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759B1 - 자동 2륜차용 엔진 시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2륜차용 엔진 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759B1
KR820000759B1 KR7700712A KR770000712A KR820000759B1 KR 820000759 B1 KR820000759 B1 KR 820000759B1 KR 7700712 A KR7700712 A KR 7700712A KR 770000712 A KR770000712 A KR 770000712A KR 820000759 B1 KR820000759 B1 KR 820000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pring
arm
shaft
axi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0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무 고도오
고로오에이 와가쯔기
요시노리 오까모도
Original Assignee
가와시마 기요시
혼다 기겐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시마 기요시, 혼다 기겐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시마 기요시
Priority to KR7700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5/00Starting apparatus having mechanical power storage
    • F02N5/02Starting apparatus having mechanical power storage of spring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ne-Way And Automatic Clutches, And Combinations Of Different Clu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2륜차용 엔진 시동장치
도면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제1도는 2륜자동차에 적용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평면단면도.
제2도는 동 주요부분 확대도.
제3도는 인위적으로 축력(蓄力)조작기구인 클러치부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도면.
제4도는 자동적으로 축력 기구인 클러치수단을 분리하여 놓은 부분의 주요부분 설명도.
제5도는 제2도 화살표(5) 방향에서 본 기구설명도.
제6도는 제2실시예의 제2도와 마찬가지 도면.
제7도는 제2실시에의 제5도와 마찬가지 도면.
제8도는 제2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분리한 확대 측면도.
본 발명은 나선형 스프링의 축력(蓄力)을 사용하여 엔진을 시동시키도록한 자동 2륜차용 엔진의 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동한다음 엔진의 구동력으로 시동용 나선형 스프링을 세게감아서 엔진을 다시 시동할때에 축력 조작을 하지 않아도 되도록한 엔진의 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시동장치, 즉 2륜자동차와 같은 차륜의 엔진 시동장치는 종래에는 스위치 조작으로 작동하는 시동 전동기에 의한 방식, 조작인이 발로 밟는 조작에 의한 킥페 달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시동전동기에 의한 방식은 조작하기 쉬운 반면에 시동전동기가 값이 비싸서 시동장치를 싼값으로 얻을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으며, 킥페달방식으로는 값싸게 얻을수 있는 반면에 조작하는 힘이 많이 들고 숙련이 필요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그리하여 예를들면 부녀자들도 2륜자동차를 쉽게 운전할 수 있도록 중량이 가볍고 소형화되게, 또한 싼 값으로 제공하고져 기도하여 이에 대한 시동장치로서 전기한 두 가지 방식을 검토하였던 바 시동전동기 방식에서는 코스트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었고 킥페달 방식에서는 부녀자등이 조작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가볍고, 작은형의 것으로 부녀자등에도 쉽게 운전하며, 조작할 수 있는 2륜자동차를 제공하고져 전기한 엔진 시동장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것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도록 일본국특허출원 소화 50-102734호 등으로 나선형 스프링에 의한 축력방식의 엔진 시동장치를 제공하였다.
이것은 페달아암과 같은 조작멤버를 힘차게 밟는 등의 조작으로 나선형스프링을 세게돌려감은 다음 나선형 스프링의 축력을 해제함에 따라 크랭크축을 강제적으로 회전하게 하여 엔진의 시동을 걸게 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킥페달방식과 틀려서 간단히 발로밟는 축력한 다음의 레버조작등에 의한 축력해제 조작에 따라 엔진의 시동을 걸수 있기 때문에 부녀자들도 용이하게 또한 2확실하게 2륜자동차에 있어서의 엔진의 시동조작을 걸수 있을뿐 아니라, 시동전동기 타잎의 시동장치에 비하여 극히 싼값으로 얻을수 있다.
이 나선형 스프링의 축력으로 엔진시동 장치에서 엔진의 시동조작이 끝나면 스프링의 축력은 소멸되므로 다시 시동을 걸정우에는 페달조작등으로 다시금 축력조작 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따라서 킥페달방식에 비하여 그 조작성은 용이하게 되었으나, 시동전동기 타잎의 시동장치에 비교하면 손이 많이 가므로 2륜자동차를 작은형으로 하고, 가볍게 하여 부녀자들도 용이하게 운전조작할수 있도록 할 것을 고려한다면, 전기한바 재시동하는 경우의 조작을 가일층 간단하게 하고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와같은 2륜자동차용의 엔진뿐 아니라 널리사용하고 있는 엔진과 같은 소형엔진에 있어, 나선형 스프링 축력방식인 전기한 시동장치를 사용하였을 경우, 재시동을 할 때 스프링을 세게 돌려감는 조작을 하지 않아도 재시동조작을 할 수 있다면 그야말로 편리한 것이며, 엔진을 사용하는 조작에 있어서도 유리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나선형 스프링의 축력으로 엔진을 시동시키도록한 엔진 시동장치에 있어서, 이상과 같은 문제점에 비추어 이것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도록 본 발명을 성취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하는 바는 엔진을 다시 시동할 때 페달조작과 같은 나선형 스프링의 축력조작을 하지 않고도 레버조작과 같은 간단, 신속한 조작으로 엔진의 재시동을 걸수 있도록한 새로운 엔진의 시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하는 바는 시동조작으로 해제된 나선형 스프링을 엔진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스프링을 돌려 감게 하므로 미리, 특별히 스프링을 세게 돌려감는 조작을 하지 않아도 되며, 나선형 스프링 출력방식의 엔진시동장치에 있어 다시 시동하는 조작을 극히 용이하게 편리하게한 엔진의 시동장치를 제공하였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작은형이고, 가벼운 2륜 자동차의 시동장치로서 사용함에 따라 이의 운전 또는 조작성을 한층 편리하게 또한 용이하게 하여 부녀자들도 용이하고도 안전하게, 확실하게 운전 조작 할 수 있는 2륜자동차의 엔진 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또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가장 적합한 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1)은 자동이륜차에 실리는 동력부로서, 동력부의 엔진(2)과 뒤차바퀴(3)사이에는 동력전달 장치 케이싱(4)을 개재시켰으며, 이 케이싱(4)안에는 동력전달기구 및 본 발명에 관한 시동장치를 내장하고 있다.
엔진(2)의 크랭크축(5)의 케이싱측의 단부에는 널리알려진 원심 클러치(6)가 마련되었는데, 이 원심 클러치(6)는 단부쪽의 입력멤버(7)와 이와 대립하는 출력멤버(8)로 구성되었으며, 크랭크축(5)의 회전력은 원심클러치(6)의 출력멤버(8)에 마련한 구동스프러킷(9), 체인(10)을 개재하여 뒤차바퀴차축(11)에 인접하여 마련한 감속스프러킷(12)에 전달되고, 이와같은 축(13)에 마련된 기어(14)와 차축(11)에 마련된 기어(15)와의 톱니바퀴가 서로 맞물려서 뒤차바퀴(3)는 구동한다.
케이싱(4)의 크랭크축(5)단부와 대면하는 보스부(16)에는 나선형 스프링의 감는 멤버와 축력을 해제하는 출력멤버를 겸하는 통축(筒軸)(17)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물리고, 이 통축(17)의 축방향으로 케이싱 안쪽벽 쪽에는 나선형 스프링(21)의 한끝을 연결고착 하였으며, 이 스프링(21)의 다른끝을 케이싱(4)의 내벽부분에 연결고착 하였다. 통축(17)의 축방향으로 중간부에는 피동스프러킷부(18)를 마련함과 동시에, 나선형 스프링(21)이 튀어나오는 것의 방지를 겸한 지지멤버(17a)의 한끝을 억제하며, 다른끝을 케이싱(4)에 고착 하였다.
나아가서 전기한 크랭크축(5)의 원심 클러치(6)의 입력멤버(7)와 대면하는 끝부분에는 톱니바퀴(19)를 마련하고, 원심클러치(6)의 입력멤버(7)에는 이 톱니바퀴 (19)와 물리는 톱니(20)를 마련하였는데, 이 톱니(20)는 전기한 나선형 스프링(21)의 축력을 해제할때에만 래칫부(톱니바퀴부분)(19)와 물려서 크랭크축(5)으로 입력하며, 엔진의 시동이 끝나면 크랭크축(5)의 구동으로 전기한 톱니바퀴(19)와의 물림을 해제하는 방법은 원심력 해제방식으로 하였다.
이상의 크랭크축(5)을 시동하게하는 나선형 스프링(21)의 축력기구와 뒤차바퀴(3)의 동력전달, 감속기구(11)∼(15)사이에 나선형스프링(21)의 돌려감는 축력기구와 축력해제기구를 마련한다.
케이싱(4)의 전기한 기구사이의 좌우측면 벽사이에는 조작축(22)을 회전할 수 있도록 가설축(架設軸)으로 지지하며, 가설축의 한쪽끝을 케이싱(4)의 바깥쪽으로 늘려내서, 이 늘려낸 연장부분에 조작용의 페달아암(23)을 연결고착 한다. 이 조작축(22)에는 제2도 및 제5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다음의 기구를 설치한다.
케이싱(4)안의 조작축(22)의 축방향의 중간부에는 맞물린 클러치 타잎의 피동클러치멤버(24)를 개재하여 전기한 나설형 스프링 구동용 스프러킷(25)이 마련되어 있다. 피동클러치멤버(24)는 조작축(22)의 해당위치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물려서 축방향으로 이동은 제한되었으며, 조작축의 외주중간부에 스프러킷(25)이 일체가 되도록 고착되었는데, 이것은 전기한 나선형 스프링(21)의 피동스프러킷부(18)에 체인(26)을 개재하여 연결하고 있다.
이 피동클러치멤버(24)의 축방향으로 양면에는 톱니(27), (28)가 형성되었는데, 이 톱니(27), (28)는 한쪽방향 클러치를 구성하도록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었으며, 또한 피동클러치멤버(24)의 축방향 양쪽에는 전기한 톱니(27), (28)가 맞물려서 한쪽방향으로만 회동할 수 있도록 설정한 톱니(29), (31)을 구비한 구동 클러치멤버(30), (32)가 마련되어 있다.
인위적 축력조작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구동클러치멤버(30)는, 피동클러치멤버(24)의 전기한 페달아암(23)쪽에 스플라인 감합등에 따라 축방향으로 접등할 수 있게하며, 또한 회전방향으로 일정한 규정에 따라 마련되었고, 언제나 클러치 스프링(33)을 사용하여 피동클러치멤버(24)방향으로 탄력가압되어, 톱니(27)과 (29)로 맞물리도록 구성하였다. 또, 전기한 조작축(22)은 백스프링(34)으로 지지되었으며, 발로 힘차게 밟는 페달아암(23)을 항상 일정한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력가압하고 있다. 또, 제1구동 클러치멤버(30)의 외주 적당한 곳에는 제3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캠(35)을 마련하여 이것을 케이싱(4)의 내벽의 해당 인접위치에 마련한 안내캠절편(36)에 물리게한다. 페달아암(23)을 내려밟고, 즉 조작축(22)의 시계방향 회전시에 회전각 변화로 캠(35)이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하여 안내 캠절편(36)으로부터 분리하며, 클러치스프링(33)의 작용으로 피동클러치멤버(24)쪽으로 접동하여 톱니(27), (29)가 서로 맞물려서 페달아암(23)의 상하동에 의한 조작축(22)의 간혈적 회전을 피동클러치멤버(24)에 전달하고, 나아가서 구동스프리킷(25)에 이 간혈적인 회전운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조작축(22)의 백스프링(34)에 의한 복귀역전(復歸逆轉)다시말하면 페달아암(23)을 밟는 힘이 해제될 때에는 조작축(22)과 일체가 되도록 이 구동클러치멤버(30)는 거꾸로 회전하게 되어, 캠(35)이 안내캠절편(36)과 물려서 축방향으로 후퇴하게 되며 톱니(27)과 (29)의 물림은 해제되고, 즉 피동클러치멤버(24)와 구동클러치멤버(30)는 이탈하여 절연되며, 보통때는 유리상태이다.
조작축(22)에 인접하여 평행으로 중심축(37)을 마련하며, 이 중심축(37)의 중간부에는 통축(38)을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감착하고, 이 통축(38)의 외주에는 스토퍼(39) 및 조작아암(40)을 고착한다. 스토퍼(39)는 제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구동스프러킷(25)과 스프링탄력 가압작용 등으로 언제나 물리고 있는 톱니모양의 것으로 하여 축력하는 나선형스프링의 작용에 의한 스프러킷(25)의 거꾸로회전을 저지하며, 또한 시계방향의 회전만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같은축에 마련된 조작아암(40)은 연장부분(41)을 개재하여 조작멤버(42)에 물리도록 구성되었으며, 또 조작멤버(42)는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2의 구동 클러치멤버(32)의 이탈수단을 겸하기 때문에 선단부에 이탈용 돌기부(43)를 미리 마련하여 둔다. 조작멤버(42)는 인접하여 마련한 또다른 중심축(44)의 조작아암(45)에 물리어 있으며, 이 중심축(44)은 제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페달, 혹은 레버등에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한 해제아암(46)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아암(46)의 해제 방향의 요동에 따라 중심축(44)을 제5도의 화살표(C)방향으로 요동하게 하고, 조작아암(45)은 화살표(D)방향으로 요동하며, 이에따라 아암(40)을 연장부분(41)과의 돌림으로 요동하게 한다.
이 결과 같은축의 스토퍼(39)는 해제방법으로 요동하여 스프러킷(25)와의 물림을 해제하고, 이것을 포함하는 피동클러치멤버(24)는 해제되며, 축력된 나선형스프링(21)은 풀리게 되므로 축력이 풀려서 통축(17), 톱니바퀴(19), 톱니(20)에 따라 입력멤버(7)를 개재하여 크랭크축(7)을 구동하여 시동을 건다. 또 이상의 구동스프러킷 (25)의 한쪽에는 특히 제5도에서와 같이 나선형스프링(21)의 감기는 회전각을 규제하는 규제멤버(47), (48)가 마련되었는데 한쪽을 감길때의 각도 규제멤버(48)로 하고, 다른쪽을 풀릴때의 각도 규제멤버(47)로 하였으며, 이 규제멤버(47), (48)의 궤도자국상에는 쿠션유닛(49)이 마련되어 있다.
이 각 규제멤버(47), (48)은 제5도의 상태를 기점으로 하여 전기한 구동클러치멤버(30)의 구동에 의한 스프러킷(25)의 화살표(b)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한쪽 규제멤버(48)가 쿠션유닛(49)을 규제하는 규제아암(49a)에 도시한(a)의 각도에서 맞부딪쳐서 스프러킷(25)의 회전각을 규제하고, 즉 나선형스프링(21)의 감기는 때의 회전각을 규제하여 이 위치에서 감는 조작을 끝나게 한다. 또, 전기한 스토퍼(39)의 해제로 스프러킷(25)이 축력을 풀어줌에 따라 거꾸로 회전의였을 경우, 다른쪽 규제멤버(47)가 쿠션유닛(49)의 규제아암(49a)에 도시한 바와같이 맞부딪쳐서 풀릴때의 되돌아오는 회전각은 규제를 받게되며, 위의 각 멤버(47), (48)가 맞부딪치는 것을 완충하여 주기 위하여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유닛을 쿠션고무(49bb)로 지지하였다.
다음에 자동축력조작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기한 제2의 구동클러치멤버 (32)에는 구동아암(50)을 일체가 되게 마련하고, 이 아암(50)의 일부를 감속스프러킷 (12)의 지축(13)방향으로 늘려내고, 이 연장부분(51)의 단부가 지축(13)에 걸리도록 하여 나중에 설명하는 캠(52)과 물리도록 설정한다. 이 지축(13)에는 감속스프러킷 (12)와 일체가 되도록 회전을 구동하는 캠(52)을 감착 하였으며, 도시예에서는 스프러킷(12)의 보스부에 캠(52)을 일체가 되게 마련하였다.
이 구동아암(50)이 있는 제2의 구동클러치멤버(32)는 피동클러치멤버(24)의 전기한 클러치멤버(30)와는 반대쪽에 마련되었으며, 조작축(22)에 대하여는 회전이 자유롭도록 하고, 클러치스프링(53)으로 피동클러치멤버(24)의 해당측면으로 탄력가압되어, 톱니(28), (31)은 맞물렸는데, 보통때는 맞물린 상태이다.
이 구동아암(50)의 일부에는 전기한바 연장부분(51)과는 별도로 절연용의 돌출부(54)가 마련되었으며, 이 돌출부(54)에는 제4도와 같은 계단형요부(55)를 형성하였으며, 이 요부(55)에는 전기한 조작멤버(42)의 선단에 형성한 돌기부(43)가 물리어 있다.
또 전기한 구동스프러킷(25)의 규제멤버(47), (48)가 있는 측면에는 나선형스프링(21)의 자동으로 감기는 해제멤버(56)가 마련되었는데, 이 멤버(56)는 축방향으로 돌출하였으며, 전기한 구동아암(50)의 연장부분(51)의 기부(51a)와 나선형 스프링(21)의 감기는 회전각 규제위치 근방에서 맞부딪치도록 설정한다.
이 제2의 구동클러치멤버(32)는 엔진의 구동에 의한 주행이나 관성주행시에 나선형스프링(21)의 감기는 작동을 한다. 즉, 엔진이 시동되면 그 구동으로 감속스프러킷 (12)은 회전하며, 캠(52)은 회전구동 한다.
이에따라 구동아암(50)은 그 연장부분(51)에서 캠(52)과 물려있으므로 조작축(22)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요동한다. 이 요동아암(50)과 일체로된 제2의 구동클러치멤버(32)는 시계방향으로 일정한 회전각만큼 간혈적으로 회전하며, 이 클러치멤버(32)의 간혈적인 회전력은 톱니(31), (38)의 맞물림으로 피동클러치멤버(24)에 전달이 되어, 이것을 일정한 회전각만큼 시계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하게 하고, 즉 나선성스프링(21)을 스프러킷(25), (18)을 재개하여 축력하는 방향으로 돌려 감는다.
구동아암(50)이 반대방향으로 요동할때는 전기한 클러치멤버(24), (32)가 원웨이클러치이기 때문에 시계방향만의 회전력이 전달이 되고, 역 시계방향으로는 스프링(53)에 저항하여 구동클러치멤버(32)는 축방향에서 이탈하는 쪽으로 빠져나가게 되며, 이렇게하여 시계방향의 회전력전달은 원활히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반복하여 구동스프러킷(25)은 순차 시계방향으로 간혈적인 회전을 하여, 즉 제5도 화살표(B)방향으로 간헐 회전을 하고, 전기한 규제멤버(48)가 나선형스프링(21)의 감기는 규제각도로 접근하여 감기는 작업이 종점에 도달하면, 전기한 해제멤버(56)가 구동아암(50)의 연장부분의 기부(51a)와 부면에 이르게되어, 제5도에서와 같이 아암(50)을 위쪽으로 들어올리면 캠(52)와 물리는 연장부분(51)의 선단은 상승하게 되고, 캠(52)과 아암(50)은 분리되며, 캠(50)에 의한 동력의 전달은 해제되어, 제2구동클러치멤버(32)에 의한 구동은 정지한다.
이 회전각으로 전기한 규제멤버(48)는 도시(e)의 위치에 이르게 되며, 나선형스프링(21)의 감기는 작동이 정지한다. 그 다음으로 엔진의 구동은 감속스프러킷(12) 및 캠(50), 나아가서 지축(13)을 개재하여 뒤차바퀴(3)에만 전달되어, 나선형스프링 (21)의 축력작동과는 절연되고, 통상의 운전과 주행만을 한다.
위에서 엔진의 구동으로 감기는 작동을 하는 스프러킷(25)은 전기한 스토퍼(39)로 규제되어서 시계회전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고, 거꾸로 회전은 저지되어 자동적으로 감아들어 가는 작동을 끝까지 간혈적으로 회전하면서 감음과 동시에 자동으로 감기는 작동을 할 때, 페달아암(23)으로 조달축(22)을 개재하여 구동하는 제1구동클러치멤버(30)는 전기한바에 따라 피동클러치멤버(24)와 벌어진 상태에 있다. 또 제2의 구동클러치멤버(32)는, 제1의 구동클러치멤버(30)로 입력조작을 할 때 조작축(22)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또한 접동이 자유롭도록 감착되었으며, 스프링(53)으로 탄력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축방향으로 접동하며, 톱니(31), (28)은 맞물렸다. 벌어졌다 하는 것을 반복하고 있다.
이와같은 자동적으로 감기는 작동을 하여 세게 돌려감아서 축력한 나선형스프링(21)의 해제, 즉 시동조작은 전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전기한 바와같이 레버페달조작 등으로 조작아암(45)을 제5도 화살표(C)방향으로 요동시키고, 조작멤버(42)를 화살표(D)방향으로 요동시켜서, 전기한 스토퍼(39)와 구동스프러킷 (25)의 물림을 해제하고, 피동클러치멤버(24)를 포함하는 구동스프러킷(25)을 해제하며, 이것과 체인(26)으로 연결된 피동스프러킷(18)을 포함하는 나선형 스프링(21)의 축력기구를 해제하는 것이나, 이에앞서 다음과 같은 조작이 이루어진다. 즉, 조작멤버 (42)의 요동으로 조작아암(40)의 연장부분(41)과 물리기 이전에 이탈용 돌기부(43)가 제4도 화살표(E)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돌기부(43)가 계단형요부(55)를 지나서 구동아암(50)의 돌출부(54)의 평면부(54a)에 올라가서, 즉, 장애물에 걸려 움직일 수 없게 되고, 따라서 이 돌출부(54)를 포함하는 구동아암(50)을 제2의 구동클러치멤버(32)와 일체가 되도록 축방향으로 스프링(53)에 저항하여 후회하게 되면, 이 클러치멤버(32)는 피동클러치멤버(24)로부터 벌려지게 된다. 그런다음에 스토퍼(39)는 구동스프러킷(25)에서 해제되며, 나선형스프링(21)이 풀리고 엔진시동이 걸리며, 제2의 구동클러치멤버(32)는 보호된다. 또 이 엔진의 시동할때는 전기한 제1의 구동 클러치멤버(30)는 전기한 바와같이 벌려져 있기 때문에 시동은 지장없이 이루어진다.
이 엔진의 시동으로 전기한 바와같이 캠(52)에 따라 구동아암(51)을 개재하여, 제2의 구동클러치멤버(32)는 입력이 되어지며, 나선형스프링(21)의 축력작동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으며, 이것을 재시동할때마다 반복하되 재시동시에는 엔진의 시동미스가 없는한 축력해제 조작만으로 엔진의 시동을 걸 수 있다. 제6도∼제8도는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 실시예는 전기한 톱니바퀴를 대신하여 유성기어 기구를 이용한 것이다.
조작축(22)에는 평탄한 스프러킷(125)을 보스멤버(124)를 개재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감합하였으며, 이 스프러킷(125)은 체인(26)을 개재하여 이미 설명한 나사형스프링(21)의 스프러킷부(18)와 연결하고 있다.
또 조작축(22)위에는 스프러킷(125)과 동축에 이와 대면하는 것과 같이 허브(100)를 회전할 수 있도록 감착하고 있으며, 이 허브(100)는 이의 선단을 지름이 작게하고, 보스멤버(124)방향으로 연장하여 태양기어(101)를 일체가 되도록 형성한다. 이 태양기어(101)둘레에는 도시한 제7도와 같이 3개의 유성기어(102)……를 등각거리로 배설하여 맞물리게 한다. 유성기어(102)……는 스프러킷(125)의 보스멤버 (124)에 핀(103)을 개재하여 축에 고정되었으며, 이 유성기어(102)……의 외주에는 링기어(104)를 배설하여 맞물리고, 이것을 허브(100)와 보스멤버(124)사이에서 옆에 끼는 것과 같이 구성하였는데, 이 유성기어(102)……의 허브 측단면은 누루는 링(105)과 핀(103)의 결합으로 지지한다.
링기어(104)의 외주에는 요철형(凹凸型)톱니(104a)……를 형성하고, 이에 스토퍼(139)를 물리게 하여 링기어(104)를 평상시에는 고정한 상태로 하며, 스토퍼(139)는 스프링(138)으로 탄설 방향으로 탄력가압되어서 중심축(37)에 고정되며, 중심축(37)은 이에 고정한 조작멤버(42)와 중심축(44)에 고정한 조작아암(45)이 물려서 회전을 규제하며, 또는 이미 설명한 조작으로 해제하는 작동을 한다.
조작축(22)의 허브(100)를 감착한 부분의 외주에는 제8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톱니바퀴(105)를 형성하고, 허브(100)의 안쪽 직경부분에는 요부(凹部)(100a)를 형성하여 톱니(106)를 수납하며, 이 톱니(106)는 스프링(107)에 의하여 물리는 방향으로 탄압하여 원웨이클러치를 구성한다.
따라서 조작축(22)의 페달아암(23)을 힘차게 밟아서 이것과 일체가 되도록 톱니바퀴(105)를 제8도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허브(100)와 일체로된 태양기어(101)가 회전구동 되면, 유성기어(102)는 링기어(104)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전하면서 공전하며, 이것과 일체로된 스프러킷(125)을 회전시켜 체인(26)을 개재하여서 나사형스프링(21)을 돌려감아서 축력한다. 페달아암(23)의 해제로 조작축(22)은 리턴스프링(34)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톱니(106)는 톱니바퀴(105)와 물리지 않는다.
나사형스프링(21)의 축력에 의한 반동력은 링기어(104)의 스토퍼(139)에 의한 고정과 나중에는 설명하는 로울러 클러치기구에 의한 허브(100)의 역회전을 태양기어(101)의 고정으로 저지하며, 위에서와 같은 축력조작을 반복하면 나사형스프링(21)은 축력이 되는 것이다.
스프러킷(125)의 보스멤버(124)에는 감기는 회전각 규제부(148)가 일체가 되도록 설치되었으며, 이것이 쿠션유닛(49)의 스토퍼(49a)에 접촉하여 나선형스프링 (21)의 감아들어가는 량을 규제한다.
이상과 같은 과정으로써 인위적인 축력조작 기구를 구성한다. 다음에 자동적인 축력조작 기구를 설명하면 허브(100)의 외주에는 링형의 케이스(108)를 감착 하였으며, 이 케이스(108)는 한쪽끝을 연장하여 스토퍼(109)에 접촉하게 하고, 스토퍼(109)와 물리는 연장단부(108a)와의 사이에는 케이스(108)를 적은 범위로 요동시켜 나중에 설명하는 로울러 클러치 이탈용의 공간(ΔS)이 마련되어 있다.
이 케이스(108)의 내부 둘레에는 방사상으로 테이퍼 요부(110)…를 여려개 도면에서는 3개가 설치 되었으며, 이 요부(110)에는 로울려가 내장되 어있으며, 로울려(111)는 스프링(112)으로 물리는 방향으로 탄압되어서 내장(內裝)되므로 원웨이의 로울려 클려치기구를 구성한다.
로울려 클려치 기구의 로울러(111)는 허브(100)의 외주와 접하고, 허브(100)의 제8도중의 시계방향의 회전은 스프링(112)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며, 전기한 나선형 스프링(21)의 축력에 의한 반동력으로 허브(1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하여도 로울러(111)가 요부(110)의 테이퍼면에 고정하고, 허브(100)의 역회전을 지지한다.
이 케이스(108)에 인접하여 이와 평행으로 허브(100) 외주에는 요동(搖動) 암(150)의 링부(150a)를 감착(嵌着)하고, 이 링부(150a)의 내주에는 전기한 것과 마찬가지의 테이퍼 요부(113)…를 형성하고, 이에 로울러(114)를 스프링(115)에 의하여 물리는 방향으로 탄압하여서 내장하며, 로울러 클러치기구에의한 원웨이클러치를 구성한다.
아암(150)의 선단부는 전기한 실시예와 같이 캠(52)과 물리게 하여, 도면중의 (116)은 아암(150)을 캠(52)에 탄력접속시켜, 요동작동을 확실하게 하는 스프링이다.
캠(52)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엔진의 동력으로 구동되며, 이에따라 아암(150)은 제8도중의 시계방향으로 일정한 행정(行程)으로 요동하고, 이 아암(150)의 요동으로 로울러(114)는 요부(150)의 테이퍼면과 허브(100)의 외주에서 고정되며, 허브(100)를 일정한 회전각 만큼 회전 시키며, 전기한 바와같이 태양기어(101)를 회전 시키면서 유성기어(102)와 일체로된 스프러킷(125)을 축력하는 방향으로 감는다.
이때에 케이스(108)의 보울(111)은 빠져 나가려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허브(100)의 회전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아암(150)의 복귀행정에 있어서는 로울러(114)가 요부(113)의 테이퍼면과 허브(100)와의 물림을 해제하며, 또한 전기한 바와같이 허브(100)는 케이스(108)의 로울러 클러치 기구로 고정되었으므로, 나선형 스프링(21)의 축력에 의한 반동력은 케이스(108)에서 받게되는 행정으로서 이상과 같이 반복하므로써 순차 축력된다. 나선형 스프링(21)의 감기는 종료(終了)는 인위적 조작기구와 마찬가지로 규제멤버(148)가 쿠션유닛(49)의 스토퍼(49a)에 맞부딪치며, 맞부딪칠때에 규제멤버를 들어올려, 쿠션유닛(49)에 일체가 되게 마련한 해제핀(117)이 아암(150)의 하부면에 맞부딪쳐서 규제멤버를 들어올리게 되어, 캠(52)과 아암(150)의 물림은 해제되고, 감기는 종료시에 아암(150)은 캠(52)과 절연된다.
이상의 인위적조작, 혹은 자동조작에 의한 나선형 스프링(21)의 감기는 작업이 끝난다음, 엔진을 시동시키는 경우에는 손놀림 조작등으로 케이블 등을 개재하여 중심축(44)을 구동시키고, 아암(45), 조작멤버(142)를 개재하여 중심축(37), 스토퍼(139)를 제7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링기어(104)와 외주 요부(104a)와 스토퍼의 물림은 해제되며, 링기어(104)는 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유성기어(102), 핀(103), 스프러킷(125)은 풀리게 되고, 나선형 스프링(21)은 해제되어서 전기한바에 따라 엔진시동을 건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유성기어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시동을 해제하는 기구를 1개소로 하고, 이에 따라 전기한 실시예의 인위조작 및 자동조작 시스템을 동시에 이탈시키는 기구는 불필요하다. 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울러 클러치등의 마찰클러치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소음이 적은 감는 기구를 얻을수 있다.
이상에서 제2실시예에 관한설명을 하였으나, 원웨이 클러치기구는 상기한 수단으로 국한한 것이 아니다.
이상의 설명으로 명백한 바와 같이 페달아암 조작과 같은 인력조작으로 나선형 스프링을 감아 축력에 의하여 동시에 엔진을 시동한 다음에는 이의 출력으로 해제된 나선형 스프링에 축력하고, 재시동시에 이 자동축력 작동으로 얻은 축력을 이용하여 엔진을 재시동하는 수단으로 이것을 반복한다. 따라서 재시동시에 시동미스가 발생하지 않는한, 단순히 축력해제 조작으로 엔진을 시동할 수 있으며, 시동전동기와 마찬가지로 극히 간단한 조작만으로 이루어진다.
이상 도시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술하였는바, 도시예와 같이 클러치수단에 국한 하지 않고, 마찰 클러치 수단, 그밖의 적당한 클러치 수단을 채용할 수 있으며, 또 클러치 수단의 이탈수단도 도시에 한정하지 않고,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고속 스프링기구, 그 밖의 적당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또 나선형 스프링을 세게 돌려 축력하는 엔진 출력을 탐지하는 수단은 전기한 바와 같이 캠수단에 국한하지 않으며, 다른 적당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또 도시예에서는 2륜자동차의 엔진 시동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한 것이 아니라 경운기용 엔진, 고정설치용 엔진등의 각종 엔진의 시동장치에 사용할 수 있음은 두말할 것 없다.
이상으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나선형 스프링의 축력작용으로 엔진의 시동을 걸수 있도록 한 엔진 시동장치에 있어 인위적 축력기구와 엔진의 구동출력을 이용한 자동축력 기구를 함께 갖추어 가지고 엔진 시동후 자동적으로 나선형 스프링을 감아서 축력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재시동시에 이 축력을 해제하여 줌에 따라 엔진의 시동을 걸수 있고, 따라서 시동 전동기 타입과 같이 레버조작등의 간단한 조작으로 재시동을 걸수 있게 되는 것이고, 특히 가볍고, 작은형의 2륜자동차에 시동장치로서 사용하였을 경우 이의 시동조작을 획기적으로 간편하게, 용이하게 하여서 부녀자들도 극히 용이하게 운전 또는 조작을 걸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나선형 스프링의 축력기구로서 엔진의 구동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미리 특별한 축력조작등을 일체 필요로 하지않으며, 엔진의 구동, 2륜자동차의 운전 및 주행으로 자동적으로 감겨서 축력이 되며, 대단히 편리함과 동시에 시동미스등이 있다 하여도 인위적 축력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이에 따라 엔진의 시동을 걸수 있고, 두가지를 서로 어울려서 엔진의 시동장치, 2륜자동차의 실용성, 간편화를 가일층 향상시켜 준다.
또 이상의 인위적 축력기구도 페달아암등에 의한 조작기구를 또 자동축력기구도 엔진의 회전축에 실시예와 같이 캠등의 출력탐지, 동력전달 기구를 마련하기도 하여 각각의 기구에 간혈 이송기구, 원웨이클러치 수단을 마련하므로서 목적을 달성하였으며, 따라서 기구적으로 짜서 맞추어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도 간단할뿐 아니라, 작동하는 것도 확실성 있는 것이며, 따라서 싼값으로 시동 전동기와 마찬가지의 자동식 시동장치를 얻을수 있어서 그 효과가 매우 현저하다.

Claims (1)

  1. 케이싱안에 일단이 지지된 나선형 스프링의 타단에 연결한 축력해제 축력멤버를 겸비한 구동력에 따라 회전하는 파이날축과 상기한 감는 멤버와의 사이에 배설된 조작축과, 이 조작축의 회전이 자유롭도록 장착함과 동시에 감는 멤버와 연결하는 구동 스프러킷을 구비한 전달멤버와, 인위적 조작에 의한 조작축의 회전을 전달멤버에 전하는 클러치 기구와, 엔진 구동력에 의한 파이날축의 회전을 캠기구를 개재하여 전달멤버에 전하는 클러치 기구와, 상기한 구동 스프러킷에 접촉하여 복귀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와, 이 접촉상태를 해제하는 수단과, 인위 및 자동으로 스프링을 감는 조작에 의한 구동 스프러킷의 일정 이상의 회전을 규제하는 멤버로 구성된 자동 2륜차용 엔진의 시동장치.
KR7700712A 1977-03-23 1977-03-23 자동 2륜차용 엔진 시동장치 KR820000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712A KR820000759B1 (ko) 1977-03-23 1977-03-23 자동 2륜차용 엔진 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712A KR820000759B1 (ko) 1977-03-23 1977-03-23 자동 2륜차용 엔진 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759B1 true KR820000759B1 (ko) 1982-05-04

Family

ID=19204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0712A KR820000759B1 (ko) 1977-03-23 1977-03-23 자동 2륜차용 엔진 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75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6648A (en) Engine starting device
US4067243A (en) Engine starting device for a motorcycle
KR820000759B1 (ko) 자동 2륜차용 엔진 시동장치
US4096842A (en) Device for winding a spiral spring to start an engine
JPH08276888A (ja) クラッチユニット
JP2521096B2 (ja) 始動装置
US2642055A (en) Engine starter mechanism
JP2694287B2 (ja) 自動二輪車のキック始動装置
US3830110A (en) Engine starting device
JPS6242117Y2 (ko)
JPH063188Y2 (ja) 内燃機関始動装置
JPH0724614Y2 (ja) 内燃機関用始動装置
US3097634A (en) Engine starter
KR830002494Y1 (ko) 자동 2륜차의 엔진 시동장치
JPS633430Y2 (ko)
KR820002660Y1 (ko) 자동 2륜차의 엔진 시동장치
JPS581660Y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S6224573Y2 (ko)
US2528711A (en) Engine starter
JPH0835472A (ja) エンジンの始動装置
JPS6245081Y2 (ko)
JPS5812471B2 (ja) ゲンソクキコウツキスタ−タ
SU50282A1 (ru) Инерционный стартер
JPH0130619Y2 (ko)
JPS6223308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