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252Y1 - 건 전 지 - Google Patents

건 전 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252Y1
KR810000252Y1 KR2019800002618U KR800002618U KR810000252Y1 KR 810000252 Y1 KR810000252 Y1 KR 810000252Y1 KR 2019800002618 U KR2019800002618 U KR 2019800002618U KR 800002618 U KR800002618 U KR 800002618U KR 810000252 Y1 KR810000252 Y1 KR 8100002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zinc
starch
discharg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2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미요시
요오지 가지가와
아끼라 오오다
준이찌 아사오까
요시오 기노
Original Assignee
마쓰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마쓰시다 마사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마쓰시다 마사하루 filed Critical 마쓰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00002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2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2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45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aqueous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4Lid or cover comprising an axial bore for receiving a central current coll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24Cells comprising two different electroly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im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 전 지
제1도는 물-염화아연-염화암모늄으로 된 전해액 조성도.
제2도는 종래의 건전지의 구조를 표시한 반절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건전지에서의 전해액의 염화아연 농도와 방전성능과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의 건전지의 반절 측면도.
본 고안은 보통형 건전지(Leclanche cell)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발전요소 및 상단밀봉구조를 개선한 염화아연을 주전해질로 한 전해액을 가진 건전지이다.
종래, 보통형 건전지의 전해액 조성은,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염화암모늄이 액체상으로 존재하는 전해액조성(이하 A영역이라고 약칭함) 및 염화아연을 주전해질로 하고, 염화아연 단독 혹은 소량의 염화암노늄이 첨가된 전해조성(이하 B영역이라고 약칭함)의 둘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2개의 전해액의 선택은, A영역은 큰전류에서의 간헐적인 사용 및 작은전류에서의 연속, 간헐방전용의 건전지에 사용되나, 누출액내성특성이 나쁘다는 것, 큰전류에서의 연속방전성능의 저하가 크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B영역은, 대, 중전류에서의 연속특성이 극히 뛰어나고, 간헐방전도 비교적 양호하고, 누출액내성특성이 비교적 우수하기 때문에, 근래 주목되어, 여러가지 검토가 이루워지고 있다.
예를 들면, 염화아연을 주전해질로 하는 감극제의 수분을 29~39%로 하므로서, 누출액내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제안이라든가, 규제된 전해질 농도에 따라서, 이산화망간에 대한 물의 양, 염화아연, 염산의 형태로 존재하는 염소량의 규제라든가, 전해액의 용량비율 규제등으로 방전성능, 보존성능, 누출액내성 성능의 향상을 도모한다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또, 건전지를 내부형태적으로 보았을 경우에는 대별하여 페이스트 전해질식과 페이퍼라인드(Paper lined)방식이 있었으며, 근래의 경향으로서는 페이퍼라인드방식이 즐겨 사용되고, 페이퍼라인드 방식용의 격리판으로서 여러가지의 것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종이재질의 밀도나, 페이스트전액질의 도포량, 페이스트 전해질이나 수분의 이동을 저지하는 저지막을 사용한 격리층 등 여러가지의 것이 제안되고 있다.
상단밀봉구조에 대해서는, 합성수지나 금속외장을 교묘하게 결합하는 고안, 제안이 많이 있으나, 어느 정도, 누출액내성 특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는 있어도, 거의 완전한 누출액내성 특성을 확보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현상이었다.
또, 건전지의 보존중에 발생하는 탄소봉을 통해서 캡에 전해액이 침투하여 이것을 부식시켜, 전해액이 누출되는 현상은, 상단밀봉방법의 개량만으로는 충분히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양극 감극제 조성이, 다른 요인이 미치는 양향에 대하여 상술하면, 두가지의 전해액 조성에 대해서, 본 고안자들은 심중히 검토를 한 결과, 두가지의 전해액중 조성이 상위한 하나로, 방전시에 음극아연관과 양극 감극제간의 이온의 이동에 커다란 차이가 있다.
A영역에서의 이온의 이동은 주로 암모늄 이온이 행하고, B영역에서는 아연이온의 이동이 중심이된다.
이 차이가 격리판, 방전특성이나 누출액내성 특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전해액 조성이나 전해액 조성의 pH가 격리판에 사용되는 전분의 교질화라든가 아연부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있다.
즉, 방전에 있어서, A영역의 전해액 조성은 암모늄 이온이 전하를 운반하는 주역이 되는것과 전해질농도가 높기 때문에, 아연이온의 이동이 잘 안되어, 음극아연으로부터 용출된 아연이온은 방전의 진행과 함께 격리층속에 체류하여, 양극 감극제 내부와 음극아연 근처에 이온의 농도차가 생겨, 감극제 표면에 확산된 암모늄 이온이 반응하여 아연디아민 염화물의 박층(薄層)이 생성되어, 급격한 농도분극(分極)을 발생시킨다.
이런 현상이 큰전류에서의 연속방전성능 저하의 커다란 원인이 된다. 그러나, 간헐적으로 사용하는 용도에서는, 방전휴지중에 아연이온의 확산이 이루워지는 것, 및 전해액의 전도도(420Ω/m 정도)가 커다란 이점이 있기 때문에 충분한 특성을 발휘한다.
또 건전지의 격리층에 사용하는 전해액 유지제로서 옥수수전분, 밀가루, 감자 등의 생전분, 생전분을 화학적으로 처리한 가교(架橋:bridged)전분, 가교에테르화 전분, 셀룰로오스 에테르류, 수용성 합성수지등을 사용하는 제안과, 발명이 이루워지고 있다.
가장 염가로 확실한 제성능이 얻어지는 전분에 대하여도, 전해액에 대하여 어떠한 물성을 나타내는가가 명확히 되어있지 않은 것이 현상이다.
전분은 아연이온의 농도에 따라서, 전분 분자쇄(分子)간의 수소결합이 풀려, 이 분자간에전해액이 수소결합에 의해서 유지된다. 본 고안자들은, 각종 전분의 전해액에 대한 거동을 명확히 하고, 제1도에 전분의 팽윤(澎潤)개시선을 표시하였다.
팽윤개시선은, 원래 전분의 체적이 2배가 되는 점을 연결하고 있다. 이 선에서 아연농도가 높은 영역에 있어서 전분은 체적팽창을 증대시킨다.
본 고안자들의 실험에서는 전분은 약 30배 정도의 체적팽창을 행하는 것이 관찰되고 있다.
제1도의 (1)은 옥수수전분, (2)는 옥수수전분을 에피클로히드린으로 .25몰% 가교시킨 가교전분, (3)은 옥수수전분을 에피클로로히드린으로 0.05몰% 가교시켜, 에틸렌옥사이드로 치환로(D.S) 0.15에테르화한 가교 에테르화전분, (4)는 밀가루전분, (5)는 감자전분이다.
또한, 각도와 에테르화도는 임의로 할 수 있으나, 건전지에 사용할 경우는 사용하는 전분류의 체적팽창 정도로 규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분은 아연 이온농도의 증가와 함께 체적팽창을 하고, 최종적으로는 분자간의 결합이 약하게 되어 전분입자는 붕괴한다.
전해액 조성에 A영역을 사용한 건전지는, 방전시, 특히 큰전류에서의 연속방전에서는 격리층내의 아연이온이 증가해서, 전분입자는 팽윤하고, 분자간 결합이 점차 약해져서, 붕괴와 함께 유지하고 있던 전해액을 방출하고, 떼어내려는 현상을 나타낸다.
또, 농도차에 따른 침투압 현상에 의해서, 감극제속의 물이 격리층에 이동하고, 음극측에서 액이 넘치는 현상이 생긴다.
이 넘친 전해액과 방전말기에 이산화망간의 감극능(減極能) 저하와함께 발생하는 수소가스와, 혼연일체가 되어, 상단밀봉부의 틈새로 외부에 압출되는 것이 누출전해액이며, A영역의 건전지의 누출전해액이 많은 원인이 여기에 있다.
한편, B영역의 건전지는 아연이온의 이동이 중심이 되기때문에, 비교적 농도분극이 발생되기 어렵고, 전해질의 양이 적은 것에 의해, 아연이온의 확산이 용이하게 이루워지기 때문에, 큰전류에서의 연속방전성능의 향상이나, 액이 넘치는 양이 적어져서, 누출액내성 성능이 향상되므로 미리, 전분의 팽윤 전도를 어느 정도로 할 것인가가, 방전성능, 누출액내성 성능에 대해서 중요한 의미를 가져온다.
또한, 본 고안자들은 방전말기에 발생하는 수소가스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나, A, B영역이 모두 가스발생량에 대하여는 대차가 없었다.
A영역, B영역의 건전지의 양극 감극제의 이산화망간, 아세틸렌블랙, 전해액 량이 다소 변화하여도, 이산화망간 100부에 대해서 0.8~1.5부의 산화아연이 혼입된 경우, A영역에서 추출되는 전해액의 pH는 4.8~5.4이다.
한편, B영역의 감극제에서 추출되는 전해액은 3.8~4.5의 Ph를 나타내고 있다.
이 pH는 아연부식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산소의 영향에 의해 부식을 급격히 진행하기 때문에, B영역에서는 특히 외부공기의 영향을 제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종래, 비교적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상단밀봉구조를 제2도에 의해서 검토한 결과, 탄소봉(4)과 합성수지 상단밀봉덮개(5)와의 접합부가 주체로 표시되는 a부로 부터의 산소의 유입에 의한 영향이 보존성능 저하의 약 80% 이상을 점하고 있다.
또한, 도면중(1)은 양극캡, (2)는 절연링, (3)은 상부밀봉판, (6)은 아연관, (7)은 격리판, (8)은 감극제, (9)는 열 수축성 튜우브, (10)은 저판, (11)은 시일링, (12)는 공기실, (13)은 절연지, (14)는 외부 포장관, (15)는 왁스층, (16)는 종이테이다.
또, 건전지를 내부형태적으로 보았을 경우에는 페이스트전해질식, 페이퍼라인드 방식의 2개 방식이 있으나, 이온의 확산거리가 짧은 페이퍼라인드 방식이 이온의 확산면에서 보아 바람직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복잡한 인자가 교차하는 건전지에 있어서, 감극제, 격리층부분, 구조의 상호관련을 명백히 하므로서, 성능적으로 뛰어난 건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염화아연을 주전해질로 한 전해액을 가진 건전지에 있어, 아연과 외부주위를 피복할 합성수지 튜우브의 상단 및 상단밀봉덮개위의 탄소봉을 충전제에 의해 봉하므므로서, 보존성능, 누출액내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양극 감극제중의 수분 및 전해액 조성을 개선하므로서, 방전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시 다른 목적은 탄소봉 및 격리판을 개량하므로서 누출액내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다시, 장기간 보존하여도 전해액이 누출되지 않고, 큰전류방전에도, 간헐방전에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건전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구성은 다음의 기재에 의해 명백히 하고 있다. 전술한 건전지가 구비할 조건으로서 방전성능을 들 수 있다.
방전성능은 감극제에서의 전해액조성, 액량 및 전분보액량(체적팽창정도)의 관계에 의해서 결정된다.
표-1에 전해액조성, H2O/MnO2, 전분의 종류로서 가교전분 C와 가교에테르화전분 CE로 한 것에 대한 실시예를 표시하였다. 제3도는 이들의 결과이다.
제3도중 (1)은 가교에테화 전분의 2Ω부하에 의한 연속방전, (2)는 가교전분의 2Ω 부하에 의한 연속방전, (3)은 가교에테르화 전분의 4Ω부하로 4분/시, 8시간/일의 비율에 의한 간헐방전, (4)는 상기가교전분의 4Ω부하에 의한 간헐방전의 특성을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해액 양은, 너무 많아지면 감극제는 유연화되며, 너무 적으면 성형시에 붕괴하기 때문에, 가장 성형성이 좋은 전해액 양으로 하였다. 또 격리층은 감극제에 접하는 종이재질의 풀림도가 캐나디안프리네스계(Canadian freeness 計)표시로 300~600cc의 두들김도의 것으로 하고, 이것의 단독이나 또는 이것과 풀림도 800~850cc의 것과를 제지기술에 의해 제지하여 접합한 각기의 두께 50μ의 크래프트 이중지로 하고, 그 낮은 풀림도(800~850cc)면에 제1도에 표시한 가교전분 C, 가교에테르화전분 CE의 각기를 36~44g/㎡의 양으로 도포한 격리층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단밀봉구조는 제2도에 표시한 현상의 구조로서, 건전지의 크기는 I.E.C 규격의 R-20으로 한 것을 사용하였다.
[표-1]
제3도에 연속방전성능은 실험범위 내에서는 전해액은 저농도일수록 우수하고, 또 전분의 체적팽창비가 적은 것일수록 우수하다.
간헐방전성능은 전분의 체적팽창비와 상관하여, 체적팽창비는 3.0 이상이 아니면 만족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또탱, 2Ω 부하에 의한 연속방전, 4Ω부하에서 4분/시, 8시간/일의 비율에 의한 간헐방전의 종지(終止)전압은 다같이 0.9V로 하였다. 2Ω부하에 의한 방전 이외에도 4Ω부하 연속방전과 같은 큰전류에서는 같은 경향을 나타내고, 간헐방전에서는 2Ω부하, 4Ω부하의 1시간 이상의 것은 같은 경향을 나타낸다.
또한 10Ω 이상의 부하에서는 도면에 표시한 4Ω부하로 4분/시, 8시간/일과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이와 같이 전해액조성, 전분의 체적팽창비와의 관계에 있어서, 종합적으로 얻어지는 방전성능의 영역은 염화아연농도 22.5~29.5중량%가 가장 우수하고, 전분의 체적팽창비는 3.0~10.4가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험에서 염화암모늄 농도는 2중량% 이하에서는 아연의 국부부식이 크고, 5.5중량%이상에서는 큰전류의 간헐방전이 저하되기 때문에 좋지않다.
감극조성의 누출액내성 특성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농도분극의 영향을 받기때문에 가장 바람직하다고 추정된 염화아연농도 24.5중량%의 전술한 조성을 사용해서, 이산화망간과 아세틸렌블랙과의 배합비를 변화시켰다.
이들 실시예를 표-2에 묶어서 표시하였다.
또한, 전해액 누출량과 맞추어서 방전성능도 표시하였다. 이 결과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이산화망간 그에 대한 수분의 함유량, 즉, H2O,/MnO2중량비가 0.57을 넘으면 전해액 누출량은 현저하게 감소한다.
또 방전성능의 최고점도 기의 이 부근에 있으며, 누출액내성의 관계에서는 H2O/MnO2의 중량비는 0.57이상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표-2]
누출액내성은 상단밀봉구조와의 사이에도, 커다란 관계에 있으며 표-1의 NO.8 또는 표-2의 NO.17의 조건의 소전지(素電池)를 사용하여 제2도에 표시한 종래구조와, 보존성능의 향상인자를 가한상부 상단밀봉부를 액밀적(液密的)으로 밀봉한 본 고안의 1요인을 이루는 제4도에 표시한 상단밀봉구조로 한 것에 대하여, 각 100개씩의 표본으로 누출액내성 특성, 보존성능을 검토한 결과를 표-3에 표시하였다.
또한, 이 상단밀봉구조를 주요점을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탄소봉(4)에 감합하는 합성수지 상단밀봉덮개(5′)와 캡부분을 일체로 착설한 상단밀봉관(1′)과의 사이에 액체상패킹(15)을 개재시키고, 또한 열수축성 합성수지 튜우브(9)의 상단부 b를 이 액체상패킹부(15)속에 매설시키므로서, 외부의 공기와의 유통의 저지 및, 방전말기에 생기는 전해액누출을 액밀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2′)는 절연링, (5′)는 상면의 탄소봉 감합부에 탄소봉을 둘러쌓도록 환상요부(51)를 형성한 합성수지의 상단밀봉덮개(5′),(7′)는 본 고안에 있어서 방전성능의 향상요인이 되는 격리층, (15)는 아스팔트 혹은 피치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것에 예를 들면 광물유 혹은 식물유를 첨가하여 연질화시킨 액체상 혹은 반액체상의 충전제로서, 아스팔트에 기계유를 동량에(50:50) 첨가하여 사용한다.
표-3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외부공기의 침입을 차단하고, 액밀적인 상능밀봉으로 한 것은, 보존성능, 누출액내공에 있어서 극히 뛰어나고 있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액체상 혹은 반액체상 충전제로서는 전술한 외에, 아스팔트에 대두유를 첨가한것, 왁스, 그리이스, 파라핀, 와셀린 및 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 있었다.
[표-3]
이 표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표-2의 NO.17에서 사용한 감극제 조성의 것은 비교적 전해액누출량이 적은 것이지만, 전해액과 방전말기에 발생하는 가스가 혼연일체가 되어서, 액밀성이 부족한 종래품에서는 누액이 생겼다.
또한, 탄소봉으로서는 석탄코오크스 70중량%, 토양흑연 30중량%, 외관비중 1.6, 파라핀의 방수량 8% 3기압의 질소가스로 1분당 가스투과량 0.2cc의 탄소봉을 사용하였다.
보존중에 전해액이 탄소봉속에 침투하고, 모세관현상에 의해 양극 단자캡에 달하여, 캡을 부식하는 보존중의 누액은, 탄소봉의 재질, 방수처리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현상은 이산화망간-탄소봉 사이에 발생하는 일종의 방전반응이 전해액 침투의 커다란 요인이 된다.
본 고안자들은 이산화망간의 전위를 탄소봉에 부여한 경우, 탄소봉과 전해액에 흐르는 전류치와의 사이와 탄소봉에의 액 침투에 커다란 관계를 발견하였다.
건전지의 상단밀봉구조를 밀봉화하면 할수록, 탄소봉에의 전해액의 침투압은 증대한다.
즉, 밀봉화하는 것에 의해, 아연부식의 감소와 함께 이산화망간의 전위는 고전압을 유지한다.
이 높은 전압의 유지가 탄소봉에의 액 침투를 가속하는 커다란 요인인 것을 본 고안자들은 규명하였다.
또한 본 고안자들은 이 요인이 이산화망간의 전위 즉, 전해질의 pH에 의한 영향과 이산화망간이 갖는 전위와의 2개의 요소위에 성립하고 있는 것도 규명하였다.
예를 들면 상단밀봉구조가 극히 나쁜 밀봉되어 있지않은 B영역의 페어퍼라인드 방식의 건전지는, 탄소봉에의 액침투는 거의 없으나, 산소에 의해 아연이 부식되고, 전해액의 pH의 변화 및 이산화망간의 전위의 저하에 의해, 보존성능이 극히 나쁘게 되어, 만족한 건전지로서 성립되지 않게 된다.
높은 전위에에서의 탄소봉으로 가장 뛰어난 내전해액 침투를 나타내는 재질에 대하여 여러가지 검토한 결과, 석유코오크스, 석탄코오크스, 인조흑연이 뛰어난 것임을 발견하였다.
특히 이산화망간과 접촉하는 탄소재료의 면적도 영향을 미치고, 외관밀도 1.5~1.7g/㎤의 다공성인 것이, 탄소봉으로서 바람직한 것임을 발견하였다.
이 외관밀도로 나타낼 수 있는 탄소봉의 다공도는 너무 크면 강도의 저하, 및 방수처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한편 너무 적으면 방수처리 효과와 이산화망간과의 접촉면적이 크게 되므로 액침투가 커진다. 재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코오크스게가 뛰어나고 있으나, 탄소봉의 제조상, 탄소봉 압출성형시의 문제가 있어 코오크스에 대해서 토양 흑연을 첨가할 필요가 공업상 생긴다.
또, 이산화망간의 전위는 A영역에서는 포화감흥(甘永)전극에 대하여 0.50~0.63V, B영역에서는 0.60~0.73V를 나타내고, B영역에서는 이산화망간의 전위가 A영역보다도 0.1V 높기 때문에, A영역에서는 토양흑연을 85중량%정도까지 사용할 수가 있으나, B영역에서는 50중량%정도가 한도가 된다.
표-4는 탄소봉의 재질, 방수처리량과, 보존중의 양극 단자캡의 부식과, 표-1의 NO7, NO.8의 전해액 조성에 단일형용의 직경 8mm, 전장 57mm의 탄소봉을 45mm의 길이만 전해액에 침지하고, 포화감흥전극에 대하여 +0.6V의 전위를 부여하였을 때의 전류치이다.
[표-4]
이 결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소봉은 재질과 방수량과에 의해 액 침투의 정도가 결정되고, 3기압의 질소에 대하여 투과하는 가스량에 의해서는 결정되지 않는다.
즉, +0.6V의 전위에 대하여, 전술한 침투면적에 대하여 0.1mA 이하의 전류치인 것이 절대조건이 된다.
표-4의 건전지는 표-2의 NO.17에 의한 조건의 감극제, 격리층을 사용하고, 상단밀봉구조는 제4도에 표시한 본 고안 구조를 사용하였다. 보존특성은 상단밀봉구조 외에, 전분의 팽윤정도, 종이재질의 풀림도가 영향을 하고, 종이의 밀도에는 영향을 받지않는다.
표-5는 종이의 밀도, 풀림도와 건전지로서의 보존성능과의 관계를 표시하였다.
[표-5]
종이의 재질이 외는 표-2의 NO.17의 감극제, 탄소봉 및 본 고안의 상단밀봉구조를 사용하였다.
또한, 풀림도는 케나디안프리네스계 표시의 수치를 사용하고, 높은 풀림도와 낮은 풀림도로 된 2중지는 표-1의 실시예와 같이 낮은 풀림도측에 가교에테르화 전분을 36~40g/㎡ 도포한 것을 사용하고, 다른 것도 이와 같이 한쪽면이 36~40g/㎡의 비율로 도포한 것을 사용하였다.
표-5에서 높은 풀림도의 격리층을 개재시키는 것이 보존특성의 향상에 대하여 커다란 요인이 되어, 풀림도는 300~600cc가 가장 좋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고안자들은, 전분의 도포량과 보존성능과의 관계에 대하여도 조사하였으나, 도포량은 24~25g/㎡가 가장 좋다.
24g/㎡ 이하에서는 보존시의 아연의 부식이 크고, 45g/㎡이상에서는 농도분극을 가속하는 인자가 되어, 좋지 않은 것을 알았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극히 복잡한 구성으로 성립되는 망간건전지에 있어서, 방전성능면에서는 염화아연 농도는 22.5~29.5중량%, 염화암모늄은 2~5.5중량%, 이에 대응하여 전분의 체적팽창 정도는 3.0~10.4가 좋다.
이 경우 사용하는 전분은 옥수수전분, 가교전분, 가교에테르화전분, 감자전분, 밀가루전분이며, 페이스트전해질 도포량은 24~45g/㎡, 보존성능, 누출액내성 성능면에서는 H2O/MnO2의 중량비가 0.57이상, 탄소봉은 포화감흥전극에 대하여 +0.6V에 있어서 0.00846mA/㎤이하인 것으로, 격리층에 사용하는 종이섬유의 풀림도가 캐나디안프리네스계 표시로 300~600cc의 종이재질로, 상단밀봉구조는 탄소봉주연, 수지튜우브 상단을 포함한 상부밀봉부를 액체상 또는 반액체상 충전제로 보존성능, 누출액내성 성능을 완비한 건전지라고 할 수 있으며, 본고안은 이들의 제조건을 모두 만족시킨 건전지이다.

Claims (1)

  1. 이산화망간, 카아본블랙 및 염화아연을 주전해질로 한 전해액을 혼합한 양극 감극제(8′)와, 아연관(6)으로 된 음극과, 상기, 아연관(6)에 대향하는 한족면에 전해액 교질화제를 도포하고 상기 양극 감극제(8′)와 아연관(6)을 격리하는 종이제 절연지(13)와, 상면에 탄소봉(4)을 둘러싼 환상요부를 형성하여 아연관(6) 개구부를 밀봉하는 합성수지제 상단밀봉덮개(5′)와, 환상요부(51)내에 충전된 충전제(15)와, 아연관(6) 외주를 피복하고 그 상단을 상기 환상요부(51)에 뻗어나와서 충전제(15)속에 매설한 합성수지 튜우브(9)와, 상기 상단밀봉덮개(5′) 위에 돌출한 탄소봉(4)에 감압하는 양극단자 캡(1)을 일체로 착설하여서 상기 상단 밀봉덮개(5′)위에 위치하는 금속상단밀봉판(1′)으로 구성된 건전지.
KR2019800002618U 1980-04-22 1980-04-22 건 전 지 KR810000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2618U KR810000252Y1 (ko) 1980-04-22 1980-04-22 건 전 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2618U KR810000252Y1 (ko) 1980-04-22 1980-04-22 건 전 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50002007 Division 1975-09-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252Y1 true KR810000252Y1 (ko) 1981-03-24

Family

ID=1921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2618U KR810000252Y1 (ko) 1980-04-22 1980-04-22 건 전 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2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2092C (zh) 具有改良热塑性密封元件的非水型电池
US5079108A (en) Dry cell seal closure
US2650945A (en) Primary dry cell
WO2001095411A1 (fr) Materiau d'obturation pour element electrochimique et element electrochimique contenant ce materiau
CA1294320C (en) Battery cell sealant
US4939048A (e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n alkaline electrolyte and a zinc negative electrode
KR810000252Y1 (ko) 건 전 지
US4001044A (en) Dry cell
JPS581967Y2 (ja) カンデンチ
US4457991A (en) Sealant for lithium cells
US3320094A (en) Primary batteries
JPS6155220B2 (ko)
JPS60241641A (ja) 扁平形電池
CN207891839U (zh) 一种底横轴翻板闸门密封式穿墙套
JP2005129309A (ja) アルカリ電池の正極合剤およびアルカリ電池
US3647552A (en) Dry cells
JPH07240202A (ja) アルカリ電池
JPS60258847A (ja) 非水電解液電池
JPH08339836A (ja) 空気亜鉛電池
JPS6231974Y2 (ko)
JPH0613063A (ja) アルカリ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643624B2 (ja) アルカリ電池の製造法
BE833650A (fr) Pile seche
JPS6052542B2 (ja) 電池用パツキング材
JPH0475627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