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28950A - 에어 커튼 발생 장치 및 탱크 진입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 커튼 발생 장치 및 탱크 진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28950A
KR20240128950A KR1020247024909A KR20247024909A KR20240128950A KR 20240128950 A KR20240128950 A KR 20240128950A KR 1020247024909 A KR1020247024909 A KR 1020247024909A KR 20247024909 A KR20247024909 A KR 20247024909A KR 20240128950 A KR20240128950 A KR 20240128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ank
air curtain
manhole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24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레 헬란드
Original Assignee
토레 헬란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레 헬란드 filed Critical 토레 헬란드
Publication of KR20240128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289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using fluids, e.g. gas str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0Manholes; Inspection openings; Cov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탱크(1)의 맨홀(2)로부터 배출되는 입자 및 가스의 유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에어 커튼 발생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장치(10)는 맨홀(2)의 림(2.1)에 인접하게 부착되도록 배열되고, 사람이 상기 탱크(1)에 출입할 때 구멍(11)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중앙 구멍(11)을 갖는다. 장치(10)는 추가로 다음을 포함한다: - 상기 구멍(11)을 둘러싸는 링-형상의 공기 노즐 매니폴드 채널(12)로서 상기 공기 노즐 매니폴드 채널(12)은 구멍(11)의 주변부를 따라 배열된 노즐(13)의 세트와 함께 배열되고, 상기 노즐(13)의 세트는 노즐(13)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탱크(1) 내부(1.1)의 포커스(F)을 향해 지향되도록 추가로 배열되어, 상기 포커스(F)을 향해 테이퍼링되는 연속적인 에어 커튼(100)을 생성하는 것과, - 공기 노즐 매니폴드 채널(12)을 압축공기의 공급원에 연결하기 위한 공기 노즐 매니폴드 채널(12) 상의 공기 연결부. 본 발명은 또한 탱크(1) 내부(1.1)의 대기로부터 맨홀(2) 외부(1.2)의 영역을 차폐하면서 맨홀(2)을 갖는 탱크(1)에 출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 커튼 발생 장치 및 탱크 진입 방법
본 발명은 탱크의 맨홀로부터 배출되는 입자 및 가스의 유동을 감소시키는 에어 커튼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탱크에 진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 산업 공장에서는 정비 또는 검사를 위해 다양한 유형의 탱크에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인 작업이다. 이는 예를 들어 석유화학 플랜트 및 정유소와 같은 많은 유형의 공정 플랜트에서 상당히 일반적인 작업이다.
탱크가 일정 기간 동안 사용된 후, 탱크는 종종 내부에서 더러워질 것이고, 스케일이 내부에 축적될 수 있거나 내부가 부식될 수 있다. 이는 유지보수 및 검사를 요구한다. 많은 경우에 그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인력이 탱크에 들어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일정 크기 이상의 대부분의 탱크에는 맨홀이 장착되어 있다. 맨홀은 기본적으로 사람이 개구부를 통과하여 탱크 안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하는 크기의 폐쇄 가능한 개구부이다.
탱크로 들어가는 것은 잠재적으로 위험하다. 이것은 산소의 부족, 화학 물질의 잔류 또는 탱크 내부의 대기와 관련된 다른 요인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탱크에 들어가는 위험으로 인해 인력이 탱크 내부에 있는 동안 탱크에 들어가는 인력을 모니터링, 보조 및 감독하는 인력을 탱크 외부에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탱크 내부에서 수행되는 유지보수는 전형적으로 도장, 용접, 스크레이핑, 샌드블래스팅 또는 고압 워셔에 의한 세척이다. 이러한 활동은 먼지, 입자 그리고 가스와 연기를 탱크 내부의 대기로 방출한다. 따라서 탱크 내부의 인력은 탱크 내의 잠재적으로 유해한 대기로부터 보호되도록 필터 마스크, 가스마스크 또는 다른 유형의 개인 보호 장치(PPE, Personnel Protecting Equipment)를 종종 착용할 것이다. 그러나, 외부 인력이 내부 인력과 동일한 PPE를 착용하고 있는 것은 그렇게 흔하지 않다.
입자, 가스, 연기 및 증기는 또한 맨홀을 통해 탱크를 빠져나가 맨홀 주변의 탱크 외부의 영역을 오염시킨다. 이는 특히 맨홀 부근의 인력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다.
탱크 내의 인력이 탱크를 떠날 때, 그들은 보통 맨홀을 통해 기어 나올 때 외부에 있는 인력의 도움을 받을 것이다. 외부 인력이 기어 나오는 인력을 보조함에 따라, 탱크를 떠나는 인력을 덮고 있는 연기, 먼지 등에 노출되게 된다. 탱크 내부에서 유지보수를 수행한 인력은 종종 너무 더러우며 샌드블래스팅으로 인한 먼지 및/또는 모래로 덮여 있어 장비와 작업복을 외부로 가져올 때 먼지와 모래로 지면을 완전히 덮는다.
탱크 내부에서 탱크 외부의 영역으로 방출되는 연기, 가스 및 입자에 노출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해결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JP 2001072182 A는 내부 점검 작업 동안에 먼지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해결책에 관한 것이다.
EP 3248909 A1은 수집 용기 및 적어도 하나의 비움 장치를 갖는 폐기물 수집 차량을 기술하며, 수집 용기는 주입 개구 및 흡입 장치를 갖는다. 수집 용기는 또한 노즐 장치에 의해 주입 개구의 영역에 에어 커튼을 생성하는 송풍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탱크의 맨홀로부터 배출되는 입자 및 가스의 유동을 감소시키는 에어 커튼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는 맨홀의 림(rim)에 인접하게 부착되도록 배열된다. 장치는 사람이 (상기 맨홀을 통해) 상기 탱크를 출입할 때 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중앙 구멍을 갖는다. 장치는 다음을 더 포함한다:
- 상기 구멍을 둘러싸는 링-형상 공기 노즐 매니폴드 채널로서, 공기 노즐 매니폴드 채널은 구멍의 주변부를 따라 배열된 노즐들의 세트와 함께 배열되고, 상기 노즐들의 세트는 노즐들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장치가 탱크에 부착될 때) 탱크 내부의 포커스(focus)를 향해 지향되도록 추가로 배열되어, 포커스를 향해 테이퍼링되는 연속적인 에어 커튼을 생성하는 것, 및
- 공기 노즐 매니폴드 채널을 압축공기의 공급원에 연결하기 위한 공기 노즐 매니폴드 채널의 공기 연결부.
장치는 공기가 맨홀의 림과 장치 사이에서 탱크를 빠져나갈 수 없게 탱크에 부착되도록 배열된다.
단어 "공기(air)" 및 "에어 커튼(air curtain)"은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면서 사용된다. 커튼을 생성하는데 사용하기에 가장 편리한 물질이기 때문에 공기가 사용되지만, 일반적으로 공기로서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가스 조성도 본 발명과 함께 작동할 수 있다. 탱크 내부의 대기를 구성하는 물질을 언급할 때 공기에 대해서와 마찬가지이다. 탱크 내부의 대기는 일반적으로 공기 중에 있지 않거나 공기로 지칭되지 않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지만, 편의상 공기라고 한다.
노즐들의 세트는 슬릿(slit)들일 수 있다. 그것은 구멍의 주변부를 따라 배열된 여러 개의 슬릿들일 수 있거나 또는 강성 채널(stiff channel)에 배열된 하나의 긴 연속 슬릿일 수 있다. 개구는 각 노즐로부터의 공기의 스트림이 포커스에서 만나도록 경사진다. 포커스는 모든 노즐들 또는 하나 이상의 슬릿으로부터의 공기가 만나는 상상의 지점(포커싱 지점)일 수 있다.
사용시, 본 발명의 효과는 공기의 스팀(에어 커튼)이 구멍을 통해 맨홀을 빠져나가는 입자, 가스 및 연기(fumes)의 양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일부 경우에, 개방될 수 있는 탱크 내에 제2 개구(종종 더 작은 개구, 즉 맨홀이 아님)가 존재한다. 이 제2 개구가 개방되면, 에어 커튼 장치로부터의 공기의 스트림이 환기를 위한 공기의 처리량(throughput)을 생성할 것이다. 제2 개구는 인력이 없는 영역에서 빠져나갈 수 있고/있거나, 빠져나가는 공기는 제2 개구를 빠져나가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를 통해 라우팅될(routed) 수 있다. 호스 또는 몇몇 종류의 채널이 또한 배출되는 공기를 유해한 경로 밖으로 유도하기 위해 이 제2 개구에 연결될 수 있다.
탱크에 제2 개구가 없어도, 에어 커튼 장치는 맨홀을 빠져나가는 연기, 입자 및 가스의 양을 줄일 수 있다. 탱크를 빠져나가는 입자 및 연기의 수를 감소시키는 효과 및 환기 효과 양쪽 모두는 제2 개구로 더 양호해질 것이다.
또 다른 관련 효과는 맨홀을 통해 탱크에서 기어 나오는 인력이 에어 커튼을 통과할 때 공기의 스팀에 의해 깨끗해지고/씻겨질 것이다. 의류와 장비에 묻은 먼지와 오물이 떨어지고 공기의 스트림을 따라 탱크로 다시 유입된다. 이는 맨홀 외부의 공기로 방출되는 먼지의 양을 감소시키고 탱크 외부의 인력에 대한 먼지의 노출을 감소시킬 것이다.
장치는 복귀 공기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덕트는 공기가 공기 노즐 매니폴드 채널 외부의 맨홀을 통해 탱크 밖으로 통과하게 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탱크에 제2 개구가 존재하지 않거나, 제2 개구를 개방하는 것이 편리하지 않다. 그러한 경우에, 공기의 순환/처리(circulation/throughput)를 허용하기 위해 복귀 공기 덕트가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탱크에서 제2 개구를 개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복귀 공기 덕트를 포함하는 것은 어쨌든 시간 절약일 것이다.
복귀 공기 덕트는 탱크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탱크의 내부에서 연장되는 경우, 복귀 공기 덕트의 입구는 예를 들어 맨홀에 비해 탱크의 다른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탱크 내의 공기의 순환을 향상시킬 것이다. 외부에서, 복귀 공기 덕트의 출구는 인력으로부터 멀어지고 유해한 경로를 벗어날 수 있다.
장치는 복귀 공기 덕트를 통해 탱크로부터 빠져나가는 공기가 필터를 통해 라우팅되도록 배열된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귀 덕트를 갖는 것은 탱크를 빠져나가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것을 훨씬 더 편리하게 한다. 이는 탱크의 이차 개구들이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각 개별 탱크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필터를 찾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복귀 공기 덕트는 표준 크기를 가질 수 있고, 필터에 연결되기 위해 또는 복귀 덕트 내에 필터를 배치하기 위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탱크의 이차 개구들은 필터를 장착하기 위해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필터를 갖는 효과는 탱크를 둘러싸는 대기 내로 공기가 유입되기 전에 먼지, 모래 및 연기와 같은 원하지 않는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탱크를 빠져나가는 공기를 여과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장치는 장치가 맨홀을 둘러싸는 탱크 상의 대응하는 플랜지에 볼트 결합될 수 있도록 배열된 볼트 구멍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볼트 구멍은 상기 공기 채널에 연결되어 플랜지 부분 상에 배열되어서, 장치가 맨홀을 둘러싸는 탱크 상의 대응하는 플랜지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맨홀은 커버를 플랜지에 볼트 결합하여 맨홀을 폐쇄할 수 있도록 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장치에 볼트 구멍을 포함하면 장치를 탱크에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장치와 플랜지 사이에 씨일을 포함하는 것이 용이할 것이다.
장치는 신호 케이블, 브레딩 공기(breading air), 샌드블래스팅, 페인트, 전력, 압축공기 및 물로 구성된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공급품을 위한 처리 연결부(throughput connections)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처리 연결부는 공기 노즐 매니폴드 채널의 외부에 배열된다.
탱크에 들어가는 인력은 많은 경우에 세척을 하고 호스에서 물을 필요로 하거나 고압 세척기의 랜스(lance)로의 공급을 필요로 할 것이다. 다른 유지보수 활동들은 샌드블래스팅 장비 또는 유사한 것을 위해 압축공기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장치 상의 처리 연결부는 탱크 내부의 인력이 장치 내부의 표준화된 커플링에 직접 사용해야 하는 장비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것은 하나 이상의 공급물; 물, 압축된 물, 압축공기 및 전력에 대해 내부 및 외부 양쪽 모두에 표준화된 커플링으로 처리 연결부들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 연결부가 물을 위한 호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공기는 구멍을 통과해야 할 것이고, 에어 커튼의 효과가 감소되도록 노즐들 중 일부를 차단할 것이다. 따라서, 압축공기, 압축된 물 및 전력을 위한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이러한 수단의 효과는 호스 또는 케이블이 필요한 경우에 장치의 효율의 증가이다.
장치는 장치 내에 관통 채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관통 채널은 탱크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측면과 탱크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측면 사이에서 연장된다. 상기 관통 채널은 노즐 매니폴드 채널의 외부에 배열되고 탄성 밀봉 커프(cuff)를 포함한다.
이러한 관통 채널은 케이블, 튜브 및 호스를 통과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관통 채널은 공급물을 위한 처리 연결부에 추가되거나 그 대신에 있을 수 있다. 탱크 내부의 작업자가 탱크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물 호스를 필요로 할 때, 작업자는 호스를 통과 채널을 통해 통과시켜 필요한 만큼 끌어당길 수 있고 탄성 밀봉 커프는 호스 주위를 밀봉하여 오염 공기가 탱크에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탱크 내부의 대기로부터 맨홀 외부의 영역을 차폐하면서, 맨홀을 갖는 탱크에 출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 맨홀의 커버를 제거하는 단계,
- 상기한 바와 같은 에어 커튼 발생 장치를 맨홀의 림에 인접하게 탱크 상에 설치하는 단계,
- 에어 커튼을 생성하기 위해 압축공기의 유동을 개시하는 단계,
- 구멍을 통해 기어 들어가서 탱크로 들어가는 단계,
- 탱크 내부에서 점검 및/또는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단계, 및
- 에어 커튼에 의해 깨끗이 씻겨지면서 구멍을 통해 기어 나와 탱크를 빠져 나오는 단계.
또한 압축공기의 유동을 개시하는 단계는 인력이 구멍을 통해 탱크로 들어가기 전 대신에 탱크에 들어간 후에 행해질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먼지, 가스 등을 방출하는 활동이 시작되기 전에 압축공기를 개시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형태를 측면에서 도시한다. 장치는 탱크의 맨홀 상의 플랜지에 장착된다. 에어 커튼의 공기 스트림 및 탱크 내부에 있는 장치의 부분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전방에서 본 도 1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이는 장치가 탱크에 장착될 때 장치의 구멍을 통해 탱크의 맨홀을 들여다보는 것이다.
도 3은 장치를 탱크에 연결하는 하나의 가능한 방법을 도시하는, 맨홀 상의 플랜지에 대해 볼트 결합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4는 커버를 위한 힌지 연결부 및 커버에 대한 볼트 결합을 위한 볼트용 구멍을 갖춘 플랜지를 갖는 탱크 상의 전형적인 맨홀을 도시한다. 구멍은 또한 에어 커튼 발생 장치를 탱크에 볼트 결합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도면(도 1 내지 4)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탱크(1) 상의 플랜지(3) 상에 장착된 장치(10)를 도시한다. 장치(10)는 본 실시형태에서 볼트(4) 및 너트(5)를 사용하여 플랜지(3)에 볼트 결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장치(10)는 2개의 복귀 공기 덕트(14)들(도 1에서는 단지 하나만 도시됨)을 구비한다. 장치(10)는 복귀 공기 덕트(14)가 맨홀(2)의 하부에 있도록 배향된다. 장치(10)는 단지 하나의 복귀 공기 덕트(14) 또는 2개 초과의 덕트와 함께 배열될 수 있다. 장치(10)는 또한, 복귀 공기 덕트(14)가 예를 들어 맨홀(2)의 상부에 있도록, 맨홀(2)에 대해 다른 배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귀 공기 덕트(14)는 복귀 공기 덕트의 연장부(14.1)(점선으로 표시됨)로 탱크 내로 연장된다.
도 1에서, 에어 커튼(100)의 공기 스트림들은 점선으로 표시되고, 공기 스트림들이 만나는 포커스(F)를 향해 어떻게 테이퍼링 되는지를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도 2는 장치(10)가 탱크(1) 상에 장착될 때 장치(10)가 맨홀(2)을 통해 탱크(1)를 들여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에서 장치(10)를 도시한다. 탱크는 도 2에 도시되지 않고, 장치(10)만 도시되어 있다. 에어 커튼(100)을 구성하는 각각의 노즐(13)로부터의 공기 스트림들은 구멍(11) 내부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노즐(13)로부터의 공기 스트림들은 포커스(F)에서 만난다.
또한 2개의 복귀 공기 덕트(14)들이 도 2에 도시되어 있고, 복귀 공기 덕트(14)들의 옆에 압축공기(17.1), 물(17.2) 및 전력(17.3)을 위한 처리 연결부(17)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처리 연결부(17)는 물 호스, 공기 호스 및 연장 케이블과 같은 전기 케이블 상의 표준 연결부가 탱크(1)의 외부(1.2) 상의 처리 연결부(17) 내로 플러깅될(plugged) 수 있도록 구성된다. 탱크(1)의 내부(1.1)에서 인력은 압력 와셔 랜스(pressure washer lances), 샌드블래스팅 장비, 램프 등을 표준 연결부들에 연결할 수 있다. 이는 탱크(1) 내부에서 작업하기 훨씬 더 용이하게 하고, 호스 및 케이블이 에어 커튼(100)을 통과하고 그에 의해 노즐(13)들 중 일부로부터의 공기의 스트림을 차단함으로써 에어 커튼(100)의 효과를 감소시키게 할 필요가 없다.
공기 연결부(18)는 또한 도 2에서 볼 수 있다. 압축기 또는 유사한 것으로부터의 호스가 공기 연결부(18)에 연결되어 공기 노즐 매니폴드 채널(12)에 에어 커튼(100)을 생성하기 위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장치(10)의 실시형태의 일부 및 플랜지(3)의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한다. 씨일(15)은 장치(10)와 플랜지(3) 사이에 배열되어, 장치(10)와 플랜지(3) 사이에서 탱크(2) 내외로 공기가 전혀 통과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는 볼트(4) 및 너트(5)를 사용하여 플랜지(3)에 볼트 결합된다. 이 단면도에는 단지 하나의 볼트(4)와 너트(5)를 볼 수 있다. 공기 노즐 매니폴드 채널(12)은 단면으로 도시되고 이 단면도에서는 하나의 노즐(13)을 볼 수 있다. 노즐(13)은 맨홀(2)을 통해 탱크(1) 내로 경사지게 공기를 지향시킨다.
도 4는 둘러싸는 플랜지(3)를 갖는 전형적인 맨홀(2)을 도시한다. 플랜지(3)는 볼트(3.1)를 위한 구멍을 구비해서, 탱크(1)를 밀봉하기 위해 커버가 플랜지(3)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서, 커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는 탱크(1)를 개방하기 위해 그리고 장치(10)가 탱크(1) 상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제거된다.
탱크가 맨홀(2)을 둘러싸는 플랜지(3)를 구비하는 경우에, 장치(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3)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장치(10)가 플랜지(3)에 볼트 결합되면, 압축공기용 호스가 공기 노즐 매니폴드 채널(12) 상의 공기 연결부(18)에 연결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전력, 물 및 압축공기가 처리 연결부(17)들에 연결될 수 있다.
압축공기가 연결되어 개시될(turned on) 때, 장치(10)는 에어 커튼(100)을 생성하고 있으며, 이제 인력은 구멍(11)을 통해 탱크(1)로 들어갈 수 있고, 탱크(1)의 외부는 탱크(1) 내부의 대기로부터 차폐된다.
구멍(11)과 맨홀(2)을 통해 기어 들어간 후, 인력은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샌드블래스팅 및 다른 활동은 맨홀(2)을 통해 통제되지 않은 모래를 퍼뜨리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탱크 내부의 인원을 감시하고 감독하도록 설정된 탱크 외부의 인원은 탱크(1) 내부의 잠재적인 유해 대기에 노출되지 않고 맨홀(2)을 통해 들여다 볼 수 있다. 휘몰아치는 입자 및 먼지는 이것이 여과될 수 있고/있거나 유해하지 않은 방식으로 유도될 수 있는 복귀 공기 덕트를 통해 환기될 것이기 때문에, 장치(10)는 신선한 공기 및 가시성을 제공하여 탱크를 환기시킬 것이다.
탱크(1) 내부의 인력이 작업을 마치면, 이들은 나가는 도중에 노즐(13)로부터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깨끗이 플러싱되면서 맨홀(2) 및 구멍(11)을 통해 기어 나올 수 있다. 먼지와 오물은 탱크(1) 내로 다시 송풍될 것이고, 그 일부는 복귀 공기 덕트(14)를 통해 환기될 것이다. 탱크(1) 내부에 있었던 장비와 인력의 먼지에 노출되지 않고 외부의 인력이 도움을 줄 수 있다.
1 탱크
1.1 탱크 내부
1.2 탱크 외부
2 맨홀
2.1 맨홀의 림(rim)
3 플랜지
3.1 플랜지의 볼트 구멍(hole)
4 볼트
5 너트
10 에어 커튼 발생 장치(또는 짧게 장치)
11 구멍(aperture)
12 공기 노즐 매니폴드 채널
13 노즐
14 복귀 공기 덕트
141 복귀 공기 덕트의 연장부
15 씨일
16 볼트 구멍
17 처리 연결부(17.1, 17.2, 17.3 등)
17.1 압축공기를 위한 처리 연결부
17.2 물을 위한 처리 연결부
17.3 전력을 위한 처리 연결부
18 공기 연결부
100 에어 커튼
F 포커스(노즐의 포커스, 즉 노즐을 빠져나가는 공기가 향하는 곳)

Claims (7)

  1. 탱크(1) 상의 맨홀(2)로부터 배출되는 입자 및 가스의 유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에어 커튼 발생 장치(10)로서,
    상기 에어 커튼 발생 장치(10)는 상기 맨홀(2)의 림(2.1)에 인접하게 부착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에어 커튼 발생 장치(10)는 중앙 구멍(11)을 갖고 상기 구멍은 사람이 상기 탱크(1)를 출입할 때 상기 구멍(11)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에어 커튼 발생 장치(10)는:
    - 상기 구멍(11)을 둘러싸는 링-형상의 공기 노즐 매니폴드 채널(12)로서, 상기 공기 노즐 매니폴드 채널(12)은 상기 구멍(11)의 주변부를 따라 배열된 노즐(13)들의 세트와 함께 배열되고, 상기 노즐(13)들의 세트는 상기 노즐(13)들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탱크(1) 내부(1.1)의 포커스(F)를 향해 지향되도록 추가로 배열되어, 상기 포커스(F)를 향해 테이퍼링되는 연속적인 에어 커튼(100)을 생성하는 것, 및
    - 상기 공기 노즐 매니폴드 채널(12)을 압축공기의 공급원에 연결하기 위한 상기 공기 노즐 매니폴드 채널(12) 상의 공기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에어 커튼 발생 장치(1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커튼 발생 장치(10)는 복귀 공기 덕트(14)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귀 공기 덕트(14)는 공기가 상기 공기 노즐 매니폴드 채널(12) 외부의 상기 맨홀(2)을 통해 상기 탱크(1) 밖으로 통과하게 하도록 배열되는, 에어 커튼 발생 장치(10).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어 커튼 발생 장치(10)는 상기 탱크(1)로부터 상기 복귀 공기 덕트(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배열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에어 커튼 발생 장치(10).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커튼 발생 장치(10)는, 상기 에어 커튼 발생 장치(10)가 상기 맨홀(2)을 둘러싸는 상기 탱크(1) 상의 대응하는 플랜지(3)에 볼트 결합될 수 있도록 배열되는 볼트 구멍(16)들을 더 포함하는, 에어 커튼 발생 장치(10).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커튼 발생 장치(10)는, 신호 케이블, 브레딩 공기(breading air), 샌드블래스팅, 페인트, 전력(17.3), 압축공기(17.1) 및 물(17.2)로 이루어진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공급품을 위한 처리 연결부(17)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 연결부(17)들은 상기 공기 노즐 매니폴드 채널(12) 외부에 배열되는, 에어 커튼 발생 장치(10).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커튼 발생 장치(10)는, 상기 에어 커튼 발생 장치(10)에서 상기 탱크 내부(1.1)를 향하도록 배열된 측면과 상기 탱크 외부(1.2)를 향하도록 배열된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관통 채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관통 채널은 상기 노즐 매니폴드 채널(12) 외부에 배열되고 탄성 밀봉 커프(cuff)를 포함하는, 에어 커튼 발생 장치(10).
  7. 탱크(1) 내부(1.1)의 대기로부터 맨홀(2) 외부(1.2)를 차폐하면서, 맨홀(2)을 갖는 탱크(1)에 출입하는 방법으로서,
    - 상기 맨홀(2)의 커버를 제거하는 단계,
    -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 커튼 발생 장치(10)를 상기 맨홀(2)의 림(2.1)에 인접하게 상기 탱크(1) 상에 설치하는 단계,
    - 에어 커튼(100)을 생성하기 위해 압축공기의 유동을 개시하는 단계,
    - 구멍(11)을 통해 기어 들어가서 상기 탱크(1)로 들어가는 단계,
    - 상기 탱크(1) 내부에서 점검 및/또는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단계, 및
    - 상기 에어 커튼(100)에 의해 깨끗이 씻겨지면서 상기 구멍(11)을 통해 기어 나와 상기 탱크(1)를 빠져 나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47024909A 2022-01-10 2023-01-10 에어 커튼 발생 장치 및 탱크 진입 방법 KR202401289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220032A NO347283B1 (en) 2022-01-10 2022-01-10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entering a tank
NO20220032 2022-01-10
PCT/NO2023/050004 WO2023132754A1 (en) 2022-01-10 2023-01-10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and a method for entering a ta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8950A true KR20240128950A (ko) 2024-08-27

Family

ID=8527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24909A KR20240128950A (ko) 2022-01-10 2023-01-10 에어 커튼 발생 장치 및 탱크 진입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463269A1 (ko)
KR (1) KR20240128950A (ko)
CN (1) CN118660763A (ko)
AR (1) AR128242A1 (ko)
NO (1) NO347283B1 (ko)
WO (1) WO2023132754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61733B (ko) * 1971-11-26 1973-11-12 G Davidson
JP2001072182A (ja) * 1999-09-07 2001-03-21 Furukawa Co Ltd マンホール
KR20090012594A (ko) * 2007-07-30 2009-02-04 김용희 고농도 이온 에어커튼을 활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의악취제거 장치
SG11201405649SA (en) * 2011-10-13 2014-11-27 Tokyo Metro Sewerage Serv Corp Fan and ventilation system
DE102016208835A1 (de) * 2016-05-23 2017-11-23 Zöller-Kipper GmbH Müllsammelfahrzeug
KR20200091571A (ko) * 2019-01-23 2020-07-31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Gtsu 호퍼의 비산먼지 차단장치
CN111109644A (zh) * 2020-01-09 2020-05-08 广西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贮叶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347283B1 (en) 2023-08-21
CN118660763A (zh) 2024-09-17
AR128242A1 (es) 2024-04-10
EP4463269A1 (en) 2024-11-20
WO2023132754A1 (en) 2023-07-13
NO20220032A1 (ko) 202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07012A (ja) 除電除塵装置
KR20110115990A (ko) 화재진압용 스모크 디텍터 장치
JPH06502493A (ja) 移動式co2ブラスティング汚染除去システム
JP4644211B2 (ja) 自己洗浄式フィルタ組立体および循環システム
KR20240128950A (ko) 에어 커튼 발생 장치 및 탱크 진입 방법
NO20230626A1 (en) Air curtain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entering a tank
KR101911487B1 (ko) 자외선 페인트용 후처리장치
US7195678B1 (en) Method of installing an inspection port onto asbestos insulated pipe and equipment
CN108057292A (zh) 车间粉尘处理设备
JP4122015B2 (ja) プラント洗浄方法,アスベスト除去方法および解体処理方法
JPH0214740A (ja) 動的閉じこめ装置
KR200243897Y1 (ko) 방사성 오염물질 처리작업 전용부스
JPH06213593A (ja) ボイラーの洗浄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除塵装置
CN211025600U (zh) 一种电除尘灰斗抑尘系统
EP1787708A1 (en) Device and method to eliminate explosive atmospheres in tanks for storage of liquid petroleum products
JP2007205606A (ja) 発塵抑制装置
KR101408308B1 (ko) 도장 부스 장치
CN108554696B (zh) 环保型水帘机
EP4168181B1 (en) Apparatus for washing airbrushes having low smoke emission
KR102357492B1 (ko) 아연용사 분진과 흄의 포집 및 제거장치
KR102707364B1 (ko) 배관 세척장치
JP2001072182A (ja) マンホール
CN218971516U (zh) 一种制砖厂用尾气风机结构
JP3875923B2 (ja) 土砂バケット清掃装置
DE255318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schirmen eines staubhaltigen abgasstro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