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495B1 - 슬라이드 파스너의 코일상 엘레멘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파스너의 코일상 엘레멘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495B1
KR800001495B1 KR1019800003585A KR800003585A KR800001495B1 KR 800001495 B1 KR800001495 B1 KR 800001495B1 KR 1019800003585 A KR1019800003585 A KR 1019800003585A KR 800003585 A KR800003585 A KR 800003585A KR 800001495 B1 KR800001495 B1 KR 800001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igree
ancestor
storage body
guide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3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헤이 타카하시
후미오 테라다
시게노리 오오모리
히로시 이다
Original Assignee
요시다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3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49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슬라이드 파스너의 코일상 엘레멘트 제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절결 정면도.
제2도는 제2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절결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선조저장체에서 공급되는 선조를 심봉에 권부하여 연속적으로 코일상 파스너 엘레멘트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대형의 선조 저장체를 사용하면서도 품질이 안정한 코일상 파스너 엘레멘트를 고속으로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한 것에 있다.
이 종류의 코일상 파스너 엘레멘트 제조장치는 여러가지가 알려져 있으나, 대형의 선조 저장체를 사용하면서도 고속으로 정밀한 파스너 엘레멘트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선조저장체(보빈등)를 대형화하면 하나의 선조저장체에서 이음매가 없는 긴 엘레멘트가 제조되고 보빈교환의 횟수도 적게 되기 때문에, 엘레멘트의 품질상 혹은 작업상에서 대단히 바람직한 것이었다. 그런데 선조 저장체를 대형화하면, 종래의 것은 코일엘레멘트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결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것은 예를들면 정위치에 설치한 선조 저장체를 사용하여 이 선조 저장체로부터 인출되는 선조를 심봉에 권회하고 코일상 파스너 엘레멘트를 성형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것은 선조 저장체를 대형화하는 장점은 있으나, 공급 선조의 1선회마다 생기는 선조의 비틀림을 해소할 수가 없기 때문에 이 비틀림이 코일링된 파스너 엘레멘트에 존재하여, 이것이 엘레멘트의 교합 두부의 형태 및 엘레멘트의 칫수, 형상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품질이 좋은 엘레멘트를 얻기가 곤란하였다.
이와같이 선조의 비틀림에 의한 영향을 해소코저 선조저장체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것도 알려져 있었다. 예를들면 심봉의 축심에 합치해서 설치한 회전가능한 선조저장체에 코일링부(coiling部)의 선조 가이드와 같이 회전하는 선조 안내로타를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이로타를 코일링의 회전과 같이 회전시킴과 동시에 선조저장체도 전기 로타와 함께 선조인출량에 따라 회전을 그 위에 부가하면서 회전시켜서, 공급선조를 심봉에 권부하고 파스너 엘레멘트를 성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것은 선조저장체를 코일링부의 회전 이상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므로 선조의 저장량의 변화에 따라서 생기는 공급 선조의 장력 편차가 대단히 크게 작용하여, 정밀한 파스너 엘레멘트를 성형하기가 곤란하였다.
따라서 실제로는 이를 보상하기 위한 장치를 부가하는 것이 필요하고, 또 기계의 시동시등에 있어서 공급선조에 이상장력을 발생치 않도록 하기 위해 쿠션스타아트를 필요로 하는등 장치적으로도 복잡하게 되었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서 선조저장체를 심봉의 축심과 직각되는 방향에 설치하여 선조저장체를 심봉의 축심 주위에 선회시키는 것에 의해서 선조를 심봉에 권회시키도록 한것도 알려져 있으나, 이것도 상기와 같은 문제가 있고 특히 이것은 축심의 주위에 선회하는 것에 의한 원심력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소형의 선조저장체만이 사용되었다. 어느것이든 선조저장체를 회전혹은 선회시키는 것은 고속회전의 엘레멘트 성형에는 적용이 곤란하고, 더구나 소형의 선조저장체만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에 착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대형의 선조저장체를 사용하여서도 고속으로 엘레멘트 성형을 가능케하며, 다시금 성형된 엘레멘트에 악영향을 주는 것과 같은 비틀림이 존재하지 않도록하여 품질이 안정된 파스너 엘레멘트를 얻는 것을 가능케한 코일상 파스너 엘레멘트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상 엘레멘트의 제조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며, 이 도면에 나타낸 장치는 선조저장장치(1)과, 선조공급장치(2)와, 장력조절장치(3)과 코일링 장치(4)로 구성되고 이들의 장치가 횡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
전기 선조저장장치(1)은 코일엘레멘트용의 선조(W)를 권부한 선조저장체(5)와 이 선조저장체(5)의 외주방향으로 위치한 선상 가이드(6)과 로타(7)(rotor)를 갖추었다. 이 로타(7)은 프레임(8)에 지지된 구동축(9)에 연결되어 이 구동축(9)에 의해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로타(7)은 도시의 예에는 대략 완형(椀形)으로 되고 그 내면의 중심부에 지지축(10)이 수평방향으로 돌설되어 있다.
이 지지축(10)에는 로타(7)의 배부로 통하는 선조통공(11)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금 로타(7)의 배부에는 선조가이드편(12)이 설치되어 있다.
전기 선조가이드부재(6)은 스립(sleeve)(13)과, 이 스립(13)에 고정되어 전기 선조저장체(5)의 상방 위치까지 뻗는 가이드암(14)와, 선조저장체(5)의 하방위치까지 뻗는 중추암(15)로 이루어지고, 이 스립(13)은 전기로타(7)의 지지축(10)에 회전자재하게 장착되어 있다. 전기 중추암(15)는 가이드암(14)를 정위치로 보지하는 것으로서, 도시의 예에서는 중추(16)을 중추암에 설치하여 그 중력으로 가이드암(14)를 정위치에 보지하는 수단을 쓰고 있다. 혹은 중력에 의한 수단외에 선조가이드(6)에 영구자석을 부착하고 이에 대향하는 전자석을 로타(7)의 외측방향으로 배치하여서 전자력으로 제동을 걸수도 있다.
전기 선조저장체(5)는 전기 선조가이드부재(6)의 스립(13)으로 회전자재하게 장치되어 있다.
선조저장체(5)의 전단에는 전기지지축(10)의 선조통공(11)과 연통되는 가이드공을 가진 선조 가이드스립(17)이 부착되어 있다. 선조저장체(5)에 감긴 선조(W)는 가이드암(14)의 가이드공(18)을 통하여 선조가이드스립(17)의 선단에 도달하여 선조가이드스립(17)의 가이드공에서 지지축(10)의 선조통공(11)를 통하여 로타(7)의 배부로 뽑히고, 선조가이드편(12)를 개재하여 전방의 선조공급장치(2)로 향한다.
도시의 실시예와 같이 선조가이드부재(6)을 정지시켜 둘 경우는 선조인출량에 따라서 선조저장체(5)가 저속으로 회전된다. 다른 실시예로서는 선조저장체(5)를 정지시켜 두고 선조가이드(6)가 선조의 인출량에 따라 회전토록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선조가이드부재(6)의 중추(16)등에 의한 정지수단은 불필요하고 선조저장체(5)의 방향으로 정지수단을 설치한다. 이 정지수단도 상술한 바와 같은 중추를 선조저장체(5)에 설치하여도 좋고, 혹은 편심한 선조저장체를 써도 좋다.
전기 선조공급장치(2)는 전기 선조저장장치(1)에서 선조(W)를 적극적으로 인출함과 동시에 선조에 적극적으로 회동(비틀림)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틀(19)에 구동축으로 지지된 회전틀(21)를 마련하고 이 회전틀(21)에 구동로울러(22) 및 핀치로울러(23)이 부착되어 있다. 구동로울러(22)의 축(24)에는 한쌍의 산형치차(bevel gear)(25)(26)이 부착되어 이 산형치차(25)(26)에 축(28)를 가지고 지지된 산형치차(27)이 교합되어 있고, 그 어느것이든 한쪽의 산형치차(예를들면 산형치차(25))가 구동로울러(22)를 회전시킨다. 전기회전틀(21)은 구동축(20)에 고정된 벨트차(29)에 걸친 벨트(30)에 개재하여 모우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회전된다. 또 산형치차(27)은 축(28)에 고정된 벨트차(31)에 걸친 벨트(32)를 개재시켜 모우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회전된다. 이에 의하여 산형치차를 개재하여 구동로울러(22)가 회전된다. 전기구동축(20)과 병렬된 축(28)에는 선조(W)를 통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전기선조저장장치(1)에서 오는 선조는 구동축(20)의 구멍으로 들어가고, 핀치로울러(23)의 한쪽(도면상에는 앞쪽)을 통하여 구동로울러(22)와의 사이에 협지되고, 다시금 구동로울러(22)에 한번 권회하여 축(28)의 구멍에서 안출된 다음, 장력 조절장치(3)으로 향한다.
전기 장력조절장치(3)은 선조에 항상 일정의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후레임(33)에 부착된 한쌍의 가이드로울러(34)(35)의 사이에서 선조가 늘어지게 하고, 이 늘어지는 부분에 중추(36)가 부착된 장력로울러(37)을 늘어지게 한다.
중추(36)을 적당히 조정함에 따라 선조에 부여되는 장력을 조절한다.
전기 장력로울러(37)의 상방과 하방에는 선조의 늘어지는 정도를 검지하는 검지스윗치(38) 및 (39)가 후레임(33)에 부착되어 있다. 검지스윗치(38)(39)는 예를들면 리밋트스윗치, 광전소자등이 쓰이고 있고, 장력로울러(37)의 상승한계 및 하강한계를 검지한다. 지금 선조공급장치(2)로부터 송출되는 선조의 속도가 코일링장치(4)에 인입되는 선조의 속도보다 빠른 경우에는, 선조는 지나치게 늘어지게 되고 장력로울러(37)은 하강하여 하방의 검지 스윗치(39)가 하강 한계를 검지한다. 이 검지스윗치(39)의 검지 신호에 의하여 선조공급장치(2)의 선조 송출량이 코일링장치(4)의 인입량보다 적게 되도록 제어한다. 반대로 선조공급장치(2)로부터 송출된 선조의 속도가 코일링장치(4)의 인입속도보다 느린 경우에는, 선조의 늘어짐은 적게되고 장력로울러(37)은 상승하여 상방의 검지스윗치(38)이 상승한계를 검지한다. 이 검지스윗치(38)의 검지신호에 의해서 선조공급장치(2)의 선조 송출량이 코일링장치(4)의 인입량보다 크게 되도록 제어한다. 이들의 제어수단은 주지의 속도제어수단을 써도 좋고, 예를들면 선조공급장치(2)의 모우터를 직접 속도제어하든가, 혹은 크랏치에 의해서 변속비를 절환하는등 임의의 제어수단을 쓸수가 있다. 또 같은 제어수단에 의해서 코일링장치(4)만을 제어하여도 좋다.
전기코일링장치(4)에 대해서는 종래의 장치와 특히 변경된 것은 없고, 심끈(40)을 권부한 심끈보빈(41) 심봉(42)를 보지하는 심봉홀더(43), 감는로타(44)등을 포함하여 감는 로타(44)의 회동에 의해서 선조(W)를 심봉(42)에 권회한다. 권회된 코일 엘레멘트는 소망의 성형반송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반송되고, 또한 가열등에 의해서 성형된다.
본 발명장치는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다음에 전체의 동작을 설명하면 코일링장치(4)에 있어서 선조는 연속적으로 코일링되고 이에 따라서 선조는 선조저장장치(1)에서 인출된다. 선조저장장치(1)의 로타(7)은 코일링장치(4)의 감는 로타(44)의 회전에 따라서 같은 방향으로 고속회전된다.
이때에 도시의 실시예에는 선조가이드(6)을 정지시켜 둠으로써 선조저장체(5)만이 선조의 인출량에 따라서 저속회전된다. 로타(7)의 한 회전마다 선조에는 2회의 비틀림이 주어진다.
코일링장치(4)의 감는 로타(44)의 1회전마다 선조는 한번 비틀어짐으로, 이 비틀림을 완전히 없애기 위하여는 전기로타(7)은 감는 로타(44)의 1회전에 대해서 1/2회전시키면 된다. 이와같이 하여 선조는 비틀림이 생기지 않도록 하면서 연속적으로 송출된다. 이 경우 도시의 실시예와 같이 선조의 공급량에 따라서 선조저장체가 회전되면 선조저장체(5)에서 가이드암(14)에 오는 사이의 선조에는 전혀 비틀림이 생기지 않으나, 다른 실시예의 것과같이 선조저장체(5)는 정지시키고 선조가이드(6)이 회전하도록 하면 선조가이드의 1회전마다 1회의 비틀림이 생긴다. 그러나 이와같이 선조의 인출에 따라서 생기는 정도의 비틀림은 엘레멘트의 품질에는 거의 영향이 없으므로, 이와같이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채용하여도 좋다.
선조저장장치(1)에서 회전된 선조(W)는 다시금 선조공급장치(2)에서 적극적으로 인출되어 그 위에 적극적으로 비틀림 회동이 주어진다. 즉 회전틀(21)은 벨트(30), 벨트차(29), 구동축(20)를 개재시켜 로터(7)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구동로울러(22)는 벨트(32), 산형치차(25)(27)를 개재시켜 선조를 코일링장치(4) 방향으로 송출하도록 회전시킨다. 이와같이 선조저장장치(1)과 코일링장치(4)의 사이에서 적극적으로 선조의 회동과 인출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선조는 확실하게 비틀림이 없는 상태로 코일링장치(4)에 공급케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는 전술과 같은 장력조절장치(3)을 코일링장치의 전단에 설치하는 것이 잇점이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장치의 제2실시예인데 각 장치를 입체적으로 배치한 예인 것이다. 즉, 선조저장장치(1)과 선조공급장치(2)를 하부로 배치하고, 장력조정장치(3)과 코일링장치(4)를 상부로 배치하였다. 이와같이 배치한 것에 의해서 점유면적을 작게하고 또한 작업성도 양호하게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장치에 의한 선조저장체는 정위치에 설치한 것으로서 그 자체에는 회전과 선회의 동력을 부여하지 않으므로 대형의 선조저장체가 사용되고, 또한 선조의 조출량의 편차와 이상장력의 발생이 없이 정밀한 엘레멘트를 얻게되고 그외에 고속의 성형이 가능하게 되었다. 다시금 선조를 엘레멘트의 코일링 방향과 동조되도록 회동시키므로 성형된 엘레멘트에 악영향을 미치는 비틀림이 없게되고, 품질이 안정된 코일상의 파스너 엘레멘트를 얻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일정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선조저장체와 선조의 진행과 더불어 선조를 그 자체의 축상에서 안내 및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로 구성되는 선조공급장치 및 상기 선조를 코일링하는 선조코일링 장치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선조는 코일링 장치에서 코일링될때와 같은 속도 및 방향으로 그 자체의 축 상에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의 코일상 엘레멘트의 제조장치.
KR1019800003585A 1980-09-12 1980-09-12 슬라이드 파스너의 코일상 엘레멘트 제조장치 KR800001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3585A KR800001495B1 (ko) 1980-09-12 1980-09-12 슬라이드 파스너의 코일상 엘레멘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3585A KR800001495B1 (ko) 1980-09-12 1980-09-12 슬라이드 파스너의 코일상 엘레멘트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001947A Division KR800001324B1 (ko) 1975-09-01 1975-09-01 슬라이드 파스너의 코일 엘레멘트 성형용의 선조 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495B1 true KR800001495B1 (ko) 1980-12-17

Family

ID=19217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3585A KR800001495B1 (ko) 1980-09-12 1980-09-12 슬라이드 파스너의 코일상 엘레멘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49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03242A (en) Mechanism for twisting together two strands
CN109353865A (zh) 一种大卷布料收放卷机
US3879978A (en) Wire unreeling system
US4389838A (en) Single-twist stranding
US31538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wisting and plying strands
JPS6052657B2 (ja) 巻回装置
KR800001495B1 (ko) 슬라이드 파스너의 코일상 엘레멘트 제조장치
JP2000265382A (ja) 撚り線における撚り線のテンション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3249133A (ja) 線材繰出装置
US248783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wisting yarn
US39849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elically coiled coupling elements for slide fasteners
US2788632A (en) Tension control in twisting machines and the like
KR800001496B1 (ko) 슬라이드 파스너의 코일상 엘레멘트의 제조방법
GB2084618A (en) Wire pay-off
US4754599A (en) Yarn twisting apparatus
US4165599A (en) Arrangement for twisting of fibrous material
US3238711A (en) Wire depletion control for wire twisting apparatus
KR100496447B1 (ko) 장력제어수단을 구비한 꼬인 케이블 제조장치
JP2002370871A (ja) 釣糸ユニットおよび釣糸巻取装置
MXPA02012498A (es) Dispositivo de control de torcido, punto de sujecion giratorio y sistema de suministro axial.
KR800001324B1 (ko) 슬라이드 파스너의 코일 엘레멘트 성형용의 선조 저장장치
US2210883A (en) Machine for making elastic yarn
JPS6012144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用コイル状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4603545A (en) Yarn twisting and winding apparatus
US2727353A (en) Twisting and plying spindle balloon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