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153B1 - 영구 프레스 장치 - Google Patents

영구 프레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153B1
KR800000153B1 KR760001733A KR760001733A KR800000153B1 KR 800000153 B1 KR800000153 B1 KR 800000153B1 KR 760001733 A KR760001733 A KR 760001733A KR 760001733 A KR760001733 A KR 760001733A KR 800000153 B1 KR800000153 B1 KR 800000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box
treatment
process chamber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001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치. 포그 죤
엘. 페이엣트 죠지
Original Assignee
차알스 더블유. 메터
맥그로-에디슨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알스 더블유. 메터, 맥그로-에디슨 컴파니 filed Critical 차알스 더블유. 메터
Priority to KR760001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15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구 프레스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2-2에서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3-3에서의 부분 단면도.
제4도는 도어의 이중 밀폐 상태도.
제5도-8도는 본 발명의 영구 프레스 장치를 예시한 제2도의 변형예.
제9도는 본 발명 방법의 대표적인 온도-시간관계를 나타내는 도표.
본 발명은 영구 프레스(durable press)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물류를 처리하기 위한 개선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전의 기술에 의한 피처리 직물류에 영구 프레스를 부여하기 위한 장치는 증기 및 처리액을 분무하기 위한 분무장치와, 직물류에 처리액을 고착하기 위해 소망의 온도로 처리실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파이프를 가지고 있는 처리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적은양의 처리액을 사용하고 보다 효과적인 방법으로 상기 처리액을 주입하여 상기 처리액의 많은 양이 직물에 흡수되며 처리에 보다 단시간을 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처리실을 사용하여 경제적이고 효과적이며 대규모의 영구 프레스 방법을 사용하는 개선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물류를 이산화유황, 포름알데히드 가스 및 증기로 처리한후에, 그 처리실을 우선 배기 가열시켜 증기 및 유리된 화학약품을 제거한 다음, 폐회로에 열을 가하여 상기 직물류를 경화온도인 최소 121℃의 온도로 되게하여 행하는 개선된 영구프레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제1단계로서 피처리물을 처리실에서 증기처리하여, 그 피처리물의 원래의 프레스에는 영향을 주는 일이 없이 소망하는 함수율을 부여하기 위한 영구 프레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 및 본 발명의 특징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과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하게될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장치는 긴 처리실 12를 효과적으로 절연 밀폐하기 위한 이중벽 11(제2도)을 가진 횡단면이 각각인 장방형의 상자형실 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상자형실의 대향하는 양단부(제1도)에는 도어 13이 설치되어 있고 그 도어는 경첩 14에 취부되고 적절한 체결구 15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그러한 이중 도어배치는 일단에서는 처리실에 피처리물을 공급시킴과 동시에 타단에서는 완성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각 도어 13은 제4도에 도시한 이중 밀폐 배열내에서의 도어 개구부 주위의 상자형실의 림(rim) 16에 접하고 있어서 프레스 작동중에 여하한 가스의 누출도 방지할 수 있다. 이 이중 밀폐는 내부를 실리콘 해면체 대판(帶板) 18로 취부시킨 상자형실의 림 16내의 슬롯(slot) 17로 구성된다. 각 도어의 경계를 따라 슬롯 17내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는 유사한 슬롯 19가 있고, 그 내부에는 실리콘 해면체 대판 20이 취부되어있다. 도어를 닫을때, 도어슬롯 19의 외측플랜지 21은 실리콘 해면체 대판 18에 접하고 슬롯 17의 내측의 상자형실 플랜지 22는 실리콘 해면체 대판 20에 접하여 플랜지 21과 22 및 해면체 대판 18과 19사이에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중 밀폐를 이룬다. 이와같이 형성된 공간은 처리실로부터 외부로의 가스누출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상자형실의 정부(頂部)로부터 일정거리에는 처리실 12의 길이를 따라 설치된 공기 분배실 즉, 다기관(多岐管) 24를 형성하는 개공 천장부 23이 있다. 상자형실 10의 길이를 따라 중간부분에는, 처리실 12의 저부에서 다기관 24로 통하는 공기도관 26을 수용하는 측면격실 25가 있다. 이 공기 도관에는 그 하단부에 송풍기 27이 있고, 또 다기관 24를 개구하는 열교환기 28이 있다. 송풍기는 처리실 12를 통하여 그 상부에서 하부로 공기를 순환시킨다. 그 순환 방향으로 일정거리에 위치한 지점에는 도관 26에 연결된 배기된 29와 공기도입관 30이 있다. 배기관 29에는 이 단의 개폐작용을 위하여 지점 32에 유착시킨 댐퍼(damper) 31이 있다.(제6도 및 제8도) 또한, 도입관 30에는 두개의 도관 사이의 도관벽의 지점 34에 축지된 댐퍼 33이 폐쇄위치(제5도)와 개방위치(제6도) 사이에서 이동 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댐퍼가 상기 두개의 도관사이에 있는 도관 26을 폐쇄하여 도입관 30, 열교환기 28, 다기관 24, 처리실12, 송풍기 27 및 외부 대기중으로 배기하는 배기관 29를 경유하여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킨다.
상자형실의 상부에는 이중벽 11사이의 공간 36을 통하여 공기를 순환시키고, 또 중심위치의 단일의 배기관 37(제1도)을 경유하여 배기시키는 일정간격을 가진 3개의 패널(panel) 송풍기 35(제1 및 2도)가 있다. 또한, 이중벽 11사이에는 처리실에서의 각 처리주기후에 그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기 위하여 처리실 벽면에 물을 도입하기 위한 냉각수원(도시하지 않았음)에 연결된 적당한 스프레이 헤더 38이 있다.
처리실 12의 저부에는 헤더 39가 설치되어 있어, 처리실의 전장에 걸쳐 설치된 상부 레일 12에 취부한 옷걸이 41에 걸린 의류 40에 증기를 상향 주입한다. 또한, 처리실 12의 저부에는 이산화유황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히터 43이 있다. 또한, 파라포름알데히드는 47로 도시한 스크류 컨베이어 또는 스톡커(stoker)와 튜우브 46을 거쳐 홉퍼(hopper) 45로부터 배출되며, 그 배출된 파라포름 알데히드를 수용하는 가열관44가 처리실 저부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슬롯이 형성된 전장부 23은 처리실 12의 대략 폭 중간 지점의 평면으로부터 그 대향측에 경사진 일정간격을 가진 2열(列)의 패널 48이 있다. 이들 패널 48은 U형 채널로 되어있고 각각 처리실의 길이 중간쯤에 있는 평면 L로부터 최원거리의 원부를 따라 비교적 짧은 절접된 플랜지 49와, 평면 L로부터 최근접거리의 대향단부를 따라 플랜지 50을 가지고 있으며, 후자의 플랜지 50의 상부는 상기 패널과 다음의 인접 패널사이의 공간과 동일하게 형성된 공간에서 상기 인접 패널의 짧은 플랜지 49를 횡와(橫臥)시키기 위하여 평면 L을 향하여 51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있다. 또한, 이들 패널간의 공간은 중심평면 L로부터 처리실단부까지 점차 증가되어 있다. 이와같이하여 대형의 통풍구 52가 평면 L로부터 처리실단부까지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중심도관 26으로 부터 유입되는 다기관 24내의 공기를 포획하여 그것을 처리실 12로 하향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각 패널은 측면에 대해 하향 경사되어있고 수직의 U자형 채널 형상이므로, 응축수를 포획하여 그것을 처리실의 측벽으로 하향시킴으로써 물방울이 가공처리될 의류 40위에 적하되지 못하도록 한다.
본 발명장치의 작동에 있어서, 먼저, 의류 40을 처리실 12의 길이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하고, 도어 13을 닫는다. 외기의 상대습도가 20%이하이면, 최초의 3단계 공정을 수행하여, 예비 프레스된 의류의 주름 또는 가공도에 영향을 주는일이 없이 의류에 적절한 양의 수분을 주는데, 즉, 1단계로서 순환송풍기 27을 정지시키고, 배기댐퍼 31을 개방하고, 도입구 댐퍼 33은 폐쇄하고, 열교환기 28은 정지시킨채 약 20초 동안 해더 36로부터 처리실 12로 수증기를 도입하여 처리실 내의 온도를 약 35℃로부터 약 49℃로 상승시키고(제5도), 2단계로서, 온도를 약 43℃로 하강하도록 수증기 주입을 중단하여 약 2분간 의류40을 수증기내에 방치하고, 3단계로서는 도입구 댐퍼 33을 개방한채(제6도), 도입관 30, 처리실 12 및 배기관 29을 경유하여 외부로부터 공기를 약 3분간 순환시켜 처리실내의 온도가 약 35℃의 출발점까지 하강하도록 함으로서 예비 처리한 피처리물을 가공 처리한다.
다음 제4단계(이것은 외기의 상대습도가 20% 이상인 경우 프레스 주기의 최초단계가 될것이다)에서는, 패널 송풍기 35를 가동시키고, 배기댐퍼 31을 개방하고 또 도입구 댐퍼 33을 폐쇄하고 송풍기 27과 열교환기 28을 정지시킨채(제5도),(a) 가열판 44에 공급된 파라포름알데히드를 그것이 증발하여 처리실 12내에 확산될때까지 가열하고, (b) 헤더 39에 의해 수증기를 구입하고, 또 (c) 처리실내의 온도가 49℃로부터 63。C까지 상승되기 약 45초간 이산화 유황가스를 43으로부터 주입함으로써 처리실 12내에 화학약품을 주입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측정된 양의 이산화 유황가스는, 대기압하에서 정량(定量) 가스를 갖는 탱크를 2기압까지 충만시키고 그 압력이 대기압으로 하강할때까지 배기시킴에 의해 주입된다. 광의의 의미로는, 증기압에 도달하지 않는한 이 가스는 일정한 고압으로 저장될 수도 있으며 예정된 저압에도 달할때까지 배기된다.
다음 제5단계는 온도가 강하하도록 수증기 주입을 단절함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이산화유황 가스 및 포름알데히드 가스를 주입함에 의해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의류는 처리실 온도가 최저 영하 12.2℃(10℉)로, 가능하면 처리실이 수증기에 의해 가열되는 온도에 따라 영하 1.11℃(30℉) 정도로 강하할때까지 약5분간 상기처리 조건하에 방치된다(제5도). 이 제5단계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영구 프레스를 가능케한다. 다음의 제6단계인 배기 가열단계는 패널 송풍기 35를 정지, 주송풍기 27은 가동, 배기댐퍼 31 및 도입구댐퍼 33은 개방, 열교환기 28은 개방시키지만(제7도), 밀폐시킨 처리실에 수증기와 화학약품을 주입하면서, 약 2분동안 외부로부터 처리실 중에 열풍을 순환시켜서 수증기 및 유리된 화학약품이 제거되도록 하는데, 이단계중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약 82。C로 상승하게 될것이다(제9도). 다음에, 페회로 가열단계(7)에서는 앞서 행한 가열 단계와는 달리 약 5-7분간 수행하는데, 여기서는 도입구 댐퍼 33과 배기댐퍼 31을 폐쇄하여(제8도),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기온도를 보통 약 138℃로 하기 위하여 공기가 열교환기 28의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하기위한 것인바, 그 가열목적은 피처리물을 최소한 121℃에서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처리 주기의 최종단계(8)은 온도를 약 93℃로 강하시키기 위하여 약 30초간 배기 냉각시키는 단계이다(제6도).
끝으로,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를 제게하고 그 온도를 거의 실온으로 냉각시키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일련의 세척과정을 실시한다. 즉, 제1세척단계(9)에서는 패널 송풍기 35는 정지, 열교환기 28도 정지, 도입구 댐퍼 33은 페쇄, 배기댐퍼 28은 개방, 주송풍기 27은 정지(제5도)한채 내부 온도가 약 104℃로 될때까지 약 3-7분간 수증기를 주입하고, 제2세척단계(10)에서는 패널송풍기 35를 가동시키고, 도입구 댐퍼 33을 개방하고 또 주송풍기 27을 가동시켜 온도가 약 82℃로 강하될때까지 약 5분간 실시하고, 최종적인 공급-배출단계(11)에서는 약 1분 30초간 전(前) 단계의 과정을 계속하는데 이 시간중에는 헤더 38로부터 가열실 12의 벽에 대해 내벽공간 36에 물을 분사하여 처리실 12의 벽면온도를 출발온도인 35℃까지 냉각시킨다.

Claims (1)

  1. 처리실을 형성하는 벽면을 가진 상자형실과, 처리실의 종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기 처리실내에 설치된 피처리물 지지부재로 된 직물류 영구 프레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자형실(10)이 상기 처리실(12)의 저부로부터 상부까지 연장하는 공기도관(26)과 그 도관을 거쳐 처리실내에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기(27)을 가지고 있고, 열교환기(28)이 상기 처리실내에 송입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도관에 설치되며, 열교환기 단절후 상기 처리실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처리실의 벽에 물을 분무하기 위한 수단 (38)이 설치되고, 상기 처리실(12)는 상자형실의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공기도관은 상자형실의 종방향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상자형 실의 정부(頂部)에서 일정거리에 위치하고 슬롯이 형성된 천장부(23)이 상자형실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된 일련의 경사패널(48)을 가지고 있고, 각 패널(48)은 응축수를 포획하여 처리실 측벽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피처리물위에 물이 적하되지 않도록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프레스 장치.
KR760001733A 1976-07-15 1976-07-15 영구 프레스 장치 KR800000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1733A KR800000153B1 (ko) 1976-07-15 1976-07-15 영구 프레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1733A KR800000153B1 (ko) 1976-07-15 1976-07-15 영구 프레스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201388A Division KR790001150B1 (ko) 1971-09-13 1972-09-13 영구 프레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153B1 true KR800000153B1 (ko) 1980-03-09

Family

ID=19202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001733A KR800000153B1 (ko) 1976-07-15 1976-07-15 영구 프레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15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8019A (en) Durable press method and apparatus
US2454370A (en) Electronic baking oven
US3732628A (en) Garment finishing tunnel
US4032294A (en) Method for vapor phase treating garments
GB131197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durable press in garments containing cellulose or cellulosic derivatives
US4127945A (en) Process and a dryer for drying polychloroprene sheets
US1902575A (en) Method of treating objects
KR101471471B1 (ko)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US2807892A (en) Dryers
US3884632A (en) Continuous durable-press processing of fabric and garments
US3704170A (en) Dishwasher condenser system
US1550422A (en) Method and means for drying by air and other gaseous medium
US3513669A (en) Apparatus for vapor phase treatment of articles
KR800000153B1 (ko) 영구 프레스 장치
US1415623A (en) Method of drying goods
KR790001150B1 (ko) 영구 프레스 방법
US4696642A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heating an elongated textile article
FI56983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behandling av tygartiklar foer att foerbaettra deras non-iron egenskaper
KR100920712B1 (ko) 라텍스 쿠션물 제조설비의 건조장치
JPH0752555Y2 (ja) 缶ドライヤオーブン
RU2003113180A (ru) Способ сушки древесины
US1436037A (en) Hosiery-finishing machine
US1470306A (en) Art of and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JPH0972659A (ja) 小物品乾燥機
JPH02195844A (ja) 懸肉の処理方法並びにその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