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179B1 - 자기 스윗칭 편향회로 - Google Patents

자기 스윗칭 편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179B1
KR830000179B1 KR1019790004206A KR790004206A KR830000179B1 KR 830000179 B1 KR830000179 B1 KR 830000179B1 KR 1019790004206 A KR1019790004206 A KR 1019790004206A KR 790004206 A KR790004206 A KR 790004206A KR 830000179 B1 KR830000179 B1 KR 830000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deflection
load
voltag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4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코 산도르
러쎌 멀리스 필립
Original Assignee
에드워드 제이. 노오턴
알 씨 에이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드워드 제이. 노오턴, 알 씨 에이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에드워드 제이. 노오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85Maintaining dc voltage consta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4/00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 H03K4/06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 H03K4/08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 H03K4/48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using as active elements semiconductor devices
    • H03K4/60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using as active elements semiconductor devices in which a sawtooth current is produced through an inductor
    • H03K4/62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using as active elements semiconductor devices in which a sawtooth current is produced through an inductor using a semiconductor device operating as a switch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 스윗칭 편향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편향회로용 자기스윗칭 조정기.
제2도는 제1도의 자기스윗칭 조정기의 자기코어 구조 및 권선실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자기스윗칭 조정기의 자기 코어 구조 및 권선의 다른 실시예.
제4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자기 스윗칭 조정기와 수평편향 회로도.
제5도 및 6도는 제1도 내지 4도의 회로 및 구조와 관련된 파형도.
본 발명은 조정된 편향회로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 수상기용 스윗칭 조정기는 교류 전압을 제어가능하게 정류하는 반도체 스위치류에 포함된다.
반도체 스위치는 스위치 오프의 과도현상 또는 큰 역전압에 견디어야만 하므로 비교적 값이 비싸다. 이러한 회로는 과전류 또는 과전압에 기인되는 파손으로부터 보호되어야만 한다 요구되는 펄스폭 변조 제어신호를 제공하도록 비교적 복잡한 회로망이 요구된다.
어떤 가포화(可飽和) 반응기 조정회로는, 제어가능한 반도체 스윗칭을 피하고 대신에 조정이 가능한 반응기의 임피던스 변화에 의존한다. 그러나 이 반응기들은, 극도의 교류 주전압선 및 부하 전류상태하에서 과도한 포화를 방지하도록 비교적 큰 단면적을 요구하므로 비교적 값이 비싸다. 주어진 인덕턴스 값을 제공하는데 요구되는 직류제어 전류는 비교적 크며, 가포화 반응기의 인덕턴스 내의 퍼센트 변화는 서로 부닥치는 많은 편향회로들을 양호하게 조정하기엔 불충분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하여 자기적으로 조정된 편향회로는 편향권선과 편향권선에 결합된 편향발전기를 포함하여 편향권선 내에서 편향 전류를 발생시킨다. 편향 발생기는 편향비율 에너지원을 포함한다. 자기 스윗칭 장치는 코어 둘레에 감긴 제1부하 권선을 포함하고 이 제1부하권선은 편향회로에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코어부분을 자기적으로 포화시키므로 제1부하 권선이 단락될 때 편향회로에 편향비율 에너지원 및 조정되지 않은 에너지원을 공급한다. 자기 스윗칭 장치에 결합된 제어회로가 편향회로의 에너지 레벨에 반응하여 조정되지 않은 에너지 및 편향비율 에너지원이 편향회로에 전달된 에너지 총량을 조정하기 위해 편향회로에 인가되는 단락 간격을 변화시킨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도에서, 조정되지 않은 직류 전압원 UB는 단자(31)과 (21) 사이에 결합되고 이 단자(31)는 교류선주전압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공통 접지전류 순환단자(60)에 결합된다. 단자(21)는 다이오드(33)내지 (36)을 구성하는 고주파 전파 브릿지 정류기 (32)의 출력단자를 구성한다. 제2출력단자(22)는 다이오드(34) 및 (35)의 음극접합에서 형성된다. 부하회로(37)는 단자(22) 및 (31) 사이에 결합된다. 부하회로 37은 플라이백 변압기(38)의 주권선(38a)를 통해 단자(22)에 결합된 종래의 수평편향 및 고압회로(50)를 구성한다. 필터 캐패시터(65) 또한 (22)에 결합된다.
플라이백 변압기(38)는 수평편향 전압(39)의 형태로 고주파교류 에너지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플라이백 변압기 부권선 또는 조정기 권선(38b)은 브릿지 정류기 (32)의 입력단자(23) 및 (24) 사이에 결합된다. 그러므로 고주파 교류에너지는 귀선펄스 전압(40)과 소인전압(41)을 구성하는 편향 비율1/TH전압(39)을 구성한다.
자기 조정기 회로(66)의 비선형 자기 스위치(42) 및 (43)은 편향비율 전압원 및 조정되지 않은 전압 UB를 고주파 브릿지 정류기(32)를 통해 부하회로(37)에 결합시킨다. 제어회로(25)는 자기 스위치(42) 및 (43)에 가변직류 제어신호 전류 IC를 제공하고 단자(26)에 결합된 궤환신호에 반응한다. 직류제어 전류 IC에 반응하여 자기 스위치(42) 및 (43)은 매편향 주기내의 제어순간에서 자기적으로 포화되고(유효하게 단락) 매편향 주기 동안 시간의 제어 총량에 대한 부하회로(37)에 편향비율 전압(39)을 인가시킨다. 부전류(i37)의 제어 총량은 부하회로(37)로 흐른다.
제2도는 비선형 자기 스위치(42) 및 (43)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제1도의 자기 조정기 회로(66) 부분을 도시한다. 자기 스위치(42)는 레그(leg)(142a) 및 (142b)로서 사각형 자기 코어(142)를 구성한다. 코어(142)는 페라이드(ferrite) 재질로 형성되어진다. 레그(142a) 둘레를 권회한 것은 부하권선(42a)이다. 부하권선(42a)의 한 단자는 브릿지 정류기(32)의 입력단자(23)에 결합되고 부하권선(42a)의 다른 단자는 플라이백 부권선(38a)의 단자(27)에 결합된다.
제어권선(42b)는 코어(142)의 레그(142b) 둘레를 권회한다. 제어권선(42b)의 한 단자는 단자(29)에서 제어회로(25)에 결합되고 제어권선(42b)의 다른 단자는 저항 RC를 통하여 자기 스위치(43)의 제어권선(43b) 단자에 결합된다. 또한 제어권선 (43b)의 다른 단자는 단자(30)에서 제어회로(25)에 결합된다.
자기 스위치(43)은 페라이트 재질의 도해적으로 형성된 사각형 자기코어(143)를 포함한다. 제어권선(43b)은 코어(143)의 레그(143b) 둘레로 권회된다. 부하권선 (43a)의 한 단자는 플라이백 부권선(38b)의 단자(28)에 결합되고 부하권선(43a)의 다른 단자는 브릿지 정류기(32)의 입력단자(24)에 결합된다.
작동시에 귀선동안 단자(27)에서 플라이 백 부권선(36b)의 전압은, 귀선펄스 (40)가 진폭 Vr의 이상적인 구형파 펄스(40)에 의해 제5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간 t1-t3사이에서 부권선(38b) 양단에 발생될 때, 단자(28)에 대한 전압에 관해 도해적으로 정극성이다. 전압(39)는 시간 t3t5사이에서 소인동안 진폭 Vt이다. 시간 t1-t2에서 귀선전반부 동안 코어 레그(142a) 및 (143b)는 포화되지 않고 자기 스윗치(42) 및 (43)의 부하권선(42a) 및 (43a)가 직렬로 연결되어 귀선펄스(40a)에 고임피던스가 존재한다.
부하권선(42a) 양단의 전압 V42a에 의해 제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부하권선(43a) 양단의 전압 V43a에 의해 제5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실상 모든 귀선펄스 전압 진폭은 부하권선 양단에 동일하게 발생된다. 매우 미소한 권선전압은 순수한 저항성으로서 이상적으로 고찰된 부하(37)에 인가된다.
제5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1-t2사이에 권선(42a) 및(43a)내에 흐르는 부하전류 iL은 코어(142) 및 (143) 내의 자속을 발생시키는 권선내에 흐르는 작은 자화 전류를 무시하여 사실상 영이 된다. 시간 t1-t2사이의 귀선 전반부 동안, 코어(142) 및 (142) 내의 자속은 부하권선(42a) 및(43a) 내에 발생된 귀선전압의 시간 적분의 기능으로 증가한다.
제2도의 원점에 의해 표시된 제어권선(42b)에 관한 부하권선(42a)의 권선극성과 사각점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어권선(43b)에 관한 부하권선(43a)의 권선 극성으로서, 각각의 부하권선(42a) 및 (43a)에 의해 유도된 제어권선(42b) 및 (43b)내의 전압은 극성은 상반되나 거의 동일한 크기로 평형된다. 제어저항 양단전압은 제어회로 (25)에 의해 발생된 직류제어 전압이고, 제어전류 Ic는 시간 t1-t2사이에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Vc/Rc에 동일하다. 왜냐하면 부하권선(43a) 및 (43a)는 직류로 결합되고 제어전류 Ic는 부하권선(42a) 및 (43a)내에 반사전류를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어전류 Ic는 부하권선(42a)에서 발생된 귀선펄스에 의해 나타난 코어 자속을 증가시키는 동일한 방향으로 부가되는 코어(142)내의 직류 바이어스 자속을 발생시킨다. 제어전류 Ic′에 의해 발생된 부가적인 바이어스 자속 없이는, 코어 레그 (142a) 내의 자속 증가는 포화자속 밀도값에 도달되는데 불충분하다. 부가적인 직류바이어스 자속 존속으로, 코어레그(142a) 및 (142b)는 귀선내의 제어된 순간 t2에서 포화된다. 이 정확한 순간은 제어 전류가 흐르는 양의 역할을 한다.
시간 t2에서 포화된 코어레그(142a) 및 (142b)로서, 부하권선(42a)내에 유도된 전압은 전압 V42a에 의해 제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으로 감소한다. 유사하게 제어권선(42b) 내의 전압 또는 영으로 감소한다.
그러나 코어 레그(143a) 및 (143b)는 정극성 귀선 펄스 간격 t1-t3동안 포화되지 않는다. 제2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제어 권선(43b)에 관한 부하권선(43a)의 권선극성으로서, 제어전류 Ic에 의해 발생된 코어(143)내에 흐르는 직류 바이어스 자속은 부하권선(43a) 내에 발생된 귀선펄스에 의해 발생된 자속과 상반이므로 코어(143)의 포화를 방지한다.
따라서, 시간 t2-t3사이에서 코어(143)이 포화되지 않는 반면 코어(142)는 포화된다. 제어권선(42b) 및 (43b) 내에 유도된 전압은 제어권선(42b) 양단에 유도되어지는 영전압과 제어권선(43b) 양단에 유도되어지는 반사 귀선 펄스전압으로서 평형된다.
제어전류 Ic는 시간 t2-t3사이의 진폭에서 Ic1값으로 증가한다. 이 전류는 진폭 I1에서 증가하는 부하전류 IL의 증가로서 부하권선(43a)내로 반사 궤한된다. 왜냐하면 부하권선에 대한 제어권선의 순환비는 통상적으로 표시된 이하 값에 대해 대략 1/60로 비교적 크고, 시간 t2-t3사이의 전류 iL의 증가 또한 제5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크기 때문이다.
부하권선(42a) 및 (43a)의 단락에 기인하여 자기 스위치(42)가 포화될 때 시간 t2후 부하전류 iL의 큰증기가 번갈아 설명된다. 코어(142)의 포화되므로 해서, 부하권선(42a) 내에서는 전류의 흐름에 상반되는 유도전압은 발생될 수 없다. 또한 코어(142)의 포화로서 제어권선(42b) 및 (43b) 내에 전압은 평형되지 않는다. 비포화 자기 스위치(43)는 전류 변압기로서 작용하고 제어 저항 Rc의 비교적 낮은 임피던스는 부하권선(43a)를 유효하게 단락시키도록 부하권선(43a) 양단에 반사된다. 권선(42a) 및 (43a)의 단락으로서 부하전류 iL의 비교적 큰 증가는 부하회로(37)에 결합되어지는 귀선펄스 전압(40)으로 시간 t2-t3사이에 흐른다.
제5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권선(43a) 양단전압은 부하회로(37) 양단의 하강 IR보다 작은 귀선펄스전압에 거의 동일한 전압 V1과 동일하다.
편향 비율전압(39)의 부극성 부분동안, 즉 소인간격 t3-t5동안, 스위치(43)의 자기포화는 시간 t4부근에서 발생한다. 스위치(43)은 포화되고 스위치(42)는 비포화로 유지된다. 왜냐하면 소인간격 동안 직류제어 전류 Ic가 코어(142)에서 유도된 자속으로부터 공제된, 부극성 소인 전압에 의하여 유도된 자속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코어 (143)내의 바이어스 자속을 부가시키기 때문이다. 극성은 상반되나 약간 증가된 크기 I2의 부하전류 iL은 권선 모두가 단락되므로 시간 t4-t5사이에서 부하권선(42a) 및 (43a) 내에 흐른다. 부하권선(43a)는 코어(143)이 포화되기 때문에 단락되고 부하권선(42a) 역시, 저항 Rc의 저임피던스가 부하권선(42a) 양단에서 반사되기 때문에 유효하게 단락된다. V42a 및 V43a에 대한 제5b도 및 5c도에 도시된 전압레벨이 이상적임이 주지된다. 그러나, 각 전압의 정극성 부분에 걸친 시간적분은 부극성부분의 시간적분과 동일할 것이다.
조정은 자기스위치(42) 및 (43)이 자기적으로 교대로 포화될 때 매 편향주기내의 순간 t2및 t4를 변화시키므로 부하(37)에 결합된 편향 비율 전압의 총량을 변화시켜 달성된다. 증가된 제어전류 Ic에 의해 발생된 바이어스 증가 자속은 코어레그(142a)가 귀선내의 초기에 포화되는 것을 허용한다.
부하전류 iL은 오랫동안 흐를 것이고 따라서 증가된 부하상태 또는 낮은 교류주전압선 상태하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이, 부하회로(37)에 편향 비율전압의 증가 총량을 인가시킨다. 유사하게 감소된 부하상태 또는 높은 교류 주전압선 상태에 대한 감소 제어전류는 역시 요구되는 바와 같이 늦은 코어 포화를 허용한다.
제어권선(142b) 및 (143b) 내에 흐르는 제어전류 Ic는 두 성분을 구성한다. 제5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전류 ic는 제어회로(25)내의 직류전압원에 의해 공급된직류를 포함하고 또한 제어권선(42b) 및 (43b)로부터 부하권선(42a) 및 (43a)로 반사된 부하전류 iL을 구성하는 성분을 포함한다. 제어권선(42a)에 관한 부하권선 (42a)의 권선극성 및 권선(43b)에 관한 부하권선(43a)의 권선극성은 양코어(142) 및 (143)이 비포화될때 직렬로 결합된 제어권선내에 발생된 유도전압의 합을 소거하도록 제공된 것과 같다.
코어(142) 및 (143)이 모두 비포화될 때 제어권선(42b) 및 (43b)의 직렬 배열 양단에 유도된 네트 전압이 영일지라도 큰 귀선펄스 전압은, 크로나(corona) 항복을 방지하도록 사실상 권선부리가 요구되는, 귀선간격의 부분에 대한 각각의 제어권선내에 개발된다.
제3도에 도시된 자기조성기 회로(66)이 자기 구조(90)에 대해 제공되는데 있어서, 자기 스위치(42) 및 (43)은 두 개의 창을 가지는 단일코어(244)상에 배열된다. 단일 제어권선(45)는 거기에서 개발되어 지지않는 유도전압으로 사용된다. 부하권선 (42a)는 외부 레그(344)둘레에 권회되고 부하권선(43a)는 외부레그(444) 둘레에 권회되며 제어권선(45)는 중앙레그(544) 둘레에 권회된다.
제어권선(45)에 관한 부하권선(42a)의 권선극성은 제3도의 부호로 표시된 사각형 권선극성에 의해 표시된다. 레그(344)내의 코어 포화를 발생시키도록 요구된 바와 같이 귀선 동안 단자(27)에서 부하권선(42a)으로 흐르는 즉 단자(29)로부터 제어권선(45)으로 흐르는 제어전류 Ic에 의해 발생된 바이어스 자속과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는 정극성 자화전류는 레그(344)내에 자속을 발생시킨다.
제3도의 정극성 부호로 표시된 바와 같이 부하권선(42b)에 관한 부하권선 (42a)의 권선 극성으로, 부하권선(42a) 및 (43a)내에 개발된 귀선펄스에 의하여 발생된 자속은 중앙 레그(544)의 소거방향과 반대로 흐른다. 따라서, 코어 레그(344) 및 (444)가 비포화되는 동안, 부하권선(42a) 및 (43a)내의 귀선펄스는 코로나 하복과 분리요구를 감소시키도록 제어권선(45)내의 전압을 사실상 유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실시한 자기적으로 조정된 수평편향 회로(50)이 제4도에 도시된다. 제5a도 내지 5e도의 각각의 파형에 상응하는 제4도의 회로에 표시된 위치에서의 파형이 제6a 내지 6e도에 도시된다. 수평편향회로(50)는 수평 편향 권선(51)과 편향권선 (51)내의 편향 또는 주사전류를 발생하기 위한 수평편향 발생기(52) 및 플라이백 변압기(38) 또는 수평출력으로 구성한다.
수평편향 발생기(52)는 종래의 수평발진 구동기(53)과 베이스 전극 편향비율 스윗칭 신호가 턴 오프 트랜지스터(55)에 결합되고 귀선을 개시하도록 제어되는 수평출력 트랜지스터(55)를 구성하는 수평소인 스위치(54)와 제동 다이오드(56)과 귀선 캐패시터(57) 및 편향 권선(51)과 직렬로 결합된 소인 캐패시터(58)등을 구성한다. 트랜지스터(55)의 에미터는 비 절연된 접지(60)에 결합된다.
플라이 백 변압기(38)는 소인 스위치(54)에 결합된 주권선(38a)와 플라이 백 변압기 조정 부권선(38b)와 저전압 권선(38c) 및 전위를 촉진하는 초고압 비임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고전압 회로(59)에 결합된 고전압 권선(38d) 등을 구성한다.
브릿지 정류기(61)에 의해 전파 정류되고 쵸크인덕터(63) 및 캐패시터(64)를 구성하는 L-부분 필터(62)에 의해 여파된 도해적으로 120VAC60 헤르쯔의 교류 주전압선은 단자 A-A에 인가된다. 도해적으로 직류+90볼트인 비조정된 직류전원 VB는 캐패시터(64) 양단이나 또는 단자(21) 및 (31) 양단에서 개발된다.
단자(21)은 고주파 브릿지 정류기(32)의 출력단자를 구성한다. 수평편향회로 (50)는 고주파 브릿지 정류기(32)의 출력단자(22)에 결합된 플라이 백 주권선(38a)로서 제1도의 부하회로(37)를 구성한다.
입력단자(23) 및 (24) 양단에, 부권선(38b) 양단 전압에 의해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이백 조정기 부권선(38b)에 의해 개발된 고주파 편향비율 교류에너지원 (39)에 결합된다. 편향 비율 전압의 제어량은 자기 조정기회로(66)에 의하여 고주파 브릿지 정류기(32)에 인가된다. 정류기(32)는 단자(22)에서 도해적으로 +114볼트 직류의 큰 크기의 조정된 B+주사전압을 제공하도록 단자(21)의 비조정된 직류전압 UB에 편향비율 전압을 부가하고 또한 정류시킨다. 캐패시터(65)는 조정된 B+전압을 여파한다.
자기조정기(66)는 제4도에 개략적으로만 표시된 제3도의 코어 및 권선 구조를 가진다. 부하권선(42a)양단전압 V42a와 부하권선(43a) 양단전압 V43a는 각각 제6b도 및 6c도에 도시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자기 조정기(66)의 작동은 각각의 부하권선이 사실상 교대로 자기적으로 포화되는 것과 같다. 부하권선(42a)는 일반적으로 시간 t2-t3사이에서 자기적으로 포화되고 부하권선(43a)은 시간 t4-t5사이에서 일반적으로 포화된다. 제6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전류 iL은 시간 t4-t5사이에서 소인의 크기를 작게 증가시키므로서 시간 t2-t3사이에서 권선의 크기를 사실상 증가시킨다.
제어권선(45)에 인가된 제어전압 Vc는 귀선펄스 정류를 통하여 다이오드(49)에 의해 그리고 캐패시터(67)에 의한 여파에 의해 플라이백 저전압 권선(38c)으로부터 얻어진다.
제어권선(45)은 저항(68)과 제어회로(25)의 제어 트랜지스터(69) 및 다이오드(70)과 직렬로 결합된다. 제6e도에 도시된 제어전류 Ic를 변화시키도록 제어 트랜지스터(69)의 임피던스는 전압 Vc의 크기보다 더 변화된다.
단자(22)에서의 B+전압은 제어회로(25)의 단자(26)에 결합된 궤환전압으로 작용한다. 저항(71) 내지 (73)을 구성하는 전압 분할기는 궤환단자(26)는 결합된다. 차동 비교기(75)의 입력단자(74)는 저항(72)의 와이퍼암(wiper arm)에 결합된다. 차동비교기(75)는 차동으로 결합된 트랜지스터(77) 및 (78)과 공통 에미터 저항(79)와 콜렉터 저항(80) 및 트랜지스터(77)의 에미터와 트랜지스터(78)의 에미터 및 저항 (79)의 접합 사이에 결합된 루프이득 감소저항(81)등을 구성한다.
트랜지스터(77)의 베이스는 입력단자(74)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78)의 베이스는 직렬로 결합된 다이오드(83) 및 제너 다이오드(84)에 의해 기준전압이 제정되는 단자인 기준입력단자(82)에 결합된다. 제너다이오드(84)에 대한 바이어스 전류는 +Vc 전압에 결합된 저항(85)에 의하여 제공된다.
제어 트랜지스터(69)에 대한 베이스 전류는 트랜지스터(77)의 콜렉터로부터 제공되고, B+전원레벨의 변환에 의해 변화된다. 예를들면 B+전압의 감소는 제어전류 Ic가 증가되도록 제어 트랜지스터(69)에 대한 베이스 전류를 증가시킨다. 부하권선 (42a) 및 (43a)는 조정된 B+전압 레벨을 유지하도록 충전 캐패시터(65)로 흐르는 전류 i37및 부하전류 iL을 증가시키도록 편향주기의 각 부분내의 초기 순간에서 자기적으로 포화된다. 저항(86)과 제어 트랜지스터(69)는 병렬이고 제어권선(45)의 코로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 트랜지스터(69)가 차단될 때 조차도 최소 제어전류 Ic를 유지시킨다.
제4도에 대한 선택된 성분과 회로값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저항 68 : 100옴, 80 : 5.6킬로옴, 71 : 68킬로옴, 81 : 1.0킬로옴, 72 : 18킬로옴, 85 : 3.9킬로옴, 73 : 11킬로옴, 86 : 15킬로옴, 79 : 8.2킬로옴.
캐패시터 64 : 250마이크로 패러드, 65 : 1.5마이크로 패러드, 76 : 0.01마이크로 패러드.
인덕터 63 : 160밀리헨리.
제너마이오드 84 : 22볼트.
60왓트 입력부하에서의 부하전류 i37 : 평균 0.6암페어, 피크 4암페어
제어전류 Ic : 평균 40밀리암페어, 피크 80밀리암페어
플라이백 조정기 권선 38b 양단의 편향 비율전압 : 피크대 피크 125볼트
Vc : +27볼트 직류 B+ : 120볼트 직류
UB: 95 내지 120볼트 직류
자기구조 90 :
코어 244 : 각 단면이 뉴욕 페록스큐브 코퍼레이션 사우 거티즈의 페록스 큐브 206F 4403E 2A와 등가인 2개의 E형 단면.
중앙레그 횡단면 : 0.313인치(7.95밀리미터)*0.44인치(11밀리미터)
각 외부레그 횡단면 : 0.181인치(4,60밀리미터)*0.44인치(11밀리미터)
각 레그의 길이 : 0.83인치(21밀리미터)
코어의 높이 : 1.17인치(29.7밀리미터)
부하권선 42a 및 43a : 분리된 자기 동선 25번으로 25회 권회(0.4547 밀리미터 구경)
제어권선 45 : 분리된 자기동선 36번선으로 1600회 권회(1.1270밀리미터 구경)
통상 평균 약 40밀리암페어의 비교적 작은 제어전류 Ic가 제어권선(45)내에 흐른다. 따라서, 자기 조정기(66)에서는 비교적 약간의 저항 손실이 발생한다. 파손되기 쉬운 제어 반도체 스위치는 사용되지 않았고 제어회로망은 비교적 간단하다. 왜냐하면 스위치(42) 및 (43)은 포화 및 비포화의 단지 두상태에서만 필수적으로 작동되고 제3도의 자기구조는 스윗칭 상태를 변화시키는데 적은 제어전류만 요구되는 소형설계로 되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반도체 스위치류로서의 조정영역은 비교적 크다.

Claims (1)

  1. 편향권선(51)과, 편향권선(51)에 결합되어 편향전류를 발생하며 편향비율에너지원(38)을 포함하는 편향회로(54)와, 조정되지 않은 에너지원(UB)을 포함하는 자기적으로 조정된 편향회로에 있어서, 제1부하권선(42a)가 자기적으로 포화된 코어부분 (142)에 의하여 단락되어 편향회로(54)에 에너지를 전달할 때 편향회로(54)에 편향비율 에너지원(38)과 조정되지 않은 에너지원(UB)을 인가하며 코어부분(142)에 권회하는 제1부하권선(42a)을 포함하는 자기 스윗칭 장치(42,43)와, 상기 자기 스윗칭 장치 (42,43)에 접속되어 조정되지 않은 에너지원(UB)와 편향비율 에너지원(38)을 편향회로(54)에 인가하여 편향회로에 전달된 에너지의 량을 조정하므로 단락기간을 변화시켜 편향회로(54)의 에너지 레벨에 반응하는 제어회로(25)를 특징으로 하는 자기 스윗칭 편향회로.
KR1019790004206A 1978-11-30 1979-11-29 자기 스윗칭 편향회로 KR830000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5/964,972 US4209731A (en) 1978-11-30 1978-11-30 Magnetic switching regulator for a deflection circuit
US964,972 1978-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179B1 true KR830000179B1 (ko) 1983-02-17

Family

ID=25509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4206A KR830000179B1 (ko) 1978-11-30 1979-11-29 자기 스윗칭 편향회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209731A (ko)
JP (1) JPS5575374A (ko)
KR (1) KR830000179B1 (ko)
AU (1) AU5314579A (ko)
DE (1) DE2948362C2 (ko)
FR (1) FR2443176A1 (ko)
GB (1) GB2037522B (ko)
IT (1) IT1126434B (ko)
NZ (1) NZ1922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8830A (en) * 1979-11-30 1981-11-03 Rca Corporation Horizontal deflection generator and driver circuit
JPS6295073A (ja) * 1985-10-22 1987-05-01 Victor Co Of Japan Ltd 水平偏向回路
US4954757A (en) * 1988-10-27 1990-09-04 Hughes Aircraft Company Linear deflection amplifier with energy recovery
KR100202313B1 (ko) * 1996-03-28 1999-06-15 김광호 고압 안정화 회로
CN106182606A (zh) 2015-04-10 2016-12-07 株式会社松浦机械制作所 树脂注塑成形用模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21037A1 (de) * 1971-04-29 1972-11-02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Schaltungsanordnung zum Erzeugen eines Sägezahnstroms zur horizontalen Elektronenstrahlablenkung in einem Fernsehwiedergabegerät
DE2525122C3 (de) * 1975-06-05 1981-11-26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Speiseschaltung für eine Thyristor-Horzontalablenkstufe eines Fernsehempfängers
US4071810A (en) * 1976-06-02 1978-01-31 International Standard Electric Corporation Supply circuit for a television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948362C2 (de) 1982-04-29
DE2948362A1 (de) 1980-06-04
GB2037522A (en) 1980-07-09
NZ192276A (en) 1983-03-15
IT1126434B (it) 1986-05-21
FR2443176A1 (fr) 1980-06-27
AU5314579A (en) 1980-06-05
US4209731A (en) 1980-06-24
IT7927722A0 (it) 1979-11-29
GB2037522B (en) 1983-04-13
JPS5575374A (en) 1980-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27199A (en) Transistorized high voltage regulated power supply system with temperature compensating means
US4302717A (en) Power supply with increased dynamic range
US5517397A (en) Flyback power converter with spike compensator circuit
DE2935811A1 (de) Geschalteter spannungswandler
US4217632A (en) Regulated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saturable reactor means
EP0149312A1 (en) DC-DC converter
US3573605A (en) Closed loop ferroresonant regulator
US4417153A (en) High frequency switching circuit
GB2228152A (en) Power supply apparatus
EP0683936A1 (en) Control circuit for a switching dc-dc power converter including a controlled magnetic core flux resetting technique for output regulation
JPS6024664B2 (ja) スイツチング形電源回路
KR830000179B1 (ko) 자기 스윗칭 편향회로
US4321514A (en) Commutated SCR regulator for a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US4884180A (en) Regulated direct-current converter
EP0203270A2 (en) DC-DC converter comprising a PWM inverter producing a quasi-trapezoidal waveform, and a low losses rectifier to produce a DC output
CA1185361A (en) Television receiver power supply
US4215296A (en) Television deflection circuit
US3971975A (en) Switching regulator employing biased saturable core reactors
KR830000203B1 (ko) 조정된 편향회로
JPS5925245B2 (ja) 給電回路
US4916366A (en) Power supply protection circuit
US4635176A (en) High voltage DC generator with reduced ringing and voltage fluctuation
KR0136876B1 (ko) 텔레비젼 전원 장치
JP2763401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DE4238199A1 (de) Anordnung zur Bereitstellung einer stabilisierten Heizspannung für Schaltnetzteil-gespeiste Magnetr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