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464B1 - 신규 치환칼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규 치환칼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464B1
KR810000464B1 KR780001995A KR780001995A KR810000464B1 KR 810000464 B1 KR810000464 B1 KR 810000464B1 KR 780001995 A KR780001995 A KR 780001995A KR 780001995 A KR780001995 A KR 780001995A KR 810000464 B1 KR810000464 B1 KR 810000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xylic acid
dimethyl
salts
thiazolidin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01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인젤 온데티 미겔
Original Assignee
죠오지 제이 코 에서
이이 아아르 스퀴부 앤드 산즈 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죠오지 제이 코 에서, 이이 아아르 스퀴부 앤드 산즈 인코포레이팃드 filed Critical 죠오지 제이 코 에서
Priority to KR780001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464B1/ko

Link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신규 치환칼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을 가진 신규의 티아졸리딘-, 디아잔- 및 관련 칼복실산과 그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단, 상기 식에서 R은 히드록시 혹은 저급알콕시; R1및 R2는 각각 수소 혹은 저급알킬; R5및 R6은 수소 혹은 저급알킬(R5와 R6이 동시에 수소일 수는 없음); R3은 수소, 저급알킬 혹은 머캅토-저급알킬렌; R4는 수소, 저급알칸올, 벤조일 혹은
Figure kpo00002
X는 O, S, SO 혹은 SO2; X가 0일때m은 2,n은 1;m은 1, 2 혹은 3;n은 0, 1 혹은 2; 그리고m+n은 2혹은 3; P는 0 혹은 1이다. 별표는 비대칭 중심을 표시함.
본 발명은 상기식 I을 가진 디아졸리딘-, 디아잔- 및 관련 칼복실산 염의 유도체도 그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 화합물의 특징은 비치환 혹은 5-혹은 6-개의 이종환상 칼복실산으로 치환된 저급알킬이다. 여기서 환상칼복실산은 질소원자 한개, 고리중에 유황 혹은 산소원자한개, 나머지는 탄소이다. 디아졸리딘-, 디아잔- 및 몰폴린 칼복실산이 또한 중요한 특징이다. 고리는 질소원자외에는 산소 혹은 유황과 같은 이종원자 핵을 가지며 유황은 설피닐(
Figure kpo00003
) 혹은 설포닐(
Figure kpo00004
)상태로 산화될 수 있다. 이종환상고리의 질소에서 시작되는 측쇄는 비치환 혹은 치환 머캅토-알카놀기이다. 본 화합물은 유황을 함유하는 치환 R4가 동일기가 되므로써 "이량체"가 될 수 있다.
저급알킬기는 어떤 기호로 표시됐건 관계없이 메틸에서 헵틸까지의 직쇄 혹은 측쇄탄화수소,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펜틸, 이소펜틸 및 그 동류물을 포함한다. 저급알킬렌기 역시 1 내지 7개의 탄소를 갖는 기이다. 마찬가지로 저급알콕시기는 산소와 연결된 같은 종류의 기,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t-부톡시 및 그 동류물등이다. C1-C4, 특히 C1및 C2는 어떤 것이라도 좋다. 저급 알카노일기는 고급(탄소 7개 이상) 지방산의 아실기, 예컨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및 그 동류물등인데, 아세틸이 더 좋다.
전술한 기호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을 통해 적용된다.
식 I의 화합물은 여러가지 합성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5
(단, 상기 식에서 R은 히드록시이고 다른 기호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의미를 가짐)의 산을 하기식 :
Figure kpo00006
의 산으로 아실화하는 것이 좋은데 산 III은 산 II와 반응하기전에, 혼합무수물, 대칭무수물, 산염화물, 활성에스테르, 우드워드시약 K, N, N'-카보닐비스이미다졸, EEDQ(N-에톡시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로퀴놀린) 혹은 그 유사물을 생성시켜서 활성화한다. R이 저급 알콕시일때에는 이 방법을 쓰거나 아니면 그러한 반량체를 결합하는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식 II의 산은 물론 단계적으로 아실화한다. 예를 들면 아실화제 III의 일부를 구성하는 물질도 식 II의 산에 먼저 결합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하기식 :
Figure kpo00007
(단 상기 식에서 hal은 할로겐을, 통상 염소 혹은 브롬을 표시함)의 할로아실 할라이드, 3-예컨대 3-브로모프로판오일 클로라이드를 그 산에 반응시킬 수도 있다. 이때 하기식의 제품이 얻어진다.
Figure kpo00008
이 중간제품을 치올 R4-SH와 반응시키면 원하는 식 I의 제품이 얻어진다. 이 아실화 반응단계는 실시예 1에 기술되어 있다.
얻어진 제품이 에스테르일 때, 예컨대 R이 저급알콕시 일 때, 그 에스테르는 알카리성 가수분해 혹은 삼불화초산과 아니솔 처리에 의해 자유 칼복실기로 전환될 수 있다. 반대로 자유산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에스테르화 할 수도 있다.
R4가 하기식 :
Figure kpo00009
인 디설파이드는 하기식 :
Figure kpo00010
의 화합물을 알콜성요드용액등으로 산화하므로써 얻어진다.
식 I의 제품은 적어도 하나 혹은 4개 이상의 비대칭성 탄소원자를 갖는다. 이들 탄소원자는 식 I에서 별표로 표시되어 있다. 그 화합물은 통상 디아스테레오이성체 형태를 존재하거나 그의 라세미화 혼합물로 존재한다. 이들 모두는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상술한 합성법은 라세미화합물 혹은 엔안치오머를 출발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합성공정에서 라세미출발물질을 사용할 경우 제품에서 얻어진 입체 이성체는 통상적인 크로마토그라피 혹은 분별결정법에 의해 분리할 수 있다. 보통 아미노산의 탄소에 관한 L-이성체가 좀 더 낮다. 본 발명 화합물은 여러 종류의 유기 혹은 무기기저와 염을 생성하며 이들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그러한 염에는 암모니아염, 소다 및 카리염과 같은 알카리금속염(이들이 좋은 결과를 준다). 칼시움 및 마그네시움, 염과 같은 알카리토금속염, 유기 염 예컨대 디사이클로헥실아민염, 벤자친, N-메틸-D-글루카민, 히드라바민염, 알기닌, 리신 및 그 동류물과 같은 아미노산염 등이 있다. 비독성이고 생리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은, 예컨대 디사이클로헥실아민염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품의 단리 혹은 정제과정등에서 비록 다른 염이 유용하다하더라도 이보다 더욱 좋은 결과를 준다.
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생성되는데 자유 산형태의 제품을 원하는 양이온을 제공하는 한당량 이상의 적당한 염기와 염에 대해 불용성인 용제 혹은 매제중에서 반응시킨후 여과하거나, 또는 수중에서 반응후 냉동건조에 의해 물을 제거한다. 그 염을 수소형 양이온 고환수지[예컨대 폴리스티렌 설폰산수지-Dowex 50 (Mikes, Laboratory Hand book of chromatographic Methods, Van Nostrand, 1961) 256페이지]와 같은 불용성 산이나 수용성산으로 중화한 후 초산에틸, 디클로로메탄 및 그 유사물과 같은 유기용제로써 추출하면 자유산형로 얻어지며 원할 경우 다른염으로 전환할 수 있다.
추가적인 세부 실험내역은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은 데카펩티드 앙기오텐신 I의 앙기오텐신 II로의 전환을 억제하므로 히퍼텐션과 관련된 앙기오텐신의 감소 혹은 완화제로서 유용하다. 앙기오텐시노겐상의 리닌효소, 혈청중의 위성글로블린이 작용해서 앙기오텐신 I이 생성된다. 앙기오텐신 I은 앙기오텐신 전환효소(ACE)에 의해 앙기오텐신 II로 전환된다. 후자는 활성혈압앙진 물질로서 쥐, 개 등 여러 종류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형태의 고혈압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 화합물은 앙기오텐시노겐→앙기오텐신 I→앙기오텐신 II전환에 개입하여 앙기오텐신 전환 요소를 억제하므로써 혈압 앙진물질인 앙기오텐신 II의 생성을 감소 혹은 제거한다.
식 I의 화합물에 의한 앙기오텐신 전환효소의 억제는 토끼폐로 부터 얻은 유리 앙기오텐신 전환효소를 사용하여 쿠쉬만(Cushman) 및 쳉(cheung)이 기술한 방법[Bio chem, Pharmacol, 20, 1637(1971)]과 절단연질근육시험[E. O'keefe, etal., Federation Proc. 31, 511(1972)]에 따라 초자관 시험에 의해 측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이들 화합물은 앙기오텐신 I의 수축력을 억제하는 효과와 브래디키닌의 수축력을 상승하는 작용이 강하게 나타났다.
식 I의 화합물을 단일제제 혹은 조성물 또는 그의 생리학적 수용가능 염을 고혈압성 포유동물에 경구 투여하면 앙기오텐신성 고혈압증상을 경감시킨다. 일 1회 복용도 가하나 2회 내지 4회 분할복용이 더 좋으며, 매일 체중 1kg당 약 10내지 500mg이 혈압 경감에 적합하다. S.L. Engel T.R. Schaeffer, M.H. Waugh 및 B. Rubin이 Proc. Soc. Exp. Biol. Med. 143, 483(1973)에 기술한 동물모형 실험 내용은 좋은 참고가 될 수 있다.
이들 물질은 경구투여가 좋으나 피하, 근육, 정맥, 복강내 주사등 비경구적 경로를 통해서도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은 정제, 캅셀, 엘릭서 등 경구투여제 혹은 멸균용액, 현탁액등 비경구투여제로 조제하여 혈압강하제로 사용할 수 있다. 식 I의 화합물 약 10 내지 500mg 혹은 생리학적 수용가능염 혹은 그들 혼합물에 부형제, 담체, 접착제, 방부제, 안정제, 향료등과 약리학적 수용가능한 방법으로 전술한 단위투여량으로 조제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의 유효성분함량을 전술한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키 위한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온도는 섭씨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1]
3-(3-아세틸치호프로판올)-2,2-디메틸-4-L-티아졸리딘-칼복실산
2,2-디메틸티아졸리딘-4-칼복실산(5.74g)을 58ml의 무수피리딘에 용해하여 가열한다. 그 용액을 얼음중탕내에서 냉각, 교반하면서 3-아세틸치호프로판오닐클로라이드(4.814g)을 적가한다. 중탕을 제거하고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도록 방치한다. 침전물을 여과하여 여액을 진공건조한다. 잔사는 초산에틸에 넣고 10%의 중황산 카리용액 및 물로 세척한다. 초산에틸 추출물을 황산마그네시움 상에서 건조한 후 진공 건조한다. 이 잔사를 에텔로 처리한 다음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건조한 후 아세토니트릴로 부터 결정시키면 2.63g의 3-(3-아세틸치호프로판오일)-2,2-디메틸-4-L-티아졸리딘칼복실산을 얻으면 융점은 126-127°이다.
[실시예 2]
3-(3-머캅토프로판오일)-1-옥소프로필-2,2-디메틸-4-L-티아졸리딘 칼복실산
3-(아세틸프로판오일)-2,2-디메틸-4-L-티아졸리딘 칼복실산(5.82g)을 알곤가스하에서 15ml의 물 및 15ml의 농암모니아의 냉 혼합용액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다. 그 반응혼합물을 냉각하여 농 염산으로 산성화한다. 결정체를 냉각, 여과 및 수세하면 융점 132-136°인 연무상물질이 얻어진다.
이것을 뜨거운 아세토니트릴에 취하여 여과한다. 여액으로부터 융점 135-136°인 3-(3-머캅토프로판오일)-1-옥소프로필-2,2-디메틸-4-L-티아졸리딘칼복실산이 얻어진다.
[실시예 3]
3-(3-아세틸치호-2-메틸프로판오일)-2,2-디메틸-4-L-티아졸리딘칼복실산 이성체 A
2,2-디메틸-4-티아졸리딘 칼복실산 염산염(19.8g)을 빙중탕에서 교반하면서 200ml의 무수피리딘에 용해한다. 여기에 3-아세틸치오-2-메틸프로판오일클로라이드 (180g)을 적가한다. 그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도록 교반한다. 침전물을 여과한후 여액을 진공농축하여 건조한다. 잔사는 초산에틸에 용해한 후 10%중황산카리와 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시움상에서 건조하여 진공농축에 의해 건조하면 31g의 조 3-(3-아세틸치오-2-메틸프로판오일)-2,2-디메틸-4-L-티아졸리딘칼복실산, 이성체 A가 얻어진다.
[실시예 4]
3-(3-아세틸치오-2-메틸프로판오일)-2,2-디메틸-4-L-티아졸리딘 칼복실산, 이성체 B
실시예 3에서 얻어진 디사이클로헥실아민염 제조시의 모액을 진공농축하여 건조한다. 그 잔사를 초산에틸 및 10%중황산카리에 가하고 80ml의 아세토니트릴로부터 결정시키면 7.5g의 3-(3-아세틸치오-2-메틸프로판오일)-2,2-디메틸-4-L-티아졸리딘 칼복실산 이성체 B가 융점 156-157°로 얻어진다.
[실시예 5]
3-(3-머캅토-2-메틸프로판오일)-2,2-디메틸-4-L-티아졸리딘 칼복실산, 이성체 A
3-(3-아세틸치오-2-메틸프로판오일)-2,2-디메틸-4-L-티아졸리딘 칼복실산, 이성체 A(5g)을 알곤가스분위기 하에서 15ml의 물 및 15ml의 농 암모니아수 내용액에 용해한다. 30분후 그것을 냉각하고 농염산으로 산성화한다. 결정성 침전물을 여과한 다음 수세한다. 40ml의 아세토니트릴로 부터 재결정화하면 3-(3-머캅토-2-메틸프로판오일)-2,2-디메틸-4-L-티아졸리딘 칼복실산이 제품으로 4.2g얻어지며, 융점은 174-175°이다.
[실시예 6]
3-(3-머캅토-2-메틸프로판오일)-2,2-디메틸-4-L-티아졸리딘 칼복실산, 이성체 B
알곤가스 분위기하에서 물 6ml 및 농암모니아수 6ml의 냉용액에 3-(3-아세틸치오-2-메틸프로판오일)-2,2-디메틸-4-L-티아졸리딘 칼복실산, 이성체 B(4g)을 용해한다.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후, 냉각하거나 농염산으로 산성화한다. 결정성 침전물을 여과한 후 수세한다. 아세토니트릴로 부터 재결정화하면 3.7g의 3-(3-머캅토-2-메틸프로판오일)-2,2-디메틸-4-L-티아졸리딘 칼복실산, 이성체 B가 제품으로 얻이지며, 융융은 197-198°이다.
[실시예 7]
3-(3-아세틸치오프로판오일)-5,5-디메틸-4-DL-티아졸리딘 칼복실산
가) 5,5-디메틸-4-티아졸리딘칼복실산.
D, L-페니실아민(20g, 134밀리몰)을 실온에서 134ml의 1N염산에 용해한 후, 37%의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40ml(492밀리몰)을 첨가한다. 30분후 초산나트리움 (11g, 134밀리몰)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도록 교반한다. 여과후 고형분을 차거운 50%에탄올 얼음수로 세척한다음 진공건조하면 14.4g의 5,5- 디메틸-4-티아졸리딘 칼복실산이 제품으로 얻어지며, 융점은 209-210°이다. 진공농축후 모액을 95%에탄올로 처리하면 1.4g의 제품이 추가로 얻어지며, 이때의 융점은 212-213°이고 결과적으로 총 수율은 15.8g(73%)이다.
나) 3-(3-아세틸치오프로판오일)-5,5-디메틸-4-DL-티아졸리딘 칼복실산
가)에서 얻은 제품(6g, 37.2밀리몰)을 중조 3.5g(41.4밀리몰)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42ml 및 물 41ml에 녹인 혼합액에 용해한다. 3-(3-아세틸치오프로판오일) 클로라이드(5.5ml, 41.1밀리몰)을 5.5ml의 에텔에 가한 것을 적가한 다음, pH를 6 내지 7로 유지하면서 2N가성소다 수용액으로 적정한다. 첨가 완료후 30분간 교반한후 100ml의 염산을 급히 가한다. 그 혼합물을 초산에틸 250ml씩으로 2회 추출하고 유기 추출물을 100ml씩의 물과 염수로 세척하고 망초로 건조하고 진공건조한다. 잔여 기름상물질을 실온에서 방치하면 결정화하며 11.0g의 조 3-(3-아세틸치오프로판오일)-5,5-디메틸-4-DL-티아졸리딘 칼복실산을 얻게 된다. 석유에텔로 부터 재결정화 하면 7.9g(73%)의 제품이 얻어지며, 융점은 99-100.5°이다.
[실시예 8]
3-(3-머캅토프로판오일)-5,5-디메틸-4-DL-티아졸리딘 칼복실산
3-(3-아세틸치오프로판오일)-5,5-디메틸-4-티아졸리딘 칼복실산 2.91g(10밀리몰)을 8ml의 물에 가한 현탁액을 알곤 분위기하에서 실온에서 급격히 교반한다. 교반현탁액에 8ml의 58%암모니아 수용액을 약 1분 동안에 적가한다. 그 불균일 용액을 알곤 가스하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냉각한 다음 농염산으로 산성화한다. 그 수용액을 40ml 및 30ml의 초산에틸로 추출한다. 그 혼합 유기용액을 5m의 물과 10ml의 염수로 세척한 후 건조(망초) 및 진공농축하면 2.74g의 원유가 얻어진다. 그 기름을 약 50ml의 초산 에틸/헥산(4 : 6)로 처리하면 1.88g의 연백색 고체인 3-(3-머캅토프로판오일)-5,5-디메틸-4-DL-티아졸리딘 칼복실산(75%)이 급결하며 융점은 100-101.5이다. Tlc, Rf=0.46(실리카겔; 초산에틸 : 피리딘 : 메탄올 : 물, 60 : 20 : 6 : 11)
[실시예 9]
3-(3-머캅토-2-메틸트로판오일)-2,2,5,5-테트라메틸-4-DL-티아졸리딘 칼복실산
실시예 5의 방법에 따라 2,2,5,5-테트라메틸-4-티아졸리핀 칼복실산을 2,2-디메틸-4-티아졸리딘 칼복실산 염산에 치환한 후 실시예 5의 방법에 따라 처리하면 3-[3-(아세틸치오)-2-메틸프로판오일]-2,2,5,5-테트라메틸-4-DL-티아졸리딘 칼복실산 및 3-(3-머캅토-2-메틸프로판오일)-2,2,5,5-테트라메틸-4-DL-티아졸리딘 칼복실산을 얻는다.
[실시예 10]
3-(3-머캅토-2-메틸프로판오일)-2-에틸-2-메틸-4-L-티아졸리딘 칼복실산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2-에틸-2-메틸-4-L-티아졸리딘 칼복실산을 2,2-디메틸-4-L-티아졸린딘 칼복실산 염산으로 치환한 다음 그 제품을 실시예 5의 방법으로 처리하면 3-[3-(아세틸치오)-2-메틸프로판오일]-2-에틸-2-메틸-4-L-티아졸리딘 칼복실산 및 3-(3-머캅토-2-메틸프로판오일)--2-에틸-2-메틸-4-L-티아졸리딘 칼복실산이 얻어진다.
[실시예 11]
3-(3-머캅토프로판오일)-2-에틸-5,5-디메틸-4-DL-티아졸리딘 칼복실산
실시예 7의 방법에 따라 2-에틸-5,5-디메틸-4-DL-티아졸리딘 칼복실산을 5,5-디메틸-4-티아졸리딘 칼복실산으로 치환한 다음, 그래품을 실시예 8의 방법에 따라 처리하면 3-[3-(아세틸치오)프로판오일]-2-에틸-5,5-디메틸-4-DL-티아졸리딘 칼복실산 및 3-(3-머캅토프로판오일)-2-에틸-5,5-디메틸-4-DL-티아졸리딘 칼복실산이 얻어진다.
[실시예 12]
3-[2-(머캅토메틸)-3-머캅토프로판오일]-5,5-디메틸-4-DL-티아졸리딘 칼복실산
실시예 9의 방법에 따라 5,5-디메틸-4-DL-티아졸리딘 칼복실산을 4-L-티아졸리딘 칼복실산으로 치환한다음 그 제품을 실시예 10의 방법으로 처리하면 3-[2-(아세틸치오메틸)-3-아세틸치오 프로판오일]-5,5-디메틸-4-DL-티아졸리딘 칼복실산 및 3-[2-(머캅토메틸)-3-머캅토프로판오일]-5,5-디메틸-4-DL-티아졸리딘 칼복실산을 얻는다.
[실시예 13]
4-(3-머캅토-2-메틸프로판오일)-5,5-디메틸-1,4-L-티아잔-3-칼복실산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5,5-디메틸-1,4-L-티아잔-3-칼복실산을 2,2-디메틸-4-L-티아졸리딘 칼복실산 염산염과 치환한 다음 실시예 5에 따라 처리하면 5,4-[3-(아세틸치오)-2-메틸프로판오일]-5,5-디메틸-1,4-L-티아잔-3-칼복실산 및 4-(3-머캅토-2-메틸프로판오일)-5,5-디메틸-1,4-L-티아잔-3-칼복실산을 얻는다.
[실시예 14]
에틸-2,2-디메틸-1,4-DL-티아잔-3-칼복실산 염
DL-페니실아민에틸에스텔 염산염(1.133몰) 및 트리에틸아민(0.4몰)을 클로로포름(200ml)에 가한 혼합물을, 에틸렌디브로마이드(0.133몰)의 클로로포름 벤젠(3 : 5; 120ml)용액에 가한다. 그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한다음 실온에서 6시간동안 방치한다. 침전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진공농축후 증류하면 에틸 2,2-디메틸-1,4-DL-티아잔-3-칼복실산염이 얻어진다.
[실시예 15]
4-(3-머캅토-2-메틸프로판오일)-2,2-디메틸-1,4-DL-티아잔-3-칼복실산
실시예 4의 방법으로 에틸 2,2-디메틸-1,4-DL-티아잔-3-칼복실산염을 2-티아졸리딘 칼복실산메틸 에스텔과 치환한 후 실시예 5의 방법에 따라 그 제품을 처리하면 에틸-4-[3-(아세틸치오)-2-메틸프로판오일]-2,2-디메틸-1,4-DL-티아잔-3-칼복실산염 및 4-(3-머캅토-2-메틸프로판오일)-2,2-디메틸-1,4-DL-티아잔-3-칼복실산염이 얻어진다.
[실시예 16]
3,3-[디치오비스-(3-프로판오일)-]-비스-(2,2-디메틸)-L-티아졸리딘-4-칼복실산
실시예 5의 방법으로 3-(3-머캅토프로판오일)-2,2-디메틸-L-티아졸리딘-4-칼복실산올 3-(3-머캅토프로판오일)-L-티아졸리딘-4-칼복실산을 치환하면 3,3-[디치오비스-(3-프로판오일)]-비스-(2,2-디메틸)-L-티아졸리딘-4-칼복실산이 얻어진다.
[실시예 17]
1-옥소-4-(3-머캅토-2-메틸프로판오일)-5,5-디메틸-1,4-L-티아잔-3-칼복실산
1-옥소-5,5-디메틸-1,4-L-티아잔-3-칼복실산을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2,2-디메틸-4-L-티아졸리딘 칼복신산으로 치환한 다음 그 제품을 실시예 5의 방법에 따라 처리하면 1-옥소-4-(3-아세틸치오-2-메틸프로판오일)-5,5-디메틸-1,4-L-옥소-4-(3-아세틸치오-2-메틸프로판오일)-5,5-디메틸-1,4-L-티아잔-3-칼복실산 및 1-옥소-4-(3-머캅토-2-메틸프로판오일)-5,5-디메틸-1,4-L-티아잔-3-칼복실산이 얻어진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하기식 :
    Figure kpo00011
    [단, 상기 식에서 R은 하이드록시이고; R1및 R2는 각각 수소 혹은 저급알킬이며; R5및 R6은 수소 혹은 저급알킬(R5와 R6이 동시에 수소일 수는 없음)이며; X는 O,S,SO 혹은 SO2이며; X가 O일 때 m은 2, n은 1이며; m은 1,2 혹은 3이고; n은 0,1 혹은 2이며;m+n은 2 혹은 3이다.]
    의 산을 하기식 :
    Figure kpo00012
    [단, 상기 식에서 R3은 수소, 저급알킬 혹은 머캅토-저급알킬렌이고; R4는 수소, 저급알칸오일, 벤조일 혹은 하기식 :
    Figure kpo00013
    의 물질이며; P는 0 혹은 1의 정수이다.]
    의 산으로써 아실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식 :
    Figure kpo00014
    [단, 상기식에서 R, R1, R2, R5, R6, R3, R4, X, m, n, P 등을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의 화합물 및 그 염의 제조방법.
KR780001995A 1978-06-29 1978-06-29 신규 치환칼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10000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01995A KR810000464B1 (ko) 1978-06-29 1978-06-29 신규 치환칼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01995A KR810000464B1 (ko) 1978-06-29 1978-06-29 신규 치환칼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464B1 true KR810000464B1 (ko) 1981-05-09

Family

ID=19208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01995A KR810000464B1 (ko) 1978-06-29 1978-06-29 신규 치환칼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46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2878A (en) Derivatives of thiazolidinecarboxylic acids and related acids
US4775687A (en) Thiazolidine derivatives, their production and use
CA1196330A (en) Condensed pyrrolinone derivatives, their production and use
US4154934A (en) Mercaptoacylamino derivatives of heterocyclic carboxylic acids
FI67378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nya terapeutiskt anvaendbara tiazolidin- och tiazanderivat
McKay et al. Amino Acids. II. Synthesis of Cyclic Guanidino Acids1
FR2557111A1 (fr) Nouveaux derives ortho-condenses du pyrrole, leur preparation et les medicaments qui les contiennent
FR2625678A1 (fr) Agents anorexigenes a base de n-(quinuclidin-3-yl)-benzamides ou thiobenzamides
US4282235A (en) Derivatives of thiazolidinecarboxylic acids and related acids
KR810000464B1 (ko) 신규 치환칼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CS199693B2 (cs) Způsob výroby derivátů thiazolidin-, thiazana morfolinkarboxylových kyselin
FR2758329A1 (fr) Derives d'imidazole-4-butane boronique,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en therapeutique
FR2595699A1 (fr) Nouvelles 8a-acylamino-ergolines,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comme medicaments
US3086972A (en) Aza-thiaxanthene derivatives
DK160422B (da)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svovlholdige isoquinolinderivater eller salte eller cycliske amider deraf
CA1102812A (en) Derivatives of thiazolidinecarboxylic acids and related acids
CA2010529A1 (fr) Derives de la 1-arylsulfonyl 2-piperidinone, leur procede et les intermediaires de preparation, leur application comme medicaments et les compositions les renfermant
KR910004432B1 (ko) 2-아릴벤조티아졸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198509A (en) Mercaptoacylpiperazine carboxylic acid compounds
US4237129A (en) Derivatives of thiazolidinecarboxylic acids and related acids
LU85780A1 (fr) Nouveaux esters enoliques precurseurs de medicaments et composition pharmaceutique les contenant
JPS62289582A (ja) 置換チアシクロアルケノ〔3,2−b〕ピリジン類
FI62531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terapeutiskt anvaendbart 3-yan-n-(n n-dimetylamino-propyl)-iminobensyl och syraaddit iossalter daerav
US4237134A (en) Derivatives of thiazolidinecarboxylic acids and related acids
JPS6229585A (ja) エーテル化若しくはエステル化しうるジヒドロキシ基により位置2で置換された4―ohキノリンカルボン酸の新規の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医薬としてのその使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