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26194A -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26194A
KR20240126194A KR1020230018690A KR20230018690A KR20240126194A KR 20240126194 A KR20240126194 A KR 20240126194A KR 1020230018690 A KR1020230018690 A KR 1020230018690A KR 20230018690 A KR20230018690 A KR 20230018690A KR 20240126194 A KR20240126194 A KR 20240126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pring
buffer pad
coil spring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8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선
박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Priority to KR1020230018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26194A/ko
Publication of KR20240126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261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 B60G15/063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pring on the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60G11/1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를 개시한다.
개시된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는 쇼크업소버 및 상기 쇼크업소버 둘레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하여 차륜 측과 차체 측 사이를 지지하는 차량의 현가장치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쇼크업소버의 하측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쇼크업소버 둘레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관부; 및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관부 둘레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강화 플라스틱 재질을 통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spring seat for suspension devic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현가장치에 코일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장착되는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현가장치는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차체와 차축 사이에 제공된다.
그리고 차량의 현가장치 중에는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와, 쇼크업소버의 둘레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한 것이 있다.
코일스프링은 노면에서 받은 충격을 완화시키고, 쇼크업소버는 코일스프링의 자유 진동을 억제하면서 코일스프링과의 상호 보완작용을 통해 자체에 가해지는 진동을 더욱 저감시킨다.
또 차량의 현가장치는 스프링시트를 구비하여 코일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코일스프링의 상단부는 쇼크업소버의 상단을 차체에 장착시키는 브래킷을 통해 지지되고, 스프링시트는 쇼크업소버의 하측 둘레에 고정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대부분의 스프링시트로는 강철 재질로 마련된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차량의 경량화에 따른 연비절감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소재 개발에 대한 노력이 커지고 있다.
차량 현가장치의 경량화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는 쇼크업소버 및 상기 쇼크업소버 둘레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하여 차륜 측과 차체 측 사이를 지지하는 차량의 현가장치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쇼크업소버의 하측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쇼크업소버 둘레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관부; 및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관부 둘레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강화 플라스틱 재질을 통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현가장치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부와 상기 스프링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연질의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패드는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스프링시트의 외면을 덮도록 상기 스프링시트에 결합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완충패드를 형성하는 용융수지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플랜지부의 외곽 쪽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제1관통공; 및 상기 고정관부와 제1관통공들 사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제2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공은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영역의 상기 플랜지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영역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의 상기 플랜지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현가장치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부와 상기 스프링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연질의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패드는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스프링시트의 외면을 덮도록 상기 스프링시트에 결합되는 일체형 완충패드와, 복수의 끼움돌기를 구비하여 스프링시트에 끼움 조립되는 조립형 완충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며, 상기 플랜지부는 복수의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플랜지부의 외곽 쪽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제1관통공; 및 상기 고정관부와 제1관통공들 사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제2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질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관부는 상기 완충패드를 형성하는 용융수지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외측면에 형성되는 유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홈은 복수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에 의하면, 차량 현가장치의 경량화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가 적용되는 차량의 현가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에 일체형 완충패드가 적용된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된 Ⅳ-Ⅳ′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3에 표시된 Ⅴ-Ⅴ′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의 평면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에 조립형 완충패드가 적용된 구조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10)가 적용되는 차량의 현가장치(1)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현가장치(1)는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한 것으로,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2)와, 쇼크업소버(2)의 둘레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3)을 구비하여 차량의 차륜 측과 차체 측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쇼크업소버(2)는 차륜 측에 고정되는 하부의 실린더(2a)와, 실린더(2a)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스톤(미도시)과, 일단이 피스톤(미도시)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이 실린더(2a) 상부로 연장되어 차체 쪽에 고정되는 피스톤로드(2b)를 구비할 수 있다.
실린더(2a) 저부에는 차량의 현가장치(1)가 차륜 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로우 브래킷(4)이 마련될 수 있다.
또 차량 현가장치(1)는 어퍼 브래킷(5)를 구비하여 차체에 장착될 수 있다. 어퍼 브래킷(5)은 쇼크업소버(2)의 피스톤로드(2b)가 차체에 장착되도록 하면서 피스톤로드(2b)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쇼크업소버(2)는 차량의 주행 중 실린더(2a)에 대해 슬라이딩 하는 피스톤(미도시)의 왕복운동에 따라 압축행정과 리바운드 행정을 반복하면서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다.
코일스프링(3)은 실린더(2a)와 피스톤로드(2b) 사이를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쇼크업소버(2)의 둘레에 설치되어 쇼크업소버(2)의 진동감쇄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차량 현가장치(1)는 스프링시트(10)를 구비하여 코일스프링(3)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코일스프링(3)의 상단부는 어퍼 브래킷(5)을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차량의 현가장치(1)는 더스트커버(6)를 구비할 수 있다. 더스트커버(6)는 흙이나 모래와 같은 이물질이 쇼크업소버(2)의 실린더(2a)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코일스프링(3) 안쪽의 피스톤로드(2b) 둘레에 설치될 수 있다.
피스톤로드(2b)가 연장되는 실린더(2a)의 상단부 외주에는 스트라이커캡(7)이 고정될 수 있다. 더스트커버(6)는 어퍼 브래킷(5)과 스트라이커캡(7)의 저부 둘레 사이에 지지되는 주름관 형태로 마련되어, 쇼크업소버(2)와 코일스프링(3)의 동작 시 이들과 함께 신축운동 하면서 실린더(2a) 내부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더스트커버(6)의 상부 내측으로 피스톤로드(2b)의 상부 둘레에는 범퍼러버(8)가 부착되고, 범퍼러버(8)는 피스톤로드(2b)의 하강 동작시 스트라이커캡(7) 상단면에 접촉하면서 피스톤로드(2b)의 동작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스프링시트(10)는 쇼크업소버(2) 둘레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관부(20)와, 코일스프링(3)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고정관부(20) 둘레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30)를 구비하여 쇼크업소버(2)에 고정된 상태로 코일스프링(3)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플랜지부(30)는 고정관부(20)의 하측 둘레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관부(20)는 실린더(2a) 둘레에 끼워지는 지지공(21)을 구비하고, 지지공(21)은 실린더(2a) 둘레에 압입된 상태에서 스프링시트(30)를 쇼크업소버(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공(21)의 내주에는 압입돌기(22)가 돌출 형성되고, 지지공(21)은 압입돌기(22)를 통해 실린더(2a) 둘레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압입돌기(22)를 통해 실린더(2a) 둘레에 압입된 스프링시트(30)는 회전 및 승강방향으로 유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쇼크업소버(2) 둘레에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압입돌기(22)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되고, 지지공(21) 내주 일측으로 압입돌기(22)들 사이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홈(23)이 마련될 수 있다.
또 플랜지부(30)의 하면에는 스프링시트(3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돌기(미도시)가 저부로 돌출 연장될 수 있다. 회전방지돌기(미도시)는 실린더(2a)에 외면에 형성되는 스토퍼부(미도시)와 원주방향으로 걸림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압입돌기(22)에 의해 제한되는 스프링시트(30)의 회전방향 유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부(미도시)는 실린더(2a) 표면의 일부를 가공하거나, 실린더(2a)와 별도로 마련된 것을 실린더(2a)에 결합시켜 마련할 수 있다.
플랜지부(30)에는 코일스프링(3)의 하단부 끝단을 원주방향으로 지지하는 단차부(32)가 마련될 수 있다. 플랜지부(30)는 나선 형태를 이루는 코일스프링()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원주방향을 따라 단차부(32) 일측의 저부에서 단차부() 타측의 상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시트(10)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을 통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강화 플라스틱으로 마련되는 스프링시트(10)는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기존의 스프링시트에 대응하는 강성조건을 충족시키면서 상대적으로 적은 중량을 구비함으로써, 차량 현가장치(1)의 경량화에 따른 차량의 연비절감 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스프링시트(10)의 사출과정에서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플랜지부(30)의 저면에는 다수의 살빼기홈(33)이 마련될 수 있다. 다수의 살빼기홈(33)은 일 예로, 지지공(21) 둘레의 플랜지부(30)의 저면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살빼기홈(33)은 스프링시트(10)의 사출성형 시 기포발생에 의해 스프링시트(10)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플라스틱으로 마련되는 스프링시트(10)의 강도가 보다 효과적으로 보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차량의 현가장치(1)는 코일스프링(3)의 하단부와 스프링시트(10) 사이에 개재되는 연질의 완충패드(40)를 구비할 수 있다. 완충패드(40)는 작동 상태에 있는 코일스프링(3)과 스프링시트(10)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코일스프링(3)과 스프링시트(10) 사이에 발생하는 진동을 완충시킬 수 있다.
완충패드(40)와 스프링시트(10)는 상호 결합된 단품 상태에서 차량 현가장치(1)의 조립라인으로 제공되어 차량 현가장치(1)의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완충패드(40)와 스프링시트(10)는 함께 스프링지지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완충패드(40)는 스프링시트(10)의 플랜지부(30) 상면과 고정관부(20)의 외면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완충패드(40)는 플랜지부(30) 상면을 덮는 제1파트(41)와, 고정관부(20) 외면을 덮는 제2파트(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파트(41)는 플랜지부(30)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마련되고, 제2파트(42)는 고정관부(20)의 외면 전체 또는 일부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완충패드(40)로는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스프링시트(10)의 외면을 덮도록 스프링시트(10)에 결합되는 일체형 완충패드(40a)와, 복수의 끼움돌기(45)를 구비하여 스프링시트(10)에 끼움 조립되는 조립형 완충패드(40b)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이용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6은 일체형 완충패드(40a)가 적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조립형 완충패드(40b)가 적용되는 경우를 보이고 있다.
일체형 완충패드(40a)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고무와 플라스틱의 중간 특성을 구비하는 탄성중합체로서, 유연성이 우수하여 완충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 내구성이 우수하고 사출성형이 가능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스프링시트(10)와 용이하게 일체화될 수 있고, 스프링시트(10)의 강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스프링시트(10)는 일체형 완충패드(40a)의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에 인서트로써 삽입되어, 일체형 완충패드(40a)가 사출 성형 과정에서 스프링시트(10) 외면에 일체로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플랜지부(30)와 고정관부(20)는 일체형 완충패드(40a)를 형성하는 용융수지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34)과 유입홈(24)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관통공(34)은 플랜지부(3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유입홈(24)은 고정관부(20)의 외측면에 내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형 완충패드(40a)의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미도시)은 용융수지가 채워지는 성형공간이 금형에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시트(10)의 플랜지부(30) 상면과 고정관부(20)의 외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융수지는 성형공간은 물론 성형공간에 연통되는 관통공(34) 및 유입홈(24) 내부로 유입되어 그 내부를 채울 수 있다. 따라서 성형이 완료된 일체형 완충패드(40a)는 관통공(34)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돌기(43)를 제1파트(41) 저면에 구비하고, 유입홈(24)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돌기(44)를 제2파트(42) 내면 쪽에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결합돌기(43)는 스프링시트(10)의 플랜지부(30)와 완충패드(40a)의 제1파트(41) 사이의 결합면적을 증대시켜 양자 간이 결합력이 커지도록 하고, 결합돌기(44)는 스프링시트(10)의 고정관부(20)와 완충패드(40a)의 제2파트(42) 사이의 결합면적을 증대시켜 양자 간의 결합력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관통공(34)에 결합되는 결합돌기(43)는 돌출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플랜지부(30)와 제1파트(41) 사이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결합돌기(43)의 돌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파트(41)가 플랜지부(3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관통공(34)은 플랜지부(30) 하면에 인접한 구간의 내경이 플랜지부(30) 상면에 인접한 구간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결합돌기(43)는 관통공(34)의 형상에 대응하여 플랜지부(30) 하면에 인접한 구간의 외경이 플랜지부(30) 상면에 인접한 구간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공(34)과 결합돌기(43) 사이는 스프링시트(10)의 플랜지부(30)와 완충패드(40a)의 1파트(41) 사이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걸림구조를 형성하여 제1파트(41)가 플랜지부(30)의 상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관통공(34)과 결합돌기(43)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구조가 전술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통공(34)과 결합돌기(43)는 플랜지부(30)의 상면에서 하면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도 플랜지부(30)와 제1파트(41) 사이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걸림구조를 형성하여 완충패드(40a)가 스프링시트(10)의 상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관통공(34)은 플랜지부(30)의 외곽 쪽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제1관통공(34a)과, 고정관부(20)와 제1관통공(34)들 사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제2관통공(34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돌기(43)는 제1관통공(34a)에 결합하는 제1결합돌기(43a)와, 제2관통공(34b)에 결합하는 제2결합돌기(4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관통공(34a)들과 제1결합돌기(43a)들은 플랜지부(30)의 외곽 쪽 둘레를 따라 플랜지부(30)와 제1파트(41)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제2관통공(34b)들과 제2결합돌기(43b)들은 플랜지부(10)의 내곽 쪽 둘레를 따라 내곽에 인접한 영역의 제1파트(41)와 플랜지부(30)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공(34)들과 결합돌기(43)들은 플랜지부(30)의 외곽 쪽은 물론 내곽 쪽 영역에 이르기까지 플랜지부(30)와 제1파트(41) 사이의 결합력을 고르게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관통공(34b)은 코일스프링(3)에 의해 가압되는 영역(3a)의 플랜지부(30)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결합돌기(34b)는 코일스프링(3)을 통해 직접 가압되는 영역의 제1파트(41)와 플랜지부(30) 사이를 완충이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여, 코일스프링(3)의 가압작용 시 제2결합돌기(34a)의 완충작용에 의해 코일스프링(3)으로부터 스프링시트(10)로 전달되는 충격이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관통공(34a)은 코일스프링(3)에 의해 가압되는 영역(3a)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의 플랜지부(30)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관통공(34a)들과 제1결합돌기(43a)들 사이가 걸려 지지됨에 따라, 코일스프링(3)의 압축작용 시 완충패드(40a)의 제1파트(41) 외곽부가 코일스프링(3)의 압축력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리게 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완충패드(40a)는 제1파트(41)의 두께 저감으로 인해 완충기능이 저하되거나 상실될 우려가 줄어들 수 있다.
제1파트(41)를 가압하는 코일스프링(3)의 가압력은 끝단부의 말단보다 말단의 내측구간에서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파트(41)의 외곽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리게 되는 정도는 코일스프링(3)을 통해 가압되는 가압력의 정도에 비례하여 영역별로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1파트(41)의 외곽이 반경방향으로 밀리게 되는 현상이 원주방향을 따라 고르게 방지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제1관통공(34a)들 사이의 간격은 단차부(34)를 기준으로 높이가 낮은 위치의 플랜지부(30)보다 높이가 높은 위치의 플랜지부(30)에서 상대적으로 더 좁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유입홈(24)에 결합되는 결합돌기(44)는 그 돌출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정관부(20)와 제2파트(42) 사이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결합돌기(44)의 돌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파트(42)가 고정관부(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돌기(44)와 유입홈(24)의 걸림구조는 제2파트(42)가 고정관부(20) 외면으로부터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입홈(24)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되어 제2파트(42)가 고정관부(20)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유입홈(24)은 고정관부(20)의 외면으로부터 고정관부(20)의 내면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결합돌기(44)는 유입홈(24)의 형상에 대응하여 돌출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홈(24)과 결합돌기(44) 사이는 제2파트(42)와 고정관부(20) 사이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걸림구조를 제2파트(42)가 고정관부(20)의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스프링시트(10)에 고무재질의 조립형 완충패드(40b)가 조립되는 경우가 도시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형 완충패드(40b)는 스프링시트(10)의 플랜지부(30) 상면을 덮는 제1파트(41)와, 스프링시트(10)의 고정관부(20) 외면을 덮는 제2파트(4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파트(41)의 저면에는 복수의 끼움돌기(45)가 돌출 형성되고, 스프링시트(10)의 제2관통공(34b)은 끼움돌기(45)가 끼워질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시트(10)는 일체형 완충패드(40a)는 물론, 조립형 완충패드(40b)와도 효과적으로 결합되어 스프링지지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끼움돌기(45)는 제2관통공(34b)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 끼움돌기(45)의 하단에는 제2관통공(34b)에 걸리도록 걸림턱(45a)이 마련되어 스프링시트(10)에 조립된 조립형 완충패드(40b)가 스프링시트(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 차량 현가장치 2: 쇼크업소버
3: 코일스프링 10: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
20: 고정관부 22: 압입돌기
23: 유입홈 30: 플랜지부
34: 관통공 34a: 제1관통공
34b: 제2관통공 40: 완충패드
40a: 일체형 완충패드 40b: 조립형 완충패드
41: 제1파트 42: 제2파트
43,44: 결합돌기 43a: 제1결합돌기
43b: 제2결합돌기 45: 끼움돌기

Claims (7)

  1. 쇼크업소버 및 상기 쇼크업소버 둘레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하여 차륜 측과 차체 측 사이를 지지하는 차량의 현가장치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쇼크업소버의 하측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쇼크업소버 둘레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관부; 및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관부 둘레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강화 플라스틱 재질을 통해 사출 성형되는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현가장치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부와 상기 스프링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연질의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패드는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스프링시트의 외면을 덮도록 상기 스프링시트에 결합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완충패드를 형성하는 용융수지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플랜지부의 외곽 쪽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제1관통공; 및
    상기 고정관부와 제1관통공들 사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제2관통공을 포함하는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영역의 상기 플랜지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관통공은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영역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의 상기 플랜지부에 위치하는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현가장치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부와 상기 스프링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연질의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패드는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스프링시트의 외면을 덮도록 상기 스프링시트에 결합되는 일체형 완충패드와, 복수의 끼움돌기를 구비하여 스프링시트에 끼움 조립되는 조립형 완충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며,
    상기 플랜지부는 복수의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플랜지부의 외곽 쪽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제1관통공; 및
    상기 고정관부와 제1관통공들 사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제2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질 수 있게 마련되는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부는 상기 완충패드를 형성하는 용융수지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외측면에 형성되는 유입홈을 포함하는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홈은 복수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
KR1020230018690A 2023-02-13 2023-02-13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 KR20240126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8690A KR20240126194A (ko) 2023-02-13 2023-02-13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8690A KR20240126194A (ko) 2023-02-13 2023-02-13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6194A true KR20240126194A (ko) 2024-08-20

Family

ID=9259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8690A KR20240126194A (ko) 2023-02-13 2023-02-13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261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0651B2 (ja) 防振装置
JP3704032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H04224333A (ja) ブッシュタイプの制振装置及びブッシュタイプの液体充填制振装置
US20180105004A1 (en) Rubber sheet and suspension device
US20180086166A1 (en) Rubber sheet and suspension device
JP4950115B2 (ja) サスペンションサポート
KR100941723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마운트 브라켓
KR20240126194A (ko) 차량의 현가장치용 스프링시트
JP6537958B2 (ja) ブラケット付き防振装置
KR100854601B1 (ko) 쇽업소버의 캡 부재
CA2548170A1 (en) Jounce bumper, rate cup, and strut mount bottom plate
JP4005607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3962971B2 (ja) サスペンション用アッパサポート
CN215567617U (zh) 一种减震器及汽车
KR101162309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KR102278350B1 (ko) 차량용 스트럿 장치
JP4303277B2 (ja) 防振装置
KR100854600B1 (ko) 현가장치의 범퍼러버
CN220248798U (zh) 汽车减震器用帽构件以及汽车减震器
CN218913559U (zh) 用于车辆副车架的衬套组件、副车架及车辆
KR102472955B1 (ko) 수직·수평부하 일체형 자동차 쇽업소버 마운트의 롤링모듈
CN213501719U (zh) 一种被悬架弹簧以及安装盘组件包裹的悬架总成
JP6381221B2 (ja) 緩衝部材
US20230264534A1 (en) Spring pad for a suspension
KR100803151B1 (ko) 쇽 업소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