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501B1 - 미데카마이신 유도체 제법 - Google Patents

미데카마이신 유도체 제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501B1
KR790001501B1 KR760001600A KR760001600A KR790001501B1 KR 790001501 B1 KR790001501 B1 KR 790001501B1 KR 760001600 A KR760001600 A KR 760001600A KR 760001600 A KR760001600 A KR 760001600A KR 790001501 B1 KR790001501 B1 KR 790001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midecamycin
solution
chloroform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001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로스 프랑소와
칼배 알래앵
Original Assignee
원본미기재
메이지 세이카 가이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본미기재, 메이지 세이카 가이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원본미기재
Priority to KR760001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501B1/ko

Links

Landscapes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미데카마이신 유도체 제법
본 발명은 일반명 "미데카마이신"으로 통칭되는 다음 일반식으로 표시된 항생물질의 신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신규 화합물은 다음 일반식(1)에 해당한다.
Figure kpo00002
식 중,
X는 산소 또는 유황을 표시하고,
R1은 직쇄 또는 분지쇄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아릴기를 표시하며,
R2는 수소원자 또는 아실기를 표시한다.
상기 일반식(1)에서 점선은 이중결합의 존재 가능성을 표시하고, 2개의 이중결합(10),(11)과 (12),(13)은 동시에 존재하거나 2개의 이중결합이 모두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반식(1)의 신규 화합물은 미데카마이신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중요한 잇점이 있다.
첫째, 시험관내에서 각종의 그람양성균에 대해서는 최소한 대등한 항균작용을 갖는다.
둘째, 생체내에서 동일용량으로 속발성 질환에 대하여 보다 양호한 보호작용을 갖는다.
셋째, 경구투여후 혈장이행율이 높다.
넷째, 미데카마이신의 극히 강한 고미를 적게 해준다.
일반식(1)에서 R2가 수소인 화합물은 다음 일반식으로 표시된 클로로포름에이트 또는 티오클로로포름에이트를 다소 상승된 온도(0-25℃)에서 피리딘중에서 작용시켜 미데카마이신으로부터 제조한다.
Figure kpo00003
식중, X는 산소 또는 유황을 표시하고, R1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일반식(1)의 유도체로서 10,11 및 12,13에 이중결합을 갖지 않는 것은 미데카마이신 대신에 공지의 화합물인 테트라하이드로미데카마이신을 사용하면 얻어진다. 화합물의 분리는 물로 희석시킨 다음에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적당한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조제 생성물을 필요에 따라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든가 필요에 따라 적당한 용매로부터 결정시켜 정제할 수 있다.
일반식(1)에서 R2가 아실인 화합물은 환류하에 피리딘중에서 산무수물(R2CO)20을 작용시켜 R1이 수소인 화합물로부터 제조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일반식(1)의 9-메톡시카르보닐 미데카마이신(R1=CH3, X=0, R2=H)
미데카마이신 15g을 피리딘 120ml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빙욕중에서 냉각시켜 메틸 클로로포름에이트 30ml를 적가한 후 혼합물을 환경온도에서 교반하면서 24시간동안 방치한 다음, 반응용액을 물 500ml로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 150ml로 3회 추출하였다.
다음 유기층을 세척액의 pH가 4로 될때까지 희염산으로 세척하고 중탄산나트륨 포화용액 150ml, 물 150ml 및 염화나트륨 포화용액 150ml으로 연속하여 세척한 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킨 용액을 진공하에 증발건조시키고, 유상 잔사(13g)을 용출제로서 우선 벤젠-아세톤 혼합물(19/1)을 사용하여 실리카칼럼(200g)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여 각종의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다시 용출제로서 벤젠-아세톤혼합물(4/1)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한 결과 조제생성물 7.5g이 얻어졌다.
다음 순수한 생성물을 얻기 위하여 상기 조제 생성물을 부틸 클로로포름에이트로 대치하여 동일한 처리를 행한 결과 황색 분말(12g)이 얻어졌다. 융점 75℃
원소분석 : 이론치 C : 60.44, H : 8.27, N : 1.53
분석치 C : 60.55, H : 8.46, N : 1.39
IR스펙트럼(브롬화 칼리움점)은 1,260㎝-1에서 강한 밴드를 나타냈음.
[실시예 2]
일반식(1)의 9-이소부톡시카르보닐 미데카메이신(R1=i-C4H9, X=0, R2=H)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메틸 클로로포름에이트 대신에 이소부틸 클로로포름에이트를 사용하여 동일한 처리를 행한 결과 분말(8.4g)이 얻어졌다. 융점 114℃
원소분석 : 이론치 C : 60.44, H : 8.27, N : 1.53
분석치 C : 60.45, H : 8.24, N : 1.47
[실시예 3]
일반식(1)의 9-펜옥시카르보닐 미데카마이신(R1=C6H5, X=0, R2=1)
미데카마이신 4.06g을 아세톤 70ml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피리딘 1.38g을 첨가한 다음에 아세톤 30ml에 용해시킨 페닐 클로로포름에이트 4.7g의 용액을 가한후 혼합물을 환경온도에서 16시간동안 방치하여 물 500ml에 주입하고, 이 혼합물을 15% 가성소다 용액으로 pH 8로 되게 알카리화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 200ml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용액을 염화나트륨 포화용액 200ml로 2회 추출하여 황산 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킨 후 유상잔사를 실리카 칼럼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여 벤젠 50ml에 용해시킨 다음, 이 용액을 250ml 플라스크에 넣고 플라스크의 전체벽과 접촉하는 액상 질소로 냉각하여 냉동시키고, 플라스크를 저진공(P〈Hg 0.1mm)으로 되게한 후 플라스크를 액상 질소로부터 옮기고 증발시켜 얻어진 냉각물을 충분히 방치한 결과 고체상태의 괴상생성물이 얻어졌다.
원소분석 : 이론치 C : 59.22, H : 7.98, N : 1.66
분석치 C : 49.84, H : 7.94, N : 1.57
IR스펙트럼(클로로포름용액중)은 비대칭 O-C-O기의 특징인 1,275㎝-1에서 강한 밴드를 나타냈음.
[실시예 4]
일반식(1)의 9-에톡시카르보닐 미데카마이신(R1=C2H5, X=0, R2=H)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미데카마이신 15g을 사용하고 메틸 클로로포름에이트 대신에 당량의 에틸클로로포름에이트를 사용하여 동일한 처리를 행한 결과 보다 높은 순도의 생성물이 얻어졌으며, 이 생성물은 실리카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가 필요하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벤젠용액을 증발시킨 결과 고체잔사(13g)가 얻어졌다. 융점 121℃
원소분석 : 이론치 C : 59.64, H : 8.09, N : 1.58
분석치 C : 59.61, H : 8.02, N : 1.70
IR스펙트럼(브롬화칼리움정)은 1,260㎝-1에서 강한 밴드를 나타냈음.
[실시예 5]
일반식(1)의 부톡시카르보닐 미데카마이신(R1=C4H9, X=0, R2=H)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메틸 클로로포름에이트 대신에 벤젠-아세톤 혼합물(5/1)로 용출시켜 결정시킨 후 석유에테르로부터 재결정시킨 결과 생성물 4g이 얻어졌다. 융점 126℃
원소분석 : 이론치 C : 61.72, H : 7.66, N : 1.50
분석치 C : 61.57, H : 7.67, N : 1.25
IR스펙트럼(클로로포름용액중)은 1,265㎝-1에서 강한 밴드를 나타냈음.
[실시예 6]
일반식(1)의 9-알릴옥시카르보닐 미데카마이신(R1=CH2=CH-CH2, X=0, R2=H)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메틸 클로로포름 대신에 알릴 클로로포름에이트를 사용한 결과 백색분말(9.6g)이 얻어졌다. 융점 97℃
원소분석 : 이론치 C : 60.18, H : 7.97, N : 1.56
분석치 C : 60.10, H : 8.03, N : 1.38
IR스펙트럼(클로로포름용액중)은 1,265㎝-1에서 강한 밴드를 나타냈음.
[실시예 7]
일반식(1)의 9-에틸티오카르보닐 미데카마이신(R1=C2H5, X=S, R2=H)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메틸 클로로포름에이트 대신에 S-메틸-티오클로로포름에이트를 사용하고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한후 석유에테르로부터 결정시킨 결과 생성물 6g이 얻어졌다. 융점 121℃
원소분석 : 이론치 C : 58.58, H : 7.93, N : 1.55, S : 3.55
분석치 C : 59.00, H : 8.04, N : 1.43, S : 3.57
IR스펙트럼(브롬화 칼리움정)은 1,130 및 1,168㎝-1에서 강한 밴드를 나타냈음.
[실시예 8]
일반식(1)의 9-프로필티오카르보닐 미데카마이신(R1=C3H7, X=S, R3=H)
상기 실시예 7의 방법에 따라 S-에틸-티오클로로포름에이트 대신에 S-프로필-티오 클로로포름에이트를 사용하고 석유에테르로부터 결정시킨 결과 생성물 8.2g이 얻어졌다. 융점 128℃
원소분석 : 이론치 C : 59.00, H : 8.03, N : 1.52, S : 3.50
분석치 C : 59.05, H : 8.14, N : 1.42, S : 3.66
IR스펙트럼(브롬화칼리움정)은 1,130 및 1,168㎝-1에서 강한 밴드를 나타냈음.
[실시예 9]
일반식(1)의 9-메톡시카르보닐 테트라하이드로미데카마이신(R1=CH3, X=0, R2=H, 10,11 및 12,13 포화됨)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미데카마이신 대신에 테트라하이드로미데카마이신을 사용하여 처리한 결과 소망하는 생성물 4.4g이 얻어졌다. 융점 86℃
원소분석 : 이론치 C : 58.95, H : 8.40, N : 1.60
분석치 C : 59.15, H : 8.41, N : 1.46
스펙트럼(클로로포름용액중)은 1,280㎝-1에서 강한 밴드를 나타냈음.
[실시예 10]
일반식(1)의 9-에톡시카르보닐 테트라하이드로미데카마이신(R1=C2H5, X=0, R2=H, 11,10 및 12,13 포화됨)
상기 실시예 9의 방법에 따라 메틸 클로로포름에이트 대신에 에틸 클로로포름에이트를 사용하여 처리한 결과 소망하는 화합물 4.3g이 얻어졌다. 융점 82℃
원소분석 : 이론치 C : 59.37, H : 8.50, N : 1.57
분석치 C : 59.67, H : 8.59, N : 1.39
스펙트럼(클로로포름용액중)은 1,275㎝-1에서 강한 밴드를 나타냈음.
[실시예 11]
일반식(1)의 9-부톡시카르보닐 테트라하이드로미데카마이신(R1=C4H9, X=0, R2=H, 10,11 및 12,13 포화됨)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미데카마이신 대신에 테트라하이드로미데카마이신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한 결과 황색분말(6g)이 얻어졌다. 융점 84℃
원소분석 : 이론치 C : 60.17, H : 8.67, N : 1.53
분석치 C : 60.58, H : 8.63, N : 1.47
IR스펙트럼(클로로포름용액중)은 1,275㎝-1에서 강한 밴드를 나타냈음.
[실시예 12]
일반식(1)의 9-알릴옥시카르보닐 테트라하이드로미데카마이신(R1=CH2=CH=CH2, X=0, R2=H, 10,11 및 12,13 포화됨)
실시예 11의 방법에 따라 부틸 클로로포름에이트 대신에 알릴 클로로포름에이트를 사용하여 처리한 결과 황색분말(3.2g)이 얻어졌다. 융점 93℃
원소분석 : 이론치 C : 59.92, H : 8.38, N : 1.55
분석치 C : 59.90, H : 8.27, N : 1.42
[실시예 13]
일반식(1)의 9-에틸티오카르보닐 테트라하이드로미데카마이신(R1=C2H5, X=S, R2=H, 10,11 및 12,13 포화됨)
실시예 7의 방법에 따라 미데카마이신 대신에 테트라하이드로미데카마이신을 사용하여 처리한 결과 황색분말(7.2g)이 얻어졌다. 융점 96℃
[실시예 14]
일반식(1)의 9-에톡시카르보닐-2'-아세틸 미데카마이신
Figure kpo00004
실시예 2의 화합물 2.6g과 무수초산 3g을 피리딘 40ml에 가하고, 이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환류하에 유지시킨 후 메탄올 10ml을 첨가하고 15분간 더 환류를 계속하여 혼합물을 물 150ml에 주입하고 희가성소다액을 가하여 pH 8-9로 알카리화시킨 다음,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ml로 2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1N 염산 중탄산나트륨 포화용액 및 물로 연속하여 세척시킨 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켜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알루미나 칼럼을 통해서 여과하여 잔사를 에테르-헥산 혼합물로부터 결정시킨 결과 약간의 유색 고체(1.65g)가 얻어졌다. 융점 239℃
원소분석 : 이론치 C : 59.53, H : 7.93, N : 1.51
분석치 C : 59.58, H : 7.92, N : 1.38
IR스펙트럼(브롬화칼리움정)은 1,230㎝-1(아세테이트) 및 1,260㎝-1(카보네이트)에서 강한 밴드를 나타냈음.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일반식(1)의 화합물에 대해서 약리적 성질을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 특히 경구투여후 혈중농도뿐만 아니라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의 정균작용에 대해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관내" 정균작용
이 시험은 냉동배지중에서 희석액을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pH 7에서 뮬러-힌톤(Mueller-Hinton)배지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유효화합물을 ml당 0.05-50mg 함유하는 배양배지를 얻기 위해서는 피시험 화합물의 다수의
Figure kpo00005
희석액을 사용하였으며, 각 배지에는 그림양성 균주를 접종하여 37℃(24-48시간)에서 보온기중에 보관한 후 최소 억제농도, 즉 MICs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으며 표 1에는 역시 미데카마이신에 의해 얻어진 결과도 함께 표시되어 있다. 다음 표 2에서 시험결과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2종의 화합물에 대해 그람양성균의 많은 샘플로부터 얻어진 것이다.
"생체내" 항균작용
항포도상구균작용과 항쌍구균작용을 쥐의 패혈증에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을 작용시켜 측정하였다. 쥐는 포도상구균 또는 폐염쌍구균 배양육즙의 용액을 복강내 주사로 감염시켰으며, 경구처리는 3일간 1일 2회 행하였고, 균주접종이 끝나고 1시간후에 시작하였다.
각 용량의 화합물을 투여하기 위해 10마리로 구성된 그룹의 쥐를 사용하였으며, 각 그룹의 쥐의 치사율은 감염되었으나 처리되지 않은 대조용 그룹의 것과 비교하였다. 관찰은 6일간 추적되었다.
다음 표 3에서 시험결과는 본 시험화합물의 하나인 실시예 2의 화합물을 미데카미이신과 비교하여 얻어진 것이다.
혈장이행율의 측정
가. 쥐에서의 측정
쥐를 가능한 한 균등하게 4그룹으로 나누고, 이들 쥐에게 콜로이드상(껌상) 수용액에 현탁시킨 현탁제의 화합물을 OS당 공지의 양으로 위소식자에 의해 투여하였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한 그룹의 쥐가 매 시간마다 치사되었으며, 각 쥐의 혈액은 장간막정맥에 의해 개별적으로 채취하였다.
다음, 소정량의 헤파린을 첨가한 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였다. 이와같이 분리된 혈장을 사용하여 생물학적 방법으로 화합물의 용량을 알아냈다. 조작은 시험균주, 즉 사르시네아 루테아(Sarcinea Lutea) ATCC 9341에 대하여 pH 8에서 뮬러-힌톤 배지중에서 확산법으로 행하였다. 용량은 큐풀라(Cupula)로 알아냈다. 혈장은 균주와 접촉시키고 다음날에 억제직경을 측정하였으며 이 결과 대조용 샘플에 대하여 농도는 0.25-8γ/ml 범위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음 표 4는 OS 당 100 및 200mg/kg의 용량으로 투여했을때 동일용량으로 투여한 미데카메이신으로부터 얻어진 결과와 비교한 실시예 2의 화합물로부터 얻어진 혈장 이행율을 표시한다.
나. 개에서의 측정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개에게 실시예 2의 화합물 400mg을 단일용량으로 경구투여하여 혈장이행율을 측정하였다. 시험결과는 미데카마이신을 동일용량으로부터 얻어진 것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5에 표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제조된 일반식(1)의 화합물은 그람양성균으로 인한 감염증의 치료와 특히 연쇄상구균 및 포도상구균 감염증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은 경구투여(정제, 캡슐제, 현탁제, 경구용 겔제등), 주사, 및 직장투여용으로 적합하다. 실시예 2의 화합물을 사용한 제제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캡슐제(함량 200mg)
실시예 2의 화합물 2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mg
1호 캡슐용
정제(함량 200mg)
실시예 2의 화합물 200mg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100mg
엠버라이트 IRP 88* 2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0mg
300mg 정제용
(*는 Rohm Hass제품 이온교환 수지임)
즉석용 구강 겔제
실시예 2의 화합물 0.1g
사카린산 나트륨 0.0013g
시클라민산 나트륨 0.02g
글리카밀 0.002g
소디움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300cps) 0.12g
에어로질 0.01g
분말 서당 4.1607g
만니톨 3.0g
방향제 0.586g
티스푼 하나분량의 물에 의한 희석용 8g포지
[표 1]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표 2]
Figure kpo00008
[표 3]
Figure kpo00009
[표 4]
Figure kpo00010
[표 5]
Figure kpo00011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미데카마이신 또는 테트라하이드로미데카마이신을 피리딘중에서 다음 일반식(2)의 클로로포름에이트 또는 티오클로로포름 에이트와 반응시켜 R2가 수소인 다음 일반식(1)의 화합물을 얻은 다음, 피리딘 중에서 무수 초산과 반응시켜 R2가 아실기인 다음 일반식(1)의 미데카마이신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식중,
    X는 산소 또는 유황을 표시하고,
    R1은 직쇄 또는 분지쇄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아릴기를 표시하며,
    R2는 수소원자 또는 아실기를 표시한다.
KR760001600A 1976-06-29 1976-06-29 미데카마이신 유도체 제법 KR790001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1600A KR790001501B1 (ko) 1976-06-29 1976-06-29 미데카마이신 유도체 제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1600A KR790001501B1 (ko) 1976-06-29 1976-06-29 미데카마이신 유도체 제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501B1 true KR790001501B1 (ko) 1979-10-24

Family

ID=19202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001600A KR790001501B1 (ko) 1976-06-29 1976-06-29 미데카마이신 유도체 제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50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72636B1 (en) 6-o-methylerythromycin a derivative
US4331803A (en) Novel erythromycin compounds
KR0166096B1 (ko) 6-0-메틸에리쓰로마이신 a 유도체
EP0001841B1 (en) Tylosin derivatives
JPH09511498A (ja) エリスロマイシンおよびアジスロマイシンの3”−デスメトキシ誘導体
KR20010099806A (ko) 아지트로마이신의 에탄올레이트, 이것의 제조 방법 및약학 조성물
RO109338B1 (ro) Derivati de o-metil ai azitromicinei a,procedeu de preparare a acestora si compus intermediar
EA001376B1 (ru) Новые производные эритромицина,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медикаментов
US5215980A (en) 10-AZA-9-deoxo-11-deoxy-erythromycin A and derivatives thereof
FI72322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terapeutiskt anvaendbara makrolider.
EP0080229B1 (en) Salicylic derivatives of n-acetylcysteine
EP0132944A1 (en) Antibacterial homoerythromycin A derivatives and intermediates therefor
AU597194B2 (en) Antibacterial 9-deoxo-9a-allyl and propargyl-9a-aza-9a-homoerythromycin a derivatives
KR790001501B1 (ko) 미데카마이신 유도체 제법
EP0057489B1 (en) Thiolic derivatives of erythromycin having therapeutic activity,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WO1999000125A1 (en) 9a-aza-3-ketolides, compositions containing such compounds and methods of treatment
DK159450B (da) 9-deoxo-9a-methyl-9a-aza-9a-homoerythromycin b og farmaceutisk acceptable syreadditionssalte deraf samt 9-deoxo-9a-aza-9a-homoerythromycin b til anvendelse som mellemprodukt ved fremstilling deraf
DK152133B (da) Analogi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oleandomycinderivater eller farmaceutisk acceptable syreadditionssalte deraf
JPS63287793A (ja) 新規マクロライド誘導体、その製法および該誘導体を含有する薬用組成物
US5032581A (en) Tylosin derivatives
US4141971A (en) Derivatives of midecamycine
JPH0755951B2 (ja) セルビノマイシン系抗生物質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S632274B2 (ko)
JPS59167598A (ja) C−20−およびc−23−修飾マクロライド誘導体類
BG100164A (bg) Нови съединения от клас секомакролиди и секоазалиди и метод за получаването и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102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