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679B1 - 페닐피롤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페닐피롤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679B1
KR810000679B1 KR780003990A KR780003990A KR810000679B1 KR 810000679 B1 KR810000679 B1 KR 810000679B1 KR 780003990 A KR780003990 A KR 780003990A KR 780003990 A KR780003990 A KR 780003990A KR 810000679 B1 KR810000679 B1 KR 810000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dichlorophenyl
pyrrole
chloro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03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끼요시 우에다
히데오 다까기
가즈히꼬 오오구마
아끼라 나까다
아끼라 와까이
히로미 요네다
Original Assignee
모리사와 요시오
닛뽕소오다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사와 요시오, 닛뽕소오다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사와 요시오
Priority to KR780003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679B1/ko

Links

Landscapes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페닐피롤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살균제로서 유용한 페닐피롤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3-페닐피롤, 예를 들면 3-(2-니트로-3-클로로페닐)-4-클로로피롤, 1-아세틸-3-2(2-니트로-3-클로로페닐)-4-클로로피롤, 3-(3,4-디클로로페닐)-4-클로로피롤이 항균활성을 갖고, 약제로서 유용함은 공지되었다.
3-페닐피롤 중 일부, 예를 들면 3-(2-니트로-3-클로로페닐)-4-클로로피롤(일본국 특허출원공개소 51-88630호), 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클로로피롤(일본국 특허출원 공개소 50-2011호)은 식물병의 구제용으로 유용한 것으로 또한 공지되었다.
본 발명자 등이 각종 3-페닐피롤의 살균 효과를 연구한 결과 다음과 일반식(Ⅰ)의 3-페닐피롤
Figure kpo00001
(식중, Xn이 2-Cl, 3-Cl, 2.3-Cl 또는 3-CF3이고, R는 수소 또는 아세틸이고, 단 R가 수소인 경우에 Xn이 2.3-Cl2이다.)
이 종래의 3-페닐피롤보다 현저히 우수한 살균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반응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2
탈카르복실화 반응은 일반식(Ⅱ)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중에서 가열시켜 행한다. 불활성 용매로서, 사용한 반응온도 또는 그 이상의 비점을 갖는 아민류, 예를 들면 퀴놀린 및 디메틸아닐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매로서 농황산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은 용매로서 아민을 사용하는 경우에 100∼250℃, 적합하기로는 120∼220℃에서 행할 수 있으며, 용매로서 황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00 ∼130℃에서 행한다. 반응시간은 통상으로 약 20분 내지 수시간이지만, 용매로서 황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5∼20분이다. 용매로서 아민을 사용할 경우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촉매로서, 산화제2구리 또는 염화제2구리 또는 황산제2구리 등의 제2구리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아세틸화 반응은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약 1시간동안 70∼150℃, 적합하기로는 90∼120℃에서 아세틸이미다졸과 반응시켜 행한다. 이 경우에, 반응은 일반식(Ⅰ')의 화합물과 아세틸이미다졸과의 혼합물을 용융시키거나, 또는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초산무수물 중에서 촉매량의 아세틸이미다졸 또는 이미다졸과 함께 가열시켜 행할 수 있다.
또한, 아세틸화 반응은 일반식(Ⅰ')의 화합물의 나트륨 또는 칼륨염을 트리에틸아민 존재하에 초산무수물과 반응시켜 행할 수 있다.
일반식(Ⅱ)의 화합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반응(다음 반응식에서, Y는
Figure kpo00003
기이다)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본 발명의 화합물을 표 1에 나타냈다.
[표 1]
Figure kpo00006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이하 실시예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4-클로로-3-(2,3-디클로로페닐)피롤의 제조
(1) 에틸 4-(2,3-디클로로페닐)-2,4-디옥소부티레이트
수산화나트륨(50%) 14g에 디에틸옥살레이트 21.3g, 에탄올 0.54㎖ 및 2,3-디클로로아세토페논 30g을 함유하는 에테르용액 160㎖를 빙냉하에 교반하면서 적가했다. 반응을 물이 없는 상태에서 행했다. 반응을 적가후 교반하면서 40분 동안 실온에서 계속하고, 이 반응을 환류하에 45분 동안 더 행했다. 반응혼합물을 초산 17.5g을 함유하는 빙-냉수에 붓고, 교반한 후에, 이 혼합물을 교반했다. 유기층을 분리시키고, 탈수,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n-헥산으로 재결정하여 에틸 4-(2,3-디클로로페닐)-2,4-디옥소부티레이트 14.5g을 수득했다.
(백색침상형, 융점 57∼58℃)
(2) 에틸-4-(2,3-디클로로페닐)-2-(디에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4-옥소부티레이트
벤젠 80㎖중의 에틸 4-(2,3-디클로로페닐)-2,4-디옥소부티레이트 3.8g, 디에틸 아미노말로네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8g 및 피리딘 2.0g을 환류하게 8시간 동안 가열시키고, 한편으로 부산물로서 생성된 물을 제거했다. 반응용액을 냉각시킨 후에, 이것을 염산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이어서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탈수시킨 뒤 건조시까지 증발시켜 에틸 4-(2,3-디클로로페닐)-2-(디에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4-옥소-부티레이트 1.88g을 수득했다.
(3) 디메틸 3-(2,3-디클로로페닐)피롤-2,5-디카르복실레이트
메탄올 50㎖에 상기의 (2)에서 제조한 에틸 4-(2,3-디클로로페닐))-2-(디에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4-옥소부티레이트 1.88g을 용해시켰다. 무수탄산나트륨 0.22g을 이 용액에 부가하고, 이 용액을 환류하에 4시간 동안 가열시켰다.
반응 후, 메탄올을 감압하에서 유거하고, 잔류물을 초산에틸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탈수시키고, 감압하에서 건조시까지 증발하였다. 잔류물을 메탄올로 재결정하여 디메틸 3-(2,3-디클로로페닐)피롤-2,5-디카르복실레이트(융점 143∼145℃) 1g을 수득했다.
(4) 디메틸 4-클로로-3-(2,3-디클로로페닐)피롤-2,5-디카르복실레이트
슬퍼릴클로라이드 0.45g을 초산 10㎖중에 용해시킨 디메틸 3-(2,3-디클로로페닐)피롤-2,5-디카르복실레이트 1g의 용액에 부가하고, 이것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했다. 반응 용액을 감압하에서 건조시까지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초산에틸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에, 이것을 탈수시키고, 감압하에서 건조시까지 증발시켜 디메틸 4-클로로-3-(2,3-디클로로페닐)피롤-2,5-디카르복실레이트 1g을 수득했다. (백색결정, 융점 172∼173℃)
(5) 4-클로로-3-(2,3-디클로로페닐)피롤-2,5-디카르복실레이트
디메틸 4-클로로-3-(2,3-디클로로페닐)피롤-2,5-디카르복실레이트 1g, 수산화나트륨 1g, 에탄올 30㎖ 및 물 18㎖와의 혼합물을 환류하에 90분 동안 가열시켰다. 반응 후, 에탄올을 감압하에 유거하고, 잔류물을 에테르로 세척했다. 수용액층을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이어서 초산에틸로 추출했다. 초산에틸층을 물로 세척하고, 탈수시키고, 감압하에서 건조시까지 증발시켜 4-클로로-3-(2,3-디클로로페닐)피롤-2,5-디카르복실산 0.93g을 수득했다. (백색결정, 분해온도 273℃)
(6) 4-클로로-3-(2,3-디클로로페닐)피롤 (제1번 화합물)
4-클로로-3-(2,3-디클로로페닐)피롤-2,5-디카르복실산 53g, 산화제2구리 2.65g 및 퀴놀린 80㎖와의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140∼150℃에서 30분 동안 가열시켰다. 생성되는 반응혼합물에 초산에틸을 부가하고, 같은 몰량으로 얼음과 농염산은 사용한 퀴놀린의 1.1배 이었다. 초산에틸층을 연속해서 물, 탄산나트륨 수용액 및 물로 세척했다. 탈수시킨 후에, 초산에틸층을 감압하에서 건조시까지 증발시켜 갈색 생성물 33.1g을 수득했다. 조악한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와 역류 분포로 정제하여, 담황색 유상물을 수득했다. 유상물을 n-헥산으로 재결정하여 목적물 22.5g을 수득했다. (무색 또는 담황색 침상물, 융점 58∼59℃).
[실시예 2]
1-아세틸-4-클로로-3-(2,3-디클로로페닐)피롤(제2번화합물)의 제조
4-클로로-3-(2,3-디클로로페닐)피롤 0.3g 및 N-아세틸이미다졸 0.6g의 혼합물을 140℃에서 아르곤 기류중에서 1시간 동안 용융시켰다. 생성되는 반응혼합물을 박층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물 0.2g을 수득했다(무색 또는 약간 색을 띈 결정, 융점 97℃).
[실시예 3]
1-아세틸-4-클로로-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롤(제3번 화합물)의 제조
4-클로로-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롤 1g 및 N-아세틸 이미다졸 2g의 혼합물을 140∼150℃에서 1.5시간 동안 용융시켰다. 생성되는 반응혼합물을 용매로서 n-헥산중의 아세톤 10%용액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물 0.8g을 수득했다(담적 갈색결정, 융점 70∼71.5℃)
[실시예 4]
1-아세틸-3-(2-클로로페닐)-4-클로로피롤(제4번 화합물)의 제조
3-(2-클로로페닐)-4-클로로피롤 4.35g과 N-아세틸이미다졸 5.3g의 혼합물을 100∼110℃에서 4시간 동안 가열시켰다. 냉각후, 반응혼합물을 에테르 200㎖중에 용해시키고, 생성되는 에테르 용액을 연속해서 묽은 염산과 물로 세척했다. 에테르 용액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건조시까지 증발시켰다. 잔류 생성물을 n-헥산 및 벤젠(1 : 1)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물 2.5g을 수득했다(무색결정, 융점 82∼84℃).
[실시예 5]
1-아세틸-3-(3-클로로페닐)-4-클로로피롤(제5번 화합물)의 제조
3-(3-클로로페닐)-4-클로로피롤 6.5g 및 N-아세틸이미다졸 10.1g의 혼합물을 100∼110℃에서 1시간 동안 가열시켰다. 냉각후, 반응혼합물을 에테르 200㎖ 및 물 20㎖와의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생성되는 에테르 용액을 실시예 4에서와 같이 처리하여 목적물 4.5g을 수득했다(무색결정, 융점 88∼90℃).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식물에 대한 상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할 경우 우수한 살균효과를 가지며, 특히 아세틸화합물, 즉 제2∼5번 화합물은 현저한 잔류활성을 갖는다. 이 화합물은 적당한 담체로 혼합하지 않고 직접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균제의 유효성분은 수화분제, 유화농제 및 분제등의 농약 제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로 혼합하여 제제할 수 있다. 고상담체로서, 벤토나이트, 규조토, 인회석, 석고, 활석, 피로필라이트, 버어미큘라이트 및 점토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액상담체로서, 케토신, 광유, 석유, 용매납사, 키실렌,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헥사논,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사이드, 알코올, 아세톤, 벤젠 및 물을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균일하고 안정한 제제를 얻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수 있다.
살균제중 유효성분의 농도는 제제형태에 따라 변화하며, 예를 들면 수화분제의 경우 5∼80중량%, 적합하기로는 20∼80중량%, 유화농제의 경우 5∼70중량%, 적합하기로는 10∼50중량%, 그리고 분제의 경우 0.5∼20중량%, 적합하기로는 1∼10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기타 살균제, 살충제, 살비제 및 제초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제한 살균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6]
수화분제
중량부 중량부
제1번 화합물 20 소디움 고급알킬 술페이트 7
규조토 73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미세한 입자로 분쇄시켜, 유효성분 20%를 함유하는 수화분제를 제제했다.
[실시예 7]
유화농제
중량부 중량부
제2번 화합물 20 디메틸포름아미드 30
키실렌 42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8
이들을 혼합, 용해하여 유효성분 20%를 함유하는 유화농제를 제제했다.
산 제
중량부 중량부
제3번 화합물 2 활석 98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미세한 입자로 분쇄하여 유효성분 20%를 함유하는 산제를 제제했다.
수화분제 또는 유화농제는 물을 사용하여 소기의 농도로 희석하여, 토양, 식물 또는 종자처리용 현탁액 또는 유화액으로 사용한다. 산제는 토양, 식물 또는 종자를 처리하기 위해 직접 사용한다.
본 발명의 살균제는 여러가지의 식물병, 예를 들면 식물에 사용하여 야채의 회색녹병과 스클레로티니아 부식병(Schlerotinia rot), 토마토의 잎녹병, 탄저병, 오이의 후사리움 위축병 및 줄기고사병, 고사병, 벼의 엽초 고사병 및 헬민토스포리움 잎반점(Helminthosporim leaf spot), 보리의 줄무늬병, 배의 흙, 반점, 복숭아의 갈색부식병, 포도의 회색녹병 및 사과의 옴병, 토양을 처리하여 안트락노스(anthracnose), 오이의 후사리움 위축병 및 줄기고사병, 종자를 처리하여 벼의 고사병 및 헬민토스포리움 잎반점, 밀의 흑수병 및 보리의 줄무늬병을 방제하는데 유효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살균효과를 다음 시험으로 설명한다.
시험예 1. 콩의 회색녹병 방제시험
강남콩(Phaseolus vulgaris)의 분리잎을 약 30초 동안 수화분제를 상이한 농도의 시험화합물에 희석시켜 제조한 각 현탁수용액중에 침지시켰다. 공기로 건조시킨 후에, 처리한 잎을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의 마이셀리아로 접종하고, 축축한 방에서 20℃에 유지했다. 접종 4일 후 방제 효과를 시험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식물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표 2]
Figure kpo00007
*비교 화합물
1. 4-클로로-3-(2-니트로-3-클로로페닐)피롤(일본국 조기공개 특허출원 제88630호/1976)
2. 4-클로로-3-(3,4-디클로로페닐)피롤(일본국 조기공개 특허출원 제6748호/1967)
3. 4-클로로-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롤(일본국 조기공개 특허출원 제2011호/1975)
4. Rovral(상명)
1-이소프로필카르바모일-3-(3,5-디클로로페닐)히단토인
5. Euparen(상명)
N´-디클로로플루오로메틸티오-N, N-디메틸-N´-페닐슬파미드
시험예 2. 콩의 회색녹병 방제시험
화분에 심은 강남콩(Phaseolus vulgaris L.)모종("Nagauzura", 1.5엽 단계)을 유효성분 200ppm의 농도에서 화학용액으로 1회 분무하고, 이어서 온실에 두었다. 콩의 잎을 분리하고, 분무 7일 후 보트리티스 시네리아의 포자로 접종시키고, 20℃에서 축축한 방에 두었다. 접종 4일 후 방제효과를 점검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식물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표 3]
Figure kpo00008
*비교 화합물 : 시험예 1과 동일.
시험예 3. 오이의 리족토니아 노균병 방제시험
자엽단계에서 화분에 심은 오이모종을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의 포자로 접종시킨 후 시험화합물 100ppm을 함유하는 현탁수용액을 화분당 10㎖의 양으로 토양처리했다. 접종 4일 후 방제효과를 점검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식물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표 4]
Figure kpo00009
*비교화합물
1. 시험예 1과 동일
PCNB : 펜타클로로니트로벤젠
시험예 4. 종자처리에 의한 보리의 줄무늬병 방제시험
보리(품종. 가시마)종자를 화학적 수화분제로 처리하고, 종자처리 1일 후 파종했다. 파종 120일 후 방제효과를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식물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표 5]
Figure kpo00010
*Vitavax : 5,6-디하이드로-2-메틸-1,4-옥사티인-3-카르복시아닐라이드

Claims (1)

  1. 다음과 같은 구조식(Ⅱ)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 중에서 가열시켜 구조식(Ⅰ')의 화합물을 제조하고, 생성된 화합물을 임의로 아세틸화하여 구조식(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Ⅰ)의 페닐피롤 유도체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11
    상기의 구조식에서,
    Xn은 2-Cl, 3-Cl, 2,3-Cl2및 3-CF3로 되는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며,
    R는 수소 및 아세틸로 되는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것이다. 단, R가 수소인 경우 Xn은 2,3-Cl2이다.
KR780003990A 1978-12-30 1978-12-30 페닐피롤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10000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03990A KR810000679B1 (ko) 1978-12-30 1978-12-30 페닐피롤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03990A KR810000679B1 (ko) 1978-12-30 1978-12-30 페닐피롤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679B1 true KR810000679B1 (ko) 1981-06-20

Family

ID=19209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03990A KR810000679B1 (ko) 1978-12-30 1978-12-30 페닐피롤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67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9465A (en) Cyanopyrrole derivatives
DE69324552T4 (de) N'-substituierte-N,N'Diacylhydrazin-Insektizide
EP0332133B1 (en) Novel triazole compounds,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herb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JPH04316559A (ja) ピラゾールカルボキサニリド誘導体及び殺菌剤
US4094985A (en) Fungicidal isothiazoles
KR810000679B1 (ko) 페닐피롤 유도체의 제조방법
DE69915472T2 (de) Phenylacetylenderivate und bakterizide für landwirtschaft und gartenbau
JP3511729B2 (ja) 4−〔2−(トリフルオロアルコキシ置換フェニル)エチルアミノ〕ピリミジン誘導体、その製法及び農園芸用の有害生物防除剤
JPS5953468A (ja) 4−フエニルピラゾ−ル誘導体及び農園芸用殺菌剤
JP2504072B2 (ja) 置換ベンゾイル誘導体および除草剤
US4326881A (en) Phenylpyrol derivatives
DE2903458C3 (de) 3-Chlor-4-pheny\pyrrol-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H03135941A (ja) 若干種のグリオキシル―シクロヘキセンジオン化合物
EP0262428A1 (en) Hydantoin derivatives and herbicides containing the derivatives as an active ingredient
JPH0768220B2 (ja) 新規ピラゾ−ル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らを含有する農園芸用殺菌剤
KR900003390B1 (ko) 피라졸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농원예용 살균제
JP3498331B2 (ja) セミカルバゾン誘導体
US4246279A (en) Novel dichloromaleic acid diamid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fungicides
KR800001553B1 (ko) 이미다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8193011A (ja) 除草性スルホンアミド化合物
JPH0826914A (ja) トリケトン誘導体
KR950004700B1 (ko) N-치환된 페닐-1,2,3,6-테트라히드로 프탈이미드 유도체
JPH0471065B2 (ko)
JPS5995258A (ja) 尿素化合物、中間体、それらの製造方法、除草および/または殺菌組成物および望ましくない植物の生育の撲滅
JPH0460462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