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3637A - 차량용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3637A
KR20240083637A KR1020220167966A KR20220167966A KR20240083637A KR 20240083637 A KR20240083637 A KR 20240083637A KR 1020220167966 A KR1020220167966 A KR 1020220167966A KR 20220167966 A KR20220167966 A KR 20220167966A KR 20240083637 A KR20240083637 A KR 20240083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olant
heat exchanger
auxiliary hea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7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83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3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60K11/085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with adjustable shutters or bli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5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91Radiators
    • F28D2021/0092Radiators with particular location on vehicle, e.g. under floor or on roof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장치는, 차량의 그릴 뒤에 배치되고, 열원과 유체적으로 연결된 메인 열교환기; 상기 메인 열교환기의 입구에 연결된 제1보조 열교환기; 및 상기 메인 열교환기의 출구에 연결된 제2보조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 열교환기는 상기 메인 열교환기의 입구로 유입되기 전의 냉각수 및 상기 그릴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보조 열교환기는 상기 메인 열교환기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냉각수 및 상기 그릴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냉각장치{COOL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열원을 순환하는 냉각수가 메인 열교환기 이외에 보조 열교환기에 의해 추가적으로 냉각됨으로써 그릴이 폐쇄된 상태에서 냉각성능이 개선될 수 있는 차량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공력특성(automotive aerodynamics)은 드래그(drag), 윈드노이즈(wind noise)를 감소하고 소음배출(noise emission)을 최소화하며, 의도하지 않은 양력(lift force) 및 고속에서의 공력 불안전성의 기타 원인 등을 방지하는 데 그 주된 연구목적을 가진다. 차량의 공력특성은 차량 성능, 편안함, 안전, 안정성, 냉각, 및 시계 등을 영향을 미치므로 자동차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차량은 프론트엔드(front end)와, 프론트엔드(front end)의 후방에 위치한 프론트 컴파트먼트(front compartment)를 포함한다. 프론트 컴파트먼트는 대쉬패널에 의해 승객실(passenger compartment)과 구획된다. 프론트 컴파트먼트는 파워트레인, 메인 열교환기를 수용한다. 메인 열교환기는 열원의 냉각수통로를 순환하는 냉각수를 외기와 열교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열원은 외기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가 열원을 적절히 냉각할 수 있다. 열원은 내연기관(내연기관 차량), 모터(전기자동차), 배터리(전기자동차) 등일 수 있다.
또한, 차량은 그 프론트엔드에 장착된 그릴(grill)을 포함하고, 그릴은 외기(ambient air)가 프론트 컴파트먼트 측으로 흐름을 허용하는 복수의 통공을 가진다. 그릴은 프론트 컴파트먼트의 파워트레인, 메인 열교환기 등을 보호한다. 메인 열교환기가 그릴의 후방에 위치하고, 공기가 그릴을 통해 열교환기들과 접촉함으로써 메인 열교환기들에 대한 냉각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액티브 에어플랩시스템은 차량의 속도, 외기 온도 등에 따라 그릴을 개폐하거나 그릴에 대한 개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액티브 에어플랩시스템이 그릴을 개방할 경우, 프론트 컴파트먼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함으로써 메인 열교환기에 대한 냉각성능이 개선되지만 공력성능(항력)이 저하될 수 있다.
액티브 에어플랩시스템이 그릴을 폐쇄할 경우, 프론트 컴파트먼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됨으로써 공력성능(항력)이 개선될 수 있지만 냉각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특히 차량의 전방의 측면을 따른 공기의 유동이 증가하고, 이에 차량의 측면을 따라 공기의 유동이 점차 확산되므로 유동박리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량의 항력이 악화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열원을 순환하는 냉각수가 메인 열교환기 이외에 보조 열교환기에 의해 추가적으로 냉각됨으로써 그릴이 폐쇄된 상태에서 냉각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장치는, 차량의 그릴 뒤에 배치되고, 열원과 유체적으로 연결된 메인 열교환기; 상기 메인 열교환기의 입구에 연결된 제1보조 열교환기; 및 상기 메인 열교환기의 출구에 연결된 제2보조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 열교환기는 상기 메인 열교환기의 입구로 유입되기 전의 냉각수 및 상기 그릴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보조 열교환기는 상기 메인 열교환기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냉각수 및 상기 그릴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은 액티브 에어플랩시스템에 의해 개폐되는 한 쌍의 메인그릴부와, 상기 한 쌍의 메인그릴부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그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그릴부는 항상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장치는, 차량의 전방구조의 양측 사이드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에어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장치는, 상기 열원으로부터 상기 제1보조 열교환기로 연장된 제1냉각수 공급도관; 상기 제1보조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메인 열교환기의 입구까지 연장된 제1냉각수 배출도관; 상기 제1보조 열교환기와 인접한 사이드그릴부로부터 상기 제1보조 열교환기로 연장된 제1공기 공급도관; 및 상기 제1보조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제1보조 열교환기와 인접한 사이드 에어덕트로 연장된 제1공기 배출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장치는, 상기 제1공기 공급도관의 입구에 제공된 제1공기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입구는 상기 제1보조 열교환기와 인접한 사이드그릴부와 마주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 배출도관의 출구는 상기 제1보조 열교환기와 인접한 사이드 에어덕트의 출구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장치는, 상기 메인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제2보조 열교환기로 연장된 제2냉각수 공급도관; 상기 제2보조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열원까지 연장된 제2냉각수 배출도관; 상기 제2보조 열교환기와 인접한 사이드그릴부로부터 상기 제2보조 열교환기로 연장된 제2공기 공급도관; 및 상기 제2보조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제2보조 열교환기와 인접한 사이드 에어덕트로 연장된 제2공기 배출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장치는, 상기 제2공기 공급도관의 입구에 제공된 제2공기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기유입구는 상기 제2보조 열교환기와 인접한 사이드그릴부와 마주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 배출도관의 출구는 상기 제2보조 열교환기와 인접한 사이드 에어덕트의 출구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 열교환기는 복수의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와, 복수의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의 일면에 개별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냉각수통로와, 복수의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들 사이에 개재된 복수의 제1공기측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제1공기측 플레이트의 일면에 개별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공기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냉각수통로 및 상기 복수의 제1공기통로는 상기 복수의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제1공기측 플레이트에 의해 서로 간에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 열교환기는 상기 복수의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에 개별적으로 부착된 복수의 제1냉각수측 가스켓과, 상기 복수의 제1공기측 플레이트에 개별적으로 부착된 복수의 제1공기측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냉각수통로는 각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의 일면, 그에 상응한 제1냉각수측 가스켓, 및 그에 인접한 제1공기측 플레이트의 타면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제1공기통로는 각 제1공기측 플레이트의 일면, 그에 상응한 제1공기측 가스켓, 및 그에 인접한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의 타면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보조 열교환기는 복수의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와, 복수의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의 일면에 개별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냉각수통로와, 복수의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들 사이에 개재된 복수의 제2공기측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제2공기측 플레이트의 일면에 개별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공기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냉각수통로 및 상기 복수의 제2공기통로는 상기 복수의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제2공기측 플레이트에 의해 서로 간에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2보조 열교환기는 상기 복수의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에 개별적으로 부착된 복수의 제2냉각수측 가스켓과, 상기 복수의 제2공기측 플레이트에 개별적으로 부착된 복수의 제2공기측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냉각수통로는 각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의 일면, 그에 상응한 제2냉각수측 가스켓, 및 그에 인접한 제2공기측 플레이트의 타면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제2공기통로는 각 제2공기측 플레이트의 일면, 그에 상응한 제2공기측 가스켓, 및 그에 인접한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의 타면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원을 순환하는 냉각수가 메인 열교환기 이외에 보조 열교환기에 의해 추가적으로 냉각됨으로써 냉각수의 냉각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특히, 액티브 에어플랩시스템이 그릴의 메인그릴부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공기가 그릴의 사이드그릴부를 통해 보조 열교환기를 향해 흘러감으로써 냉각수의 냉각성능을 개선함과 더불어 차량의 공력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가 그릴의 사이드그릴부로부터 사이드 에어덕트로 흘러감으로써 보조 열교환기에 의한 냉각성능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프론트휠에 대한 에어커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장치가 차량의 프론트 컴파트먼트에 배치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차량의 앞쪽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장치의 제1보조 열교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장치의 제1보조 열교환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장치의 제1보조 열교환기의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장치의 제1보조 열교환기의 제1공기측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장치의 제2보조 열교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장치의 제2보조 열교환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D-D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의 E-E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장치의 제2보조 열교환기의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장치의 제2보조 열교환기의 제2공기측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장치(10)는 차량의 전방구조(1) 내에 한정된 프론트 컴파트먼트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릴(2)이 차량의 전방구조(1)의 전방단에 배치될 수 있고, 그릴(2)은 한 쌍의 메인그릴부(2a)와, 한 쌍의 메인그릴부(2a)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그릴부(2b)와, 한 쌍의 메인그릴부(2a) 사이에 배치된 센터폐쇄부(2c)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메인그릴부(2a)는 차량의 전방구조(1)에서 좌우 양측에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메인그릴부(2a)는 한 쌍의 액티브 에어플랩시스템(3)에 의해 개별적으로 개폐되거나 그 개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각 메인그릴부(2a)는 그에 상응한 액티브 에어플랩시스템(3)에 의해 개폐되거나 그 개도가 조절될 수 있다.
각 사이드그릴부(2b)는 그에 상응한 메인그릴부(2a)에 연결될 수 있고, 이에 한 쌍의 사이드그릴부(2b)는 그릴(2)의 양측 사이드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그릴부(2b)는 액티브 에어플랩시스템(3)에 의해 개폐되지 않고 항상 개방되어 있다. 이에, 공기는 한 쌍의 사이드그릴부(2b)를 통해 프론트 컴파트먼트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센터폐쇄부(2c)는 차량의 중심종축선(central longitudinal axis)에 정렬될 수 있고, 센터폐쇄부(2c)는 항상 폐쇄되어 있다.
한 쌍의 사이드 에어덕트(4)가 차량의 전방구조(1)의 양측 사이드에 배치될 수 있고, 각 사이드 에어덕트(4)는 공기를 그에 상응한 프론트휠(6)을 향해 가이드(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사이드 에어덕트(4)는 그 내부에 한정된 통로(4a)를 가지고, 각 사이드 에어덕트(4)의 입구는 차량의 앞쪽과 직접적으로 소통하고, 각 사이드 에어덕트(4)의 출구는 프론트휠(6)을 둘러싸는 프론트휠하우스의 내부공간과 직접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공기가 각 사이드 에어덕트(4)를 통해 프론트휠(6)을 향해 흘러감으로써 프론트휠(6)에 대한 에어커튼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각장치(10)는 그릴(2)의 뒤쪽에 배치된 메인 열교환기(11)와, 메인 열교환기(11)의 입구에 연결된 제1보조 열교환기(12)와, 메인 열교환기(11)의 출구에 연결된 제2보조 열교환기(1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열교환기(11)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입구 및 냉각수가 배출되는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열교환기(11)는 복수의 냉각수도관(21, 22, 23, 24)을 통해 열원(5)의 냉각수통로와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열원(5)은 내연기관, 전기모터, 배터리 등과 같이 열이 발생되는 다양한 열발생부품일 수 있고, 열원(5)은 그 내부 또는 외부에 냉각수통로가 제공되며, 냉각수가 열원(5)의 냉각수통로를 순환함에 따라 열원(5)은 냉각수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메인 열교환기(11)는 그릴(2)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냉각수를 열교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티브 에어플랩시스템(3)들에 의해 그릴(2)의 메인그릴부(2a)들이 개방될 경우 메인그릴부(2a)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메인 열교환기(11)를 통과함으로써 메인 열교환기(11)를 통과하는 냉각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액티브 에어플랩시스템(3)들에 의해 그릴(2)의 메인그릴부(2a)들이 폐쇄될 경우 공기가 메인그릴부(2a)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메인 열교환기(11)를 통과하는 냉각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지 않는다.
제1보조 열교환기(12)는 메인 열교환기(11)의 입구로 유입되기 전의 냉각수와 그릴(2)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메인 열교환기(11)의 입구로 유입되기 전의 냉각수는 제1보조 열교환기(12)에 의해 사전에 냉각될 수 있다.
제1냉각수 공급도관(21)이 열원(5)으로부터 제1보조 열교환기(12)로 연장될 수 있고, 제1냉각수 배출도관(22)이 제1보조 열교환기(12)로부터 메인 열교환기(11)의 입구로 연장될 수 있다.
제1공기 공급도관(25)이 제1보조 열교환기(12)와 인접한 일측 사이드그릴부(2b)로부터 제1보조 열교환기(12)로 연장될 수 있고, 제1공기 배출도관(26)이 제1보조 열교환기(12)로부터 제1보조 열교환기(12)와 인접한 일측 사이드 에어덕트(4)로 연장될 수 있다. 제1공기유입구(14)가 제1공기 공급도관(25)의 입구에 제공될 수 있고, 제1공기유입구(14)는 그릴(2)의 일측 사이드그릴부(2b)를 향해 개방된 개구(14a, 도 3 참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1공기유입구(14)는 상대적으로 고압영역과 소통할 수 있다. 제1공기 배출도관(26)의 출구는 일측 사이드 에어덕트(4)의 출구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제1공기 배출도관(26)의 출구는 상대적으로 저압영역과 소통할 수 있다.
냉각수가 열원(5)의 냉각수통로부터 제1냉각수 공급도관(21)을 통해 제1보조 열교환기(12)로 유입될 수 있고, 공기가 그릴(2)의 일측 사이드그릴부(2b, 도 1에서 우측의 사이드그릴부에 해당함)로부터 제1공기 공급도관(25)을 통해 제1보조 열교환기(12)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보조 열교환기(12)는 냉각수 및 공기를 열교환함으로써 1차적으로 냉각된 냉각수는 제1냉각수 배출도관(22)을 통해 메인 열교환기(11)의 입구로 배출될 수 있고, 냉각수에 의해 승온된 공기는 제1공기 배출도관(26)을 통해 일측의 사이드 에어덕트(4, 도 1에서 우측의 사이드 에어덕트에 해당함)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원(5)으로부터 배출된 상대적으로 고온인 냉각수는 제1보조 열교환기(12)에 의해 사전에 냉각된 이후에 메인 열교환기(11)로 유입될 수 있고, 일측 사이드그릴부(2b)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제1보조 열교환기(12)를 통과한 후에 일측 사이드 에어덕트(4)로 흘러감으로써 프론트휠(6)에 대한 에어커튼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냉각수가 제1냉각수 배출도관(22)을 통해 메인 열교환기(11)의 입구로 유입된 이후에, 메인 열교환기(11)를 통과하는 냉각수는 액티브 에어플랩시스템(3)의 개폐작동에 의해 냉각되거나 냉각되지 않을 수 있다.
제2보조 열교환기(13)는 메인 열교환기(11)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냉각수와 그릴(2)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메인 열교환기(11)의 출구로 배출된 냉각수는 제2보조 열교환기(13)에 의해 추가적으로 냉각된 이후에 열원(5)의 냉각수통로로 유입될 수 있다.
제2냉각수 공급도관(23)이 메인 열교환기(11)의 출구로부터 제2보조 열교환기(13)로 연장될 수 있고, 제2냉각수 배출도관(24)이 제2보조 열교환기(13)로부터 열원(5)의 냉각수통로로 연장될 수 있다.
제2공기 공급도관(27)이 제2보조 열교환기(13)와 인접한 타측 사이드그릴부(2b)로부터 제2보조 열교환기(13)로 연장될 수 있고, 제2공기 배출도관(28)이 제2보조 열교환기(13)로부터 제2보조 열교환기(13)와 인접한 타측의 사이드 에어덕트(4)로 연장될 수 있다. 제2공기유입구(15)가 제1공기 공급도관(27)의 입구에 제공될 수 있고, 제2공기유입구(15)는 그릴(2)의 타측 사이드그릴부(2b)를 향해 개방된 개구(15a, 도 3 참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2공기유입구(15)는 상대적으로 고압영역과 소통할 수 있다. 제2공기 배출도관(28)의 출구는 타측 사이드 에어덕트(4)의 출구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제2공기 배출도관(28)의 출구는 상대적으로 저압영역과 소통할 수 있다.
냉각수가 메인 열교환기(11)의 출구로부터 제2냉각수 공급도관(23)을 통해 제2보조 열교환기(13)로 유입될 수 있고, 공기가 그릴(2)의 타측 사이드그릴부(2b, 도 1에서 좌측의 사이드그릴부에 해당함)로부터 제2공기 공급도관(27)을 통해 제2보조 열교환기(13)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보조 열교환기(13)는 냉각수 및 공기를 열교환할 수 있으며, 제2보조 열교환기(13)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는 제2냉각수 배출도관(24)을 통해 열원(5)의 냉각수통로로 배출될 수 있고, 냉각수에 의해 승온된 공기는 제2공기 배출도관(28)을 통해 타측의 사이드 에어덕트(4, 도 1에서 좌측의 사이드 에어덕트에 해당함)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열교환기(11)로부터 배출된 냉각수는 제2보조 열교환기(13)에 의해 추가적으로 냉각된 이후에 열원(5)으로 유입될 수 있고, 타측 사이드그릴부(2b)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제2보조 열교환기(13)를 통과한 후에 타측 사이드 에어덕트(4)로 흘러감으로써 프론트휠(6)에 대한 에어커튼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제1공기유입구(14) 및 제2공기유입구(15) 각각은 그에 인접한 사이드그릴부(2b)와 직접적으로 마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좌우 양측의 사이드그릴부(2b)는 항상 개방되어 있으므로 공기가 제1공기유입구(14)의 개구(14a) 및 제2공기유입구(15)의 개구(15a)로 유입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의 좌측에 위치한 제2공기유입구(15)는 차량의 좌측에 위치한 사이드그릴부(2b)와 직접적으로 마주할 수 있고, 이에 공기는 좌측 사이드그릴부(2b)를 통해 제2공기유입구(15)의 개구(15a)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차량의 우측에 위치한 제1공기유입구(14)는 차량의 우측에 위치한 사이드그릴부(2b)와 직접적으로 마주할 수 있고, 이에 공기는 우측 사이드그릴부(2b)를 통해 제1공기유입구(14)의 개구(14a)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
도 3은 차량의 앞쪽(도 2의 화살표 A방향에 해당함)에서 바라본 차량용 냉각장치(10)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냉각장치(10)의 제1보조 열교환기(12) 및 제2보조 열교환기(13)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냉각장치(10)의 제1보조 열교환기(12) 및 제2보조 열교환기(13)와 반대로 보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보조 열교환기(12)는 제1냉각수 공급도관(21)과 소통하는 제1냉각수 입구채널(33)과, 제1냉각수 배출도관(22)과 소통하는 제1냉각수 출구채널(34)과, 제1공기 공급도관(25)과 소통하는 복수의 제1공기 입구(37)와, 제1공기 배출도관(26)과 소통하는 복수의 제1공기 출구(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보조 열교환기(12)에서 냉각수는 제1냉각수 입구채널(33)로부터 제1냉각수 출구채널(34)을 향해 "U"자형 흐름방향(CF선 참조)을 따라 흘러갈 수 있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공기는 제1공기 입구(37)로부터 제1공기 출구(38)로 "U"자형 흐름방향(AF선 참조)을 따라 흘러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냉각수의 "U"자형 흐름방향(CF)과 공기의 "U"자형 흐름방향(AF)은 서로 간에 반대방향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보조 열교환기(12)는 복수의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31)와, 복수의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31)에 개별적으로 부착된 복수의 제1냉각수측 가스켓(31a)과, 복수의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31)들 사이에 개재된 복수의 제1공기측 플레이트(32)와, 복수의 제1공기측 플레이트(32)에 개별적으로 부착된 복수의 제1공기측 가스켓(32a)을 포함한 판형 열교환기일 수 있다. 복수의 제1냉각수통로(31c)가 복수의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31)의 일면에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제1공기통로(32c)가 복수의 제1공기측 플레이트(32)의 일면에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복수의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31) 및 복수의 제1공기측 플레이트(32)는 서로 간에 교대로 적층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복수의 제1냉각수통로(31c) 및 복수의 제1공기통로(32c)는 복수의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31) 및 복수의 제1공기측 플레이트(32)에 의해 서로 간에 교대로 배열될 수 있고, 이에 냉각수 및 공기가 서로 간에 열교환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냉각수측 가스켓(31a)이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31)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고, 제1냉각수측 가스켓(31a)은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31) 상에서 제1냉각수통로(31c)를 한정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31)는 그 일면에 형성된 난류패턴(31f)을 가질 수 있고, 난류패턴(31f)은 난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냉각수통로(31c)는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31)의 일면, 그에 부착된 제1냉각수측 가스켓(31a), 및 그에 인접한 제1공기측 플레이트(32)의 타면 사이에서 밀봉적으로 한정될 수 있다. 복수의 제1냉각수통로(31c)가 복수의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31)의 일면에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냉각수가 각 제1냉각수통로(31c) 내에서 "U"자형 흐름방향(CF선 참조)을 따라 이동할 때 난류패턴(31f)이 난류를 형성함에 따라 냉각수의 열교환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31)는 제1입구측 개구(33a) 및 제1출구측 개구(34a)를 가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공기측 가스켓(32a)이 제1공기측 플레이트(32)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고, 제1공기측 가스켓(32a)은 제1공기측 플레이트(32) 상에서 제1공기통로(32c)를 한정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제1공기측 플레이트(32)는 그 일면에 형성된 난류패턴(32f)을 가질 수 있고, 난류패턴(32f)은 난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공기통로(32c)는 제1공기측 플레이트(32)의 일면, 그에 부착된 제1공기측 가스켓(32a), 및 그에 인접한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31)의 타면 사이에서 밀봉적으로 한정될 수 있고, 복수의 제1공기통로(32c)가 복수의 제1공기측 플레이트(32)의 일면에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공기가 각 제1공기통로(32c) 내에서 "U"자형 흐름방향(AF선 참조)을 따라 이동할 때 난류패턴(32f)이 난류를 형성함에 따라 공기의 열교환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공기 입구(37) 및 제1공기 출구(38)는 제1공기측 가스켓(32a)에 의해 제1공기측 플레이트(32)의 일면에서 한정될 수 있고, 제1공기 입구(37)는 제1입구측 차단배플(32b)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공기 출구(38)는 제1출구측 차단배플(32d)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제1공기 입구(37) 및 복수의 제1공기 출구(38)는 복수의 제1공기측 플레이트(32)의 일면에 개별적으로 제공되므로, 도 7과 같이, 복수의 제1공기 입구(37) 및 복수의 제1공기 출구(38)는 복수의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31)에 대해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1공기 입구(37)는 제1공기 공급도관(25)과 소통할 수 있고, 제1공기 공급도관(25)을 통해 공급된 공기는 복수의 제1공기 입구(37)를 통해 분배되어 복수의 제1공기통로(32c)로 유입될 수 있다. 복수의 제1공기 출구(38)는 제1공기 배출도관(26)과 소통할 수 있고, 복수의 제1공기통로(32c)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복수의 제1공기 출구(38)로 분배되어 제1공기 배출도관(26)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입구측 차단배플(32b) 및 제1출구측 차단배플(32d)이 제1공기측 플레이트(32)에 부착될 수 있고, 제1입구측 차단배플(32b) 및 제1출구측 차단배플(32d)은 제1공기측 가스켓(32a)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입구측 차단배플(32b)은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31)의 제1입구측 개구(33a)에 정렬되는 개구(33b)를 가질 수 있고, 제1출구측 차단배플(32d)은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31)의 제1출구측 개구(34a)에 정렬되는 개구(34b)를 가질 수 있다. 제1공기측 플레이트(32)는 제1입구측 차단배플(32b)의 개구(33b)에 정렬되는 제1입구측 개구(33c)와, 제1출구측 차단배플(32d)의 개구(34b)에 정렬되는 제1출구측 개구(34c)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31)의 제1입구측 개구(33a), 제1입구측 차단배플(32b)의 개구(33b), 제1공기측 플레이트(32)의 제1입구측 개구(33c)는 서로 간에 정렬 및 소통함으로써 제1냉각수 입구채널(33)을 형성할 수 있다. 제1냉각수 공급도관(21)으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는 제1냉각수측 입구채널(33)을 통해 복수의 제1냉각수통로(31c)로 분배될 수 있다.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31)의 제1출구측 개구(34a), 제1출구측 차단배플(32d)의 개구(34b), 제1공기측 플레이트(32)의 제1출구측 개구(34c)는 서로 간에 정렬 및 소통함으로써 제1냉각수측 출구채널(34)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1냉각수통로(31c)로부터 배출된 냉각수는 제1냉각수측 출구채널(34)에 합류되어 제1냉각수 배출도관(2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보조 열교환기(13)는 제2냉각수 공급도관(23)과 소통하는 제2냉각수 입구채널(43)과, 제2냉각수 배출도관(24)과 소통하는 제2냉각수 출구채널(44)과, 제2공기 공급도관(27)과 소통하는 복수의 제2공기 입구(47)와, 제2공기 배출도관(28)과 소통하는 복수의 제2공기 출구(4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2보조 열교환기(13)에서 냉각수는 제2냉각수 입구채널(43)로부터 제2냉각수 출구채널(44)을 향해 "U"자형 흐름방향(CF선 참조)을 따라 흘러갈 수 있다. 도 10 및 도 15를 참조하면, 공기는 제2공기 입구(47)로부터 제2공기 출구(48)로 "U"자형 흐름방향(AF선 참조)을 따라 흘러갈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냉각수의 "U"자형 흐름방향(CF)과 공기의 "U"자형 흐름방향(AF)은 서로 간에 반대방향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보조 열교환기(13)는 복수의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41)와, 복수의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41)의 일면에 개별적으로 부착된 복수의 제2냉각수측 가스켓(41a)과, 복수의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41)들 사이에 개재된 복수의 제2공기측 플레이트(42)와, 복수의 제2공기측 플레이트(42)의 일면에 개별적으로 부착된 복수의 제2공기측 가스켓(42a)을 포함한 판형 열교환기일 수 있다. 복수의 제2냉각수통로(41c)가 복수의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41)의 일면에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제2공기통로(42c)가 복수의 제2공기측 플레이트(42)의 일면에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과 같이, 복수의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41) 및 복수의 제2공기측 플레이트(42)는 서로 간에 교대로 적층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복수의 제2냉각수통로(41c) 및 복수의 제2공기통로(42c)는 복수의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41) 및 복수의 제2공기측 플레이트(42)에 의해 서로 간에 교대로 배열될 수 있고, 이에 냉각수 및 공기가 서로 간에 열교환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냉각수측 가스켓(41a)이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41)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고, 제2냉각수측 가스켓(41a)은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41) 상에서 제2냉각수통로(41c)를 한정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41)는 그 일면에 형성된 난류패턴(41f)을 가질 수 있고, 난류패턴(41f)은 난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냉각수통로(41c)는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41)의 일면, 그에 부착된 제2냉각수측 가스켓(41a), 및 그에 인접한 제2공기측 플레이트(42)의 타면 사이에서 밀봉적으로 한정될 수 있고, 복수의 제2냉각수통로(41c)가 복수의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41)의 일면에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냉각수가 각 제2냉각수통로(41c) 내에서 "U"자형 흐름방향(CF선 참조)을 따라 이동할 때 난류패턴(41f)이 난류를 형성함에 따라 냉각수의 열교환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41)는 제2입구측 개구(43a) 및 제2출구측 개구(44a)를 가질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공기측 가스켓(42a)이 제2공기측 플레이트(42)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고, 제2공기측 가스켓(42a)은 제2공기측 플레이트(42) 상에서 제2공기통로(42c)를 한정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제2공기측 플레이트(42)는 그 일면에 형성된 난류패턴(42f)을 가질 수 있고, 난류패턴(42f)은 난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공기통로(42c)는 제2공기측 플레이트(42)의 일면, 그에 부착된 제2공기측 가스켓(42a), 및 그에 인접한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41)의 타면 사이에서 밀봉적으로 한정될 수 있고, 복수의 제2공기통로(42c)가 복수의 제2공기측 플레이트(42)의 일면에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공기가 각 제2공기통로(42c) 내에서 "U"자형 흐름방향(AF선 참조)을 따라 이동할 때 난류패턴(42f)이 난류를 형성함에 따라 공기의 열교환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공기 입구(47) 및 제2공기 출구(48)는 제2공기측 가스켓(42a)에 의해 제2공기측 플레이트(42)의 일면에서 한정될 수 있고, 제2공기 입구(47)는 제2입구측 차단배플(42b)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공기 출구(48)는 제2출구측 차단배플(42d)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2공기 입구(47) 및 복수의 제2공기 출구(48)는 복수의 제2공기측 플레이트(42)의 일면에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2공기 입구(47) 및 복수의 제2공기 출구(48)는 복수의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41)에 대해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2공기 입구(47)는 제2공기 공급도관(27)과 소통할 수 있고, 제2공기 공급도관(27)을 통해 공급된 공기는 복수의 제2공기 입구(47)를 통해 분배되어 복수의 제2공기통로(42c)로 유입될 수 있다. 복수의 제2공기 출구(48)는 제2공기 배출도관(28)과 소통할 수 있고, 복수의 제2공기통로(42c)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복수의 제2공기 출구(48)로 분배되어 제2공기 배출도관(28)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입구측 차단배플(42b) 및 제2출구측 차단배플(42d)이 제2공기측 플레이트(42)에 부착될 수 있고, 제2입구측 차단배플(42b) 및 제2출구측 차단배플(42d)은 제2공기측 가스켓(42a)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입구측 차단배플(42b)은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41)의 제2입구측 개구(43a)에 정렬되는 개구(43b)를 가질 수 있고, 제2출구측 차단배플(42d)은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41)의 제2출구측 개구(44a)에 정렬되는 개구(44b)를 가질 수 있다. 제2공기측 플레이트(42)는 제2입구측 차단배플(42b)의 개구(43b)에 정렬되는 제2입구측 개구(43c)와, 제2출구측 차단배플(42d)의 개구(44b)에 정렬되는 제2출구측 개구(44c)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41)의 제2입구측 개구(43a), 제2입구측 차단배플(42b)의 개구(43b), 제2공기측 플레이트(42)의 제2입구측 개구(43c)는 서로 간에 정렬됨으로써 제2냉각수 입구채널(43)을 형성할 수 있다. 제2냉각수 공급도관(23)으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는 제2냉각수 입구채널(43)을 통해 복수의 제2냉각수통로(41c)로 분배될 수 있다.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41)의 제2출구측 개구(44a), 제2출구측 차단배플(42d)의 개구(44b), 제2공기측 플레이트(42)의 제1출구측 개구(34c)는 서로 간에 정렬됨으로써 제2냉각수 출구채널(44)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2냉각수통로(41c)로부터 배출된 냉각수는 제1냉각수 출구채널(44)에 합류되어 제2냉각수 배출도관(24)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전방구조 2: 그릴
2a: 메인그릴부 2b: 사이드그릴부
2c: 센터폐쇄부 3: 액티브 에어플랩시스템
4: 사이드 에어덕트 5: 열원
6: 프론트휠 10: 차량용 냉각장치
11: 메인 열교환기 12: 제1보조 열교환기
13: 제2보조 열교환기 14: 제1공기유입구
15: 제2공기유입구 21: 제1냉각수 공급도관
22: 제1냉각수 배출도관 23: 제2냉각수 공급도관
24: 제2냉각수 배출도관 25: 제1공기 공급도관
26: 제1공기 배출도관 27: 제2공기 공급도관
28: 제2공기 배출도관 31: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
31a: 제1냉각수측 가스켓 31c: 제1냉각수통로
31f:난류패턴 32: 제1공기측 플레이트
32a: 제1공기측 가스켓 32b: 제1입구측 차단배플
32c: 제1공기통로 32d: 제1출구측 차단배플
33: 제1냉각수 입구채널 33a: 제1입구측 개구
33b: 개구 33c: 제1입구측 개구
34: 제1냉각수 출구패널 34a: 제1출구측 개구
34b: 개구 34c: 제1출구측 개구
37: 제1공기 입구 38: 제1공기 출구
41: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 41a: 제2냉각수측 가스켓
41c: 제2냉각수통로 41f:난류패턴
42: 제2공기측 플레이트 42a: 제2공기측 가스켓
42b: 제2입구측 차단배플 42c: 제2공기통로
42d: 제2출구측 차단배플 43: 제2냉각수 입구채널
43a: 제2입구측 개구 43b: 개구
43c: 제2입구측 개구 44: 제2냉각수 출구패널
44a: 제2출구측 개구 44b: 개구
44c: 제2출구측 개구 47: 제2공기 입구
48: 제2공기 출구

Claims (13)

  1. 차량의 그릴 뒤에 배치되고, 열원과 유체적으로 연결된 메인 열교환기;
    상기 메인 열교환기의 입구에 연결된 제1보조 열교환기; 및
    상기 메인 열교환기의 출구에 연결된 제2보조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보조 열교환기는 상기 메인 열교환기의 입구로 유입되기 전의 냉각수 및 상기 그릴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보조 열교환기는 상기 메인 열교환기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냉각수 및 상기 그릴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도록 구성된 차량용 냉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릴은 액티브 에어플랩시스템에 의해 개폐되는 한 쌍의 메인그릴부와, 상기 한 쌍의 메인그릴부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그릴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사이드그릴부는 항상 개방되도록 구성된 차량용 냉각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차량의 전방구조의 양측 사이드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에어덕트;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냉각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열원으로부터 상기 제1보조 열교환기로 연장된 제1냉각수 공급도관;
    상기 제1보조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메인 열교환기의 입구까지 연장된 제1냉각수 배출도관;
    상기 제1보조 열교환기와 인접한 사이드그릴부로부터 상기 제1보조 열교환기로 연장된 제1공기 공급도관; 및
    상기 제1보조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제1보조 열교환기와 인접한 사이드 에어덕트로 연장된 제1공기 배출도관;을 포함하는 차량용 냉각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 공급도관의 입구에 제공된 제1공기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기유입구는 상기 제1보조 열교환기와 인접한 사이드그릴부와 마주보도록 구성된 차량용 냉각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 배출도관의 출구는 상기 제1보조 열교환기와 인접한 사이드 에어덕트의 출구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차량용 냉각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제2보조 열교환기로 연장된 제2냉각수 공급도관;
    상기 제2보조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열원까지 연장된 제2냉각수 배출도관;
    상기 제2보조 열교환기와 인접한 사이드그릴부로부터 상기 제2보조 열교환기로 연장된 제2공기 공급도관; 및
    상기 제2보조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제2보조 열교환기와 인접한 사이드 에어덕트로 연장된 제2공기 배출도관;을 포함하는 차량용 냉각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기 공급도관의 입구에 제공된 제2공기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기유입구는 상기 제2보조 열교환기와 인접한 사이드그릴부와 마주보도록 구성된 차량용 냉각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기 배출도관의 출구는 상기 제2보조 열교환기와 인접한 사이드 에어덕트의 출구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차량용 냉각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 열교환기는 복수의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와, 복수의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의 일면에 개별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냉각수통로와, 복수의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들 사이에 개재된 복수의 제1공기측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제1공기측 플레이트의 일면에 개별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공기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냉각수통로 및 상기 복수의 제1공기통로는 상기 복수의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제1공기측 플레이트에 의해 서로 간에 교대로 배열되는 차량용 냉각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 열교환기는, 상기 복수의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에 개별적으로 부착된 복수의 제1냉각수측 가스켓과, 상기 복수의 제1공기측 플레이트에 개별적으로 부착된 복수의 제1공기측 가스켓을 포함하고,
    제1냉각수통로는 각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의 일면, 그에 상응한 제1냉각수측 가스켓, 및 그에 인접한 제1공기측 플레이트의 타면에 의해 한정되고,
    제1공기통로는 각 제1공기측 플레이트의 일면, 그에 상응한 제1공기측 가스켓, 및 그에 인접한 제1냉각수측 플레이트의 타면에 의해 한정되는 차량용 냉각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 열교환기는 복수의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와, 복수의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의 일면에 개별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냉각수통로와, 복수의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들 사이에 개재된 복수의 제2공기측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제2공기측 플레이트의 일면에 개별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공기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냉각수통로 및 상기 복수의 제2공기통로는 상기 복수의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제2공기측 플레이트에 의해 서로 간에 교대로 배열되는 차량용 냉각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 열교환기는, 상기 복수의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에 개별적으로 부착된 복수의 제2냉각수측 가스켓과, 상기 복수의 제2공기측 플레이트에 개별적으로 부착된 복수의 제2공기측 가스켓을 포함하고,
    제2냉각수통로는 각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의 일면, 그에 상응한 제2냉각수측 가스켓, 및 그에 인접한 제2공기측 플레이트의 타면에 의해 한정되고,
    제2공기통로는 각 제2공기측 플레이트의 일면, 그에 상응한 제2공기측 가스켓, 및 그에 인접한 제2냉각수측 플레이트의 타면에 의해 한정되는 차량용 냉각장치.
KR1020220167966A 2022-12-05 차량용 냉각장치 KR20240083637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3637A true KR20240083637A (ko) 2024-06-12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0020B2 (en) Active louver system for controlled airflow in a multi-function automotive radiator and condenser system
US8365854B2 (en) Dual air duct for front end of vehicle
CN106347103B (zh) 用于车辆的气流导向系统
JPH0316831A (ja) 自動車の先端部におけるエアダクト内の冷却空気案内装置
US10677144B2 (en) Heat exchanger system
US4976309A (e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US9243846B2 (en) Heat exhanging apparatus
US11603790B2 (en) Heat exchanger
JP2007186047A (ja) 車両用熱交換器
KR20240083637A (ko) 차량용 냉각장치
KR20170101854A (ko) 자동차 공조 시스템용 공기 분배 어셈블리
CN113412407A (zh) 热交换器
KR20210056795A (ko) 휠하우스 구조
KR102629657B1 (ko) 자동차용 열 교환기 모듈
JP2017036868A (ja) 熱交換器
KR20150073322A (ko) 차량용 루프형 공조장치
US20170106740A1 (en) Heat exchanger for vehicle and heat exchang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2614151B1 (ko) 차량용 엔진의 egr 냉각 장치
KR20120063116A (ko) 인터쿨러 가이드 덕트
JP2013174128A (ja) インタークーラ
KR20160120947A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2518553B1 (ko) 차량용 공력장치
KR101369669B1 (ko) 자동차용 인터쿨러
JP2020040632A (ja) ラジエータ構造
KR102622484B1 (ko) 자동차용 hvac 모듈의 공기 혼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hvac 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