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207B1 - 재사용 가능한 세정매체에 의한 개량된 오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재사용 가능한 세정매체에 의한 개량된 오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207B1
KR800001207B1 KR760001458A KR760001458A KR800001207B1 KR 800001207 B1 KR800001207 B1 KR 800001207B1 KR 760001458 A KR760001458 A KR 760001458A KR 760001458 A KR760001458 A KR 760001458A KR 800001207 B1 KR800001207 B1 KR 800001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t
tank
cleaning medium
separation tank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001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더블유 · 크라운치 로버트
엔 · 딘 토마스
디 · 엠 · 로간 패트리크
엠 · 포웨 칼
워니 마크
Original Assignee
죠지 더블유 · 탤버트
크라이슬러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죠지 더블유 · 탤버트, 크라이슬러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죠지 더블유 · 탤버트
Priority to KR760001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20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사용 가능한 세정매체에 의한 개량된 오수처리장치
제1도는 발명에 의한 장치의 개략도
제2, 제3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탱크, 오물침전탱크 및 재순환 장치의 구멍을 나타낸 평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기본구성 부분을 나타낸 약도
본 발명은 재사용 가능한 세정매체에 의한 개량된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오수장치에 있어서, 세정 또는 이송매체는 물이다. 물은 통상의 장치에서 처리되는 오수 총량의 90 내지 98%를 나타낸다. 오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어 재사용할 수 있는 세정매체를 사용하는 경우, 오수장치는 보다 간결하고 효과적으로 된다. 본문에서 사용되는 “오수” 또는 “배수”란 오수처리장치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통상적인 오물 즉 인간의 분뇨, 종이, 담배꽁초 등을 말한다.
세정매체의 밀도를 소수의 밀도와 다르게 하는 재사용 가능한 세정매체에 의한 오수장치는 종래에 제안되었다. 1972년 7월 4일 공고된 로버트 더블유·크라운치(Robert w. Claunch)의 미합중국 특허 제3,673,614호에는 상기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이러한 장치는 성공적으로 개발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특허에서는오물의 세정매체로 물을 사용치 않고 재사용 가능한 매체를 사용하였다. 재사용 가능한 세정매체는 기본적으로 물과 혼화하지 않고 물 및 기타 폐기물의 밀도가 충분히 달려져 세정매체로부터 오물을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오수시설의 작동조건하 및 오물의 존재하에서 화학적으로 안정하여야 한다.
상기 특허의 장치에서, 세정매체는 통상의 변기대나 소변기와 같이 사용 직전의 상태로 공급된 다음, 오수관을 통하여 오물과 함께 분리탱크로 보내진다. 분리탱크에서는 밀도의 차이로 인하여 세정매체가 오물 위로 올라와 그 위로 뜨게 되며, 매체와 오물 사이의 접촉면에 층을 형성한다. 분리탱크에서 오물 위에 뜬 액체세정매체는 적합한 여과장치를 통과하여 액체 순환장치로 보내져서 재사용한다. 순환장치는 압력 스위치장치가 부착된 압력 저장탱크나 축적위치가 되어 있어서, 이 압력 스위치장치는 축적장치내의 압력이 최저 설정치 이하로 강하하면 순환장치의 펌프를 자동으로 작동시킨다.
오물은 분리탱크 밑바닥에 모여지며, 충분한 양이 축적되면 자동 이송장치를 작동시킨다. 다음에 오물은 분리탱크에서 켓취탱크(Catch tank), 홀딩탱크(holding tank), 소각로, 호기성 다이제스터(aerodic digestor)등과 같은 오물수집장치로 이송된다. 일정한 량의 폐기물이 이송된 후 이송장치는 자동적으로 작동이 중지되며, 분리탱크의 하부에 오물이 다시 축적되기 시작한다.
이송장치는 오물과 세정매체가 이송되거나 재사용의 목적을 분리탱크로부터 이송될 때 과량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또한 분리탱크에 모이는 오물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 특허의 시스템에서는 부표(float) 및 스윗치(witch) 등을 포함한 전기 조절시스템을 사용하여 분리탱크에 저류되어 있는 오물과 세정매체의 양을 적당한 시간으로 조절하는 이송장치를 작동시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장치와 기구의 기본원리, 작동 및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그 구조와 조작을 간단화시킨 것이다.
종래의 방법에서 필요하였던 기계조절장치를 사용함이 없이 분리탱크의 세정매체와 오물 사이의 접촉면을 기본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설계한 장치로서 이러하 목적 및 기타의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치를 간단히 하였기 때문에 세정매체가 분리탱크를 떠날 때에 오물과 함께 과량으로 이송됨에 의한 세정매체의 과잉손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매체가 재사용의 목적으로 분리탱크에서 이송될 때에 오물이 세정매체와 함께 과량으로 이송되는 것도 방지한다. 더우기 본 발명의 장치에서의 오물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변기 또는 기타 등에서의 세정매체에 의하여 분리탱크로 이송되는데 여기에서 오물은 분리되어 침전하는 반면에 세정매체는 세정매체와 오물의 비중차에 의하여 위로 뜨게 된다. 분리탱크에서의 오물과 세정매체의 양이 변기를 사용함에 따라 증가하고 세정매체가 증가하여 콜레서를 통과하면 이곳에서 함유된 물이 분리된다. 세정매체는 주머니형 여과기를 통하여 웨어를 넘어 흘러서 현탁된 입자를 제거시킨 다음 저장탱크에도 흘러 들어간다. 그런 다음에 세정매체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가압 스윗치에 의하여 제어된 펌프/축적기 장치에 의하여 변기 또는 기타의 곳으로 재순환된다.
미세한 입자, 용해된 오염물, 계면활성제, 색소 및 기타 휘기물질을 제거하는 여과기로 계속 순환시켜서 세정유체의 질을 유지시킨다.
분리탱크의 아래 부분에 오물이 침전하면은 수압이 증가하여 분리탱크에서 오물수집탱크에 연결된 도관에 오물이 흡입되게 한다. 블로아로부터 오물이 송관로에 유입하는 공기에 의하여 이 관로내의 오물의 상대밀도를 감소시키고 오물을 상승시켜 오물수집탱크로 유입한다. 여기에서 공기를 불어넣어 주어 호기성 상태, 탈취상태 또는 기타상태로 처리한다. 오물 이송관을 더 부가하여 오물수집탱크에 있는 약간의 오물을 여러 작동장치 중의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최종 처리장치로 유출시킨다.
본 발명의 오수장치 및 기구는 변기나 양변기(10) 또는 기타 오물수집장을 예를들어 제1도에 나타낸다. 양변기(10)은 양변기를 처리하는데 사용하는 액체 세정매체를 저장하는 세정탱크(12)를 포함하고 있다. 탱크(12)는 세정매체가 양변기(10)를 통과한 후 오수도관(13)으로 들어가는 속도를 조절하는 표준밸브를 가지고 있으나 이것은 공지되어 있고 또한 과거로부터 사용해 오고 있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았다. 밸브는 적당한 방법, 예를들면 핸들(14)에 의하여 수동으로 작동된다. 오수장치에 공급되는 액체 세정매체(15)는 세정액 수집기구 또는 저장탱크(16)에 저장되며, 이 저장탱크는 일반적으로 (18)로 나타낸 분획탱크의 형태를 하고 있다. 세정매체는 펌프(20)에 의하여 도관(17)을 통하여 축적기(22)로 이송된다.
연속적 또는 주기적인 세정매체의 흐름은 (26)으로 표시된 유체 유지장치를 통하여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은 특수여과기(28), 카본여과기(30) 및 클레이(clay)여과기(32)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들은 모두 공지된 것으로 여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필요는 없다. 세정매체는 저장탱크(16)에서 도관(17) 유체 유지장치(26), 유속조절밸브(34)를 통하여 다시 저장탱크(16)으로 되돌아온다. 이것은 또한 분리탱크(36)를 통한다. 유체 유지장치(26)을 통한 유속은 장치 사용의 기능으로서 저장탱크(16)에 있는 총유량이 4 내지 8시간에 걸쳐서 정화되는 비율로 유지시킨다.
유체 유지장치(26)을 통하여 세정매체를 연속적으로 순환시킬 필요가 있을 시에는 펌프(20)과 축적기(22) 사이에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우회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펌프가 유체를 유체유지장치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도록 하되 공급되는 유체는 축적기에 요구되는 양 수준으로만 순환시킨다.
세정매체를 여과하는 여러 종류의 장치를 분리탱크(36)에 장치할 수 있다. 콜레서 필터(coalescer filter)(42)는 다른 스크린과 함께 사용하여 세정매체를 실질적으로 갖출 수 있다. 예를들면, 40멧쉬 및 20멧쉬의 스크린을 콜레서 양편에 장치할 수도 있다. 콜레서는 세정매체로부터 소량의 물을 축적하여 큰 물방울을 형성시켜서 마지막에는 세정매체가 분리탱크 저부로 떨어지도록 고안된 기구이다. 이 목적으로는 유리섬유 절연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미립자화한 물질을 수집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여과기로서도 작용하는 잇점이 있다. 여러 형태의 여과기를 필요로 한다면 시스템의 여러 다른 부분에 장치할 수도 있다.
감압하에 축적기(22)에 저장된 세정매체는 도관(35)를 통하여 세정탱크(12)에 채워진 다음에 액체밸브를 통하여 사용하게 된다. 세정매체는 양변기(10)으로 들어가서 양변기에 담긴 오물을 이송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세정매체는 도관(13)을 통하여 오물을 분리탱크(36)으로 이송하며 이때 원추형 분산기를 통과시킴이 좋다.
분리탱크(36)은 탱크(18)을 분획한 탱크의 일부이다. 오물과 세정매체의 분리는 분리탱크(36)에서 오물(39) 위로 세정매체(15)가 뜨기 때문에, 그 양이 증가하여, 세정매체는 염소정제(40)의 층, 콜레서(42), 웨어(44) 및 주머니형 여과기(46)을 통과한 후 저장탱크(16)에 모인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처리액 중 바람직한 세정매체는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 등이 번식할 수 없는 것이나, 분리탱크에서의 세정매체와 오물의 경계면에서 어느정도 오염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오일에 용해하는 살균제를 넣어서 혼입된 오염물을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몇몇 종류의 살균제가 이러한 목적으로 검토되었으며 만족할 만한 것이 발견되었다. 즉 미합중국 보랙스 캄파니(U.S. Bolax Co.)에서 제조된 Biobor J.F가 특히 좋으며, 이것은 고체 트리클로로 이소시아수린 및 염소 화합물로서 수영장의 염소소독제로 사용되는 약제이다.
이러한 배치를 함으로서 세정매체에 의하여 이송된 오물과 분리탱크로 들어온 오물(39)에서 분리된 세정매체(15)가 비중의 차로 인하여 오물 위로 부유해서 윗 부분의 세정매체와 그 중간경계면(47)을 가지는 분리탱크가 이루어진다.
분리탱크(36)에 저류된 세정매체의 양이 가득차거나 또는 원하는 조절된 양에 도달되었을 때에는 분리탱크의 윗부분에 위치한 웨어(44)에서 세정매체 출구로 세정매체가 흘러나가게 한다. 이 장치는 또한 분리탱크(36)에서 세정매체를 받는 저장탱크(16)으로 보내져서 재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제1도의 시스템에서, 오물(39)는 분리탱크(36)의 밑바닥에 가라앉는다. 여기에서 연속 재순환형태로 이 오물은 펌프(도관(49)에 있는 공기 라인(48)에 의하여 이루어진 에어리프트 펌프(air lift pump)가 바람직하다.)에 의하여 분리탱크(36)의 하위부위에 있는 입구를 가진 도관(49)를 통하여, 도관의 저부로 공기를 도입하여, 오물수송탱크(50)으로 도입한다. 이 도관(49)는 탱크(50)의 윗부분에 배출구를 가진다. 재술환시키면, 제2도관 또는 라인(52를 통하여 분리탱크(36)의 아랫부분으로 되돌아온다. 라인(52)는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50)에, 바람직하기로는 라인(49)의 출구보다 아랫부분에 입구를 가지고 있고, 또한 분리탱크(36)의 아랫부분에 출구를 가지고 있다.
이들 라인에서의 흐름은 펌프, 바람직하기로는 공기라인(48)과 라인(49)에 의하여 형성된 에어리프트 펌프로 행하여진다. 에어리프트 펌프에는 라인(56)과 밸브(62)를 통하여 송풍기(54)로부터 공기가 공급된다. 오물이 재술환 사이클에 의하여 이송되면, 이것은 혼합되고, 부드럽게 및 산화되며, 도관(49)에 있는 공기라인(48)으로 도입된 공기의 흐름으로 호기적으로 처리된다. 오물은 부분적으로 슬러리화되어 변화된 형태로 되는 경향이 있다. 오물은 오물침전탱크(50)이 가득차거나 또는 분리탱크(36)과 오물 침전탱크(50)에 저류된 조절된 량의 수준에 이르렀을 때에는 오물침전탱크(50)에서 넘친다. 오물수집탱크(50)이 가득차면, 오물이 분리탱크(36)에 가해져서, 오물은 웨어(58)에서 넘쳐 흘러서 저류탱크(60)으로 들어간다. 저류탱크(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8)를 분할한 탱크의 일부이다. 저류탱크(60)은 후에 펌핑되어 나가든가 또는 소화증발기로서의 사용목적으로 또는 저장기능으로서 송풍하든가 송풍 안할 수도 있다. 이것은 간단한 저류탱크일 수도 있고, 오물을 원하는 정도로 더 처리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밸브(62)와 (64)는 공기라인(48) 및 오물 침전탱크 송풍기(66)으로의 공급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오물침전탱크(50)으로서의 제1오물수집탱크(50)가 얻어지고, 이 탱크는 분리탱크(36)의 하방오물 함유부분에 접속되어 오물을 이것으로부터 제1오물수집탱크에 유입시킨다. 또한 이 제1오물수집탱크는 유출기구(58)를 설치하여 일정량이 수취되었을때 오물을 제1오물수집탱크로부터 유출시켜 분리탱크(56)과 제1오물수집탱크(50)과의 오물량을 조절 유지한다.
순환되는 세정매체에 의하여 오수가 연속적으로 유입하여도 유출기구(44),(58)에 의하여 분리탱크(36)과 제1오물수집탱크(50) 내의 세정매체 및 오물의 양은 기본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분리탱크(36) 및 오물침전탱크(50)의 설계원류량을 같게 2개의 유출기구(44)와 (58)을 선택적으로 작용시켜서 분리탱크(36) 내의세정매체와 오물과 형성은 경계면(47)의 높이를 조절하여 대체로 일정한 높이에 경계면의 위치를 유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분리탱크(36)에서의 세정매체와 오물침전탱크(50)에서의 오물을 선택적으로 조절된 유출기구(overflow mean)에 의하여 경계면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경계면 위치 지시계나 또는 기계적 또는 전기 조절작용이 필요없는 점에서 과거의 특허된 시스템과는 전혀 다른 시스템이다.
분리 후의 오물의 처리방법은 사용자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할 만한 장치에서는, 공기로 동화시키기 위하여 항상 송풍시킨 오물을 저류탱크(60)이 받는다. 또 다른 방법은, 오물을 펌프로 간단히 모아서 다음에 폐기한다. 필요하면 소각로로 보내어 태워버릴 수도 있다. 충분한 량의 공기를 적절히 열과 함께 (66)을 통하여 공급하여 오물 중의 수분을 증발시킬 수도 있다.
제2,3 및 4도는 분리탱크(36) 및 제1오물수집탱크(50)에 있는 무겁거나 또는 가벼운 오물의 잠재적인 증진을 방지하는 선택할 만한 탱크 및 오물 순환 배치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전면의 입면도이며 제4도는 제2도의 배면의 입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기 라인(48)에 의하여 이루어진 에어리프트 펌프방법으로 탱크(36)의 하부에서 오물을 이송하여, 이들을 작은 입자로 분쇄한 후에 이것을 제1오물수집탱크(50)으로 이송시킨다. 여기에서 가벼운 입자는 표면으로 뜨고, 무거운 입자는 바닥으로 가라앉는 경향이 있다. 무거운 오수액은 분리탱크(36)로 다시 돌아온다. 라인(13)을 통하여 분리탱크(36)으로 오물이 더 많이 도입되면, 오물침전탱크(58)의 수위가 점차 상승하여 유출기구(58)을 넘쳐 흘러서 라인(58a)을 통하여 탱크(60)으로 들어간다. 도관(49)와 (52)는 분리탱크(36)와 오물침전탱크(50)에서 상호 반대편으로 위치하여 있다. 분리탱크(36)에서, 이 도관의 입구와 출구는 탱크의 아랫부분에 위치하여 있고, 탱크(50)에서, 도관(49)의 출구는 탱크 윗부분에 및 도관(52)의 입구는 도관(49)의 출구 위치보다 낮은 곳에 위치한다. 이러한 배치를 하므로서, 도관(52)에서 탱크(36)을 통하여 도탱(49)로 통하는 오물의 흐름은 탱크(36)의 아무 것에도 분리된 빌드압(build up)이나 또는 데드스포트(deadspoots)를 방지하여 더 효율적으로 오물을 흘러보낼 수 있다. 탱크(50)에 있는 도관의 위치로 마찬가지 위치임이 좋다. 여기에서 또한 흐름의 패턴은 탱크(50)에서 오물 중 무거운 것이 가라앉아서 침전되는 경향이 있다. 중간층의 획분은 도관(52)로 모여서 탱크(36)으로 재순환되는 동안에 오물 중 가벼운 획분은 위로 떠서 유출기구(58)에 의하여 모여져 도관(58a)를 넘쳐 탱크(60)으로 들어간다.
오물 중 가장 무거운 획분은 탱크(50)에 축적되나, 그 속도가 대단히 완만하므로 가끔 펌프로 제거하면 된다.
공기 송입라인(66a)는 탱크(50)을 가로질러서 횡으로 위치하는 것이 탱크를 가로질러서 흐를 때에 “데드 스포트”를 더 방치하도록 탱크에 난류를 형성시킨다는 믿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 사용된 기본원리는 전술한 특허의 장치에 기술된 바와 같다. 즉 본 발명의 장치는 세정매체의 비중(예를들면 광유인 경우 0.83)로 주로 물로 된 오수의 비중(1.01)의 차에 의하여 작동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채택한 이러한 현상을 예시하고 있다. 제5도에서, Z1및 Z2점에서의 압력은 가압하이거나 또는 Z=0 상태 등 임의로 할 수 있으나, 정지상태의 유체에서는 같아야만 한다. W점과 FF점에서의 압력은 대기압이다. Z=0인 것과 W점과의 사이의 거리 또는 높이를 h라 하면, Z에서 압력은 물의 h인치와 동일하다. 물은 입방피드당 62.32파운드이므로, 물기둥 1피트에 의하여 발생한 압력은
Figure kpo00001
h와 HT가 결정되면, X 또는 IF점은 그 장치에서 결정할 수가 있거나 또는 HT와 IF점 또는 X가 결정되면 원하는 높이 h도 장치에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분리탱크(36)(여기에서 HT-40in)이고 접촉면이 Z 레벨에서 10in 올라가 있는 것이 필요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해결된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그러므로 장치에서 세정매체가 있는 위치와 오물이 있는 위치와의 차이 HT는 꼭 5인치가 될 것이다.
조작 중에서, 제5도에서 나타낸 장치가 먼저 오물로 채워져서 W점에서 넘쳐 흐른다면, Z에서의 압력은 (h)(0.036)psi가 될 것이다. 예를들면, h가 5인치이면, Z에서의 압력은 (35)(0.036)=1.26psi가 될 것이다. 오물이 FF점에서 유출구 이하에서 △HT인치로 정지하여 있기 때문에 FF점에서는 흘러넘치지 않을 것이다.
광유 세정매체를 천천히 가하여 FF점에서 흘러넘치도록 F량까지 가하면 시스템은 W점에서 흘러넘치는 오물과 FF점에서 흘러넘치는 광유와의 사이에 제2의 평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광유의 흐름이 멈추는 IF점(경계면)이 결정되게 한다. 또한 폐기물쪽에서 거리와 물질이 변화하지 않으므로, Z1가 Z2점에서의 압력은 (h)(0.036)로 동일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Z1과 Z2에서의 압력이 동일하여야 하더래도 거리 HT는 h보다 크다.
광유 세정매체의 기둥에 의한 물에 대한 압력은 광유의 비중(0.83)×(0.036)psi/in 또는 (0.83)(0.036)=0.30psi inch이다.
광유 세정매체와 오물의 혼합물을 오수라인을 통하여 이 장치에 도입시키면, 장치의 용량은 한정되어 있으며, 이 장치는 이미 가득차 있기 때문에 넘쳐 흐르게 된다. 오물과 세정매체가 신속히 분리되기 때문에, 오물은 바닥에 가라앉고, W점에서 오물이 넘치게 되며, 광유는 위로 올라와서 FF점에서 광유 세정매체가 넘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IF점이 높이나 위치에 기본적인 변화가 없이 두개의 동화되지 않는 물질 사이에 경제점으로 남기 때문에 일어나게 된다.
실제의 실시에 있어서, 새로운 물질이 장치에 흘러들어오는 힘과 오물이 탱크(50)으로 재순환하는 힘에 의하여, 약간 더 가압상태로 되어 이것이 이 장치의 각 부분에 전파된다. 이러한 동적인 압력의 변화가 수인치의 좁은 범위로 IF 점의 파동을 일으키게 한다. 이 파동은 X를 충분히 크게 하여 IF 점이 Z1점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서 조정된다.
이러한 장치는 이 장치에 오물과 세정매체의 연속적인 도입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세정매체와 오물이 다른 분리탱크 등으로 흘러 넘쳐들어가는 것을 가능케 한다. 스위치, 밸브, 펌프 등과 같은 본 발명의 적당한 구성분은 이 기술계통에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할 필요가 없다. 더우기 분리된 오물의 궁극적인 최종 처리는 인시너테이터(incinerator) 등에 의하여 열처리를 하거나 에어로빅 다이제스터(aerohic digestors)등에 의한 생물학정 처리를 하거나, 저류탱크에 저장하든가 도는 기타 적당한 여러가지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세정매체는 물과 기본적으로 혼화하지 않고 밀도와 비중이 물과 충분히 달라서 침전공정에 의하여 세정매체에서 오물을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세정매체는 또한 오물 처리구기의 조작조건에서 화학적으로 안정해야 하며, 인간의 분뇨 및 기타 오물의 존재하에서도 화학적으로 안정해야 한다. 더우기 매체의 특성은 처리시 및 오물 이송시 적당한 유동특성을 가지고 있고, 독소나 또는 화재위험을 발생치 않아야 하며 외부상태와 냄새에 있어서도 미학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적당한 것으로 판명된 몇종의 처리액을 예로들면 다우코닝사(Dow Corning Co.)의 “PC 200”dor, 쉘오일 캄파니(Shell oil Co.)의 “Dirla Ax” transfermeroil, 몬산토 케미칼 캄파니(Monsanto Chemical Co.)의 “MCS 997” 또는 “996”, 마라톤 오일 캄파니(Marathon oil Co.)의 “Sontex 60T”, “Exxon” “Marcol 52”, Arco “Magicol” 및 통상의 광유도 바람직한 유체이며, 그것을 더 정제한 형태가 특히 더 우수한 것이 발견되었다. “Marcol 52”는 석유 염기오일이며, “MCS 997”은 아디페이트 에스테르이다. “DC 200”액은 디메틸 실록산 폴리머 타입의 실리콘유이다. 이들 유체의 물리적 특성은 다음 표와 같다.
[표]
Figure kpo00004

Claims (1)

  1. 비중이 물의 비중보다 작으며 오물을 받아서 이송하는 비수용성 액체인 세정매체와; 분리탱크에 유입된 오물 및 세정매체는 세정매체와 오물의 비중의 차에 의하여 형성된 중간 경계면에서 오물은 아래로 세정매체는 경계면 위로 뜨게 되며 세정매체에 의하여 이송된 오물을 수집하는 분리탱크와; 세정매체가 세정매체 출구의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넘쳐흘러서 분리탱크에서 나가게 하며 분리탱크에 남아있는 세정매체의 량을 조절하는 분리탱크의 상방부분에 위치한 세정매체 출구와; 분리탱크에서 오물이 유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분리탱크의 하부에 오물을 함유하고 있는 부분과 연결된 제1오물 수집탱크와; 제1오물 수집탱크에 설치되어 있어서 오물이 오물배출구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제1오물 수집탱크에서 오물을 배출하게 되므로 제1오물 수집탱크와 분리탱크 내에 오물의 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오물 배출구; 로 구성되어서 분리탱크와 제1오물 수집탱크 내에 잔류량이 두개의 배출구로 인하여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며 따라서 부가적인 세정매체와 오물이 유입되어도 분리탱크 내에서 비중이 다른 세정매체와 오물과의 경계면이 세정매체 출구 아래의 거의 일정한 위치에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을 처리액으로부터 분리하여 세정매체를 재사용할 수 있는 오수처리장치.
KR760001458A 1976-06-12 1976-06-12 재사용 가능한 세정매체에 의한 개량된 오수처리장치 KR800001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1458A KR800001207B1 (ko) 1976-06-12 1976-06-12 재사용 가능한 세정매체에 의한 개량된 오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1458A KR800001207B1 (ko) 1976-06-12 1976-06-12 재사용 가능한 세정매체에 의한 개량된 오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207B1 true KR800001207B1 (ko) 1980-10-22

Family

ID=19202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001458A KR800001207B1 (ko) 1976-06-12 1976-06-12 재사용 가능한 세정매체에 의한 개량된 오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20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4528A (en) Sewage system with reusable flush medium
US3707404A (en) Parts washer and method of solvent cleaning
US6645387B2 (en) Separator device
JP2010131516A (ja) 油水分離装置
NO803177L (no) Fremgangsmaate og anordning for behandling av avloepsvaesker
US5587067A (en)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US200300008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waste water
KR800001207B1 (ko) 재사용 가능한 세정매체에 의한 개량된 오수처리장치
JP3811887B2 (ja) 洗浄処理装置
KR102457108B1 (ko) 미세 부유물질의 부상 분리 및 여과 기능을 구비한 하폐수처리시설의 여과장치
US4470905A (en) Mechanism for extraction of immiscible, less dense material from a fluid
US3721347A (en) Purification device for removing heavy components from a suspension
JPH10337585A (ja) 浮上性濾過材の逆洗方法
JP2007090291A (ja) 水の濾過装置
JP2766881B2 (ja) 水処理装置
JP4781510B2 (ja) 上向流濾過装置、濾過装置付き好気処理槽及び汚水浄化槽
JP3794589B1 (ja) 汚水処理装置
SU171231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нефтесодержащих сточных вод
CA2510998A1 (en) Stormwater filtration tank
JPH09276885A (ja) 浮上性濾材を用いた生物膜濾過装置
JP3303081B2 (ja) 金属ストリップ脱脂洗浄水処理方法及び装置
JPS6012113B2 (ja) 廃液処理装置
JP2991013B2 (ja) 汚水の処理装置
KR20230156186A (ko) 생물여과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오수처리시설 및 오수처리방법
JPS6313832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