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926B1 - 산소 흡수제 - Google Patents

산소 흡수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926B1
KR810000926B1 KR7702852A KR770002852A KR810000926B1 KR 810000926 B1 KR810000926 B1 KR 810000926B1 KR 7702852 A KR7702852 A KR 7702852A KR 770002852 A KR770002852 A KR 770002852A KR 810000926 B1 KR810000926 B1 KR 810000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water
oxygen
powde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2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오 고마쯔
요시아끼 이노우에
게이 유야마
Original Assignee
아이까와 야스기찌
미쯔비시 가스 가가꾸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까와 야스기찌, 미쯔비시 가스 가가꾸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까와 야스기찌
Priority to KR7702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926B1/ko

Link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산소 흡수제
본 발명은 철 및 할로겐화 금속을 함유하는 산소흡수제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야채나 생선같은 식물의 보존에는 곰팽이의 발생이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냉장법, GA저장법, 진공팩법, 불활성 깨스치환법등의 조치가 강구되고, 또 다시 산화방지제등의 식품첨가물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식품첨가물의 사용은 인쇄에 대한 그영향이 여러가지 논의되어 그 사용이 규제되고 있고 또 한편 냉장법등의 조치에 대하여는 대단히 광범위한 장치나 복잡한 조작이 필요하고 고가하게 된다는 결점이 있다.
식품의 보존을 방해하는 것으로서 곰팽이(진균)이나, 세균, 또는 그것들보다도 고등생물인 벌레등을 들 수가 있으나 이들의 대부분은 산소의 존재하에서 생존, 증식하고 식품의 부패, 변질을 가져오는 것이다.
따라서 식품을 포장하는 과정에서 산소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가 있으면 이들 부패, 변질의 문제는 실질적으로 대부분 해결하고 식품의 장기보존이 가능해 진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산소흡수제의 연구는 종래에도 어느정도 행해져왔다. 예를들면 일본 특허공보제47-19729호에는 하이드로설파이드, 수산화칼슘, 중탄산나트륨 및 활성탄, 그리고 또 필요에 따라 물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산소를 제거하므로써 과실, 야채류, 과채의 선도를 유지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또 미국특허제2825651호에는 적어도 어느쪽인가의 성분이 결정수를 가지고 있는 아황산염과 금속염을 각각 미세립자화한후 혼합한다든가 혹은 미세립자화 혼합한후 페렛트 형상으로 압축하여 얻어지는 산소흡수제가 기재되고 있다.
또 영국특허 제553,991호 명세서는 특수한 방법으로 수소처리하므로서 얻어지는 대단히 활성이 높은 철분을 탄소와 함께 "필"상으로 하고 드라이후우드를 넣은 용기내의 산소를 흡수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철분필은 극히 활성이 강하기 때문에 용기내의 산소와 접촉하여 급격한 반응을 일으키고 산화철이 되어 용기내의 산소를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활성이 높은 철분은 발화의 위험이 있고 영국특허의 방법은 위험성을 가지고있고 실용성이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방법과 같은 위험성이 없고 안전하고 효과적인 산소흡수제를 얻고저 여러가지 검토하였다.
그결과 일반의 금속 가루는 공기중에 방치하여도 산화속도가 작고 식품의 부패, 변질등을 방지할 수 있는 산소흡수제로서는 사용할 수 없고, 또 금속분말과 물을 혼합하여도 산화속도가 극히 늦은 데도 불구하고 금속분말과 할로겐화 금속 및 물을 혼합하므로서 산소흡수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산소 흡수제로서 먼저 제안 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금속 가루를 주제로하는 산소흡수제는 산소흡수능력에 대하여서는 만족할만한 것이나, 보존 기간중 및 산소의 흡수시에 소량이 기는 하나 수소의 발생을 동반하는 것이고, 밀폐용기내에서 대량의 산호흡수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폭발된 위험성도 있을 수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 수소발생에 의한 위헙성을 극복하고 또 양호한 산소흡수능력을 가지는 산소흡수제를 발견하고저 여러가지 검토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유황을 0.05-5중량%함유하는 철, 및 할로겐화금속으로부터 되는 산소흡수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산소흡수제는 유황을 0.05중량% 미만밖에 함유하지 않는 철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수소의 발생량이 1/50이하로 억제된다. 이러므로서 수소에 의한 폭발의 위험성을 대폭 혹은 전혀없는 것으로 한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철을 유황을 0.05-5중량% 바람직한 것은 0.1-1.0중량% 함유한 것이다. 유황함유량이 0.05중량% 미만으로서는 수소의 발생을 억제할 효과가 거의없고 5중량%를 넘을 경우는 산소의 흡수량등의 면에서 부적당하다.
보통의 방법으로 제조된철의 유황함유량은 0.01중량% 이하이다. 그 때문에 유황함유 0.05-5중량%를 함유하는 철을 얻기 위하여 추가의 고정에서 유황을 철에 가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유황을 함유하는 철분으로서는 철분제조시에 이러한 중량의 유황을 함유시킨것외에 철분을 H2S깨스로 처리한것, 유황으로 용융 처리한 것등의 제물성을 고려하면 철분제조시 함유시킨것이 바람직하다.
또 철에는 분말, 박(箔)섬유, 부스러기등의 여러가지 형태의 것이 사용되나, 산소와의 접촉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표면적비(表面積比)를 될 수 있는대로 크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만면 분말로서는 10멧슈이하 특히 50멧슈이하의 입자로서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할로겐화금속에 있어서의 성분으로서는 알카리금속, 알카리토금속, 동, 아연, 알미늄, 주석, 망간, 철, 코발트, 및 닉켈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금속을 들 수 있으나 수소의 발생을 고려하면 알카리 금속, 알카리토금속이 바람직하고 리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바륨이 바람직하다. 또 할로겐화 금속에 있어서의 할로겐성분으로서는 염소, 취소, 요오드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두 종류 이상의 혼합으로 사용한다. 할로겐화금속의 철과의 혼합방법에는 단지 첨가 혼합이라든가 할로겐화금속 수용액과 철은 혼합하고, 그리고 건조하므로서 할로겐화금속으로 철표면을 피복하는 방법등이 있다. 할로겐화 금속의 간단한 혼합물 철 100부당, 할로겐화금속 0.1부이상, 바람직하기는 10부이상이 정당하다. 할로겐화금속을 과잉으로 사용하는 것은, 단위중량당 산소흡수량을 감소시키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할로겐화 금속수용액과 철을 혼합하고 다음에 공기중등에서 건조하게 할로겐화 금속으로 철을 피복하는 경우의 사용량은 철 100부당 할로겐화금속 0.001 내지 10부, 바람직한 것은 0.01 내지 5부이다. 어느 첨가방법의 경우도 하한(下限)미만으로서는 산소흡수능력이 저하한다.
본 발명의 산소흡수제에 의한 산소흡수는 철의 수산화물, 생성반응을 이용한 것이고 따라서 산소흡수제가 물을 함유한다든가 또는 산소흡수제가 사용되는 계내에 수증기가 존재한다는 것이 필수조건이다. 산소흡수제가 물을 함유하는 경우는 이 물을 자유수, 결정수등의 여하한 형태라도 좋다. 물을 자유수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직접 철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라든가 휠라등에 담지시키는 방법등이 있으나 철 100부당 1부이상 바람직한것은 5부이상을 사용한다. 또 자유수로 바꾸어서 Na2SO4ㆍH2O, Na2SO3ㆍ7H2O, Na2CO3ㆍ10H2O등의 결정수를 가진 화합물을 사용할 경우는, 철 100부당 2부이상, 바람직한 것은 10부이상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자유수 또는 결정수를 가진 화합물의 사용량은 산소흡수제의 단위중량당의 산소흡수량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결정한다. 여기서 식품이 수분을 함유하고 있고 밀폐계내에 수증기를 발생하는 것이면 물을 실질상 함유하지않고 철분과 할로겐화 금속염의 두성분을 적용하므로서 충분히 산소흡수제로서 역할을 다하고 있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이 유황을 0.05 내지 5중량% 함유하는 철 및 할로겐화금속 필요에 따라 물에 의하여 실용적인 산소흡수제가 얻어지지만 이들에 또 다시 조제로서 다른 성분을 가하므로서 산소흡수속도, 양의 증가, 수소발생의 한층 더한 억제 및 취급의 간편함등을 겸비한 산소흡수제로 할 수가 있다.
우선 산소의 흡수속도, 양의 증가 및 취급면에서 유효한 것으로서, 활성탄, 활성알미늄, 활성백토, 규소토, 파아라이트, 세르로오스, 제오라이트, 미분실리카겔, 알카리토금속의 황산염 카오린 질화규소, 코로이달실리카, 탈크, 벤토나이트, 시리카아루미나겔, 무수실리카, 규산칼슘, 아스베스트, 산화마그네슘, 천연흑연 수산화알미늄, 석고, 산화철등의 유기 또는 무기산의 물난용성 휠라를 들 수 있다. 이들의 물난용성휠라의 첨가량은 혼합물에 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물 일부에 대하여 바람직한 것은 0.2부이상, 다시 또 바람직한 것은 0.5부 이상이고 결정수 함유화합물 100부에 대하여 바람직한 것은 일부이상 다시 또 바람직한 것은 3부이상이고 산소흡수체의 단위중량당의 산소흡수량등을 감안하여 적당히 결정된다.
제2에는 수소발생량의 한층 더한 억제를 목적으로하는 조제로서 검결제, 다가알코올 또는 알카리성물질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것은 1종 혹은 2종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된다.
점결제로서는 수용성고분자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예를들면 알긴산나트륨, 카복시메틸세룰로오즈, 하이드록시메틸실로로오스, 메틸셀로로오스, 에틸셀로로오스, 프로필셀룰로오스,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전분폴리비닐알코올, 트래가칸트고무등을 들 수 있다.
점결제의 사용량은 단순혼합하는 경우에는 철 100부에 대하여 0.5부내지 560부, 바람직한것은 1부내지 10부가 좋고 철표면에 피복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철 100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부가 바람직하고, 0.1내지 2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다가알코올은 펜타에리스톨, 트리메티롤푸로판, 트리메타롤에탄, 그리세린, 에티렌글리콜, 글루코오스 삭카토오스, 만니트, 프락로오즈 등이다. 이들 다가알코올의 사용량은 단순혼합하는 경우에는 철 100부에 대하여 0.1 내지 50부, 바람직한것은 1.0 내지 10부이고 철표면에 피복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철 100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부, 바람직한것은 0.1 내지 5부이다.
알카리성 물질로서는 알카리금속 또는 알카리토금속의 수산화물 탄산염, 아류산염, 티오황산염, 제3인산염, 제2인산염 또는 유기산염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들면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제3인산나트륨, 제2인산나트륨, 구연산나트륨, 호박산나트륨, 수산화칼륨, 제2인산칼륨, 수산화칼슘, 탄산칼슘이 바람직 하다. 이들의 알카리성 물질의 사용량은 단순한 혼합의 경우는 철 100부에 대하여 0.1 내지 20부, 바람직한것은 0.1 내지 10부이고 철표면에 피복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철 100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부 바람직한 것은 0.1 내지 2부이다.
이상 유황을 0.05 내지 5중량% 함유하는 철 및 할로겐화 금속염 필요에 따라 물을 필수성분으로하고 적당히 그 사용목적에 따라 조제로서 무기 또는 유기의 휠라, 점결제, 다가알코올, 또는 알카리성 물질을 첨가하여 본 발명의 산소흡수제가 조제된다.
조제는 특별한 방법을 필요로 하지않으나 간단하게 설명한다. 단순 혼합의 경우에는 니이다, 믹사인터내쇼날 믹사-롤밀, 갸아큰파우더-등의 혼합기에 평량(枰量)된 원료를 넣고 혼합하므로서 이루워진다. 이경우 혼합기에의 , 원료의 투입순서는 마음대로다, 또 철표면을 할로겐화 금속염, 점결제, 알카리성물질 및 다가알코올등으로 피복하는 데는 이들의, 수용액을 조정하여 여기에 철을 침지한다든가 또는 수용액을 뿌려서 혼합후 공기중이나 기타로 건조하므로서 된다.
상기의 방법으로 조합된 산소흡수체는 그대로 또는 입상화, 정제등으로 성형하여 사용한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산소흡수제는 종래의 산소흡수제와 동등의 산소흡수능력을 가지고, 또 종래의 것의 결점, 즉 보존시 및 사용시에 있어서의 수소의 발생을 종래품의 1/50이하와 대폭으로 억제하므로서 폭발의 위험성을 전혀없이 한것이다.
다음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다시금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S분을 0.2% 함유한 Fe가루, 1g와 할로겐화금속 1g를 혼합하고 이것을 유공 폴리에틸렌 필림을 라미네트한 종이주머니속에 넣고 물10ml를 함침시킨 탈지면과 같이 1ℓ의 밀폐용기내에 봉하였다. 물 함침탈지면과 종이주머니는 접촉하지 않도록 배려하여 동봉하였다. 25℃이하로 용기내의 산소 흡수량을 경시적으로 측정한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1
가내수소농도의 경일(經日) 변화는 다음과 같고 수소의 발생은 극히 적은 것이었다.
Figure kpo00002
[비교예 1]
S분을 0.020% 미만밖에 함유하고 있지않는 Fe가루 1g와 NaCl 1g을 혼합하고, 이것을 유공폴리에틸렌 필림을 라미네이트한 종이주머니속에 넣고 물 10ml를 함침시킨 탈지면과 같이 1ℓ의 밀폐용기내에 봉하였다. 물함침 탈지면과 종이주머니와는 접촉하지 않도록 배려하여 동봉하였다. 25℃하에서 용기내의 산소 흡수량을 경시적으로 측정한 바 20Hr로 33ml, 40Hr로 61ml, 80Hr로 99ml, 160Hr로 126ml이었다. 또 계내수소농도의 경일변화를 측정한바 5일로 0.4%, 10일로 0.9%, 40일로 3.8, 60일로 5.2%이었다. 실시예 1과 비교하면 수발생량이 극히 많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2]
S분을 0.2% 함유한 Fe가루 100g에 20% 할로겐화금속수용액 2ml를 첨가하고 대기하에서 교반 혼합한바 50 내지 60℃에 발열하고 수분이 증발하여 물 함유량이 실질적으로 제로의 건조분말제를 얻었다. 이 분말 1g를 유공 폴리에티렌필림을 라미네이트한 종이주머니속에 넣고 물 10ml를 함침시킨 탈지면과 같이 1ℓ의 밀폐용 기내에 봉하였다. 함침 탈지면과 종이주머니와는 접촉하지 않도록 배려하여 동봉하였다. 25℃하에서 용기내의 산소흡수량을 경시적으로 측정한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3
계내의 수소농도는 다음과 같고 수소의 발생은 극히 적었었다.
Figure kpo00004
[비교예 2]
S분을 0.020% 미만밖에 함유하고 있지않는 FE가루 100g에 20% NaCl용액 2ml을 첨가하여 대기하에서 교반 혼합하였든바 50 내지 60℃에 발열하고 수분이 증발하여 수분함량이 실질적으로 제로의 건조분말체를 얻었다. 이 분말 1ml을 유공폴리에티렌 필림을 라미네이트한 종이주머니속에 넣고 물 10ml를 함침시킨 탈지면과 같이 1ℓ의 밀폐용기내에 봉하였다. 함침탈지면과 종이주머니와는 접촉하지 않도록 배려하여 동봉하였다. 250℃하에서 용기내의 산호흡수량을 경시적으로 측정한바, 20Hr로 45ml, 40Hr로 133ml 80Hr로 155ml 160Hr로 156ml이었다. 또 계내의 수소농도의 경일변화를 측정한바 5일로 0.004% 10일로, 0.031%, 40일로 1.45%, 60일로 2.81%이고 10일이후 수소의 발생량에 급격하게 증가하고 60일후의 계내 수소농도는 실시예 2의 100배이상으로 높은 결과이었다.
[실시예 3]
S분을 0.5% 함유한 철분, 할로겐화금속으로서 NaCl 물로서 자유수 또는 결정수 함유화합물 및 물난용 성휠라로서 활성탄 실리카, 석고, 규소토를 아래표와 같이 조합하고 이 혼합분말제를 유공폴리에티렌필림을 라미네이트한 종이 주머니속에 넣고 1ℓ의 밀폐용기내에 봉하였다. 25℃하에서 방치하고 용기내의 산소 농도의 경시적변화 및 60일후의 납(納) 수소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5
[실시예 4]
NaCl 0.4g와 여러가지 점결제 0.2g를 물 40ml에 용해시켜서 여기에 S분을 0.8% 함유한 Fe가루 100g을 넣어서 잘 교반 혼합한후 80℃ 10mmHg로 감압건조하여 수분이 실질적으로 제로의 건조분말체를 얻었다. 이 건조분말체 2g를 유공 폴리에티렌필림을 라미네이트한 종이주머니속에 넣고 물 10ml을 함침시킨 탈지면과 주머니와는 접촉하지 않도록 배려하여 동봉하였다.
25℃하에서 방치하고 60시간후의 용기내 산소농도와 60일후의 H2농도를 측정한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6
[실시예 5]
NaCl 0.6g와 여러가지 알카리 0.1g를 100ml의 물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S분을 0.1% 함유한 Fe가루 10g을 넣고 수용액중에 완전히 침지시켜서 잘 교반혼합한후 하에 100℃에 가열하고 수분을 증발시키고 실질적으로 수분이 제로의 건조분말체를 얻었다.
이 분말체 2g를 유공폴리에티렌 필림을 라미네이트한 종이주머니속에 넣고 물 10ml를 함침시킨 탈지면과 같이 1ℓ의 밀폐용기내에 봉하였다.
함침탈지면과 종이주머니는 접촉하지 않도록 배려하여 동봉하였다. 25℃하에서 방치하여 30시간 후의 산소농도 및 60일후의 수소농도를 측정한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7
[실시예 6]
NaCl 2g와 펜타에리스리트릴 5g를 50ml의 물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S분을 0.%함유한 Fe가루 100g을 넣고 수용액중에 완전히 침지시켜서 잘 교반혼합한후 여벌하고 케이크형상 물질을 얻었다. 이것을 다시금 60℃ 20mmHg하에서 감압건조하여 실질적으로 수분 제로의 건조분말체를 얻었다. 이 분말체중의 NaCl펜타에리스리트릴 부착량을 측정한바 각각 0 내지 41%, 1.0%이었다.
이 분말체 2g를 유공폴리에티렌필림을 라미네이트한 종이주머니속에 넣고, 물 10ml를 함침시킨 탈지면과 같이 1ℓ의 밀폐용기내에 봉하였다. 25℃하에 방치하여 30시간후의 산소농도를 측정한바 0.0%이고 60일후의 수소농도를 측정한바 0.00005%이었다.
[실시예 7]
BaCl22H2O 0.8g와 삭가로오스 0.5g을 20ml의 물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S분을 0.3% 함유한 Fe 가루 100g을 첨가혼합하고 공기 기류하에 50℃에 가열하면서 교반혼합하여 수분함량이 실질적으로 제로의 건조분말체를 얻었다. 이 분말 2g를 유공폴리에티렌필림을 라미네이트한 종이주머니속에 넣고 물 10ml를 함침시킨 탈지면과 같이 1ℓ의 밀폐용기내에 봉하였다. 함침탈지면과 종이주머니와는 접촉하지 않도록 배려하여 동봉하였다. 25℃하에서 방치하고 30시간후의 산소농도를 측정한바 0.0%이고, 60일후의 수소농도를 측정한바 0.0008%이었다.
[실시예 8]
S분을 0.3% 함유한 Fe가루 100g에 1% NaCl 50ml를 첨가하고 잘 혼합후 50℃ 20mmHg하에서 감압 건조하여 수분이 실질적으로는 제로의 건조분말을 얻었다.
이 분말체 2g을 유공폴리에티렌필림을 라미네이트한 종이주머니속에 넣고 빵과 같이 500ml의 밀폐용기 내에 봉하고 25℃하에 방치하였다. 용기내의 산소농도를 경기적으로 측정한바 다음과 같다.
경과시간 10Hr, 20Hr, 30Hr, 30일째
산소농도 11.6% .9% 0.0% 0.0%
또 30일후의 계내수소농도는 0.023%이었다.
다음에 빵의 미각을 조사하였다. 또 비교하기 위하여 다진 빵을 500ml의 밀폐용기내에 봉하고 25℃하에 방치하여 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Figure kpo00008
곰팽이, 미각은 각각 이하의 곰팡이 발생테스트 관능테스트 5점법에 따랐다.
관능테스트 5점법
Figure kpo00009
곰팡이 발생테스트
Figure kpo00010
[실시예 9]
S분을 0.2% 함유한 Fe가루 100g에 0.2% CaCl2용액 50ml를 첨가하여 잘 혼합후 40℃, 40mmHg하에 감압건조하여 수분이 실질적으로는 재료의 건조분말체를 얻었다. 이 분말체 2g을 유공폴리에틸렌필림을 라미네이트한 종이주머니속에 넣고 하기의 식품과 같이 500ml이 밀폐용기내에 봉하고 식품의 보존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동시에 비교테스트로서 단지 식품만을 500ml의 밀폐용기내에 봉하고 실시예의 경우와 식품의 성상, 미각을 비교하였다.
결과를 이하에 표시함.
(1) 가스테라(25℃)
Figure kpo00011
(2) 딸기(5℃)
Figure kpo00012
(3) 찐밤
Figure kpo00013
[실시예 10]
S분을 0.020% 미만밖에 함유하고 있지않는 Fe가루 100을 물에 담그고 여기에 유화수소깨스를 취입한후 물로 세정하고 다음에 20% NaCl 용액 2ml를 첨가하고 50℃ 10mmHg하에서 감압건조하여 실질적으로 수분이 제로이고 S분이 2.1%의 건조분말체를 얻었다.
이분말 1g를 유공폴리에티렌필림을 라미네이트한 종이주머니속에 넣고 물 10ml를 함침시킨 탈지면과 같이 1ℓ의 밀폐용기내에 봉하였다. 함침탈지면과 종이주머니와는 밀접하지 않도록 배려하여 동봉하였다.
25℃하에서 용기내의 산소흡수량을 경시적으로 측정한바 20Hr로 72ml, 40Hr로 139ml 80Hr로 152ml 160Hr로 163ml이었다. 또 계내의 수소농도의 경일변화를 측정한바 5일 0.001%, 10로 0.002%, 40일로 0.006%, 60일로 0.008%이었다.
[실시예 11]
S분을 0.020% 미만밖에 함유하지 않은 Fe가루 100g에 유황 0.05g, 0.5g, 5g을 각각 가하고 오리바스위에서 가열하고 유황을 용융하여 Fe가루에 부착시켰다. 다음에 각각에 20% NaCl용액 2ml를 첨가하고 대기하에서 교반 혼합한바 50 내지 60℃에서 발열하고 수분이 증발하여 수분함유량이 실질적으로 제로의 건조분말체를 얻었다. 이 분말 2g를 유공폴리에틸렌필림을 라미네이트한 종이주머니속에 넣고 물 10ml를 함침시킨 탈지면과 같이 1ℓ의 밀폐용기내에 봉하였다. 함침탈지면과 종이주머니와는 접촉시키지 않도록 배려하여 동봉하였다.
25℃하에 방치하고 30시간후의 용기내 산소농도를 60일후의 H2농도를 측정한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14

Claims (1)

  1. 철 및 할로겐화금속을 함유하는 산소흡수제에 있어서 이 철로서, 유황을 0.05 내지 5중량% 함유하는 철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흡수제.
KR7702852A 1977-12-07 1977-12-07 산소 흡수제 KR810000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852A KR810000926B1 (ko) 1977-12-07 1977-12-07 산소 흡수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852A KR810000926B1 (ko) 1977-12-07 1977-12-07 산소 흡수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926B1 true KR810000926B1 (ko) 1981-08-22

Family

ID=19205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2852A KR810000926B1 (ko) 1977-12-07 1977-12-07 산소 흡수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92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6807A (en) Oxygen absorbent
US4192773A (en) Oxygen absorbent
EP0457457B1 (en) Oxygen absorbent
US4366179A (en) Oxygen and carbon dioxide absorbent and process for storing coffee by using the same
US4127503A (en) Oxygen absorbent
CA1093890A (en) Foodstuff freshness keeping agents
US6209289B1 (en) Composition for and method of absorbing oxygen in an oxygen/carbon dioxide environment
JPH0420657B2 (ko)
EP0547761B1 (en) Oxygen absorb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4104192A (en) Oxygen absorbent
KR810000926B1 (ko) 산소 흡수제
JP2901389B2 (ja) 脱酸素剤
JPS6041986B2 (ja) 酸素吸収剤
JPS63281964A (ja) 親水性充填剤を含有する酸素吸収性樹脂組成物
JPH03284347A (ja) 脱酸素剤
JPS6218217B2 (ko)
JPS6324738B2 (ko)
JPS59210844A (ja) コ−ヒ−の保存方法
JPS6233265B2 (ko)
JPH11207177A (ja) 脱酸素剤
JPS6128374B2 (ko)
JPS6120339B2 (ko)
JPH0351392B2 (ko)
JPH0157947B2 (ko)
JPH0435218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