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104B1 - 디아제핀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아제핀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104B1
KR800001104B1 KR1019800000855A KR800000855A KR800001104B1 KR 800001104 B1 KR800001104 B1 KR 800001104B1 KR 1019800000855 A KR1019800000855 A KR 1019800000855A KR 800000855 A KR800000855 A KR 800000855A KR 800001104 B1 KR800001104 B1 KR 800001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alkyl
formula
chloro
phenyl
benzodiaze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0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발서 아래민
이얀 플라이어 로드니
Original Assignee
에프 호프만-라 룻슈 앤드 캄파니
쿠르트 네셀보쉬, 한스 스튀클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호프만-라 룻슈 앤드 캄파니, 쿠르트 네셀보쉬, 한스 스튀클린 filed Critical 에프 호프만-라 룻슈 앤드 캄파니
Priority to KR1019800000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아제핀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근육이완제, 진정제 및 항경련제로 유용한 다음 구조식(I)의 이미다조[1,5-a][1,4] 디아제핀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무독한 산부가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구조식에서 A는 -C(R6)=N-, R1는 수소, 저급알킬, 하이드록시 저급알킬, 아실옥시 저급알킬, 페닐, 알콕시저급알킬, 할로저급알킬, 아미노저급알킬, 치환된 아미노저급알킬, 치환된 페닐, 피리딜, 아르알킬 또는 -COR10그룹(여기서 R10은 수소, 또는 저급알킬임), 또는 -COOR(여기서 R은 저급알킬임)이고 R2는 -COOR그룹(여기서 R은 저급알킬임)이고, R3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고, R6은 페닐, 일치환페닐, 이치환페닐, 피리딜 또는 일치환 피리딜이고,
Figure kpo00002
는 다음 구조식(a)(b)(c)(d)를 나타내며
Figure kpo00003
상기에서 X는 수소, 염소, 브롬, 요드이고, T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며 R4는 수소,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저급알킬, 치환된 아미노, 아미노, 하이드록시 저급알킬 또는 저급알카노일을 나타낸다.
상기 기술에 있어 ''저급알킬'' 또는 ''알킬''은 C1-C7의 직쇄 및 측쇄 탄화수소 라디칼을 말하며 특히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등과 같은 C1-C4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낸다. ''저급알킬''은 사이클로프로필같은 환상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한다.
''저급알카노일'' 또는 ''아실''은 C1-C7의 아실부위, 바람직하게는 C1-C4의 알카노산 즉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등으로, -COR20의 부위(여기서 R20은 C1-C6알킬 또는 수소이다)를 말한다. ''저급알카노일''은 C2-C7의 아세탈 또는 케탈 예를들면 에틸렌디옥시그룹과 같은 보호케톤을 의미한다. 케탈이나 알데하이드 보호그룹은 산화환원 및 축합반응에서, 포함된 케톤이나 알데하이드의 전환을 막는데 사용된다. ''할로겐''은 염소, 브롬, 불소, 요드를 말한다.
R6페닐부위는 일치환이나 페닐부위의 2,3; 2,5; 가장 바람직하게는 2,6위치에 이치환된다. 적합한 일치환체는 할로겐이나 니트로이며 페닐부위의 2위치에 치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2치환체는 2,6 또는 2,5디-할로겐과 2,6 또는 2,5할로겐-니트로이다. 일치환피리딜의 경우 적당한 치환체는 할로겐이나 니트로이다.
R3가 저급알킬일 경우 광학적 이성체가 생기고 광학적 대장체 및 라세미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아릴''은 페닐, 클로로페닐, 톨릴등과 같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모노사이클릭 방향족 부위이다. 여러가지 부위가 복소환의 일부를 형성할때 부위는 그들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원자와 함께 질소 또는 산소원자와 같은 복소원자가 붙어있는 5내지 6각 환을 형성한다. 이리하여 복소환으로서 모르폴리노, 피페라지노, 피페리디노 및 피롤리디노와 같은 부위를 형성한다.
''알콕시''는 C1-C7의 직쇄 또는 측쇄의 포화 하이드로카본옥시그룹, 바람직하게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등과 같은 C1-C4직쇄나 측쇄의 포화하이드로카본옥시를 의미한다.
''치환된 아미노''는 메틸아미노나 디메틸아미노 그룹같이 저급알킬로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NH2그룹, 아세트 아미노와 같이 질소원자상에 저급알킬(예 : 메틸그룹)로 치환될 수 있는 아실 아미노 그룹을 뜻한다.
''아르알킬''이란 말은 방향족과 지방족 구조를 갖는 탄화수소 그룹, 즉 저급알킬 수소가 모노사이클릭 아릴그룹 즉 페닐, 톨릴등으로 치환된 탄화수소 그룹이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화합물은 다음의 일반구조식을 갖는다.
Figure kpo00004
상기 구조식에서 R1'''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이고, R4'는 수소, 니트로 또는 할로겐, 가장 바람직하게는 염소(8위치에 있는 이미다조벤조 디아제핀의 벤조 부위에 치환되는 것이 바람직함)이고, R6'은 페닐, 또는 할로겐, 니트로, 또는 저급알킬로 치환된 페닐 바람직하게는 할로겐(여기서 할로겐은 불소이며 페닐부위의 2위치에 치환되는 것이 바람직함)이며, R2는 구조식(I)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구조식(I)의 범위에 속하는 또 하나의 화합물류는 다음의 일반 구조식을 갖는다.
Figure kpo00005
상기 구조식에서 R''',R2,R4' 및 R6'는 상기 구조식(IB)에서와 같고, R3'는 저급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이다.
구조식(IC)의 화합물과 이의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은 광학적 이성질 현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화합물(IC, 여기서 R3'=CH3)는 [엘.피저 및 엠.피저 1961, pp.85~88, 레인홀트 출판주식회사의 ''고등유기화학'']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광학적 에난티오머로 분할할 수 있고 화합물(IC)의 광학적 이성체와 라세미체는 약학적 활성을 갖는다. 예를들면 구조식(IC) 화합물의 타타르산 염의 경우(+) 이성체는(-) 이성체보다 상당히 강한 활성을 갖고 있다. 활성이 적은(-) 이성체는, 필요에 따라서, 이성체가 용해될 수 있는 유기용매 존재하에 나트륨 3급 부톡사이드와 같은 비-수성 염기로 처리하여 활성이 있는 라세미체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 화합물의 더욱 바람직한 그룹은
Figure kpo00006
가 8-클로로페닐이나 8-클로로티에노[3,2-f] 그룹이고, R1이 수소 또는 메틸이고, R6가 2'-플루오로-또는 2'-클로로페닐이며 R3가 수소인 구조식(I) 화합물의 그룹이다.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이란 말은 염산, 브롬산, 질산, 황산, 인산, 시트르산, 포롬산, 말레산, 아세트산, 석신산, 타타르산, 메탄설폰산, 파라톨루엔 설폰산등과 같은 무기 및 유기의 약학적으로 무독한 산을 포함한다. 이러한 염은 선행기술로 쉽게 형성될 수 있으며 화합물의 성질이 염형태에서도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구조식(I) 화합물을 개환시킴으로써 수득된
Figure kpo00007
가 R4-페닐인 화합물도 포함된다.
이러한 화합물은 다음의 구조식을 갖는다.
Figure kpo00008
상기 구조식에서 X는 유기 및 무기산의 음이온이고, R1,R2,R3,R4및 R6는 구조식(I)에서와 같다.
용액중의 구조식(I)의 어떤 화합물은 구조식(ID)의 상용하는 화합물로 개환된다. 이런 개환화합물은 구조식(I)의 화합물 즉 상용하는 폐환화합물과 용액중에서 pH에 의존하는 평형상태로 존재한다. 구조식(ID)의 화합물은 이들의 상용하는 폐환화합물을 수성 무기산으로 처리한 후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산부가염으로서 유리될 수 있다. 이 염은 원래의 상응하는 폐환화합물과 비교되는 약학적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구조식(I)의 [1,5-a][1,4] 디아제핀 및 이의 약학적으로 무독한 산부가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즉 다음 구조식(V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N-옥사이드를 구조식 R1'C(OR)3의 알카노산오르토 에스테르 또는 이와 화학적으로 균등한 화합물과 반응시키거나(이 반응에서 아미노 또는 알킬아미노 그룹은 보호된 형태로 존재함)
Figure kpo00009
(상기 구조식에서 R,R3,A 및
Figure kpo00010
는 상술한 바와같고, R은 저급알킬이며, R1'은 수소, 저급알킬, 알콕시저급알킬 또는 할로저급알킬이다)
다음 구조식(V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N-옥사이드를 산화시키거나
Figure kpo00011
(상기 구조식에서 R,R1,R3,A 및
Figure kpo00012
는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 구조식(XI)의 화합물 및 이의 N-옥사이드를 폐환과 동시 탈수소화시켜 제조한다.
Figure kpo00013
(상기 구조식에서, R1''은 수소, 저급알킬, 페닐, 알콕시저급알킬, 치환된 페닐, 피리딜, 아르알킬이다).
다음 반응식 A에 나타난 반응들은 구조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반응들이다.
반응들에서 R은 저급알킬이고, A,R1,R3,R4및 R6는 구조식(I)에서와 정의한 바와 같다. 어떤 치환체가 반응중 공격받기 쉬울 경우 이 공격받기 쉬운 그룹은 반응전이나 후에 변형시킬 수 있다.
반응식 A에 나타난 반응은 상응하는 N-옥사이드[A=-C(R6)=N(→O)-]와 반응시키지만 구조식(VI)의 화합물에 존재하는 N-옥사이드 부위는 (VI)→(VII)로 전환되는 동안 제거된다.
Figure kpo00014
반응단계(II)-(III)
구조식(III)의 화합물은 구조식(II)의 화합물을 니트로화시켜 제조한다. 니트로화 반응은 아질산으로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사용되는 시약으로는 (1) 유기 또는 무기산(예 : 빙초산)과 수용성 또는 비수용성 용매존재하에서 알칼리금속 아질산염(예 : 아질산나트륨), (2) 알콜, 염소화 탄화수소(예 : 디메틸 포름아마이드)와 같은 불활성 용매하에서 알킬아질산염(예 : 아질산메틸), (3) 피리딘과 같은 산수용체와 불활성 용매존재하에서 염화니트로실) 기상용액 등이 있다.
이러한 니트로화 반응은 실온보다 낮거나 같은 온도 즉 -25° 내지 25℃에서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분자내에 존재하는 아미노그룹 또는 알킬아미노그룹은 아실화시킴으로써 니트로화 반응동안 보호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호그룹은 다음의 반응단계에서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반응단계(VIII)-(IX)
구조식(IX)의 화합물은 구조식(VIII)의 화합물을 디모르폴리노포스핀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구조식(IX)의 화합물을 수득하기 위한 구조식(VIII)의 화합물과 포스포릴화제와의 반응은 구조식(VIII)의 화합물을 충분량의 강염기로 처리하여 구조식(VIII)의 화합물을 이온화시켜 상응하는 음이온을 형성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적합한 염기로는 칼륨 3급-부톡사이드 또는 나트륨 메톡사이드와 같은 알칼리금속 알콕사이드, 수소화나트륨과 같은 알칼리금속 수소화물, n-부틸리튬과 같은 알킬리튬화합물 등이 있다. 반응온도는 0° 내지 100℃이며, 반응은 아프로틱 극성 불활성용매, 즉 구조식(VIII)의 화합물의 염을 전체적으로 또는 적어도 일부는 용해시키는 용매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용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이나 디옥산과 같은 에테르, 또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와 같은 3급아민이 있다.
존재하는 아미노 또는 치환된 아미노 그룹은 이 반응단계에서 보호되어야 하며 이 보호된 부위는 다음 단계, 즉 구조식(VII)의 화합물을 제조한 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반응단계(III) 또는 (IX)-(IV)
구조식(III) 또는 구조식(IX)의 화합물을 다음 구조식의 말로닉 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된
Figure kpo00015
(여기서 R은 저급알킬이다)
음이온과 축합시켜 구조식(IV)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 음이온은 말로닉 에스테르를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 알콕사이드, 하이드라이드 또는 아미드와 같은 적합한 강염기로 프로톤을 제거하므로써 생성된다. 구조식(III) 또는 (IX)의 화합물과 말로닉에스테르 음이온과의 반응은 벤젠, 톨루엔, 헥산과 같은 탄화수소나 디옥산, THF, 디에틸에테르, DMF, DMSO등과 같은 에테르 용매존재하에 실온이하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반응단계(IV)-(V)
구조식(V)의 화합물은 구조식(IV)의 화합물을 NaOH나 KOH와 같은 알칼리금속 수산화물과 알콜, 에테르, DMSO와 같은 적합한 용매존재하에 실온내지 환류온도, 바람직하기로는 60°내지 100℃에서 탈카복실화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반응단계(V)-(VI)
구조식(VI)의 화합물은 알칼리금속 아질산염, 알질아질산염염, 염화니트로실을 유기 또는 무기산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 아질산과 구조식(V)의 화합물을 니트로화 반응시켜 제조한다. 니트로화 반응에 적합한 용매로는 에테르, 알콜, 물, 아세트산과 같은 산, DMF, DMSO 및 염소화 탄화수소등이 있다. 이 반응은 실온에서 수행할 수 있지만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반응단계(VI)-(VII)
구조식(VII)의 화합물은 구조식(VI)의 화합물을 라니니켈 및 수소 또는 아연 및 아세트산으로 환원시켜 제조한다. 이 환원반응으로 구조식(VII)의 주생성물과 더불어 여러가지 가능한 이성체 즉 다음 구조식의 화합물이 부생성물로서 소량씩 수득된다.
Figure kpo00016
상기 환원반응 단계에서는 공격받게 쉬운 그룹을 R4(예 : 7위치의 NO2또는 7위치의 CN)로 대치시킬 수 있다. 이런 그룹은 기지의 방법으로 치환시킬 수 있다.
반응단계(VII)-(I)
구조식(I)의 화합물은 구조식(VII)의 화합물을 다음 구조식의 알카노산 오르토에스테르와 임의로 유기 또는 무기산(예 : P-톨루엔설폰산, 인산)같은 산촉매 존재하에 실온 또는 그 이상의 온도 즉 25° 내지 150℃에서 반응시켜 제조하며 이때 동시에 화합물(I)의 폐환반응이 일어난다.
R1'C(OR)3
(여기서 R은 저급알킬이고, R1'은 수소, 저급알킬, 알콕시저급알킬, 할로저급알킬이다)
상기 오르토 에스테르에는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의 디메틸 아세탈과 같은 오르토아마이드, N,N,N',N',N''-N''-헥사메틸메탄트리아민;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니트릴, CH3-C(=NH)-OC2H5와 같은 에스테르 이미데이트등이 있다.
이 반응에서, 존재하는 아미노나 알킬아미노 그룹은 반응동안 보호된다.
반응단계(VII)-(XI)
구조식(XI)의 화합물은 다음 구조식의 화합물을 구조식(VII)의 화합물과 아실화 반응시켜 제조한다.
R1''COX 또는 (R1''CO)2O
(여기서 X는 할로겐이고, R1''은 수소, 저급알킬, 페닐, 알콕시저급알킬, 치환된 페닐, 피리딜, 아르알킬이다)
이 반응에 필요한 용매로는 염화메틸렌, 에테르, 염화탄화수소 등이 있으며 특히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또는 알칼리금속탄산염과 같이 유기 또는 무기염기와 같은 산수용체와 함께 혼합된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반응은 실온보다 높거나 낮은온도, 바람직하기로는 실온에서 수행할 수 있다. 구조식(XI)의 화합물은 자연상태에서 이성체를 갖고 있으며 다음의 입체화학적 구조를 갖는다.
Figure kpo00017
반응단계(XI)-(I)
구조식(I)의 화합물은 구조식(X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이성체를 가열하여 탈수소화시키고 동시에 폐환시켜 제조한다. 이 반응은 DMF, 에틸렌글리콜, 헥사메틸포스포릭 브리아마이드와 같은 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100°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150내지 25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에서 촉매와 물결합제 존재 또는 부재하에 수행된다.
반응단계(IX)-(X)
구조식(X)의 화합물은 구조식(IX)의 화합물은 다음 구조식의 아실아미노 말로닉 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된 음이온과 축합시켜 제조한다.
Figure kpo00018
(여기서 R은 저급알킬이고, R1'은 수소, 저급알킬, 페닐, 알콕시저급알킬, 치환된 페닐, 피리딜, 아르알킬)
음이온은 아실아미노 말로닉 에스테르를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 알콕사이드, 하이드라이드 또는 아미드와 같은 적합한 강염기로 프로튼을 제거함으로써 생성된다. 구조식(IX)의 화합물과 아실아미노 말로닉 에스테르 음이온과의 반응은 벤젠, 톨루엔, 헥산과 같은 탄화수소, 디옥산, THF, 디에틸에테르, DMF, DMSO등과 같은 에테르 용매존재하에 실온보다 낮은 온도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0℃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반응단계(X)-(IX)
구조식(XI)의 화합물과 이의 이성체는 구조식(X)의 화합물을 에테르, 알콜, DMSO, DMF등과 같은 용매존재하에 실온보다 낮거나 높은온도,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알칼리금속 알콕사이드와 탈카복실화 반응시켜 제조한다. 구조식(X) 및 (XI)의 화합물은 분리할 필요가 없지만 동일반응단계내에서 구조식(I)의 화합물로 전환될 수 있다.
반응단계(VII)-(XII)
구조식(XII)의 화합물은 구조식(VII)의 화합물을 구조식 R1CHO(여기서 R1은 구조식 I에서와 같다)의 알데하이드와 반응시켜 제조한다. 아미노 또는 치환된 아미노그룹, 바람직하게는 RCO-그룹은 보호된 형태로 존재하여야 하며 이보호부위는 다음단계, 즉 구조식(I)의 화합물이 생성된 후에 제조될 수 있다. 이 반응에 필요한 용매는 벤젠, 알콜, 에테르, 염소화 탄화수소, DMF, DMSO등과 같은 탄화수소이다. 이 반응은 분자체와 같은 물결합체 존재하, 또는 부재하에 실온보다 높거나 낮은온도, 바람직하게는 실온내지 용매의 환류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반응단계(XIII)-(I)
구조식(XIII)의 화합물은 이산화망간, 공기, 산소와 같은 산화제로 산화시킴으로서 구조식(I)의 화합물로 전환될 수 있다.
케탈기(예:에틸렌디옥시그룹)가 이미다졸 벤조디아제핀에 존재하는 구조식(I) 화합물에서 케탈기는 약산으로 가수분해시킴으로써 상응하는 케톤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이 케톤은 자연상태에서 라세미체인 2급 또는 3급 알콜로 전환될 수 있다. 위의 두 반응의 조건은 미합중국 제3,846,410호에 기술되어 있다.
구조식(I), (IA) 및 (ID)화합물과 이들의 약학적으로 무독한 산부가염은 근육이완제, 진정제 및 항경련제로 유용하며 산부가염의 수용액에 대한 용해도로 인하여 정맥내 및 근육내 투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이의 산부가염은 그 종류와 필요성에 따라 0.1내지 40㎎을 사용할 수 있으나 1내지 40㎎의 1회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식(I), (IA) 및 (ID)와 이의 산부가염은 장내투여 또는 비경구투여할 수 있다. 이와같이 활성성분을 물, 젤라틴, 전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활석, 식물유등과 섞어서 정제, 엘리서제, 캅셀, 액제 및 유제로 만들어서 투여할 수 있다.
다음 실리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때의 온도는 별다른 언급이 없는한 섭씨이다.
[실시예 1]
200g(0.695몰)의 7-클로로-1,3-디하이드로-5-(2-플로오로페닐)-2H-1,4-벤즈디아제핀-2-온을 2ℓ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250㎖의 벤젠에 녹인 용액을 빙욕에서 냉각시키면서 메틸아민으로 포화시킨다. 190g(1ℓ)의 사염화티타늄을 250㎖ 벤젠에 녹인 용액을 15분에 걸쳐 드롭핑깔대기(dropping funnel)를 통해 가한다음 교반하고 3시간 환류시킨다. 냉각된 반응혼액에 600㎖의 물을 천천히 가한다. 무기물질을 여과하여 분리하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으로 잘 세척한다. 수층을 분리하고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상에서 탈수, 증발시켜 7-클로로-5-(2-플루오로페닐)-2-메틸-아미노-3H-1,4-벤조디아제핀 결정을 얻는다. 융점 204내지 206°로 분석용 시료는 염화메틸렌/에탄올로 재결정시킨다.
융점 : 204내지 206°
A) 8.63g(0.125몰)의 아질산나트륨을, 30.15g(0.1몰)의 7-클로로-5-(2-플루오로페닐)-2-메틸아미노-3H-1,4-벤조디아제핀을 150㎖의 빙초산에 녹인 용액에 3회로 나누어 15분에 걸쳐 가하고 1시간동안 교반한 후 반응혼액을 물로 희석하고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한다. 추출액을 포화중탄산 나트륨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탈수 증발시키고 최종적으로 톨루엔과 공비 증류시켜 29g의 7-클로로-5-(2-플루오로페닐)-2-(N-니트로소메틸아미노)-3H-1,4-벤조디아제핀을 황색오일로서 얻는다.
B) 27.6g(0.4몰)의 아질산나트륨을 7-클로로-5-(2-플루오로페닐)-2-메틸아미노-3H-1,4-벤조디아제핀 90.45g(0.3몰)을 400㎖의 빙초산에 녹인 용액에 30분에 걸쳐 소량씩 가한 다음 실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고 1ℓ의 물로 희석한후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한다. 추출물을 물로 2회 세척하고 10%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1회 세척한다. 용액을 건조, 증발시켜 7-클로로-5-(2-플루오로페닐)-2-(N-니트로소메틸아미노)-3H-1,4-벤조디아제핀을 황색오일상으로 얻는다.
이 물질을 300㎖의 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 용해시키고 이를 150㎖의 디메틸 말로네이트, 40.4g의 칼륨 3급-부톡사이드 및 500㎖의 디메틸포름아마이드의 혼합물에 가하여 10분간 교반한다. 반응혼액을 질소 대기하에 실온에서 철야 교반하고 50㎖의 빙초산을 가하여 산성화시키고 물과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희석한 후 황산나트륨상에서 탈수,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에탄올로 재결정시켜 융점이 170 내지 172°인 무색결정의 7-클로로-1,3-디하이드로-2-(디메톡시말로닐리덴)-5-(2-플루오로페닐)-2H-1,4-벤조디아제핀을 얻는다. 분석치 생성물을 염화메틸렌/에탄올로 재결정시킨다(융점은 변화없음).
20g(0.05몰)의 7-클로로-1,3-디하이드로-2-(디메톡시 말로닐리덴)-5-(2-플루오로페닐)-2H-1,4-벤조디아제핀, 400㎖의 메탄올 및 3.3g(0.059몰)의 수산화칼륨의 혼합물 질소대기하에 5시간동안 환류, 가열한다. 용매를 증발시킨후 잔류물을 물로희석하고 침전되는 결정을 모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융점이 158 내지 160℃인 7-클로로-1,3-디하이드로-5-(2-플루오로페닐)-2-(디메톡시카보닐메틸렌)-2H-1,4-벤조디아제핀을 얻는다. 분석시 염화메틸렌/헥산으로 재결정시킨다.
융점 : 161 내지 162°
8.8g의 아질산나트륨(0.125몰)을 28g(0.08몰)의 7-클로로-1,3-디하이드로-5-(2-플루오로페닐)-2-(메톡시카보닐메틸렌)-2H-1,4-벤조디아제핀을 250㎖의 빙초산에 녹인 용액에 가하여 실온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250㎖의 물로 희석한다. 침전된 결정성 생성물을 여과하고 물, 메탄올 및 에테르로 세척한 후 건조시켜 융점이 238 내지 241° (분해)인 7-클로로-5-(2-플루오로페닐)-알파-하이드록시아미노-3H-1,4-벤조디아제핀-2-아세트산메틸에스테르를 황색결정으로 얻는다. 7-클로로-5-(2-플루오로페닐)-α-하이드록시이미노-3H-1,4-벤조디아제핀-2-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11.25g, 0.03몰)을 750㎖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500㎖의 메탄올의 혼합물내에서 대기압하에 라니닉켈을 사용하여 수소화시킨다. 닉켈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100㎖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11㎖의 트리에틸오르토아세테이트 5㎖의 에탄올성 염화수소(5%)를 가한다. 혼합물을 환류시키며 10분간 가열하고 증발시킨후 잔류물을 염화메틸렌과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에 분배시킨다. 염화메틸렌 용액을 건조증발시키고 잔류물을 300g의 실리카겔상에서 염화메틸렌/에틸아세테이트(3:1)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라피한다. 투명한 획분을 모아 증발시킨 후 에테르로 결정화시켜 메틸-8-클로로-6-(2-플루오로페닐)-1-메틸-4H-이미다조 [1,5-a][1,4]-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융점 : 162 내지 164°)를 얻는다. 분석시 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재결정시킨다.
[실시예 2]
7-클로로-5-(2-플루오로페닐)-α-하이드록시이미노-3H-1, 4-벤조디아제핀-2-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11.25g : 0.03몰)을 750㎖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500㎖의 메탄올로된 혼합물에 가열하며 용해시킨다. 20g의 라니닉켈을 가하여 대기압하에서 4시간동안 수소화시킨다. 촉매를 후에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톨루엔과 공비,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100㎖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10㎖의 트리에틸오르토포르메이트와 5㎖의 에탄올성 염화수소(5%)를 가한후 10분간 환류시키며 가열한다. 그후 증발시켜서 남는 잔류물을 염화메틸렌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에 분배시킨다.
염화메틸렌층을 분리시키고 건조, 증발시킨후 잔류물을 에테르로 결정화시켜 8-클로로-6-(2-플루오로페닐)-4H-이미다조[1,5a][1,4] 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를 얻으며 이것을 염화메틸렌에테르 헥산으로 재결정시킨다. 융점 : 179 내지 181°
[실시예 3]
칼륨 3급-부톡사이드(26g, 0.232몰)를 300㎖의 디메틸포름아마이드와 50㎖(0.44몰)의 디메틸말로네이트와의 혼합용액에 가한다. 질소압하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66g(0.209몰)의 7-클로로-2-(N-니트로소메틸아미노)-5-페닐-3H-1,4-벤조디아제핀-4-옥사이드를 100㎖의 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 녹인 용액을 10분간에 걸쳐서 가한다. 혼액을 증기욕에서 서서히 가열하여 65°에서 10분간 방치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40㎖의 빙초산을 가한다음 가끔 기벽을 긁어주면서 30분간에 걸쳐 1ℓ의 물을 가한다. 침전된 결정을 모아 수세한다음 염화메틸렌에 용해시킨다. 이 용액을 황산나트륨상에서 탈수시키고 농축시켜 소량의 부피를 갖도록 한다. 생성물을 헥산으로 결정화시켜 7-클로로-1,3-디하이드로-2-(디메톡시말로닐리덴)-5-페닐-2H-1,4-벤조디아제핀-4-옥사이드(융점 : 188 내지 190°)를 얻는다. 분석치 생성물을 염화메틸렌/헥산으로 재결정시킨다.
융점 : 194 내지 195°
A) 40.8g(0.1몰)의 7-클로로-1,3-디하이드로-2-(디메톡시말로닐리덴)-5-페닐-2H-1,4-벤조디아제핀 4-옥사이드, 250㎖의 메탄올, 250㎖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1테이블스푼의 라니닉켈의 혼합물을 대기압하에서 5시간 수소화시킨다.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시키고 여액을 증류시킨다. 잔류물을 염화메틸렌/2-프로판올로 잔류물을 결정화시켜 무색결정인 7-클로로-1,3-디하이드로-2-(디메톡시말로닐리덴)-5-페닐-2H-1,4-벤조디아제핀을 얻는다(융점 : 160 내지 163°)분석시 생성물을 2-프로판올로 재결정시킨다.
융점 : 165 내지 166°
융점이 138 내지 140°인 2차 변형물질도 얻어진다. B) 삼염화인(4㎖)를, 4g(0.01몰)의 7-클로로-1,3-디하이드로-2-(2-디메톡시말로닐리덴)-5-페닐-2H-1, 4-벤조디아제핀-4-옥사이드를 100㎖의 염화메틸렌에 녹인 용액에 가한다. 실온에서 철야 방치시킨 후 용액을 10의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한다. 염화메틸렌층을 건조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2-프로판올로 결정화시키고 염화메틸렌/2-프로판올 재결정시켜 7-클로로-1,3-디하이드로-2-(디메톡시말로닐리덴)-5-페닐-2H-1,4-벤조디아제핀을 얻는다.
융점 : 165 내지 166°
115g(0.3몰)의 7-클로로-1,3-디하이드로-2-(디메톡시말로닐리덴)-5-페닐-2H-1,4-벤조디아제핀, 1.5ℓ의 메탄올과 14.4g(0.36몰)의 수산화나트륨의 혼합물을 질소대기하에서 2시간동안 환류 가열시킨다. 냉각된 반응혼액을 얼음으로 냉각시키면서 2.5ℓ의 물로 점차 희석한다. 침전된 결정을 모아 수세하고 60°진공에서 건조시켜 회백색의 7-클로로-1,3-디하이드로-2-(메톡시카보닐메틸렌)-5-페닐-2H-1,4-벤조디아제핀을 얻는다.
융점 : 167 내지 170°
분석시 에테르로 재결정시킨다.
융점 : 171 내지 173°
8g(0.025몰)의 7-클로로-1,3-디하이드로-2-(메톡시카보닐메틸렌)-5-페닐-2H-1,4-벤조디아제핀을 100㎖의 빙초산을 녹인 용액에 아질산나트륨(2.8g, 0.04몰)을 가한다. 혼액을 질소압하에서 10분간 교반하면 수분후에 생성물이 결정화되기 시작한다. 100㎖의 물로 희석한 후 침전물을 모아서 수세하고 건조시킨 후 테트라하이드로푸란/메탄올로 재결정시켜 황색결정의 7-클로로-α-하이드록시이미노-5-페닐-3H-1,4-벤조디아제핀-2-아세트산 에틸에스테르를 얻는다.
(융점 : 235 내지 237°(분해))
가온하면서 7-클로로-α-하이드록시이미노-5-페닐-3H-1,4-벤조디아제핀-2-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3.6g, 0.01몰)을 가온하면서 200㎖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100㎖의 메탄올의 혼액에 용해시킨다. 라니닉켈(1티스푼)을 가하고 대기압하에서 수소가 방출될때까지 수소화시킨다(1시간 10분).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톨루엔으로 공비증류시킨다. 잔류물을 20㎖의 메탄올에 용해시킨다. 여기에 3㎖의 트리에틸 0-아세테이트와 0.3㎖의 에탄올성 염화수소(5%)을 가하고 5분간 환류가열시킨다. 증류후에 남은 잔류물을 염화메틸렌과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에 분배시킨다. 유기층을 분리시키고 건조,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에테르로 결정화시키고 염화메틸렌/에테르/헥산으로 재결정시켜 융점이 254 내지 256°인 메틸-8-클로로-1-메틸-6-페닐-4H-이미다조[1,5-a][1,4] 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를 얻는다.
[실시예 4]
질소압하에서 100㎖의 무수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 1.6g(0.036몰)의 54% 수소화나트륨과 8.3g(0.038몰)의 아세트아미도 디메틸말로네이트를 교반하면서 가한다. 30분후에 10g(0.02몰)의 7-시아노-5-(2-플루오로페닐)-2-비스-(모르폴리노)포스피닐옥시-3H-1,4-벤조디아제핀을 가하고 64시간이 지난 후 4㎖의 아세트산을 함유한 빙수에 쏟아넣는다. 이것을 여과하고 고체 잔류물을 100㎖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후 50㎖의 물로 수세하고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탈수시켜 소량으로 농축시킨다. 이 용액을 플로리실 칼럼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하고 폐기한 2ℓ의 디클로로 메탄으로 용출시킨다. 또 디클로로메탄/에테르(10/1)의 혼액 1ℓ로 용출시킨후 2ℓ의 에테르로 용출시킨다. 에테르 획분을 디클로로메탄과 에테르의 혼합액으로 2회 재결정시켜 백색프리즘상의 (아세틸아미노) [7-시아노-5-(2-플루오로페닐)-3H-1,4-벤조디아제핀-2-일] 말론산 디에틸에스테르를 얻는다.
융점 : 138 내지 140°
컬럼을 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 (10/1)의 혼액 1.5ℓ로 용출시키고 용출액을 농축시킨후 잔류물을 에테르로 결정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과 에테르의 혼액으로 재결정시켜 백색프리즘상의 에틸 8-시아노-6-(2-플루오로페닐)-1-메틸-4H-이미다조 [1,5-a][1,4] 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를 얻는다.
융점 : 272 내지 274°
[실시예 5]
300㎖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200㎖의 메탄올에 3.75g(0.01몰)의 7-클로로-5-(2-플루오로페닐)-α-하이드록시이미노-3H-1,4-벤조디아제핀-2-아세트산메틸에스테르를 녹인 용액을 대기압하에서 1테이블스푼의 라니닉켈 존재하에 상압하에서 1시간 30분동안 수소화시킨다. 촉매를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 분리시키고 여액은 감압하에 증발시킨후 최종적으로 톨루엔으로 공비증류시킨다. 잔류물을 20㎖의 피리딘에 용해시키고 4㎖의 벤조일클로라이드로 처리한다. 실온에서 15분간 방치한후 반응혼액을 염화메틸렌과 1N수산화나트륨 용액에 분배시킨다. 유기층은 건조, 증발시키고 톨루엔으로 공비증류시킨다. 잔류물을 에테르로 결정화시켜 융점 210 내지 213°의 2-[(벤조일아미노)메톡시카보닐메틸렌]-7-클로로-5-(2-플루오로페닐)-1,3-디하이드로-2H-1,4-벤조디아제핀을 얻는다.
분석시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재결정시킨다.
융점 : 217 내지 219° 150 내지 160°에서는 유연성을 지닌다.
10㎖의 헥사메틸포스포릭 트리아마이드에 1.15g(2.5밀리몰)의 2-[(벤조일아미노)-메톡시카보닐메틸렌]-7-클로로-5-(2-플루오로페닐)-1,3-디하이드로-2H-1,4-벤조디아제핀을 녹인 용액을 10분간 환류 가열시킨다. 검게된 혼합물을 물과 에테르/염화메틸렌에 분배시키고 유기층은 수세하여 건조, 증발시킨다. 잔류물은 염화메틸렌에 용해시키고 활성 산화알미늄상에서 에틸아세테이트와 여과한다. 여액을 증발시키고 염화메틸렌에 10%(V/V)에 에틸아세테이트를 녹인 용액을 사용한 20g의 실리카겔상에서 크로마토 그라피시킨다. 합한 순수한 획분을 에테르/헥산으로 결정화시켜 메틸 8-클로로-6-(2-플루오로페닐)-1-페닐-4H-이미다조[1,5-a][1,4] 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를 얻는다.
융점 : 208 내지 209°
[실시예 6]
5.3g(0.01몰)의 7-클로로-5-(2-클로로페닐)-2-[비스(모르폴리노)포스피닐옥시]-3H-1,4-벤조디아제핀을, 10㎖의 디메틸말로네이트, 20㎖의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및 2.2g(0.02몰) 칼륨 3급-부톡사이드 혼합액에 가하고 실온에서 질소대기하에 5분간 교반한다. 반응혼액을 다시 교반하고 증기욕에서 15분간 가열한다. 1.5㎖의 빙초산을 가하고 물로 희석하면 점차 결정이 생성된다. 침전된 결정을 모아서 수세하고 진공증발시켜 7-클로로-5-(2-클로로페닐)-2-디메톡시-말로닐리덴-1,3-디하이드로-2H-1,4-벤조디아제핀을 얻는데 분석시 이를 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시킨다.
융점 : 205 내지 207°
12.6g(0.03몰)의 7-클로로-5-(2-클로로페닐)-2-디메톡시 말로닐리덴-1,3-디하이드로-2H-1,4-벤조디아제핀, 300㎖의 메탄올 및 2.1g(0.0375몰)의 수산화칼륨의 혼합물을 질소대기하에서 4시간 30분간 환류, 가열한다. 200㎖의 메탄올을 증류시키고 잔류물을 물로 희석한다. 분리된 결정을 모아 수세하고 건조시켜 7-클로로-5-(2-클로로페닐)-2,3-디하이드로-2-[(메톡시카보닐)메틸렌]-1H-1,4-벤조디아제핀을 얻는다. 융점 : 154 내지 158°
분석시 염화메틸렌/메탄올로 재결정시킨다. 융점 : 158 내지 159°
아질산나트륨(2.2g, 0.031몰)을 5분에 걸쳐 7.2g(0.02몰)의 7-클로로-5-(2-클로로페닐)-2,3-디하이드로-2-[(메톡시카보닐)-메틸렌]-1H-1,4-벤조디아제핀을 75의 빙초산에 녹인 용액에 교반하면서 조금씩 가한다.
15분간 더 교반한후 100㎖의 물로 희석하고 침전된 결정을 모아 물, 메탄올, 에테르로 세척하여 조 7-클로로-5-(2-클로로 페닐)-α-하이드록시이미노-3H-1,4-벤조디아제핀-2-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를 얻는데 이것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메탄올로 재결정시키면 연황색 결정이 된다. 융점 : 223 내지 225°(분해)
3.9g(0.01몰)의 7-클로로-5-(2-클로로페닐)-α-하이드록시이미노-3H-1,4-벤조디아제핀-2-아세트산메틸 에스테르를 100㎖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50㎖의 메탄올에 용해시킨 용액을 대기압하에서 라니닉켈 2티스푼량의 존재하에 1.5시간 수소화시킨다.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여액을 증발시킨 후 최종적으로 톨루엔과 공비 증류시킨다.
잔유물을 20㎖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3㎖의 트리에틸 오르토아세테이트와 0.2㎖의 에탄올성 염화수소(10%)를 가한후 혼합물을 환류하에 15분간 가열하고 증발건조 시킨다. 잔류물을 염화메틸렌과 포화중탄산나트륨수용액에 분배시키고 유기층을 분리한 후 황산나트륨상에서 탈수,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염화메틸렌/에테르로 결정화시켜 융점이 225내지 227°인 메틸 8-클로로-6-(2-클로로페닐)-1-메틸-4H-이미다조[1,5-a][1,4] 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를 얻는다.
분석시 2-프로판올과 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시킨다. 융점 : 228 내지 230°
[실시예 7]
7-클로로-5-(2-클로로페닐)-α-하이드록시이미노-3H-1,4-벤조디아제핀-2-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7.8g, 0.02몰)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0㎖와 에탄올 100㎖의 혼합물에 가온하면서 용해시킨다. 용액을 대기압하에서 라니닉켈(2티스푼) 존재하에 2시간 동안 수소화시킨다. 촉매를 셀라이트(celite)로 여과하여 분리시키고 여액을 감압하에서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에탄올로 결정화시켜 오렌지색 결정의 융점이 115 내지 117° (분해)인 2-[(아미노)-메톡시카보닐메틸렌]-7-클로로-5-(2-클로로페닐)-1,3-디하이드로-2H-1,4-벤조디아제핀을 얻는다.
이 용매화된 생성물을 에테르 헥산으로 재결정시켜 융점이 145 내지 150° (분해)인 황색 침상결정을 얻는다.
0.25㎖의 아세트알데히드를, 0.5g의 2-[(아미노) 메톡시카보닐메틸렌]-7-클로로-5-(2-클로로페닐)-1,3-디하이드로-2H-1,4-벤조디아제핀을 25㎖의 염화메틸에 녹인 용액에 가한 다음 분자체 5A(Molecular seves5)를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한다.
활성화 2산화망간(1g)을 가하고 30분간 더 교반한다.
고체물질을 셀라이트로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결정화시켜 융점이 228 내지 230°인 메틸 8-클로로-6-(2-클로로페닐)-1-메틸-4H-이미다조[1,5-a][1,4] 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를 얻는다.
[실시예 8]
아르곤 대기하에 4g(0.09몰)의 수소화나트륨의 54% 광유분산액을 315㎖의 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 현탁시킨 현탁액을 21g(0.096몰)의 디에틸아세트아미도 말로네이트를 수회에 나누어 가하여 처리한다.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한 다음, 31.4g(0.06몰)의 7-클로로-5-(2-클로로페닐)-2-[비스(모르폴리노)포스피닐옥시]-3H-1,4-벤조디아제핀을 한번에 가한다. 실온에서 7시간을 더 교반한 다음 생성된 검은색 혼합물을 얼음 및 아세트산에 교반하면서 붓고 물(약 2ℓ)로 희석하여 크림색 고체를 얻는다. 이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 다음 깔대기상에서 풍건시켜 아세틸아미노 7-클로로-5-(2-클로로페닐)-3H-1,4-벤조디아제핀-2-일 말론산 디에틸 에스테르를 얻는다. 건조된 생성물을 스팀욕상에서 가온하면서 소량의 2-프로판올과 함께 교반하여 용액으로 한후 실온으로 냉각시키면 회백색 고체가 된다. 에탄올 8배량으로 재결정시켜서 융점이 153 내지 155°의 회백색 미세침상 결정을 얻는다.
0.8g(0.04atm)의 나트륨 금속을 50㎖의 무수에탄올에 녹여 제조한 나트륨 에틸레이트 용액을 건조튜브로 보호한 다음, 교반하면서 한번에 10.1g(0.02몰)의 아세틸아미노 [7-클로로-5-(2-클로로페닐)-3H-1,4-벤조디아제핀-2-일] 말론산 디에틸에스테르를 가하고 건조 대기중에서 실온에서 5시간 계속 교반한다. 생성된 혼액을 혼합물을 아세트산으로 산성화시킨 후 진공농축시킨다. 잔류물을 염화메틸렌과 묽은 암모니아수에 분배하고 층을 분리한 다음,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탈수시키고,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황갈색 무정형 고체를 얻는다. 이 고체를 75㎖의 무수에테르에 용해시키고, 4g의 말레산을 200㎖의 에테르에 녹인 따뜻한 용액에 가한다.
소량의 갈색 고무로부터 따라낸 후 얻어진 용액을 증기욕에서 약 100㎖로 농축시킨다. 실온에서 때때로 기벽을 긁어주며 냉각시키면, 약 30분후에 결정이 석출된다. 결정화가 끝난후, 오렌지색 결정을 여과하고 에테르로 세척한후 깔대기상에서 풍건시켜 2-[(아세틸아미노) 에톡시카보닐메틸렌]-7-클로로-5-(2-클로로페닐)-1,3-디하이드로-2H-1,4-벤조디아제핀 말레이트를 얻는다. 소량의 시료를 에틸아세테이트(5㎖/g)로 재결정시켜 융점이 139 내지 142° (분해)인 황색 미세침상 결정을 얻는다.
3.2g(0.0073몰)의 2-[(아세틸아미노) 에톡시카보닐메틸렌]-7-클로로-5-(2-클로로페닐)-1,3-디하이드로-2H-1,4-벤조디아제핀을 15㎖의 헥사메틸포스포르아마이드에 용해시킨 용액을 질소대기하에서 교반하고 10분간 200 내지 210°로 가열한다.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용액을 냉수에 부은 후 침전이 완결될 때까지 물을 더 가하여 희석시킨다.
황갈색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후 깔대기상에서 풍건시킨다. 에틸아세테이트(2㎖/g)를 가하고 고체를 교반하면 고체가 용해되며 즉시 재결정된다. 황갈색 고체를 여과하고 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1:1)로 세척한 후 풍건시켜 에틸 8-클로로-6-(2-클로로페닐)-1-메틸-4H-이미다조[1,5-a][1,4] 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를 얻는다. 시료를 염화메틸렌/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시키고 끓여서 염화메틸렌을 제거하면 융점이 214내지 215°인 회백색 침상결정이 얻어진다.
[실시예 9]
29.9g(0.1몰)의 1,3-디하이드로-5-(2-플루오로페닐)-7-니트로-2H-1,4-벤조디아제핀-2-온을 500㎖의 무수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녹여 교반한 용액을, 아르곤 대기하에 수소화나트륨의 54% 무기유 분산액 5.5g(0.125몰)으로 조금씩 처리한후 1시간 더 교반한다. 38g(0.15몰)의 디모르폴리노포스핀 클로라이드를 상기 흑색용액에 아르곤 대기하에 교반하면서 한번에 가하고 8시간 동안 교반한다. 생성된 흑색혼합물을 여과제로 여과한후 50℃에서 진공 농축시켜 검은 고무상물질을 얻는다. 검은 고무상물질을 실온에서 75㎖의 에틸아세테이트에 넣고 교반한 후 결정화시켜 페이스트를 얻는다. 얼음욕에서 30분간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여과하여 연황갈색 고체를 얻고, 이것을 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2:1) 35㎖씩으로 3회 세척한 후 최종적으로 에테르로 세척한 다음 여두에서 풍건시켜 거의 순수한 5-(2-플루오로페닐)-2-[비스(모르폴리노) 포스피닐옥시]-7-니트로-3H-1,4-벤조디아제핀을 얻는다. 에틸아세테이트 15배량으로 재결정시켜 융점이 169 내지 172°인 회백색 침상결정을 얻는다.
0.85g(0.018몰)의 수소화나트륨의 54% 무기유분산액을 55㎖의 무수 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 녹여 교반한 현탁액을 아르곤 대기하에서 3.5g(0.016몰)의 디에틸아세트아미도 말로네이트로 조금씩 처리하여 반응시킨다. 30분간 교반한 후 5.2g(0.01몰)의 5-(2-플루오로페닐)-2-[비스(모르폴리노)-포스피닐옥시]-7-니트로-3H-1,4-벤조디아제핀을 한번에 가하고, 아르곤 대기하에서 7시간 더 교반한다. 검은색 혼합물을 얼음 및 아세트산의 혼합물에 넣고 물로 희석한 후 황갈색 고체를 얻는다. 이 고체를 물로 세척하고 여두상에서 풍건시킨다. TLC(에틸아세테이트)는 Rf. 0.8, 0.5 및 0.25인 3개의 황색 스포트를 나타낸다. 에틸아세테이트를 용출제로 사용한 실리카겔상에서 크로마토 그라피하여 Rf치가 0.25인 황갈색고체의 에틸 6-(2-플루오로페닐)-1-메틸-8-니트로-4H-이미다조 [1,5-a][1,4] 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를 얻는다. 이것을 더운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빙욕에서 냉각시킨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5㎖/g)시켜 융점이 231 내지 233°인 황색 프리즘상 결정을 얻는다.
[실시예 10]
무기유에 분산시킨 54%의 수소화나트륨(11g, 0.25몰)를, 63.2g(0.2몰)의 7-브로모-1,3-디하이드로-5-(2-피리딜)-2H-1,4-벤조디아제핀-2-온을 1ℓ의 테트라 하이드로푸란에 녹여 교반한 용액에 아르곤 대기하에 조금씩 증기욕중에서 1시간 환류시킨후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76.2g(0.3몰)의 디모르폴리노포스핀 산클로라이드를 조금씩 가하여 처리한 다음 실온에서 5시간 계속 교반한다.
검은색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한다. 여액을 진공농축시키고 검은색 잔류물을 에테르와 끓여 황갈색 결정의 7-브로모-2-비스(모르폴리노) 포스피닐옥시-5-(2-피리딜)-3H-1,4-벤조디아제핀을 얻고 이를 염화메틸렌에서 재결정시키고 여과한 후 10㎖의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빙욕에서 냉각시켜 융점이 180 내지 182°(분해)인 밝은 황갈색 판상결정을 얻는다.
디에틸아세트아미도 말로네이트(43g, 0.2몰)를, 수소화나트륨을 무기유에 분산시킨 분산액(50%) 10g(0.2몰)을 500㎖의 무수 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 현탁시킨 현탁액에 가한다. 이 혼합물을 아르곤 대기하에서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고, 증기욕중에서 20분간 가열한다. 이 반응혼액에 7-브로모-2-[비스(모르폴리노)포스피닐옥시]-5-(2-피리딜)-3H-1,4-벤조디아제핀(53.4g, 0.1몰)을 가하여 실온으로 한다.
실온에서 1시간 더 교반한후 다시 증기욕상에서 2시간 가열한다. 냉각시킨 용액을 물과 염화메틸렌/에테르에 분배하고 유기층을 분리시켜 물로 세척한후 증발, 건조시킨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테르에서 결정핵을 가하여 결정화시켜 융점이 240 내지 243°인 회백색 결정의 에틸-8-브로모-1-메틸-6-(2-피리딜)-4H-이미다조[1,5-a][1,4] 벤조디아제핀-5-카복실레이트를 얻는다. 결정핵은 에틸아세테이트중의 5%(V/V)메탄올을 사용한 실리카겔 30배량으로 크로마토그라피하여 정제하여 얻는다.
융점 : 243 내지 244°
[실시예 11]
수소화나트륨의 54% 무기유분산액 7.8g(0.114몰)을 480㎖의 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 녹여 교반한 현탁액을 아르곤 대기하에서 39g(0.18몰)의 디에틸아세트아미도 말로네이트로 조금씩 가하여 처리한다. 약 30분 후에 48g(0.096몰)의 7-클로로-5-(2-플루오로페닐)-2-[비스(모르폴리노)-포스피닐옥시]-3H-1,4-벤조디아제핀을 한번에 가한다. 실온에서 5시간 아르곤대기하에 교반한후 검은색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얼음과 빙초산 혼액에 넣어서 밝은 연황갈색 고체를 얻고, 이것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후 여두상에서 풍건시킨다.
습한 고체를 염화메틸렌에 용해시키고 물층을 분리시킨 후 용액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탈수시키고 여과한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황갈색 기포를 얻는다. 이 기포를 이소프로판올(4㎖/g)에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때때로 기벽을 긁어주며 실온에서 1시간 방치시켜 회백색 결정을 얻는다. 같은 량의 석유에테르(30 내지 60°)를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더 방치한후 여과한다. 석유에테르로 세척하고 여두상에서 풍건시켜 융점이 150 내지 180°인 아세틸아미노[7-클로로-5-(2-플루오로페닐)-3H-1,4-벤조디아제핀-2-일] 말론산 디에틸에스테르를 얻는다. 에탄올(10㎖/g)로 재결정시키면 융점이 185 내지 195°로 상승한다.
나트륨에톡사이드 용액(무수에탄올 25㎖에 나트륨금속 0.2g, 0.01g.atm을 용해시켜 제조함)을 2.4g(0.0005몰)의 아세틸 아미노-[7-클로로-5-(2-플루오로페닐)-3H-1,4-벤조디아제핀-2-일] 말론산 디에틸에스테르와 반응시킨 다음 건조 튜브로 보호하고 실온에서 5시간 더 교반한다. 침전된 황색고체를 여과하여 수집하고 에탄올 및 에테르로 차례로 세척한 후 풍건시켜 제품을 얻는다. 고체를 물과 염화메틸렌에 분배하고 아세트산으로 산성화시킨후 다시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한다. 묽은 암모니아수로 세척한 후 염화메틸렌 추출액을 황산나트륨상에서 탈수시키고 진공농축시켜 황갈색 기포를 얻는다.
이 염기 1g(0.0024몰)을 25㎖의 에테르에 녹인 용액을, 0.56g(0.0048몰)의 말레인산을 25㎖의 에테르에 녹인 용액과 혼합하고 실온에서 방치한다. 기벽을 때때로 긁어 수분 후에 오렌지색 결정을 얻는다. 여과하여 결정을 수집하고 에테르로 세척한후 풍건시켜 융점이 150°인 2-[(아세틸아미노)에톡시카보닐메틸렌] 7-클로로-1,3-디하이드로-5-(2-플루오로페닐)-2H-1,4-벤조디아제핀 말레에이트를 얻는다.
1/2량으로 농축시키고 결정핵을 넣은 후 30㎖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시켜 융점이 149 내지 151°인 오렌지색 프리즘상 결정을 얻는다.
말레에이트를 암모니아로 염기성화시키고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한 후 진공농축시켜 얻은 조 2-[(아세틸아미노에톡시카보닐메틸]-7-클로로-1, 3-디하이드로-5-(2-플루오로페닐)-2H-1, 4-벤조디아제핀(6.3g, 0.015몰)을 35의 헥사메틸 포스포르아마이드(HMPA)에 용해시키고 교반하면서 200 내지 210°로 5분간 가열한다.
생성된 검은색 용액을 냉각시키고 얼음물에 부어 황갈색고체를 얻는다. 이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 후 여두상에서 일부풍건시킨다. 습한 고체를 염화메틸렌에 용해시킨후 황산 나트륨상에서 탈수하고 감압하에 증발시켜 황갈색 기포의 에틸 8-클로로-6-(2-플루오로페닐)-1-메틸-4H-이미다조 [1,5-a][1,4] 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를 얻는다. 이 기포 1g을 5㎖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5㎖의 석유에테르 (30 내지 60°)로 재결정시켜 융점이 176 내지 179°인 연황갈색 프리즘상 결정을 얻으며, 이것은 천천히 다시 고화하여 195 내지 198°에서 다시 용해한다.
[실시예 12]
디에틸아세트아미도 말로네이트 (43g, 0.2몰)을 10g(0.2몰)의 수소화나트륨(무기유에서 50%)을 500㎖의 무수 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 녹여 현탁액에 가한다. 혼합물을 아르곤 대기하에서 30분간 50°로 가열하고 53g(0.1몰)의 5-(2-클로로페닐)-2-[비스(모르폴리노)-포스피닐옥시]-7-니트로-3H-1,4-벤조디아제핀을 가한후, 혼합물을 증기욕에서 1시간 가열한다. 냉각시킨 갈색혼합물을 물과 염화메틸렌/에테르에 분배하고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후 탈수 및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한 실리카겔 1㎏ 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한다. 깨끗한 획분을 합하고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염화메틸렌/에테르로 결정화시켜 융점이 233 내지 234°인 연황색 결정의 에틸 6-(2-클로로페닐)-1-메틸-8-니트로-4H-이미다조 [1,5-a][1,4] 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를 얻는다. 분석시 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시킨다. 융점 : 234 내지 235°
[실시예 13]
6g(0.125몰)의 수소화나트륨 분산액(무기유에서 50%)을, 28.1g(0.1몰)의 1,3-디하이드로-7-니트로-5-페닐-2H-1,4-벤조디아제핀-2-온을 300㎖의 무수테르트라하이드로 푸란에 녹인 용액에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 30.2g(0.12몰)의 디모르폴리노포스피닌 클로라이드를 가하고 54시간 교반한다. 생성물을 에테르와 물로 결정화시키고 침전을 모아 염화메틸렌에 용해시킨다. 용액을 건조,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결정화시켜 융점이 208 내지 209°인 7-니트로-2-[비스(모르폴리노)포스피닐옥시]-5-페닐-3H-1,4-벤조디아제핀을 얻는다.
이 물질 일부를, 디에틸아세트아미노 말로네이트 8.6g(0.04몰), 수소화나트륨 현탁액 (무기유에 50%) 2g(0.04몰) 및 디메틸포름아마이드 75㎖의 혼합물에 가하고 40°에서 30분간 가열한다. 반응혼액을 증기옥에서 30분간 가열한후 물과 에테르에 분배한다. 유기상을 물로 세척한후 탈수,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를 용출제로한 실리카겔 250g 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한다. 순수한 획분을 합하고 증발시킨 다음 잔류물을 염화메틸렌/에테르로 결정화시켜 융점이 240 내지 241°인 회백색 결정의 에틸 1-메틸-8-니트로-6-페닐-4H-이미다조 [1,5-a][1,4] 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를 얻는다. 분석시 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시킨다.
[실시예 14]
페닐 아세트알데히드 (2.4g, 0.02몰)을 3.8g(0.01몰)의 2-[(아미노)메톡시카보닐메틸렌]-7-클로로-5-(2-클로로페닐)-1,3-디하이드로-2H-1,4-벤조디아제핀을 염화메틸렌에 녹인 용액에 가한다음 분자체 5A10g을 가하고 실온에서 15분 교반한다. 활성화 2산화망간 10g을 가하고 실온에서 15분간 더 처리한다. 무기물질을 셀라이트로 여과하여 분리한다. 여액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에테르/헥산으로 결정화시켜 융점이 155 내지 158°인 무색결정의 메틸 1-벤질-8-클로로-6-(2-클로로페닐)-4H-이미다조 [1,5-a][1,4] 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를 얻는다. 분석시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재결정시킨다. 융점 : 160 내지 162°
[실시예 15]
50g (0.161몰)의 7-클로로-5-(2-클로로페닐)-1,3-디하이드로-2H-티에노 [2,3-e][1,4] 디아제핀-2-온을 900㎖의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300㎖의 무수벤젠에 녹인 용액을 빙욕에서 냉각시키고, 포화시까지 메틸아민을 통해준후 40g (0.209몰)의 4염화티타늄을 1000㎖의 벤젠에 녹인 용액을 교반하면서 적가한다. 실온에서 4시간후에, 얼음 수 그람을 가한후 반응혼합물을 여과한다. 침전물을 더운 테트라하이드로푸란으로 수회 세척한후 잔류물을 250㎖의 디클로로메탄과 200㎖의 물에 분배하고 여과한다.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분리, 건조, 증발시킨다. 이 잔류물과 침전물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에탄의 혼액으로 재결정시켜 7-클로로-5-(2-클로로페닐(-2-메틸아미노-3H-티에노 [2,3-e][1,4] 디아제핀을 얻고 분석시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헥산의 혼액으로 재결정시켜 담황색 프리즘상 결정을 얻는다.
융점 : 259 내지 262°
40g (0.123몰)의 7-클로로-5-(2-클로로페닐)-2-메틸아미노-3H-티에노 [2,3-e][1,4] 디아제핀, 700㎖의 디클로로메탄과 350㎖의 피리딘의 혼합액을 빙욕중에서 냉각시켜 교반하면서 20분간 니트로실크로라이드 기체를 통과시킨다. 한시간 후 5분간 더 기포를 통과시키고 600㎖의 물을 서서히 가한다. 디클로로메탄층을 분리하여 200㎖의 물로 세척한후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탈수시키고 증발, 건조시킨다. 생성된, 오일을 디클로로메탄에 녹이고 프로리실 400g으로 여과한후 이것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용출시키고 다시 에테르로 용출시킨다. 디클로로메탄 획분을 에테르와 석유에테르의 혼액으로 결정화시켜 7-클로로-5-(2-클로로페닐)-2-(N-니트로소메틸아미노)-3H-티에노 [2,3-e][1,4] 디아제핀을 얻으며 에테르 획분으로부터 더 생성물을 더 얻을 수 있다. 분석시에테르와 석유에테르의 혼액으로 재결정시켜 황색프리즘상 결정을 얻는다.
융점 : 104 내지 107°
3.4g (0.03몰)의 3급-부톡사이드 칼륨 7㎖의 디메틸말로네이트와 20㎖의 디메틸포름아마이드의 혼액을 질소가스 존재하에 5분간 교반한다. 이어서 3.55g(0.01몰)의 7-클로로-5-(2-클로로페닐)-2-(N-니트로소-메틸아미노)-3H-티에노 [2,3-e][1,4] 디아제핀을 가하고 교반한후 5분간 증기욕 상에서 가열하고 3㎖의 아세트산으로 산성화시킨후 물을 서서히 가해 결정화시킨다. 침전물을 모아 물과 메탄올로 세척하고 염화메틸렌에 용해시킨다. 용액을 건조,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에탄올로 결정화시켜 분홍색 결정의 7-클로로-5-(2-클로로페닐)-1,3-디하이드로-2-디메톡시말로닐리덴-2H-티에노 [2,3-e][1,4] 디아제핀을 얻으며 분석시 에탄올로 재결정시킨다.
융점 : 158 내지 160°
2.15g(5밀리몰)의 7-클로로-5-(2-클로로페닐)-1,3-디하이드로-2-디메톡시말로닐리덴-2H-티에노 [2,3-e][1,4] 디아제핀, 50㎖의 메탄올과 0.7g(1.25밀리몰)의 수산화 칼륨의 혼액을 질소가스 존재하에서 3시간동안 가열, 환류시킨다. 용매를 일부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과 포화 중탄산나트륨에 분해시킨다. 유기상을 건조, 증발시켜 조 7-클로로-5-(2-클로로페닐)-2,3-디하이드로-2-(메톡시카보닐메틸렌)-2H-티에노 [2,3-e][1,4] 디아제핀을 얻는다. 얻어진 생성물을 20㎖의 빙초산에 녹이고, 0.5g의 아질산나트륨을 가한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하고 물로 희석한다음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한다. 추출물을 물과 중탄산나트륨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염화메틸렌/에테르로 결정화시키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메탄올로 재결정시켜 황색결정의 7-클로로-5-(2-클로로페닐)-α-하이드록시이미노-3H-티에노 [2,3-e][1,4] 디아제핀-2-아세트산메틸에스테르를 얻는다.
융점 : 242 내지 245°(분해)
0.4g (1밀리몰)의 7-클로로-5-(2-클로로페닐)-α-하이드록시이미노-3H-티에노 [3,2-e][1,4] 디아제핀-2-아세트산메틸 에스테르를 30㎖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20㎖에탄올에 가온하며 용해시킨후 라니니켈(1/2티스푼)을 가하고 혼액을 상압에서 45분간 수소화시킨다. 촉매를 여과제거하고 여액은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10㎖의 메탄올에 녹이고 0.4㎖의 트리에틸오르토아세테이트와 3방울의 에탄올성 염산으로 처리한다음 10분간 가열 환류시키고 용매를 증발시킨후 잔류물을 염화메틸렌과 중탄산나트륨용액에 분배 하고 유기층을 건조,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10g의 실리카겔상에서 염화메틸렌/에틸아세테이트 3:5(V/V)로 크로마토 그라피하고 용출액을 제거한후 얻어진 잔류물을 결정화시켜 메틸 8-클로로-6-(2-클로로페닐)-1-메틸-4H-이미다조 [1,5-a] 티에노 [3,2-f][1,4] 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를 얻는다. 융점 : 211 내지 212°
[실시예 16]
6.8g (0.0255몰)의 6,8-디하이드로-3-에틸-1-메틸-4-페닐피라졸로 [3,4-e][1,4] 디아제핀-7 (1H)-온을 125㎖의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50㎖의 무수벤젠에 녹여 빙욕에서 냉각시키고 용액이 포화될때까지 메틸아민 기체를 통과시킨다. 6.3g (0.0331몰)의 사염화 티타늄을 20㎖의 벤젠에 녹인 용액을 교반하면서 적가하고 18시간 실온방치후 혼액을 30분간 환류시킨다. 용액을 냉각시키고 4g의 얼음으로 처리한 후 반응혼액을 여과하고 침전물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디클로로 메탄으로 세척한다. 합한 여액은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메탄올과 에테르혼액으로 결정화시킨다음 디클로로메탄과 에테르의 혼액으로 재결정시켜 회백색 프리즘상의 3-에틸-1,6-디하이드로-1-메틸-7-메틸아미노-4-페닐피라졸로 [3,4-e][1,4] 디아제핀을 얻는다.
융점 : 218 내지 221°
5.6g(0.0199몰)의 3-에틸-1,6-디하이드로-1-메틸-7-메틸아미노-4-페닐피라졸로 [3,4-e][1,4] 디아제핀을 100㎖의 디클로로 메탄과 50㎖의 피리딘에 녹여 빙욕에서 교반하고 니트로실클로라이드 기체를 10분간 주입한다. 실온에서 2시간 방치후 다시 5분간 더 니트로실 클로라이드 기체를 주입한다. 혼합물을 200㎖의 빙수를 부어서 30분간 방치한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100㎖의 물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탈수시킨후 프로리실 100g으로 여과한다. 프로리실을 에테르로 완전히 세척하고 여액을 합하여 증발 건조한다. 중간체인 N-니트로소 유도체는 정제하지 않고 다음단계에서 이용한다.
14㎖의 디메틸 말르네이트와 35㎖의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의 혼액을 6.5g(0.0580몰)의 칼륨 3급-부톡사이드으로 처리하여 분간교반 한, 후위에서 제조된 N-니트로서 화합물을 10㎖의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녹인 용액을 가한다. 생성된 혼액을 증기옥에서 5분간 가열하고 냉각시킨후 6㎖의 빙초산을 가한다. 반응혼합물을 300㎖의 냉수에 붓고 15분후 용액을 경사시켜 흘려보내고 남은 오일을 75㎖의 디클로로 메탄에 용해시킨 후 50㎖의 희암모니아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탈수시킨후 플로리실(Florisil)로 크로마토그라피한다. 컬럼을 처음엔 디클로로메탄으로 용출시키고 다음엔 에테르로 최종적으로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킨다. 에테르와 에틸아세테이트 획분을 합하여 증발시킨다. 잔사를 메탄올로 결정화시키고 메탄올로 재결정시켜 회백색 봉상의 (3-에틸-6,8-디하이드로-1-메틸4-페닐피라졸로 [3,4-e][1,4] 디아제핀-7(1H)-일리멘)-말론산 디메틸 에스테르를 얻는다.
융점 : 145 내지 148°
1.7g (0.00445몰) (3-에틸-6,8-디하이드로-1-메틸-4-페닐피라졸로 [3,4-e][1,4] 디아제핀-7(1H)-일리덴]말론산 디메틸 에스테르를 40㎖의 메탄올에 녹인 용액을 0.56g(0.01몰)의 수산화칼륨으로 처리하고 2시간반 환류시킨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50㎖의 디클로로 메탄과 30㎖의 물에 분배시킨다. 수층을 처음엔 염산으로 산성화시키고 다음에 수산화암모늄으로 알칼리화시킨 후 75㎖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합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탈수시킨 후 플로리실로 여과한다. 플로리실을 에테르로 용출시키고 다음에 에틸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킨 후 합하고 증발시켜 조모노에스테르를 오일로서 얻는다. 이 생성물은 경제하지 않고 10㎖의 빙초산에 녹여 교반하면서 0.35g(0.005몰)의 아질산나트륨으로 처리한다. 45분후 반응혼액을 100㎖의 물에 붓고 75㎖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다. 유나층을 50㎖의 회중탄산나트륨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환산나트륨상에서 탈수시킨후 증발건조시킨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와 에테르의 혼액으로 결정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과 에테르의 혼액으로 재결정시켜 회백색 봉상의 3-에틸-1,6-디하이드로-α-하이드록시-이미노-1-메틸-4-페틸페닐피라졸로 [3,4-e][1,4] 디아제핀-7-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를 얻는다.
융점 : 225 내지 227°
0.35g(0.000986몰)의 3-에틸-1,6-디하이드로-α-하이드록시이미노-1-메틸-4-페닐피라졸로[3,4-e][1,4] 디아제핀-7-아세트산메틸에스테르를 20㎖의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25㎖의 메탄올에 녹여 2㎖(0.0109몰)의 트리에틸오르토아세테이트와 라니닉켈 1스파툴라로 처리한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과 대기압에서 2-시간 반동안 수소화시키고 촉매를 여과 제거한후 제거된 라니닉켈은 메탄올로 세척한다. 여액을 합하여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50㎖의 디클로로 메탄에 용해시킨후 40㎖의 회수 산화암모늄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탈수시킨후 증발, 건조시킨다. 잔류물을, 2㎖(0.109몰)의 트리에틸오르로 아세테이트와 0.2㎖(0.00114몰)의 5.7N-에탄올성 염화수소을 함유한 50㎖의 메탄올 용액에 녹여 20분간 환류시킨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 제거시키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에 녹이고 희수산화암모늄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탈수시키고 증발한다.
오일로 얻어진 조생성물을 3층의 실리카겔 후층판상에서 에틸아세테이트중의 5% 메탄올 혼액으로 전개시킨다. Rf가 0.5인 생성물을 긁어내어 메탄올과 함께 교반한 후 여과한다. 용액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에테르로 결정화시켜 백색프리즘상의 3-에틸-1,6-디하이드로-1,9-디메틸-4-페닐이미다조[1,5-a]-피라졸로[4,3-f][1,4] 디아제핀-7-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는다.
융점 : 181 내지 184°
[실시예 17]
375㎎ 2-[(아미노)메톡시카보닐메틸렌]-7-클로로-5-(2-클로로페닐)-1,3-디하이드로-2H-1,4-벤조디아제핀, 20㎖ 톨루엔과 0.5㎖의 벤즈알데하이드의 혼액을 분자체 5A 상이서 10분간 가열환류시킨다. 1g의 활성 이산화망간을 가하고 또 10분간 환류를 계속한다. 혼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시킨다. 결정성 잔류물을 에테르로 처리한 후 모아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재결정시켜 회백색 결정의 메틸 8-클로로-6-(2-클로로페닐-1-페닐-4H-이미다조[1,5-a][1,4] 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를 얻는다.
융점 : 272 내지 275°
[실시예 18]
방법 A : 7-에틸-1,9-디메틸-6-페닐-4H,9H-이미다조[1,5-a] 피라졸로[4,3-f][1,4] 디아제핀-3-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0.35g(0.000986몰)의 3-에틸-1,6-디하이드로-α-하이드록시이미노-1-메틸-4-페닐피라졸로[3,4-e][1,4] 디아제핀-7-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를 20㎖의 무수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25㎖의 메탄올에 녹인 용액을 2㎖(0.0109몰)의 트리에틸오로토 아세테이트와 라니닉켈 1스파툴라로 처리하고 실온, 대기압에서 2시간반동안 수소화시킨다.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제거한 니켈을 메탄올로 세척한다. 여액을 함하여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50㎖의 디클로로메탄에 녹인다.
용액을 40㎖의 회수산화암모늄으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탈수시킨후 증발, 건조시킨다. 잔류물을, 2㎖(0.109몰)의 트리에틸 오르토아세테이트와 0.2㎖(0.00114몰)의 5.7N 에탄올성 염화수소를 함유한 50㎖의 메탄올 용액내에서 20분간 환류시킨다. 용매는 감압하에 증발, 제거시키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후 희수산화 암모늄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탈수, 증발시킨다. 오일로 얻은 조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중의 5% 메탄올 혼액을 사용하여 3층 실리카겔 후층판상에서 전개시킨다.
Rf치 0.5인 생성물을 긁어 모아 메탄올과 함께 교반한 후 여과한다. 용액을 증발시켜 잔류물을 에테르로 결정화시켜 백색 프리즘상의 순수한 생성물을 얻는다.
융점 : 186 내지 198°
방법 B : 7-에틸-1,9-디메틸-6-페닐-4H,9H-이미다조[1,5-a] 피라졸로[4,3-f][1,4] 디아제핀-3-카복실산 메틸에스테르
0.2g(0.000567몰)의 3-에틸-1,6-디하이드로-α-하이드록시이미노-1-메틸-4-페닐 피라졸로[3,4-e][1,4] 디아제핀-7-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를 10㎖의 디클로로메탄과 0.75㎖의 아세트산에 녹여 교반한 용액을 0.4g(0.0061몰)의 아연분말로 처리하고 5분간 교반을 계속한다. 혼함액을 여과하고 아연을 디클로로 메탄과 테트라하이드로푸란으로 세척한다. 여액을 합하여 0.3㎖(0.00164몰)의 트리에틸오르토아세테이트로 처리한다. 혼액을 감압하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0.3㎖ 트리에틸오르토아세테이트를 함유한 15㎖ 에틸아세테이트 중에서 1분간 가열, 환류시킨다. 용액을 증발시키고 메탄올(10%)을 함유한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을 사용하여 2개의 후층 실리카겔판상에서 전개시킨다. Rf치가 0.2 내지 0.4인 부분을 긁어 모아 메탄올로 세척한다. 메탄올용액을 여과, 증발시킨 다음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결정화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와 에테르의 혼액으로 재결정시켜 액색봉상의 최종생성물을 얻는다.
융점 : 186 내지 189°
[실시예 19]
메틸 8-클로로-6-(2-클로로페닐)-1-(2-피리딜)-4H-이미다조[1,5-a][1,4] 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
8.5g(0.02몰)의 2-[(아미노) 메톡시카보닐메틸렌]-7-클로로-5-(2-클로로페닐)-1,3-디하이드로-2H-1,4-벤조디아제핀 에탄올레이트, 200㎖의 톨루엔, 4㎖의 피리딘-2-카복스알데하이드와 15g의 4A 분자체의 혼함물을 10분간 가열하며 환류한다. 20g의 활성 이산화망간을 가하고 10분간 계속 가열하며 교반한다. 혼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에테르로 결정화시켜 융점이 282 내지 285°인 회백색결정을 생성한다. 분석시 시료는 염화메틸렌/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시킨다.
융점 : 283 내지 285°
[실시예 20]
메틸 8-클로로-6-(2-클로로페닐)-1-프로필-4H-이미다조[1,5-a][1,4] 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
4.5g(0.0107몰)의 2-[(아미노) 메톡시카보닐 메틸렌]-7-클로로-5-(2-클로로페닐)-1,3-디하이드로-2H-1,4-벤조디아제핀에탄올레이트, 100㎖의 염화메틸렌, 2㎖의 부틸알데하이드와 5g 분자체 5A의 혼합물을 15분간 실온에서 교반한다. 10g의 활성 이산화망간을 가하고 15분간 더 교반을 계속한다. 혼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여액은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에테르로 결정화시켜 융점이 196 내지 198°인 최종 생성물을 얻는다.
분석시 시료는 에틸아세테이트/메트라하이드로푸란/헥산으로 재결정시킨다.
융점 : 197 내지 198°
[실시예 21]
메틸 8-클로로-6-(2-클로로페닐)-1-이소프로필-4H-이미다조[1,5-a][1,4] 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
실시예 20과 유사한 방법으로 하되 부틸알데하이드 대신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사용하여 최종생성물을 얻으며 에테르로 결정화시킨다. 분석시 에틸아세테이트/테트라하이드로푸란/헥산으로 재결정시킨다.
융점 : 234 내지 235°
[실시예 22]
메틸 8-클로로-클로로-메틸-6-(2-클로로페닐)-4H-이미다조[1,5-a][1,4] 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
50㎖의 2N-염산과 50㎖의 클로로아세트 알데하이드 디메틸아세탈의 혼액을 30분간 가열환류시켜 만든 5㎖의 클로로아세트알데하이드 용액을, 4.5g(0.0107몰)의 2-[(아미노) 메톡시카보닐-메틸렌]-7-클로로-5-(2-클로로페닐-1,3-디하이드로-2H-1,4-벤조디아제핀 에탄올레이트를 200㎖의 염화메틸렌에 녹인 용액에 가한다. 15분간 교반한후 반응혼함물을 염메틸렌과 포화중탄산나트륨 수용액에 분배시키고 유기층은 건조시킨다음 12g의 활성 이산화망간으로 처리한다. 실온에서 15분간 교반한후 이산화망간을 셀라이트로 여과하여 분리시키고 여액을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염화메틸렌/에테르로 결정화시켜 최종 생성물을 얻는다. 분석용 시료는 염화메틸렌/에틸아세테이트 7:3(V/V)를 사용하여 30배량의 실리카겔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하여 정제한다. 순수한 생성물은 에테르로 결정화시킨다.
융점 : 237 내지 239°(분해)
[실시예 23]
메틸 8-클로로-6-(2-클로로페닐)-1-(2-디메틸아미노에틸)-4H-이미다조[1,5-a][1,4] 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
5㎖의 디메틸아민과 2㎖의 아크롤레인을, 4.5g(0.0197몰)의 2-[(아미노) 메톡시카보닐 메틸렌]-7-클로로-5-(2-클로로페닐)-1,3-디하이드로-2H-1,4-벤조디아제핀 에탄올레이트를 100㎖의 염화메틸렌에 녹인 용액에 가하고 실온에서 10분간 교반한후 12g의 이산화망간을 가하고 15분간 교반을 계속한다. 이산화망간을 셀라이트로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증발시킨다. 잔류물을 에탄올/에테르로 결정화시켜 최종생성물을 얻으며 분석시 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헥산으로 재결정시킨다.
융점 : 230 내지 204°
[실시예 24]
메틸 8-클로로-6-페닐-4H-이미다조[1,5-a][1,4] 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
10g(0.028몰)의 7-클로로-α-하이드록시이미노-5-페닐-3H-1,4-벤조디아제핀-2-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를 200㎖의 메탄올과 200㎖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혼함물에 녹인 용액에 2티스푼의 라니닉켈을 가하고 혼액을 대기압에서 5시간동안 수소화시킨다. 촉매를 셀라이트상에서 여과시켜 제거하고 여액을 증발건조시킨다. 잔류물을 100㎖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10㎖의 트리에틸 오르토 포르메이트와 5㎖의 에탄올성 염화수소로 처리한다.
이 혼함물을 10분간 잔류시킨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염화메틸렌과 포화중탄산나트륨 수용액에 분배시킨다. 유기상을 건조, 증발시키고 탄류물을 에테르로 결정화시켜 최종생성물을 얻고 분석시 이를 염화메틸렌/에테르로 재결정시킨다.
융점 : 235 내지 236°
[실시예 25]
메틸 8-클로로-6-(2-클로로페닐)-4H-이미다조[1,5-a][1,4] 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
9g의 2-[(아미노) 메톡시카보닐메틸렌]-7-클로로-5-(2-클로로페닐)-1,3-디하이드로-2H-1,4-벤조디아제핀 에탄올레이트, 100㎖의 톨루엔과 20㎖의 트리에틸 오르토포메이트의 혼함물을 15분간 가열 환류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킨후 결정성 잔류물을 에테르로 처리하고 모아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로 재결정시켜 융점이 206 내지 208°인 최종생성물을 얻는다.

Claims (1)

  1. 다음 구조식(V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N-옥사이드를 구조식 R1'C(OR)3의 알카노산 오르토에스테르 또는 이와 화학적으로 균등한 화함물과 반응시키거나 다음 구조식(XIII)의 화함물 또는 이의 N-옥사이드를 산화시키거나, 다음 구조식(IX)의 화함물 또는 이의 N-옥사이드를 폐환과 동시에 탈수소화시켜 다음 구조식(I)의 화함물과 이의 산부가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9
    상기 구조식에서 A는 -C(R6)=N- 이고, R1은 수소, 저급알킬, 하이드록시 저급알킬, 아실옥시 저급알킬, 페닐, 알콕시저급알킬, 할로저급알킬, 아미노저급알킬, 치환된 아미노 저급알킬, 치환된 페닐, 피리딜, 아르알킬 또는 -COR10(여기서 R10은 수소 또는 저급알킬임) 또는 -COOR(여기서 R은 저급알킬임)이고, R2는 -COOR(여기서 R은 저급알킬임), R3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고, R6는 페닐, 일치환페닐, 이치환페닐, 피리딜 또는 일치환 피리딜이고,
    Figure kpo00020
    는 다음 구조식(a)(b)(c)(d)를 나타내며
    Figure kpo00021
    (상기에서 X는 수소, 염소, 브롬 또는 요드이고 T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고, R4는 수소,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트리플루오로 메틸, 저급알킬, 치환된 아미노, 아미노, 하이드록시 저급알킬 또는 저급알카노일임.) R1'는 수소, 저급알킬, 알콕시저급알킬 또는 할로저급알킬이고, R1''는 수소, 저급알킬, 페닐, 알콕시저급알킬, 치환된 페닐, 피리딜 또는 아르알킬이다.
KR1019800000855A 1980-02-29 1980-02-29 디아제핀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00001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855A KR800001104B1 (ko) 1980-02-29 1980-02-29 디아제핀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855A KR800001104B1 (ko) 1980-02-29 1980-02-29 디아제핀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104B1 true KR800001104B1 (ko) 1980-10-08

Family

ID=19215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855A KR800001104B1 (ko) 1980-02-29 1980-02-29 디아제핀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10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80541B1 (pl) Sposob wytwarzania nowych 6-fenylo-4h-sym-triazolo (4,3-a)(1,4)-benzodwuazepin
JPH0651704B2 (ja) 新規チエノ―トリアゾロ―1,4―ジアゼピノ―2―カルボン酸
CA1076572A (en) Diazepine derivatives
IE41844B1 (en) Imidazo diazepi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CA1090333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diazepine derivatives
KR800001104B1 (ko) 디아제핀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247463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imidazobenzodiazepines
US4347364A (en) Imidazodiazepines
US4116956A (en) Benzodiazepine derivatives
US4347365A (en) Imidazodiazepines
KR800001105B1 (ko) 디아제핀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00001087B1 (ko) 디아제핀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226771A (en) 1,2,5-Oxadiazino[5,4-a][1,4]benzodiazepine derivatives
US4377523A (en) Imidazodiazepines and processes therefor
US3329701A (en) Cyanobenzophenones
HU189631B (en) Process for preparing imidazodiazepine derivatives
AU8554098A (en) New 2,3-benzodiazepine derivatives
DK167281B1 (da) Analogi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terapeutisk aktive imidazooe1,5-aaaoe1,4aadiazepin-forbindelser eller farmaceutisk acceptable salte deraf
FI67850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imidazo(1,5-a)(1,4)diazepin-foereningar
US3499027A (en) Intermediates for preparing certain 1,4-benzodiazepin-2-(1h)-ones
US4250095A (en) Imidazobenzodiazepines
US3290292A (en) 1, 1'-lower alkylene-bis
US4107159A (en) Acetal hydrazones of 2-hydrazino-3H-1,4-benzodiazepine
KR810000782B1 (ko) 디아제핀 유도체의 제조방법
US3862956A (en) 2,4-Dihydro-2-substituted-1H-s-triazola{8 4,3-a{9 {8 1,4{9 -benzodiazep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