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304B1 - 항생물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생물질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304B1
KR790001304B1 KR750002388A KR750002388A KR790001304B1 KR 790001304 B1 KR790001304 B1 KR 790001304B1 KR 750002388 A KR750002388 A KR 750002388A KR 750002388 A KR750002388 A KR 750002388A KR 790001304 B1 KR790001304 B1 KR 790001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reaction
gentamicin
mmol
ii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002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끼 모리
신지 도미오까
도모꼬 후꾸하라
Original Assignee
다까다 히로시
교와학고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다 히로시, 교와학고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다 히로시
Priority to KR750002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304B1/ko

Links

Landscapes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항생물질의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은 구조식(Ⅰ)의 신항생물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자세히 말하면, 본 발명은 다음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Ⅰ(R1=CH3,R2=CH3) 및 화합물Ⅱ(R1=CH3, R2=H), 화합물Ⅲ (RI=H, R2=CH3)을 산화제와 반응시켜 6' 위치 및/또는 3"-위치에 있는 N-메틸기의 메틸기를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식(Ⅰ)의 신항생물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2
여기서
R1및 R2는 H나 CH3를 의미하고, R1과 R2가 동시에 H인 경우는 제외한다.
본 발명의 목적 화합물은 강력한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항생물질로서의 용도가 기대되는 아주 새로운 화합물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불활성 용매중에서 화합물 Ⅰ, Ⅱ 또는 Ⅱ을 산화제와 반응시켜 6'-위치 및/또는 3"-위치의 N-메틸기의 메틸을 이탈시켜 구조식(Ⅰ)의 본 출원목적 화합물을 얻는 것이다.
본 출원의 원료화합물 Ⅰ은 미국특허 제 3, 091, 572 호 공보에 알려진 항생물질이며, 겐타마이신 C1으로 불리워지는 화합물이다. 화합물 Ⅱ 및 Ⅲ은 화합물 Ⅰ을 산화제와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화합물 Ⅲ는 문헌에 실리지 않은 신규화합물이며, 화합물 Ⅲ은 기지의 화합물, 즉 겐타마이신 C2(미국특허 제 3, 091, 572 호 참조)와 동일한 물질이나 그 제법을 달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출원목적 화합물을 수율을 좋게 생성하기 위해서는 6'-위치 보다 3"-위치의 N-메틸기의 메틸기가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으로 고려되며, 특히 화합물 Ⅲ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즉 화합물 Ⅰ, Ⅱ 및 Ⅲ과 산화제를 적당한 불활성 용매중에서 반응온도 -20°-100℃, 일반적으로는 0-70℃에서 0.5-50시간 동안 반응액의 pH를 4.0-12.0으로 산화반응시켜 본 출원 목적화합물을 얻을수 있다.
그러한 반응 제조건은 산화제의 종류, 사용량, 기타의 반응조건에 따라 상기의 범위에서 적조 선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산화제로는 일반 산화제 및 잠재적 산화력을 가진 화합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중금속염류, 과산화물, 할로겐, 할로겐산소산, 질소산화물, 중금속등을 들수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과망간산염, 망간산염, 이산화망간, 무수크롬산, 중크롬산염, 크롬산염, 크롬산알킬 에스테르 염화크로밀, 이산화셀렌, 제 2 코발트염, 제 2 세륨염, 적혈염, 산화구리, 산화아연, 산화수은, 과산화수소 및 제 1 철염, 제 2 철염, 이산화셀렌, 사염화오스뮴, 텅크스텐산, 크롬산등에서 선택한 일종이상의 화합물과의 혼합물, 사초산아연, 염소, 브롬, 요오드, 차아염소산, 염소산, 차아브롬산, 브롬산, 과요오드산, 아산화질소, 일산화질소, 이산화질소와 같은 일반산화제 및 백금, 닉켈, 팔라듐, 로듐, 루테늄, 레늄등의 귀금속류를 들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산화제의 어느것이든지 사용하여 달성할 수가 있으나 좋기로는 염소, 브롬, 요오드, 적혈염, 과망간산염, 백금, 보다 더 좋기로는 요오드가 좋다.
화합물 Ⅰ, Ⅱ 및 Ⅲ은 수산기, 1급 아미노기등의 관능기를 가지고 있으나 상기 일반 산화제와의 반응에 있어서 산화제의량, 반응액의 산도, 반응온도, 반응시간, 용매량을 적당히 조절하여 이러한 관능기의 손실을 회피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귀금속을 산화제로 사용할때에는 활성화시킨 직후에 사용하고 공기 또는 산소존재하에 수행하면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가 있다. 산화제의 사용량에 있어서는 원료화합물 1몰당 0.5-15.0몰을 사용할 수 있으나 산화제의 종류, 반응온도, 기타의 반응조건에 따라서 상기 범위내에서 적조선택하여 수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용매는 반응시약을 용해시키고 한편 반응에 관계하지 않는 용매면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물반으로나, 혹은 메타놀, 테트라하이드로후란,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옥산,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중에서 1종 혹은 2종과 물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합물 Ⅰ에서 화합물 Ⅱ, Ⅲ을 합성하는 경우의 반응 제조건으로서는, 화합물 Ⅰ, Ⅱ 및 Ⅲ에서 본 출원목적화합물을 합성하는 반응 제조건과 같다.
본 발명을 실시할때 산화제로서 보다 적당한 요오드를 사용하는 반응조건을 다음에 구체적 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화합물 Ⅰ로부터 화합물 Ⅱ의 합성]
화합물 Ⅰ의 3"-위치의 N-메틸기의 메틸을 탈락시켜 화합물 Ⅱ의 수율을 좋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요오드는 화합물Ⅰ 1몰당 0.7-10.0몰, 좋기로는 2.0-6.0몰의 범위이다.
산화제로서 요오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반응액의 pH를 염기성으로 유지하여 목적화합물의 수율을 보다좋게 얻을 수가 있다. 반응을 수행할때 반응액의 pH를 염기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염기성 물질로서의 조건은 화합물 Ⅰ 및 탈메틸화 생성물과 반응시켜 그것을 분해시켜 가능성이 없는 것 및 요오드와 반응할때 요오드의 반응성을 실질적으로 저하시키지 않는 물질이 요망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서는 알칼리금속과 알카리토금속의 수산화물 및 탄산염, 알칼리금속의 알콜레이트 카본산의 알카리금속염, 및 카본산의 알카리토금속염 이 바람직하다. 염기성 물질의 사용량에 있어서는 강염기성의 경우에는 탈메틸화시킬 화합물 1몰당 0.5-6.0몰, 좋기로는 2.0-4.0몰이다. 또한 악염기성 물질의 경우에는 5.0-25.0몰 좋기로는 7.0-15.0몰이다. 이러한 염기성 물질은 반응을 시작할때 가해도 좋고, 반응진행중 그때마다 가해도 가능하나 본질적인 차이는 없다. 반응온도는 일반적으로 10-90℃, 좋기로는 40-66℃의 범위에서 행하고, 또한 반응을 종료시키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은 1-24시간, 일반적으로 2-15시간이다.
[화합물 Ⅰ로부터 화합물 Ⅲ의 합성]
반응에 사용하는 요오드의 량을 화합물 Ⅰ 1몰당 1.0-13.0몰, 좋기로는 5.0-9.0몰의 범위로 사용하는 외에는 화합물 Ⅰ의 합성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행하여 화합물 Ⅱ을 합성한다.
[화합물 Ⅰ로부터 본 출원 목적화합물의 합성]
화합물 Ⅰ을 출발 원료로 하고, 반응에 사용하는 요오드를 화합물 Ⅰ 1몰당 3.0-15.0몰, 좋기로는 7.0-11.0몰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외는 상기 XK-62-2로부터 화합물 Ⅰ을 합성하는 것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행하여 본 출원목적화합물을 제조한다.
[화합물 Ⅱ로부터 본 출원목적화합물의 합성]
화합물 Ⅱ를 출원원료로 하고, 반응에 사용하는 요오드를 화합물Ⅱ 1몰당 2.0-15.0몰, 좋기로는 6.0-11.0몰의 범위로 사용하는 외에는 상기 XK-62-2로부터 화합물 Ⅰ의 합성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행하여 본 출원 목적화합물을 제조한다.
[화합물 Ⅲ으로부터 본 출원목적화합물의 합성]
화합물 Ⅲ을 출발원료로 하고 반응에 사용하는 요오드를 화합물 Ⅲ 1몰당 0.7-10.0몰, 좋기로는 2.0-6.0몰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외에는 상기 화합물 Ⅰ로부터의 화합물 Ⅱ의 합성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행하여 본 출원 목적화합물을 제조한다.
화합물 Ⅰ로부터 얻어지는 화합물 Ⅱ 및 Ⅲ는 전기에서 한 같은 방법으로 분리, 회수하여 본 출원 목적화합물의 합성에 사용할 수 있으나, 분리, 회수하지 않고 반응액을 그대로 본 출원 목적화합물의 합성에 사용할 수 있다.
화합물 Ⅱ 및 Ⅲ을 화합물 Ⅰ로부터 합성하는 경우에는, 화합물 Ⅱ 및 Ⅲ 단독으로 생성되는 경우는 드물고, 생성량의 다소의 차이가 있으며 화합물 Ⅱ와 Ⅲ은 동시에 생성된다. 또한 화합물 Ⅱ 및 Ⅲ에서 반응이 정지되어 본 출원목적화합물이 합성되는 경우도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화합물 Ⅰ의 산화반응액은 원료화합물 Ⅰ, 화합물Ⅱ, Ⅲ 및 출원 목적화합물이 공존하는 상태인 경우가 많다. 반응액에서 생성물이 분리, 정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적합히 수행한다.
반응액을 중화한후 그대로, 또는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얻은 잔사의 수용액을 양이온 교환수지에 접촉시켜서 미반응 원료 및 생성물을 흡착시켜 수세후 2.0N의 암모니아수로 용출시킨다. 농축후 공지의 분리, 정제방법, 예를들면 이온교환수지, 실리카겔, 알루미나 셀루로즈 등의 흡착제를 사용하는 컬럼 코로마토그라피법 이나 박층크로마토그라피법으로 분리, 정제한다.
본 발명의 목적 화합물은 전적으로 새로운 항생물질이며 그 자체 본질적으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독성이겐타마이신 C1및 C2의 1/2정도로 낮다는 것에 있어서 가치를 가지고 있는 화합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화합물은 6'-위치와 3"-위치의 1급 아미노기에-C14H3를 도입시켜서 방사성 겐타마이신 C1으로 전환시킬수 있으며 생체내에 있어서 겐타마이신 C1의 분포 및 그 대사경로를 검토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 1은 2배 희석법에 의해서 얻어진 여러 그람 양성균 및 그람 음성균에 대한 화합물 Ⅰ, Ⅱ, Ⅲ및 본 출원 목적 화합물의 항균범위를 표시한 것이다.
[표 1]
Figure kpo00003
표중 이. 콜라이 KY 8327 및 KY 8348은 각각 아데닐화 효소 및 아세틸화 효소를 균체내에서 생산하고 전자는 카와마이신, 겐타마이신류를 아네닐화하고, 후자는 겐타마이신류를 아세틸화하며, 각각 항생물질을 불활성화 하는 세균이다.
표2에는 화합물 Ⅰ, Ⅱ, Ⅲ 및 본 출원화합물의 마우스에 대한 급성 독성치(LD50)가 나타나 있다.
[표 2]
Figure kpo00004
본 출원목적화합물은 원한다면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무독성 산과의 부가염류 (또는 아민염류)로 할 수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무독성 산으로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황산, 인산, 탄산등의 무기산류 및 초산, 후사린산, 능금산, 구연산, 만델산, 주석산, 아스코르빈산, 등의 유기산류가 포함되며, 상기 산류와의 부가염류의 제조법은 공지되어 있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합물Ⅰ 29g (6.0밀리몰) 및 초산나트륨 3수화물 8.8g(65.0밀리몰)을 50%수성 디메틸포름아마이드 130ml에 용해시키고, 그 다음 요오드 6.6g (26.0밀리몰)을 한꺼번에 가하고 교반하에 50℃에서 하룻밤 반응시킨다. 반응액을 앰버라이트(Rohm & Haas Co, 제) IRC-50 (H+형) 140ml 컬럼을 통해주고, 물 500ml로 세척하여 탈염, 탈색을 완전히 한후 2.0N 암모니아수를 통하고 닌하이드린으로 발색되는 획분 약 250ml를 모아서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담황색 잔사 2.48g을 얻는다. 이 잔사를 실리카겔 120g을 사욱하여 이 소프로파놀클로로포름 : 농암모니아수=4 : 1 : 1의 용매로 컬럼 크로마토그라피하여 용출액을 13ml씩 분액으로 분취하여 분액 제 52-70호를 합쳐 감압농축건고하여 미반응원료인 화합물 Ⅰ 430mg을 회수한다. 그 다음 분액 제79-88호를 감압하 농축 건고하여 6'-N-데메틸-겐타마이신 C1(화합물Ⅲ, 겐타마이신 C2) 62mg을 얻는다.
융점 128-136℃
Figure kpo00005
+142.1℃ (C=1.03,물)
적외선흡수 스펙트럼 (KBr, cm-1)
3,800-3,000, 2,930, 1,640, 1,575, 1,480, 1,450, 1,360, 1,283, 1,140, 1,098, 1,050, 1,020, 953, 827,
핵자기공명 스펙트럼(D2O, DSS 부터의 ppm)
1.10 (3H, d, J=6.2 Hz)
1.21 (3H, S)
2.54 (3H, S)
5.13 (1H, d, J=4.2Hz)
5.21 (1H, d, J=4.2Hz)
원소분석 : C20H41N5O7
계산치 : C 49.87; H 9.02; N 14.52
실측치 : C 49.55; H 8.71; N 14.33
분액 제98-143호를 감압 농축하여 3"-N-데메틸-겐타마이신 C1, (화합물 Ⅱ) 1.10g을 얻는다.
융점 130-137℃
Figure kpo00006
+140.7°(C=0.10, 물)
적외선흡수스펙트럼 (KBr,, cm-1)
3,800-3,000, 2,940, 1,640, 1,575, 1,470, 1,380, 1,330, 1,285, 1,148, 1,050, 1,024, 955, 867, 813,
헥자기공명스펙트럼 (D2O, DSS 부터의 ppm)
1.09(3H, d, J=6.1Hz)
1.20(3H, S)
2.42(3H, S)
5.13(1H, d, J=4.0Hz)
5.23(1H, d, J=4.0Hz)
원소분석 : C20H41N507·H2O
계산치 : C 49.88; H 9.00; N 14.50
실측치 : C, 51.11; H 9.42; N 14.27
분액 제162-184호를 감압농축건고하여 6'-N, 3'-N-디데메틸-겐타마이신 C1,(본 출원 목적화합물) 220mg을 얻는다.
융점 145-155℃,
Figure kpo00007
=+132.2°
(C=0.10, 물)
적외선 흡수스펙트럼(KBr, cm-1)
3,800-3,000, 2,940, 1,640, 1,570, 1,465, 1,380, 1,330, 1,287, 1,114, 1,110, 1,052, 1,030, 812
핵자기공명 스펙트럼 (D2O, DSS부터의 ppm)
1.10(3H, d, J=6.0Hz)
1.22(3H, S)
5.14(1H, d, J=4.0Hz)
5.22(1H, d, J=4.1Hz)
원소분석 : C19H31N5O7H2O
계산치 : C 48.80; H 8.84; N 14.98
실측치 : C 49.12; H 8.62; N 14.76
[실시예 2]
화합물 Ⅰ478mg (1.0g밀리몰) 및 수산화나토륨 160mg (4.0 밀리몰)을 50% 수성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25ml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적혈염 659mg (20밀리몰)을 한꺼번에 가하고 60℃에서 하룻밤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액을 앰버라이트 IRC-50(H+형) 40ml컬럼을 통해주고 물 200ml로 세척한후 2.0N 암모니아수를 통해준후 닌하이드린으로 발색되는 획분 약 80ml 모아 감압하에 농축하여 담황색잔사 420mg을 얻는다. 상기 실시예 Ⅰ과 같은 방법으로 실리카겔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라피하여 미반응 원료인 화합물Ⅰ102mg을 회수하고, 이어서 화합물 Ⅲ 31mg, 화합물 Ⅱ 190mg 및 본출원목적 화합물 48mg을 각각 얻는다.
[실시예 3]
화합물 Ⅰ 239mg (0.5밀리몰)을 물 15ml에 용해시키고, 미리 수소로 활성화시킨 신선한 백금흑 300mg을 가한다. 온도를 40-50℃로 유지시키면서 공기를 기포로 반응액에 급히 도입시키고 48시간 동안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후 백금흑을 여과해내고, 감압하 농축하여 얻은 잔사 230mg을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리카겔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라피하여 미반응 원료인 화합물 Ⅰ 101mg을 회수하고, 이어서 화합물 Ⅲ 15mg, 화합물 Ⅱ 75mg 및 본 출원 목적화합물 19mg을 각각 얻는다.
[실시예 4]
화합물 Ⅰ 478mg(1.0밀리몰)을 물 20ml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과망간산카리 9,291mg(5.9밀리몰)을 가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반응시킨다. 반응액을 앰버라이트 IRC-50(H+형) 35ml 컬럽을 통해주고, 이어서 물 150ml로 세척한후 2.0N 암모니아수를 통해주고 닌하이드린으로 발색되는 획분약 75ml를 모아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담황색의 잔사 415mg을 얻는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카겔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하여 미반응의 원료인 화합물 Ⅰ 118mg을 회수하고, 이어서 화합물 Ⅲ 14mg, 화합물 Ⅱ 117mg 및 본출원 목적화합물 58mg을 각각 얻는다.
[실시예 5]
3'-N-디메틸-겐타마이신 C1(화합물 Ⅱ) 481.6mg (1.0밀리몰) 및 초산나트륨, 3수화물 2.04g(15.0 밀리몰)을 50% 수성 디옥산 35ml에 용해시키고 그 액에 요오드 2.04g(8.0밀리몰)을 가하고 교반하 55℃에서 하룻밤 반응시킨다. 반응액을 앰버라이트 IRC-50(H+형) 30ml 컬럼을 통해주고 이어서 물 200ml로 세척하여 탈염, 탈색을 완전히 한후 2.0N 암모니아수를 통해주고 닌하이드린으로 발색되는 획분 약 60ml를 모아 감압하에 농축하여 409mg의 담황색잔사를 얻는다. 이 잔사를 실리카겔 20g을 사용하여 이소프로파놀 : 클로로포름 : 농암모니아수=4 : 1 : 1로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하여 유출액을 13ml씩 분액으로 취하여 분액 제 34-45 호를 합쳐 감압하 농축 건고시켜 미반응 원료인 3"-N-디메틸-겐타마이신 C1(화합물 Ⅱ) 139mg을 회수한다. 이어서 분액 제 57-74 호를 감압하 농축건고시켜 목적화합물인 6'-N, 3"-N-디데메틸-겐타마이신 C1(본 출원 목적화합물) 157mg을 얻는다.
원소분석 : C19H29N5O7H20
계산치 : C 48.80; H 8.84; N 14.98
실측치 : C 48.64; H 8.49; N 15.15
[실시예 6]
3"-N-데메틸-겐타마이신 C1(화합물 Ⅱ) 481.6mg (1.0밀리몰) 및 수산화나토륨 200mg (5.0밀리몰)을 50% 수성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40ml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적혈염 824mg(25밀리몰)을 한꺼번에 가하고, 교반하면서 55℃에서 하룻밤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액을 앰버라이트 IRC-50(H+형) 30ml 컬럼을 통해주고, 2.0N 암모니아수를 통하여 닌하이드린으로 발색되는 획분 약 70ml를 모아 감압하 농축하여 담황색 잔사 416mg을 얻는다.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실리카겔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하여 미반응 원료인 3"-N-데메틸-겐타마이신 C1(화합물 Ⅱ) 195mg을 회수하고 이어서 6'-N, 3"-N-디데메틸-겐타마이신 C1(본 출원 목적화합물) 98mg을 얻는다.
[실시예 7]
3"-N-데메틸-겐타마이신 C1(화합물 Ⅱ) 240.8mg (0.5밀리몰)을 물 20ml에 용해시키고, 미리 수소로 활성화시킨 신선한 백금 흑 400mg을 가한다. 온도를 55-60℃로 유지시키면서 공기를 기포로 급히 도입시키고 45시간동안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후 백금흑을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얻은 잔사 201mg을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실리카겔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하여 미반응의 원료인 3"-N-데메틸-겐타마이신 C1(화합물 Ⅱ) 103mg을 회수하고 이어서 6'-N, 3"-N-디데메틸-겐타마이신 C1(본 출원 목적화합물) 70mg을 얻는다.
[실시예 8]
3"-N-데메틸-겐타마이신 C1(화합물 Ⅱ) 240.8mg (0.5밀리몰)을 물 15ml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과망간산카리 465mg (3.0밀리몰)을 가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반응시킨다. 반응액을 앰버라이트 IRC-50(H+형) 20ml 컬럼을 통해주고 이어서 물 100ml로 세척한후 2.0N 암모니아수를 통하여 닌하이드린으로 발색되는 획분 약 45ml를 보아 감암하 농축건고시켜 담황색 잔사 187mg을 얻는다.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하여 미반응 원료인 3"-N-데메틸-겐타마이신 C1(화합물 Ⅱ) 91mg을 회수하고 이어서 6'-N, 3"-N-디데메틸-겐타마이신 C1(본 출원 목적화합물) 71mg을 얻는다.
[실시예 9]
6'-N-데메틸-겐타마이신 C1(화합물 Ⅲ) 463mg (1.0밀리몰) 및 초산나토륨, 3수화물 2.04g (15.0밀리몰)을 50% 수성디메틸표름아마이드 35ml에 용해시키고, 그액에 요오드 761mg(3.0밀리몰)을 가한후 교반하에서 50℃로 하룻밤 반응시킨다. 반응액을 앰버라이트 IRC-50(H+형) 30ml 컬럼을 통해주고 물 250ml로 세척하여 탈염, 탈색을 완전히 한후 2.0N 암모니아수를 통하여 닌하이드린으로 발색되는 획분 약 60ml를 모아 감압농축시켜 421mg의 담황색 잔사를 얻는다. 이 잔사를 실리카겔 20g 상에서 이소프로파놀 : 클로로포름 : 농암모니아수=4 : 1 : 1의 용매로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한다. 유출액을 13ml씩 분액으로 하여 분액 제 30-41 호를 합쳐 감압농축건고하여 미반응원료인 6'-N-데메틸-겐타마이신 (화합물Ⅲ) 69mg을 회수한다. 이어서 분액 제 61-82 호를 감압 농축 건고하여 원하는 6'-N, 3"-N-디데메틸-겐타마이신 C1(본 출원목적화합물) 278mg을 얻는다.
원소분석 : C19H39N5O7·H2O
계산치 : C 48.80; H 8.84; N 14.98
실측치 : C 48.49; H 8.60; N 14.71
[실시예 10]
6'-N-데메틸-겐타마이신 C1(화합물 Ⅲ) 463mg (1.0밀리몰) 및 수산화나토륨 160mg (4.0밀리몰)을 50% 수성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30ml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적혈염 659mg (2.0밀리몰)을 한꺼번에 가하고 교반하면서 50℃에서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액을 앰버라이트 IRC-50 (H+형) 30ml컬럼을 통해주고 물 250ml로 세척한후 2.0N 암모니아수를 통하여 닌 하이드린으로 발색되는 획분 약 70ml를 모아 감압 농축시켜 담황색잔사 411mg을 얻는다. 실시예 9와 같은 방법으로 실리카겔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라피하여 미반응원료인 6'-N-데메틸-겐타마이신 C1(화합물 Ⅲ) 92mg을 회수하고, 이어서 6'-N, 3"-N-디데메틸-겐타마이신 C1(본 출원 목적 화합물) 92mg을 얻는다.
[실시예 11]
6'-N-데메틸-겐타마이신 C1(화합물 Ⅲ) 232mg (0.5밀리몰)을 물 20ml에 용해시키고 미리 수소로 활성화시킨 신선한 백금흑 400mg을 가한다. 온도를 45-55℃로 유지하면서 공기를 기포로 급히 통해주고 45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후 백금흑을 여과해내고 감압하 농축하여 얻은 잔사 209mg을 실시예 9와 같은 방법으로 실리카겔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하여 미반응 원료인 6'-N-데메틸-겐타마이신 C1(화합물 Ⅲ) 97mg을 회수하고 이어서 6'-N, 3"-N-디데메틸-겐타마이신 C1본 출원 목적화합물) 81mg을 얻는다.
[실시예 12]
6'-N-데메틸-겐타마이신 C1(화합물 Ⅲ) 347mg (0.75밀리몰)을 물 20ml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과망간산 카리 465mg (3.0밀리몰)을 가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반응시킨다. 반응액을 앰버라이트 IRC-50(H+형) 20ml 컬럼을 통하고 물 150ml로 세척하여 2.0N 암모니아수를 통하여 닌하이드린으로 발색되는 획분 약 55ml를 모아 감압하에 농축시켜 담황색의 잔사 268mg을 얻는다. 실시예 9와 같은 방법으로 실리카겔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라피하여 미반응 원료인 6'-N-데메틸-겐타마이신 C1(화합물 Ⅲ) 63mg을 회수한다. 이어서 6'-N, 3"-N-디데메틸-겐타마이신 C1(본 출원 목적화합물) 101mg을 얻는다.
[실시예 13]
6'-N, 3"-N-디데메틸-겐타마이신 C1(본 출원 목적 화합물) 468mg (1.0밀리몰)을 5ml의 물에 용해시키고, 냉각하 황산 98mg(1.0 밀리몰)을 물 1ml에 용해시켜 만든 용액을 가한다. 30분후, 침전 생성이 종료될 때까지 냉에타놀을 가하고, 석출되는 백색고체를 여과하여 본 출원 목적화합물의 모노황산염을 얻는다.

Claims (1)

  1. 다음 구조식의 화합물과 산화제를 반응시켜 구조식(Ⅰ)의 항생물질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08
    여기서 R1및 R2는 H이거나 CH3를 의미하나 R1과 R2가 동시에 H인 경우는 제외한다.
KR750002388A 1975-11-04 1975-11-04 항생물질의 제조방법 KR790001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2388A KR790001304B1 (ko) 1975-11-04 1975-11-04 항생물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02388A KR790001304B1 (ko) 1975-11-04 1975-11-04 항생물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304B1 true KR790001304B1 (ko) 1979-09-24

Family

ID=19201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002388A KR790001304B1 (ko) 1975-11-04 1975-11-04 항생물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30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95960B1 (en) Method for selective methylation of erythromycin a derivatives
Shibahara et al. Total syntheses of negamycin and the antipode
CA1296331C (en)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amikacin
JPS5976099A (ja) アミノナフタセン誘導体とその製造方法
KR790001304B1 (ko) 항생물질의 제조방법
KR800000568B1 (ko) 항생물질 유도체의 제조방법
KR790001616B1 (ko) 항생물질 유도체의 제조방법
Kuzuhara et al. Stereoselective synthesis of 5-O-carbamoylpolyoxamic acid (2-amino-5-O-carbamoyl-2-deoxy-l-xylonic acid
KR800000057B1 (ko) 항생물질의 제조방법
KR790001397B1 (ko) 항생물질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4500956A (ja) 4―置換アンスラサイクリノン及びアンスラサイクリングリコシド及びそれらの製造
KR790001140B1 (ko) 항생물질의 유도체의 제조방법
CA1095903A (en)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3',4'- dideoxykanamycinb
CN109134576A (zh) 一种以猪去氧胆酸为原料合成石胆酸的方法
JPS5811957B2 (ja) ジエンタマイシンc1誘導体
US3043876A (en) 4a, 12a-anhydro-4-desdimethylaminotetracycline and analogs thereof
NO141609B (no) Analogifremgangsmaate til fremstilling av terapeutisk virksomme n-demetylgentamicin-forbindelser, samt syreaddisjonssalter derav
CA1053664A (en) Antibiotic compounds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KR790000809B1 (ko) 항생물질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00000627B1 (ko) 항생물질 xk-62-2의 유도체의 제조방법
PT102061B (pt) Processo de preparacao de um antibiotico cefalosporina geralmente activo-cefixime
NO141209B (no) Analogifremgangsmaate til fremstilling av antibiotiske derivater av antibiotikum xk-62-2
KR20000037126A (ko) 6-메틸 에리스로마이신 a의 제조방법
SE425664B (sv) Analogiforfarande for framstellning av 3"-n-demetyl-xk-62-2
JPS58198497A (ja) 新規アミノ配糖体及びその製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