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117B1 - 파형 발생 회로 - Google Patents

파형 발생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117B1
KR800000117B1 KR750002418A KR750002418A KR800000117B1 KR 800000117 B1 KR800000117 B1 KR 800000117B1 KR 750002418 A KR750002418 A KR 750002418A KR 750002418 A KR750002418 A KR 750002418A KR 800000117 B1 KR800000117 B1 KR 800000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diode
waveform
load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002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헨리 바코우 윌리암
Original Assignee
죤 브이레간
알 씨 에이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죤 브이레간, 알 씨 에이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죤 브이레간
Priority to KR750002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11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형 발생 회로
제1도는 종래의 브리지 파형발진기의 회로도.
제2 내지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브리지파형 발진기의 3가지 실시예의 회로도.
제5a 내지 5f도는 제1 내지 4도의 여러가지 파형발생기에서 얻어지는 파형도.
본 발명은 개선된 파형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칼라텔레비죤수상기에서 사용되는 다중빔(beam) 상영시스템에 있어서 선 및 필드 주사속도에서의 포물선형 전류파형은 종종 수상관의 화면상에 빔을 역학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장치에 사용된다. 여러가지 형태의 집속장치가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수상관 넥크부의 외부 주위에 배치되고 포물선형 전류에 의해 여기된 전자석은 넥크부 내부에서 전극편을 여기시켜 빔에 자력을 걸어 주어 집속하도록 사용된다. 또한 코일을 수상관의 외부 주위에 배치하고 포물선형 전류로 여기하여 수상관 내부에 자계를 형성하어 힘을 배열시킨다. 편향요오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편향코일 혹은 그 일부 코일은 포물선형 전류로 여기된다. 따라서 빔을 집속시키는 자계를 형성하게 된다.
선 및 필드 주사속도에서 펄스와 톱니파형은 선 및 필드편향회로에서 유도되어 필요한 포물선형 파형을 형성하는 파형전원으로써 사용된다. 펄스는 반응회로 소자를 사용하여 2배로 적분되고 그리고 톱니파형은 포물선파형을 제공하도록 한번 적분되어진다. 때때로 전류를 사용하는 코일의 인덕턴스는 반응파형 정형회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그러나 반응파형 정형회로는 비교적 값비싼 구성부품을 요하고 그리고 포물선형파형은 대칭적이거나 비대칭적이다. 때때로 포물선형 전류를 사용하는 코일의 인덕턴스는 적분파형회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데는 너무 크거나 작고 그리고 반응 회로소자는 이 회로에 포함되어야만 한다.
다이오드 브리지와 같은 브리지회로는 톱니파로부터 유사한 포물선파형을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전압 종속저항기와 같은 비교적 비싼 부가적 비선형회로소자를 사용하지 않는 한, 이러한 형태의 종래 기술 파형정형회로는 필요한 곡선 혹은 기울기를 갖는 파형을 만들지 못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파형발생회로는 교류 전류원에 결합된 한쌍의 입력단과 전하에 결합된 출력단으로 구성된다. 교류전류의 제각기 주기들 중부하를 거쳐 동일 방향으로 전류를 도전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이 브리지회로의 양쪽 단은 적어도 제1단일 방향 도전장치를 포함한다. 이 제1장치와 다른 장벽높이전압을 갖는 제2 단일 방향도전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는 적어도 브리지의 내변 중 하나에 결합되고, 이 제2장치와 다른 레벨의 부하전류로 제1장치를 도전상태가 되게 바이어스하고 또한 제1장치 주위의 부하전류통로를 제공하도록 하나의 변에 제1장치와 같은 방향으로 전류를 도전시키도록 극성을 정한다.
본 발명의 더욱 상세한 설명은 다음 페이지들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브리지파형발생기의 회로도이다. 제5a, 5b, 5c도는 제1도의 회로에서 발생되어지는 파형들을 도시한다. 톱니파발생기 10은 브리지파형발생기회로 14의 한쌍의 단자들 11과 12에 결합된다. 발생기는 단자 12에 대해 단자 11에서 얻어지는 톱니파형 11을 공급한다. 브리지회로 14는 브리지 입력단자들 A 및 B와 브리지출력단자들 C 및 D 사이에 표시된 것과 같은 극성을 갖는 4개의 다이오드를 15 내지 18을 포함한다. 브리지의 출력단자들 C와 D 사이이 결합된 것은 댐핑저항 20으로 분로된 부하인덕턴스 19이다. 가변저항기 22는 단자들 A와 C 사이의 다이오드 17로 분로 결합되고 가변저항기 21은 단자들 B 및 C 사이의 다이오드 15로 분로 결합된다. 이러한 종래의 브리지회로는 부하인덕턴스 19를 통하여 톱니파전류를 포물선형 전류에 가깝도록 변환시켜 공지된 기능을 수행한다. 회로 작동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인덕턴스 19와 저항기 20의 임피턴스는 0이라고 하고 각 다이오드 양단의 전압 강하가 각 다이오드가 도전상태일 때 모든 시각에서 장벽 높이와 같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다이오드의 비직선형 도전특성은 무시한다.
모든 다이오드들 15 내지 18을 게르마늄형이고 제각기 0.3볼트의 장벽높이를 갖는다고 가정하면, 회로의 작동은 제5a, 5b도와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제5a도는 톱니파 발생기 10에서 얻어지는 전압톱니파형 30을 도시한다. T0와 T4사이의 파형 30으로 표시된 톱니파형의 정극성통과동안 도전상태가 되는 브리지의 첫째 다리는 단자 A로부터 다이오드 17과 부하 19- 저항기 20의 결합 및 다이오드 18을 통하여 단자 B에 접속된다. 다이오드들 17 및 18은 단자들 A와 B 양단의 전압이 다이오드의 결합된 장벽높이 보다 즉 약 0.6볼트보다 높아질 때까지 도전되지 않을 것이다. 저항기들 21과 22는 단자들 A와 B 사이에서 연속전류통로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이 저항기들의 저항값을 결정함에 따라, 만일 저항기 22 혹은 21 양단에 인가된 전압이 다이오드 17 혹은 18의 장벽높이를 초과했다면, 다이오드 17 혹은 18 둘 중의 하나는 나머지 다른 하나보다 먼저 도전상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는 모든 도면에서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삭제했다. 다만 다이오드 17과 18은 동시에 도전상태가 되기 시작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므로, 제5b도에서 전류파형 31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전류는 브리지 입력 톱니파전압 0.6볼트에 대응하는 시간 T0에서 T1까지는 흐르지 않는다. T1에서 다이오드들 17과 18은 순방향 바이어스되어지고 그리고 부하전류는 이 다이오드들과 부하 19를 통하여 흐른다. 이 부하전류는 회로의 임피던스에 의해 결정된 기울기를 가지며 이 기울기는 시간 T1-T4동안 일정하다고 고려된다.
전압파형 30이 부극성인 주기동안, 다이오드들 15와 16은 단자 B와 A양단의 전압이 0.6볼트일 때 부하전류를 도전시킨다. 이것은, T1'시각에 발생하며 이때 다이오드들 15와 16은 구간 T4'를 거쳐 도전상태가 된다. 동일하게 전류파형 31의 기울기는 회로의 임피던스에 의하여 결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주기동안 일정하다고 생각된다. 저항들 21과 22는 다이오드들 15 내지 18 중 어느 것도 도전상태가 아닐 때라도 부하 19에 대한 분로가 된다. 그러므로, 브리지 14의 입력단자들 A와 B는 예를 들자면 편향코일과 직렬접속되며 그리고 전류는 항상 코일을 거쳐 흐른다. 저항들 21과 22의 저항값의 합은 부하 19를 거쳐 흐르는 전류를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오드 17, 18, 15, 16은 제각기 동시에 부하전류를 도전시킨다고 가정한다. 분로부하 19안 저항 20은, 다이오드를 15 내지 18이 비도전상태 일 때, 구간 T1'-T1동안에 부하내에 전류를 감쇠시키도록 작동한다. 제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전류는 대략 포물선형이 되지만 파형의 반인 T0-T4와 T0-T4'의 제각기 구간에서 단일한 기울기 항복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형태는 여러 목적에 적합하지 않다.
도면들 제5b도 내지 제5f도에서 제5a도의 구동전압파형 30은, 소인선기간 T4'-T4과 귀선기간 T5'-T4' 혹은 T4-T5를 규정짓는 파형이며 그리고 텔레비죤 편향발생기로부터 유출되는 바와 같은 주사파형이다. 이 회로를 설명하기 위하여 소인선기간 중에만 브리지 파형발생기의 효과가 도시되었다. 포괄적인 목적을 위하여 텔레비죤화면이 귀선기간동안 비게 되며 그리고 집속회로의 효과가 비연속적이기 때문에 귀선기간 동안 부하전류를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다.
제1도의 다이오드를 15 내지 18이 모두 실리콘형이여 제각기 약 0.7볼트의 장벽높이전압을 갖는 경우에 있어서 제5도 c는 부하 19를 통한 전류를 도시한다. 실리콘형 다이오드인, 제1도의 브리지회로 14의 작동은 상술한 게르마늄 다이오드의 경우와 같으나 브리지의 도전상태가 없기 때문에 구동톱니파 전압파형이 브리지 양단에서 약 1.4볼트로 나타날 때까지 부하 19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는 것이 다로다. 실리콘형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브리지회로의 결점은 게르마늄형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브리지회로의 경우와 같다. 즉, 파형기간의 제각기 반 내에서의 전류기울기 내에 단일 항복점이 있으므로 포물선형 전류의 적용이 여러가지 목적이 적당치 않다는 것이다.
제2 내지 4도들은 본 발명을 실시한 개량된 브리지 파형발생회로의 회로들이다. 그리고, 제1도와 그 대응부분은 동일한 기능을 한다.
제2도는 다음과 같이 제1도와 근본적으로 다르다. 직렬결합 저항기 25와 다이오드 23이 단자 D와 A사이에서 다이오드 16과 분로가 되며 그리고 직렬 결합된 저항 25와 다이오드 24는 브리지 14의 단자 D와 B 사이에서 다이오드 18과 분로가 되도록 접속된다. 이 실시예에서 다이오드들 15, 17, 23 및 24는 게르마늄형이고 다이오드들 16 및 18은 실리콘형이다. 단자 A에서의 전압이 단자 B에 대해 0.6볼트일때, 다이오드들 17 및 24는 순방향 바이어스되고 그리고 전류는 단자 A로부터 다이오드 17, 저항기 22, 부하 19, 저항 20, 저항 25, 다이오드 24 및 저항 21을 통하여 단자 B로 흐른다. 이러한 부하전류는 구간 T0-T2내에서 제5d도의 전류파형 33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전통로 내에서 전류가 다이오드 24와 저항 25 양단의 전압강하가 0.7볼트가 될 때까지 증가하는 경우, 실리콘 다이오드 18은 순방향 바이어스되어 도전상태가 되고 그리고 저항 25의 다이오드 24로부터 일부 부하전류를 분로시킨다. 저항 25와 다이오드 24에 병렬로 결합된 다이오드 18의 낮은 저항통로는 구간 T2-T4중 파형 3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급격한 기울기를 부하전류가 갖게 한다. 그러므로 저항 25와 다이오드 24는 다이오드 18에 대한 부하전류의 도전통로를 제공하고 또한 다이오드 17과는 다른 부하전류의 레벨에서 바이어스 다이오드 18을 도전상태가 되게 한다. 이 결과 T1과 T2모두에서 전류항복점이 발생하며 부가적 항복점은 부하전류가 포물선형이 더욱 가까워지게 한다.
저항 25 및 다이오드 23과 병별로 접결된 다이오드 16, 다이오드 15 및 부하 19로 구성된 브리지의 또다른 모서리는 제1모서리와 똑같은 기능을 갖지만 입력단자 A에 비해 입력단자 B가 정극성일 때 톱니파전압파형 30의 일부에서 작동한다.
저항 25가 제5d도의 전류파형이 발생될 때의 저항값보다 낮은 값으로 조정될 때의 제2도에서 나타나는 부하전류파형 34가 제5e도에 도시되어 있다. 보다 낮은 저항값인 경우에, 다이오드 18이 순방향 바이어스되어 도전상태가 되기 이전에 더욱 많은 전류가 저항 25와 다이오드 24를 통하여 통과할 것이다. 그러므로, 저항 25는 파형정형기능을 수행하고 항복점에서의 T2및 T2'에서 전류의 레벨과 전류의 기울기를 결정한다.
이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 제약조건은 종래의 브리지 다이오드 주위에 있는 분로의 다이오드 형성부분이 보다 낮은 장벽높이를 갖는다는 것이다. 즉 예를 들어 다이오드 18이 실리콘이라면, 다이오드 24는 게르마늄형이어야만 한다.
또한, 만일 저항기 21과 22 양단의 손실은 회로의 파형정형능력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묵인할 수 있다면, 다이오드 15와 17은 브리지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로써 제2도와 다른 점은 저항 25가 두 개의 저항 26과 27로 교체되어진 것이다. 그러므로 브리지회로 제1 모서리는 다이오드 17, 부하 19 및 저항 26으로 분로된 다이오드 24와 직결된 다이오드 18로서 구성되며 그리고 단자 A가 단자 B보다 정극성 전압레벨인 경우에 부하전류를 통과시킨다. 브리지의 또 다른 모서리는 다이오드 15, 부하 19, 저항 27로 분로된 다이오드 23 및 직결된 다이오드 16으로 구성되며 그리고 단자 B에서의 전압레벨이 단자 A에서의 전압에 비하여 정극성인 경우에 부하전류를 통과한다.
제3도의 실시예는 제각기의 브리지 모서리들의 임피던스가 독자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포물선형파형항복점이 발생하는 전류레벨은 제5f도의 전류파형 35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T0의 양측상에서 다른 곳에서 다르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은 회로의 매우 큰 파형정형능력을 제공한다.
다이오드들 15 및 17은 제각기 브리지 모서리들의 부분으로서 저항 21 및 22를 남기고 생략될 수 있다. 제3도에서 다이오드들 23 및 24는 실리콘형이고, 상기 다이오드들 주위에 제각기의 부하전류통로의 부분을 형성하는 다이오드 16 및 18은 게르마늄형이다.
제4도는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회로이다. 다이오드 28 맞 병렬결합된 가변저항 29는 다이오드 16과 18의 애노드 접합과 단자 D 사이의 부하에 직결된다. 저항 20은 다이오드 28 및 부하 19의 분로이므로 브리지의 모서리들이 비도전상태인 경우, 어떤 발진도 방지하도록 부하 19 양단에 비교적 낮은 저항통로를 형성한다. 제4도에 있어서, 다이오드들 15 내지 18은 게르마늄형이고 다이오드 28은 실리콘이다. 다이오드들 17, 18 또는 15, 16이 일단 순방향 바이어스 되면, 부하전류는 부하 19와 저항 29를 통하여 하향으로 흐른다. 저항 29를 통한 전류가 다이오드 28을 순방향 바이어스되게 하는 정도로 저항 29 양단의 전압강하레벨에 도달하면, 다이오드 28은 도전상태가 되어서 낮은 임피턴스회로가 되므로 부하전류의 기울기가 증가된다. 제4도의 주요이점은 제2도와 제3도 실시예에 비해 포물선형 부하전류파형에서의 항복점의 수를 감소시키지 않고 6개의 다이오드 대신에 5개의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단일 다이오드 51와 17이 회로에서 삭제된다면 단지 3개의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제2 내지 4도들의 모든 실시예들은 교류입력 파형중앙시간 기준에 대하여 또는 중앙시간기준의 양쪽 측상의 다른 전류 레벨에서 비대칭인 부가적 전류 기울기 편기점들을 제공함에 의하여 포물선형 부하전류의 유연한 파형정형을 할 수 있다. 개량된 브리지회로들의 양 모서리들은 입력파형원으로부터 직류흐름을 위하여 제공된다. 그러므로 반응파형정형소자들이 요구되지 않는다. 더우기 주가전류를 왜곡하는 데에 사용된 반응전류소자가 없으므로, 브리지의 직류도전통로들은 브리지가 텔레비존수상기의 편향코일과 직렬로 삽입될 수 있다. 물론, 인덕티브부하 19는 여기 전류주파수에서 주로 저항성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경우가 아니라면 브리지회로의 입력단자들은 톱니파형원과 병렬이 되어야만 한다.

Claims (1)

  1. 본문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교류원(10)에 접속될 변형된 한쌍의 입력단자들(A, B)과, 부하에 접속될 변형된 한쌍의 출력단자들(C, D)과 그리고 상기 부하를 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두개의 입력단자들 사이에 제각기 접속된 적어도 두 개의 회토통로들을 포함하는 파형정형회로에 있어서,
    상기 교류의 제각기 주기동안 동일방향으로 상기 부하를 통하여 전류를 도전시키도록 극성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일방향 도전장치(16, 17)와,
    상기 통로들의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제1장치에 접속된 상기 제1장치와는 다른 장벽높이전압을 가지며 상기 하나의 통로 내에 있는 상기 제1장치로서 동일방향으로 전류를 도전하기 위한 극성이 있는 제2단일방향도전장치(24)를 포함하는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파형발생회로.
KR750002418A 1975-11-06 1975-11-06 파형 발생 회로 KR800000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2418A KR800000117B1 (ko) 1975-11-06 1975-11-06 파형 발생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2418A KR800000117B1 (ko) 1975-11-06 1975-11-06 파형 발생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117B1 true KR800000117B1 (ko) 1980-03-07

Family

ID=19201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002418A KR800000117B1 (ko) 1975-11-06 1975-11-06 파형 발생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11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27199A (en) Transistorized high voltage regulated power supply system with temperature compensating means
JPH03141390A (ja) ビデオ信号表示装置用の直線性補正装置
US4322663A (en) Switched-mode field-scanning circuit of video-frequency receiver
KR910019435A (ko) 비디오 장치의 고전압 전원
KR950035296A (ko) 고전압 수직 다이나믹 포커스 증폭기
US4733141A (en) Horizontal output circuit for correcting pin cushion distortion of a raster
KR800000117B1 (ko) 파형 발생 회로
US4587465A (en) Dynamic focus circuit
EP0079654A1 (en) Circuit for converting an input d.c. voltage into an output d.c. voltage
US4037137A (en) Centering circuit for a television deflection system
KR850001658B1 (ko) 텔레비전 음극선관용 편향장치
US4174493A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US4719394A (en) Horizontal output circuit
US4635176A (en) High voltage DC generator with reduced ringing and voltage fluctuation
KR830000179B1 (ko) 자기 스윗칭 편향회로
NO770325L (no) Anordning til styring av overlapning i et fjernsynskineskop.
SE460245B (sv) Televisionsavboejningskrets med rasterbreddstabilisering och svepaatergaangsintervallstabilisering
US3456150A (en) Time-base
JPS60224381A (ja) 陰極線管の偏向巻線に連続的なほぼ正弦波形の走査電流を発生する装置
TW404127B (en) Electron beam focus voltage circuit
US4096415A (en) Switched vertical deflection circuit
US3898523A (en) Line deflection circuit for cathode ray tube
US4134047A (en) Circuit for generating a saw-tooth current in a coil
US4118655A (en) Line sawtooth deflection current generator
JP3776129B2 (ja) ダンピングインピーダンス補償付き偏向回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