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488B1 - 탬펀(tam-pon)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탬펀(tam-pon)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488B1
KR790001488B1 KR7601866A KR760001866A KR790001488B1 KR 790001488 B1 KR790001488 B1 KR 790001488B1 KR 7601866 A KR7601866 A KR 7601866A KR 760001866 A KR760001866 A KR 760001866A KR 790001488 B1 KR790001488 B1 KR 790001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mpon
tampons
outer tube
tube
front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1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프 링 데이빗드
Original Assignee
체스 터 다불류 브랜드
킴버리-크라아크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체스 터 다불류 브랜드, 킴버리-크라아크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체스 터 다불류 브랜드
Priority to KR7601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4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6Means for inserting tampons, i.e.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탬펀(tam-pon) 삽입장치
제 1 도는 외측 소자(素子) 일부분을 파단(破斷)한 본 발명의 삽입 장치의 한 구체예의 측면도이다,
제 2 도는 변형성 탬펀(tampon)을 함유한 제 1 도 삽입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 3 도는 제 2 도의 3-3선을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를 나타내는 제 3 도에 유사한 종단면도이다,
제 5 도는 삽입 장치의 내측소자를 수정한 변형(變形)을 보여 주는 또 다른 종단면도이다,
제 6 도는 삽입기에서 완전 사출된 후 팽창을 시작 할때 이상적 형태로서 나타 날수 있는 부분적 재팽창된 탬펀을 보여 주는 제 2 도에 유사한 측면도이다,
제 7 도는 본 발명에 사용 하기에 적합한 탬펀의 또 다른 구체형을 보여 주는 평면도이다,
제 8 도는 제 7 도의 8-8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 9 도는 또 다른 스트립 구조물을 보여 주는 제 8 도에 유사한 단면도이다,
제 10 도는 탬펀과 삽입 장치의 조립 첫단계를 설명해 주는, 내측소자와 조합된 제 7 도 탬펀의 일부파단 측면도이다,
제 11 도는 삽입장치의 외측 관상(管狀) 부재내에 부분적으로 끼워 넣은 탬펀을 보여 주는 제 10 도에 유사한 측면도이다,
제 12 도는 삽입잡치 내에 완전히 배치된 제 7 도 탬펀의 측면도이다,
제 13 도는 제 12 도의 종단면도이다,
제 14-16 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 하기에 적합한 탬펀의 다른 구체예에 대한 몇몇 도면이다,
제 17-19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탬펀에 대한 몇몇 도면이다,
제 20 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 하기에 적합한 구형 루프 탬펀의 구체예의 측면도이다,
제 21 도는 제 20 도 탬펀의 상부(上部) 평면도이다,
제 22 도는 삽입장치의 외측 전달 튜브에 탬펀을 끼워 넣기에 앞서 편평하게 한 구형체가 어떻게 나타 나는가를 보여 주는 제 20 도 및 제 21 도 탬펀의 상부 평면도이다,
제 23 도는 삽입장치와 탬펀이 조합되는 첫단계를 보여 주는, 삽입기 소자와 조합된 편평하게 한 제 22 도 탬펀의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제 24 도는 삽입 장치의 외측 전달 튜브내에 부분적으로 끼워 넣은 제 22 도 탬펀을 보여 주는 부분 측면도이다,
친수성 또는 친멘시즈필릭(menses philic) 폴리우레탄 포말 같은 부드러운 변형성 물질, 특히 탄성 변형 물질로 만들어진 흡수성 탬펀이 월경 분비물에 대한 고흡수능을 제공하며 초기 누출을 최소로 하는 경향이 있음이 알려졌다, 이것은 얼마간은 비교적 비압축된 저밀도 물질이 처음부터 가장 효율적인 흡수 상태에 있으며 유용한 크기로 팽창 시키는 다른 팽창활성제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게다가 부드러운 비압축 저밀도 물질은 좀더 용이하게 분비물을 수용하고 종래의 압축 탬펀의 경화된 표면적 보다 좀더 빨리 흡수하는 표면적을 갖고 있다. 나아가서 포말과 같은 탄성물질이 사용 될때 포말이 가지는 용수철과 같은 고유의 탄성은 이러한 포말들이 정상 허탈 상태의 질벽의 복잡 불규칙한 주름이 용이하게 순응 할수 있도록 해둔다. 질벽에 의해 포말의 특정지역에 발휘되는 높은 압력은 그러한 압력을 받는 포말의 특정 지역을 상당히 압축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적은 압력을 발휘하는 인근의 벽 지역은 상대적으로 포말을 적게 압축하여 포말은 정상적인 비압축 상태로 팽창 하려고 하면서 공간을 채우려고 하므로 구(溝)측면으로 누출 되거나 조기 파손의 가능성을 감소 시킨다,
탄성 변형 또는 다른 부드러운 저밀도 물질을 월경에 내용(內用)으로 사용 하는데 있어서의 주된 문제점은 그러한 부드러운 탄성 물질을 질구(膣溝) 내로 삽입하는 것에 대해 보통 저항하는 높은 압력을 견디어 내면서 그 물질을 질개(膣蓋) 내로 편리하게 전달 할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한 물질은 튜브내에 압축 한정된 때 조차도 유효한 주(柱)상 강도 또는 보존성을 가지지 못한다, 따라서 외측 튜브에 탬펀이 압축 배치되고 탬펀을 질강(膣腔) 내로 사출 시키기 위해 탬펀의 하부를 밀기위한 내측 튜브 혹은 유사한 미는 장치가 이용 되는, 망원경식으로 끼워 넣는 한쌍의 튜브로 이루어진 종래의 전달 시스템이 사용 되었을 때는, 사출되는 동안 탬펀은 붕괴 되거나 종적으로 압축되어 옆으로 퍼짐으로서 튜브내에서 움직이지 않게 되어 전달이 매우 어렵거나 혹은 불가능 하다는 사실이 발견 되었다. 결과로서 보통의 튜브시스템을 사용시는 물질을 탄성 한계 넘어로 압축 하거나, 다른 방법으로는 탬펀 물질을 충분히 조밀하게 혹은 뻣뻣하게 만들어 탬펀이 충분한 일시적 구조 보존성 또는 주상 강도를 가짐으로서 자체 지지 되고 그리하여 상기한 어려움이 없이 하부로 부터 튜브에서 밀고 나갈수 있게 해야만 했다.
그리하여 부드러 우면서 삽입 하자마자 탄성 팽창 능력이 있는 탬펀 사용의 바람직함이 인식되어 온 반면, 바람직한 실질적 비압축 상태에 있으며 경제적으로 적절한 방법으로 그러한 능력을 가진 탬펀의 전달장치는 본 발명의 이전에는 만족할만 하게 달성되지 않았다, 삽입 될때 변형성 탬펀을 기계적으로 펼치는 삽입 장치가 개발 되었으나 탄성 변성 물질로 된 탬펀을 일시적으로 변형 상태에 만족할만하게 유지하고; 비교적 비압축 상태에서 탬펀을 용이하게 전달 할수 있으며; 탄성 압축 될수 있는 물질이 사용 될때는 탬펀 자체의 고유탄성을 이용하여 전달후 기계적인 보조 전개(展關)나 혹은 탬펀이 포획 하도록 설계된 액체의 차후 흡수에 의한 활성화의 필요없이 자동적으로 팽창하는 장치는 개발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탬펀의 밀도, 부드러움, 구조 보존성 또는 주상 강도와 실질적으로 무관하며 그러나 정상적으로 마주치는 질벽의 고압력 저항에도 불구하고 탄성이건 혹은 아니건 간에 부드럽고 쉽게 변형되는 저밀도 탬펀을 비교적 용이하게 질강내에 삽입할 수 있는 전달 시스템을 제공한다,
게다가 시스템의 일시적 한정 이송부재로부터 배제 된후 탬펀의 측면 위치 조정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여기에 더욱 정의하는 바와 같이 기술한 전달 시스템과 특히 적합한 탬펀과의 조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달 시스템은 얼핏 보기에는 종래의 것처럼 보이는 탬펀이 부드럽고 변형성 상태인 동안 탬펀을 질내에 전달하기 위한 한쌍의 끼워 넣는 부재를 이용한다.
즉 전달 시스템은 외측 소자가 탬펀-한정 튜브 또는 쉬스(sheath)의 형태로 되어 있고 내측 소자는 외측 튜브내에 미끄러져 들어 갈수 있도록 배치된 본관(本管) 부분을 가지고 있는 한쌍의 끼워 넣는 소자로 이루어져 있다.
이 구조물은 내측 소자에 본관 부분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중앙에 배치된 전면 연장부가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점에서 이전의 것들과는 다르다, 이 전면 연장부는 내측 소자의 본관 부분이 외측 튜브내에 위치 했을 때 적어도 외측 튜브 길이의 대부분을 통과하여 뻗어 있도록 크게 한다, 탬펀과 조합 될때, 전면연장부의 선단은 탬펀이 외측 튜브내에 배치되어 있을 때는 변형성 탬펀 두부(頭部)의 내면을 지탱하는 부재로서 작용 하며 사출 동안은 튜브로부터 탬펀의 잔존 꼬리 부분을 당기는 역할을 한다.
탬펀과 전달 시스템을 조립 하는데 있어서 탬펀 내면을 지탱하는 전면 연장부의 선단은 압력을 받지 않은 탬펀 하부 표면의 대략 중심점에다 붙이며 그리하여 위치 결정된 것은 전체 탬펀이 외측 튜브 안쪽에 배치 될 때까지 외측 튜브내로 밀어 넣는다, 이렇게 하여 조립 되었을 때 전면 연장부에 놓인 탬펀의 두부는 그 지지점에서 두께로 압축 되며 탬펀의 잔존 꼬리 부분은 전면 연장부 주위에 배치되고 내측 소자의 전면 연장부와 외측 튜브의 내벽 사이에 탄성 압축된다. 의도한 용도에 사용할 때는 탬펀을 함유한 외측 튜브가 먼저 원하는 깊이만큼 질강내로 삽입된다. 그리고서 사용자는 내측소자의 후단을 눌러 내측소자가 앞쪽으로 외측 튜브내에 미끄러져 들어가서 탬펀이 질강내로 사출 되도록 한다. 사출되는 동안 변형성 탬펀은 한정부재를 통하여 미끄러지면서 오랜 기간 동안의 저장이나 고온 멸균에 기인한 압축 영구왜(壓縮永久歪)를 느슨하게 하여 탬펀은 본래의 비압축 형태를 되찾는다. 물론 자연 상태에서의 질강의 허탈된 벽의 제한하는 성질은 탬펀이 내내 팽창 하도록 허용 하지는 않을 것이나, 그러나 이 물질은 부드럽고 쉽게 변형 되므로 탬펀은 항상 팽창 하려고 하며 제한 받지 않는 지역을 채우게 되어 질벽이 자연적으로 가지는 다수의 불규칙한 모양과 형태에 대부분 순응하게 된다. 나아가서 정상적인 신체 운동을 하는 동안 이러한 모양과 형태가 변화하게 될때, 탬펀의 변형성은 탬펀의 형태가 이 신체 운동과 주고 받을 수 있게 함으로서 고도로 압축된 탬펀에서 자주 일어나는 불쾌감 없이 질의 모양에 계속적으로 순응할 수 있게 한다.
외측 튜브로부터 질내로 사출 될때 탬펀의 두부 내면은 시초에는 내측 소자 전면 연장부의 선단과 접촉한 상태로 있게 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삽입기를 사용하여 한정된 범위에서 탬펀을 질내에서 옆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삽입 장치를 회수하기 전에 원한다면 좀더 편안하게 위치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사출후 위치 조정은 종래의 튜브형 삽입기로는 불가능 한데 이는 후자의 삽입기가 사용 될 때는 일단 탬펀이 사출되면 내측 소자는 탬펀과의 실제적 접촉을 모두 잃게 되는 때문이다.
전달 부재들은 다른 플라스틱 및 판지를 포함한 다른 적당한 물질이 사용 될수도 있으나 바람직 하게는 저밀도 내지 고밀도의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같은 부드럽고 유연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진다. 외측 튜브의 전면은 개방 될수도 있고 당업계에서 알려진 인접된 유연한 꽃잎 모양의 소자들로 구성된 실질적으로 폐쇄된 형태일수도 있으며 이것은 탬펀이 발사 될 때 구부러져서 개방된다.
탬펀은 부드러운 변형성 물질로 만들어 지나 바람직 하게는 친수성 및 멘시즈필릭 폴리우레탄 포말의 시트 또는 스트립으로 만들어지며 이떤것 중에는 당업계에 많은 것들이 알려져 있다. 중요한 특성은 탬펀의 중심부가 내측 소자의 전면 연장부에 놓여 질때 이것이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외측 튜브내에 일시적으로 한정 될수 있도록 선택된 모양이 충분히 변형성이라는 것이다. 또한 포말의 스트립 또는 시트가 사용 될때 시트나 스트립은 액체를 통과시키는 직포 또는 부직포로 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 하게는 그러한 포장은 어떤 의미로는 흡수성 물질이 젖었을 때 제한을 받지 않고 팽창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부직포가 보통 좀더 경제적이므로 바람직하다. 그러한 포장지는 비교적 약한 포말에 인장강도를 증가 시키며, 게다가 포장지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포말 표면과 전달 튜브의 내벽 사이에서 생겨 날수 있는 마찰량을 감소 시킨다. 포장지는 친수성 일수도 있고 소수성일수도 있다.
탬펀과 삽입기가 조립 될때 탬펀은 외측 튜브내에 완전히 끼워 넣을 수도 있고 또는 다른 방법으로는 부분적으로 전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을 가질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노출된 두부는 삽입동안 면봉(綿棒)으로 작용하며 초기 누출의 가능성에 대비한 확실성을 증가 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과 상세한 설명을 참고로 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의 제 1 도에서는 본 발명의 삽입장치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보여준다. 여기에서 볼수 있듯이 삽입기는 한 세트의 망원경 식으르 끼워 넣는 소자로 이루어져 있다. 외측소자 12는 그 후단에 손가락으로 붙드는 장치를 제공하는 플랜지 13을 가진 개구관(開口管)의 형태로 되어 있다. 내측소자는 외측소자 12의 내벽에 미끄러져 들어가 계합된 본관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관 부분 14는 관상(管狀)이며 그 후단에 정지 플랜지 15를 가지며 그 전단에는 본관 14 보다 작은 직경의 축 방향으로 배치된 전면 연장부 16을 가지고 있다. 이 도면에서 보듯이 전면 연장부 16의 선단 17은 외측소자 12의 선단 넘어까지 뻗어 있다. 전면 연장부의 길이는 물론 선택된 디자인의 필요조건을 충족 시키도록 조정 될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내측 소자를 완전히 정지 위치까지 앞으로 내 보냈을 때 완전 사출을 달성하기 위해서, 외측 튜브내에 놓여 졌을 때 외측 튜브 만큼은 길어야 된다.
제 2 도 및 3 도에서는 제 1 도의 삽입 장치가 탄성 변형 탬펀 20과 조합된 것을 보여준다. 이 조합을 조립하는데 있어서 폴리우레탄 스폰지 같은 탄성 변형 물질로 된 실질적으로 편평한 탬펀 20은 내측소자의 전면 연장부 16의 선단 17 위에 드리우고 지지된 것은 그후 즉시 외측소자 12의 후단을 통해 밀려 들어간다.
이러한 행위는 탬펀을 전면 연장부 16과 외측 튜브소자 12의 내벽 사이의 원주(圖周)에 규정되는 제한된 좁은 공간 21 내에 한정 시킴으로서 탬펀 20을 방사상으로 압축한다.
탬펀 20의 두부가 외측 튜브소자 12의 선단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비어져 나오도록 탬펀을 외측 튜브소자 12 내로 더욱 밀어 넣게 되면 탬펀의 돌출된 두부는 그의 고유한 탄성이 외측소자 12의 한정 세력을 벗어나게 되므로 이에 기인하여 재 팽창하는 경향이 있다. 탬펀의 잔존 꼬리 부분은 아직도 전면 연장부 16과 외측 소자 12 사이의 원주상 공간내에 한정 되므로 압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제 2 도와 3 도에서 보여지는 형의 탬펀-삽입기 조립품이 질강내에 삽입 될때 부분적으로 팽창된 탬펀은 전에 사용된 탬펀이 제거 된후 질하부 지역에 남아 있던 월경액을 깨끗이 훔쳐 주게 된다.
제 6 도에서는 제 2 도 조합이 튜브 12로부터 완전히 사출된 후 탬펀 20이 어떻게 펴지고 외측 튜브 12의 제한하는 한도에서부터 벗어 날때 어떻게 재 팽창하기 시작 하는가를 보여주는 이상적 형태를 나타내 준다. 여기서 보듯이 탬펀은 시초에는 모양이 원형이며 열리기 시작할 때의 부분적으로 열린 우산과 유사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여러 종류의 다른 탬펀의 모양 및 형태는 이후에 상세히 기술된다.
제 4 도에서는 외측 튜브 소자 12a의 전단 18이 실질적으로 폐쇄되어 있고 외측초자 12a의 내용물이 그곳을 통해 밀려들어 가면 이것에 대해 내부 압력이 발휘 될때 바깥쪽으로 개방 되기에 적합한 다수의 나란히 배열된 꽃잎 모양의 유연한 부분으로 구성 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면 제 2 도 및 3 도에 유사한 구조물을 보여 준다. 그러한 폐쇄단의 삽입 튜브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는 더 이상 자세히 기술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 구조물에서는 질내로 전달 장치를 삽입하기 전과 삽입 도중에 탬펀이 우측소자 12a내에 완전히 둘러싸인 상태로 있게 하기 위하여 외측 튜브소자 12 보다 전면 연장부 16이 짧기 때문에 전면 연장부 16의 선단 17은 외측 튜브 단(端) 넘어로 뻗어 있지 않음이 주목된다. 전에 기록 했듯이 전면연장부 16의 길이는 생산자가 선택한 탬펀 디자인과 기능에 따른 특수한 요구 조건을 만족 시키도록 조정될수 있다.
튜브소자 12a가 삽입 된후 탬펀은 사출되며 탬펀이 이곳을 통해 밀고 나갈때 바깥쪽으로 개방 되면서 유연한 꽃잎형 장치는 벗겨지고, 탄성 변성 물질로 만들어진 탬펀은 제 6 도에서 개구관으로부터 사출 되었을 때와 같은 방식으로 그 탄성으로 인하여 다시 팽창하게 된다. 그러나 폐구관이 사용 될때는 탬펀의 선단은 초기 삽입 동안은 노출되지 않으므로 제 2 도의 구체예가 사용 되었을 때 생기는 닦아내는 작용은 하지 않는다.
물론 개구된 외측 소자가 사용된때 조차도 내측 소자상에 좀더 짧은 전면 연장부가 사용 될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탬펀은 삽입 전이나 혹은 삽입동안 전단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으며 닦아내는 작용을 이용할 수 없다. 그러한 장치는 폐쇄단의 튜브에서처럼 사용자가 좀더 위생적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후자의 장치가 사용 된다면 사용자는 조립품을 질내로 삽입하기 전에 탬펀을 부분적으로 사출 시킴으로써 원한다면 혹은 필요 하다면 닦아내는 작용을 이용할 수 있다.
내측소자 16은 축 방향의 전면 연장부를 갖는 외에 또한 탬펀의 회수 스트링 19를 공급하는 장치가 제공 되어야 한다.
제 1-4 도 구체예에서 스트링 공급 장치는 전면 연장부를 속이 빈 튜브의 형태로 만드므로서 제공되며 스트링은 공동(空洞)의 전체 길이와 내측소자의 속이빈 하부 부분 14를 통해 꿰어진다.
제 5 도에서는 전면 연장부 16a는 고형 구조물로 되어 있다. 이 구체예에서 스트링은 연장부 16a의 측면을 따라 드러워 지며 개구부(開口部) 25를 통해 내측 소자의 본관 부분 14 내로 들어간다. 고형 전면 연장부가 사용 될때 내측소자의 하부 부분은 또한 스트링을 위한 홈을 가지거나 또는 외측소자에 간극을 두고 끼워 맞춰서 스트링이 그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제 7 도의 평면도는 흡수성 탄성 물질로된 얇은 스트립 32,33 및 34의 여러층을 기하학적인 중심 35에서 서로서로 교차시키고 실질적으로 동등한 일정간격을두고 방사상으로 배열된 끝이 떨어진 스트립으로 만들어진 또 다른 탬펀 30에 대한 설명이다. 스트립 32,33 및 34는 적당한 회수 스트링 37에 의해 교차지역에서 함께 고정된다.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제 8 도의 단면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친수성 폴리우레탄 포말로 만들어진다. 스트립 32-34는 제 8 도의 32에서 보듯이 단층 두께이거나 혹은 제 9 도에서 보듯이 다층 두께 32a 일수도 있다. 스트립은 제 8 도에서 보듯이 강화커버 없이 사용될 수도 있고 제 9 도에서 보듯이 간극을 두고 끼워 맞춘, 비제한성의 액체 통과 포장지 36으로 둘러쌀 수도 있다. 그러한 포장지는 직포 또는 부직포이며 친수성일수도 있고 소수성일수도 있다. 포장지는 포말을 강화시키는 외에도 싸지않은 포말에 비해 탄성 변형 탬펀과 외측 관상 부재사이에 가능한 마찰 접촉을 감소시켜서 탬펀 전달 시스템으로부터 용이하게 사출되도록 한다.
포말 스트립은 또한 원한다면 가벼운 무명직물로 내부적으로 강화할 수도 있다.
제 10 도는 탬펀과 삽입장치의 조립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비 단계를 설명해 준다. 여기서 보듯이 탬펀을 한정적으로 함유하는 기다란 외측 튜브 소자 38은 제한되지 않은 탬펀 30의 기하학적인 중심 위쪽에 놓여있다. 외측 튜브 소자 38에 미끄러져 들어가 결합될 수 있는 크기의 하부의 본관 부분 42와 상부의 전면연장부 41로 이루어져 있는 기다란 내측소자 40의 선단 39는 탬펀 30의 중심 35 아래쪽 중앙에 위치하며 회수 스트링 37은 내측소자 40의 공동 중심을 통하여 꿰어져 있다.
내측 소자 40이 화살표 방향으로 나아갈 때 탬펀 30은 제한 한정시키는 외측 튜브 38내에 채워 넣어지며 그 속에서 탄성 변형된 상태로 특히 반경 방향(半徑方向)에서 탄성을 유지하게 된다.
제 11 도는 외측 튜브 38내에 부분적으로 밀어 넣은 탬펀 30을 나타낸다.
제 12 도 및 13 도는 완전 조립상태의 탬펀과 삽입기를 설명해 준다. 여기서 볼수 있듯이 외측 튜브 38은 그 전단 45가 개구(開口)되어 있다. 탬펀 30은 탄성 변형 물질로 되어 있으므로 튜브 38의 전단 45넘어로 뻗어 있는 탬펀 30의 두부는 그의 비 압축된 상태로 팽창하려고 하며 보는 바와 같이 다소간 구근(球根)모양의 정상(頂上)을 형성한다. 잔존 꼬리 부분이 아직도 제한을 받고 있으며 튜브 38의 안쪽에서 압축되므로 두부가 완전히 팽창될 수는 없다. 그러나 탬펀의 두부 또는 선단은 부분적으로 팽창하게 되며 그리하여 삽입하기에 편안한 부드러운 구근 모양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또한 부가적으로 이것이 삽입되었을 때 질로부터의 잔류 월경액을 훔쳐내는 유용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런 닦아내는 작용은 자주 누출의 원인이 되는 초기 탬펀 파손원인의 하나를 제거해 준다.
대치할 수 있는 방법으로 외측 튜브 38은 접힌 탬펀의 전체 길이를 함유할만큼 충부히 길어서 탬펀이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만들 수도 있다. 그러한 장치는 어떤 사용자들에게는 좀더 위생적으로 생각된다. 어떤 경우이건 외측 튜브 38은 탬펀-삽입기 조합이 조립될 때 탬펀의 적어도 일부분은 전달전에 튜브내에서 탄성 변형된 상태로 있을 정도의 길이로 만들어 져야만 된다.
탬펀 30이 외측 튜브 부재 38내에서 탄성 변형되어 있을 때 이것은 그 기하학적 중심에 내부 정점 48을 가지는 도립된 컵 또는 시험관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질내에 삽입될 때 탬펀은 원래의 억제받지 않은 편평한 형태로 돌아가려고 하면서도 실질적으로 도립된 컵과 같은 형태를 보유하는데 이것은 질의 제한된 크기와 내부 압력은 탬펀을 한정시키고 완전한 팽창을 방해하는 때문이다. 스트립의 떨어져 있는 끝은 스트립 구조물의 고유 탄성으로 인해 팽창하려고 하므로 질벽에 대해 압력을 가하게 되고 실질적으로 그것의 윤곽에 순응하게 됨으로써 구(溝) 측면으로의 누출을 최소로 한다. 게다가 탬펀의 두부를 형성하는 중심의 스트립-교차 지역이 자궁경부(子宮頸部)에 인접하게 또는 폐쇄 하도록 배치되어 탬펀의 가장 두꺼운 부분이 초기 월경유출이 일어나고 최적 흡수능이 가장 요구되는 지역에 위치하게 된다. 개개의 스트립이 얇고, 부드럽고, 쉽게 변형하므로 비압축 탬펀이 상당한 부피를 갖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형태의 탬펀을 제거하는데 있어서 난점을 발견할 수 없다.
제 14-16 도에서는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또 다른 탬펀의 구체예를 보여 준다. 이 탬펀은 탄성변형물질로된 한장의 얇은 스트립 50으로 이루어진다. 스트립 50은 첫번째 성형에 의해 중첩된 단 51을 가지며 중첩된 단은 회수스트림 57과 함께 고정시켜 루프로 만들어 진다. 이렇게 형성된 루프는 다음 순서로 편평하게 하고 편평해진 루프는 다시 제 16 도에서 볼수 있듯이 W-형태로 만든다. W의 중심점인 내부 정점은 내측소자의 전면 연장부의 선단 35와 접촉되는 지지 지역을 형성한다. 내부 정점은 탬펀-삽입기 조합을 조립하기 위해, 또는 사용동안 탬펀을 사출하기 위해 내부의 미는힘이 적용되는 점이다.
회수 스프링 57이 탬펀 루프의 상부부분을 관통하고 상부와 저부를 함께 묶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 회수를 비교적 쉽게 하기 위해 회수하는 동안 W의 내층을 뒤집을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회수스트림은 단지 중첩된 부분만을 묶는데 사용될수도 있다.
제 17-19 도는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탬펀의 또 다른 구체예를 보여준다. 이 탬펀은 탄성 변형물질로 되어있고 한쪽 모서리에 부착된 회수스트링 67을 가지는 편평한 장방형 시트 60으로 이루어져있다. 탬펀을 형성하는데 있어 시트 60은 제 18 도에서 보듯이 종방향으로 2번 접고나서 제 19 도에서 보듯이 가로로한번 접어서 도립된 U형으로 만든다. 그리하여 65에서 도립된 U의 내부는 내측소자 40a의 선단 15a에 의해 지지 되는 내부 정점을 형성한다. 이구체예에서 보듯이 내측 소자 40a는 고형의 전면 연장부 41a와 속이빈 본관 부분 42a로 이루어져 있으며, 좀더 정확히 말하면 그전 길이를 통하여 속이 비어있다. 내측 소자의 이 변형(變形)에서 개구부66은 회수 스트링 67을 공급하기 위해 전면 연장부 40a의 밑쪽에 제공 된다.
제 20-24 도는 본발명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탬펀의 또 다른 구체예를 보여준다.
이도면들 중에서 먼저 구형의 루프 탬펀으로 확인되는 구체예의 측면도와 상부 평면도를 각각 보여주는 제 20 도와 21 도에 대하여 언급한다.
여기서 보듯이 탬펀 72는 얇은 흡수성 탄성 변형 스트립물질로 된 서로 끼워맞춘 루프 73,74 및 75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형의 내어비치게한 세공을 가지는 탬펀을 형성한다.
루프는 구형체의 수직축상의 정부(頂部) 76 및 저부 77에서 서로 교차된다. 회수 스트링 78은 수직축의 저부 77에서 서로 교차된 곳에서 루프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실질적으로 구형이 제한되지 않은 비변형 상태에 있을때 본발명의 루프 구체예가 가지는 형태를 대표하며 편원(肩圓) 또는 장방형일수도 있다. 이 도면이 변형되지 않은 상태의 루프탬펀을 보여주는 반면, 여기서 탬펀은 제조시와 사용후 질로부터 회수된 때에만이 특정한 모양을 갖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사용하기위해 그리고 적당한 전달 또는 삽입 장치내에 배치하기 위해 제조될때 구형체는 처음에는 제 22 도의 상부평면도에서 보듯이 편평하게 한다. 그리고서 탄성 변형된 상태의 탬펀을 수용하는 삽입 장치의 외측 관상 소자80을 제 23 도에서 보듯이 그것의 수직축과 동심성의 편평하게한 구형 탬펀의 정부에 위치시킨다. 외측튜브 80내에 미끄러져 들어가 계합되는 크기의 본관 부분 82와 좀더 작은 직경의 전면 연장부83으로 구성된 삽입장치의 기다란 내측 소자 81은 수직축과 동심성의 편평하게한 탬펀의 저부 교차지역에 위치한 선단 84를 가지고 있다. 기다란 내측 소자는 그 속에 회수 스트링을 공급하기 위해 바람직한 공동형태로 나타내지지만 다른 스트링 공급 장치도 용이하게 제공될수 있다.
삽입장치의 소자 및 제 23 도에 지시된 바와같이 위치한 탬펀 72와 함께 내측소자 81을 화살표로 가르킨 방향으로 나아가게함으로서 탬펀 72을 외측소자 80의 제한된 한도내에 채우고 탬펀 72를 내부 지지되면서 그러나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외측 튜브내에 유지시킨다.
구형 탬펀 72가 외측튜브 소자 80내에서 탄성 변형될때 이것은 도립된컵 모양이다.
도립된컵의 내부 정점은 미는 소자 81의 선단 84에 위치한다. 탬펀 72가 내부 정점 76을 밀어줌으로써 튜브 소자 80으로부터 사출될때 탬펀은 그의 고유탄성으로 인해 물론 성공하지는 않지만, 그의 구형 비압축 형태를 재형성 하려고 하는 힘이 발휘된다 할지라도 이 도립된컵 모양을 보유한다. 탬펀인 질내에 위치하는 동안 컵 모양을 유지하는 이유는 잘 알려져 있듯이 허탈상태의 질의 내부 한계가 관습적으로 사용된 삽입 튜브의 크기보다 그렇게 크지 않은 때문이다. 결과로 질 자체는 계속적으로 탬펀의 팽창에 저항한다. 질강내로 삽입된 탄성 물질은 팽창하려고 하는 반면 만일 탄성 변성 물질이 유효한 공간을 채우려고 한다면 이 물질은 질벽에 의한 팽창에 대한 저항으로 인하여 아직도 일반적으로 삽입됐을때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 기술된 탬펀은 질내로 사출된 후에 실질적으로 도립된 컵 모양을 유지한다. 그러나 컵의 외측 가장자리는 계속적으로 팽창하려고 하며 그렇게 함으로서 자연 공극(空隙)이 어디에 있건 실질적으로 질을 채우게 된다. 탬펀은 또한 액체가 흡수 되었을 때 더욱더 팽창하게 되어 공동(空洞)-폐쇠 기능을 더욱 증진시킨다.
제 20 도 탬펀 구체예에서 회수 스트링은 단지 끼워맞춘 루프의 저부에 배치되어있는 교차된 스트립에만 부착되어 있으므로 스트링을 끌어 당김으로써 이 지역의 스트립에 회수력이 발휘되면 그러한 힘은 자주 도립된 컵의 안쪽 반(半)을 뒤집어서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는 원인이 된다. 이런일이 일어나는 경우 탬펀은 적출(摘出) 되었을때 기다란 구형으로 다시 돌아가게 된다. 컵 모양 내면의 이러한 뒤집힘은 전체 부피를 감소시키며 탬펀의 회수를 비교적 용이하게 한다.
제 20 도 탬펀은 구조(構造)하는데 있어서 모든 루프는 하나의 연속된 스트립으로 만들어지며 이 경우 구형 루프탬펀은 단지 두개의 떨어진 끝을 가지고 있어 회수 스트링이 저부 교차 지역에 부착될때 고정된다. 대치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각 루프는 끝을 중첩시켜 혹은 마주 대어 함께 붙여서 각 루프를 형성하는 한개의 스트립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른 탬펀 구체예에서 처럼 스트립 재료는 단지 한겹의 탄성 변형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얇은 층의 다(多)층으로 구성될수도 있다. 폴리우레탄 포말 스트립이 기본 물질로 사용될때 탬펀은 앞에 지적했듯이 포말 물질로만 형성될수도 있고 또는 포말을 스크림 등과 같은 어떤 형태의 내부 강화물질로 강화시킬수도 있다.
바람직한 형은 폴리우레탄 포말이 상기한 바와같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이루어지며 느슨하게 둘러싸는 액체통과 직물 포장지로 싼 스트립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다. 포장지는 직포나 부직포일수 있고 친수성 혹은 소수성일수도 있으며 많은 유형이 사계에 잘 알려져 있다. 포말 스트립은 그의 잠정적인 팽창능력을 저해 또는 제한하지 않도록 하기위해 느슨하게 싼다.
그렇게해서 포말 스트립이 싸여진 때 탄성 변형 탬펀과 외측 튜브 소자 사이의 잠정적인 마찰 접촉은 포말 단독일때에 비교하여 상당히 감소되며 그리하여 탬펀의 사출이 쉽게된다. 포장지는 또한 포말을 강화시키며 약한 포말이 사용되었을 때 특히 유용하다.
제 20 도에서 볼수있는 구형 탬펀의 바람직한 구체예가 3개의 서로 끼워 맞춘 루프를 가지고 있는 반면 두개 또는 그 이상의 루프로부터 만들어진 탬펀 또한 사용될수 있으며 일반 적으로 그형체가 고르지 못한 갭(gap)을 가지지 않도록 균등하게 일정 간격을 두어야 한다.
다음은 특히 바람직한 구형 탬펀의 예에 대해 기술하는 바이다:
친수성 폴리우레탄 포말로된 3개의 별개의 다층 스트립을 사용한다. 각 스트립은 폭 1인치에 길이 10인치이며 각자 .060인치 두께의 얇은스트립 3개로 구성된다. 각 다층 스트립은 외측 표면에 면섬유 덮개를 가지는 5×12 스크림 부직포로 느슨히 싼다. 스트립으로 루프를 만들고 루프는 제 1 도 및 2 도에서 보듯이 끼워맞추는데 끝 부분은 루프를 완성하기 위해 회수 스트링으로 탬펀의 저부에서 함께 붙여서 저부에서 중첩된다. 그리고서 탬펀을 편평하게 한후 도면에서 보듯이 내경이 11/16인치 외경이 3/4인치인 폴리프로필렌으로된 외측 튜브 소자내로 밀어 넣는다. 포말스트립과 포장지를 포함하는 조립된 탬펀의 흡수성 소자는 약 3.7g의 중량이다. 그다음 이 탬펀은 월경용 임상패널(Panel)인에 의해 사용되며 종래의 탬펀과 비교하였다.
시험된종래의 탬펀은 초대형 코택스(KOTEX)
Figure kpo00001
콤포튜브(COMFOTUBE)
Figure kpo00002
탬펀이다.
그러한 탬펀은 20% 3데니어 인조견사, 20% 5.5데니어 인조견사 및 60%면 린터로 이루어진 섬유의 배트(batt)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배트는 약 3-1/2인치 길이, 1-1/2인치 폭 및 3인치 두께이며 중량은 약 3.25g이고 면섬유 덮개를 갖는 5×12스크림 부직포로 둘러싼다. 포장 물질은 탬펀당 0.5g 중량이다. 탬펀은 압축되며 밀도 0.85, 크기는 약 1-1/2인치 길이에 5/8인치 직경이고, 중량은 약 3.75g이다. 결과는 다음과 같이 기록 됐다.
Figure kpo00003
위에서 지적했듯이 본발명의 탬펀은 종래의 초대형 탬펀에 비해 파손전에 평균 1시간 더 오래 착용할수 있으며 파손전 평균 흡수량은 3.7g 더 많았다. 게다가, 흡수된 분비물의 평균량은 종래의 초대형 탬펀이 물질 g당 분비물 2.3g인데 비해 본 발명의 탬펀은 물질 g당 분비물 3.4g이었다.
앞의 자료로부터 저밀도 구형 탬펀이 종래의 고도로 압축된 탬펀에 비해 초기 누출을 감소시키는데 좀더 효율적인 것을 알수있다. 게다가 총용량 및 단위 중량당 흡수량에 관한 전체적 효율성에 대해서도 대부분의 탬펀보다 낫거나 동등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시험된 이 구형 탬펀은 착용도중에 그리고 어떤 경우는 지적한 바와같이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회수 스트림에 의해 회수된것이 뒤집힌 때에도 그의도립된 컵 모양을 보유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전에 지적했듯이 본발명의 이 삽입장치는 특히 부드럽고, 저밀도의 쉽게 변형될 수 있는 탬펀을 위해 설계된다. 또한 앞서 지적했듯이 어떠한 부드러운 변형성 물질도 사용될 수 있는 한편 탬펀에 바람직한 물질은 탄성 변형성 인것, 즉, 비교적 가벼운 하중(荷重)하에서 쉽게 압축하고 삽입동안 및 하중에 제거된 후에 작용될때는 실질적으로 본래의 형태로 돌아가는 스트링과 같은 고유의 탄성을 가진것이 바람직하다.
세공(細孔)의, 고흡수성인 저밀도 폴리우레탄 포말이 이 목적에 유용하며 탬펀은 주로 월경용으로 사용되므로 포말은 친수성 또는 멘시즈필릭(mensesphilic)이어야 한다.
폴리우레탄스폰지 같은 바람직한 합성 스폰지 물질은 고유한 고도의 탄성을 가지며 압축될때는 압축원이 제거된때의 비압축상태로 돌아가려고 하는 반면 장기간 저장후 혹은 멸균 조작을 했을때는 때때로 일시적 왜곡을 가진다. 그러나 이 왜곡은 사출 과정 자체동안에 적용되는 것과 같은 매우 사소한 조작으로 신속히 그리고 용이하게 풀어진다.
앞서 지적했듯이 포말은 또한 부가적인 강도를 제공하는 투과성 포장 물질로 둘러쌀수도 있다. 포장지는 바람직하게는 포말이 제한되지 않고 팽창하며 다양한 질강의 형태에 좀더 잘 순응할수 있도록 느슨하게 끼운다. 그러한 포장지는 또한 그것과 미끄러져서 접촉 되어있는 삽입기의 표면에 대한 마찰저항을 감소시킨다. 포장지는 직포 또는 부직포이며 친수성일수도 있고 소수성일수도 있다.
탬펀의 특유한 형태는 결정적인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탬펀은 쉽게 변형되어 전면 연장부의 선단을 선택된 형태의 대략 기하학적 중심에 대해 밀어줌으로써 튜브에 적합한 형태로 될수 있는 시초에는 얇고 편평한 구조물로 만들어 져야된다. 얇고 편평한 시트, 장방형 시트, 원형시트, 불규칙한 모양의 시트, 십자형 스트립 등이 가능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삽입기 튜브내에 압축되고 삽입 준비되기전에 이 탬펀들은 각각 다양하게 미리 접을수도 있다. 사용함에 있어서 전면 연장부의 선단은 탬펀이 외측 튜브 소자내에 탄성 압축 배치될때 가능하듯이 탬펀 선단에 가까이 배치된탬펀의 안쪽 두부를 미는데 사용된다. 탬펀의 잔존 꼬리 부분은 그리하여 비교적 비압축된 형태를 보유하는 동안 용이하게 질내로 끌려 들어간다.
또한 앞서 지적했듯이 삽입장치의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같은 부드럽고 유연한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진다. 나일론, 폴리에스텔 및 폴리비닐이 또한 사용될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제조 가격 때문에 경제적으로 적절하지 않다. 판지튜브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명세서에 기술하고 도면에서 나타낸 바람직한 구체예의 대부분에서 삽입장치의 외측 튜브소자를 개구관으로 나타낸 반면 외측튜브 소자는 현재 시판되고 있고 제 4 도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튜브의 전단이 탬펀이 이곳으로부터 사출될때에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인접된 꽃잎 모양의 유연한 부분으로 구성된 실질적인 폐쇄단을 가질수 있음을 이해해야 된다.
이런 유형의 삽입기는 개구관 구조에서 나타나는 닦아내는 작용을 제공하지 못하지만 그러나 어떤 사용자들은 좀더 위생적인 것으로 생각한다. 좌우간 여기서 기술한 바와같이 내측 지지소자와 함께 조합될때, 이 폐쇄단 형태의 외측 튜브 또한 본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Claims (1)

  1. 본문에 기재된 바와같은 부드럽고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는 탬펀을 체강내에 전달하기 위한 탬펀 삽입장치에 있어서 튜브형태의 기다란 외측소자(12,12a,38,80)와 여기에 끼워넣은 기다란 내측소자 (14,40,40a,81)가 있어, 상기 내측소자에는 외측소자내에서 미끄러지면서 계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진 본관 부분(14,42,42a,82)이 있으며, 본관 부분의 전단부에는 본관부분이 외측소자와 미끄러지며 계합될때 외측소자의 전장에 걸쳐 연장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긴 연장부(16,16a,41,41a,83)가 본관 부분보다 작은 직경으로 축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탬펀 삽입 장치.
KR7601866A 1976-07-31 1976-07-31 탬펀(tam-pon) 삽입장치 KR790001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1866A KR790001488B1 (ko) 1976-07-31 1976-07-31 탬펀(tam-pon)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1866A KR790001488B1 (ko) 1976-07-31 1976-07-31 탬펀(tam-pon) 삽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488B1 true KR790001488B1 (ko) 1979-10-23

Family

ID=19202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1866A KR790001488B1 (ko) 1976-07-31 1976-07-31 탬펀(tam-pon)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48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1214A (en) Sleeve-enclosed hydrophilic foam tampon with improved after-use withdrawal characteristics
US6773423B2 (en) Soft conformable hollow bag tampon
US3981305A (en) Low density tampon of intermeshed deformable strip material and inserter therefor
US3986511A (en) Intravaginal sanitary device
US4212301A (en) Digital tampon
US3749094A (en) Tampon with string attached to its proximal end
JP4125377B2 (ja) 横方向に膨張可能なタンポン及び該タンポンの形成方法
KR100603483B1 (ko) 요실금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2884925A (en) Tampon and depositor
KR100613331B1 (ko) 여성 요실금의 경감 기구
US20080154174A1 (en) Absorbent tampon having outer petals
US3079921A (en) Absorbent product
EP1481656A1 (en) Tampon having differentiated expansion capacity
US4010751A (en) Inserter for delivering soft, deformable tampons into body cavities and the combination of a tampon therewith
US4185631A (en) Readily removable expanding catamenial tampon
US4041948A (en) Digital tampon
KR20010072058A (ko) 생리용 탐폰
CN101155568A (zh) 棉塞涂抹器组件
JPH05212073A (ja) 生理用タンポン
US20020142693A1 (en) Absorbent device for insertion into a vaginal cavity
US3766921A (en) Proximal apex tampon
US3674030A (en) Catamenial tampons or the like
KR100460252B1 (ko) 탄성 부재를 갖는 탐폰 및 이 탐폰의 제조 방법
US3983868A (en) Inserter for low density tampons
KR790001488B1 (ko) 탬펀(tam-pon) 삽입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