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290B1 - 필터 프레스에 있어서의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프레스에 있어서의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290B1
KR810001290B1 KR7702629A KR770002629A KR810001290B1 KR 810001290 B1 KR810001290 B1 KR 810001290B1 KR 7702629 A KR7702629 A KR 7702629A KR 770002629 A KR770002629 A KR 770002629A KR 810001290 B1 KR810001290 B1 KR 810001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late
filter
carriage
plate
movab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2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쓰야 구리따
도시후미 하라
Original Assignee
데쓰야 구리따
가부시기가이샤 구리따기까이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쓰야 구리따, 가부시기가이샤 구리따기까이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데쓰야 구리따
Priority to KR7702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2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필터 프레스에 있어서의 세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세척장치를 구비한 필터 프레스 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상의 세척장치의 정면 단면도.
제3도는 필터 프레스의 일부가 가상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세척장치만의 일부 절결 평면도.
제4도는 또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평면도로, 스프레이관이 그것을 지지하는 가동유닛의 여과판과 평행된 왕복 이동에 연동하여 호회동 되도록 한 세척장치를 도시한 것.
제5도 내지 제10도는 제4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스프레이관 호회동 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간략화한 단면도로서, 제5도, 제7도, 제9도는 가동유닛의 이동에 의하여 작동되는 수동부재가, 또한 제6도, 제8도, 제10도는 수동부재의 두가지 작동 자세를 그 작동에 따라 보지하는 스프링 기구가 각각 도시함.
제11도는 또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필터 프레스의 측면도로, 여과판 이동기구에 연동하여 캐리지를 옮기도록 한 세척장치를 도시한 것.
제12도 내지 제14도는 여과판 이송기구의 이송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5도 내지 제19도는 제11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캐리지가 이동될 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측면도.
본 발명은 필터 프레스에 있어서 여과 공정의 종료후 여과판 1매씩을 가동단판(可動端板)측으로 이동시켜서 인접된 여과판 끼리를 순차적으로 개리(開離)하고, 그들 사이의 케이크를 제거할 때에 여과판에 장설되어 있는 여과재(濾過材) 또는 여과재가 취외된 여과면에 대하여 세척액을 분무하여 여과재 내지 여과면을 자동적으로 세척하도록 한 필터 프레스의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 같은 장치는, 영국특허 제1,271,192호의 발명과 같이, 스프레이관이 개리된 여과판 사이에 대한 진퇴와 세척을 스프레이 관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하여 시행케 하는 제1의 형식의 것과, 독일국 특허 제1,611,097호의 발명과 같이 스프레이관을 선회시켜서 개리한 여과판 간에 진퇴시키고 진입된 스프레이관을 직선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세척을 시행케 하는 제2의 형식의 것이 있다. 제1의 형식의 것으로는 스프레이관의 이동은 단순하지만 그 스트로오크에 알맞는 길이의 실린더를 필요로 하고, 그것이 필터 프레스 밖으로 크게 뻗쳐나와 전체를 대형화하거나 구조를 복잡화한다. 또한, 스프레이관과 함께 여과관 이동방향으로 기체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그 장치 및 가동을 위하여 건물내에 아주 큰 공간을 점유한다. 따라서, 세척장치를 갖는 필터 프레스의 설치 및 기설 필터 프레스에 대한 세척장치의 부설이 모두 곤란하다.
제2의 형식의 것으로는 여과판군 상방에 배치된 스프레이 관이 그것과는 떨어진 위치의 지점을 중심으로 선회되고, 여과판군외의 대기위치에서 세척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왕복 회동하는 것이므로 스윙이 크며 또한 대기 자세에 있어서도 여과판군 밖으로 나와 있다.
또한 세척 위치에서의 왕복 이동은 실린더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그 실린더는 상방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세척장치는 필터 프레스의 점유공간을 그 상방에 있어서 과대한 것으로 하는 결점도 있다.
또한, 전기 어느 형식의 것이든, 스프레이관의 필요한 움직임을 실린더에 의하여 시행하기 때문에 많은 유체 기기를 조잡한 복잡한 제어장치가 필요하며, 확실하고 안정된 작동도 기하기 어렵다.
더우기, 제1의 형식의 것은 물론 제2형식의 것이라도 스프레이관의 선회중에는 세척액을 필터 프레스로 분무시키지 않기 때문에 세척은 불가능함으로 스프레이관의 단순한 1왕복 동작으로 밖에 세척할 수 없어 세척효과는 낮은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협소한 스페이스, 예컨대 필터 프레스의 통상 설치 상태에서 얻어지는 여관판하의 공간을 이용하여 부설 및 작동시킬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 기능이 우수한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를 더욱 간략화 하고, 또한 샤우어관의 작동을 보다 능률적인 타이밍으로 확실히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다수의 노즐을 갖는 샤우어관이 여과판의 일변과 평행하도록 여과판군 근방에 배치되고 그 일만은 여과판의 하부모서리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여과판군 밖을 여과판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한 가동유닛에 추착된다. 또한, 가동유닛은 여과판군 밖에서 여과판의 이동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캐리지(carriage)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의하여 샤우어관은 여과판이 1매씩 가동단판측으로 이송될 때마다 캐리지가 이동하여 개리된 여과판 간에 올바르게 대향하게 된다. 샤우어관은 이 대향위치에 도달하였을때 이동자의 이동에 의하여 이번은 여과판과 평행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데, 그 왕복 개시때에 여과판의 모서리부와 대향한 추지점(樞支點)을 중심으로 90도 호회동(弧回動)되고, 샤우어관의 왕복 이동방향과 직각을 이루어 전진의 시점측(始點側)이 될 여과판의 다른 일변에 평행한 자세로 되고, 후퇴종료시에는 전기한 전진개시 위치에서 전기한 것과는 반대방향으로 90도 호회동되어 본래의 대기 자세로 된다.
따라서, 샤우어관은 회동 및 직선의 각 왕복동중에 여과판 간에 위치하여 여과재 내지 여과면을 세척할 수가 있어 상이된 방향의 2회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세척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샤우어관의 여과판의 모서리에 대향하는 위치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여과판의 상호 인접된 일변과 평행한 자세에서 다른 일변과 평행한 자세의 사이에서 회동하여 개리된 여과판간에 진입하고, 또 동 여과판 간에서 퇴출하기 때문에 그 스윙범위는 대단히 작고 여과판군이 차지하는 공간 내가 되며, 게다가 스프레이 파이프 대기와 캐리지의 이동을 위해서는 여과판군에 연한 극히 근소한, 공간 밖에 요하지 않아 전체적으로 현저하게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세척장치를 갖는 필터 프레스의 설치 및 기설 필터 프레스에 대한 부설이 모두 용이하다.
본 발명에 의한 세척장치는 주로 여과판군 하방에 통상 형성되는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부설된다. 그러므로, 필터 프레스의 설치 높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고, 낙하 케이크 저장부로 크게 돌출하여 지장을 초래하는 일도 없다. 필터 프레스의 측방 및 상방으로 뻗쳐나오는 일도 없고 필터 프레스의 설치 공간 및 가동을 위한 공간은 세척장치를 갖지 않는 경우와 같은 공간 밖에 요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가동유닛의 이동, 캐리지의 이동 및 스프레이관의 호회동이 별개의 구동원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은 가동유닛의 이동 및 캐리지의 이동이 별개의 구동원으로 이루어지고, 스프레이관의 호회동은 가동유닛의 이동에 연동하는 기구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구동원이 하나 생략될 수 있고, 가동유닛의 이동과 스프레이관의 호회동의 타이밍이 정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은 캐리지의 이동이 여과판을 1매씩 가동단판측으로 이송하는 여과판 이송장치의 왕복구동, 특히 이송체가 이송한 여과판을 이송하려고 그것에 접근하는 전진동작에 연동하여 이루어진다. 그러기 때문에, 구동원이 또 하나 생략될 수 있고, 또한 여과판의 1매씩의 이송에 대응하여 스프레이관을 순차 개리되는 각 여과판간의 소정위치에 바르게 또한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바 특징과 기타 특징을 더욱 명백히 하기 위하여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면, (1)은 가동단판 (2)를 진퇴시키는 유압실린더(OS)가 구비되어 있는 기대(機臺)이고, (1')는 고정단판(3)이 일체적으로 구비된 기대이다. 실린더(OS)에 연결된 가동단판(2), 및 가동단판(2)와 고정단판(3)과의 사이에 배열된 다수의 여과판(4)는 그들의 양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핸들(5)에 의하여 기대(1),(1')간의 현수 사이드 바아(6)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현가되어 있다.
가동 단판(2)의 핸들에만 로울러가 장착되어 있다. 양단판(2), (3)과 각 여과판 (4)는 그의 여과면에 여과제(필터시이트) (8)이 장설되고, 이 여과재(8)는 각 여과판 (4) 내지 여과판(4)와 각 단판(2), (3)의 상호 대향하는 여과면에 장설되어 있는 것끼리가 1단 위로 되어 각 여과판(4) 간에 그 개리 및 밀착에 따라 개폐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각 1조의 링크(9)에 의하여 현지되어 있다. (7)은 여과판을 1매씩 가동단판 (2)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체(공지임으로 도시 않았음)의 궤도이다.
여과가 행하여질 때 각 여과판(4)는 가동단판(2)의 고정단판(3)측으로의 진출에 의하여 양단판(2), (3)간에 협압되고 각 여과판(4)간 및 여과판(4)과 각 단판(2), (3)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여과실내에 원액이 공급된다. 이 원액은 여과판(4) 및 양단판 (2), (3)의 각 여과면에 장설되어 있는 여과재(8)에 의하여 여과되고, 여과재(8)을 통과한 여과액만이 필터 프레스 밖으로 도출되고, 케이크는 여과 종료후에 가동단판(2)에 후퇴하고, 여과판(4)가 1매씩 후퇴한 가동단판(2)측으로 이송될 때 각 여과판(4) 및 여과판(4)와 각단판(2), (3)이 순차적으로 개리되어 여과실이 개방됨으로 낙하하게 된다. (28)은 여과재 진동기구로서 여과판(4)군의 상방에 배치되고, 기대(1), (1') 상단간에 가설한 가이드 레일(29)에 의하여 여과판 이동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하여 여과판(4)의 가동단판(2)측으로의 1매씩의 이동에 동기하여 도시하지 않는 구동기구에 의하여 여과판 이송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송되어 개리된 각 여과판(4)간의 여과재(8)상에 위치하였을 때에 진동자(30)이 작동하여 여과재(8)에 진동을 줌으로써 전기한 케이크 낙하시에 여과재(8)에서의 박리를 돕는다.
여과재(8) 내지 여과면을 세척하는 스프레이관(10)은 다수의 노즐(10a)를 가지며 여과판(4)의 하변과 평행하도록 제2도 가상선과 같이 배치되고 여과판(4)의 각부에 대응한 일단부(10b)에서 여과판(4)와 평행인 Y-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유닛 (11)로 제2도 실선과 같은 수직 자세와의 사이에서 기복 가능하게 추지되어 있다. 가동유닛(11)은 여과판(4)의 이동방향과 평행인 X-X'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된 캐리지 (12)에 지지되어 있다. 캐리지(12)는 마루면에 부설된 한쌍의 레일(13)상을 차륜 (16)에 의하여 주행하여 X-X'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이동방향과 직각인 방항의 한쌍의 레일(14)를 갖는다. 가동유닛(11)은 이 레일(14)상을 차륜(15)에 의하여 주행하여 Y-Y' 방향으로 이동한다.
스프레이관(10)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17)은 스프레이관(10)측의 일부를 비가요성 파이프(17a), 다른 세척수 공급원(도시 않았음)측을 가요성 파이프 (17b)에 의하여 형성하고 있는데, 그 전체를 가요성 파이프(17b)로 형성하여도 된다. 비가요성 파이프(17a)는 캐리지(12)에 부착된 고정 파이프 부분(17al)과 이 고정 파이프 부분(17al) 및 가동유닛(11)에 지지되어 있는 스프레이관(10)의 일단부(10b)를 접속하는 링크상의 연결된 절곡자재의 파이프 부분(17a2), (17a3)으로 된다. 가요성 파이프(17b)는 예컨대 코일상으로 하여 필터 프레스의 천장부로 신축 가능하게 신장되어 고정파이프 부분(17al)의 캐리지(12)에 따른 이동을 허용한다.
제3도에 도시한 캐리지(12)상의 모우터(M1)은 전동기구(19)를 개재하여 캐리지(12)의 X' 방향측에 위치하는 차륜(16)의 회전축(18)에 연결되고 차륜(16)을 정역전시켜서 캐리지(12)를 X-X'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캐리지(12)의 이동은, 여과판 (4)가 가동단판(2)측으로 1매씩 이송될때마다 모우터(M1)이 기동하여 캐리지(12)를 일정량씩 앞 X'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프레이관(10)을 개리한 여과판(4)간의 일정위치에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최종공정에서는 모우터(M1)이 역전하여 캐리지(12)를 원위치에 복귀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캐리지(12)상의 또 하나의 모우터(M2)는 일부가 가동유닛(11)에 지작된 체인(26)을 장설하는 캐리지(12)상의 1조의 스프로킷(20), (21)의 한쪽 (21)에 대하여 전동기구(22)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자기의 정역전에 의하여 가동유닛(11)을 Y-Y'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은 캐리지(12)가 스프레이관 (10)을 개리한 여과판(4)간에 위치시켜서 정지되었을때 모우터(M2)가 정전하여 이동자(11)을 Y'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종단에 달하였을 때 모우터(M2)가 역전하여 가동유닛(11)을 Y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식으로 행하여진다. 캐리지 (12)상의 또 하나의 모우터(M3)은 스프레이관(10)을 가동유닛(11)상으로 추지된 추축(27)에 대하여 전동기구(23)을 개재하여 연결되고 자기의 정역전에 의하여 스프레이관(10)을 기복시킨다. 전동기구(23)은 캐리지(12)의 X방향측에 위치하는 차륜 (16)의 차축(24)에 전동하는 전동자(23a)와 차축(24)상으로 스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베벨 치차(23)와 이 베벨 치차(23b)의 회전을 추축(27)로 전달하는 치차기구 (23b)로 되고, 차륜(16)과 차축(24)는 상호 독립되어 개별적으로 회전되도록 되고 차축(24)와 베벨 차차(23c)는 동체적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베벨치차(23b)의 차축(24)상에서의 스라이딩에 의하여 가동유닛(11)가 이동하여도 모우터(M3)의 회전은 상시 추축(27)로 전달된다. 또한, 모우터(M3)의 회전은 차륜(16)에는 미치지 않는다. 스프레이관(10)의 기복작동은, 캐리지(12)가 스프레이관(10)을 개리한 여과판(4)간으로 위치시켜서 정지되었을 때 모우터(M3)이 기동되어 스프레이관(10)을 제2도 가상선의 위치에서 수직자세까기 기립시키고, 가동유닛(11)이 Y'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도 실선의 위치에 도달한 후 Y방향으로 복동하여 원위치(제3도 실선)으로 복귀하였을 때에 모우터(M3)이 역전하여 스프레이관(10)을 제2도 가상선의 수평자세까지 복도(伏倒)시키는 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모우터(M1), (M2), (M3)의 기동, 정지, 역전의 제어는 예를 들어 리미트 스위치(도시 않았음)에 의하여 행할 수 있고, 각회의 여과 종료후에 있어서의 여과판(4)의 순차적 개리에 따라 전기한 작동이 전자동적으로 된다. 그리고, 스프레이관 (10)에 대한 세척액 공급도 리미트 스위치 등에 의하여 적시적으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스프레이관(10)은 상시 여과판(4)군의 가운데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어 어느 시기에 세척액이 공급되드라도 필터 프레스 밖으로 분사시킬 우려가 없으므로 세척액의 공급 타이밍은 대충 설정하여도 지장이 없다. 스프레이관(10)은 개리된 여과판 (4)간에서는 제2도 가상선의 자세에서 제3도 실선의 수직 자세로의 전진호회동, 수직 자세에 있어서의 Y-Y' 방향의 직선 왕복 이동, 제3도 실선의 수직 자세에서 제2도 가상선의 자세로의 후퇴 호회동이 여과판(4)군에서 벗어나는 일이 없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2종류의 왕복운동중에 세척액을 공급하여 여과재(8)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가 있다. (25)는 세척액의 비산 방지용의 커어튼이다.
제4도 내지 제10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기 실시예가 스프레이관을 모우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기복시킨 것인데에 대하여 스프레이관을 그것이 추지되어 있는 가동유닛의 여과판과 평행한 왕복직선이동에 연동하여 기복시키도록 하고, 모우터 1개가 생략되어 있다.
전기의 실시예와 동일 및 균등한 부재 내지 기구에는 동일부호를 붙여 공통된 각공 등의 설명도 생략한다. 스프레이관(10)을 가동유닛(11)에 추지하고 있는 추축(27)은 가동유닛(11)상에서 X방향으로 회동 자재로 설치되고 스프레이관(10)을 호회동시키기 위한 수동부재(31)과 스프레이관(10)의 복도자세 및 기립자세를 보지하는 목적으로 스프링(32), (33)에 의하여 부세되는 부세 레바(34)가 떨어진 위치에 고설되어 있다. 수동부재(31)은, 그 추축(27)에서 돌출되어 있는 선단부에 가동유닛(11)의 이동방향 Y-Y'의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1조의 로울러로서 되는 수동부(35a), (35b)를 제5도와 같이 비치하고, 캐리지(12)에 고설된 작동부재(36)와 대향하고 있어 가동유닛(11)이 Y-Y' 방향으로 이동할 때 수동부(35a), (35b)가 작동부재(36)에 의하여 압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세레버(34)는, 그 추축(27)에서 돌출되어 있는 선단과, 별도로 추축(27)에 대하여 레버(34)의 돌출방향과는 반대축으로 평향하게 위치한 추축(37)에 의하여 중앙부가 가동유닛(11)으로 추착된 시소부재(38)의 각 단부와의 사이에 각각 전기 스프링(32), (33)이 제6도와 같이 장설되어 있다.
캐리지(12)가 모우터(M1)의 기동에 의하여 X' 방향으로 이동되어 개리한 여과판(도시않았음)간의 일정위치로 스프레이관(10)을 위치시켜서 정지되는 때마다 가동유닛(11)이 모우터(M2)의 기동에 의하여 Y-Y'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데, 그 왕복 초기에는 수동부재(31)은 작동부재(36)에 대하여 제5도의 상태로 관계되어 있다. 한편, 부세레버(34)는 제6도와 같이 경사된 자세에 스프링(32), (33)에 의하여 부세되어 수동부재(31)의 수동부(35b)를 스프레이관 복도 스톱퍼(39)로 당접시켜 스프레이관 (10)을 복도 자세로 보지하고 있다. 그리고, 가동유닛(11)이 Y' 방향으로 전진운동을 개시하면 수동부(35a)가 캐리지(12)상의 각동부재(36)에 당접하고 수동부재(35)는 스프링(32), (33)의 부세에 항거하여 제6도와 같이 회동하게된다. 이로서 스프레이관 (10) 및 부세레버(34)도 동일방향으로 회동되고 스프레이관(10)은 기립하기 시작한다. 레버(34)가 스프링(32), (33)의 부세에 의한 사점(41)에 도달한 제7도의 상태에서 더욱 회동되었을 때 레버(34)는 스프링(32), (33)의 부세에 의하여 제10도와 같이 반대방향으로의 경동력이 부여되고, 이후 수동부재(31)이 작동부재(36)에 압동될 것도 없이 추축(27)을 회동시켜 수동부재(31)의 수동부(35a)가 스프레이관 기립 스톱퍼 (40)에 제9도와 같이 당접하기까지 스프레이관(10)을 기립시킨다. 이 스프레이관 (10)의 기립은 제5도, 제7도, 제9도로 명백한 바와 같이 가동유닛(11)의 극히 근소한 초기 전진운동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부재 (31)은 그 수동부(35a)가 작동부재(36)에서 이미 벗어나 있기 때문에 가동유닛(11)이 더욱 전진운동하여도 작동되지 않고, 스프레이관(10)은 직립자세체로 가동유닛 (11)과 함께 왕복운동된다.
가동유닛(11)의 후퇴운동 최중단계에서는 수동부재(31)은 제9도의 상태로 가동유닛(11)과 함께 Y방향으로 이동해서 작동부재(36)에 대하여 전기한 바와는 역방향으로 이번은 수동부(35b)가 당접한다. 이로서 수동부재(31)은 전기한 바와는 역방향으로 스프링(32), (33)에 항거하여 압동되고 부세레버(34)를 동반하여스프레이관(10)을 복도시키면서 회동하고 레버(34)가 제8도의 사정(41)에 도달한 이후는 스프링 (32), (33)에 의하여 레버(34)에 작용하는 전기한 바와는 역방향으로의 부세력으로 레버(34)와 함께 수동 부재(31) 및 스프레이관(10)이 초기 상태로까지 회동되어 스프레이관(10)의 복도와 동시에 가동유닛(11)의 후퇴운동도 완료되고 캐리지(12)가 다음의 정위치에 이동할때까지 대기상태에 있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프레이관의 기복작동의 구동원이 불필요한 것 뿐만 아니라 기복타이밍의 설정수단도 불필요하다. 부세레버의 부세는 1개의 스프링으로 행하여도 된다는 것은 물론이다.
제11도 내지 제19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캐리지의 이동을, 여과판을 1매씩 가동단판축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에 연동시켜 이룩하고, 캐리지의 이동용 구동원을 생략한 것으로 도면에 있어 세척장치는 개략적으로 도시함과 동시에 전기 각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재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주로 여과판 이송수단과 캐리지와의 관련구성 및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과판 이송수단은 공지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그 일반적인 것이 채용되어 있다. 즉, 제12도 내지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송조(pawl)(42)와 정지조(43)을 갖는 이송체(44)가 각 사이드 바아(6)의 외면부로 레일(7)에 의하여 X-X'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보지되어 배치되고, 1조의 스프로킷(45), (46)에 의하여 장설된 무단구동체인 (47)에 연결되어 있다. 이송체(44)는 이송조(42)와 정지조(43)과의 하단을 축(48), (49)에 의하여 추착함과 동시에 직립자세에서 고정단판(3)축으로 복도하도록 스프링(50), (51)로 부세하여 마련하고, 이송조(42) 및 정지조(43)의 한쪽이 다른쪽으로 복도될때 그 다른쪽을 기립시키는 유동자(idler)를 축(53)으로 추착하여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더우기 이송도그(42)의 고정단판(3) 축으로의 복도를 저지하는 스톱퍼(54)와 정지조(43)의 가동단판(2)축으로의 복도를 저지하는 스톱퍼(55)가 마련되어 있다. (56)은 이송체(44)의 외부 양축에 1조씩 마련된 로울러이고 레일(7)내를 주행한다.
이송조(42) 및 정지조(43)은 자유로운 상태인 때에 스프링(50), (51)의 부세에 의하여 제12도의 상태에 있다. 여과가 종료되었을 때 체인(47)은 가역모우터(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반 시계방향으로 구동되어 이송체 44를 제11도에 있어서 기대(1)축에서 고정단판(3)축으로, 즉 X'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서 이송체(44)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그 기립되어 있는 이송조(42)를 최전방의 여과판(4)의 핸들(5)에 당접시킨다. 이때, 이송조(42)는 핸들(5)에 의하여 스프링(50)에 항거하여 가동단판(2)축으로 복도케 되고, 이송체(44)의 진행과 함께 제13도와 같이 핸들(5) 아래를 통과한다. 한편, 정지조(43)은 이송조(42)의 기복에 의하여 유동자(52)를 개재하여 스프링(51)에 항거하여 기립하게 되고, 이송체(44)의 진행과 함께 제13도와 같이 핸들(5)의 전면에 당접하여 이후 파수(5)로 압압되므로서 제14도와 같이 스톱퍼(55)에 당접할 때까지 기립케 되며 스톱퍼(55)에 당접하였을 때 이송체(44)의 그 이상의 진행을 저지한다. 이때, 이송조(42)는 핸들(5) 아래를 통과해 나와 스프링(50)의 부세에 의하여 기립하게 되어 제14도와 같이 스톱퍼(54)에 당접되어 있다.
제11도 및 제14도의 상태에서 이송체(44)가 더 이상의 진행을 저지당하였을 때 구동체인(47)에 작용하는 저항을 신호로 모우터가 역전하고, 구동체인(47)은 전기한 바와는 꺼꾸로 제11도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이송체(44)는 X방향으로 후퇴하게 되고 그 이송조(42)가 전기 최전방의 여과판(4)에 구비하는 핸들(5)의 배면에 당접한다. 이 이송조(42)는 스톱퍼(54)에 의하여 고정단판(3)축으로 기복을 저지당하고 있기 때문에 이송체(44)가 후퇴하여도 복도되지 않고 핸들(5)를 개재하여 여과판(4)를 압동하여 가동단판(2)측으로 X방향으로 이송한다. 이송조(42)가 핸들(5)의 배면에 당접할 때 정지조(43)은 핸들(5)의 전면에서 떨어져 스프링(51)의 부세에 의하여 이송조(42)측으로 유동자(52)를 동반하여 복도하게 되어 있다.
최전방 여과판(4)가 제11도 가상선과 같이 이미 후퇴하고 있는 자동단판(2)까지 이송되어 있을때 이송체(44)는 이송조(42)를 개재하여 그 이상의 후퇴를 저지당한다. 따라서, 체인(47)에 저항이 작용하여 그것을 신호로 하여 모우터가 정전하고, 체인(42)은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어 이송체(44)를 다음의 여과판(4)의 이송으로 보내게 된다. 이때 정지조(43)은 복도된 채이므로 먼저 이송되어 있는 여과판(4)의 핸들(5)에 당접하는 일은 없고, 일단 가동단판(2)측으로 이송되어진 여과판(4)는 고정단판(3) 측으로 되돌려지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체인(47)의 왕복 구동에 의하여 여과판(4)가 1매씩 기동단판(2) 측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캐리지(12)의 왕복구동기구는 캐리지(12)를 안내하는 레일(13)에 연하여 설치된 무단 연동 체인(57)과 이것을 전기의 무단구동 체인(47)에 연동시키는 무단체인 (58)로서 되어 있다. 무단연동 체인(57)은 기대(1), (1')에 마련된 스프로킷(59), (60)에 의하여 장설되고, 캐리지(12)에 그 이동방향 X-X'에 일정간격으로 들설된 수동자(61), (62)의 사이에 그들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작동자(63)을 갖고 있다. 무단 체인(58)은 체인(47)과 체인(57)과의 기대(1')측 스프로킷(46), (60)의 회전축 (64),(65) 사이에 동축(64),(65)상에 마련되어 있는 별개의 동일직경 스프로킷(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장설되어 체인(47)과 체인(57)을 연등시킨다. 수동자(61), (62)은 이송체(44)의 이송조(42)에 의한 여과판(4)의 이송거리 L과 작동자(63)의 X-X' 방향의 폭 T1과의 합 L+T1보다도 큰 간격 S로 설정된다.
통상적으로, 캐리지(12)는 이송체(44)의 초기위치로의 후퇴운동에 연동한 작동자(63)의 X'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수동자(61)을 압동하고, 제15도의 상태에서 이송체(44)에 대용하는 초기 위치에 대기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대기위치는 제11도의 가상선과 같이 후퇴한 가동단판(2)와 최전의 여과판(4)와의 중간위치에 스프레이관(10)을 위치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먼저 이 위치에서 스프레이관(10)의 기립동작, 여과판(4)와 평행된 Y-Y'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 스프레이관(10)의 복도 동작이 이루어지고, 가동단판(2) 및 최전방 여과판(4)의 각 여과면에 장설되어 있는 여과재를 세척한다. 이어서, 이송체(44)는 최전방의 여과판(4)의 이송을 위하여 X'방향으로 이동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1도의 위치에서 정지한 후 X방향으로 이동되어 최전방 이과판(4)를 제11도 가상선과 같이 가동단판(2)로 송부한다.
이에 수반되어 체인(57)은 체인(47)에 연동하여 작동자(63)을 제11도 가상선의 위치에서 이송체(44)와 동거리만큼 왕복 이동시킨다. 그리고 작동자(63)은 그 전진운동 도중에서 수동자(62)에 당접하여 압동하고 이송체(44)가 제11도의 전진운동 최중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는 제11도 실선으로 도시되는 작동자(63)의 전진운동 최중위치에 도달하여 캐리지(12)를 가상선 위치에서 실선위치까지 여과판(4)의 두께 T2만큼 X'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서 스프레이판(10)은 가동단판(2)와 최전방 여과판(4)와의 중간위치 가상선위치로부터 가동단판(2)로 송부된 가상선으로 도시된 여과판(4)와 최전방의 여과판(4)의 다음의 여과판(4)와의 중간위치(실선위치)까지 이동되고, 최전방의 여과판(4)의 이송에 의하여 개리되는 최전방 여과판(4)와 차위의 여과판(4)와의 사이에서 여과재를 세척할 수 있는 위치이다. 작동자(63)은 그 후 이송체(44)가 전진운동하여 최전방 여과판(4)를 가동단판(2)로 송착시키는 여과판 이송거리만큼 제16도의 위치에서 제17도의 위치까지 후퇴운동되지만, 수동자(61), (62)의 간격 S는 L+T1, 보다도 크기 때문에 작동자(63)은 복동되어도 수동자(61)에 당접하지 않는다.
따라서, 캐리지(12)는 제11도의 실선으로 나타낸 이동위치를 유지한다.
이송체(44)가 차위의 여과판(4)를 이송하기 위한 전진운동 거리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2이고, 작동자(63)의 전진운동도 제17도의 위치에서 제18도의 위치까지의 거리만큼 이루어지고, 캐리지(12)를 제11도의 위치에서 더욱 X' 방향으로 여과판(4)의 두께 T2만큼 이동시킨다. 즉, 제17도의 위치에서 제18도의 위치까지 캐리지 (12) 및 스프레이관(10)이 이동되어 스프레이관(10)은 다음에 개리되는 여과판(4)간의 중간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그 위치는 작동자(63)이 제19도의 위치로 거리 L만큼 복동되어도 전기한 바와 같이 유지된다.
결국, 캐리지(12)는 여과판 이송에 연동하는 수단에 의하여 여과판(4)가 1매씩 가동단판(2)측으로 이송될 때마다 여과판 이송수단의 전진운동시에 여과판(4)의 두께 몫씩 확실하게 이동되고 스프레이관(10)을 개리되는 여과판(4) 사이에 순차적으로 바르게 위치시킨다. 모든 여과판(4)가 이송되었을 때, 이송체(44)는 전기의 이송조(42)의 스톱퍼(54)를 발취함으로써 스프링(50)의 부세로 이송조(42)를 고정단판(3)측으로 복도시킨다. 이로써 이송조(42) 및 정지조(43)은 모두 복도되고 각 여과판(4)의 핸들(5)에는 일체 당접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체(44)는 가동단판(2)측으로 송착되어 있는 각 여과판(4)에는 관계없이 소정의 대기위치까지 복동시킨다.
한편, 작동자(63)도 복동되고, 캐리지(12)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또한, 이송체(44)에 구비하는 이송조(42)의 스톱퍼(54)를 가동적으로 마련하고, 이송체(44)가 최중 여과판(4)의 이송을 끝내었을 때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시켜서 캠등으로 스톱퍼(54)를 회동시켜, 이송조(42)의 기립자세으로의 계지를 해제하는 등, 이송체(44)를 자동적으로 복동 가능케 할 수가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캐리지(12)의 여과판(4)의 이송에 동기한 간헐적인 이동을 위한 구등원 및 타이밍 설정요소 등이 생략된다.

Claims (1)

  1. 여과종료 후 여과판(4)을 1매씩 가동단판(可動端板)(2)측으로 이송하고, 각 여과판(2)을 순차 개리(開離)시켜서 케이크를 제거하고 다수의 노즐(10a)을 갖는 세척액 스프레이관(10)을 개리되는 여과판(4) 사이에 순차적으로 위치시켜 각 여과판(4)간에서 이동시키고, 개리된 여과판(4)간의 여과재 내지 그것이 취외된 여과면을 세척하는 세척장치에 있어서, 스프레이관(10)은 여과판(4)의 일변과 평행하도록 여과판(4)군 근방에 배치하고, 이 여과판(4) 모서리부에 향하는 일단부를 여과판(4)과 평행하게 이동가능한 가동유닛(11)에 추지하고, 가동유닛(11)은 여과판(4)의 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캐리지(12)에 지지되고, 캐리지(12) 및 가동유닛(11)을 스프레이관(10)과 함께 여과판(4)군 근방에 배치함과 동시에 캐리지(12)를 여과판(4)의 1매씩의 이송에 동기하여 스프레이관(10)을 개리되는 여과판(4)간에 위치시키도록 간헐적으로 이동시키는 수단(M1)과, 캐리지(12)가 스프레이관(10)을 개리한 여과판(4) 간에 위치시켜서 정지하게 함과 동기하여 가동유닛(11)을 왕복 이동시키는 수단(M2)과, 가동유닛(11)의 왕복이동에 동기하여 스프레이관(10)을 상기한 여과판(4)의 일변과의 평행된 자세에서 그 일변과 직각인 일변과의 사이에서 왕복 호회동(弧回動)시키는 수단(M3)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프레스에 있어서의 세척장치.
KR7702629A 1977-11-10 1977-11-10 필터 프레스에 있어서의 세척장치 KR810001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629A KR810001290B1 (ko) 1977-11-10 1977-11-10 필터 프레스에 있어서의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629A KR810001290B1 (ko) 1977-11-10 1977-11-10 필터 프레스에 있어서의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290B1 true KR810001290B1 (ko) 1981-10-13

Family

ID=19205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2629A KR810001290B1 (ko) 1977-11-10 1977-11-10 필터 프레스에 있어서의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2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974B1 (ko) * 2009-06-05 2009-11-17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세정장치를 구비하는 필터프레스
CN114733237A (zh) * 2022-04-21 2022-07-12 赤峰云铜有色金属有限公司 一种压滤机自动刮泥清洗装置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974B1 (ko) * 2009-06-05 2009-11-17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세정장치를 구비하는 필터프레스
CN114733237A (zh) * 2022-04-21 2022-07-12 赤峰云铜有色金属有限公司 一种压滤机自动刮泥清洗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9137A (en) Washing apparatus for filter press
US3844480A (en) Car washing machine
US4095700A (en) Turn-over device for slab materials
KR810001290B1 (ko) 필터 프레스에 있어서의 세척장치
US4553558A (en) Cleaning device for a filter press
US4448221A (en) Spraying apparatus for cleaning filter plates
JPS6156003B2 (ko)
US3303635A (en) Filter cleaning system
CN110811432B (zh) 清洁装置、清洁机、专用垃圾箱及以及工作方法
US3759275A (en) Car wash installation
JP4288360B2 (ja) スポンジ板の自動送り装置及びスポンジ板洗浄装置
CN208643052U (zh) 一种门扇用的多工位自动喷涂系统
US4321995A (en) Conveying and accumulating system for rolling elongated articles
DE10212965B4 (de) Kletterroboter für die sichere Bewegung auf einem glatten Untergrund
WO1987000724A1 (en) Arrangement in an irrigation system
US2961729A (en) A machine for the manufacture of pipes with a device for feeding cylindrical mandrels on which the pipes are formed
JP3035454U (ja) ガラス窓の清掃装置
JP4016129B2 (ja) スポンジ板の自動洗浄方法及び装置
JP2677410B2 (ja) 搬送装置を有する処理設備
CN220027463U (zh) 一种太阳能板的纳米涂层喷涂设备
JP2633013B2 (ja) 被塗装物の搬送設備
CN215876382U (zh) 氯化钙过滤压滤机
CN117549271B (zh) 一种毛细管拉拔用游动芯头存放装置
SU169623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борки и сварки резервуара из обечайки и днищ
CN115849285A (zh) 润滑油加工用自动化灌装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