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5350A - 디스플레이 기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5350A
KR20100075350A KR1020090034521A KR20090034521A KR20100075350A KR 20100075350 A KR20100075350 A KR 20100075350A KR 1020090034521 A KR1020090034521 A KR 1020090034521A KR 20090034521 A KR20090034521 A KR 20090034521A KR 20100075350 A KR20100075350 A KR 20100075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diffusion
inciden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5184B1 (ko
Inventor
이왕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4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184B1/ko
Priority to EP11004730.5A priority patent/EP2372415B1/en
Priority to EP09011949.6A priority patent/EP2202547B1/en
Priority to US12/578,250 priority patent/US8390470B2/en
Priority to CN2009102663094A priority patent/CN101763772B/zh
Publication of KR20100075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8Light guide, e.g. tap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95Light guides as housings, housing portions, shelves, doors, tiles, window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2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는 캐비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빛이 입사되고, 입사된 빛을 입사되는 일방향과 교차되는 타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부;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Display device}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는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근래에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2차원 평면으로 그 형상이 가능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가 다수 출시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는 캐비닛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본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는 선택적으로 장식장과 같은 안착부재에 안착되거나, 천장면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동작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본체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외부로 빛을 발광시켜, 동작 상태가 사용자에게 쉽게 인지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는 캐비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빛이 입사되고, 입사된 빛을 입사되는 일방향과 교차되는 타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하측에 구비되는 데코 프레임; 및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빛을 발생시켜, 상기 데코 프레임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외부로 투과되도록 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코 프레임은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빛이 입사되어 반사 및 확산되도록 하는 확산부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빛이 작은 면적의 입사면에 입사되어, 상기 투사면 및 상기 투과부를 거쳐서 외부로 굴절 및 확산되므로, 소량의 발광 소자를 이용 하여, 넓은 면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굴절부가 입사되는 빛을 굴절시켜 상기 투과부 측으로 투사시킴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내부 설계가,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되는 빛의 방향에 제한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빛이 맺히는 경로를 따라서 상기 다수의 발광 소자가 직접 배치되지 않고, 상기 발광 소자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어느 일 지점에 집적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내부 설계가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빛이 반사, 굴절 및 산란 과정을 거쳐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 외부로 투사됨으로써, 상기 투과부를 통한 빛의 맺힘이 보다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 소자에서 빛을 반사 및 확산시켜 상기 투과부로 투사함으로써, 빛이 맺히는 경로를 따라서 발광 소자가 배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발광 소자의 숫자 및 전력 소요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1)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본체(10)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를 바닥면에 지지하는 스탠 드(18)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가 벽면 또는 천장면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스탠드(18)는 벽면 또는 천장면에 설치되는 지지장치로 대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외형을 형성하는 프론트 캐비닛(11) 및 리어 캐비닛(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캐비닛(1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상이 외부로 표시되기 위한 개구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캐비닛(2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4개의 테두리부(112~115)를 포함한다. 상기 테두리부(112~115)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상기 프론트 캐비닛(11)의 4개의 변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 캐비닛(11)에는 상기 영상이 표시되기 위한 상기 개구부(111)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상기 프론트 캐비닛(11)에 별도의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프론트 캐비닛(11)의 재질 자체가 영상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캐비닛(11)이 단일의 판형으로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1)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16)(도3참조)와, 상기 발광부(16)에서 발광된 빛이 굴절 및 확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의 하방으로 투과되도록 하기 위한 데코 프레임(13)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데코 프레임(13) 및 상기 발광부(16)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캐비닛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2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데코 프레임(13)은 상기 발광부(16)에서 발생되는 빛이 투과되기 위하여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캐비닛(11)의 제1테두리부(112) 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 프레임(13)은 상기 발광부(16)에서 일방향으로 입사되는 빛을 타방향으로 반사 및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부(14)와, 상기 확산부(14)에서 반사된 빛이 조사되어 외부로 투과되는 투과부(15)와, 상기 프론트 캐비닛(11)에 고정되는 고정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확산부(14)는 상기 데코 프레임(1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이 경사진 사다리꼴 형상 또는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부(14)에는 상기 발광부(16)에서 발생되는 빛이 입사되는 입사면(141)이 형성되며, 상기 입사면(141)과 직각을 이루는 측에는 상기 확산부(14)에서 반사되는 빛이 투사되기 위한 투사면(14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확산부(14)의 타측에는 상기 입사면(141)을 통하여 입사된 빛이 상기 투사면(142) 측으로 반사되도록 하기 위한 반사면(143)이 형성된다.
상기 반사면(143)은 상기 입사면(141)을 통하여 입사된 빛을 반사시키기 위하여, 빛의 입사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면(133)에는 상기 빛이 균일한 밝기로 상기 투사면(142) 측으로 반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홈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반사면(143)에 형성되는 다수의 홈에 의하여, 입사되는 상기 빛이 난반사 됨과 동시에 상기 투사면(14) 측으로 반사되어, 균일한 밝기의 빛이 상기 투사면(142) 측으로 투과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산부(14)에는 상기 입사면(141)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발광부(16) 측에 대하여 연장 형성된 연장부(14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입사면(141)과 상기 발광부(16)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입사면(141)과 상기 발광부(16) 사이에 상기 연장부(145)가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16)에서 발산되는 빛이 상기 입사면(141)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광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입사면(141)과 상기 발광부(16)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른 광손실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사면(142)의 면적은 상기 입사면(141)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입사면(141)에 입사되는 빛이 상기 투사면(142)으로 투과되는 과정에서, 상기 입사면(141)에 입사되는 빛은 상기 투사면(142)의 면적과 상기 입사면(141)의 면적의 차이만큼 확산될 수 있다.
상기 투사면(142)의 하측에는, 상기 투사면(142)에서 투사되는 빛이 조사되어 외부로 투과되는 상기 투과부(15)가 구비된다. 상기 투과부(15)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확산부(1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과부(14)는 평면 또는 원호와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부(14)에서 확산되어 상기 투과부(15)에 조사되는 빛은 상기 투과부(15)를 거쳐 외부로 투과된다. 그리고 상기 투과부(15)에는 빛이 다수의 방향으로 산란되도록 하기 위하여, 불규칙한 표면으로 형성된 산란면(1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 프레임(30)이 상기 프론트 캐비닛(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확산부(14)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투과부(15)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외부에 노출된다.
한편, 상기 확산부(14)의 입사면(143) 측에는 상기 발광부(16)가 위치되며, 상기 발광부(16)는 체결부재(162)에 의하여 상기 확산부(14) 또는 프론트 캐비닛(11)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16)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빛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61)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 소자(161)는 상기 입사면(143) 또는 상기 연장부(145)와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상기 발광 소자(52)에서 발생되는 빛의 광로가 상기 입사면(313)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61)는 일례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 또는 램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61)는 예시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가 온(on) 상태인 경우 또는 대기 상태의 경우에, 각각 다른 색상 및 다른 밝기로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 소자(161)가 다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다수의 상기 발광 소자(161)는 각각 다른 색상의 발광 소자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데코 프레임(13)은 상기 프론트 캐비닛(11)과 별개의 부재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상기 데코 프레임(13)과 상기 프론트 캐비닛(11)이 일체로된 광 투과성 재질의 구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할 것 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발광부(16)에서 발광된 빛이 상기 확산부(14) 및 투과부(15)를 거쳐 외부로 투과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빛이 투영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서 빛이 반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상기 발광부(16)의 발광소자(161)에서 빛이 발광되면, 빛은 상기 연장부(145)를 거쳐 상기 입사면(141) 입사된다. 이때, 상기 발광소자(16)에서 발생되는 빛은 상기 입사면(141)이 이루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입사면(141)에 입사된다.
상기 입사면(141)에 입사된 빛은 상기 반사면(143)에 입사된 다음, 일정 각도로 반사된다. 이 때, 상기 반사면(143)은 서로 다른 매질인 상기 확산부(14)와 공기 사이의 경계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입사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반사면(143)에 입사되는 빛의 전부 또는 일부는 반사된다. 즉, 상기 반사면(143)의 일부에 일정 입사각(θ1)으로 입사된 빛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입사각(θ1)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는 반사각(θ2)으로 반사된다. 이 때, 상기 입사면(141)이 이루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 즉 수평 방향으로 입사된 빛의 광로는 빛이 상기 반사면(143)에 반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하방을 지향한다.
즉, 상기 발광부(16)는 빛을 상기 확산부(14)의 측방에서 조사하며, 조사된 빛은 상기 확산부(14)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의 하방으로 반사 및 확산된다.
상기 투사면(142)에서 투사된 빛은, 상기 투과부(15)를 통하여 외부로 투과되며, 상기 투과부(15)에 형성된 상기 산란면(151)에 접한 다음 다수의 방향으로 산란되어 외부로 발산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빛이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의 상기 입사면(141)에 입사되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 상기 투사면(142) 및 상기 투과부(15)를 거쳐서 외부로 확산되므로, 소량의 발광 소자(16)를 이용하여, 빛이 넓은 면적으로 빛을 조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확산부(14)가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상기 투과부(15) 측으로 투사시킴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의 내부 설계가, 상기 발광부(16)에서 발광되는 빛의 방향에 제한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전편 캐비닛 및 데코 프레임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2)의 디스플레이 본체(20)는 프론트 패널(21)과 상기 프론트 패널(21)의 배면에 고정되는 패널 고정부(22)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패널(21)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일례로 영상이 표시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투명 재질의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21)이 투명 재질의 판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프론트 패널(11)은 일례로 강화 유리 또는 투명 재질의 수지상 부재와 같은 투명하고 일정 수준의 강도를 가지는 어떤 종류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21)의 배면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21)과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 또는 리어 캐비닛(미도시)의 결합 위치를 제공하는 패널 고정부(22)가 고정된다. 상기 패널 고정부(22)는 내부가 개구된 사각틀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측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패널 고정부(22)가 고정된 상기 프론트 패널(21)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으로 보호하는 프론트 캐비닛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2)는 상기 프론트 캐비닛에 고정되는 데코 프레임(23)을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데코 프레임(23)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2)의 전원 스위치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데코 프레임(23)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캐비닛의 배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확산부 및 투과부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C-C 선도에 따라 절개된 상태에서, 빛이 진행되는 방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도하면, 상기 데코 프레임(23)은 발광부(26)의 발광소자(261)에서 발산되는 빛이 확산 및 반사되도록 하기 위한 확산부(24) 및 상기 확산부(24)에서 확산된 빛이 투과되기 위한 투과부(25)와, 상기 패널 고정부(22)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232)를 포함한다.
상기 확산부(24)는 입사면(241), 투사면(242), 반사면(243) 및 연장부(245)를 포함하며, 상기 확산부(24)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기 확산부(24)의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투과부(25)는 상기 확산부(24)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투사면(242)에서 투사되는 빛이 입사되는 제1투과층(251) 및 상기 제1투과층(25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투과층(252)과, 상기 제1 및 제2투과층(251,252)을 투과한 빛이 산란되는 산란부(253)를 포함한다.
상기 제1투과층(251)은 상기 확산부(24)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투과층(252)은 상기 투과부(25)의 일부에 관통 형성된다. 즉, 빛이 투과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투과층(251)은 상기 확산부(24)와 동일한 재질을 매질로 제공하며, 상기 제2투과층(252)은 공기를 매질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 산란부(253)는 상기 제2투과층(252)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투과층(251,252)을 투과한 빛의 광로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산란면(254)을 포함한다. 상기 산란면(254)은 일례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이 도금 또는 증착될 수 있으며, 상기 빛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2)의 전방을 향하여 산란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2)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투과부(25)에는 각기 다른 매질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투과층(251,252)이 형성되어, 상기 확산부(24)에서 투사되는 빛이 보다 다양한 각도로 굴절 및 산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산란면(254)에 금속 물질이 도금 또는 증착되어, 상기 빛이 보 다 미려하게 산란될 수 있으며, 상기 산란면(254)이 디스플레이 기기(2)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시청자 방향으로 산란이 수행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2)의 동작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전편 캐비닛 및 데코 프레임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3)는 프론트 패널(31), 패널 고정부(32),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 및 리어 캐비닛(미도시)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본체(30)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30)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발광되는 발광부(38,39)(도 15 및 도 16 참조)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3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38,39)에서 발생되는 빛이 투과되는 데코 프레임(33)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데코 프레임(33)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코 프레임의 전면 및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4는 도 13의 D-D 선도에 따라 절개된 데코 프레임의 단면도이며, 도 15 및 16은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코 프레임이 프론트 캐비닛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 13의 E 부분 및 F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데코 프레임(33)은 상기 전면 패널(31)의 가로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 프레임(33)은 상기 발광부(38,39)에서 발생된 빛을 확산 및 반사시키는 전원측 확산부(34) 및 중앙측 확산부(35,36)와, 상기 확산부(34,35,36)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확산부(34,35,36)와 일체로 형성된 투과부(37)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30)의 내측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331,332)를 포함한다.
도 12 내지 15를 참조하면, 상기 데코 프레임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3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측 확산부(34)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30)의 상기 전원 스위치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상기 중앙측 확산부(35,36)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30)의 중앙측에 위치된다. 상기 중앙측 확산부(35,36)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된 제1중앙측 확산부(35) 및 제2중앙측 확산부(36)를 포함한다. 상기 제1중앙측 확산부(35)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기 전원측 확산부(34)의 반대쪽에 위치되며, 상기 제2중앙측 확산부(36)는 상기 전원측 확산부(34) 쪽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제1발광부(38)는 상기 전원측 확산부(34)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2발광부(39)는 제1중앙측 확산부(35) 및 제2중앙측 확산부(36) 사이에 위치되어 빛을 상기 확산부(34,35,36)에 조사한다.
상기 제1발광부(38)는 상기 데코 프레임(33)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1 내지 제 3 전원측 발광소자(381~383)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전원측발광소자(381~383)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3 전원측 발광소자(383)는 백색광을 발생시키는 발광소자 로, 상기 제 1 및 제 3 전원측 발광소자(383) 사이에 위치되는 제 2 전원측 발광소자(382)는 적색광을 발생시키는 발광소자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발광부(39)는 상기 제2발광부(39)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중앙측 확산부(35)의 입사면(351)과 마주보는 제 1 내지 제 3 중앙측 발광소자(391~393)과, 상기 제2발광부(39)의 이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중앙측 확산부(36)의 입사면과 마주보는 제 4 내지 제 6 중앙측 발광소자(394~396)를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3 중앙측 발광소자(391~393) 및 상기 제 4 내지 제 6 중앙측 발광소자(394~396)는 각각 상기 데코 프레임(33)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도 13 및 16을 참조하면, 상기 투과부(37)는 상기 확산부(34,35,36)에서 확산된 빛이 하방으로 투과되는 과정에서, 상기 빛이 산란되어 외부로 보여지도록 한다.
상기 투과부(37)는 중앙측 확산부(36,37) 및 상기 전원측 확산부(35)의 하측에 구비되어, 각각의 확산부(35,36,37)에서 확산된 빛이 투과되는 중앙측 투과부(371) 및 전원측 확산부(372)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측 투과부(371)는 상기 투과부(37)의 연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전원측 확산부(35)는 상기 중앙측 투과부(371)와 일체로 형성되며,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중앙측 투과부(371) 및 상기 전원측 투과부(372)에는 각각 전면 및 배면을 형성하는 전면부(372) 및 배면부(373)가 형성된다. 상기 배면부(373)는 하방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면부(373)에는 다수의 단 차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373)는 별도의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별도의 단차 또는 경사 없이 균일한 표면으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전원측 투과부(372)에 형성된 단차는 상기 전원측 투과부(372)가 라운드 진 형상에 따라서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측 투과부(371) 및 전원측 투과부(372)의 하측 단부에는 상기 투과부(37)를 투과하는 빛이 산란되어 맺히기 위한 산란면(37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산란면(375)은 일례로 불규칙한 표면으로 형성되거나, 금속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발광부의 발광 소자에서 발생되는 빛이 상기 확산부를 거쳐 상기 투과부로 투과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일례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중앙측 발광소자(391~393)가 상기 제1중앙측 확산부(35)에 빛을 조사하는 경우, 가장 상측에 구비되는 제 1 중앙측 발광소자(391)에서 발생되는 빛은, 상기 제1중앙측 확산부(35)의 반사면(353)에 반사되기 전에, 가장 짧은 거리를 투과한 다음 상기 반사면(353)에 반사되어 상기 투과부(37)로 투과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중앙측 발광소자(391)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투과부(37)를 투과하여 외부로 입사되는 지점은 상기 제2발광부(39)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반면 상기 제2발광부(39)에서 가장 하측에 구비되는 제 3 중앙측 발광소자(393)에서 발생되는 빛은, 상기 제1중앙측 확산부(35)의 반사면(353)에 반사되기 전에, 가장 먼 거리를 투과한 다음 상기 반사면(353)에 반사되어 상기 투과부(37) 로 투과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중앙측 발광소자(393)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투과부(37)를 투과하여 외부로 입사되는 지점은 상기 제2발광부(37)와 가장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발광소자가 구비된 위치에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빛이 외부로 입사되어 산란되는 지점이 각각 다르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확산부를 거쳐 상기 투과부(37)로 빛이 투과되는 과정에서, 상기 투과부(37)를 투과하는 빛의 일부는 상기 투과부(37)의 배면부(374)에 형성된 다수의 단차와 접하게 된다. 상기 단차와 접한 빛은 외부로 산란되며, 상기 빛이 산란되는 과정에서 다수의 상기 단차에는 빛이 맺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과부(37)의 단부 및 상기 단차에는 불규칙한 면으로 형성된 산란면(375)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산란면(375)에 빛이 입사되는 경우, 빛이 맺히게 되는 산란율이 더 증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빛이 맺히는 상기 단차 또는 상기 산란면(375)을 불빛 맺힘부라 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30)의 동작에 따라서 불빛 맺힘부에 빛이 맺히는 위치가 변화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빛이 맺히는 위치가 변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0)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0)가 동작을 시작하면, 상기 전원측 확산부(34)와 가장 이격된 위치의 상기 데코 프레임(33)에 빛이 맺힌다.
즉, 상기 제2발광부(34)의 제 3 중앙측 발광소자(391)를 발광시키면, 상기 제 중앙측 발광소자(391)에서 발생되는 빛은 상기 제1중앙측 확산부(36)의 하측부에 입사 및 확산되어, 상기 제2발광부(34)와 가장 이격된 상기 중앙측 투과부(371)의 일 지점에서 산란된다. 즉, 상기 제2발광부(34)와 가장 이격된 위치에 빛이 맺히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제 2 중앙측 발광소자(392)를 발광시키고, 동시에 상기 제 3 중앙측 발광소자(392)를 오프시키면, 상기 제 2 중앙측 발광소자(392)에서 발생되는 빛이 상기 중앙측 투과부(371)에서 맺히는 위치는, 상기 제 3 중앙측 발광소자(392)에서 발생되는 빛이 맺히는 위치에 비하여, 상기 제2발광부(34) 측으로 이동된다.
그 다음, 상기 제 1 중앙측 발광소자(391)가 발광되고, 상기 제 2 중앙측 발광소자(392)가 오프되면, 상기 중앙측 투과부(371)에 빛이 맺히는 위치는 상기 제2발광부(34)측으로 더 인접하게 이동된다.
그 다음, 상기 제1중앙측 발광소자(391)를 오프시키고, 상기 제2발광부(34)의 이면 상측부에 구비된 상기 제4중앙측 발광소자(394)를 발광시킨다. 상기 제4중앙측 발광소자(394)가 발광되면, 상기 제1중앙측 발광소자(391)에 의하여 빛이 맺혔던 위치에 대하여, 상기 제2발광부(39)를 기준으로, 반대 방향에 빛이 맺히게 된다.
연속적으로 상기 제4중앙측 발광소자(394)보다 하측에 구비되는 제 5 및 제 6 중앙측 발광소자(395,396)을 시계열적으로 발광 및 오프시키면, 상기 중앙측 투 과부(371)에서 빛이 맺히는 위치는, 상기 제2발광부(39)에서 멀어지면서, 상기 전원측 확산부(34)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 6 중앙측 발광소자(396)가 오프되면, 이와 동시에 상기 제1발광부(38)의 제 1 및 제 3 전원측 발광소자(381,383)가 발광되어, 상기 전원측 투과부(372)에 빛이 맺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30)가 오프되어 대기상태로 설정되면, 상기 제 1 및 제 3 전원측 발광소자(381,383)가 오프되며, 상기 제 1 및 제 3 전원측 발광소자(381,383)와 다른 색상으로 구비되는 상기 제 2 전원측 발광소자(382)가 발광됨으로써, 상기 디스프레이 기기(3)가 대기 상태임을 지시하게 된다.
상기 데코 프레임(33)에 빛이 맺히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30)가 동작을 시작한 시점과 화면이 표시되는 시점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발광부(38,39)의 발광 소자를 순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빛이 맺히는 위치가 이동되도록 하였으나, 어느 발광 소자에서 발생되는 빛이 맺히는 시간 및 그에 따른 위치는 상기 빛이 통과되는 매질 및 매질을 투과하는 거리에 따라서 가변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및 제2발광부(38,39)의 발광 소자를 비순차적 즉 일례로 동시에 발광시킴으로써, 상기 빛이 맺히는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빛이 맺히는 경로를 따라서 상기 다수의 발광 소자가 직접 배치되지 않고, 상기 발광 소자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어느 일 지점에 집적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내부 설계가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빛이 반사, 굴절 및 산란 과정을 거쳐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 외부로 투사됨으로써, 상기 투과부를 통한 빛의 맺힘이 보다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빛이 맺히는 경로를 따라서 발광 소자가 배치되는 경우보다, 발광 소자에서 빛을 반사 및 확산시켜 상기 투과부로 투사함으로써, 발광 소자의 숫자 및 전력 소요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데코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데코 프레임의 분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3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데코 프레임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데코 프레임(43)은 상기 데코 프레임(43)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1데코 프레임(44)과, 상기 제1데코 프레임(44)에 고정되는 제2데코 프레임(45)을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제1데코 프레임(44)은 일정 명도로 형성된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데코 프레임(45)는 상기 제1데코 프레임(44)이 형성된 명도보다 연한 명도의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데코 프레임(44)은 디스플레이 본체(미도시)의 하측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데코 프레임(44)이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441)가 형성되며, 상기 제2데코 프레임(44)의 중앙측 투과부(492)보다 큰 형상으로 라운지 는 만곡부(442)가 형성된다.
상기 제2데코 프레임(45)은 전원측 확산부(47), 중앙측 확산부(481,482) 및 투과부(49)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중앙측 확산부(481,428)는 제1중앙측 확산부(481)와 상기 제1중앙측 확산부(481)보다 길게 형성된 제2중앙측 확산부(48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중앙측 확산부(481)의 투사면은 상기 제2중앙측 확산부(482)의 투사면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전원측 확산부(47)와 상기 중앙측 확산부(481,482)의 상세한 구성은 제3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기 투과부(49)는 상기 전원측 확산부(47)의 하측에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전원측 투과부(491)과, 상기 중앙측 확산부(481,482)의 하측에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중앙측 투과부(492)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측 투과부(492)의 곡률 중심은 상기 제1중앙측 확산부(481) 및 상기 제2중앙측 확산부(482)의 중간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제1중앙측 확산부(481)보다 길게 형성된 상기 제2중앙측 확산부(482) 측으로 이동되어 위치된다. 즉, 상기 중앙측 투과부(492)는 상기 중앙측 확산부(481,482)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측 투과부(492)는 상기 제2데코 프레임(45)이 상기 제1데코 프레임(46)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만곡부(442)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전원측 투과부(491) 및 상기 중앙측 투과부(492)의 단부에는 불규칙한 표면으로 형성되거나, 금속 물질이 증착 또는 코팅된 산란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 프레임(44)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제1데코 프레임(44)은 상기 데코 프레임(44)의 전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데코 프레임(44)이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원측 투과부(491) 및 상기 중앙측 투과부(492)가 상기 제1데코프레임(44)의 일측 및 상기 만곡부(442)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확산부 및 상기 투과부를 통하여 빛이 맺히거나, 빛이 맺히는 위치가 이동되는 구성은 제3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빛이 맺히는 위치가 라운드진 상기 투과부의 형상에 따라 이동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자인이 미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캐비닛의 배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도 2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빛이 투영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빛이 반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캐비닛의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확산부 및 투과부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C-C 선도에 따라 절개된 상태에서, 빛이 진행되는 방향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코 프레임의 전면 및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코 프레임이 프론트 캐비닛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 13의 E 부분 및 F 부분의 확대도.
도 16는 도 13의 D-D 선도에 따라 절개된 데코 프레임의 단면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상태 에 따라 빛이 맺히는 위치가 변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데코 프레임의 배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데코 프레임의 분해도.

Claims (23)

  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는 캐비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빛이 입사되고, 입사된 빛을 입사되는 일방향과 교차되는 타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에는,
    일방향으로 입사된 빛을 타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빛이 입사되는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반사면에 반사된 빛이 상기 확산부의 외부로 투과되기 위한 투사면;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의 크기는 상기 투사면의 크기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에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서로 다른 길이의 투사면이 형성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확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상기 빛이 입사면에 입사되기 전에, 빛의 입사방향으로 빛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한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에서 확산 및 반사된 빛이 외부로 투과되기 위한 투과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와 상기 투과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에는 빛이 외부로 투과되는 과정에서 산란되도록 하는 산란면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면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전방을 향하도록 일정 각도 기울어진 디스플레이 기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각각 다른 매질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투과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투과층은 상기 확산부에서 투사되는 빛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에는 상기 빛이 투과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빛이 투과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에 대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확산부의 측방에서 빛을 조사하며,
    상기 확산부에 조사된 빛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방으로 반사 및 확산되는 디스프레이 기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에서 투사되는 빛이 맺히는 불빛 맺힘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불빛 맺힘부에 맺힌 빛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광되는 빛의 색상 또는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순차적 또는 비순차적으로 동작되는 다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측부를 형성하며, 상기 확산부가 고정되는 데코 프레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22.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하측에 구비되는 데코 프레임; 및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빛을 발생시켜, 상기 데코 프레임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외부로 투과되도록 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코 프레임은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빛이 입사되어 반사 및 확산되도록 하는 확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 프레임은 상기 확산부에서 반사 및 확산된 빛이 외부로 투과되도록 하는 투과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1020090034521A 2008-12-24 2009-04-21 디스플레이 기기 KR101605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521A KR101605184B1 (ko) 2008-12-24 2009-04-21 디스플레이 기기
EP11004730.5A EP2372415B1 (en) 2008-12-24 2009-09-18 Display device
EP09011949.6A EP2202547B1 (en) 2008-12-24 2009-09-18 Display device
US12/578,250 US8390470B2 (en) 2008-12-24 2009-10-13 Display device
CN2009102663094A CN101763772B (zh) 2008-12-24 2009-12-24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499 2008-12-24
KR20080133499 2008-12-24
KR1020090034521A KR101605184B1 (ko) 2008-12-24 2009-04-21 디스플레이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350A true KR20100075350A (ko) 2010-07-02
KR101605184B1 KR101605184B1 (ko) 2016-03-21

Family

ID=4155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521A KR101605184B1 (ko) 2008-12-24 2009-04-21 디스플레이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90470B2 (ko)
EP (2) EP2372415B1 (ko)
KR (1) KR101605184B1 (ko)
CN (1) CN1017637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1455B2 (en) * 2009-06-05 2011-06-1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Display device having guides linking buttons to display information
US10099560B2 (en) 2011-01-26 2018-10-1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the speed of a vehicle
US9008874B2 (en) 2011-01-26 2015-04-1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in a vehicle
KR20150025437A (ko) * 2013-08-29 2015-03-10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광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US9817261B2 (en) * 2015-04-28 2017-11-14 Lg Display Co., Ltd. Curved cover for curved display and curved typ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403295B2 (ja) * 2017-03-07 2018-10-1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1815A (en) * 1997-01-24 1999-01-19 Silicon Graphics, Inc. Light bar and reflector assembly
US7113196B2 (en) * 2001-06-15 2006-09-26 Apple Computer, Inc. Computing device with dynamic ornamental appearance
CN1781307A (zh) * 2003-04-25 2006-05-31 汤姆森许可贸易公司 具有针对电视设备面板的检测和控制电路的可变亮度照度设备
JP3704711B2 (ja) * 2003-06-20 2005-10-12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テレビジョン用台座
KR20050113681A (ko) * 2004-05-25 2005-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고 조명구조
JP4691917B2 (ja) * 2004-07-12 2011-06-01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機器
JP4604780B2 (ja) * 2005-03-18 2011-01-05 船井電機株式会社 照明構造
WO2007026285A1 (en) * 2005-08-30 2007-03-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mbient lighting for displays through transparent materials
US20100053229A1 (en) * 2006-11-30 2010-03-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im system for a display
KR100874163B1 (ko) * 2007-04-03 2008-12-17 유니나 직시형 컬러 발광 프레임을 갖는 엘시디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02547B1 (en) 2014-11-05
CN101763772A (zh) 2010-06-30
CN101763772B (zh) 2013-11-13
KR101605184B1 (ko) 2016-03-21
US20100156657A1 (en) 2010-06-24
EP2372415B1 (en) 2014-12-31
US8390470B2 (en) 2013-03-05
EP2372415A1 (en) 2011-10-05
EP2202547A1 (en) 201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5527B2 (ja) 点状光源を具える照明装置
JP4528902B2 (ja) 光源装置、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5658752B2 (ja) フリーフォームのライトモジュ−ル
US10976026B2 (en) Lighting device with sparkling effect
US20130027927A1 (en) Floating light luminaire
WO2012176352A1 (ja) 照明構造
KR101993361B1 (ko) 광 조명 기구의 블레이드
KR20100075350A (ko) 디스플레이 기기
KR20120066658A (ko) 발광 디바이스
JP2014509433A (ja) 拡散光を発するための発光素子
JP2010250966A (ja) 照明器具
KR20060115124A (ko) 균일한 광분포를 얻기 위한 광방출기 및 상기 광방출기를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JP2005285702A (ja) 導光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JP2011100701A5 (ko)
CN106062467B (zh) 照明系统
JP2001005417A (ja) 表示パターンが発光する透明な表示装置
CN207065320U (zh) 一种平板灯
JPH04307008A (ja) 面発光照明付陳列棚
JP2013218946A (ja) 照明装置
KR101212521B1 (ko) 도광판을 이용한 모아레 패턴 조명장치
JP7165875B2 (ja) 照明用導光板及び照明装置
KR101422393B1 (ko) 직하형 광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JP5899435B2 (ja) 表示装置
JP6989767B2 (ja) 車両用灯具
JP5914858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