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8222A -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리적 이완 또는 안정 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리적 이완 또는 안정 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8222A
KR20240088222A KR1020220173739A KR20220173739A KR20240088222A KR 20240088222 A KR20240088222 A KR 20240088222A KR 1020220173739 A KR1020220173739 A KR 1020220173739A KR 20220173739 A KR20220173739 A KR 20220173739A KR 20240088222 A KR20240088222 A KR 20240088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bsolute oil
glycolytic
active ingredient
para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3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명숙
권오근
장혜숙
소은미
강윤임
정재아
서정남
서경혜
송현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20173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8222A/ko
Publication of KR20240088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822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당화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리적 이완 또는 안정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 제조방법 및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리적 이완 또는 안정 증진용 조성물은 생리적 이완 또는 안정 증진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천연 향장품 원료로 활용할 수 있고 기존 정유 생산용 장미의 방향성 원료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리적 이완 또는 안정 증진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enhancing physiological relaxation or stability containing Rosa rugosa absolute oil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리적 이완 또는 안정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심리적 긴장 상태를 불안이라고 하며, 불안이 지속되면 불면증과 같은 수면 장애, 우을증 등의 심리적 부적응을 나타내기도 하고, 신체적인 다양한 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적절한 긴장은 삶의 활력소가 되어 원기를 북돋아 주고 생산성을 높여주는 작용도 하지만 지나친 긴장은 심리 불안을 초래하여 여러 질환을 일으키고 집중력 저하, 불면증 등을 유발하여 일상생활에도 어려움을 겪게 한다.
인간의 대뇌피질을 구성하고 있는 신경세포에서는 끊임없이 미세한 전기활동이 일어나고 있는데 대뇌피질 표면을 덮고 있는 조직, 두개골, 두피 등을 매개로 하여 두피 위에 발생하는 전위변동을 측정한 것을 뇌파라 한다.
뇌파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두피 위에 전극을 부착하고, 두뇌에서 발생된 전기 신호를 뇌파계에 입력시켜 시간에 따른 전위를 기록해야 하는데 이렇게 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뇌파도 혹은 뇌전도라 한다.
상기 뇌파도 혹은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EEG)는 시시각각 변화하는 뇌 활동의 변동을 시공간적으로 기록할 수 있으며, 비침습적 또는 연속적으로 간단하게 뇌의 기능을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뇌활동 기록, 질병진단, 수면연구, 심리치료와 같은 인지과학, 의학, 약학 분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뇌파는 주파수의 범위에 따라 델타(delta)파 (0.5~3Hz), 세타(theta)파 (4~7Hz), 알파(alpha)파 (8~13Hz), 베타(beta)파 (14~30Hz), 감마(gamma)파 (30Hz 이상)로 구분되는데, 델타파는 수면시 발생하고, 세타파는 잠에 빠져들 때 통과하는 뇌파로 주로 졸거나 멍한 상태나 최면상태에서 나타나고, 알파파는 심신이 이완되어 편안함을 느낄 때 가장 많이 나오는 뇌파이며, 베타파는 일반적인 작업을 하거나 의식적인 행동을 할 때 나타나며 정보처리와 같은 정신활동이 있을 때 활성화되며, 감마파는 극도의 각성과 흥분상태에서 나온다.
근래들어 식물 정유를 흡입하였을 때 정유에 함유되어 있는 휘발성의 방향족 화합물들은 미강을 통과하여 후각상피에 도달하고 후각상피에 있는 후각신경세포가 이를 감지하여 뇌에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데, 인간의 뇌에서는 정유의 종류에 따라 독특한 뇌파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한 아로마치료법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093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이와 연관된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된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포함하는 생리적 이완 또는 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향장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출원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출원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리적 이완 또는 안정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해당화를 이용하여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생리적 안정 또는 이완 효과를 갖는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천연 소재로 이용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양태로서, (a) 해당화(Rosa rugosa) 꽃을 제1용매에 침지하는 단계; (b) 상기 침지 후 여과하여 농축하는 단계; (c) 상기 농축된 추출물에 제2용매를 첨가하여 침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침지 후 여과하여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당화(Rosa rugosa)'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관목으로, 흔히 매괴라고 부르기도 하며, 꽃이 아름답고 특유의 향기가 있어 관상식물로 좋고, 어린 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는 당뇨병, 치통, 관절염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제1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아세톤,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헥세인, 클로로포름, 벤진, 헵테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용매는 헥세인(hexane)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해당화 꽃은 해당화 생화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해당화 생화를 채취한 뒤 초저온냉동고에 보관한 후 냉동된 해당화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제2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아세톤,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헥세인,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2용매는 에탄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또는 (d) 단계의 여과는 한외여과, 정밀여과, 압력여과, 세라믹 여과, 중력여과, 원심여과, 진공여과, 필터프레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필터를 이용한 중력여과 또는 진공여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해당화(Rosa rugosa) 꽃 시료로부터 시료 무게의 4 내지 6배의 헥세인(hexane)에 1 내지 48시간 동안 침지 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 후 감압농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22 내지 26시간 동안 침지 후 여과하여 감압농축할 수 있다. 이후, 농축한 추출물에 시료 무게의 0.5 내지 1배의 에탄올을 가한 후, 0 내지 -25℃에서 8 내지 40시간 동안 침지한 후 추출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함으로써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에서 22 내지 26시간 동안 침지한 후 추출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함으로써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앱솔루트 오일(absolute oil)'은 식물에서 용매 추출로 뽑아내는 최종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포함하는 생리적 이완 또는 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해당화' 및 '앱솔루트 오일'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생리적 이완 또는 안정'은 긴장 또는 스트레스와 같이 생체에 가해지는 여러 상해 및 자극에 대해 체내에서 일어나는 비특이적인 생물학적 반응이 안정화되고 완화 또는 감소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외부 요인 등으로 인한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또한 긴장을 완화 및 이완시키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뇌파 및 심전도를 측정함으로써 분석한 후에 이들 지표를 기준으로 생리적 이완 또는 안정 증진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뇌에서의 알파파와 고베타파(Ratio of Alpha to high Beta)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뇌에서의 상대적 고베타파를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알파파'는 8 내지 12.99Hz의 주파수를 가지며, 심신이 안정을 취하고 있을 때의 안정파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베타파'는 13 내지 30Hz의 주파수를 가지며, 불안 또는 긴장 등의 활동파를 의미한다. 긴장과 불안이 계속되는 경우 20Hz 이상의 고베타파가 나타난다. 따라서, 알파파와 고베타파의 비율은 차분한 상태(calm state) 또는 안정(relaxation)에 관계된다.
본 발명의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교감신경계 활동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부교감신경계 활동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교감신경계(sympathetic nerve system)' 및 '부교감신경계(parasympathetic nerve system)'는 자율신경계를 이루는 원심성 말초신경을 의미한다. 교감신경은 부교감신경과는 길항작용의 관계에 있어 교감신경이 흥분하면 맥박 증가, 혈압 상승, 소화 억제 등 몸이 위험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긴장된 상태가 되는 반면, 부교감신경이 흥분하면 맥박 감소, 혈압 감소, 소화 촉진 등 몸이 편안한 상태가 된다. 상기 교감신경계 또는 부교감신경계 활동은 심박변이도 또는 심전도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으며, 교감신경계의 활성도를 반영하는 주파수 영역 지표인 표준 저주파 전력(normalized low frequency; nLF), 부교감신경계의 활성도를 반영하는 주파수 영역 지표인 표준 고주파 전력(normalized high frequency; nHF) 또는 nLF와 nHF의 비율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페닐에틸 알코올(phenylethyl alcohol), 유제놀(eugenol),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 및 시트로넬롤(citronell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휘발성 유기 화합물 외에, 1-메틸사이클로펜타놀(Cyclopentanol, 1-methyl-), 3-헥사놀(3-Hexanol), 2-헥사놀(2-Hexanol), 트랜스-2-메틸사이클로펜타놀(trans-2-methylcyclopentanol),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p-사이멘(p-cymene), 2-페닐에틸 클로로아세테이트(2-phenylethyl chloroacetate), 도데칸(dodecane), 시트랄(citral), 2-헵타놀(2-heptanol), 2-운데카논(2-undecanone) 등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은 생리적 안정 또는 이완 증진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그 구체적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1 중량 % 내지 99.9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가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의 향취 만족도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향가용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화장료 또는 피부외용제에 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는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및 바디 화장품 등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기초 화장품의 예로는 에센스, 로션, 크림, 젤,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등이 있고;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으로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등이 있으며; 바디 화장품으로는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썬 스크린 크림, 썬 오일 등일 수 있다. 피부외용제는,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또는 물파스 등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제형 및 목적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이 달라질 수 있다. 예로 들어,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 등과 같은 워시-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품은 비교적 높은 농도일 수 있는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동안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시-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를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양태로, 본 발명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향장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향료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향장 조성물 중의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의 배합량은 제형화한 향장 조성물의 종류 및 목적에 따라 달라지나, 일 예로 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향장 조성물은 생리적 안정 또는 이완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부교감신경계 활동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교감신경계 활동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이완 또는 안정의 지표인 뇌에서의 알파파 및 고베타파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고, 정신 부하 및 긴장의 지표인 뇌에서의 상대적 고베타파 값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양태로, 본 발명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향료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 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90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제조되는 제형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 (얼굴, 목 등)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산란제, 자외선흡수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산란제, 자외선흡수제, 발색제, 향료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 또는 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 제조방법 및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리적 이완 또는 안정 증진용 조성물은 생리적 이완 또는 안정 증진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천연 향장품 원료로 활용할 수 있고 기존 정유 생산용 장미의 방향성 원료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의 향기를 맡은 경우와 무향의 경우에 알파파와 고베타파의 비율(RAHB)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2는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의 향기와 다마스크 장미 앱솔루트 오일의 향기를 맡은 경우에 RAHB 값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3은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의 향기를 맡은 경우와 무향의 경우에 상대적 고베타파(RHB) 값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4는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의 향기와 다마스크 장미 앱솔루트 오일의 향기를 맡은 경우에 RHB 값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5는 무향,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과 다마스크 장미 앱솔루트 오일의 향기를 맡은 경우 각각의 교감신경계 활동 및 부교감신경계 활동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6은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과 다마스크 장미 앱솔루트 오일의 GC-MS 크로마토그램을 통한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마스크 장미 앱솔루트 오일: A,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 B)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 제조
해당화(Rosa rugosa) 생화를 채취한 뒤 초저온냉동고에 보관하여 추출에 이용하였다. 해당화꽃 시료는 시료 무게의 5배의 헥세인(hexane)에 24시간 침지 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 후 감압농축(heating bath, 25℃)하였다. 농축한 추출물(concrete oil)에 시료 무게의 0.5배의 에탄올을 가한 후 -20℃에서 24시간 침지한 후 추출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heating bath, 40℃ 이하)하여 앱솔루트 오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의 뇌활성도 및 심전도 분석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은 미리 상온에 꺼내 준비한 뒤 페트리디쉬에 솜을 올려 놓고 솜에 앱솔루트 오일 50ul을 덜어서 흡수시켰다. 페트리디쉬는 상자에 넣어 상자 안에 향기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한 후 상자로부터 향기를 맡을 미닫이 부분과 측정할 사람의 코 높이를 일치하도록 조정했다. 뇌파 측정 센서 및 심전도 측정 센서를 각각 머리와 손목에 붙이고 2분동안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 뒤 향기 발향 상자의 미닫이 문을 열고 향기를 코로 흡입하여 1분 10초 동안 뇌파와 심전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순서는 랜덤으로 수행하였다.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의 효과와 비교하기 위해, 무향 및 다마스크장미(Rosa damascena) 앱솔루트 오일도 함께 실험을 진행하였다. 무향의 경우 앱솔루트 시료를 발향 상자에 넣지 않고 앱솔루트 흡입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무취 공기를 흡입 후 측정하였다.
2.1.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의 뇌활성도 분석
2.1.1. 알파파와 고베타파의 비율(Ratio of Alpha to high Beta; RAHB)
안정, 이완의 지표인 RAHB(Ratio of Alpha to high Beta) 값은 해당화 앱솔루트 향기를 맡았을 때 무향보다 높게 나타나 무향보다 해당화 향에서 안정과 이완 효과가 있다고 판단되었다(도 1). 상기 결과는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또한,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마스크 장미 앱솔루트 오일 향과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 향의 비교에서,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의 향을 맡았을 때 다마스크 장미 앱솔루트 오일의 향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내, 다마스크 장미보다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이 생리적 안정과 이완 효과가 더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도 2).
2.1.2. 상대적 고베타파(Relative high Beta power spectrum)
상대적 고베타파(Relative high Beta power spectrum; RHB) 값은 해당화 앱솔루트의 향기를 맡았을 때보다 무향을 맡았을 때 높게 나타나, 해당화 향보다 무향에서 정신 부하 및 초긴장 상태가 높다고 판단되었다(도 3). 상기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또한,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마스크 장미와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의 비교에서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의 향을 맡았을 때 RHB 값이 다마스크 장미보다 낮게 나타나, 정신 부하 및 초긴장 상태가 해당화에서 더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도 4).
2.2.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의 심전도 분석
실험 결과, 무향보다 해당화 앱솔루트 향에서 교감신경계 활동은 낮게, 부교감신경계 활동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릴렉스 상태에서 활성화되는 부교감신경계 활동인 nHF(HF/LF+HF)가 무향보다 해당화향에서 활성화된 것으로, 해당화향이 무향보다 인체 생리적으로 안정, 이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해당화와 다마스크 장미 앱솔루트 오일 향기를 맡았을 때 해당화는 다마스크 장미보다 교감신경계 활동은 낮게, 부교감신경계 활동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해당화 향이 다마스크 장미보다 인체 생리적으로 안정, 이완 효과가 더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도 5). nLF 및 nHF 값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5 및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다.
실시예 3.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의 주요 향기 성분 분석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 및 장미 앱솔루트 오일의 주요 향기 성분을 비교하기 위하여 HS-SPME-GC-MS 분석을 수행하였다. 휘발성 향기 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20ml 바이알(vial)에 각각의 시료를 1μl씩 넣고 셉타(septa)를 가진 뚜껑으로 밀봉하였다. 바이알은 40℃ 350 RPM(On time: 5초, Off time: 2초)으로 교반하였으며, 인큐베이션 시간은 20분, 추출(extraction) 시간은 10분이였다. SPME 섬유(fiber)는 DVB/C-WR/PDMS(섬유 두께: 80μm, 길이: 10mm)를 이용하였다. GC-MS 분석을 위해서는 7890B GC System(Agilent Technologies, Wilmington, DE, USA)과 5977B MSD를 사용하였으며 컬럼은 HP-5MS를 이용하였다. 자세한 분석 조건은 아래 표 7에 나타내었다.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결과는 NIST 14(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Gaithersburg, MD, USA) 질량 스펙트럼 라이브러리(mass spectral library)와 Retention indices(RI) 값을 이용하여 동정되었다.
다마스크 장미 앱솔루트 오일의 주요 휘발성 성분은 페닐에틸 알코올(phenylethyl alcohol), 시트로넬롤(citronellol),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 순으로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의 주요 휘발성 성분비는 페닐에틸 알코올(phenylethyl alcohol), 유제놀(eugenol), 시스-제라니올(cis-Geraniol),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밖에 구체적인 향기 성분 분석 결과는 하기 표 8(해당화) 및 표 9(다마스크 장미)에 나타난 바와 같다(도 6).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a) 해당화(Rosa rugosa) 꽃을 제1용매에 침지하는 단계;
    (b) 상기 침지 후 여과하여 농축하는 단계;
    (c) 상기 농축된 추출물에 제2용매를 첨가하여 침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침지 후 여과하여 농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제1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아세톤,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헥산, 클로로포름, 벤진, 헵테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제2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아세톤,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헥산,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방법.
  4. 제1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리적 이완 또는 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뇌파(brain wave)에서의 알파파와 고베타파의 비율(Ratio of Alpha to high Beta)을 증가시키는 것인, 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뇌파에서의 상대적 고베타파(Relative high 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는 것인, 향료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교감신경계활동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부교감신경계활동을 증가시키는 것인, 향료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유기 화합물은 페닐에틸 알코올(phenylethyl alcohol), 유제놀(eugenol),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 및 시트로넬롤(citronell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향료 조성물.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향장 조성물.
  11.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173739A 2022-12-13 2022-12-13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리적 이완 또는 안정 증진용 조성물 KR202400882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3739A KR20240088222A (ko) 2022-12-13 2022-12-13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리적 이완 또는 안정 증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3739A KR20240088222A (ko) 2022-12-13 2022-12-13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리적 이완 또는 안정 증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8222A true KR20240088222A (ko) 2024-06-20

Family

ID=91670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3739A KR20240088222A (ko) 2022-12-13 2022-12-13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리적 이완 또는 안정 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8822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0936A (ko) 2012-02-07 2013-08-16 한국인스팜(주)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 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0936A (ko) 2012-02-07 2013-08-16 한국인스팜(주)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 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018B1 (ko)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WO2012165831A2 (ko)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2414303A (zh) 具有良好诱导睡眠作用的香料组合物
CN108888536A (zh) 一种具有祛斑美白、补水、抗皱以及紧致肌肤作用的香薰精油及其制备方法
AU2019235325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Vetiver root extract
KR102055499B1 (ko) 감국꽃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파에서 상대적 세타파는 감소시키고 상대적 알파파는 증가시키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40088222A (ko) 해당화 앱솔루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리적 이완 또는 안정 증진용 조성물
WO2020004182A1 (ja) 睡眠改善剤
KR100748019B1 (ko) 스트레스 완화효과를 갖는 향료조성물
KR101810230B1 (ko) 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55783B1 (ko) 우수한 숙면 효과를 갖는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WO2005049773A1 (ja) 香りの多次元的機能評価方法および神経活動促進香料
KR101981058B1 (ko) 숙면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1810228B1 (ko) 천연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82498A (ko) 셀레늄과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24984B1 (ko) 피부 혈류 개선 효과를 위한 피부 도포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2193824A (ja) グレープフルーツオイルを含有することを特徴とする交感神経系活性化香料組成物並びに抗肥満香料組成物
JP2014005403A (ja) 香料組成物および化粧料
KR20140030992A (ko) 치자꽃생체추출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348202B1 (ko) 뇌파에서 상대적 베타파는 감소시키고 상대적 세타파는 증가시키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313255B1 (ko) 어수리의 잎으로부터 추출된 어수리 천연정유를 포함하는 향장 조성물
KR101971575B1 (ko) 옥수수오일, 귀리, 보리 또는 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11343497A (ja) 化粧料
JPS63199293A (ja) 香料組成物及び該香料組成物を含む香粧品
JP7108012B2 (ja) マッサージ用化粧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