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2465Y1 - 콘크리트 형틀간격 보지간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형틀간격 보지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2465Y1
KR810002465Y1 KR7701346U KR770001346U KR810002465Y1 KR 810002465 Y1 KR810002465 Y1 KR 810002465Y1 KR 7701346 U KR7701346 U KR 7701346U KR 770001346 U KR770001346 U KR 770001346U KR 810002465 Y1 KR810002465 Y1 KR 8100024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mold
support
frame
concret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1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오 마쯔야마
Original Assignee
오까베 아끼라
오까베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까베 아끼라, 오까베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까베 아끼라
Priority to KR7701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24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24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24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1One-piece elements
    • E04G17/0654One-piece elemen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크리트 형틀간격 보지간
제1도는 본 고안의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의 실시례를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의 실시례를 나타낸 측면도.
제3도는 동 지지체의 측단면도.
제4도는 동 지지체의 대 경부면.
제5도는 동 지지체의 소 경부면.
제6도는 본 고안의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를 장착한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7도는 콘크리트 구축물의 표면에 노출된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의 일부를 결단하여 끝맺은 단면도.
본 고안은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를 장착한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에 있어 콘크리트 형틀 내에 타설한 콘크리트가 고화한 후 콘크리트 형틀을 콘크리트 구축물 면에서 박리한 다음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의 숯나사부를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가 부착된대로 절단하여 구축물에서 제거하고 그 자리에 몰탈을 충전하여 구축물의 표면을 미려하게 끝맺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콘크리트 구축물의 건조에 있어 그 형틀의 조립에는 철선에 의한 긴체공법이 채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경우에는 여러 가지의 결함이 있어 그의 해결이 요구되어 왔으나 상금 만족할만한 것이 없었다. 즉, 철선에 의하여 콘크리트 형틀을 긴체하는 경우에 있어 콘크리트 형틀 상호간의 간격을 결정 보지하기 위하여 수많은 목편이나 철판편등의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재가 사용되어 비경제적이며, 이들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재를 상대되는 콘크리트 형틀 사이에 삽입 고정하는데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또 긴체재의 철선을 긴체할 때 생기는 압압력에 의하여 이들 콘크리트 간격 보지재가 만곡하여 소기의 콘크리트 형틀의 간격 보지가 어렵게 되어 설계대로의 콘크리트 구축물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구축물에 불필요한 콘크리트 와는 이질물의 목편 철판편등을 매설하게 되어 콘크리트 구축물의 강도상의 문제가 생기며, 콘크리트 표면에 목편 철판편이 노출하게 되어 구축물표면을 취약하게 하거나 철판편이 녹슬어서 콘크리트 구축물 외관의 미관을 해침은 물론 누수를 일으키 우려가 있다.
또 한편 콘크리트 형틀을 철선으로 긴체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에 생기는 콘크리트 형틀에 대한 압력에 의하여 철선이 늘어나서 콘크리트 형틀이 부풀며 심지어는 철선이 절단되는 위험마저 종종 있는데 이와 같은 사실은 소기의 설계대로의 콘크리트 구축물을 기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보수를 하게하고 또 콘크리트 타설시의 콘크리트 형틀의 파괴로 인하여 인명을 잃거나 재차 시공하지 않으면 안되었으며, 그럼으로써 방대한 자재와 노력이 필요하며, 공기의 지연을 가져오는 등 불경제적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제결점을 해결하여 콘크리트 구축물의 형틀 간격을 완전하게 보지함으로써 설계대로의 콘크리트 구축물을 간편 신속하게 정확히 시공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철선을 절단하여 콘크리트 구축물의 표면을 몰탈등으로 도포하든지 타일을 붙일필요가 없으므로 수공과 시간 그리고 자재의 절감은 물론 콘크리트 구축물의 내구성을 증대하여 시공후 여러해 경과하여도 콘크리트 자체의 내구성이 유지되는 경제적인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부에 숫나사(2)를 갖고 그 내측에는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5)를 계지하는 스톱퍼(3)를 형성하며 스톱퍼의 내측에 절단용구(4)를 갖는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1)의 전방에 콘크리트형틀 간격 보지간(1)의 삼통공(8)을 천공하고 후방에는 중심에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1)의 숫나사(2)의 외경보다 작은 가상원공(9)을 갖는 탄성재의 좌금(7)을 고착하여서된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5)를 장착한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으로서 미설명 부호 6은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의 본체, 10은 보강용리브, 11은 좌금의 탄성재의 와체 12는 동와체의 절곡부, 13은 동와체의 선단부, 14는 콘크리트 형틀 15는 동형틀에 천공한 구멍, 16은 콘크리트 형틀 체부구, 17은 동체부구 암나사, 18은 동체부구 숫나사, 19는 세로각목제, 20은 가로각목재, 21은 좌금, 22는 너트, 23은 콘크리트, 24는 콘크리트 구축물, 25는 매입용몰탈, 26은 콘크리트 형틀간격 보지간의 비나사부, 27은 동 보지간의 스파나걸이부이다.
본 고안은 실시 상태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 (1)에 장착하는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5)는 반구형의 완성의 형틀 지지체 본체(6)와 그의 형틀 지지체 본체(6)의 외단부에 고착해 있는 탄성재의 좌금(7)으로써 구성되었으며 형틀 지지체본체(6)의 저부 중앙에는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1)에 환합하는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의 삽통공(8)이 천설되었으며, 좌금(7)에는 외부로부터 내방에 향해 복수본의 탄성재 와체(11)가 절입형성되었으며, 그 중앙은 콘크리트 형틀간격 보지간(1)의 숫나사(2)의 나사외경보다 소경인 가상원공(9)으로 되어 있다. 이 탄성재의 와체(11)는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 본체(6)의 고착부에서 동 본체(6)의 내방에 근소하게 굴곡케하고 또 돌출방향으로 거의 중앙에 있어 전기 가상원공(9)과 동심원상에 있어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 본체(6)의 외방에 <상으로 절곡되어 절곡부(12)를 형성하며, 이때 필요에 따라 이 절곡부(12)의 절곡선에 걸쳐 탄성재의 와쳐(11)의 돌출방향으로 장척상의 보강용리브(10)가 형성되었으며, 이 보강용 리브(10)는 탄성재 와체(11)의 돌출방향으로 두줄의 평행절입으로서 그 평행절입의 내측을 절곡부(12)의 압압형성한 구성으로서 탄성재의 와체(11)의 탄성력을 보강하며 절곡부(12)의 내측에 편평한 장척탄성판을 고설시켜도 되고 또는 장척판을 <상으로 굴곡하여도 된다. 또 탄성재의 와체(11)의 선단부(13)는 외방에 향해 절곡되었으므로 콘크리트 형틀 간격보지간(1)에 당접해 있음과 동시에 지지체(5)가 간격 보지간(1)으로부터 빠지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또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5)를 환합하는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1)은 양단부에 숫나사(2)(2)를 나설하여 그 숫나사(2) 내측에 숫나사(2)의 경보다 약간 작은 경으로된 둥근 비나사부(26)와 스톱퍼(3) 절단용구(4)가 인접해 있으므로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5)는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1)의 삽통공(8)으로부터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 (1)의 숫나사 (2)에 감삽되어 그 숫나사(2)는 탄성재의 좌금(7)의 탄성재의 와체 (11)를 후방으로 구부리면서 가상원공(9)에 침입한 탄성재의 와체(11)가 비나사부 (26)에 달하면 탄성재의 와체(11)의 복귀에 의하여 가상 원공(9)의 내경이 숫나사 (2)의 나사외경보다 소경이 되면서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1)의 외주면을 압압고정케하여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5)가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1)으로부터 빠지는 일이 전연없다. 이와같이하여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5)에 콘크리트 형틀(14)을 당접한 경우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5)에 있는 삽통공(8)의 내주면은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 (1)의 무나사부의 둥근면이 지지되어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5)는 경사지는 일이 없이 콘크리트 형틀(14)을 수직으로 지지한다. 이와같은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 (1)과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5)는 제6도에서 표시하는 바와같이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1)의 숫나사(2)에 나합한 암나사(17)를 갖는 콘크리트 형틀 체부구(16)와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5)의 사이에 콘크리트 형틀(14)을 협지고정하고 또 콘크리트 형틀 체구부(16)외단부에 좌금(21)과 너트(22)로써 나체하는 세로각목재(19) 가로각목재(20)에 의하여 콘크리트 형틀(14)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와같이 조립된 콘크리트 형틀(14)(14)사이에 콘크리트(23)를 타설하며, 콘크리트가 고화한후 콘크리트 형틀(14)의 F제거하면 콘크리트 구축물(24)로부터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1)의 외단부가 돌출하여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5)가 콘크리트 구축물(24)면에 매입된 상대가 되므로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1)의 외단부를 여러번 절도함으로써 절단용구(4)에서 절단되어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5)는 스톱퍼(3)에 결합된체로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1)의 외단부와 함께 빠져나와 콘크리트 구축물 (24)면에 생긴 반구형의 요부에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매입용몰탈(25)을 충전하여 평탄하게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는 반구형의 완상을 갖는 형틀 지지체 본체의 중앙에 상기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의 스톱퍼에 계합하고 또 숫나사부를 관삽하는 원공을 천설하고 형틀 지지체 본체의 외단부근에 외주로부터 내방에 향해 돌출함과 동시에 그의 중앙에 상기 숫나사의외경보다 소경인 가상원공을 남기고 복수의 탄성재의 와체를 만들고 그 탄성재의 와체를 절곡케하여 동지지체를 밀어 넣기만 하면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의 단부에 장착할 수 있으며 또 장착후에는 용이하게 빠질 염려가 없으며 콘크리트 형틀 조립작업에 있어 콘크리트 형틀을 안전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을뿐 아니라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를 회수하여 여러번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의 콘크리트 형틀 간격보지간으로서 콘크리트 구축물 표면에 생긴 반구형의 요부에 매입용몰탈을 충전하여 콘크리트 구축물 면을 평탄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본 고안에 있어서는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 본체(6)의 일측에 간격 보지간(1)의 숫나사(2)의 외경보다 작은 가상원공(9)을 갖는 탄성재 좌금(7)을 관착함으로서 콘크리트 타설시에 지지체(6) 내부공간에 몰탈이 침입하지 아니할 뿐 아니라 탄성의 가상원공(9)이 보지간(1)에 긴체되어 지지체본체(6)가 움직이지 아니하며, 그러므로서 콘크리트 고화후에 그 부분에 정확한 공간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탄성제 좌금(7)이 지지체본체(6)에서 분리될 수 있는 것이어서 콘크리트 고화후 보지간(1)의 절단용구(4)부분을 절곡하여 절단할 때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절단 용구(4) 부분의 절단 작업이 종래의 것보다 더욱 용이한 것이다.

Claims (1)

  1. 단부에 숫나사(2)를 갖고 그의 내측에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5)를 계지하는 스톱퍼(3)를 형성하고 스톱퍼의 내측에 절단용구(4)를 갖는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1)에 콘크리트 형틀 지지체 본체(6)의 삽통공(8)을 끼워서된 종래의 것에 있어서 그 지지체 본체(6)의 하선단에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1)의 숫나사(2)의 외경보다 작은 가상원공(9)을 갖는 탄성재의 좌금(7)을 관착하여서된 콘크리트 형틀 간격 보지간.
KR7701346U 1977-02-25 1977-02-25 콘크리트 형틀간격 보지간 KR8100024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1346U KR810002465Y1 (ko) 1977-02-25 1977-02-25 콘크리트 형틀간격 보지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1346U KR810002465Y1 (ko) 1977-02-25 1977-02-25 콘크리트 형틀간격 보지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2465Y1 true KR810002465Y1 (ko) 1981-12-26

Family

ID=19204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1346U KR810002465Y1 (ko) 1977-02-25 1977-02-25 콘크리트 형틀간격 보지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24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86370A (en) Re-usable hoisting insert for concrete slab
KR810002465Y1 (ko) 콘크리트 형틀간격 보지간
KR101696070B1 (ko)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20090020960A (ko) 서포트용 소켓 및 그 제조방법
JPS6122088B2 (ko)
JPS5916605B2 (ja) 順次流込まれるコンクリ−トあるいは鉄筋コンクリ−ト構造部材の結合素子
KR101195858B1 (ko) 단열재 고정장치
KR100791026B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JP3942726B2 (ja) ドレイン本体の固定装置
JPH0880516A (ja) 抜き中子を有するブロック用型枠
KR100583773B1 (ko)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대
JP2703153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40685Y2 (ko)
JPH09328806A (ja) 樹脂製溝
JPH024202Y2 (ko)
JPH05133199A (ja) 止水板の設置方法
JP3734209B2 (ja) 型枠用セパレーター
KR200436397Y1 (ko) 알루미늄폼용 수평지지대 고정구
JPH0248539Y2 (ko)
JPH0633672B2 (ja) 大型建材
JP3942735B2 (ja) ドレイン本体の固定装置
JPH0354887Y2 (ko)
KR100512881B1 (ko) 거푸집 지지구조 및 고정구
JP4800499B2 (ja) 型枠保持具
CN113216618A (zh) 水平作动器埋件面板槽的支模结构及其施工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