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2103Y1 - 걸쇠 및 턱쇠를 가진 피아노 프레임 - Google Patents

걸쇠 및 턱쇠를 가진 피아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2103Y1
KR810002103Y1 KR2019800007384U KR800007384U KR810002103Y1 KR 810002103 Y1 KR810002103 Y1 KR 810002103Y1 KR 2019800007384 U KR2019800007384 U KR 2019800007384U KR 800007384 U KR800007384 U KR 800007384U KR 810002103 Y1 KR810002103 Y1 KR 810002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ano
frame
string
clasp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73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남교
Original Assignee
황남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남교 filed Critical 황남교
Priority to KR20198000073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2103Y1/ko
Priority to JP1981170682U priority patent/JPS5790485U/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2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21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04Frames; Bridges; B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걸쇠 및 턱쇠를 가진 피아노 프레임
제1도는 본 고안의 전면사시도.
제2a도는 본 고안의 중, 고음주인 "A" 부분의 확대사시도.
제2b도는 본 고안의 저음부인 "B"부분의 확대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저음부에 취부된 고정못의 착설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이 장현된 피아노 체대의 단면도.
본 고안은 피아노의 프레임에 걸쇠 및 턱쇠를 설치하고 오버브릿지를 프레임 전면에 분해 조립게 설하여 되는 피아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피아노 프레임은 저, 중, 고음주의 상단부에 단지 걸쇠만을 돌설하여 주었기 때문에 피아노현을 튜닝핀에 걸어 고정한 후 햄머를 타현하게 되면 피아노 현의 급격한 인장력과 진동장력이 걸쇠에서만 저지되어지므로 여음은 계속해서 투닝핀쪽으로 전달되어지므로 이를 제거코저 피아노현에 별도의 흡음천을 부착 사용해야 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것은 여음발생은 저지할 수 있다 하겠으나 튜닝핀에 연결된 피아아노현이 풀리는 현상은 방지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또한 오버브릿지를 프레임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하고 언더브릿지를 각 오버브릿지의 이면에다 여러개를 설치해야 했으므로 조립 과정이 복잡하고 조립 나사공이 많아져 프레임의 강도가 저하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자주 조율해야 하는 피아노의 음정변화를 최대한으로 줄이기 위한 현의 인장력 해소장치로서 재래시 철골 피아노 프레임에 큰 변형없이 걸쇠와 동일모양의 턱쇠를 걸쇠의 상부에 들설시켜 주어 피아노현의 상단부에 두곳 이상의 "절골각"을 형성시켜 주어 타현시 햄마의 충격으로 인해현의 급격한 인장력과 진동 장력으로 튜닝핀이 역전하여 피아노현이 조금식 풀리는 현상을 최대한으로 제지하며 턱쇠로서 튜닝에핀 연하는 현의 진동 즉, 여음방지를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내용을 첨부된 예시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금속제로 되는 통상의 피아노프레임(1)의 고, 중, 저음보 상단부에다가 걸쇠(2)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적당 간격부(3)를 가지게 현가부가 예각진 턱쇠(4)를 돌설하여 프레스바(5)에 의해 피아노현(6)을 가압하여 절곡각부(7)(7')가 형성되게 하며 프레임(1)의 배면에는 언더브릿지(8)을 일체로 절곡 형성하고 전면에 오버브릿지(9)를 분해 조립케 설치하여 되는 걸쇠 및 턱쇠를 가진 금속제 피아노 프레임인 것이다.
미설명부호 10은 튜닝핀, 11은 고정핀, 12는 햄머, 13은 고마, 14는 고정핀(11)의 삽입구멍, 15는 향판, 16은 나사못, 17은 지주를 각각 표시한다.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음과 고음부의 경우에는 예시도면 제2a도와 제4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프레임(1) 상단의 중음 및 고음부에 돌설된 걸쇠(2) 모양과 동일 모양의 턱쇠(4)를 걸쇠(2)의 부분에 나란히 실시하고 이들 위를 피아노현(6)이 지나 튜닝핀(10)에 의해 인장 조정케한 다음 프레스바(5)를 걸쇠(2)와 턱쇠(4) 사이의 간격부(3)에서 피아노현(6)이 조여 눌러지게 나사못(16)으로 조립하므로서 걸쇠(2)와 턱쇠(4)의 예각진부분에 절곡각부(7)(7')가 생기게 되므로 이 절곡 각부의 대소에 따라 현(6)의 인장력에 대한 저항의 강약이 결정되므로 타현시 햄마(12)의 강한 타력에 의해 발생되는 현(6)의 인장력과 현의 진동장력으로 튜닝핀(10)이 역전하여 현(6)이 풀리는 현상을 일차적으로 걸쇠(2)의 예각진 곳에 의해 생긴 절곡각부(7)가 막아주고 다시 이차적으로 프레스바(5)를 거처 턱쇠(4)의 예각진곳에 의해 생긴 절곡각부(7')가 재차막아주므로 거의 제거되나 그래도 남은 현(6)의 미약한 인장력은 3차로 튜닝핀(10)의 지력으로서 이를 해소케한 작용효과를 얻게한 것이며 고마(13)와 걸쇠(2)간에 발음 현(6)에 있어서는 피아노현(6) 자체가 늘어 지거나 튜닝핀(10)이 풀리는 현상이 없는한 현의 진동수에 의한 음정의 오랜유지를 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마(13)와 걸쇠(2)간의 진동에 의해 걸쇠(2)와 튜닝핀(10)간에 발생하던 여음도 재래식 피아노에서는 두터운 천을 받쳐 막던 것을 턱쇠(4)로서 이를 방지케한 것이다.
그리고 저음부의 경우에는 예시도면 제2b도와 제3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저음부는 중, 고음부와 같은 원리이나 프레스바(5)가 필요없이 저음부의 걸쇠(2)와 같은 턱쇠(4)에 있어서 고정핀(11)에 직경보다 극히 적은 구멍(14)을 턱쇠(4)가 파괴되지 않을 정도로 피아노 저음현(6)의 수만큼 수직으로 적당한 깊이로 뚫어 햄마로서 고정하게끔 하여 걸쇠(2)와 턱쇠(4)의 못은 서로 엇갈리도록 위치를 정하여 걸쇠(2)의 고정못(11)은 현(6)의 우측에 턱쇠(4)의 고정못(11)은 현(6)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고정하며 향판(15)에 박힌 튜닝핀(10)이 피아노현을 감으므로서 현(6)이 인장되어 걸쇠와 턱쇠에 각기 예각진 곳에 절곡각부가 생겨 이 절곡각이 깊고 각도가 적을수록 피아노현의 장력저항은 큰 것임으로 중, 고음쪽과 같이 프레스바(5)가 없어도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특히 본고안은 오버브릿지(9)를 프레임(1) 전면에서 분해 조립되게 구성하므로서 향판(15)을 부착할 때 향판(15)을 먼저 프레임(1)의 배면에 부착시킨 후 고마(13)를 언더브릿지(8)사이에 위치케 설치하므로서 간편히 부착시킬 수 있어 조립과정이 간편하고 매우 편리할 뿐만아니라 프레임에 불필요한 나사공을 뚫지 않아도 되므로 프레임의 강도 저항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금속제로 되는 통상의 피아노 프레임(1)의 고, 중, 저음부 상단부에다 걸쇠(2)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적당 간격부(3)를 가지게 현가부가 예각진 턱쇠(4)를 돌설하여 프레스바(5)에 의해 피아노현(6)을 가압하여 절곡각부(7)(7')가 형성되게 하며 프레임(1)의 배면에는 언더브릿지(8)를 일체로 절곡 형성하고 전면에 오버브릿지(9)를 분해 조립케 설하여 되는 걸쇠 및 턱쇠를 가진 피아노프레임.
KR2019800007384U 1980-11-15 1980-11-15 걸쇠 및 턱쇠를 가진 피아노 프레임 KR810002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7384U KR810002103Y1 (ko) 1980-11-15 1980-11-15 걸쇠 및 턱쇠를 가진 피아노 프레임
JP1981170682U JPS5790485U (ko) 1980-11-15 1981-11-16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7384U KR810002103Y1 (ko) 1980-11-15 1980-11-15 걸쇠 및 턱쇠를 가진 피아노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2103Y1 true KR810002103Y1 (ko) 1981-11-17

Family

ID=1921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7384U KR810002103Y1 (ko) 1980-11-15 1980-11-15 걸쇠 및 턱쇠를 가진 피아노 프레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790485U (ko)
KR (1) KR810002103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0264U (ko) * 1975-07-31 1977-02-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790485U (ko) 198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6181A (en) Tension rod
DE112010004669T5 (de) Kombiniertes akustisches und elektrisches Saiteninstrument aus der Gruppe der Streichinstrumente
EP0295773A2 (en) A sound reverberator device for detachable connection to the strings of a string musical instrument
KR810002103Y1 (ko) 걸쇠 및 턱쇠를 가진 피아노 프레임
US4833964A (en) Open-sided musical drum
US4840103A (en) String lock for acoustical instruments
US4335641A (en) String instrument
DE10253150A1 (de) Elektrisches Saitenmusikinstrument mit Befestigungsmitteln, die gemeinsam vom Rahmenkörper und einem Gurt verwendet wird
US3059375A (en) Rhythm device
US5198602A (en) Sound bar for percussive musical instrument
US6005177A (en) Handchime with damper block
WO1991012857A3 (de) Schwingungsgedämpfte racketausbildung
JPH0538789Y2 (ko)
US3499361A (en) Rhythm instrument
JP2552843Y2 (ja) ピアノ
JPS5926383Y2 (ja) ピアノにおける針金押えの構造
JP2570511B2 (ja) 発音体支持機構
US2296698A (en) Piano string support
US5339717A (en) Keyboard instrument having soundboard with unconstrained edges
JPS58239Y2 (ja) 電気ピアノの防振構造
JPS5812211Y2 (ja) ピアノのフレ−ム装置
US2154025A (en) Sound post
US3513745A (en) Piano with lyric timbre sound board
JPH0116133Y2 (ko)
US3364804A (en) Piano tuning pin stabiliz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