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546B1 - 3,4-디치환벤족사(티아)졸론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4-디치환벤족사(티아)졸론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546B1
KR800001546B1 KR780000096A KR780000096A KR800001546B1 KR 800001546 B1 KR800001546 B1 KR 800001546B1 KR 780000096 A KR780000096 A KR 780000096A KR 780000096 A KR780000096 A KR 780000096A KR 800001546 B1 KR800001546 B1 KR 800001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zoxa
water
disubstituted
thia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00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몬 우에마츠
사토루 이노우에
노리히사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히지가타 다케시
스미토모 가가구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지가타 다케시, 스미토모 가가구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지가타 다케시
Priority to KR780000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546B1/ko

Links

Landscapes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3,4-디치환벤족사(티아)졸론 유도체의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다음 구조식(I)의 3,4-디치환-벤조티아졸-2-온 혹은 벤족사졸-2-온 유도체(이제부터는 "벤족사(티아)졸론 유도체"라고 함) 및 그의 제법과 항균제로서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여기서 R1은 할로겐원자(예를들면 불소, 염소, 브롬)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메틸 또는 에틸기이며 X 및 Y는 각각 산소 또는 유황원자이다.
몇개의 벤조티아졸론 혹은 벤족사졸론 유도체가 어떤 병원체에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다는 것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파마지(pharmazie), 1963, 281-283, 일본특허공보 번호 11518/1965 및 야쿠가쿠자사이(Yakugaku zasshi, 79권, 931-933) 참조).
광범위한 연구를 한 결과, 3- 및 4-위치에 치환분을 갖는 벤족사(티아) 졸론 유도체(I)가 그 동족체와 비교해서 농작물재배에 대단한 해를 끼치는 식물병원성 미생물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고 현저하게 우수한 항생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와같은 식물병원성 미생물의 예로는 피코마이세테스(예를들면, 뮤코르 스피네슨스) 아스코마이세테스(예를들면, 뉴로스포라 크라사, 기베렐라 제아에,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 티오룸, 마이코스 파에렐라 멜로니스, 클로메렐라 신규라타, 기베렐라 퓨지큐로이, 코실리오보루스 미야베아누스, 베튜리아 이나퀴알리스), 바지디오마이세테스(예를들면, 코르티시움 롤프시), 불완전 균류(예를들면, 아스페르길루스 나이거, 푸자리움 옥시스포룸, 에프 쿠쿠메리눔, 클라도스포리움 쿠쿠메리눔, 피지쿨라리아 오리자에, 콜레토트리즘 라게나리움, 헬민토스포리움 시그모이데움) 및 기타 박테리아(예를들면, 크산토모나스 오리자에).
벤족사(티아)졸론 유도체(I)는 벼의 심각한 질병인 벼의 도열병(피리큘라리아 오리자에) 및 줄기부 패병(헬민토스포리움 시그모이데움)을 제어하는데 특히 효과적이고 잎적용, 심부적용 및 토양적용의 3가지 적용기술의 어느 하나에 의해서도 적용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며 나아가서 높은 제어효과를 갖는다. 그들은 좋은 베이피(vapor) 작용을 가지며 또한 이런 특별한 특성중 최고의 것을 만드는 적용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벤족사(티아)졸론 유도체(I)은 벼의 도열병을 위한 공지된 잎적용, 수면적용 및 토양적용 향균제로 부터는 얻을 수 없는, 빠르고 지속성이 긴 매우 강한 효과를 가지며 또한 온혈동물(예를들면, 생쥐, 쥐, 병아리) 및 어류(예를들면, 잉어, 북미산 작은 물고기)에 대해 극히 낮은 독성을 나타내고 생성물체 내에 거의 남지 않는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항균제로 유용한 신규한 벤족사(티아)졸론 유도체(I)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그런 벤족사(티아)졸론 유도체(I)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그런 벤족사(티아) 졸론 유도체(I)를 함유하는 항균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상기 및 하기 묘사로 부터 확실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벤족사(티아)졸론 유도체(I)은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이중 전형적인 예는 하기에 기술될 것이다.
[공정 A]
하기 구조식(II)의 3,4-디치환 벤족사(티아) 졸론은 상응하는 하기 구조식(III)의 3-비치환 벤족사(티아)졸론을 알킬화제(예를들면 디메틸 셀페이트, 디에틸 셀페이트, 브롬화메틸, 브롬화에틸, 요드화메틸, 요드화에틸)와 함께 불활성 용매(예를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에테르 혹은 그의 혼합물)내의 염기(예를들면 칼륨 t-부톡사이드, 나트륨 메톡사이트, 나트륨 에톡사이트, 나트륨 하이드라이드) 존재하에서, 용매(예를들면 메탄올, 에탄올 혹은 그의 혼합물)내의 염기(예를들면, 나트륨 메톡사이드, 나트륨 에톡사이트,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칼륨 하이드록사이드) 존재하에서 혹은 용매(예를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디옥산 혹은 그의 혼합물 같은 수용성 유기용매) 내의 염기(예를들면,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칼륨 하이드록사이드) 존재하의 0℃~150℃의 온도에서 0.5~10시간 동안 알킬화시키므로서 제조될 수 있다.
Figure kpo00002
여기서 R1R2및 X는 산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공정 B]
3,4-디치환 벤족사(티아)졸론(II)은 구조식(IV)의 2-알킬 티오벤족사(티아)졸을 알킬화제(예를들면, 브롬화메틸, 브롬화에틸, 요드화메틸, 요드화에틸, 디메틸 설페이트, 디에틸셀페이트, 메틸 P-톨루엔설포네이트, 에틸 P-톨루엔 설포네이트)와 함께 불활성용매(예를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에탄올, 메탄올, 물,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에테르 혹은 그의 혼합물) 존재 또는 부재하의 0℃~100℃의 온도에서 0.5~15시간 알킬화시켜서 상응하는 4급염을 얻어 이염을 수산화 나트륨 또는 수산화 칼륨 수요액에서 분해시켜 얻을 수 있다.
Figure kpo00003
여기서 R3은 저급알킬기(예를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이고 R1및 X는 상기와 같다.
[공정 C]
하기 구조식(V)의 3,4-디치환 베조티아졸론은 구조식(VI)의 2-니트로조이미노벤조티아졸을 불활성용매(예를들면, 톨루엔, 크실렌) 존재 또는 부재하의 50~200℃에서 열분해하므로써 제조될 수 있다.
Figure kpo00004
여기서 R1및 R2는 상기와 같다.
이 열분해에 의해 서서히 질소가스가 생성된다.
[공정 D]
3,4-디치환 벤족사(티아)졸론(II)은 구조식(VII)의 아닐린 유도체를 포스겐과 함께 염기(예를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피리딘, 메틸아민, 에틸아민, 암모니아, 피페리딘, 출발물질로서 아닐린 그 자체)존재하의 불활성 용매(예를들면, 물 디옥산, 벤젠, 톨루엔, 크실렌 혹은 그의 혼합물) 내의 0℃~100℃의 온도에서 10분~30분 동안 반응시키고 염기의 염산염을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하여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5
여기서 R1R2및 X는 상기와 같다.
[공정 E]
구조식(VIII)의 3,4-디치환 벤족사졸론은 구조식(IX)의 아미노 페놀 유도체를 광산(예를들면 염산)과 함께 용매(예를들면 디에틸 에테르, 메탄올, 에탄올벤젠) 내의 실온(0℃~25℃)에서 반응시켜 상응하는 산의 염을 얻고 이염을 우레아와 함께 불활성 용매(예를들면 1,3-부탄디올)내의 100℃~200℃에 1~5시간가열하고 반응 혼합물을 광산으로 산성화하고 산성혼합물을 적당한 유기용매(예를들면 디에틸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톨루엔, 크실렌)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건조한 후 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하므로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6
여기서 R1및 R2는 상기와 같다.
[공정 F]
구조식(X)의 3,4-디치환 벤족사(티아)졸 티온은 3,4-디치환 벤족사(티아) 졸론(II)을 오황화인과 함께 불활성용매(예를들면 피리딘, 벤젠, 톨루엔, 크실렌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그의 혼합물)내의 60℃~150℃에서 적당한 시간(예를 들면 1~10시간) 동안 가열하고 여과한 후 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하므로서 제조될 수 있다.
Figure kpo00007
여기서 R1R2및 X는 상기와 같다.
[공정 G]
3,3-디치환 벤족사(티아)졸 티온(X)은 구조식(XI)의 2-알킬티오-벤족사(티아)졸을 불활성용매(예를들면 니트로벤젠, 디클로로 벤젠)의 존재 또는 부재하의 100℃~250℃에서, 만약 필요하다면 촉매(예를들면 요드화메틸, 브롬화메틸, 요드, 브롬) 존재하에서, 적당한 시간(예를들면 1~10시간) 동안 가열시켜 제조할 수 있따.
Figure kpo00008
여기서 R1R2및 X는 상기와 같다.
[공정 H]
3,4-디치환 벤족사(티아) 졸티온(X)은 2-알킬티오-벤족사(티아)졸(IV)을 알킬화제(예를들면 디메틸 설페이드, 디에틸 설페이트, 메틸 P-톨루엔 설포네이트, 엘틸 P-톨루엔 설포네이트, 요드화 메틸, 요드화에틸, 브롬화메틸, 브롬화에틸)와 함께 불활성용매(예를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에탄올, 메탄올, 물,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혹은 그의 혼합물)의 존재 또는 부재하의 0℃~100℃에서 0.5~10시간동안 알킬화시켜 상응하는 4급염을 얻고 이 염을 유화수소 나트륨 수용액 혹은 유화나트륨 수용에서 분해시켜 제조할 수 있다.
[공정 I]
3,4-디치환 벤족사(티아)졸 티온(X)은 아닐린유도체(VII)를 동몰량 혹은 과량의 티오포스겐과 함께 불활성용매(예를들면 물, 벤젠, 톨루엔, 크실렌 혹은 그의 혼합물) 내의 염기(예를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존재 또는 부재하의 0℃~50℃에서 혼합하고, 혼합물을 0.5~3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 혼합물에 물을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유기용매(예를들면 벤젠,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톨루엔)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한후 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하므로서 얻을 수 있다.
[공정 J]
3,4-디치환 벤족사(티아) 졸론(II)은 구조식(XIII)의 2-알콕시 벤족사(티아)졸을 불활성 용매(예를들면 니트로벤젠, 디클로로벤젠)의 존재 또는 부재하의 100℃~250℃에서 1~10시간동안 가열시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9
여기서 R1R2및 X는 상기와 같다.
제조된 벤족사(티아)졸론 유도체(I)은 재결정, 증류 및 컬럼크로마토그라피 같은 본질적인 통상적 공정에 의해 필요하다면 정제될 수 있다.
출발물질은 J.O.C. 18 1092-1102, Bull. Soc. Chim. Fr., 3044-3051(1973), 혹은 Ber. 64 1664(1931)에 기술된 공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벤족사(티아)졸론 유도체(I)의 특별한 예가 표 I에 나타나 있다.
[표 1]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벤족사(티아)졸론 유도체(I)의 제법의 실제적이고 필연적으로 바람직한 구체예는 하기 실시예에 상세히 나타나 있다.
[실시예 1(공정 A)]
2.4g(0.1몰)의 나트륨 하이드라이드를 50㎖의 무수크실렌에 혼합한 것에 14.9g(0.1몰)의 4-클로로벤조티아졸론을 환류하에서 교반하며 서서히 가하고 다시 교반하며 1시간 가열했다. 그리고 12.6g(0.1몰)의 디메틸설페이트를 10㎖의 무수크실렌에 녹인 용액을 적하누두로 부터 거기에 가했다. 반응혼합물을 교반하며 2시간 더 가열하고 300㎖의 물에 쏟아 붓고 혼합물을 분리누두에서 맹렬히 진탕했다. 분리된 크실렌층을 물로 세척하고 수층으로 부터 분리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한 후 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했다. 얻은 결정을 n-헥산으로 부터 재결정하여 무색의 3-메틸-4-클로로벤조티아졸론 15.5g(m.p. 131°-132℃)을 결정으로 얻었다.
[실시예 2(공정 B)]
18.0g(0.092몰)의 2-메틸티오-4-메틸벤조 티아졸 및 15.1g(0.12몰)의 디메틸 설페이트를 용매 없이 혼합하고 80℃에서 10시간 교반하고 빙냉했다. 결정화된 4급염을 10㎖의 물에 녹인 용액을 농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알카리화(pH10)했다.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후 건조하고 n-헥산으로부터 재결정하며 무색의 3,4-디메틸벤조-티아졸론 15.8g(m.p. 124℃)을 결정으로 얻었다.
[실시예 3(공정 C)]
2.0g의 2-니트로조이미노-3-에틸-4-클로로벤조티아졸을 200㎖ 플라스크에 넣고 180℃까지 유욕에서 서서히 가열하여 질소가스를 생성시켰다. 질소가스 생성이 1시간안에 멈출때, 반응메스(mass)를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얻은 잔사를 n-헥산으로 부터 재결정시켜 무색의 3-에틸-4-클로로벤조티아졸론 1.4g(m.p.98℃-99℃)을 결정으로 얻었다.
[실시예 4(공정 D)]
1.37g(0.01몰)의 2-메틸아미노-m-크레졸을 20㎖의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빙냉시켰다. 그리고 1g(0.01몰)의 포스겐을 5㎖의 디옥산에 용해시킨 용액을 0°~5℃에서 맹렬히 교반하며 거기에 적가했다. 실온에서 30분간 맹렬히 교반한후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후 건조하고 n-헥산으로부터 재결정시켜 무색의 3,4-디메틸-벤족사졸론 1.5g(m.p.99℃)을 얻었다.
[실시예 5(공정 E)]
1.5g(0.01몰)의 2-에틸아미노-m-크레졸을 30㎖의 에틸에테르에 용해시키고 과량의 염화수소를 20℃에서 생성된 용액으로 불어 넣었다. 침전된 2-에틸아미노-m-크레졸 염산염을 여과하고 에틸 에테르로 세척한후 건조했다. 1.8g의 이 결정 및 600㎎(0.01몰)의 우레아를 10㎖의 1,3-부탄디올에 충진하고 혼합물을 170℃에서 교반하며 2.5시간 동안 가열했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10% 수성염산으로 pH1까지 산성화 시켰다. 용액을 각각 30㎖의 에틸에테르로 3번 추출하고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한 후 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했다. 얻은 잔사를 n-헥산으로 부터 재결정시켜 무색의 3-에틸-4-클로로벤족사졸론 1.1g(m.p. 57℃)을 얻었다.
[실시예 6(공정 F)]
1.0g의 3,4-디메틸벤조티아졸론 및 2.5g의 오황화인을 완전히 혼합하고 140℃에서 4시간동안 5㎖의 무수크실렌 내에서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을 셀라이트(Celite)를 통해 뜨거울때 여과하고 뜨거운 크실렌으로 세척했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여액으로 부터 제거하고 얻은 결정을 에탄올로부터 재결정시켜 목적물 3,4-디메틸 벤조티아졸티온(m.p.159-161℃) 0.82g을 얻었다.
[실시예 7(공정 G)]
1.0g의 2-메틸티오-4-클로로벤조티아졸 및 1.0g의 요드의 혼합물을 유욕상의 220℃에서 5시간 가열하고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얻은 결정을 에탄올로부터 재결정시켜 목적물 3-메틸-4-클로로벤조티아졸티온(m.p.164-166℃) 0.89g을 얻었다.
[실시예 8(공정 H)]
1.0g의 2-에틸티오-4-클로로벤조티아졸 및 1.0g의 디에틸설페이트의 혼합물을 80℃에서 4시간 교반하고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10㎖의 물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수용액에 0.41g의 NaSH를 1㎖의 물에 녹인 수용액을 0℃-7℃에서 적가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교반했다.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한 후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하여 목적물 3-에틸-4-클로로벤조 티아졸티온(m.p. 76-77℃) 0.88g을 얻었다.
[실시예 9(공정 G)]
1.0g의 2-메틸티오-4-클로로벤족사졸 및 1.0g의 요드화메틸의 혼합물을 유욕상의 200℃에서 7시간 가열하고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얻은 결정을 메탄올로부터 재결정시켜 목적물 3-메틸-4-클로로벤족사졸티온(m.p. 98°-99℃) 0.87g을 얻었다.
[실시예 10(공정 H)]
1.0g의 2-에틸티오-4-클로로벤족사졸 및 1.1g의 디에틸 셀페이트의 혼합물을 100℃에서 3시간 교반하고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10㎖의 물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수용액에 0.63g의 Na2S를 1㎖의 물에 녹인 수용액을 0℃-7℃에서 적가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교반했다.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메탄올로부터 재결정시켜 목적물 3-에틸-4-클로로벤족사졸티온(m.p. 83-84℃) 0.84g을 얻었다.
[실시예 11(공정 I)]
1.37g의 2-메틸아미노-3-메틸페놀을 0.4g의 수산화나트륨을 30㎖의 물에 녹인 수용액에 용해시켰다. 그리고 1.2g의 티오포스겐을 30㎖의 톨루엔에 녹인 용액을 상기 수용액에 10℃에서 적가했다.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반응용액이 2층으로 분리됐다. 톨루엔 층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 톨루엔을 감압하에서 제거했다. 얻은 결정을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하여 m.p. 173-139℃의 목적물 3,4-디메틸 벤족사졸티온 1.4g을 얻었다.
[실시예 12(공정 J)]
1.5g의 2-메톡시-4-브로모벤조 티아졸을 유욕상의 160℃에서 5시간 가열한 후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얻은 결정을 헥산으로부터 재결정하여 m.p. 139-140℃의 목적물 3-메틸-4-브로모벤조티아졸론 1.3g을 얻었다.
항균제로써의 실제적인 응용에 있어서 벤족사(티아)졸론 유도체(I)은 담체 혹은 희석제 같은 기타 성분과 결합하지 않고 단독으로 쓰일 수 있으나 더 용이하게 적용하기 위해서 분말, 습윤성 분말, 오일스프레이, 에어졸, 정제, 유화성 농축액, 과립 및 미세한 과립같은 통상의 적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제법을 제제화하기 위해서 벤조가(티아)졸론 유도체(I)은 고형담체 혹은 희석제 즉 광물성분말(예를들면 활성, 벤토나이트, 몬트모릴러나이트, 점토, 카올린, 규조토, 운모, 인희석, 함수규산염, 석고, 탄산칼슘, 석필석, 세리사이트, 경석, 유황, 활성탄, 소석회), 식물성분말(콩, 밀, 목(木), 호도껍질, 톱가루, 겨, 수피(樹皮), 식물추출잔사, 담배, 전분, 결정성셀룰로즈), 고분자물질 분말(석유수지, 염화폴리비닐, 담마고무, 케톤성수지), 섬유생성물(종이, 추축된 판지, 넝마), 화학적비료(황산암모늄, 인산암모늄, 질산암모늄, 요소, 염화암모늄), 알른미나 혹은 왁스 같은 것과 혹은 그런 액상담체 혹은 희석제 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벤질알코올), 방향족 탄화수소(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틸나프탈렌), 지방족탄화수소(케로젠, 헥산), 염소화탄화수소(클로로포름, 4염화탄소, 모노클로로벤젠), 에테르(디메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에틸렌글리콜에틸 에테르), 케톤(아세톤, 메틸에틸케논, 사이클로헥사논), 에스테르(초산에틸, 초산부틸, 초산에틸렌글리콜), 산아미드(N,N-디메틸포름아미드), 니트릴(아세토니트릴) 혹은 설폭시드(디메틸설폭시드) 같은것과 혼합되 수 있다. 필요하다면 기타 첨가제, 즉, 결합제 및/혹은 분산제(젤라틴, 카제인, 나트륨 알기네이트, CMC, 전분, 아라비아고무분말, 리그노 설포네이트, 벤토나이트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리콜에테르 폴리비닐알코올, 송유, 고형 혹은 유동파라틴), 안정제(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털(tall)유, 경화유, 계면활성제,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혹은 유화제(알킬설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설페이트, 알킬 아릴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티렌알킬아릴에테르), 습윤제(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라우릴설페이트)를 제제와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제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중량제 및/혹은 기타 항균제, 즉, 예를들면 N-(3,5-디클로로페닐)-1,2-디메틸사이클로프로판-1,2-디카복시미드, s-n-부틸 s'-p-t-부틸벤질 N-3-피리딜디티오카본-이믿이트, O, O-디메틸 O-2,6-디클로로-4-메틸페닐포스포로티오에이트, 메틸 N-벤즈이미다졸-2-일-N-(부틸카바모일) 카바메이트, N-트리클로로메틸티오-4-사이클로헥센-1,2-디카복시미드, 시스-N-(1,1,2,2-테트라클로로에틸티오)-4-사이클로헥센-1,2-디카복시미드, 폴리옥신, 스트랩토마이신, 아연에틸렌-비스(디-티오카바메이트), 아연디메틸티오카바메이트, 망간에틸렌-비스(디티오카바메이트), 비스(디메틸티오카바모일)-디설파이드, 테트라사이클로이소프탈로니트릴, 8-하이드록시퀴놀린, 도데실구아니딘 아세테이트, 5,6-디하이드로-2-메틸-1,4-옥사티온-3-카복스아닐린, N-디클로로푼로로메틸티오-N,N-디메틸-N'-페닐설프아미드, 1-(4-클로로페녹시)-3,3-디메틸-1-(1,2,4-트리아졸-1-일)-2-부타논, 1,2-비스(3-메톡시카보닐-2-티오우레이도)벤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 벤족사(티아)졸론 유도체(I)은 살충제 즉, 예를들면 0,0-디메틸 0-4-니트로-m-톨릴)포스포로티오에이트, 0-P-시아노페닐 0,0-디메틸 포스포로티오에이트, 0-P-시아노페닐 0-에틸페닐포스포로티오에이트, 0,0-디메틸-S-N-메틸카바모일메틸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2-메톡시-4H-1,3,2-벤조디옥사포스포린-2-설피드, 0,0-디메틸 S-1-에톡시카노닐-1-페닐메틸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α-시아노-3-펜옥시벤질-2-(4-클로로페닐) 이소발레레이트, 3-펜옥시벤질 2,2-디메틸-3-(2,2-디클로로비닐) 사이클로푸로판카복실레이트, 3-펜옥시벤질크리산테메이트등과 결합될 수 있다 ; 그리고 모든 경우, 각각의 화학품의 제어 효과는 감소되지 않는다. 따라서 두개 혹은 그 이상의 해독한 균이나 곤충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더우기 그것들은 그러한 선충박멸제 및 진드기 박멸제로써의 농업화학품과 비료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제제는 일반적으로 0.1-0.95중량%, 바람직하게는 0.2-90.0중량%의 활성성분(혼합된 기타 성분 포함)을 함유한다. 적용한 제제의 적당량은 일반적으로 10g-1000g/10are이고 적용한 제제의 농도는 바람직 하게는 0.001-0.1중량% 범위내이다. 그러나 양과 농도는 제형, 적용시간, 적용방법, 적용부위, 질병 및 생성물에 따라 변하므로 상기 범위와 관계없이 알맞게 감소하거나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제조성물의 실제예가 상세하게 하기 실시예에 나타나 있고 여기서 파트(Part) 및 %는 중량에 의한다.
[제제실시예 1 분말]
2파트의 화합물(8) 및 98파트의 점토를 완전히 가루화하고 함께 혼합하여 2%의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분말을 얻었다. 적응시 분말은 그렇게 분말화되었다.
[제제실시예 2 분말]
3파트의 화합물(4) 및 97파트의 활석을 완전히 가루화하고 함께 혼합하여 3%의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분말을 얻었다. 적용시 분말은 그렇게 분말화하였다.
[제제실시예 3 습윤성분말]
50파트의 화합물(1), 2.5파트의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습윤제, 2.5파트의 나트륨 리그노설포네이트 분산제 및 45파트의 규조토를 완전히 가루화하고 혼합하여 50%의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습윤성 분말을 얻었다. 적용시 습윤성 분말은 물로 희석하고 생성된 용액을 스프레이했다.
[제제실시예 4 유화성 농축물]
10파트의 화합물(2) 40파트너 디메틸설폭, 40파트의 크실렌 및 10파트의 폴리옥시에틸렌도데실페놀에테르형 유화제를 함께 혼합하여 10%의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유화성 농축물을 얻었다. 적용시 유화성 농축물을 물로 희석하고 생성된 유제를 스프레이했다.
[제제실시예 5 과립]
5파트의 화합물(10), 93.5파트의 점토 및 1.5파트의 폴리비닐 알코올형 결합제를 완전히 가루화하고 함께 혼합하고 물로 반죽한 후 과립하고 건조하여 5%의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과립을 얻었다. 적용시 과립은 그대로 적용하거나 혹은 토양과 혼합할 수 있다.
[제제실시예 6 부유형과립]
10파트의 화합물(2)를 16-32멧쉬(mesh)의 조절된 입자를 갖는 경석 85파트상에 스프레이하여 그 화합물이 경석으로 스며들게 했다. 그리고 5파트의 유동파라핀을 그 위에 더 스프레이하여 10%의 활성성분을 함유한 부유형 과립을 얻었다. 적용시 과립을 그대로 적용했다.
[제제실시예 7 코팅형과립]
10파트의 화합물(5)를 16-32멧쉬의 조절된 입자를 갖는 77파트의 규사상에 스프레이하고 3파트의 10%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그 위에 더 스프레이 했다. 혼합물을 10파트의 백색탄소와 혼합하여 10%의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코팅형 과립을 얻는다. 적용시 과립을 그대로 적용했다.
[제제실시예 8 과립]
10파트의 화합물(5), 30파트의 벤토나이트, 1파트의 칼슘 리그노설포네이트, 0.1파트의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및 58.9파트의 점토를 혼합했다. 혼합물을 물을 가하여 혼합하고 7㎜ 멧쉬 크기의 체를 통해 과립화하고 건조했다. 이와같이하여 10%의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과립을 얻었다. 적용시 과립은 그대로 혹은 희석된 수용액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제제실시예 9 물-표면-확산오일-기초액체]
1파트의 화합물(2), 10파트의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테르 및 89파트의 케로젠을 혼합하여 얻은 물-표면-확산오일-기초액체를 그대로 적용했다.
벤족사(티아)졸 유도체(I)의 항균효과를 지지하는 시험결과가 하기 시험실시예에 나타나 있고 여기서 파트는 중량에 의한 것이다. 이런 시험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험화합물의 화합물 번호는 표 1에 나타난 것과 상응한다. 한편 비교하기 위한 공지된 시험 화합물의 화합물 번호는 하기 표 2에 나타난 것에 상응한다.
[표 2]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시험실시예 1]
[도열병 제어효과-잎적용(방지효과)]
제제 실시예 4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유화성 농축물 형태의 시헤화합물을 물로 희석하여 직경 9㎝인 포트(pot)에 배양된 벼(Kinki No. 33,4-5 잎단계)에 15㎖/포토 스프레이총을 사용하여 스프레이 적용했다. 스프레이 1일후 피리큘라리아 오리자에 의아포현탁액을 실물에 스프레이 접종을 하여 접종된 포트를 24~26℃와 90% 이상의 습도를 유지하는 항온실에 놓았다. 4시간 방치후 질병의 심각도가 감염된 잎면적의 %에 의해 결정되고 제어효과를 조사한다.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나 있다. 질병제어는 하기 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표 3]
Figure kpo00016
[시험 실시예 2]
[도열병 제어 효과-잎적용(남은 효과)]
제제 실시예 4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유화성 농축물 형태의 시험화합물을 물로 희석하여 직경 9㎝의 포트에 배양된 벼(Kinki No 33,4-5 잎단계)에 15㎖/포트로 스프레이총을 사용하여 적용했다. 스프레이 4일후 피디율라리아 오리자에의 아포현탁액을 식물에 스프레이 접종을 하여 접종된 포트를 24-26℃와 90% 이상의 습도를 유지하는 항온실에 넣었다. 4일 방치후, 질병심각도를 감여된 잎면적의 %에 의해 결정하고 시험화합물의 제어효과를 조사했다.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나 있다. 질병 심각도 잎 제어%의 계산은 시험실시예 1에서와 같이 수행했다.
[표 4]
Figure kpo00017
Figure kpo00018
[시험 실시예 3]
[도열병 제어효과-심부적용]
제제 실시예 5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과립형의 화합물을 와그너포트(1/5000are)내의 담수조건하에서 배양된 벼(kinki. No. 33,5-6잎 단계)에 심부적용했다. 시험과립을 500g의 활성성분/10are로 수면에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그리고 포트를 정해진 시험 미생물로 접종하기 전에 정해진 시간 동안 4~5㎝ 깊이로 그린하우스내에서 유지시켰다. 적용 4일과 30일후에 피리큘라리아 오리자에의아포분산액을 식물에 스프레이 접종을 하고 접종된 포트를 24~26℃와 90% 이상의 습도를 유지하는 항온실에 놓았다. 4일 방치후, 질병 심각도를 감염된 잎면적의 %를 관찰하므로써 조사하고 시험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어효과를 결정했다.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나 있다.
[표 5]
Figure kpo00019
Figure kpo00020
[시험 실시예 4]
[도열병 제어효과-토양적용시험]
제제 실시예 4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유화성 농축물 형태의 시험화합물을 와그너포트(1/500are)내에 배양된 벼(kinki. No. 33,5-6 잎단계)에 토양적용을 했다. 매 유화성 농축물을 물로 희석하고 500g의 활성성분/10are과 동등한 양으로 토양표면에 적용했다. 4일 그리고 30일후에 피리큘라리아 오리자에의 아포현탁액을 식물에 스프레이 접종하고 접종된 포트를 24~26℃와 90% 이상의 습도를 유지하는 항온실에 놓았다. 4일 방치후 질병 심각도와 제어효과는 시험실시예 1과 같이 결정되었다.
결과는 하기표 6에 나타나 있다.
[표 6]
Figure kpo00021
[시험 실시예 5]
[도열병 제어효과-이식 플랫(flat) 적용시험]
제제 실시예 5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과립형의 시험화합물을 30×60×3㎝ 이식플랫에 배양된 벼(kinki No. 33,2-2.5단계)에 토양 적용했다. 시험과립을 20g의 활성성분/이식플랫과 동등한 양으로 토양 표면위의 균질하게 분산시켰다. 24시간 후 치료된 식물은 플랫으로부터 토양의 1㎠ 블록을 잘라내므로서 제거되고 토양과 이식뿌리를 와그너포트(1/5000are)내의 담수조건으로 옮겼다.
포트를 그린하우스 내에서 시험 미생물로 접종하기전에 지정된 시간동안 4~5㎝ 깊이에서 유지시켰다.
상기 투여 60일후에 피리큘라리아 오리자에의 아포현탁액을 식물에 스프레이 접종을 하고 접종된 포트를 24~26℃와 90% 이상의 습도를 유지하는 항온실에 놓았다. 4일 방치후 질병 심각도를 시험실시예 1과 같이 감염된 잎면적의 %를 관찰하므로써 조사하고 제어효과를 결정했다.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나있다.
[표 7]
Figure kpo00022
[시험 실시예 6]
[헬민토스포리움 잎점 제어효과-잎적용시험(방지효과)]
제제 실시예 4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유화성 농축물형태의 시험화합물을 물로 희석하여 포트(직경 9㎝ 4식물/포트)에 배양된 벼(kinki No. 33,4-5 잎단계)에 15㎖/포트로 스프레이총을 사용하여 적용했다.
스프레이 1일후 PSA 배지에서 배양된 헬민토스포리움 시그모이데움의 균자체판(직경 5㎜)을 매줄기의 피포부분에 부착시키고 접종된 포트를 28℃를 유지하는 항온실에 놓았다. 4일 방치후 질병의 심각도를 감염된 피포길이를 측정하고 하기 방정식을 사용하여 결정했다.
Figure kpo00023
제어효과는 시험실시예 1과 같이 결정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나 있다.
[표 8]
Figure kpo00024

Claims (1)

  1. 하기 구조식(II)의 3-비치환 화합물을 알킬화제로 알킬화시켜 구조식(I)의 화합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25
    여기서 R1은 할로겐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메틸 또는 에틸기이고, X는 산소 또는 황원자이다.
KR780000096A 1978-01-16 1978-01-16 3,4-디치환벤족사(티아)졸론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00001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00096A KR800001546B1 (ko) 1978-01-16 1978-01-16 3,4-디치환벤족사(티아)졸론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00096A KR800001546B1 (ko) 1978-01-16 1978-01-16 3,4-디치환벤족사(티아)졸론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546B1 true KR800001546B1 (ko) 1980-12-27

Family

ID=19206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00096A KR800001546B1 (ko) 1978-01-16 1978-01-16 3,4-디치환벤족사(티아)졸론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90648A (zh) * 2022-09-16 2022-12-20 山东科源制药股份有限公司 一种氯唑沙宗的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90648A (zh) * 2022-09-16 2022-12-20 山东科源制药股份有限公司 一种氯唑沙宗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0451A (en) Benzoxazolone-2 compounds and fungicidal use thereof
CA1136143A (en) Insecticidally active thiazolylidene-oxo- propionitriles and their manufacture and use
GB2051060A (en) Insecticidally active salts of thiazolylideneoxo-propionitriles and their manufacture and use
EP0404498A2 (en) Novel halo propargyl compounds, and uses and processes of preparation thereof
KR800001546B1 (ko) 3,4-디치환벤족사(티아)졸론 유도체의 제조방법
JP3064374B2 (ja) ウラシル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除草剤
JPH02286665A (ja) 殺菌剤
EP0407621A1 (en) Benzothiazole derivatives as fungicide
JP2503547B2 (ja) カルバモイルトリアゾ―ル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除草剤
DE69823191T2 (de) 1,2,3-thiadiazol-derivate, mittel zur kontrolle von pflanzenkrankheiten und methode zu seiner anwendung
US4210440A (en) Urea derivatives,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herbicid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JPH05125057A (ja) 1−フエニル−4−トリフルオロメチルウラシル誘導体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除草剤
US4349554A (en) Method of using carbostyril derivatives as plant fungicides
JP2531195B2 (ja) インタ―ゾ―ル誘導体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除草剤
US3962444A (en) Use of 4-thiocyano-quinazolines as fungicides
KR900003390B1 (ko) 피라졸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농원예용 살균제
KR820000579B1 (ko) 1,4-벤조아진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10000691B1 (ko) 1,8-디치환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KR0128544B1 (ko) 2,3-디히드로-3-메틸렌-2-치환된 페닐-1h-이소인돌-1-온 유도체
KR820000474B1 (ko) 1,4-벤조 아진 유도체의 제조방법
CS272204B2 (en) Insecticide and method of its active substance production
JPH07107061B2 (ja) ベンゾチアゾロリルトリアゾールオキシド誘導体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除草剤
DE3820628A1 (de) 5-phenyl-1,3,4-oxa(thia)diazol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 schaedlingsbekaempfungsmittel
KR100342949B1 (ko) 제초성 아릴티아졸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800000979B1 (ko) 2-치환된 5-트리플루오로 메틸-1, 3, 4-티아디아졸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