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510Y1 - 벽 파넬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벽 파넬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510Y1
KR810001510Y1 KR7707082U KR770007082U KR810001510Y1 KR 810001510 Y1 KR810001510 Y1 KR 810001510Y1 KR 7707082 U KR7707082 U KR 7707082U KR 770007082 U KR770007082 U KR 770007082U KR 810001510 Y1 KR810001510 Y1 KR 8100015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nel
wall
panel
groov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7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무 마츠바라
모리요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오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오,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to KR7707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5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5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04B2/745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with wallboards attached to the outer faces of the posts, parallel to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 E04B2/785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open profile
    • E04B2/786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open profile of substantially I - section with web perpendicular to plane of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5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being achieved without any restraining forces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61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 E04B2002/747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벽 파넬부착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벽 파넬 장치를 사용하여 조립한 간막이 벽 구조물의 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기둥의 주부에 대한 투시도 이다.
제3도 내지 제6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부착구의 여러 가지 형태를 보여주는 투시도 이다.
제7도는 본 고안의 벽 파넬 부착 장치에 의하여 간막이를 한 방에 대한 평면도이다.
제8도는 제7도의 부분 Ⅷ을 보여주는 확대도 이다.
본 고안은 간막이 벽등을 건조하는데 사용되는 벽 파넬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등과 같은 대부분의 간막이 벽 구조물에서는 특수한 단면형태의 기둥을 천장과 마루사이에 세우거나 지지하고, 이기둥에 벽 파넬을 고정시킨다. 이와같이 통상적인 벽 부착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기둥의 단면 형상의 복잡하므로 그 제조가 쉽지 않다. 또한 이러한 기둥에 벽 파넬을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부착구가 벽의 외면에 노출되기 때문에 구조물의 외양을 해치게 된다.
최근에는 방음 효과와 장식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방음 물질로 구성되고, 기둥등이 표면에 노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커다란 벽 부재가 벽 파넬로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벽 파넬부착 장치를 가지고는 이러한 요건이 충분하게 해결되지 않는다. 더욱이 종래의 벽 파넬부착 장치는 벽 파넬을 기둥에 부탁시키는 작업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도 결함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벽 파넬부착 장치가 지니는 상술한 결함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단면 형상이 단순한 벽 파넬부착 기둥을 포함하는 벽 파넬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벽 파넬을 기둥에 대단히 쉽게 부착할 수 있는 벽 파넬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부착구를 벽 파넬의 표면에 노출시킴이 없이 커다란 벽 파넬을 부착시킬 수 있는 벽 파넬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방음 효과가 높은 벽 파넬을 대단히 쉽게 부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구조물의 방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벽 파넬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벽 파넬부착 장치는 기둥, 벽 파넬 및 부착구등으로 구성된다. 기둥에는 결합-삽입 부분이 있으며, 이 결합-삽입 부분에는 나사 삽입홈이 바깥쪽으로 트인채 형성되어 있다. 기둥에는 또한 파넬수용 플래인지가 결합-삽입부분이 바닥으로부터 수직하게 뻗어 있다. 벽 파넬에는 그 옆면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벽 파넬은 기둥을 따라 배치되고, 부착구의 일부는 벽 파넬의 옆면에 형성된 오목한 홈속에 끼이며, 부착구의 구멍을 통해 나사를 끼워서 상기 나사 삽입홈에 눌러 박는다.
본 고안의 벽파넬장치에 사용되는 기둥의 본체(1)은 I자형, T자형 또는 +자형의 단면을 하고 있다. 제2도에는 +자형 단면의 본체(1)이 표시되어 있다. 파넬 수용 플레인지(3)은 기둥의 본체(1)의 판부분(2)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결합-삽입부분(4)는 판부분(2)의 앞쪽 연장선에 형성되어 있다. 각 파멜 수용 플레인지(3)의 앞면에는 공기 밀폐부 삽입홈(5)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삽입부분(4)는 2개의 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벽 사이에는 나사 삽입홈(6)이 형성되어 있어서 부착구를 고정시키는 나사를 박을 수 있다. 나사 삽입홈(6)의 폭은 나사의 큰쪽 직경 보다도 좁지만 각은쪽 직경과는 대체로 같다. 기둥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 성형하여 만든다 . 그러므로 나사를 나사 삽입홈(6)속으로 눌러서 박으면, 나사는 마치홈(6)의 양쪽에 형성된 암나사 사이에 박는 것처럼 고정된다.
부착구(7)은 제3도 내지 제6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여러가지 형태를 할 수 있다. 제3도의 부착구(7)에서는 금속판 내부에 나사 삽입구멍(8)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제4도에서는 부착구(7)의 한쪽 표면에 가압 돌출부(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9)는 나사 삽입홈(6)의 측면에 또는 벽파넬(10)의 단면에 위치해 있어서, 부착구(7)이 회전하거나 또는 벽 파넬(10)에 형성된 홈(11)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제5도 및 제6도에서는 벽 파넬(10)의 홈(11)속에 삽입된 부분이 부착구(7)의 한쪽에 형성되어 있다. 제5도의 부착구(7)에서는 나사 삽입구멍(8)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더 크게 되어있다. 벽 파넬(10)의 옆면의 중앙부분에는 홈(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홈(11)은 벽 파넬(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부착구(7)의 일부분이 홈(11)속에 삽입되면, 벽 파넬(10)은 기둥(1)에 부착 고정된다.
제7도은 본 고안의 벽 파넬 부착 장치에 의하여 하나의 방을 A, B, C, D의 구역으로 구분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이다. 제7도에서 부분 Ⅰ에 대한 구조는 제1도에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벽 파넬 부착 장치를 사용하여 간막이 벽 구조물을 건조할 때에는 먼저 제1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기둥(1a) 및 (1b)를 소정의 위치에 세우고, 벽 파넬(10)을 기둥(1a) 및 (1b)의 파넬수용 플레인지를 따라 배열한다. 다음에 부착구(7)의 윗끝을 파넬(10)의 옆면에 형성된 홈(111)에 끼우고, 부착구(7)의 구멍(8)속으로 나사(12)를 끼운 다음, 나사(12)의 윗끝을 눌러서 나사 삽입홈(6)속으로 박아 고정시킨다. 각각의 파넬수용 플레인지(3)의 표면에는 공기 밀폐재 삽입홈(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5)에 공기 밀폐재(13)을 삽입함으로써 벽 파넬(10)과 파넬수용 플래인지(3)과의 사이에 공기 밀폐가 잘 이루어지도록 할수 있다.
결합-삽입부분(4)에 형성된 홈(6)에 나사(12)를 박아 부착구(7)를 고정시키려면,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부착구(7)을 홈(11)안에 미리 끼우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또는 2개의 벽 파넬(10)사이의 결합부에 부착구(7)을 길이 방향으로 끼우고 부착구(7)을 회전하여 홈(11)에 끼우는 방법도 이용할 수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서는 부착구(7)에 돌출부(9)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를 홈(11)에 끼움으로써 부착된 벽 파넬(10)이 움직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벽 파넬을 제1도에서와 같이 건조하고 나면, 결합-삽입부분(4)에서 벽 파넬(10)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이 공간에 충전재(14)를 끼울수도 있다. 벽 파넬(10′)을 벽 파넬(10)에 수직으로 부착할 때에는, 기둥(1b)의 결합-삽입부분(4′)에 있는 나사 삽입홈(6)에 기다란 나사(12′)를 박음으로써 기둥(1c)를 이에 고정시키고 벽 판??(10) 및 (10′)을 기둥(1c)에 고정시킨다.
제7도는 벽 파넬들을 상술한 방법으로 고정시킴으로써 방을 구분한 상태를 보여준다. 2개의 인접한 벽 파넬(10)사이에 결합-삽입부분을 사용함으로써 입구 및 출구의 문틀을 만들 수 있다. 제8도는 제7도의 부분 Ⅷ에 대한 확대도이며, 제8도로부터 본 고안의 벽 파넬 부착장치를 사용하여 간막이 벽 α,β 및 σ를 조립한 상태를 쉽게 알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벽 파넬 부착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간막이 벽을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벽 파넬부착 장치에서는 기둥의 판 부분은 단면이 T자형, +자형, 또는 기타의 형태를 갖도록 성형하며, 파넬수용 플레인지는 판부분의 끝부분에 수직하게 형성하고, 돌출한 결합-삽입부분은 파넬수용 플레인지의 앞면과 형성하며, 결합-삽입부분에 형성된 나사 삽입홈에 나사를 박음으로써 부착구 또는 기둥을 고정시킨다.
본 고안에서는 결합-삽입부분이 파넬수용 플레인지의 중앙부분에 돌출한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벽파넬을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벽 파넬은 부착구 및 나사를 사용하여 기둥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조립 작업을 훨씬 쉽게 할수 있다. 특히 나사 합입홈은 결합-삽입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 고정위치를 결합-삽입부분의 길이 방향의 어느 지점에라도 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기둥의 길이 방향의 어느 지점에라도 정할 수 있다. 또한 나사 삽입홈에 나사를 박기만 하면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을 짧은 시간내에 신속하게 할 수 있다.
결합-삽입부분의 높이는 벽 파넬의 두께보다 작고, 부착구는 벽 파넬의 옆벽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홈에 꼭 끼인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부착구나 나사는 벽 파넬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으며, 칫수가 큰 벽파넬을 사용함으로써 표면이 아름다운 벽을 건조할 수 있다. 또한 파넬수용 플레인지에 형성된 공기 밀폐재 삽입홈에 공기밀폐재를 끼울 수 있으며, 따라서 공기 밀폐가 잘된 방음 간막이 벽 구조물을 건조할 수 있다. 더우기 기둥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 성형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을 어려움 없이 대단히 용이하게 할수 있다.

Claims (1)

  1. 기둥, 부착구, 나사로 구성되어 벽 파넬을 축조하기 위한 벽 파넬부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둥에는 판부분, 파넬 수용 플레인지, 결합-삽입부분이 포함되고, 상기 파넬수용 플레인지는 상기 판부분의 윗끝에 형성되어 그 옆방향으로 연장되어 벽 파넬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결합-삽입부분은 상기 파넬 수용플레인지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판부분의 연장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결합-삽입분에는 나사삽입홈이 그 길이 방향을 형성되어 있으며, 벽 파넬에는 그 옆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부착구가 벽 파넬의 홈에 끼워지고, 상기 나사는 상기 부착구를 관통하여 상기 나사 삽입홈에 삽입되어서 간막이 벽 구조물을 조립하도록 되어 있는 벽 파넬 부착장치.
KR7707082U 1977-12-09 1977-12-09 벽 파넬부착 장치 KR8100015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7082U KR810001510Y1 (ko) 1977-12-09 1977-12-09 벽 파넬부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7082U KR810001510Y1 (ko) 1977-12-09 1977-12-09 벽 파넬부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510Y1 true KR810001510Y1 (ko) 1981-10-16

Family

ID=19206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7082U KR810001510Y1 (ko) 1977-12-09 1977-12-09 벽 파넬부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5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8796A (en) Wall panel assembly
US3854261A (en) Shell for apparatuses working in sound-absorbing, heat insulating or airtight conditions
KR810001510Y1 (ko) 벽 파넬부착 장치
CA1079023A (en) Wall panel attachment apparatus
KR20080111880A (ko) 커튼 월의 3차원 조립식 연결재 및 그 시공방법
JPH0740008Y2 (ja) パネルユニット
JPS6128811Y2 (ko)
JP7492429B2 (ja) 建具
JPH0320434Y2 (ko)
JPS6227665Y2 (ko)
JPH06306982A (ja) 外壁パネルのシール構造
KR970021569A (ko) 등압커튼월구조
JPH0647050Y2 (ja) 外壁パネルのジョイント構造
JPH04194145A (ja) 複合壁面の施工方法
JPH0247123Y2 (ko)
JP2513221Y2 (ja) 浴室ユニットの隣室との仕切り部分の構造
JPS6212800Y2 (ko)
JPH07640Y2 (ja) 後付ブラインド内蔵サッシ
JPH0542163Y2 (ko)
CN113605585A (zh) 一种幕墙复合立柱及其安装方法
JPS5853852Y2 (ja) 垂壁パネル
KR200190778Y1 (ko) 조립식 간막이
JPH0540226Y2 (ko)
JPH0227053Y2 (ko)
JPS6328270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