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2397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02397A
KR20240102397A KR1020220184389A KR20220184389A KR20240102397A KR 20240102397 A KR20240102397 A KR 20240102397A KR 1020220184389 A KR1020220184389 A KR 1020220184389A KR 20220184389 A KR20220184389 A KR 20220184389A KR 20240102397 A KR20240102397 A KR 20240102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forming
unforming
indoor uni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4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헌
이은순
정지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102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02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실내기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되고, 캐비닛 측면과 상기 캐비닛 측면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캐비닛 저면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저면은, 언포밍부와, 상기 언포밍부와 연결되고 상기 언포밍부와 단차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포밍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밍부는 상기 캐비닛 저면의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풍기에서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줄이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와 사방 밸브와 실외 열교환기(응축기 혹은 증발기)와 팽창 기구와 실내 열교환기(증발기 혹은 응축기)로 이루어진 냉매의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기에 냉각/방열 장치와, 실내 팬 및 실내팬 모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방열/냉각 장치와, 압축 장치와, 실외 팬 및 실외팬 모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분리형은 통상적으로 실내기가 실내의 내부에 세워지거나 벽에 걸거나 천정에 매립하여 설치되고, 일체형은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어 설치하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 설치하거나 실외에 배치되고 실내와 덕트로 연결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특허문헌 1)는, 새시에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부(230)가 형성되고,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베인(700)이 설치된다. 이러한 베인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특허문헌 1의 경우, 새시의 중앙에는 모터(211)가 수용되게 되는데, 모터가 원심팬을 회전시키게 되면, 모터와 접촉된 새시의 진동이 새시의 저면을 타고 실내기 전체로 전달되게 되고, 이러한 진동은 외부로 소음을 유발하고, 각 부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새시의 저면은 넓은 면을 이루므로, 모터의 의해 심하게 진동되게 되고, 새시의 저면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새시의 저면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 공보 제20160085355호
본 발명의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송풍기의 진동이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고 하는 다른 과제는, 캐비닛의 얇은 두께를 가져서 제조비용을 줄이면서, 강도가 향상된 공기조화기용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고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캐비닛에 인슐레이터가 부착되는 공간과 설치 시에 작업자가 잡는 공간을 확보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고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베인의 후면부와 프론트 패널의 후면부에 발생하는 이슬 맺힘을 방지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고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부를 통해 배출될 때 공기의 흐름을 균일하게 하는 공기조화기용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실내기는 캐비닛의 일면이 포밍부 및 포밍부와 단차를 가지는 언포밍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실내기는 캐비닛의 일면이 포밍부, 포밍부와 단차를 가지는 언포밍부와, 포밍부 및 언포밍부와 단차를 가지는 역포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실내기는 캐비닛의 일면이 포밍부, 포밍부와 단차를 가지는 언포밍부와, 강성을 보강하는 리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실내기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되고, 캐비닛 측면과 상기 캐비닛 측면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캐비닛 저면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저면은, 언포밍부와, 상기 언포밍부와 연결되고 상기 언포밍부와 단차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포밍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밍부는 상기 캐비닛 저면의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비닛 저면에는 상기 송풍기의 모터가 위치되는 모터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밍부의 일단은 상기 모터 수용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포밍부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캐비닛 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포밍부들은 상기 캐비닛 저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언포밍부는 서로 인접한 2개의 포밍부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언포밍부의 면적은 상기 포밍부의 면적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포밍부의 폭은 일정하고, 서로 인접한 2개의 포밍부 사이들 간격은 상기 캐비닛의 중심에서 상기 캐비닛의 외측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상기 포밍부들 사이의 사이각은 20도 내지 25도 일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의 저면은 상기 송풍기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면을 정의하고, 상기 캐비닛의 측면에는 토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저면은, 상기 언포밍부 및 상기 포밍부를 연결하고, 상기 언포밍부와 상기 포밍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포밍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언포밍부와 상기 포밍부는 서로 평행한 면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저면은, 상기 토출부와 인접한 영역에 위치되되, 상기 언포밍부 및 상기 포밍부와 단차를 가지는 역포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포밍부는 상기 포밍부 및 상기 언포밍부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포밍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일단은 상기 역포밍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언포밍부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서로 인접한 2개의 포밍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이너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너 리브들은 상기 캐비닛 저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임의의 원 궤도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역포밍부에서 돌출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우터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실내기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되고, 캐비닛 측면과 상기 캐비닛 측면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캐비닛 저면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저면은, 언포밍부, 상기 언포밍부와 연결되고 상기 언포밍부와 단차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포밍부 및 상기 토출부와 인접한 영역에 위치되되, 상기 언포밍부 및 상기 포밍부와 단차를 가지는 역포밍부를 포함한다.
상기 역포밍부는 상기 포밍부 및 상기 언포밍부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언포밍부는 서로 인접한 2개의 포밍부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캐비닛의 베이스의 저면에 저면과 단차를 가지는 포밍부를 형성하고, 포밍부의 일단이 모터 수용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베이스의 측면과 연결되어서, 모터에서 전달된 진동을 모터 수용부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분산 또는/및 저감하므로, 송풍기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포밍부가 캐비닛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서로 인접한 포밍부들을 연결하는 리브를 배치하여서, 모터에서 전달된 진동을 모터 수용부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분산 또는/및 저감하므로, 송풍기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캐비닛의 토출부의 근처에 역포밍부를 형성하여서, 작업자가 캐비닛을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캐비닛의 강도를 보강하며, 인슐레이터가 부착되는 공간을 확보하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서로 인접한 2개의 포밍부를 연결하는 이너 리브와, 역포밍부에 배치되는 아우터 리브를 포함하고, 아우터 리브가 포밍부와 연결되어서, 캐비닛의 강성을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토출부의 후면의 경사각을 토출 가이드 보다 완만하게 하여서, 토출부에서 토출 가이드를 통해 공기의 방향의 전환될 때 전환을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하므로, 토출부를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고 토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균일한 속도를 가지므로, 토출부 주변에서 이슬 맺힘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토출부의 후면과 동일 면 상에 위치되는 토출 가이드를 토출부의 후면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는 부분과 토출부의 후면 보다 큰 경사각을 가지는 부분으로 구성하여서, 토출부에서 토출 가이드를 통해 공기의 방향의 전환될 때 전환을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하므로, 토출부의 후면에서 발생되는 이슬 맺힘이 방지되고, 토출부의 후면에서 토출 가이드의 각도를 전면으로 크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토출부의 후면에 인접한 벽면에 이슬 맺힘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은 도 3에 도시된 베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베이스를 도 4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베이스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는 도 3에 도시된 베이스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8-8'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6의 9-9'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경사각과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경사각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디스플레이 패널(30)이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전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30)을 포함한다. 캐비닛(10)은 내부에 송풍기(14), 오리피스(13) 및 열교환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는 베이스(12)와, 베이스(12)를 커버하는 프론트패널(2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30)은 프론트패널(20)에 설치되되 프론트패널(2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프론트패널(20)에는 중앙에 흡입부(15)가 형성되고, 캐비닛(10)에 고정되며, 캐비닛(10)에는 토출부(16)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토출부(16)는 제1 토출부(16a, 16b)와 제2 토출부(16c)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토출부(16a, 16b)는 캐비닛(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토출부(16a)와 캐비닛(10)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토출부(1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토출부(16c)는 캐비닛(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토출부(16a, 16b)와 제2 토출부(16c)는 베이스(12)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후방향(FR)은 송풍기(14)의 회전축(Ax)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하고, 송풍기(14)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0) 방향이 전방(F)이고, 송풍기(14)에서 베이스(12) 방향이 후방(R)으로 정의된다.
또한, 상하 방향(UD)은 송풍기(14)의 회전축(Ax)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송풍기(14)의 회전축(Ax)에서 제2 토출부(16) 방향이 하방(D)이고, 하방과 반대 방향이 상방(U)으로 정의된다.
또한, 좌우 방향(LeRi)는 상하 방향 및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의된다.
디스플레이 패널(30)은 프론트패널(20)의 전방에 설치되되, 프론트패널(2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틈을 형성하고, 프론트패널(20)과 디스플레이 패널(30)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흡입부(15)로 공기가 이동된다.
베이스(12)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토출시키는 송풍기(14)와, 송풍기(14)의 전방에 위치되어 흡입부(15)에서 흡입된 공기를 송풍기(14)를 안내하는 오리피스(13)와 오리피스(13) 전방에 열교환기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송풍기(14)는 베이스(12)와 오리피스(13) 사이에 설치되어 흡입부(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모두 토출부(16)로 안내한다.
특히 송풍기(14)는 오리피스(13)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원주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원심팬이다. 송풍기(14)에는 송풍기(14)를 회전시키는 팬 모터(14a)가 연결된다.
그리고 송풍기(14)의 양측, 즉 베이스(12)의 양측에는 송풍기(14)에서 토출된 공기를 캐비닛(10) 밖으로 안내하는 좌측 토출부(16a)와 우측 토출부(16b)가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12)의 하측에는 송풍기(14)에서 토출된 공기를 캐비닛(10) 밖으로 안내하는 제2 토출부(16c)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토출부(16c)에는 제2 토출부(16c)를 개폐하는 조절 베인(510)과 조절 베인(510)을 회전시키는 베인 모터(520)가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12)의 양측면과 하면에는 적어도 토출부(16)를 커버하는 사이드 커버(41, 42)와 로어 커버(43)가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41, 42)에는 토출부(16)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 가이드(412)가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41, 42)는 좌측 커버(41)와 우측 커버(4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41, 42)와 로어 커버(43)를 커버로 통칭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에서 도 8에서 후술한다.
더불어 베이스(12)는 배면에 설치된 브래킷(17)에 의해 실내 벽에 고정된다.
한편, 오리피스(13)의 상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부(560)를 구성하는 전장부(2)가 설치된다.
오리피스(13)의 전방에는 실내공기와 열교환되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냉/난방시키는 열교환기(50)가 설치되고, 열교환기(50)의 하측에는 드레인팬(100)이 설치되어 열교환기(5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 및 배출시킨다.
여기서 열교환기(50)는 프론트패널(20) 또는 오리피스(13)에 고정되고, 열교환기(50)에는 외부로부터 설치되는 냉매배관(미도시)과 연결되도록 일측에 연결배관(52)이 설치된다.
프론트패널(20)은 열교환기(50)의 전방에 위치되어 베이스(12)와 결합된다.
또한, 캐비닛(10)은 모서리에는 배관커버(11)가 설치되고, 배관커버(11)는 베이스(12)의 모서리에 조립되어 실내기의 외형 중 일부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배관커버(11)는 캐비닛(10)에 4 모서리 중 복수 개소에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 모서리 2 개소에 설치되며, 배관커버(11)를 관통해 외부 냉매배관이 캐비닛(10) 내부로 안내된다.
프론트패널(20)은 중앙에 형성된 흡입부(15)가 형성되고, 흡입부(15)와 흡입부(15)를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는 프론트그릴(21)이 형성된다.
흡입부(15)에는 오리피스(13)로 유동되는 실내공기를 여과하도록 필터(60)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필터(60)는 프론트패널(20)과 착탈되는 구조로 설치되되,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패널(20)의 프론트그릴(21)에 지지된다.
여기서 필터(60) 및 필터(60)를 지지하는 프론트그릴(21)은 프론트패널(20)에 대하여 전방으로 소정 두께가 완만하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그릴(21)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필터(60)는 열교환기(50)와의 접촉이 방지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30)은, 링크기구(3)에 의해 프론트패널(20)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링크기구(3)는 링크(3a)와 링크모터(3b)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0)에는 실내기의 작동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유닛(35)이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0)은 리어 프레임(34)과 프론트 프레임(32)을 포함하고, 프론트 프레임(32)과 리어 프레임(34) 사이에 표시유닛(35)이 수용된다.
프론트 프레임(32)에는 표시유닛(35)을 노출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32)과 리어 프레임(34)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사이드 프레임(36)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베이스(12)를 중심으로 캐비닛(10)의 상세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은 도 3에 도시된 베이스(12)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베이스(12)를 도 4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베이스(12)를 도시한 정면도, 도 7는 도 3에 도시된 베이스(12)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캐비닛(10)은 내부에 송풍기(14), 오리피스(13) 및 열교환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는 베이스(12)와, 베이스(12)를 커버하는 프론트패널(20)을 포함한다.
캐비닛(10)은 베이스(12)와 프론트패널(20)이 결합되어서 내부에 송풍기(14), 오리피스(13) 및 열교환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2)에는 토출부(16)가 형성되고, 프론트패널(20)에는 흡입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캐비닛 측면(121, 122, 123, 124)과 캐비닛 측면(121, 122, 123, 124)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캐비닛 저면(1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2)는 캐비닛 저면(120)과, 캐비닛 저면(120)의 테두리에서 캐비닛 저면(12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캐비닛 측면(121, 122, 123, 124)들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 저면(120)은 베이스(12)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는 면이다. 캐비닛(10)의 저면은 송풍기(14)의 회전축(Ax)과 직교하는 면을 정의할 수 있다.
캐비닛 측면(121, 122, 123, 124)은 캐비닛 저면(120)의 상단과 연결되는 제1 캐비닛 측면(121)과, 캐비닛 저면(120)의 하단과 연결되는 제2 캐비닛 측면(122)과, 캐비닛 저면(120)의 좌측단과 연결되는 제3 캐비닛 측면(123)과, 캐비닛 저면(120)의 우측단과 연결되는 제4 캐비닛 측면(124)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 측면(121, 122, 123, 124)에는 토출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캐비닛 측면(122)에는 하측 토출부(16c)가 형성되고, 제3 캐비닛 측면(123)에는 좌측 토출부(16a)가 형성되고, 제4 캐비닛 측면(124)에는 우측 토출부(16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캐비닛 측면(121)의 일단은 제3 캐비닛 측면(123)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4 캐비닛 측면(124)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캐비닛 측면(122)의 일단은 제3 캐비닛 측면(123)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4 캐비닛 측면(124)과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제2 캐비닛 측면(122)의 일단과 제3 캐비닛 측면(123)과 연결되지 않고, 그 사이에 배관이 위치되는 배관공간(12d)를 정의할 수 있고, 제2 캐비닛 측면(122)의 타단과 제4 캐비닛 측면(124)과 연결되지 않고, 그 사이에 배관이 위치되는 배관공간(12d)를 정의할 수 있다.
이하, 캐비닛 저면(120)의 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도 8은 도 6의 8-8' 선을 취한 단면도, 도 9은 도 6의 9-9'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16을 참조하고, 특히 도 8 및 도 9을 참조하면, 캐비닛 저면(120)은, 언포밍부(125)와, 적어도 2개의 포밍부(126) 및 모터 수용부(129)를 포함한다.
언포밍부(125)는 캐비닛 저면(120)의 과반을 차지하는 영역으로 수평면과 나란한 면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언포밍부(125)는 캐비닛 저면(120)에서 포밍부(126), 모터 수용부(129) 및 후술하는 역포밍부(128)를 제외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모터 수용부(129)는 캐비닛 저면(120)에 위치되어 모터(14a)를 수용한다. 모터 수용부(129)는 캐비닛 저면(120)의 일부 영역이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모터 수용부(129)는 캐비닛 저면(120)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 수용부(129)는 제1 수용면(129a)과, 제1 수용면(129a)과 연결되어 제1 수용면(129a) 보다 높은 높이는 가지고, 언포밍부(125) 및 포밍부(126)와 연결되는 제2 수용면(129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용면(129b)은 제1 수용면(129a)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용면(129a)은 제2 수용면(129b) 보다 낮은 높이(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제1 수용면(129a)은 언포밍부(125) 및 포밍부(126) 보다 낮은 높이(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캐비닛 저면(120)이 플랫한 면을 형성하는 경우, 모터의 진동은 캐비닛 저면(120)을 통해 캐비닛(10) 전체로 전달되고, 캐비닛 저면(120) 자체도 진동하게 된다. 특히, 캐비닛 저면(120)이 가장 넓은 면이어서, 모터의 회전에 따라 심하게 진동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캐비닛 저면(120)의 일부 영역에 포밍부(126)를 형성하였다.
포밍부(126)는 캐비닛 저면(120)에서 언포밍부(125)와 단차를 가지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포밍부(126)는 언포밍부(125)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포밍부(126)는 언포밍부(125) 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포밍부(126)는 캐비닛 저면(120)의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포밍부(126)는 언포밍부(125)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밍부(126)의 폭 방향의 양단은 언포밍부(125)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폭 방향은 포밍부(126)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포밍부(126)와 언포밍부(125)는 포밍 연결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포밍 연결부는 캐비닛 저면(120)의 일부 영역을 정의하고, 언포밍부(125)와 포밍부(126)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언포밍부(125)와 포밍부(126)는 서로 평행한 면을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언포밍부(125)와 포밍부(126)는 서로 평행하거나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포밍부(126)는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밍부(126)는 캐비닛 저면(120)의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포밍부(126)는 모터 수용부(129)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2개의 포밍부(126) 사이들 간격은 캐비닛(10)의 중심에서 캐비닛(10)의 외측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포밍부(126)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포밍부(126)는 4개 내지 12개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인접한 포밍부(126)들 사이의 사이각(A1)은 20도 내지 90도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인접한 포밍부(126)들 사이의 사이각(A1)은 20도 내지 25도 일 수 있다. 서로 인접한 2개의 포밍부(126)들 사이에 언포밍부(125)가 위치된다.
언포밍부(125)의 면적은 포밍부(126)의 면적 보다 클 수 있다. 언포밍부(125)의 면적은 포밍부(126)의 전체 면적 보다 클 수 있다. 포밍부(126)의 면적이 언포밍부(125) 보다 크게 되면 캐비닛 저면(120)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포밍부(126)의 폭(W1)은 캐비닛(10)의 외측으로 갈수록 작아지거나 커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밍부(126)의 폭(W1)은 일정할 수 있다.
포밍부(126)의 일단은 모터 수용부(129)와 연결될 수 있다. 포밍부(126) 중 적어도 2개는 캐비닛 측면(121, 122, 123, 124)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밍부(126) 중 적어도 2개의 길이 방향의 외측단은 캐비닛 측면(121, 122, 123, 124)과 연결될 수 있다. 포밍부(126)의 길이 방향 내측단은 모터 수용부(129)와 연결될 수 있다.
포밍부(126)가 방사형을 배치되고, 포밍부(126)가 모터 수용부(129) 및 캐비닛 측면(121, 122, 123, 124)과 연결되면, 모터 수용부(129)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여 캐비닛(10) 전체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포밍부(126)들은 캐비닛 저면(120)의 중심에 배치된 모터의 진동을 균일하게 전달하며 줄이기 위해, 대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밍부(126)들은 캐비닛 저면(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포밍부(126)들은 캐비닛 저면(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또는 좌우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 저면(120)은 역포밍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포밍부(128)는 토출부의 인근에서 토출 유로의 강도를 보강하고, 캐비닛(1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역포밍부(128)는 토출부(16)와 인접한 영역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역포밍부(128)는 제1 토출부(16a)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1 역포밍부(128)와, 제2 토출부(16b)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2 역포밍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역포밍부(128)는 캐비닛 저면(120)의 좌측단에 위치되고, 제2 역포밍부(128)는 캐비닛 저면(120)의 우측단에 위치될 수 있다. 역포밍부(128)의 면적은 언포밍부(125)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역포밍부(128)는 제1 토출부(16a)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제2 역포밍부(128)는 제2 토출부(16b)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역포밍부(128)와 제2 역포밍부(128)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가진다.
역포밍부(128)는 토출부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포밍부(128)는 토출 유로 후면(161)을 구성할 수 있다.
역포밍부(128)는 언포밍부(125) 및 포밍부(126)와 단차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역포밍부(128)는 모터 수용부(129)와 단차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포밍부(128)는 포밍부(126) 및 언포밍부(125)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역포밍부(128)는 포밍부(126) 및 언포밍부(125)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포밍부(126)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일단은 역포밍부(128)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포밍부(128)의 길이방향(상하방향)의 일단은 언포밍부(125)와 연결되고, 역포밍부(128)의 폭방향(좌우방향)의 일단은 언포밍부(125) 및 포밍부(126)와 연결될 수 있다.
역포밍부(128)는 제1 역포밍면(128-1)과 제1 역포밍면(128-1)과 언포밍부(125) 및 포밍부(126)를 연결하는 제2 역포밍면(12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역포밍면(128-2)은 좌우방향에 대해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캐비닛(10)은 언포밍부(125)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서로 인접한 2개의 포밍부(126)를 연결하는 복수의 이너 리브(120a)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이너 리브(120a)는 캐비닛(10)의 강도를 보강하고, 캐비닛 저면(120)의 진동을 줄여준다.
이너 리브(120a)는 언포밍부(125)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너 리브(120a)의 하단은 포밍부(126)의 하단과 동일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리브(120a)는 포밍부(126)의 하단 보다 하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너 리브(120a)의 길이 방향 양단은 서로 인접한 2개의 포밍부(126)와 연결된다. 복수의 이너 리브(120a)들은 캐비닛 저면(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임의의 원 궤도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너 리브(120a)들은 캐비닛 저면(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임의의 2개의 원 궤도 상에 위치되어서, 2열로 배치될 수도 있다. 각 이너 리브(120a)들은 직선 또는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임의의 원궤도는 모터 수용부(129)를 감싸게 형성된다.
캐비닛(10)은 역포밍부(128)에서 돌출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우터 리브(12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리브(120b)는 역포밍부(128) 및 토출부의 강도를 보강하고, 작업자가 손을 거치하였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우터 리브(120b)는 역포밍부(128)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우터 리브(120b)의 하단은 포밍부(126)의 하단과 동일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리브(120b)는 포밍부(126)의 하단 보다 하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우터 리브(120b)는 강도를 보강하고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언포밍부(125) 또는/및 포밍부(126)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우터 리브(120b)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아우터 리브(120b-1)와, 제1 아우터 리브(120b-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아우터 리브(120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우터 리브(120b-1)의 일단은 언포밍부(125)와 연결되고, 제2 아우터 리브(120b-2)의 일단은 포밍부(126)와 연결될 수 있다.
미 설명 부호 127은 도선 수용부(127)로써 모터의 전원을 공급하는 도선이 위치되는 영역이다. 도선 수용부(127)는 언포밍부(125)와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캐비닛 12 : 베이스
13 : 오리피스 14 : 송풍기
15 : 흡입구 16 : 토출구
20 : 프론트패널 30 : 디스플레이패널
50 : 열교환기 60 : 필터
120 : 캐비닛 저면 125 : 언포밍부
126 : 포밍부 128 : 역포밍부

Claims (20)

  1.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되고, 캐비닛 측면과 상기 캐비닛 측면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캐비닛 저면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저면은,
    언포밍부와
    상기 언포밍부와 연결되고 상기 언포밍부와 단차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포밍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밍부는 상기 캐비닛 저면의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저면에는 상기 송풍기의 모터가 위치되는 모터 수용부가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밍부의 일단은 상기 모터 수용부와 연결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밍부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캐비닛 측면과 연결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밍부들은 상기 캐비닛 저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언포밍부는 서로 인접한 2개의 포밍부들 사이에 위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언포밍부의 면적은 상기 포밍부의 면적 보다 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밍부의 폭은 일정하고, 서로 인접한 2개의 포밍부 사이들 간격은 상기 캐비닛의 중심에서 상기 캐비닛의 외측으로 갈수록 커지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상기 포밍부들 사이의 사이각은 20도 내지 25도 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저면은 상기 송풍기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면을 정의하고,
    상기 캐비닛의 측면에는 토출부가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저면은,
    상기 언포밍부 및 상기 포밍부를 연결하고, 상기 언포밍부와 상기 포밍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포밍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언포밍부와 상기 포밍부는 서로 평행한 면을 정의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측면에는 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 저면은,
    상기 토출부와 인접한 영역에 위치되되, 상기 언포밍부 및 상기 포밍부와 단차를 가지는 역포밍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역포밍부는 상기 포밍부 및 상기 언포밍부 보다 높게 위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포밍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일단은 상기 역포밍부와 연결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언포밍부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서로 인접한 2개의 포밍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이너 리브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너 리브들은 상기 캐비닛 저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임의의 원 궤도 상에 위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역포밍부에서 돌출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우터 리브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8.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되고, 캐비닛 측면과 상기 캐비닛 측면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캐비닛 저면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저면은,
    언포밍부;
    상기 언포밍부와 연결되고 상기 언포밍부와 단차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포밍부; 및
    상기 토출부와 인접한 영역에 위치되되, 상기 언포밍부 및 상기 포밍부와 단차를 가지는 역포밍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역포밍부는 상기 포밍부 및 상기 언포밍부 보다 높게 위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언포밍부는 서로 인접한 2개의 포밍부들 사이에 위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220184389A 2022-12-2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40102397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2397A true KR20240102397A (ko) 2024-07-03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30131B2 (en) Ceiling-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2299190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90139054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JP3315317B2 (ja) 空気調和機
KR101611327B1 (ko)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JP510432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KR2024010239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441101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선고정구조
KR100437393B1 (ko)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KR20160086141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0432744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구조
EP4394265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5244341B (zh) 吊顶式空调室内机
JP7370477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24010240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33610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KR100757482B1 (ko) 공기조화기의 모터 장착구조
KR20110027509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792060B1 (ko) 공기조화기의 연결배관 설치구조
KR2024010240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26450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24010279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318986B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
KR20230060193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230106451A (ko) 공기조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