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045B1 - 카메라용 입체사진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입체사진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045B1
KR810000045B1 KR7902592A KR790002592A KR810000045B1 KR 810000045 B1 KR810000045 B1 KR 810000045B1 KR 7902592 A KR7902592 A KR 7902592A KR 790002592 A KR790002592 A KR 790002592A KR 810000045 B1 KR810000045 B1 KR 810000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arallax
image
screen
lenti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2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진
홍성준
Original Assignee
최재진
홍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진, 홍성준 filed Critical 최재진
Priority to KR7902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0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recording
    • G03B35/10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recording having single camera with stereoscopic-base-defining syste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5Optical accessories, e.g. converters for close-up photography, tele-convertors, wide-angle conver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메라용 입체사진 제작방법
제1도는 종래의 입체투시용 시차 화상(畵像) 촬영법의 예시도.
제2도는 제1도와 같이 촬영한 시차 화상 관찰의 예시도.
제3도는 렌티큘라를 이용한 시차 잠상(潛償) 촬영법.
제4도는 제3도와 같이 존영한 시차 잠상 관찰법.
제5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줄스크린의 일부확대 평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 촬영에 사용되는 카메라 장치의 예시도.
제8도는 본 발명중 확대에 사용되는 확대기 구조의 예시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있어 확대시에 사용되는 인화지 삽입 장치의 구조 예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장치의 측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확대시에 사용하는 인화지 삽입장치의 평면 예시도.
제12도는 관찰용 렌티큘라의 확대 예시도.
본 발명은 일반적인 카메라로 입체사진을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통카메라에 아답터를 부설하여 통상의 필름을 이용하여 정지, 운동상태의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는 시차 화상을 확대(또는 밀착)할때 줄 스크린을 이용하여 시차 잠상(潛償)으로 바꾸어 모든 방향에서 선명한 입체감을 느끼는 입체사진을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입체사진 촬영기(스트레오 카메라)는 특수 카메라를 사용하여 제1도와 같이 2개의 렌즈 Lr, L1을 사람의 두 눈 사이만큼 벌려놓고 피사체를 동시에 촬영하여 좌우로 약간 다른 두장의 시차 화상 mr, m1를 얻어서 제2도와 같이 그 시차 화상을 2개의 렌즈 1R, 1L로 된 입체투시기로 보아서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의 결점은 입체사진을 직접 볼 수 없어서 항상 입체투시기를 이용하여야 되는 결점이 있었고 또 이 방법과 유사한 "보색(補色) 투시기용 시차 화상 작성법"과 "편광필터용 시차 화상 작성법"에 있어서는 모두 "보색필터"나 "편광필터"를 이용한 장치를 사용하여야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결점이 있을뿐만 아니라 이 역시 "스트레오 카메라"라는 특수 카메라를 사용하여야 되는 불편이 있었고, 또한 "렌티큘라"(Lenticular)를 이용한 시차 잠상 작성법에 있어서는 제3도와 같이 피사체 2개의 렌즈 Lr, L1로 좌우 상이한 시점(視點)에서 촬영하여 "렌티큘라"의 줄마다 2개의 시차 잠상을 기록한 후 제4도와 같이 시차 잠상으로 된 사진 위에 촬영시와 똑같은 "렌티큘라"를 놓고 사람의 두 눈 R.L에 각각 좌우 영상이 보이게 함으로써 입체감이 나게하는 방법이나, 이 방법의 결점은 렌즈가 2개의 특수 카메라를 사용하여야 되고 또 사진의 크기가 원판과 같아야 하므로 이 역시 특수 카메라가 요구되어 보통 카메라로는 간단히 촬영하여 제작할 수가 없었으며, 또한 제3도와 같이 시차 잠상이 선으로 생김으로 입체감이 나는 범위가 좁고, 또 필름의 성능상 옆의 입자까지 감광되어 선명한 화상이 생기기 어려운 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제 결점을 감안하여 누구나 간편히 일반적인 보통 카메라로 쉽게 촬영하여 필요한 크기로 확대(또는 축소)할 때 이를 입체사진으로 제작하기 위하여 시차 잠상을 기록할 때 제5도와 같이 투명판 표면에 흑백선이 교대로 형성된 줄스크린을 이용하여 관찰할때 부착하는 "렌티큘라" 길이렌즈피치를 2분의 1씩 두 시차 잠상을 기록하므로서 관찰시 입체감을 느끼는 범위를 넓히고 그 경계선을 명백히 하므로서 선명한 화살이 생기게 하는 입체사진 제작방법을 제공한 것인바, 그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제6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프리즘 2개가 1조로 좌우 2조의 프리즘군(또는 거울)M1, M1'와 M2, M2'로 이루워진 아답터 A를 보통 카메라 C에 삽착설치하여 좌우로 각각 다른 시각(視角)으로부터 1개의 렌즈에 입사한 2개의 분리상 I1, I2를 결상시켜 시차 화상을 촬영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촬영된 방법에서 얻은 화상을 확대기에 넣고 제8도와 같이 그 확대과정을 통하여 인화지 전면에 접촉시킨 시차 잠상기록용 줄스크린(10)을 인화지(11) 표면에서 이동시켜 광원을 주게 되면 인화지에 시차 잠상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제작된 인화지 화상에다 줄스크린과 같은 피치의 "렌티큘라"를 접착제로 부착하면 입체사진이 제작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답터(A)를 누두상(漏斗狀)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형으로 된 프리즘(M1'), (M2')을 설치하였으며, 아답터(A) 내벽 경사부에는 다시 프리즘(M1), (M2)을 설치하여 이것을 보통 카메라 렌즈앞에 끼워서 촬영할 수 있게한 것이다. 그리고 확대기의 구성에 있어서는 투명용 광원(1)을 설치하여 앞쪽에 집광용 콘덴서(2)를 설치하되 그 전면에 두 시차화상(필름)(3)을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하고, 다시 화상(3) 앞쪽에다 확대렌즈(4)를 현설하여 조절나사(5)로 영상촛점을 맞추게 하였으며, 또 확대용렌즈(4) 전방에는 시차 화상 분해용 프리즘(6)을 장치하여 확대용렌즈(4)에서 들어오는 광선을 "
Figure kpo00001
"형으로 굴절시켜 그 광선을 다시 관통로(8), (8')로 통과시키게 하였고, 여기서 나가는 광원이 기록용 줄스크린(10)에 광사시켜 줄스크린(10)의 투공으로 인화지(11)에 전사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제작된 인화지 표면에 다시 줄스크린과 같은 "렌티큘라"를 부착하여 완성된 입체사진을 만드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다.
[실시예 1(촬영 방법)]
제6도와 같이 프리즘 2개가 1조로 된 좌우 2조의 프리즘군(또는 거울)(M1), (M1')와 (M2), (M2')로 이루워진 아답터(A)를 보통 카메라(C)에 잡착하여 좌우로 각각 다른 시각으로부터 한개의 렌즈에 입사한 2개의 분리상(I2), (I2)을 결상시켜 시차화상을 촬영한다. 이 방법에서는 보통 카메라와 필름을 이용한다.
[실시예 2(확대 과정)]
실시예 1에서 제작된 화상이 담긴 필름을 잡지부(3)에 넣고 편상촛점 조절나사(5)를 조절하여 인화지(11) 위에 화상의 촛점을 맞춘 후 중첩용나사(7)를 조절하여 두 시차 화상을 중첩시킨다.
광원(1)을 끈 다음에 인화지(11)를 넣고 그 전면에 줄스크린(10)을 대고 확대기의 개폐문(9)으로 관통로(82)를 가리우고 관통로(81)만으로 광원을 노출한 다음 줄스크린(10)을 관찰용 "렌티큘라" 길이렌즈피치의 2분의 1만큼 옆으로 이동시킨 후 먼저 노출과 반대로 개폐문(9)을 관통로(81)를 가리고 관통로(82)만을 통하여 한번 더 노출한 후 이 인화지(10)를 형상하여 시차 잠상의 사진을 만든다.
[실시예 3(관찰 과정)]
실시예 1,2에서 얻는 시차 잠상 사진 위에 확대할 때 사용한 줄스크린과 동일한 피치의 "렌티큘라"를 접착제로 접착하면 입체사진이 완성된다. 이때에 제12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시차 화상의 중심부가 보이는 조건은 한쪽 눈으로 들어오는 광선이 입체사진의 수직면과 이루는 각을 θ라면 (D-r)
Figure kpo00002
이므로 관찰용으로 사용할 때 "렌티큘라"의 두께
Figure kpo00003
이어야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보통 카메라를 사용하므로서 누구나 간편히 자신이 찍은 사진의 영상을 입체사진으로 만들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렌티큘라"판을 사용하지 않고 미세한 흑백선이 반복된 줄스크린을 사용하여 두 시차 화상을 복합하므로서 상이 생기는 범위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감상할 때 넓은 각도에서 입체감이 나타나며, 또한 입체사진 촬영용 아답터를 역으로 배치한 확대기로 두 시차 화상을 일치시키며, 일치된 상을 흑백선이 반복된 줄스크린을 이용하여 보통 카메라로 촬영한 두 시차 화상 하나씩을 각각 줄스크린 피치의 약 2분의 1씩 인화지에 기록하여 그 위에 "렌티큘라"를 부착하여 보는 입체사진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한 입체사진 제작방법인 것이다.

Claims (1)

  1. 일반 대중용 보통 카메라에 아답터를 부착하여 시차 화상을 찍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아답터의 역광학계를 부착한 스트레오 확대기와 줄스크린을 이용하여 두 시차 화상을 줄모양으로 교대로 기록시킨 확대, 사진 위에 줄스크린과 같은 간격의 렌티큘라를 접착시켜 입체 사진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입체사진 제작방법.
KR7902592A 1979-07-28 1979-07-28 카메라용 입체사진 제작방법 KR810000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592A KR810000045B1 (ko) 1979-07-28 1979-07-28 카메라용 입체사진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592A KR810000045B1 (ko) 1979-07-28 1979-07-28 카메라용 입체사진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045B1 true KR810000045B1 (ko) 1981-02-02

Family

ID=19212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2592A KR810000045B1 (ko) 1979-07-28 1979-07-28 카메라용 입체사진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04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12199A (en) Three-dimensional color photographic process, apparatus and product
US4480893A (en) Optical and viewing system for stereoscopic photography
JPH06194758A (ja) 奥行画像形成方法及び装置
JP2889585B2 (ja) 像配列および3次元カメラ
US4695130A (en) Camera flash attachment for three dimensional imaging systems
US4009951A (en) Apparatus for stereoscopic photography
KR100316458B1 (ko) 가동성차폐부재가구비된3차원및2차원의이중모드카메라
US5119234A (en) Camera for stereoscopic images
US35510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eoscopic photography
US3520588A (en) Autostereo picture
MXPA02011110A (es) Metodo para obtener una imagen tridimensional usando una camara de cine o de fotografia.
US5465128A (en) 2-D and 3-D multi-lens camera with one lens having a wider plane than the other lenses
JP3689976B2 (ja) 3次元立体映像信号変換装置の映像撮影用の光学アダプター装置
KR810000045B1 (ko) 카메라용 입체사진 제작방법
US3846810A (en) Apparatus for steroscopic photography
US2157099A (en) Optical system for stereoscopic motion picture production and projection
JP4360180B2 (ja) 立体映像撮影装置
US6430373B1 (en) Stereo camera
US3482908A (en) Technique for producing 3-d motion pictures
US1993448A (en) System in stereoscopic photography
JP3330692B2 (ja) 立体写真の作成方法
JPH0545750A (ja) 立体カメラ
JP2004239931A (ja) 立体像撮影装置
JPH0271246A (ja) 立体カメラ
JPH10307351A (ja) 立体画像撮影用カメ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