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475B1 -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475B1
KR102167475B1 KR1020190027785A KR20190027785A KR102167475B1 KR 102167475 B1 KR102167475 B1 KR 102167475B1 KR 1020190027785 A KR1020190027785 A KR 1020190027785A KR 20190027785 A KR20190027785 A KR 20190027785A KR 102167475 B1 KR102167475 B1 KR 102167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ing device
pair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8734A (ko
Inventor
이세용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말타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말타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말타니
Priority to KR1020190027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475B1/ko
Publication of KR20200108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일측에 구비되어 광을 방출하는 제1 발광부; 상기 제1 발광부의 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광을 하부로 전달하는 도광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도광판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가시광선 광을 하부로 방출하는 제2 발광부; 한 쌍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간의 간격을 메우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발광부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굴절시켜 상기 베이스 프레임 하부로 방출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는,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LED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클리닝(살균)할 뿐 아니라, 조명 장치의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LIGHTING DEVICE FOR CLEANING}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ED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클리닝(살균)할 뿐 아니라,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명 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가시광선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형광등이 널리 사용되었다. 이러한 형광등은 형광램프와 안정기 등이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되는데, 눈의 피로와 발열, 수명 및 전력손실의 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형광등을 대체하여 LED(lighting emitting diode)를 이용한 조명 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LED는 전력을 빛으로 변환시키는 효율이 뛰어나고,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조명기구인 백열등이나 형광등, 콤팩트 형광램프에 비해 단위 전력대비 빛의 효율이 월등히 높아 경제성이 뛰어나며, 또한 저전압으로도 고효율의 조도를 얻을 수 있고 눈부심이 발생하지 않으며 빛의 산란이 적고 안정성이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경관 조명이나 광고 등과 같은 특수한 분야는 물론, 교통 신호등이나 실내용 조명 장치로서도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496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조명 효과 외에 실내 공간을 살균하여 실내 클리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명 모듈을 조명 장치의 중앙부에 구비시켜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일측에 구비되어 광을 방출하는 제1 발광부; 상기 제1 발광부의 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광을 하부로 전달하는 도광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도광판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가시광선 광을 하부로 방출하는 제2 발광부; 한 쌍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간의 간격을 메우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발광부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굴절시켜 상기 베이스 프레임 하부로 방출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는,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커버하며, 상기 도광판 및 상기 렌즈부에서 방출되는 광을 실내로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는, 상기 렌즈부의 상단에 상기 제2 발광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렌즈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렌즈부의 하단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부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파장은 405nm일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 단부는, 상기 제2 발광부의 중앙부와 한 쌍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내측 단부를 잇는 가상의 선과, 상기 제2 발광부의 중앙부와 한 쌍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다른 하나의 내측 단부를 잇는 가상의 선이 이루는 각도는 60°가 되도록, 경사부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조명 장치의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실내 조명 효과 외에 실내 공간을 살균함으로써 실내 클리닝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단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100)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 하우징(200)에 일측에 구비되어 광을 방출하는 제1 발광부(230); 제1 발광부(230)의 측부에 위치하여 제1 발광부(230)에서 방출되는 광을 하부로 전달하는 도광판(250);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내부 공간(372)을 형성하며, 도광판(25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378)이 형성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70); 베이스 프레임(370)의 내부 공간(372)에 위치하며 가시광선 광을 하부로 방출하는 제2 발광부(340); 및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70) 간의 간격을 메우도록 베이스 프레임(370)의 내부 공간(372)에 위치하며, 제2 발광부(34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굴절시켜 베이스 프레임(370) 하부로 방출하는 렌즈부(350)를 포함한다.
하우징(200)은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100)의 외형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내부에 여러 구성 요소를 수용할하며, 대략 ㄷ자 형태로 한 쌍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하우징(200)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조명 모듈(300)을 보호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발광부(230)는 하우징(200)의 측면에 구비되어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1 발광부(230)는 LED일 수 있으며, 하우징(200)의 측면에 구비되어 측부 방향으로 천장에 수평하게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즉, 제1 발광부(230)는 후술할 제2 발광부(340)의 광의 발광 방향과 서로 수직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 발광부(230)는 PCB 등 회로 기판(미도시)에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실장될 수 있다.
도광판(250)은 제1 발광부(230)의 측부에 위치하여 제1 발광부(230)에서 방출되는 광을 하부로 전달한다. 제1 발광부(230)에서 수평하게 방출되는 광이 도광판(250)을 통과하면서 하부로 방출되는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 구비되는 조명 모듈(300)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70), 제2 발광부(340) 및 렌즈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37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내부 공간(372)을 형성하며, 도광판(25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378)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370)은 여러 구성 요소들이 설치되기 위한 베이스가 되는 구성 요소로서,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370)은 본 발명의 여러 구성 요소들이 설치되기 위한 베이스가 되는 구성 요소로서,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370)은 한 쌍으로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좌/우 이격되어 배치되며 사이에 내부 공간(372)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370)은 베이스 플레이트(371a) 및 절곡 플레이트(371b)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71a)는 천장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절곡 플레이트(371b)는 베이스 플레이트(371a)의 단부에서 천장을 향해 상부로 절곡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절곡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베이스 프레임(370)에 의해 내부 공간(37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372)에 본 발명의 여러 구성 요소들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프레임(370)인 베이스 플레이트(371a)에 절곡 플레이트(371b)가 결합된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여러 구성 요소들을 설치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370)은 베이스 플레이트(371a) 및 절곡 플레이트(371b) 외에 베이스 프레임(370)의 강도 및 발열 성능 향상을 위해 다른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 프레임(370)의 외측에는 삽입홈부(378)이 형성되며, 삽입홈부(378)에 도광판(250)의 단부가 삽입되어 조명 모듈(300)의 베이스 프레임(370)이 도광판(250)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370)의 베이스 플레이트(371a) 외측에는 단부가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379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 프레임(370)의 절곡 플레이트(371b)의 외측에는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379b)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71a) 및 절곡 플레이트(371b)에 형성되는 연장부(379a, 479b)에 의해 삽입홈부(378)이 형성되며, 삽입홈부(378)에 도광판(250)의 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조명 모듈(300)의 베이스 프레임(370)과 도광판(250)이 결합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광판(250)과 베이스 프레임(370)의 결합이 별도의 고정 수단에 의하지 아니하고 도광판(250)의 삽입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어 조립 공정이 단순해질 뿐 아니라, 도광판(250)이 금속 재질의 베이스 프레임(370)에 삽입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370)이 도광판(250)의 리플렉터(reflector) 역할을 수행하여, 도광판(250)의 측면 방향으로 향하는 광을 다시 도광판(250)의 방향으로 반사시켜 하부 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발광부가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되어 광을 방출하고, 도광판이 발광부의 측부에 위치하여 횡방향으로 전달되는 광을 수직 하부방향으로 방출시키는 엣지(Edge) 형태의 조명 장치의 경우,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빛이 모두 하부로 방출되지 못하고 도광판의 측면으로 누설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조명 장치(10)는 도광판(250)을 베이스 프레임(370)의 삽입홈부(378)에 삽입시켜 베이스 프레임(370)을 이용하여 도광판(250)의 측부를 밀폐시킴으로써, 도광판(250)의 측면으로 누설되는 광을 차단하고 금속 재질의 베이스 프레임(370)을 통해 광을 다시 반사시켜 도광판(250)의 하부 방향으로 방출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도광판(250) 하부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조명 장치(10)의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370)을 통해 반사되는 빛의 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70)의 삽입홈부(378)는 빛 반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빛 반사 재질은 유리 재질 일 수 있으며, 베이스 프레임(370)의 삽입홈부(378)에 반사 필름(미도시)이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반사 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제2 발광부(340)는 베이스 프레임(370)의 내부 공간(372)에 위치하며 가시광선 광을 하부로 방출한다. 제2 발광부(340)는 LED(light emitting diode)이며, 내부 공간(372)의 상부에 구비되어 살균을 위한 가시광선 광을 직하방식으로 하부를 향해 방출한다. 제2 발광부(340)가 방출하는 가시광선 광의 파장은 400nm~430nm 대의 파장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5nm의 가시광선 광일 수 있다. 이때, 제2 발광부(340)는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베이스 프레임(3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2 발광부(340)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기판(330)이 베이스 프레임(370)의 내부 공간(372)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발광부(340)는 회로 기판(330)에 이격되어 실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렌즈부(350)는 베이스 프레임(370)의 내부 공간(372)에 하부에 배치되어 제2 발광부(340)를 통해 방출되는 가시광선 광을 굴절시켜 베이스 프레임(370) 하부(실내)로 방출한다. 구체적으로, 렌즈부(350)는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70) 간격을 메우도록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70) 사이에 구비된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370,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측 단부에는 렌즈부(350)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75) 및 렌즈부(350)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7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렌즈부(350)를 이용하여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70)이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을 밀폐시키는데, 지지부(375) 및 고정부(373)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고정수단(볼트, 나사 등)의 필요 없이 렌즈부(350)를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70) 사이에 결합 고정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지지부(375)는 베이스 프레임(370)의 내측 단부 중 일 부분으로서 렌즈부(350)의 하단부를 지지하며며, 고정부(373)는 베이스 프레임(370)의 내측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부로서 렌즈부(350)의 측단부를 지지한다.
한편, 렌즈부(350)의 상단에는 제2 발광부(34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351)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351)은 렌즈부(350)의 상단에 요홈되도록 형성되며, 제2 발광부(340)가 수용 공간(351)에 수용되도록 구비된다. 제2 발광부(340)가 렌즈부(350)의 수용 공간(351)에 배치됨으로써 제2 발광부(340)를 통해 방출되는 광이 렌즈부(350)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렌즈부(350)를 통해 하부로 방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100)는 조명 모듈(300)을 포함하여, 400nm~430nm 파장대의 가시광선 광을 실내로 방출시켜 실내를 살균할 수 있으며, LED에 의해 방출된 광을 굴절시키기 위한 렌즈부(350)가 별도의 고정 수단에 의하지 아니하고 베이스 프레임(370)에 결합됨으로써 공정 시간 및 설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370)의 상부에는 방열 플레이트(310)가 구비될 수 있다. 방열 플레이트(310)는 베이스 프레임(370)의 내부 공간(372)을 커버하며, 제2 발광부(340)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킨다. 제2 발광부(340)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제2 발광부(340)에 의해 생성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켜야 하는데, 방열 플레이트(310)는 베이스 프레임(370)의 내부 공간(372)을 밀폐시킴과 동시에 제2 발광부(340)와 연결되어 제2 발광부(340)를 통해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킨다. 이때, 제2 발광부(340)가 회로 기판(330)에 실장되어 구비되는 경우 방열 플레이트(310)는 회로 기판(33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방열 플레이트(310)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소재(알루미늄 등)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방열 효과를 높이기 위해 복수의 방열핀(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70)의 내측 단부는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발광부(340)의 중앙부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70) 중 어느 하나의 내측 단부를 잇는 가상의 선(341a)와, 제2 발광부(340)의 중앙부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70) 중 다른 하나의 내측 단부를 잇는 가상의 선(341b)이 이루는 각도가 60°가 되도록,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70)의 내측 단부에는 경사부(377)가 형성될 수 있다. 실내 클리닝(살균)을 위한 가시광선 광이 실내 공간에 집중되어 방출되는 경우(가시광선 광의 방출 각도가 좁은 경우) 실내 클리닝 면적이 좁게되고, 반대로 가시광선 광이 지나치게 확산되어 방출되는 경우(가시광선 광의 방출 각도가 넓은 경우) 실내 클리닝 면적을 넓힐 수는 있으나 살균 효과가 감소하게 되므로, 렌즈부(350)를 통해 실내로 방출되는 가시광선 광의 방출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렌즈부(350)를 통해 실내로 방출되는 가시광선 광의 방출 각도가 제2 발광부(340)를 중심으로 60°인 경우에 실내 클리닝 면적을 가능한 넓게 유지하면서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2의 점선은 제2 발광부(340)에서 방출되는 가시광선 광의 방출 경로를 도시화한 선으로서, 이를 참고하면 가시광선 광의 방출 각도는 베이스 프레임(370)의 내측 단부에 경사 각도에 의해 결정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발광부(340)의 중앙부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70) 중 어느 하나의 내측 단부를 잇는 가상의 선(341a)와, 제2 발광부(340)의 중앙부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70) 중 다른 하나의 내측 단부를 잇는 가상의 선(341b)이 이루는 각도가 60°가 되도록, 베이스 프레임(370)의 내측 단부에는 경사부(377)가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는 확산판(270) 및 커버 플레이트(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산판(270)은 하우징(200)의 하부를 커버하고, 도광판(250) 및 렌즈부(350)에서 방출되는 광을 실내로 확산시키며, 이에 따라 실내로 균일한 조도의 광이 전달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90)는 하우징(200)의 상부를 커버하여 하우징(200)을 밀폐시킨다. 이때 커버 플레이트(290)의 상부에는 고정 플레이트(2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 플레이트(210)를 통해 조명 장치(100)가 천장에 결합될 수 있다.
최근 조명 장치(100)의 실내 공간의 커버리지(coverage)를 향상시키기 위해 조명 장치(100)가 대형화되고 있는데, 대형 조명 장치(100)에 있어서 제1 발광부(230)가 하우징(200)의 측면에 구비되는 경우 조명 장치(100)의 중앙부까지 제1 발광부(230)의 광이 전달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조명 장치(100)의 중앙부로 갈수록 광량이 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조명 모듈(300)을 조명 장치(100)의 중앙부에 추가로 구비하여 제2 발광부(340)를 통해 가시광선 광을 방출시킴으로써 조명 장치(100)의 중앙부에서도 충분한 광량을 하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의 경우 조명 장치(100)의 중앙부에 조명 모듈(300)을 구비하여 가시광선 광을 방출시킴으로써 실내를 살균함과 동시에 조명 장치(100)의 방출 광량을 일정 수준이상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 시예에 클리닝용 따른 조명 장치(100)는 조명 장치의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실내 조명 효과 외에 실내 공간을 살균함으로써 실내 클리닝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10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조명 장치 200: 하우징
210: 고정 플레이트 230: 제1 발광부
250: 도광판 270: 확산판
290: 커버 플레이트 300: 조명 모듈
310: 방열 플레이트 330: 회로 기판
340: 제2 발광부 350: 렌즈부
351: 수용 공간 370: 베이스 프레임
371a: 베이스 플레이트 371b: 절곡 플레이트
372: 내부 공간 373: 고정부
375: 지지부 377: 경사부
378: 삽입홈부 379a, 379b: 연장부

Claims (7)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일측에 구비되어 광을 방출하는 제1 발광부;
    상기 제1 발광부의 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광을 하부로 전달하는 도광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도광판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가시광선 광을 하부로 방출하는 제2 발광부; 및
    한 쌍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간의 간격을 메우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발광부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굴절시켜 상기 베이스 프레임 하부로 방출하는 렌즈부;
    를 포함하되,
    한 쌍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 단부는,
    상기 제2 발광부의 중앙부와 한 쌍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내측 단부를 잇는 가상의 선과, 상기 제2 발광부의 중앙부와 한 쌍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다른 하나의 내측 단부를 잇는 가상의 선이 이루는 각도는 60°가 되도록, 경사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커버하며, 상기 도광판 및 상기 렌즈부에서 방출되는 광을 실내로 확산시키는 확산판;
    을 더 포함하는,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렌즈부의 상단에 상기 제2 발광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렌즈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렌즈부의 하단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커버하며, 상기 제2 발광부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부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파장은 405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삽입홈부는,
    상기 도광판의 측부로 누설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하여 빛 반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
  7. 삭제
KR1020190027785A 2019-03-11 2019-03-11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 KR102167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785A KR102167475B1 (ko) 2019-03-11 2019-03-11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785A KR102167475B1 (ko) 2019-03-11 2019-03-11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734A KR20200108734A (ko) 2020-09-21
KR102167475B1 true KR102167475B1 (ko) 2020-10-19

Family

ID=72708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785A KR102167475B1 (ko) 2019-03-11 2019-03-11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4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922B1 (ko) 2021-01-13 2021-09-27 주식회사 정길 살균 기능을 가지는 조명등 장치
KR20230069311A (ko) * 2021-11-11 2023-05-19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살균과 조명이 동시에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살균조명 등기구용 프레임 시스템
KR20230107442A (ko) 2022-01-07 2023-07-17 (주)보승전기 인체 연속 감응형 살균 조명 시스템
KR20230134168A (ko) 2022-03-14 2023-09-21 (주)보승전기 차량용 살균 조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415B1 (ko) 2020-11-04 2021-06-08 주식회사 이노엘이디솔루션즈 살균 조명 장치
KR102621813B1 (ko) 2021-03-23 2024-01-08 주식회사 이노엘이디솔루션즈 살균 조명 장치
KR102341303B1 (ko) * 2021-04-29 2021-12-23 주식회사 글로우원 살균 기능을 갖는 평판조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1051A (ja) * 2009-04-14 2010-11-04 Sumitomo Bakelite Co Ltd 面発光装置および保持枠
KR101660010B1 (ko) * 2015-03-23 2016-09-28 플러스웰주식회사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948B1 (ko) * 2009-09-11 2012-04-30 이현 엘이디 조명장치
KR100974961B1 (ko) 2010-04-30 2010-08-31 주식회사 이지라이팅 엘이디 조명 모듈
KR20130084936A (ko) * 2012-01-18 2013-07-26 주식회사 아모럭스 Led 다운라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1051A (ja) * 2009-04-14 2010-11-04 Sumitomo Bakelite Co Ltd 面発光装置および保持枠
KR101660010B1 (ko) * 2015-03-23 2016-09-28 플러스웰주식회사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922B1 (ko) 2021-01-13 2021-09-27 주식회사 정길 살균 기능을 가지는 조명등 장치
KR20230069311A (ko) * 2021-11-11 2023-05-19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살균과 조명이 동시에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살균조명 등기구용 프레임 시스템
KR102647740B1 (ko) 2021-11-11 2024-03-18 동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과 조명이 동시에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살균조명 등기구용 프레임 시스템
KR20230107442A (ko) 2022-01-07 2023-07-17 (주)보승전기 인체 연속 감응형 살균 조명 시스템
KR20230134168A (ko) 2022-03-14 2023-09-21 (주)보승전기 차량용 살균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734A (ko) 202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7475B1 (ko)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
US8287152B2 (en) Lighting apparatus using light emitting diode
RU2541124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6204194B2 (ja) トロファ型光学アセンブリ
KR100883344B1 (ko) Led 조명램프
RU2459142C1 (ru) Уличный фонарь на светодиодах
JP4173183B1 (ja) 広域照明装置
KR101825088B1 (ko) 엘이디 조명기구
US8696163B2 (en) Lamp with wide-angle light emission and bulb thereof
JP2017103259A (ja) Led照明装置
WO2016039130A1 (ja) 照明器具
KR20100138836A (ko) 조명장치
KR101140174B1 (ko) 직하형 엘이디 조명기구
JP6425066B2 (ja) 照明器具
KR101224107B1 (ko) 이중 확산형 라인바 타입 led 조명장치
KR20220032849A (ko) 실내 클리닝용 조명 장치
KR20080049347A (ko) 백색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등
KR101441624B1 (ko) 일체형 반사갓이 형성된 엘이디 조명등
JP2020155265A (ja) 壁面照射用のラン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102358707B1 (ko) 천정등용 엘이디램프 및 이를 구성하는 렌즈
KR101020326B1 (ko) 엘이디 형광등
KR20180000988A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2036515B1 (ko) 빛 공해 방지 가능한 옥외 조명장치
KR20120100028A (ko) 천장 설치용 면광원 조명장치
KR102275357B1 (ko) 히트파이프가 결합된 led 모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