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2401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02401A KR20240102401A KR1020220184395A KR20220184395A KR20240102401A KR 20240102401 A KR20240102401 A KR 20240102401A KR 1020220184395 A KR1020220184395 A KR 1020220184395A KR 20220184395 A KR20220184395 A KR 20220184395A KR 20240102401 A KR20240102401 A KR 202401024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unit
- diffuser
- light emitting
- cabine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13 glar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02 propa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는 열교환기,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흡입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토출부로 토출되게 하는 송풍기 및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광을 방출하는 발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유닛은, 광원, 상기 광원에서 입사된 광을 확산하여 방출하는 디퓨져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는, 상기 광원의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면을 포함하는 광입사부, 상기 광입사부에서 방출된 광을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부 및 상기 분할부에서 방출된 광을 상기 광입사면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광출사면으로 방출하는 광출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을 부드럽게 확산하여 제공하고, 발광 유닛과 캐비닛의 결합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와 사방 밸브와 실외 열교환기(응축기 혹은 증발기)와 팽창 기구와 실내 열교환기(증발기 혹은 응축기)로 이루어진 냉매의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기에 냉각/방열 장치와, 실내 팬 및 실내팬 모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방열/냉각 장치와, 압축 장치와, 실외 팬 및 실외팬 모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분리형은 통상적으로 실내기가 실내의 내부에 세워지거나 벽에 걸거나 천정에 매립하여 설치되고, 일체형은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어 설치하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 설치하거나 실외에 배치되고 실내와 덕트로 연결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특허문헌 1)은, 새시에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부(41)가 형성되고,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베인(44)이 설치된다. 새시의 전면에는 프론트 패널(30)이 배치되고, 프론트 패널의 하부에는 표시창(38)이 배치되고, 프론트 패널의 내부에 발광장치가 배치되어서 표시창을 통해 실내기의 작동여부나 전원 여부를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실내기의 경우, 표시창을 통해 광이 직접적으로 방출되게 되면 사용자에게 눈부심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게 넓은 면광원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LED를 사용해야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경우, 발광장치를 새시에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가 전혀 개시되지 않아, 조립 시에 공차가 발생될 수 있고, 발광장치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실내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광을 사용자의 눈부심이 적고, 부드럽게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고 하는 다른 과제는, 하나의 투명 사출물 구조를 통해 하나의 광원에서 제공된 광을 부드러운 면광원 형태로 제공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고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가이드하는 과정에서 노출되는 광이 캐비닛의 외부로 직접 방출되는 것을 막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고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발광유닛이 캐비닛과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체결되는 스크류의 숫자를 줄이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고 또 다른 과제는, 베인의 후면부와 프론트 패널의 후면부에 발생하는 이슬 맺힘을 방지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실내기는 발광유닛이 광원에서 입사된 광을 확산하여 면 광원 형태로 방출하는 디퓨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실내기는 발광유닛을 캐비닛에 적어도 2개의 방향에서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속하는 구속부를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는 열교환기,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흡입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토출부로 토출되게 하는 송풍기 및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광을 방출하는 발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유닛은, 광원, 상기 광원에서 입사된 광을 확산하여 방출하는 디퓨져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는, 상기 광원의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면을 포함하는 광입사부, 상기 광입사부에서 방출된 광을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부 및 상기 분할부에서 방출된 광을 상기 광입사면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광출사면으로 방출하는 광출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입사부 및 분할부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광출사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져는, 상기 분할부와 일 방향에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는 상기 광출사부를 연결하는 버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입사부는, 일단에 광입사면이 위치되고, 상기 광입사면과 교차되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바와, 상기 제1바와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바와, 상기 제1바의 일단과 상기 제2바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부는, 상기 광입사부에서 방출된 광의 일부의 방향을 전환하는 제1 전환부; 및 상기 광입사부에서 방출된 광의 다른 일부의 방향을 상기 제1 전환부와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는 제2 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환부의 일단은 상기 제2바의 일부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전환부의 타단은 상기 광출사부의 일부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전환부의 타단의 단면적은 상기 제1 전환부의 일단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전환부는,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교차되는 제3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바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환부는, 상부 반사면과, 상기 상부 반사면과 마주보는 하부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반사면은 상기 제3방향에 대해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반사면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 반사면은 상기 상부 반사면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반사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환부의 일단은 상기 제2바의 다른 일부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제2전환부의 타단은 상기 광출사부의 다른 일부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제2전환부의 타단의 단면적은 상기 제2전환부의 일단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전환부는, 상기 제1 전환부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바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확장될 수 있다.
상기 광출사부는 상기 분할부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에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광입사부와 상기 분할부를 커버하는 광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는 상기 광커버의 보스홀에 삽입되는 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서로 수직하는 2개의 방향에서 상기 디퓨져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디퓨져의 양단에 배치되는 제1 구속부와 제2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속부 및 상기 제2 구속부는 상기 디퓨져의 외측방향과 상기 외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홈일 수 있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디퓨져의 양단에 배치되는 제1 구속부와 제2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속부와 상기 제2 구속부는 상기 디퓨져의 일단에서 돌출되고,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구속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져는, 투명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는 열교환기,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흡입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토출부로 토출되게 하는 송풍기 및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광을 방출하는 발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유닛은, 광원, 상기 광원에서 입사된 광을 확산하여 방출하는 디퓨져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는, 상기 광원의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면을 포함하는 광입사부, 상기 광입사부에서 방출된 광을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부 및 상기 분할부에서 방출된 광을 상기 광입사면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광출사면으로 방출하는 광출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입사된 광을 확산하여 방출하는 디퓨져 및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서로 수직하는 2개의 방향에서 상기 디퓨져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는, 상기 광원의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면을 포함하는 광입사부, 상기 광입사부에서 방출된 광을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부 및 상기 분할부에서 방출된 광을 상기 광입사면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광출사면으로 방출하는 광출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실내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유닛이 하나의 점광에서 방출된 광을 디퓨져를 통해 확산하여 제공하여서, 사용자의 눈부심을 줄이고, 부드러운 광을 공급하는 이점과, 하나의 점 광원만 사용하므로 광원이 배치되는 공간을 줄이며,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하나의 광원에서 방출된 빛을 확산하기 위해, 하나의 투명한 구조물의 전반사를 이용하게 되므로, 제조 비용을 줄이고, 제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디퓨져의 광입사부와 광출사부가 일 방향에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어서, 광입사부를 통해 방출된 광이 분할부를 통해 분할되고, 분할부를 통해 광출사부로 방출된 광이 광출사부를 하부를 통해 직접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하나의 투명 구조물을 통해 빛이 직접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제한하므로, 부드러운 빛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광입사부의 분할부와 광입사부를 커버하는 광커버를 통해, 광입사부와 분할부에서 전 반사되지 못하고 디퓨져의 외부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하게 되므로 강한 빛이 직접적으로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제한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디퓨져와 광커버가 보스에 의해 결합되고, 디퓨져에 배치된 구속부를 통해 디퓨져와 캐비닛이 구속되고, 광커버에 형성된 스크류 홀에 스크류가 결합되어, 광커버와 캐비닛이 결합되므로, 스크류의 개수를 줄이고, 안정적으로 발광유닛을 캐비닛에 결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토출부의 후면의 경사각을 토출 가이드 보다 완만하게 하여서, 토출부에서 토출 가이드를 통해 공기의 방향의 전환될 때 전환을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하므로, 토출부를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고 토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균일한 속도를 가지므로, 토출부 주변에서 이슬 맺힘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내기를 5-5'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발광유닛이 캐비닛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발광유닛이 캐비닛에서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5에 도시된 발광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디퓨져의 후면도이다.
도 9은 도 7에 도시된 디퓨져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디퓨져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디퓨져의 광커버의 일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퓨져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은 도 13의 발광유닛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내기를 5-5'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발광유닛이 캐비닛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발광유닛이 캐비닛에서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5에 도시된 발광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디퓨져의 후면도이다.
도 9은 도 7에 도시된 디퓨져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디퓨져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디퓨져의 광커버의 일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퓨져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은 도 13의 발광유닛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경사각과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경사각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디스플레이 패널(30)이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전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30)을 포함한다. 캐비닛은 내부에 송풍기(14), 오리피스(13) 및 열교환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는 베이스(12)와, 베이스(12)를 커버하는 프론트패널(2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30)은 프론트패널(20)에 설치되되 프론트패널(2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프론트패널(20)에는 중앙에 흡입부(15)가 형성되고, 캐비닛에 고정되며, 캐비닛에는 토출부(16)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토출부(16)는 제1 토출부(16a, 16b)와 제2 토출부(16c)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토출부(16a, 16b)는 캐비닛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토출부(16a)와 캐비닛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토출부(1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토출부(16c)는 캐비닛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토출부(16a, 16b)와 제2 토출부(16c)는 베이스(12)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후방향(FR)은 송풍기(14)의 회전축(Ax)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하고, 송풍기(14)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0) 방향이 전방(F)이고, 송풍기(14)에서 베이스(12) 방향이 후방(R)으로 정의된다.
또한, 상하 방향(UD)은 송풍기(14)의 회전축(Ax)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송풍기(14)의 회전축(Ax)에서 제2 토출부(16) 방향이 하방(D)이고, 하방과 반대 방향이 상방(U)으로 정의된다.
또한, 좌우 방향(LeRi)는 상하 방향 및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의된다.
디스플레이 패널(30)은 프론트패널(20)의 전방에 설치되되, 프론트패널(2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틈을 형성하고, 프론트패널(20)과 디스플레이 패널(30)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흡입부(15)로 공기가 이동된다.
베이스(12)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토출시키는 송풍기(14)와, 송풍기(14)의 전방에 위치되어 흡입부(15)에서 흡입된 공기를 송풍기(14)를 안내하는 오리피스(13)와 오리피스(13) 전방에 열교환기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송풍기(14)는 베이스(12)와 오리피스(13) 사이에 설치되어 흡입부(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모두 토출부(16)로 안내한다.
특히 송풍기(14)는 오리피스(13)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원주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원심팬이다. 송풍기(14)에는 송풍기(14)를 회전시키는 팬 모터(14a)가 연결된다.
그리고 송풍기(14)의 양측, 즉 베이스(12)의 양측에는 송풍기(14)에서 토출된 공기를 캐비닛 밖으로 안내하는 좌측 토출부(16a)와 우측 토출부(16b)가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12)의 하측에는 송풍기(14)에서 토출된 공기를 캐비닛 밖으로 안내하는 제2 토출부(16c)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토출부(16c)에는 제2 토출부(16c)를 개폐하는 조절 베인(510)과 조절 베인(510)을 회전시키는 베인 모터(520)가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12)의 양측면과 하면에는 적어도 토출부(16)를 커버하는 사이드 커버(41, 42)와 로어 커버(43)가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41, 42)에는 토출부(16)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 가이드(412)가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41, 42)는 좌측 커버(41)와 우측 커버(4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41, 42)와 로어 커버(43)를 커버로 통칭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에서 도 8에서 후술한다.
더불어 베이스(12)는 배면에 설치된 브래킷(17)에 의해 실내 벽에 고정된다.
한편, 오리피스(13)의 상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부(560)를 구성하는 전장부(2)가 설치된다.
오리피스(13)의 전방에는 실내공기와 열교환되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냉/난방시키는 열교환기(50)가 설치되고, 열교환기(50)의 하측에는 드레인팬(100)이 설치되어 열교환기(5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 및 배출시킨다.
여기서 열교환기(50)는 프론트패널(20) 또는 오리피스(13)에 고정되고, 열교환기(50)에는 외부로부터 설치되는 냉매배관(미도시)과 연결되도록 일측에 연결배관(52)이 설치된다.
프론트패널(20)은 열교환기(50)의 전방에 위치되어 베이스(12)와 결합된다.
또한, 캐비닛은 모서리에는 배관커버(11)가 설치되고, 배관커버(11)는 베이스(12)의 모서리에 조립되어 실내기의 외형 중 일부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배관커버(11)는 캐비닛에 4 모서리 중 복수 개소에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 모서리 2 개소에 설치되며, 배관커버(11)를 관통해 외부 냉매배관이 캐비닛 내부로 안내된다.
프론트패널(20)은 중앙에 형성된 흡입부(15)가 형성되고, 흡입부(15)와 흡입부(15)를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는 프론트그릴(21)이 형성된다.
흡입부(15)에는 오리피스(13)로 유동되는 실내공기를 여과하도록 필터(60)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필터(60)는 프론트패널(20)과 착탈되는 구조로 설치되되,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패널(20)의 프론트그릴(21)에 지지된다.
여기서 필터(60) 및 필터(60)를 지지하는 프론트그릴(21)은 프론트패널(20)에 대하여 전방으로 소정 두께가 완만하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그릴(21)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필터(60)는 열교환기(50)와의 접촉이 방지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30)은, 링크기구(3)에 의해 프론트패널(20)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링크기구(3)는 링크(3a)와 링크모터(3b)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0)에는 실내기의 작동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유닛(35)이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0)은 리어 프레임(34)과 프론트 프레임(32)을 포함하고, 프론트 프레임(32)과 리어 프레임(34) 사이에 표시유닛(35)이 수용된다.
프론트 프레임(32)에는 표시유닛(35)을 노출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32)과 리어 프레임(34)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사이드 프레임(36)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내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발광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발광유닛(500)에 대해 상술한다.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저면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발광유닛(500)은 캐비닛(10)에 결합되어 광을 방출한다. 발광유닛(500)은 은은한 빛을 제공하기 위해, 디퓨져(520)의 일부만 캐비닛(10)의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 구성은 캐비닛(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발광유닛(500)은 디스플레이패널(30)에 설치될 수 있다. 발광유닛(500)은 디스플레이패널(30)의 저면에 형성된 발광홀(36a)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발광홀(36a)는 사이드 프레임(36)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내기를 5-5' 선을 취한 단면도,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발광유닛(500)이 캐비닛(10)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발광유닛(500)이 캐비닛(10)에서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는 도 5에 도시된 발광유닛(500)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디퓨져(520)의 후면도, 도 9은 도 7에 도시된 디퓨져(520)의 측면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디퓨져(520)의 저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발광유닛(500)에 상세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발광유닛(500)은, 광원(510)과 광원(510)에서 입사된 광을 확산하여 방출하는 디퓨져(520)를 포함한다.
광원(510)은 광을 생성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510) 점 형태의 빛을 방출하는 점광원을 포함한다. 점광원은 발광 다이오드,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반도체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510)은 발광 다이오드가 회로기판(511)에 실장된 Chip on board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회로기판(511)는 디퓨져(520) 또는 광커버(53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광원(510)은 적색, 녹색, 청색, 백색 등의 빛을 방출하는 유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UV(Ultra Violet)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광원(510)에서 방출된 빛은 후방을 항해 방사된다. 회로기판(511)은 전후 방향과 교차되는 면을 정의하고, 광원(510)은 회로기판(511)의 후면에 실장된다.
광원(510)에서 출사되는 광은 광 출사방향을 기준으로 방사형태(부채꼴) 또는 라인 형태로 방출된다.
디퓨져(520)는 광원(510)에서 광입사면(5217)을 통해 입사된 광을 확산하여 전파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입사된 광의 휘도와 균일하게 하고, 입사된 점광을 면광으로 변환하여 광출사면을 통해 외부로 출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퓨져(520)는 내부로 광이 전파되는 투명재질, 내부가 빈 금속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퓨져(520)는 PMMA(polymethylmethacrylate)이나 투명 아크릴수지(resin)를 다앙?h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리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플라스틱 재질의 렌즈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퓨져(520)의 굴절율이 1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디퓨져(520)는 광입사면(5217)과, 광입사면(5217)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광출사면을 가지는 다양한 다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광입사면(5217)은 캐비닛(10)의 내부에 위치되고, 광출사면은 캐비닛(1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광원(510)에서 방출된 빛은 광입사면(5217)을 통해 디퓨져(520)의 내부로 입사되고, 디퓨져(520)의 내부로 입사된 광은 디퓨져(520)의 내부에서 전반사되면서 확산되게 되고, 광출사면을 통해 방출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디퓨져(520)는 광원(510)의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면(5217)을 포함하는 광입사부(521)와, 광입사부(521)에서 방출된 광을 2개의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부(523) 및 분할부(523)에서 방출된 광을 광입사면(5217)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광출사면으로 방출하는 광출사부(525)와, 분할부(523)와 일 방향에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는 광출사부(525)를 연결하는 버퍼부(527)를 포함할 수 있다.
광입사부(521)는 광원(510)과 대응되게 배치되어서 광원(510)에서 방출된 빛이 입사되고, 분할부(523)로 방출한다.
광입사부(521)는 직선형태, 절곡된 형태 및 라운지진 형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입사부(521)는 일단에 광입사면(5217)이 위치되고, 광입사면(5217)과 교차되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바(5211)와, 제1바(5211)와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바(5215)와, 제1바(5211)의 일단과 제2바(5215)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바(52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향은 전후방향을 의미하고, 제2방향은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제1바(5211)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전방단에 전후방향과 수직한 광입사면(5217)을 포함한다. 제2바(5215)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연결바(5213)는 제1바(5211)의 후단과 제2바(5215)의 상단을 연결한다.
따라서, 연결바(5213)는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과 경사각을 가지는 직선형태 이거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광입사면(5217)을 통해 제1바(5211)로 입사된 광은 연결바(5213)에서 굴절되어서, 제2바(5215)의 하단을 통해 방출된다.
광입사부(521)는 캐비닛(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광입사부(521)를 통해 전반사되지 못하고 누설되는 빛은 캐비닛(10)에 의해 차단되게 된다.
분할부(523)는, 광입사부(521)에서 방출된 광을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분할한다. 분할부(523)를 광입사부(521)를 통해 방출된 강한 광을 2개의 방향으로 분할하게 된다.
분할부(523)는 광입사부(521)에서 방출된 광을 내부에서 전반사시켜서, 광입사부(521)에서 토출되는 광의 광 방출방향과 다른 광 방출방향을 가지도록 전환한다. 분할부(523)는 광입사부(521)의 제2바(5215)의 하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을 하부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분할부(523)는 광입사부(521)의 제2바(5215)의 하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의 일부를 하부 방향과 좌측 방향의 사이의 방향으로 안내하고, 광입사부(521)의 제2바(5215)의 하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의 다른 일부를 하부 방향과 우측 방향의 사이의 방향으로 안내한다.
분할부(523)는 캐비닛(10)의 내부에 위치된다. 예를 들면, 분할부(523)는 제1 전환부(523-1)와, 제2 전환부(5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환부(523-1)는 광입사부(521)에서 방출된 광의 일부의 방향을 전환한다. 제1 전환부(523-1)는 광입사부(521)의 제2바(5215)의 하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의 일부를 하부 방향과 좌측 방향의 사이의 방향으로 안내한다.
제1 전환부(523-1)의 일단(5231)은 제2바(5215)의 일부 영역과 연결되고, 제1 전환부(523-1)의 타단(5237)은 광출사부(525)의 일부 영역과 연결되고, 제1 전환부(523-1)의 타단(5237)의 단면적은 제1 전환부(523-1)의 일단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환부(523-1)의 일단은 제1도입부(5231)로 정의하고, 제1 전환부(523-1)의 타단은 제1방출부(5237)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전환부(523-1)의 형상에 의해 제1 전환부(523-1)로 입사된 광은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전파되면서 확산되게 된다.
제1 전환부(523-1)는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교차되는 제3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바(5215)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확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3방향은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전환부(523-1)는 좌측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제2바(5215)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확장된다. 제1 전환부(523-1)는 제1도입부(5231)에서 제1방출부(5237)로 갈수록 단면적이 확장될 수 잇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전환부(523-1)는 제1상부 반사면(5235)과, 제1상부 반사면(5235)과 마주보는 제1하부 반사면(5233)을 포함하고, 제1상부 반사면(5235)과 제1하부 반사면(5233)의 일단은 제1도입부(5231)와 연결되고, 제1상부 반사면(5235)과 제1하부 반사면(5233)의 타단은 제1방출부(5237)와 연결될 수 있다.
제1하부 반사면(5233)은 좌우 방향에 대해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1하부 반사면(5233)의 일단은 제2바(5215)의 중심과 수직방향에서 중첩되게 위치되어서, 제2바(5215)의 하단에서 하부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이 제1하부 반사면(5233)에 반사되어 좌측방향 및 제1상부 반사면(5235)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다.
제1하부 반사면(5233)은 평면 또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하부 반사면(5233)은 곡률반형의 중심이 제1하부 반사면(5233) 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1상부 반사면(5235)은 제2바(5215)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상부 반사면(5235)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상부 반사면(5235)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반사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하부 반사면(5233)에서 반사된 광은 제1상부 반사면(5235)에서 산란되어, 다시 제1하부 반사면(5233)으로 반사되거나, 제1방출부(5237)를 통해 방출된다.
제1방출부(5237)는 제1 전환부(523-1)의 좌측면이나 하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1방출부(5237)는 제1 전환부(523-1)의 좌단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1방출부(5237)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광출사부(525) 또는 버퍼부(527)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전환부(523-2)는 광입사부(521)에서 방출된 광의 일부의 방향을 전환한다. 제2 전환부(523-2)는 광입사부(521)의 제2바(5215)의 하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의 일부를 하부 방향과 우측 방향의 사이의 방향으로 안내한다.
제2 전환부(523-2)의 일단은 제2바(5215)의 일부 영역과 연결되고, 제2 전환부(523-2)의 타단은 광출사부(525)의 일부 영역과 연결되고, 제2 전환부(523-2)의 타단의 단면적은 제2 전환부(523-2)의 일단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환부(523-2)의 일단은 제2도입부(5232)로 정의하고, 제2 전환부(523-2)의 타단은 제2방출부(5238)로 정의할 수 있다.
제2 전환부(523-2)의 형상에 의해 제2 전환부(523-2)로 입사된 광은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전파되면서 확산되게 된다.
제2 전환부(523-2)는 제2방향 및 제2방향과 교차되는 제3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바(5215)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확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3방향은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전환부(523-2)는 우측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제2바(5215)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확장된다. 제2 전환부(523-2)는 제2도입부(5232)에서 제2방출부(5238)로 갈수록 단면적이 확장될 수 잇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전환부(523-2)는 제2상부 반사면(5236)과, 제2상부 반사면(5236)과 마주보는 제2하부 반사면(5234)을 포함하고, 제2상부 반사면(5236)과 제2하부 반사면(5234)의 일단은 제2도입부(5232)와 연결되고, 제2상부 반사면(5236)과 제2하부 반사면(5234)의 타단은 제2방출부(5238)와 연결될 수 있다.
제2하부 반사면(5234)은 좌우 방향에 대해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2하부 반사면(5234)의 일단은 제2바(5215)의 중심과 수직방향에서 중첩되게 위치되어서, 제2바(5215)의 하단에서 하부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이 제2하부 반사면(5234)에 반사되어 우측방향 및 제2상부 반사면(5236)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다.
제2하부 반사면(5234)은 평면 또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하부 반사면(5234)은 곡률반형의 중심이 제2하부 반사면(5234) 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2상부 반사면(5236)은 제2바(5215)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상부 반사면(5236)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상부 반사면(5236)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반사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하부 반사면(5234)에서 반사된 광은 제2상부 반사면(5236)에서 산란되어, 다시 제2하부 반사면(5234)으로 반사되거나, 제2방출부(5238)를 통해 방출된다.
제2방출부(5238)는 제2 전환부(523-2)의 우측면이나 하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2방출부(5238)는 제2 전환부(523-2)의 우단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2방출부(5238)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광출사부(525) 또는 버퍼부(527)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전환부(523-1)의 제1하부 반사면(5233)과 제2 전환부(523-2)의 제2하부 반사면(5234)은 서로 연결되고, 제1 전환부(523-1)의 제1하부 반사면(5233)과 제2 전환부(523-2)의 제2하부 반사면(5234)이 만나는 지점(524)은 정점을 형성한다. 제1 전환부(523-1)의 제1하부 반사면(5233)과 제2 전환부(523-2)의 제2하부 반사면(5234)이 만나는 지점은 제2바(5215)와 수직방향에서 중첩되게 위치된다.
디퓨져(520)는 분할부(523)의 하부에 광분산 홀(526)을 포함할 수 있다. 광분산 홀(526)은 분할부(523)에서 분할되지 않는 일부 빛을 광분산 홀(526)로 유도하고, 광분산 홀(526)을 감싸는 커버에서 소모시켜서, 광을 분산하기 위함이다.
광분산 홀(526)은 적어도 제2 바와 수직 방향에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광분산 홀(526)은 상부 경계는 제1 전환부(523-1)의 제1하부 반사면(5233)과, 제2 전환부(523-2)의 제2하부 반사면(5234)으로 정의되고, 광분산 홀(526)은 하부 경계는 후술하는 버퍼부(527)의 상면 또는 광출사부(525)의 상면일 수 있다. 광분산 홀(526)은 좌우 폭은 제2방의 좌우 폭 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제2바(5215)를 통해 방출되는 광은 직진성을 강하고, 임계각을 가지지 못한 빛이 많아서, 빛을 일부는 분할부(523)에서 분할되지 않고 광출사부(525)로 직진하려고 하는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이러한 빛이 직접적으로 광출사부(525)로 유입되는 것을 광분산 홀(526)이 방지하게 된다.
버퍼부(527)는 분할부(523)와 상하 방향에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는 광출사부(525)를 연결한다. 광출사부(525)는 분할부(523)와 상하 방향에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어서, 광입사부(521)에서 하방으로 입사된 광의 일부 또는 분할부(523)에서 하방으로 입사된 광의 일부가 확산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광출사면으로 방출되는 것을 제한한다. 버퍼부(527)는 광출사부(525)의 상단과, 분할부(523)의 하단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버퍼부(527)는 분할부(523)에서 방출된 광을 반사하는 버퍼면(527a)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면(527a)은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퍼면(527a)은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버퍼면(527a)은 분할부(523) 및 제2바(5215)와 수직방향에서 중첩되게 위치되고, 광출사부(525)와 수직방향에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분할부(523)에서 방출된 광은 버퍼부(527)의 내부에서 버퍼면(527a)을 통해 반사되며 확산되어 광출사부(525)로 방출된다.
광출사부(525)는 분할부(523) 또는/및 버퍼부(527) 방출된 광을 광입사면(5217)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광출사면으로 방출한다.
광출사부(525)는 상면이 버퍼부(527)와 연결되고, 전면(5251), 후면(5253), 양측면(5255) 및 하면(5257)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광출사부(525)는 적어도 6면을 가지는 다면체일 수 있다.
광입사부(521)와 분할부(523)를 거친 광은 확산되면서 광출사부(525)의 일면으로 방출되게 된다. 따라서, 광출사부(525)의 전면(5251), 후면(5253), 양측면(5255) 및 하면(5257) 중 적어도 하나는 광출사면이 된다. 광출사부(525)의 전면(5251), 후면(5253), 양측면(5255) 및 하면(5257)은 광입사면(5217) 보다 큰 면적을 가진다.
광출사부(525)는 적어도 하나의 출사경사면(5259)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사경사면(5259)은 전후방향에 대해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출사경사면(5259)은 광출사부(525)의 후면(5253)과 하면(5257)을 연결할 수 있다. 출사경사면(5259)은 다수의 쐐기가 형성되거나, 반사물질로 코팅될 수도 있다.
광출사부(525)를 통해 방출되는 광은 출사경사면(5259)을 통해 실내기의 전방으로 집중될 수 있다.
광출사부(525)의 적어도 일부는 캐비닛(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출사부(525)의 전면(5251), 후면(5253) 및 양측면(5255)의 일부와, 광출사부(525)의 하면(5257) 및 출사경사면(5259)이 캐비닛(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발광유닛(500)은 캐비닛(10)에 결합되어 서로 수직하는 2개의 방향에서 디퓨져(520)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속부(550)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구속부(550)는 캐비닛(10)과 전후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고, 전후방향을 제외한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속부(550)는 디퓨져(520)의 양단에 배치되는 제1 구속부(550a)와 제2 구속부(55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속부(550a)는 디퓨져(520)의 좌측 단에 위치되고, 제2 구속부(550b)는 디퓨져(520)의 우측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속부(550a) 및 제2 구속부(550b)는 디퓨져(520)의 외측방향과 외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구속부(550a)는 디퓨져(520)의 좌측 방향과, 전후방향이 개방된 홈이고, 제2 구속부(550b)는 디퓨져(520)의 우측 방향과, 전후방향이 개방된 홈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구속부(550)의 일면은 디퓨져(520)의 일면을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구속부(550a)와 제2 구속부(550b)는 디퓨져(520)의 일단에서 돌출되고,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구속면(551, 553)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구속부(550a)는 디퓨져(520)의 좌측 단에서 돌출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구속면(551a)과, 디퓨져(520)의 좌측 단에서 돌출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 구속면(551a)에서 하측으로 이격된 하측 구속면(553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구속부(550a)는 상측 구속면(551a)과, 디퓨져(520)의 좌측면(552)과 하측 구속면(553b)으로 막힌 홈을 정의한다.
제2 구속부(550b)는 디퓨져(520)의 우측 단에서 돌출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구속면(551b)과, 디퓨져(520)의 우측 단에서 돌출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 구속면(551b)에서 하측으로 이격된 하측 구속면(553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구속부(550b)는 상측 구속면(551b)과, 디퓨져(520)의 우측면(554)과 하측 구속면(553b)으로 막힌 홈을 정의한다.
캐비닛(10)에서는 구속부(550)와 형합되는 결합바(321)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바(321)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구속부(55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바(321)는 프론트 프레임(32)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전후방향에서 보아 적어도 3면을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디퓨져(520)는 후술하는 광커버(530)와 체결되는 커버 체결부(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체결부(560)는 광커버(530)와 체결되는 후크일 수 있다.
특히, 도 11울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커버 체결부(560)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면(561)과, 경사면의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면(562)을 포함할 수 있다.
광커버(530)와 디퓨져(5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까워지면, 경사면(561)을 타고 광커버(530)가 슬라이딩된 후, 경사면의 상단이 커버 체결부(560)의 커버 체결홈(533)에 삽입되면, 걸림면(562)이 커버 체결홈(533)에 걸리게 되어서 광커버(530)와 디퓨져(520)가 고정되게 된다.
또한, 디퓨져(520)는 광커버(530)와 결합 시에 광커버(530)를 일방향으로 이동을 자유롭게 하면서, 다른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보스(57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570)는 적어도 2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57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면기둥 또는 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 각 보스(570)는 각 전환부에서 돌출될 수 있다. 각 보스(570)는 광커버(530)의 보스홀(532)에 내삽된다.
발광유닛(500)은 광커버(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광커버(530)는 디퓨져(520) 또는/및 광원(510)을 캐비닛(10)에 고정하고, 디퓨져(520)를 통해 누설되는 광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광커버(530)는 광입사부(521)와 분할부(523)를 커버한다. 광커버(530)와 캐비닛(10) 사이에 디퓨져(520)와 광원(510)이 위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광커버(530)는 적어도 광입사부(521)와 분할부(523)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커버(530)는 광입사부(521)의 상방, 후방 및 측방을 커버하고, 분할부(523)의 후방, 상방 및 측방을 커버할 수 있다.
광커버(530)는 디퓨져(520)의 보스(570)가 내삽되는 보스홀(53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커버(530)는 커버 체결부(560)와 내삽되는 커버 체결홈(5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체결홈(533)은 광커버(530)의 하방으로 노출된 일면의 일부가 상부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광커버(530)는 스크류(535)가 관통되는 스크류홀(535)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홀(535)을 관통한 스크류(535)는 캐비닛(10)의 스크류 체결공(535)에 결합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퓨져(520A)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퓨져(520A)는 도 8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분할부(523)가 보조 가이드(529)를 더 포함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하, 도 8의 실시예와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며, 특별한 설명이 없는 부분은 도 8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본다.
보조 가이드(529)는 광입사부(521)에서 방출되는 광의 일부를 전환부로 제공한다. 보조 가이드(529)를 통해 광입사부(521)의 광이 균등하게 확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조 가이드(529)는 제1 보조 가이드(529a)와 제2 보조 가이드(529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가이드(529a)의 일단은 광입사부(521)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1 전환부(523-1)와 연결된다. 제2 보조 가이드(529b)의 일단은 광입사부(521)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 전환부(523-2)와 연결된다.
제1 보조 가이드(529a)의 일단은 광입사부(521)에서 제2바(5215)의 하단 보다 높은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보조 가이드(529a)은 연결바(5213) 또는 제2바(5215)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보조 가이드(529b)의 일단은 광입사부(521)에서 제2바(5215)의 하단 보다 높은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보조 가이드(529b)는 연결바(5213) 또는 제2바(5215)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유닛(600)의 분해사시도, 도 14은 도 13의 발광유닛(600)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유닛(600)은 도 7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광원(610)의 배치와, 디퓨져(620)의 구조에 차이점이 존재한다.
광원(610)은 하방으로 광을 방출한다. 구체적으로, 회로기판(611)은 상하방향과 교차되는 면을 정의하고, 광원(610)은 회로기판의 하면에 위치될 수 있다.
디퓨져(620)는 광입사부(621)와, 광입사부(621)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광출사부(625)와 광분산 홀(623)을 포함할 수 있다.
광입사부(621)는 디퓨져(620)의 일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특히 광입사부(621)는 디퓨져(620)의 상면(622)이 하부로 함몰된 홈 형상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광입사부(621)는 디퓨져(620)의 상면(622) 보다 하방에 정점을 가지는 2개의 경사면을 포함하거나, 디퓨져(620)의 상면(622) 보다 하방에 정점을 가지는 반원 형상일 수 있다.
광분산 홀(623)은 디퓨져(620)의 일부 영역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광분산 홀(623)은 광입사부(621)의 하방에서 광입사부(621)와 수직방향에서 중첩되고, 광입사부(621) 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광분산 홀(623)은 하방에 정점 가지는 반원형태나, 2개의 라인이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광 분산홀은 디퓨져(620)의 하면(627) 보다 디퓨져(620)의 상면(622)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광출사부(625)는 디퓨져(620)에서 광입사부(621)와 광분산 홀(623)을 제외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광출사부(625)의 전면(624), 후면(629), 양측면(628) 및 하면(627) 중 적어도 하나는 광출사면이 된다. 광출사부(625)의 전면(624), 후면(629), 양측면(628) 및 하면(627)은 광입사부(621) 보다 큰 면적을 가진다.
광출사부(625)는 적어도 하나의 출사경사면(626)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사경사면(626)은 전후방향에 대해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출사경사면(5259)은 광출사부(625)의 후면(629)과 하면(627)을 연결할 수 있다. 출사경사면(626)은 다수의 쐐기가 형성되거나, 반사물질로 코팅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캐비닛
12 : 베이스
13 : 오리피스 14 : 송풍기
15 : 흡입구 16 : 토출구
20 : 프론트패널 30 : 디스플레이패널
50 : 열교환기 60 : 필터
500 : 발광유닛 510 : 광원
520 : 디퓨져 530 : 광커버
13 : 오리피스 14 : 송풍기
15 : 흡입구 16 : 토출구
20 : 프론트패널 30 : 디스플레이패널
50 : 열교환기 60 : 필터
500 : 발광유닛 510 : 광원
520 : 디퓨져 530 : 광커버
Claims (20)
-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는 열교환기;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흡입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토출부로 토출되게 하는 송풍기; 및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광을 방출하는 발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유닛은,
광원;
상기 광원에서 입사된 광을 확산하여 방출하는 디퓨져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는,
상기 광원의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면을 포함하는 광입사부;
상기 광입사부에서 방출된 광을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부; 및
상기 분할부에서 방출된 광을 상기 광입사면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광출사면으로 방출하는 광출사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입사부 및 분할부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광출사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노출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는,
상기 분할부와 일 방향에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는 상기 광출사부를 연결하는 버퍼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입사부는,
일단에 광입사면이 위치되고, 상기 광입사면과 교차되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바와,
상기 제1바와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바와,
상기 제1바의 일단과 상기 제2바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분할부는,
상기 광입사부에서 방출된 광의 일부의 방향을 전환하는 제1 전환부;
상기 광입사부에서 방출된 광의 다른 일부의 방향을 상기 제1 전환부와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는 제2 전환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환부의 일단은 상기 제2바의 일부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전환부의 타단은 상기 광출사부의 일부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전환부의 타단의 단면적은 상기 제1 전환부의 일단의 단면적보다 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환부는,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교차되는 제3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바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확장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환부는,
상부 반사면과,
상기 상부 반사면과 마주보는 하부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반사면은 상기 제3방향에 대해 경사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반사면은 곡률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반사면은 상기 상부 반사면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반사패턴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전환부의 일단은 상기 제2바의 다른 일부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제2전환부의 타단은 상기 광출사부의 다른 일부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제2전환부의 타단의 단면적은 상기 제2전환부의 일단의 단면적보다 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전환부는,
상기 제1 전환부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바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확장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부는 상기 분할부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에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광입사부와 상기 분할부를 커버하는 광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는 상기 광커버의 보스홀에 삽입되는 보스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서로 수직하는 2개의 방향에서 상기 디퓨져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디퓨져의 양단에 배치되는 제1 구속부와 제2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속부 및 상기 제2 구속부는 상기 디퓨져의 외측방향과 상기 외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홈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디퓨져의 양단에 배치되는 제1 구속부와 제2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속부와 상기 제2 구속부는 상기 디퓨져의 일단에서 돌출되고,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구속면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는,
투명재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는 열교환기;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흡입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토출부로 토출되게 하는 송풍기; 및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광을 방출하는 발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유닛은,
광원;
상기 광원에서 입사된 광을 확산하여 방출하는 디퓨져;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서로 수직하는 2개의 방향에서 상기 디퓨져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광원;
상기 광원에서 입사된 광을 확산하여 방출하는 디퓨져; 및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서로 수직하는 2개의 방향에서 상기 디퓨져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는,
상기 광원의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면을 포함하는 광입사부;
상기 광입사부에서 방출된 광을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부; 및
상기 분할부에서 방출된 광을 상기 광입사면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광출사면으로 방출하는 광출사부를 포함하는 발광유닛.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4395A KR20240102401A (ko) | 2022-12-26 | 2022-12-26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4395A KR20240102401A (ko) | 2022-12-26 | 2022-12-26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02401A true KR20240102401A (ko) | 2024-07-03 |
Family
ID=91900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84395A KR20240102401A (ko) | 2022-12-26 | 2022-12-26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02401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11656A (ko) | 2004-07-30 | 2006-02-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패킷 투 빅 메시지를 이용하여 아이피브이식스 천이터널에서 패킷 최대전송단위를 설정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60085355A (ko) | 2013-12-02 | 2016-07-15 | 유니버시티 오브 써던 캘리포니아 | 나노 구조의 지지체 상의 개질된 아민의 재생 흡착제 |
-
2022
- 2022-12-26 KR KR1020220184395A patent/KR20240102401A/ko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11656A (ko) | 2004-07-30 | 2006-02-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패킷 투 빅 메시지를 이용하여 아이피브이식스 천이터널에서 패킷 최대전송단위를 설정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60085355A (ko) | 2013-12-02 | 2016-07-15 | 유니버시티 오브 써던 캘리포니아 | 나노 구조의 지지체 상의 개질된 아민의 재생 흡착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622475C2 (ru) | Светоизлучающий акустический элемент здания | |
JP6061479B2 (ja) | 照明装置 | |
KR102001868B1 (ko) | 공기 조화기 | |
KR102167475B1 (ko) |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 | |
US8568002B2 (en) | Light diffusion and condensing fixture | |
JP2006106682A (ja) | 発光ダイオードを光源として使用するイメージプロジェクタ | |
KR101559582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US5359503A (en) | Surface luminous lighting unit | |
JP2006194563A (ja) | 空気調和機 | |
TWI411748B (zh) | 燈具 | |
JP2008135202A (ja) | 照明器具 | |
EP2813768A1 (en) | Air conditioner with illumination | |
KR102033690B1 (ko) | 공기조화기 | |
US20170329064A1 (en) | Panel with integrated illumination | |
KR20240102401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JP2009243737A (ja) | 空気調和機 | |
KR20100075350A (ko) | 디스플레이 기기 | |
WO2011109765A2 (en) | Light fixture, retrofit and conversion apparatus for recycling, condensing and diffusing light | |
KR101663831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CN217603958U (zh) | 一种瑞利散射的天空灯 | |
CN110043873A (zh) | 透镜及灯具 | |
JP3721959B2 (ja) | 表示用照明器具 | |
CN106062471A (zh) | 照明器具、光源罩、光控制构件以及光源单元 | |
KR101836327B1 (ko) | 발광 건축용 패널 조립체 | |
JP7020886B2 (ja) | ショーケー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