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242Y1 - 보빈의 행거 - Google Patents

보빈의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242Y1
KR800001242Y1 KR790007236U KR790007236U KR800001242Y1 KR 800001242 Y1 KR800001242 Y1 KR 800001242Y1 KR 790007236 U KR790007236 U KR 790007236U KR 790007236 U KR790007236 U KR 790007236U KR 800001242 Y1 KR800001242 Y1 KR 800001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lower body
hanger
ball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007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모쓰 다까다
Original Assignee
오오쓰고오다로오
엔. 테. 엔 도오요 베아링 가부시기가이샤
쓰구모 젠 사부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쓰고오다로오, 엔. 테. 엔 도오요 베아링 가부시기가이샤, 쓰구모 젠 사부로오 filed Critical 오오쓰고오다로오
Priority to KR790007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2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242Y1/ko

Links

Landscapes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빈의 행거
제 1 도는 본고안 보빈행거의 실시예로서 그 중요부분을 단면으로서 표시하는 정면도.
제 2 도는 그 하부체의 현수부의 다른예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 3 도는 그 상부체와 하부체와의 접속간극부분에 있어서의 링 부착 상태의 또 다른 예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 4a, b 도는 각각 종래의 보빈행거와 본 고안 보빈행거의 요동상태를 비교하여 표시하는 설명도.
본 고안은 주로 방기, 특히 정방기 혹은 조방기의 크릴에 사용되는 회전식 보빈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본관의 중심공의 견부에 단부를 형성한 통칭 조방목판이라고하는 형식의 목관을 현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흔히 이것을 후술하는 예와 같이 응용 발전시켜서 섬유기계 전반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빈의 지지방식으로는 종래부터 스큐어(skewer)를 사용하는 방식과 스큐어를 사용하지 않는 소위 스큐어 레스방식이 있으며, 이들은 보빈 감장용(嵌裝用)의 스큐어를 받침접시로서 점 지지하거나, 혹은 보빈을 직접 재치하는 받침접시를 점 지지해서 마찰저항을 적게하여 보빈의 회전을 경쾌하게하도록 되어있으나 오래사용하게되면 지지부에 솜먼지가 퇴적하고, 또한 스큐어 첨단의 손상에 의하여 스큐어 또는 보빈받침면의 회전에 저항이 생겨서 보빈의 회전저항의 불균일이 중대한다는 결점이 있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크릴의 설계 및 보빈의 조작을 편리하고, 또한 합리화해서 고도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러한 지지방식에 대신해서 보빈을 회전가능하게 현수하여 취급이 편리하고, 또 원활한 회전이 쉽게되도록 설계한 보빈행거가 많이 채용되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보빈행거는 보빈의 착탈작업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하여 그 상단이 보빈크릴에서 회전가능하게, 또한 각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걸어놓을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보빈은 보빈행거의 하단으로 삽입하거나 혹은 뽑아내게되므로 행거가 가벼운 힘으로 즉시 요동 복원되도록 소요의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행거의 상단을 유니버샬 조인트로서 크릴에 부착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있다.
이러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크릴의 하측에 볼(Ball)을 부착하고, 여기에 행거의 상단견부를 끼워서 걸어 놓거나 혹은 행거의 상단에 볼을 부착하고, 이것을 크릴하부의 현수공에 직접 끼워서 걸어놓게 한것이 있다. 그런데 행거가 너무 요동하기 쉬우면 운전중에 외력에 의해서 행거가 간단히 또한 크게 요동하고, 그 때문에 인출중의 슬라이버(Sliver)의 장력이 불균등하게 되어 부정 드레프트가 생겨서 실이 가늘게되는 원인으로 되며, 심할 경우에는 걷잡을 수 없는 실의 연속절단이 유발된다.
즉 보빈행거는 제 4a 도의 표시와 같이 보빈길이를 포함한 행거(1') 전체가 일체로되어 상단을 유니버샬조인트로서 크릴의 하측에 관착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행거가 흔들리면 전체가 1개의 진자가되어 진동하고, 여기서 행거의 전장율(ℓ)로 하면 그 진동주기(T)는이다. 즉 진자의 진동주기(T)는 행거전장(ℓ)의 평방근에 비례한다. 진동주기(T)가 크다는 것은 진동의 감쇠복원이 늦어지는 것이어서 종래의 보빈행거에 있어서는 진동상태가 용이하게 정지하지 않는 상태이었다. 또 종래의 보빈행거에 있어서는 크릴에 행거의 부착방식이 상술한바와 같이 직접 크릴에 축이음된 부분을 부착하는 것이어서 피보트(Pivot)부는 반드시 수직으로 장치되지 않고, 또한 보빈조작시 과격한 외력을 직접 받는다.
그리고 축이음 부분은 밀폐상태가 아니므로 실내 온습도 변화의 영향을 받게되고 크릴의 위치와 공조(空調)관계로되어 축이음 부분이 노점에 도달하면 이슬이 맺히는 것을 피할수가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러한 밀폐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특히 보빈의 착탈조작시 펌프작용 또는 이와 유사한 작용으로 보빈행거의 내부에 공기류가 생기고 상술한 이슬과 발생되는 공기류 때문에 베어링의 레이스 및 볼표면에 솜먼지가 퇴적하거나 녹이 발생하여 사용한지 1년도 못되어 행거의 회전 토오크(Toque)가 현저하게 증가하고, 또한 각 추 사이에 있어서의 토오크의 불균형이 심하게 증대한다.
이 영향은 직접 불량사 및 절사의 원인이 되어 극히 치명적인 결함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보빈행거의 결점에 비추어 이것을 개량하려는데 있으며, 현수부를 상부체와 그리고 하단이 보빈현수부를 이루는 하부체와의 2개부분으로 하는것에 의하여 더우기 후술하는 볼의 3점 현수방식을 추가하는 것에 의한 3분할에 의해 보빈의 현수길이를 짧게하여 상하양체를 유니버샬조인트로서 연결하고, 하부체의 회전을 적절하게 제동하며, 또한 요동을 어느정도 제한함과 동시에 각부분의 간섭작용을 이용하는 등 감쇠를 빠르게 하는 특성을 보유하게 함과 아울러 축받이부분에 있어서의 손상을 위시하여 이슬이 맺히는 것, 공기유입등의 현상에 기인하는 솜먼지의 고착 등으로 보빈행거의 주요한 요건인 원활한 회전이 방해되지 않도록 한것이다.
이하 본고안의 상세한 것을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 있어서, (1)은 보빈행거이며 하부에 보빈(2)을 현수하는 상태를 표시한다.
이 보빈행거(1)는 현수기체(d)와 보빈 현수부를 상부체(b)와 그리고 하단이 보빈현수부를 이루는 하부체(c)와의 2개 부분으로하고, 전체로서 상부체(b)를 중간으로한 3개 부분으로 구성되며, 현수기체에서 돌출한 볼트(3)에 의하여 크릴(4)의 하부에 매달리도록 부착하여 감싸놓은 모양으로 지지한다.
볼트(3)의 하단부는 제1볼 (5)를 이루며 상부체(b)의 정상면에서 상부체 내의 제1볼 구멍(6)에 연통하는 관통공(7)에 볼트(3)을 약간의 간격을 두고 삽입한 상태로서 제1볼 (5)를 제1볼구멍(6)내에 끼워 맞춰서 부착한다.
이로 인하여 제1볼(5)와 제1볼구멍(6)은 유니버샬조인트의 작용을 하며 상부체(b)는 회전 가능하고 또한 볼트(3)이 관통공(7)내에서 작용하는 범위로 약간요동 가능하게 된다.
(필요하다면 제1볼과 볼구멍을 반대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 상부체(b)내의 제1볼구멍(6)의 하부에 또다시 제2볼구멍(8)을 형성하고 이 속에 연결봉(9)의 위쪽끝에 고착된 제2볼(10)을 끼워 맞추고 하부체(c)내에도 제3볼구멍(11)을 형성하며 이 제3볼구멍(11)에 연결봉(9)하단의 제3볼(12)을 끼워 넣어서 하부체(c)가 연결봉(9)에 의해 현수되도록 지지한다.
제3볼 (12)는 원추 피보트모양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하여 하부체(c)는 상부체(b)에 대하여 유니버샬조인트 식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또한 그 요동은 제 4b 도의 표시와 같이 연결봉(9)에 의해 상부체(b)의 요동으로 끝나므로 그 길이 (ℓ')가 짧기 때문에 진동주기(T)가 작으며 여기에 하부체 (c)의 자체 중량이 가하여져서 이들이 상승작용하여 진동의 감쇠가 빠르다.
즉, 행거(1) 전체의 길이는 (ℓ)이나 진자의 길이는 상부체(b)의 길이(ℓ')로 되어서 대단히 짧고 작은 부분을 가지고 있다. 운전중에 외부의 힘에 의하여 보빈 행거가 좁은 폭의 범위에서 요동하면 진자로 되어서 진동하는 상부체(b)의 하단에 하부체(c)가 연결봉(9)으로서 현수되며 하부체의 요동범위가 작게 제한 되어있으므로, 하부체(c)자체는 심하게 요동하지 않고, 거의 수직 상태를 유지한채로 상부체(b)하단의 진동에 수반하여 좌우로 요동된다.
이때 하부체와 상부체의 진동은 서로 복잡하게 간섭해 가면서 상부체(b)는 진자의 운동으로서 진동하는바 상술한 바와같이 그 길이(ℓ')가 (ℓ)에 비해서 대단이 짧고 또한 하부체(c)의 중량이 상부체(b)의 요동에 반대작용 하므로 진동주기(T)가 적게되어 좁은폭의 범위내에서의 요동에 대해서는 그 감쇠가 극히 빨리 정지하는 것이다.
이때 하부체의 보빈현수부에 볼에 의한 3접지지방식을 사용할 때는 전체길이(ℓ)는 또 다시 3부분으로 분할 간섭하여 감쇠효과를 격감하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연결봉(9)은 상기와 같이 상부체(b)와 하부체(c)를 유니버샬조인트 식으로 결합하고 있는바 연결봉(9)은 하단부의 제3볼(12). (이 형상은 원추형 피보트 모양이라도 좋다)를 하부체(c)의 제3볼구멍(11)에 끼워 넣어서 이것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하부체(c)는 제3볼구멍(11)주변의 모서리 부분이 제3볼(12)와 연결봉(9)와의 경계부에 피보트 상태로 당접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상부체(b)와 동심으로 됨과 동시에 어느정도 회전이 제동된다.
이 연결봉(9)의 접촉 지름을 가늘게 하면 접촉되는 지름이 작아서 회전저항이 적게 되므로 연결봉(9)의 지름은 하부체(c)를 적절한 소정토오크로서 회전시킬수 있도록 선정하여 설정한다. 이 보빈을 현수하는 하부체(c)의 회전을 적당하게 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연결봉(9)의 하단부에 제3볼(12)를 설치하는외에, 제 2 도의 표시와 같이 제3볼(12)와 하부체(c)의 정면사이에 베어링(13)을 개재시켜서 소위 피보트 베어링식으로 하여도 좋으며 또 이볼의 대신에 연결봉(9)의 하부를 베어링(13)에 면 접촉시키는 등 기타 적당한 수단으로서 하부체(c)의 회전을 제동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부체(c)를 피보트 베어링식으로 상부체(b)에 현수하는 대신에 상부체(b)내의 제2볼(10)을 피보트 베어링식으로 하여도 좋다.
상부체(b)와 하부체(c)를 결합한 경우에 생기는 상부체 하단부와 하부체 상단부와의 틈새를 막기 위하여 제 1 도의 표시와 같이 상부체(b)의 하부에 끼워 계지되고 하부체(c)의 정상면에 재치되는 링(14)를 설치한다.
(15)는 링(14)의 위쪽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한 계지편으로서, 이것을 상부체(b)의 외주에 각설한 절입흠(16)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링(14)는 상부체(b) 및 하부체(c)의 회전에는 관계없이 상부체(b)의 외주에 따라서 약간 상하로 이동가능 하다.
링(14)는 상부체(b)와 하부체(c)와의 간격을 막아서 공기의 순한 및 솜 먼지의 침입, 퇴적을 방지하여 솜 먼지등이 연결봉(9) 또는 베어링의 주요부분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에 부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단열 효과를 높여서 온습도 변화에 의한 이슬이 맺히지 않게 하여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보빈을 현수하는 하부체의 회전을 항상 원활하게 한다.
또한 이 링(14)는 하부체(c)에 재치되어 있으므로 그 중량에 의해 하부체(c)의 회전을 링의 질량에 의한 범위의 소정된 값으로서 어느정도 제동하므로 상술한 연결봉(9)의 하부체의 회전을 제어하는 지지수단을 보조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링의 부착 수단으로서는 제 3 도의 표시와 같이 하부체(c)의 상부 외주에 절입흠(16')를 설치하고, 여기에 링(14')의 계지편(15')를 계합시키고 스프링(17)로서 밀어올리는 상태로 하여서 링 상부 가장자리를 상부체(b)에 가볍게 당접시키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실험의 결과 상부체(b)에 절입흠을 설치하지 않고 스프링으로서 구성한 링을 상부체의 정상면과 하부체 윗면의 회전판 상하에 접촉하도록 회전축을 중심으하여, 자유롭게 둘러쌓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제동효과를 포함시켜, 상기한 효과를 완전히 결정지을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스프링 전체면에 피막을 씌우면 축이음부의 완전 밀폐가 달성된다. 본 고안은 이상 설명한바와 같이 보빈 현수부를 상부체와 하단부가 보빈의 현수부를 이루는 하부체와의 2부분으로하고, 양체를 유니버샬조인트로서 연결한것이므로 현수부는 상부체와 하부체와의 연결부분에서 굴곡가능하게 되며 외부힘에 의해 요동되어도 주로, 상부체가 진자로 되어서 간섭요동하는 것만이므로 하부체는 수직상태에 가까운 미소한 좌우 요동에 그치고, 또 상부체는 그 길이가 짧은 만큼 그 진동의 주기가 적으며 여기에 보빈의 무게와 보빈 현수부의 볼표면 3점지지의 로울러가 간섭작용하여 감쇠가 극히 빨리 그리고 정상적인 수직선상으로 복귀하므로 절사나 부정 드래프트 등은 미연에 방지된다.
또 본 고안은 상부체와 하부체를, 중심부에 있어서 관통된 가느다란 구멍에 연결봉을 삽통하여 연결하고 하부체를 어느정도 제동하여 회전 및 요동 가능하게 현조하여 놓은 것이므로 하부체는 운전중의 슬라이버를 인출 하는데 있어서 지나치게 회전하는 일이 없으며 인출하는 회전토오크는 소정의 것으로 되어서 인출된 슬라이버는 항상 대략 일정한 장력으로서 인출되며 또한 이것이 각 진자 사이에 있어서, 균등하게 행하여지고, 행거가 외력에 의하여 요동되어도 하부체 자신의 요동은 극히 작다.
본 고안에서는 상부체와 하부체의 접합 부분에 생기는 틈새를 막는 링을 설치하고 또한 이 링을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여 상하양체의 어느 한쪽에 끼워맞추거나 혹은 상술한 스프링을 사용할때는 상하양체의 임의의 평형회전 저항에 의하여 하부체에 소요의 회전 저항이 부여되도록 하였으므로 그 완전한 밀폐효과에 의하여 접합부분에 솜먼지의 부착은 발생하지 않으며 또 공기의 유입이 없으므로 온습도차의 영향은 거의 받지 않아서 이슬이 맺히는 것이 발생하는 일이 없으므로 녹의 발생도 방지될 뿐만 아니라, 하부체의 요동 및 회전을 어느정도 일정하게 제한하는 작용도 되어 연결봉등에 의한 지지부의 작용을 보조하여 보빈을 매달고 있는 하부체에 슬라이버 인출시의 회전 및 안정을 항상 가장 적당한 상태로 유지한다.

Claims (1)

  1. 보빈 현수부를 상부체와 하단이 보빈 현수부를 이루는 하부체와의 2개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양체의 중심부에 관통된 가느다란 구멍에 연결봉을 삽통하고 이 연결봉의 양끝을 유니버샬조인트로서 연결하여 연결봉과 가느다란 구멍에 의해 하부체를 어느정도 제한해서 회전 및 요동가능하게 현수하고, 양체의 유니버샬조인트 부분의 간격을 막는 링을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하양체의 어느 한쪽은 끼워 맞추고 다른 한쪽은 접동되게 설치하여, 하부체에 소요의 회전저항을 부여하도록 하고 상부체를 크릴에 유니버샬조인트로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의 행거.
KR790007236U 1979-12-01 1979-12-01 보빈의 행거 KR800001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07236U KR800001242Y1 (ko) 1979-12-01 1979-12-01 보빈의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07236U KR800001242Y1 (ko) 1979-12-01 1979-12-01 보빈의 행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40000198 Division 1974-01-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242Y1 true KR800001242Y1 (ko) 1980-08-13

Family

ID=19214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07236U KR800001242Y1 (ko) 1979-12-01 1979-12-01 보빈의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2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007A (ko) * 1998-08-03 2000-03-25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방사권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007A (ko) * 1998-08-03 2000-03-25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방사권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00001242Y1 (ko) 보빈의 행거
US3167262A (en) Vibration-suppressed bobbin assemblies
JPS6334113B2 (ko)
US3021134A (en) Adjustable roller hanger for paper folding machines
US2478928A (en) Latch-out device for twisting spindles
US1917914A (en) Machine for spinning, doubling, twisting, and the like, yarns, fibers, and the like
US3834647A (en) Device for holding a spindle for drawing-off of a yarn
US2015557A (en) Flier for spinning machines
US2973920A (en) Bobbin holder suspension means
US2463887A (en) Machine for doubling or twisting yarns, threads, and the like
US2200700A (en) Spindle bracket
SU1647058A1 (ru) Стирально-отжимна машина
JPS5931633Y2 (ja) テイクアツプクレ−ドルの接圧接定装置
US2322125A (en) Flier frame structure
CN203938822U (zh) 塑料圆织机用纬丝张力均衡器
KR840002335Y1 (ko) 보빈홀더
JPS5934742Y2 (ja) 連結装置
JP3002014U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H0315566Y2 (ko)
US3028118A (en) Tension regulating device for spinning frames
JPH0451476B2 (ko)
JPH028935Y2 (ko)
JP2577386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559770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US2331565A (en) Centrifugal sepa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