면처리를 실시한 연속주조용 주형에 있어서의 히이트크랙발생은, 니켈 조직의 고온에 있어서의 조직변화, 또는 재결정온도, 변태점(變態點)의 낮음으로 인한 고온에 있어서의 물성의 변화에 기인함을 알아낼 수 있음과 아울러 그 니켈도금에 의한 표면처리에 의하여 얻어진 동 또는 동합금제의 주형본체간에 있어서의 친화력과 밀착력 및 그 친화력과 밀착력에 의하여 얻어진 열응력과 기계적 마모에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손실함이 없이, 또한 고온에 있어서의 조직변화가 없고, 재결정온도, 변태점의 높은 고온상황하에서 물성변화가 적은 표면처리의 개발에 의하여 상기 요망에 응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는 동 또는 동합금제의 주형 본체간에 있어서의 밀착력이 풍부함과 아울러 냉각 능력이 좋고 또한 내열,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온에 있어서의 조직 변화 및 물성변화가 없는 표면처리 방법을 개발하고저 연구의 결과 니켈과 코발트, 철 또는 망강의 최소한 1종류를 함유한 합금층을 실시하고 이를 영처리하는 표면처리를 하므로서 고속연속주조 또는 계속주조에도 충분히 견디는 연속주조용 주형의 제조에 성공하고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다.
다음에 위와같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그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A, 주형본체의 규격
재 료…………석출 경화형 동합금제
형재규격 ……704 Lm/m×2485 Wm/m×60 Tm/m
B, 상기주형 본체의 주입 중공부에 실시한 니켈코발트 합금층(도금조건)
Figure kpo00001
C, 열처리
통상의 상황에서 300-500℃로서 가열처리
[실시예 2]
A, 주형본체의 규격
C, 열처리 실시예 1과 같은
B, 주형본체의 주입 중공부에 실시한 니켈 철 합금층(도금조건)
Figure kpo00002
[실시예 3]
A, 주형본체의 규격 C, 열처리=실시예 1과 같음
B, 주형본체의 주입 중공부에 실시한 니켈 망강 합금층(도금조건)
Figure kpo00003
상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종래의 니켈도금법으로서는 3m/m두께의 경우 중간개삭(改削(1-2회를 실시하므로서 1,000챠지전후, 5m/m의 경우는 중간개삭 3-5회를 실시하므로서 1,600큘지 전후의 수명을 가지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50%증가(1500-2400챠지)의 수명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서냉호과등에 의하여 주면의 표면흠이 해소되어 표면흠 손질이 격감되어 주입 제품의 품질향상을 기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게 되었다. 다음에 이 합금층의 물성 및 현미경 조직을 종래의 니켈도금과 비교한다. 또한, 현미경 조직을 니켈코발트, 니켈철 및 니켈망강등 모두 별차이가 없기 때문에 니켈코발트의 실시예로 한다.
[표 1]
Figure kpo00004
제2,3도는 종래의 니켈도금 제품의 열처리 변화의 현미경(배율 400)조직사진으로서 제2도는 표면조직, 제3도는 단면조직을 표시함과 아울러, 각 도면(A)는 열처리 안한 경우, (B)는 400℃, (C)도면은 425℃ (D)도면은 450℃, (E)도면은 475℃, (F)도면은 500℃로 열처리한 경우를 각기 표시하고 있다.
또한 제4,5도는 본 발명 방법에 의한 주형의 열처리 변화의 현미경(배율 400)의 조직 사진으로서 제4도는 니켈 80%, 코발트 20%의 합금조성의 것, 제5도는 니켈 60%, 코발트 40%의 조성의 것을 각기 표시함과 아울러 제4,5도에서의 (A)-(D)도면은 그의 표면조직 같은 (E)-(H)도면은 그의 단면 조직으로 된 것의 표시, 또한 양도면의 (A)(E)도면은 열처리를 하지않은 경우, (B)(F)도면은 300℃ (C)(G)도면은 400℃, (D)(H)도면은 500℃로 각기 열처리한 경우를 표시한 것이다. 즉, 본 발명방법에 의한 제품은 매우 미세한 전착(電着)조직을 가지고 고온에 있어서도 조직변화가 생기지 않음이 판명되었다. 또한 상기 표 1의 각 물성인자의 수치로부터도 본 발명물품은 재결정온도, 변태점이 높으므로, 고온에 있어서도 물성이 안정되어 있는 것과 경도 및 인장강도는 종래의 니켈도금 제품의 2배 전후를 갖고 있으며 또한 매우 강건한 밀착력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종래의 주형표현처리 방법으로서는 크롬도금의 경우 선팽창율, 결정구조가 모재(母材)의 동 및 동합금과 차가 크기 때문에 조기박리(早期剝離)를 일으키게 되었다.
예를들면 주형내벽에 3-300μ두께로 3-13중량%의 린을 함유한 니켈피막을 무전해(無電解)니켈도금에 의하여 실시하고 전기니켈피막을 열처리 한다는 일본국 특허공보소 52-9169호 공보기재의 발명의 경우는 도금두께가 0.3m/m이하이므로 조기 마모가 되어 수명이 짧고 특히 주형하부에 동이 노출한 경우, 주면 중에 동이 혼입되거나 국부과냉각(局部過冷却)에 의해 주편(鑄片)표면에 균열이 발생되어 주입제품 품집에도 악영향을 주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주형을 구성하는 동 또는 동합금의 용강 주입면에 니켈 및 코발트의 최소한 1종류를 함유한 전기도금층을 형성하여 그 니켈 및 코발트를 최소한 1종류 주성분으로한 린 또는 분소의 최소한 1종류를 함유한 합금도금층을 특징으로 한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소 51-147431호 공보 기재의 발명에 관한 경우 표면층은 20-100μ으로서 이것은 건지특공소 52-9169호 발명과 동일하게 주형하부 마모로 인하여 표면층이 마모에 의해서 중간층만으로 되고 실재에 있어 형하부 마모에 의하여 중간층이 노출하기 까지는 겨우 50-100챠지이며 그후에는 중간층만이 수명요소가 되며 종래의 니켈도금에 의하여 또한 그 위에 합금도금을 형성한 경우에도 수명은 10%정도의 연장에 불과하였다.
특히, 이 방법으로서는 열처리를 하지 않았으므로 전기 표 1에서 수 있는 바와 같이 모재와 중간층과의 밀착력이 열처리한 것에 비교하여 열세이므로 연속주조용 주형과 같이 고열이 걸리는 것에서는 열적 영향으로 박리 위험성이 있으며, 특히 석출경화형(析出硬化型)등판이 그 경향이 큰 것이다. 또한, 언급하건데 동제주형의 주입중공부의 내면에 니켈도금을 실시함과 아울러 적단한 무산화성 상황에 있어서 600-1000℃전후로 가열하여 전기니켈도금과 동지금간에 니켈등의 확산층을 형성하는 것으로된 일본 특허공보소 48-28255호 공모기재의 발명에 의한 것에 있어서도 전술한 바와같이 히이트크랙과 내마모성에 문제점이 남아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각 방법에서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한 것이며, 이는 전술한 표 1에 표시한 각 물성 상태가 명확하게 표시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전기도금 방법에 의한 것을 예기하였으나 기타의 가공방법, 예를들면 폭착(爆着)등의 방법으로 얻어진 합금층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좋은 결과를 기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Claims (1)

  1. 본문에 상기한 바와같이 동 또는 동합금제 주형의 본체에 있어서의 주입 중공부의 내면에 니켈을 주성분으로하고 코발트, 철 또는 망강의 최소한 1종류를 함유한 합금층을 형성시켜 이를 다시 열처리 하므로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여서 된 연속 주조용 주형의 제조방법.
KR7702977A 1977-12-20 1977-12-20 연속주조용 주형의 제조 방법 KR820001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977A KR820001362B1 (ko) 1977-12-20 1977-12-20 연속주조용 주형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977A KR820001362B1 (ko) 1977-12-20 1977-12-20 연속주조용 주형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362B1 true KR820001362B1 (ko) 1982-07-30

Family

ID=1920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2977A KR820001362B1 (ko) 1977-12-20 1977-12-20 연속주조용 주형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36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4993A (en) Method of producing a continuous casting mold
EP0343292B1 (en) Low thermal expansion casting alloy
CN108265210A (zh) 一种铝合金材料、铝合金制品及其制备方法
JPH02232324A (ja) 長時間高温に維持した後でも大きい疲れ強度を保持するアルミニウム合金製部品の製造方法
US2326022A (en) Manufacture of needles and needlelike articles
RU2301844C2 (ru) Поддающийся твердению и упрочнению медный сплав
KR820001362B1 (ko) 연속주조용 주형의 제조 방법
EP3428486A1 (en) Alloy cast iron having improved wear resistance, and piston ring comprising same
JPH01198444A (ja) 改良された疲れ強さをもつアルミニウム合金材料特に棒材及びその製造方法
FI88885B (fi) Anvaendning av utskiljningshaerdbar kopparlegering
FI81283C (fi) Saett vid framstaellning av en formkropp av en jaernlegering.
US4198234A (en) Sintered metal articles
Wearmouth Nickel alloy electrodeposits for non-decorative applications
US7056395B1 (en) Dies for die casting aluminum and other metals
CN111549341A (zh) 镍基激光熔覆粉末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920007884B1 (ko) 연속 주조주형의 재료용 동합금 및 이 동합금으로 연속 주조용 주형을 제조하는 방법
JP2759208B2 (ja) シエル鋳型造型用金型
JPH06179938A (ja) 高強度低膨張鋳鉄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30006291B1 (ko) 주철제의 미끄럼운동 부재의 제조방법
US7147201B2 (en) Method for annealing an electrodeposition structure
JPH0146573B2 (ko)
GB2099339A (en) Improvements in dam-blocks for continuous metal casting
KR970009476B1 (ko) 연속주조주형 용사코팅용 니켈계 자용성 합금
KR840001096B1 (ko) 분말열간 단조재료
JPH07303942A (ja) 連続鋳造用鋳型及び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