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2456A - 디지타이저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타이저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82456A KR20240082456A KR1020220165884A KR20220165884A KR20240082456A KR 20240082456 A KR20240082456 A KR 20240082456A KR 1020220165884 A KR1020220165884 A KR 1020220165884A KR 20220165884 A KR20220165884 A KR 20220165884A KR 20240082456 A KR20240082456 A KR 202400824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s
- disposed
- dummy
- folding
- lay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152 fibre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13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6
- 101100331657 Arabidopsis thaliana DML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51
- 101100331658 Arabidopsis thaliana DML3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46
- 101100091498 Arabidopsis thaliana ROS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40
- 101150064551 DML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4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4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8186 active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2457 flexible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101100166255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ATCC 204508 / S288c) CEP3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1100495436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ATCC 204508 / S288c) CSE4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01000797623 Homo sapiens Protein AMBP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02100032859 Protein AMBP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1150004026 SOP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100225106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ATCC 204508 / S288c) EDC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100508810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ATCC 204508 / S288c) INP53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100366622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ATCC 204508 / S288c) SRO7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100366621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ATCC 204508 / S288c) SRO77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100217143 Schizosaccharomyces pombe (strain 972 / ATCC 24843) arc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01150083500 sop-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18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19 dop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MYMOFIZGZYHOMD-UHFFFAOYSA-N Di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33 Thermoplastic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398 Typha doming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17 amorphous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82 device technolog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3 groun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25 hole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4 organic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96 quantum d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74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725 thermoplas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7—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sets of wires, e.g. crossed wi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지타이저는, 활성 영역에 배치된 제1 감지 코일, 상기 제1 감지 코일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1 더미 배선, 상기 활성 영역에서 상기 제1 감지 코일 아래에 배치된 제2 감지 코일, 상기 제2 감지 코일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2 더미 배선, 상기 제2 감지 코일 아래에 배치된 브릿지 배선, 및 상기 브릿지 배선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3 더미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 중 적어도 2개의 더미 배선들은 같은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지타이저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내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고, 표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한다.
최근 표시 장치의 기술 발달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곡면 형태로 변형되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는 다양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은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 중 폴딩 표시 장치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된다. 폴딩 표시 장치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표시 모듈 및 표시 모듈 아래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표시 모듈과 함께 폴딩될 수 있다.
폴딩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 아래에 배치된 디지타이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는 표시 장치 상에 배치된 펜의 접근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적 변화를 감지하여 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덤벨 형상으로 보다 용이하게 폴딩될 수 있는 디지타이저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 사이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활성 영역 및 상기 활성 영역 주변의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된 디지타이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기 활성 영역에 배치된 제1 감지 코일, 상기 제1 감지 코일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1 더미 배선, 상기 활성 영역에서 상기 제1 감지 코일 아래에 배치된 제2 감지 코일, 상기 제2 감지 코일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2 더미 배선, 상기 제2 감지 코일 아래에 배치된 브릿지 배선, 및 상기 브릿지 배선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3 더미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 중 적어도 2개의 더미 배선들은 같은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타이저는, 제1 감지 코일, 상기 제1 감지 코일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1-1 더미 배선, 상기 제1 감지 코일 아래에 배치된 연결 패턴부, 상기 연결 패턴부와 동일층에 배치된 제1-2 더미 배선, 상기 연결 패턴부 아래에 배치된 제2 감지 코일, 상기 제2 감지 코일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2 더미 배선, 상기 제2 감지 코일 아래에 배치된 브릿지 배선, 및 상기 브릿지 배선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3 더미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1, 제1-2, 및 제3 더미 배선들은 같은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더미 배선은 상기 제1-1, 제1-2, 및 제3 더미 배선들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은 제1 방향에 평행한 폴딩축을 중심으로 폴딩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활성 영역 및 상기 활성 영역 주변의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된 디지타이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기 활성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제1 감지 코일들, 상기 제1 감지 코일들과 동일층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감지 코일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들, 상기 활성 영역에서 상기 제1 감지 코일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제2 감지 코일들, 상기 제2 감지 코일들과 동일층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감지 코일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2 더미 배선들, 상기 제2 감지 코일들 아래에 배치된 복수개의 브릿지 배선들, 및 상기 브릿지 배선들과 동일층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3 더미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3 더미 배선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더미 배선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층에 배치된 더미 배선들이 폴딩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지지부 역할을 하는 디지타이저가 보다 용이하게 덤벨 형상으로 폴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어느 한 화소에 대응하는 전자 패널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벤딩 영역이 휘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영역(AA)의 평면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의 제1 감지 코일들을 보여주는 디지타이저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의 제2 감지 코일들을 보여주는 디지타이저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폴딩부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일부 제1 연장 배선들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 13에 도시된 제2 패턴부들을 더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의 순차적인 층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제1 더미 배선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제2 더미 배선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18에 도시된 제2 더미 배선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17,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배선들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제1, 제2, 제3, 및 제4 지지층들 각각의 평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12에 도시된 제1 연장 배선과 제1 연결 배선들의 연결 구성 및 도 13에 도시된 제2-2 패턴부와 브릿지 배선들의 연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이 배치된 디지타이저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의 순차적인 층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도 28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배선들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도 32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 및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도 28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배선들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어느 한 화소에 대응하는 전자 패널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벤딩 영역이 휘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영역(AA)의 평면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의 제1 감지 코일들을 보여주는 디지타이저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의 제2 감지 코일들을 보여주는 디지타이저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폴딩부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일부 제1 연장 배선들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 13에 도시된 제2 패턴부들을 더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의 순차적인 층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제1 더미 배선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제2 더미 배선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18에 도시된 제2 더미 배선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17,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배선들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제1, 제2, 제3, 및 제4 지지층들 각각의 평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12에 도시된 제1 연장 배선과 제1 연결 배선들의 연결 구성 및 도 13에 도시된 제2-2 패턴부와 브릿지 배선들의 연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이 배치된 디지타이저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의 순차적인 층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도 28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배선들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도 32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 및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도 28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배선들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장변들 및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장치(DD)는 원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가요성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하,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은 제3 방향(DR3)으로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평면 상에서 봤을 때"는 제3 방향(DR3)에서 바라본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폴딩 영역(FA) 및 복수개의 비폴딩 영역들(NFA1,NFA2)을 포함할 수 있다. 비폴딩 영역들(NFA1,NFA2)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하나의 폴딩 영역(FA)과 두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1,NFA2)이 도시되었으나,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들(NFA1,NFA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2개보다 많은 복수개의 비폴딩 영역들 및 비폴딩 영역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폴딩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상면은 표시면(DS)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표시면(DS)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표시면(DS)을 통해 표시 장치(DD)에서 생성된 이미지들(IM)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표시면(DS)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고,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고, 소정의 색으로 인쇄되는 표시 장치(DD)의 테두리를 정의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SN) 및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CA)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SN) 및 카메라(CA)는 표시 장치(DD)의 테두리에 인접할 수 있다. 센서(SN) 및 카메라(CA)는 비표시 영역(NDA)에 인접한 표시 영역(DA)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SN) 및 카메라(CA)는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센서(SN) 및 카메라(CA)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배치될 수도 있다.
센서(SN) 및 카메라(CA)가 배치된 표시 장치(DD)의 부분들을 통해 광이 투과되어 카메라(CA) 및 센서(SN)에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센서(SN)는 근조도 센서일 수 있으나, 센서(SN)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CA)는 외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센서(SN) 및 카메라(CA)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폴딩되거나 언폴딩되는 접이식(폴더블) 표시 장치(DD)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 영역(FA)이 제1 방향(DR1)에 평행한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휘어져, 표시 장치(DD)가 폴딩될 수 있다. 폴딩축(FX)은 표시 장치(DD)의 장변에 평행한 장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폴딩 시,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서로 마주보고, 표시 장치(DD)는 표시면(DS)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폴딩(in-folding)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폴딩축(FX)을 중심으로 표시면(DS)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아웃-폴딩(out-folding)될 수도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 사이의 거리는 곡률 반경(R)의 2배(예를 들어, 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폴딩 영역(FA)이 덤벨 형상으로 폴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윈도우 모듈(WM), 표시 모듈(DM), 카메라(CA), 센서(SN), 전자 모듈(EM), 전원 모듈(PSM), 및 케이스(EDC)를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의 폴딩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구 구조물(예를 들어, 힌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이미지를 생성하고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모듈(WM)은 표시 장치(DD)의 전면을 정의할 수 있다. 윈도우 모듈(WM)은 표시 모듈(DM) 상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DM)을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 모듈(WM)은 표시 모듈(DM)에서 생성된 광을 투과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적어도 표시 패널(DP)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표시 모듈(DM)의 적층 구조물 중 표시 패널(DP)만을 도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세부적인 적층 구조는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표시 패널(DP)은 표시 장치(DD)의 표시 영역(DA, 도 1 참조) 및 비표시 영역(NDA, 도 1 참조)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에는 제1 홀 영역(HA1) 및 제2 홀 영역(HA2)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홀 영역(HA1) 및 제2 홀 영역(HA2)은 주변보다 높은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제1 홀 영역(HA1) 아래에 카메라(CA)가 배치되고, 제2 홀 영역(HA2) 아래에 센서(SN)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홀 영역들(HA1,HA2)을 투과한 광이 카메라(CA) 및 센서(SN)에 제공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의 비표시 영역(NDA) 상에 배치된 데이터 구동부(DDV)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집적 회로 칩 형태로 제작되어 비표시 영역(NDA) 상에 실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데이터 구동부(DDV)는 표시 패널(DP)에 연결된 연성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될 수도 있다.
전자 모듈(EM) 및 전원 모듈(PSM)은 표시 모듈(DM)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자 모듈(EM) 및 전원 모듈(PSM)은 별도의 연성 회로 기판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모듈(EM)은 표시 모듈(DM)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모듈(PSM)은 표시 모듈(DM)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케이스(EDC)는 윈도우 모듈(WM), 표시 모듈(DM), 전자 모듈(EM), 및 전원 모듈(PSM)을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EDC)는 표시 모듈(DM)을 폴딩시키기 위해 2개의 제1 및 제2 케이스들(EDC1,EDC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케이스들(EDC1,EDC2)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 장치(DD)는 제1 및 제2 케이스들(EDC1,EDC2)을 연결하기 위한 힌지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EDC)는 윈도우 모듈(WM)과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EDC)는 윈도우 모듈(WM), 표시 모듈(DM), 전자 모듈(EM), 및 전원 모듈(PSM)을 보호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전자 패널(EP) 및 전자 패널(EP) 아래에 배치된 패널 보호층(PPL)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패널(EP)은 표시 패널(DP),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입력 센싱부(ISP), 및 입력 센싱부(ISP) 상에 배치된 반사 방지층(RPL)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가요성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가요성 기판 및 가요성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또는 무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설명된다.
입력 센싱부(ISP)는 정전 용량 방식으로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센서부들(미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센싱부(ISP)는 표시 모듈(DM)의 제조 시, 표시 패널(DP) 상에 바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입력 센싱부(IS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표시 모듈(DM)의 제조 시, 입력 센싱부(ISP) 상에 바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외광 반사 방지 필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표시 장치(DD) 위에서부터 표시 패널(DP)을 향해 입사되는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입력 센싱부(ISP)가 표시 패널(DP) 상에 바로 형성되고, 반사 방지층(RPL)이 입력 센싱부(ISP) 상에 바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입력 센싱부(ISP)는 별도로 제조되어, 접착층에 의해 표시 패널(DP)에 부착되고, 반사 방지층(RPL)은 별도로 제조되어, 접착층에 의해 입력 센싱부(ISP)에 부착될 수도 있다.
패널 보호층(PPL)은 표시 패널(DP)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은 표시 패널(DP)의 하부를 보호할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보호층(PPL)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주사 구동부(SDV)(scan driver), 데이터 구동부(DDV)(data driver), 및 발광 구동부(EDV)(emission driver)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제1 영역(AA1), 제2 영역(AA2), 및 제1 영역(AA1)과 제2 영역(AA2) 사이의 벤딩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고, 제1 영역(AA1), 벤딩 영역(BA), 및 제2 영역(AA2)은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영역(AA1)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AA2) 및 벤딩 영역(B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AA1)은, 제1 방향(DR1)에서 바라봤을 때, 제1 비폴딩 영역(NFA1), 제2 비폴딩 영역(NFA2), 및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 사이의 폴딩 영역(FA)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및 제2 홀 영역들(HA1,HA2)은 표시 영역(DA)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정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복수개의 화소들(PX), 복수개의 주사 라인들(SL1~SLm),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n), 복수개의 발광 라인들(EL1~ELm), 제1 및 제2 제어 라인들(CSL1,CSL2), 전원 라인(PL), 복수개의 연결 라인들(CNL), 및 복수개의 패드들(PD)을 포함할 수 있다. m 및 n은 자연수이다. 화소들(PX)은 표시 영역(DA)에 배치되고, 주사 라인들(SL1~SLm), 데이터 라인들(DL1~DLn), 및 발광 라인들(EL1~ELm)에 연결될 수 있다.
주사 구동부(SDV) 및 발광 구동부(EDV)는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주사 구동부(SDV) 및 발광 구동부(EDV)는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1 영역(AA1)의 양측들에 각각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제2 영역(AA2)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집적 회로 칩 형태로 제작되어 제2 영역(AA2)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주사 라인들(SL1~SLm)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주사 구동부(SDV)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벤딩 영역(BA)을 경유하여 데이터 구동부(DDV)에 연결될 수 있다. 발광 라인들(EL1~ELm)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발광 구동부(EDV)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 라인(PL)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여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 라인(PL)은 표시 영역(DA)과 발광 구동부(EDV)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원 라인(PL)은 표시 영역(DA)과 주사 구동부(SDV)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전원 라인(PL)은 벤딩 영역(BA)을 경유하여 제2 영역(AA2)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전원 라인(PL)은 평면 상에서 봤을 때, 제2 영역(AA2)의 하단을 향해 연장할 수 있다. 전원 라인(PL)은 구동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연결 라인들(CNL)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고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연결 라인들(CNL)은 전원 라인(PL) 및 화소들(PX)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 전압은 서로 연결된 전원 라인(PL) 및 연결 라인들(CNL)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제1 제어 라인(CSL1)은 주사 구동부(SDV)에 연결되고, 벤딩 영역(BA)을 경유하여 제2 영역(AA2)의 하단을 향해 연장할 수 있다. 제2 제어 라인(CSL2)은 발광 구동부(EDV)에 연결되고, 벤딩 영역(BA)을 경유하여 제2 영역(AA2)의 하단을 향해 연장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제1 제어 라인(CSL1) 및 제2 제어 라인(CSL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봤을 때, 패드들(PD)은 제2 영역(AA2)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 전원 라인(PL), 제1 제어 라인(CSL1), 및 제2 제어 라인(CSL2)은 패드들(PD)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데이터 구동부(DDV)를 통해 대응하는 패드들(PD)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데이터 구동부(DDV)에 연결되고, 데이터 구동부(DDV)가 데이터 라인들(DL1~DLn)에 각각 대응하는 패드들(PD)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패드들(PD)에 인쇄 회로 기판이 연결되고, 인쇄 회로 기판 상에 타이밍 컨트롤러 및 전압 생성부가 배치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집적 회로 칩으로 제조되어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및 전압 생성부는 인쇄 회로 기판을 통해 패드들(PD)에 연결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주사 구동부(SDV), 데이터 구동부(DDV), 및 발광 구동부(EDV)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주사 제어 신호, 데이터 제어 신호, 및 발광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압 생성부는 구동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주사 제어 신호는 제1 제어 라인(CSL1)을 통해 주사 구동부(SDV)에 제공될 수 있다. 발광 제어 신호는 제2 제어 라인(CSL2)을 통해 발광 구동부(EDV)에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제어 신호는 데이터 구동부(DDV)에 제공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들을 수신하고, 데이터 구동부(DDV)와의 인터페이스 사양에 맞도록 영상 신호들의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여 데이터 구동부(DDV)에 제공할 수 있다.
주사 구동부(SDV)는 주사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주사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주사 신호들은 주사 라인들(SL1~SLm)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주사 신호들은 순차적으로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데이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 신호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전압들은 데이터 라인들(DL1~DLn)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발광 구동부(EDV)는 발광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발광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발광 신호들은 발광 라인들(EL1~ELm)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화소들(PX)은 주사 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화소들(PX)은 발광 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들에 대응하는 휘도의 광을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화소들(PX)의 발광 시간은 발광 신호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어느 한 화소에 대응하는 전자 패널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화소(PX)는 트랜지스터(TR) 및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OLED)는 제1 전극(AE)(또는 애노드), 제2 전극(CE)(또는 캐소드), 정공 제어층(HCL), 전자 제어층(ECL), 및 발광층(EML)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 및 발광 소자(OLED)는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하나의 트랜지스터(TR)가 도시되었으나, 실질적으로, 화소(PX)는 발광 소자(OLED)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트랜지스터들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소들(PX) 각각에 대응하는 발광 영역(PA) 및 발광 영역(PA) 주변의 비발광 영역(NPA)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OLED)는 발광 영역(PA)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SUB) 상에 버퍼층(BFL)이 배치되며, 버퍼층(BFL)은 무기층일 수 있다. 버퍼층(BFL) 상에 반도체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은 폴리 실리콘, 비정질 실리콘,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패턴은 N형 도판트 또는 P형 도판트로 도핑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은 고 도핑 영역과 저 도핑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고 도핑 영역의 전도성은 저 도핑 영역보다 크고, 실질적으로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역할을 할 수 있다. 저 도핑 영역은 실질적으로 트랜지스터의 액티브(또는 채널)에 해당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의 소스(S), 액티브(A), 및 드레인(D)은 반도체 패턴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 상에 제1 절연층(INS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INS1) 상에 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G)가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G) 상에 제2 절연층(INS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 상에 제3 절연층(INS3)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전극(CNE)은 트랜지스터(TR)와 발광 소자(OLED)를 연결하기 위해 제1 연결 전극(CNE1) 및 제2 연결 전극(CN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전극(CNE1)은 제3 절연층(INS3) 상에 배치되고, 제1 내지 제3 절연층들(INS1~INS3)에 정의된 제1 컨택홀(CH1)을 통해 드레인(D)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절연층(INS4)은 제1 연결 전극(CNE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절연층(INS4)상에 제5 절연층(INS5)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전극(CNE2)은 제5 절연층(INS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전극(CNE2)은 제4 및 제5 절연층들(INS4, INS5)에 정의된 제2 컨택홀(CH2)을 통해 제1 연결 전극(CNE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전극(CNE2) 상에 제6 절연층(INS6)이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BFL)부터 제6 절연층(INS6)까지의 층은 회로 소자층(DP-CL)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INS1) 내지 제6 절연층(INS6)은 무기층 또는 유기층일 수 있다.
제6 절연층(INS6) 상에 제1 전극(AE)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제6 절연층(INS6)에 정의된 제3 컨택홀(CH3)을 통해 제2 연결 전극(CNE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AE) 및 제6 절연층(INS6) 상에는 제1 전극(AE)의 소정의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PX_OP)가 정의된 화소 정의막(PDL)이 배치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은 제1 전극(AE) 및 화소 정의막(PD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은 정공 수송층 및 정공 주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정공 제어층(H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개구부(PX_OP)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유기 물질 및/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제어층(ECL)은 발광층(EML) 및 정공 제어층(H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제어층(ECL)은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 및 전자 제어층(ECL)은 발광 영역(PA)과 비발광 영역(NPA)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전자 제어층(E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화소들(PX)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OLED)가 배치된 층은 표시 소자층(DP-OLED)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제2 전극(CE) 상에 배치되어 화소(PX)를 덮을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제2 전극(CE) 상에 배치된 제1 봉지층(EN1), 제1 봉지층(EN1) 상에 배치된 제2 봉지층(EN2), 및 제2 봉지층(EN2) 상에 배치된 제3 봉지층(EN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3 봉지층들(EN1, EN3)은 무기 절연층을 포함하고, 수분/산소로부터 화소(PX)를 보호할 수 있다. 제2 봉지층(EN2)은 유기 절연층을 포함하고,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화소(PX)를 보호할 수 있다.
제1 전압이 트랜지스터(TR)를 통해 제1 전극(AE)에 인가되고, 제1 전압보다 낮은 레벨을 갖는 제2 전압이 제2 전극(CE)에 인가될 수 있다. 발광층(EML)에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가 형성되고, 여기자가 바닥 상태로 전이하면서, 발광 소자(OLED)가 발광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 상에 입력 센싱부(ISP)가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센싱부(ISP)는 박막 봉지층(TFE)의 상면에 바로 제조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 상에 베이스층(BS)이 배치될 수 있아. 베이스층(BS)은 무기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기 절연층이 베이스층(BS)으로서, 박막 봉지층(TFE)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입력 센싱부(ISP)는 제1 도전 패턴(CTL1) 및 제1 도전 패턴(CTL1) 상에 배치된 제2 도전 패턴(CTL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S) 상에 제1 도전 패턴(CTL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전 패턴(CTL1)을 덮도록 베이스층(BS) 상에 절연층(TINS)이 배치될 수 있다. 절연층(TINS)은 무기 절연층 또는 유기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TINS) 상에 제2 도전 패턴(CTL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전 패턴들(CTL1,CTL2)은 비발광 영역(NPA)에 중첩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및 제2 도전 패턴들(CTL1,CTL2)은 발광 영역들(PA) 사이의 비발광 영역(NPA) 상에 배치되고,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전 패턴들(CTL1,CTL2)은 전술한 입력 센싱부(ISP)의 센서들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쉬 형상의 제1 및 제2 도전 패턴들(CTL1,CTL2)이 소정의 영역에서 서로 분리되어 센서들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도전 패턴(CTL2)의 일부는 제1 도전 패턴(CTL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도전 패턴(CTL2) 상에 반사 방지층(RPL)이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블랙 매트릭스(BM) 및 복수개의 컬러 필터들(CFT)을 포함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BM)는 비발광 영역(NPA)에 중첩하고 컬러 필터들(CFT)은 발광 영역들(PA)에 각각 중첩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BM)는 제2 도전 패턴(CTL2)을 덮도록 절연층(TIN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BM)에는 발광 영역(PA) 및 개구부(PX_OP)에 중첩하는 개구부(B_OP)가 정의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BM)는 광을 흡수하여 차단할 수 있다. 개구부(B_OP)의 폭은 개구부(PX_OP)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컬러 필터들(CFT)은 제1 절연층(TINS) 및 블랙 매트릭스(BM)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컬러 필터들(CFT)은 개구부들(B_OP)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컬러 필터들(CFT) 상에 평탄화 절연층(PINS)이 배치될 수 있다. 평탄화 절연층(PINS)은 평평한 상면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을 향해 진행된 외부광이 표시 패널(DP)에서 반사하여 외부의 사용자에게 다시 제공될 경우, 거울과 같이, 사용자가 외부광을 시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반사 방지층(RPL)은 표시 패널(DP)의 화소들(PX)과 동일한 색을 표시하는 복수개의 컬러 필터들(CFT)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필터들(CFT)은 외부광을 화소들(PX)과 동일한 색들로 필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광이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사 방지층(RPL)은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편광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 필름은 별도로 제조되어 접착층에 의해 입력 센싱부(ISP)에 부착될 수 있다. 편광 필름은 위상 지연자(retarder) 및/또는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벤딩 영역이 휘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7에는 I-I'선에 대응하는 표시 모듈(DM)의 단면 및 윈도우 모듈(WM)의 단면이 함께 도시되었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 표시 모듈(DM) 상에 배치된 윈도우 모듈(WM), 및 표시 모듈(DM) 아래에 배치된 지지부(SUP)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가요성 표시 모듈일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폴딩 영역(FA),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모듈(WM)은 윈도우(WIN), 윈도우 보호층(WP), 하드 코팅층(HC), 및 제1 및 제2 접착층들(AL1,AL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전자 패널(EP), 충격 흡수층(ISL), 패널 보호층(PPL), 베리어층(BRL), 및 제3 내지 제6 접착층들(AL3~AL6)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SUP)는 디지타이저(DGT), 지지 플레이트(PLT), 커버층(COV), 및 제7 접착층(AL7)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패널(EP) 및 패널 보호층(PPL)의 구성은 앞서 도 4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충격 흡수층(ISL)은 전자 패널(E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충격 흡수층(ISL)은 표시 장치(DD) 위에서부터 전자 패널(EP)을 향해 인가되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전자 패널(EP)을 보호할 수 있다. 충격 흡수층(ISL)은 연신 필름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충격 흡수층(ISL)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은 합성 수지 필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 흡수층(ISL)은 폴리 이미드(PI:polyimid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Polyethyleneterephthalte)와 같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충격 흡수층(IS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외부의 스크래치로부터 전자 패널(EP)을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WIN)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윈도우(WIN)는 합성 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다층 구조 또는 단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IN)는 접착제로 결합된 복수개의 합성 수지 필름들을 포함하거나, 접착제로 결합된 유리 기판과 합성 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보호층(WP)은 윈도우(WIN)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보호층(WP)은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HC)은 윈도우 보호층(WP)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층(PIT)은 윈도우 보호층(WP)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층(PIT)은 흑색을 가질 수 있으나, 인쇄층(PIT)의 색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쇄층(PIT)은 윈도우 보호층(WP)의 테두리에 인접할 수 있다.
베리어층(BRL)은 패널 보호층(PPL)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층(BRL)은 외부의 눌림에 따른 압축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베리어층(BRL)은 전자 패널(EP)의 변형을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베리어층(BRL)은 폴리 이미드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베리어층(BRL)은 광을 흡수하는 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리어층(BRL)은 흑색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 모듈(DM) 위에서 표시 모듈(DM)을 바라봤을 때, 베리어층(BRL) 아래에 배치된 구성 요소들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접착층(AL1)은 윈도우 보호층(WP)과 윈도우(WIN)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층(AL1)에 의해 윈도우 보호층(WP)과 윈도우(WIN)가 서로 합착될 수 있다. 제1 접착층(AL1)은 인쇄층(PIT)을 덮을 수 있다.
제2 접착층(AL2)은 윈도우(WIN)와 충격 흡수층(IS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착층(AL2)에 의해 윈도우(WIN)와 충격 흡수층(ISL)이 서로 합착될 수 있다.
제3 접착층(AL3)은 충격 흡수층(ISL)과 전자 패널(E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접착층(AL3)에 의해 충격 흡수층(ISL)과 전자 패널(EP)이 서로 합착될 수 있다.
전자 패널(EP)과 패널 보호층(PPL) 사이에 제4 접착층(AL4)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자 패널(EP)과 패널 보호층(PPL)은 제4 접착층(AL4)에 의해 서로 합착될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과 베리어층(BRL) 사이에 제5 접착층(AL5)이 배치될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과 베리어층(BRL)은 제5 접착층(AL5)에 의해 서로 합착될 수 있다.
베리어층(BRL)과 디지타이저(DGT) 사이에 제6 접착층(AL6)이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층(BRL)과 디지타이저(DGT)는 제6 접착층(AL6)에 의해 서로 합착될 수 있다.
제6 접착층(AL6)은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NFA1,NFA2)에 중첩하고, 폴딩 영역(FA)에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6 접착층(AL6)은 폴딩 영역(FA)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디지타이저(DGT)는 베리어층(BRL)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DGT)는 복수개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디지타이저(DGT)는 표시 모듈(DM) 아래에서 표시 모듈(DM)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타이저(DGT)는 표시 모듈(DM)보다 강성을 갖기 위해, 강화 섬유 복합재와 같은 비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강화 섬유 복합재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또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일 수 있다. 이하, 디지타이저(DGT)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구조로 설명된다.
디지타이저(DGT)는 표시면 상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위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장치이다. 디지타이저(DGT)는 전자기 방식(또는 전자기 공명 방식: Electromagnetic Resonanc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타이저(DGT)는 복수개의 코일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 센서 기판(미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타이저(DGT)는 능동 정전기식(Active Electrostatic)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표시 장치(DD) 상에서 전자기 펜을 움직일 때, 전자기 펜은 진동하는 자계를 일으키도록 교류 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진동하는 자계는 코일에 신호를 유도할 수 있다. 코일에 유도된 신호를 통해 전자기 펜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DGT)는 전자기 펜의 접근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적 변화를 감지하여 전자기 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폴딩 영역(FA)에 중첩하는 디지타이저(DGT)의 부분에는 복수개의 개구부들(OP)이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들(OP)은 디지타이저(DGT)의 부분들을 제3 방향(DR3)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들(OP)은 레이저 공정 또는 마이크로 블라스트 공정을 통해 디지타이저(DGT)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들(OP)이 폴딩 영역(FA)에 중첩하는 디지타이저(DGT)의 부분에 정의됨으로써, 폴딩 영역(FA)에 중첩하는 디지타이저(DGT)의 부분의 유연성이 높아질 수 있다. 그 결과, 디지타이저(DGT)가 폴딩 영역(FA)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폴딩될 수 있다.
커버층(COV)은 디지타이저(DGT)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층(COV)은 디지타이저(DGT) 아래에서, 디지타이저(DGT)에 정의된 개구부들(OP)을 커버할 수 있다. 커버층(COV)은 폴딩 영역(FA)에 중첩하고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NFA1,NFA2)에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커버층(COV)은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NFA1,NFA2)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커버층(COV)은 개구부들(OP)이 형성된 디지타이저(DGT)의 부분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커버층(COV)은 디지타이저(DGT)보다 낮은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층(COV)은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또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커버층(COV)의 물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층(COV)은 시트 형태로 제조되어 디지타이저(DGT)에 부착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DGT) 아래에 지지 플레이트(PLT)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PLT)는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NFA1,NFA2)에 각각 중첩하고, 폴딩 영역(FA)에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PLT)는 2개로 분리되어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NFA1,NFA2) 아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PLT)는 표시 모듈(DM)보다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PLT)는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 물질(예를 들어, SUS 316)을 포함할 수 있으나, 지지 플레이트(PLT)의 금속 물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 플레이트(PLT)는 플라스틱과 같은 비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7 접착층(AL7)은 디지타이저(DGT)와 지지 플레이트(PLT)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7 접착층(AL7)에 의해 디지타이저(DGT)와 지지 플레이트(PLT)가 서로 합착될 수 있다. 제7 접착층(AL7)은 폴딩 영역(FA)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내지 제7 접착층들(AL1~AL7)은 감압 접착제(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또는 광학 투명 접착제(OCA: Optically Clear Adhesive)와 같은 투명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접착제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홀 영역(HA1)에 중첩하는 표시 모듈(DM)의 부분에 제1 홀(H1)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홀(H1)은 지지 플레이트(PLT)부터 패널 보호층(PPL) 전까지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리어층(BRL), 디지타이저(DGT), 지지 플레이트(PLT), 및 제5 내지 제7 접착층들(AL5~AL7)에 제1 홀(H1)이 일체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홀 영역(HA2)에 제2 홀이 형성되며, 제2 홀도 제1 홀(H1)과 동일하게 지지 플레이트(PLT)부터 패널 보호층(PPL) 전까지 정의될 수 있다. 제1 홀(H1)에는 전술한 카메라(CA)가 배치되고, 제2 홀에는 전술한 센서(SN)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패널 보호층(PPL) 및 제4 접착층(AL4)은 벤딩 영역(BA) 아래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 및 제4 접착층(AL4)은 전자 패널(EP)의 제2 영역(AA2)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전자 패널(EP)의 제2 영역(AA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PCB)은 전자 패널(EP)의 제2 영역(AA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영역(AA2)의 일측에 인쇄 회로 기판(PCB)이 연결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이 벤딩되어, 제2 영역(AA2)이 제1 영역(AA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구동부(DDV) 및 인쇄 회로 기판(PCB)은 제1 영역(AA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디지타이저(DGT)는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된 제1 비폴딩부(NFP1), 폴딩부(FP), 및 제2 비폴딩부(NF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폴딩부(NFP1), 폴딩부(FP), 및 제2 비폴딩부(NFP2)는 전술한 제1 비폴딩 영역(NFA1), 폴딩 영역(FA),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각각 중첩할 수 있다.
폴딩부(FP)에는 격자 패턴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부(FP)에는 복수개의 개구부들(OP)이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들(OP)은 소정의 규칙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개구부들(OP)은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폴딩부(FP)의 격자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개구부들(OP)이 형성된 영역은 폴딩부(FP)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개구부들(OP)이 폴딩부(FP)에 정의됨으로써, 폴딩부(FP)의 면적이 감소되어 폴딩부(FP)의 강성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폴딩부(FP)에 개구부들(OP)이 정의되지 않는 경우보다 개구부들(OP)이 정의된 경우, 폴딩부(FP)의 유연성이 높아질 수 있다. 그 결과, 폴딩부(FP)가 보다 용이하게 폴딩될 수 있다.
제2 비폴딩부(NFP2)에는 전술한 제1 홀(H1) 및 제2 홀(H2)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홀(H1) 및 제2 홀(H2)은 제2 비폴딩부(NFP2)의 테두리에 인접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영역(AA)의 평면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폴딩부(FP)는 곡면부(CSP), 제1 연장부(EXP1), 제2 연장부(EXP2), 제1 역곡률부(ICV1), 및 제2 역곡률부(ICV2)를 포함할 수 있다. 곡면부(CSP), 제1 연장부(EXP1), 제2 연장부(EXP2), 제1 역곡률부(ICV1), 및 제2 역곡률부(ICV2)는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곡면부(CSP)는 폴딩부(FP)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역곡률부(ICV1)는 제1 비폴딩부(NFP1)에 인접한 폴딩부(FP)의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역곡률부(ICV2)는 제2 비폴딩부(NFP2)에 인접한 폴딩부(FP)의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곡면부(CSP)는 제1 연장부(EXP1) 및 제2 연장부(EXP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장부(EXP1)는 제1 역곡률부(ICV1) 및 곡면부(CS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장부(EXP2)는 제2 역곡률부(ICV2) 및 곡면부(CS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역곡률부(ICV1)는 제1 비폴딩부(NFP1) 및 제1 연장부(EXP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역곡률부(ICV2)는 제2 비폴딩부(NFP2) 및 제2 연장부(EXP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개구부들(OP)은 곡면부(CSP)에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들(OP)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개구부들(OP)은 제2 방향(DR2)보다 제1 방향(DR1)으로 더 길게 연장할 수 있다. 개구부들(OP)은 전술한 폴딩축(FX)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개구부들(OP)은 h 번째 열로 배열된 제1 서브 개구부들(SOP1) 및 h+1 번째 열로 배열된 제2 서브 개구부들(SOP2)을 포함할 수 있다. h는 자연수이다. 열은 제1 방향(DR1)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서브 개구부들(SOP2)은 제2 방향(DR2)으로 제1 서브 개구부들(SOP1)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서브 개구부들(SOP1)은 제2 서브 개구부들(SOP2)과 엇갈리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1에서, 도 7에 도시된 벤딩 영역(BA) 및 제2 영역(AA2)은 생략되었다. 또한, 표시 모듈(DM) 및 윈도우 모듈(WM)이 함께 단층으로 도시되었으며, 접착층들(AL6,AL7) 및 커버층(COV)은 생략되었다.
도 11을 참조하면, 폴딩축(FX)을 중심으로 표시 장치(DD)는 인폴딩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이 휘어져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도 7에 도시된 평평한 제1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폴딩된 제2 상태로 변경되거나,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폴딩 동작은 반복해서 수행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가요성 표시 모듈이므로 표시 모듈(DM)의 폴딩 영역(FA)은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디지타이저(DGT)에는 폴딩 영역(FA)에 중첩하는 복수개의 개구부들(OP)이 정의므로, 개구부들(OP)에 의해 폴딩부(FP)가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디지타이저(DGT)는 덤벨 형상으로 폴딩될 수 있다. 폴딩부(FP)가 폴딩될 때, 곡면부(CSP)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휘어질 수 있다. 곡면부(CSP)는 제1 곡률 반경(R1)을 갖도록 휘어질 수 있다.
제1 역곡률부(ICV1)는 곡면부(CSP)와 반대로 휘어질 수 있다. 제2 역곡률부(ICV2)는 곡면부(CSP)와 반대로 휘어질 수 있다. 제2 역곡률부(ICV2)는 제1 역곡률부(ICV1)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폴딩부(FP)가 폴딩될 때, 지지 플레이트(PLT)는 제1 및 제2 비폴딩부들(NFP1,NFP2)의 하면들 상에 각각 배치되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PLT)에 의해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NFA1,NFA2) 및 제1 및 제2 비폴딩부들(NFP1,NFP2)이 평평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폴딩부(FP)가 폴딩될 때, 제3 방향(DR3)에 대한 제1 비폴딩부(NFP1)와 제2 비폴딩부(NFP2) 사이의 거리는 제1 곡률 반경(R1)의 두배(예를 들어 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디지타이저(DGT)는 덤벨 형상으로 폴딩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DGT)가 덤벨 형상으로 폴딩되어 덤벨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표시 장치(DD)는 제1 윙 플레이트(WPT1) 및 제2 윙 플레이트(WPT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윙 플레이트(WPT1)는 제1 역곡률부(ICV1) 및 제1 연장부(EX1)의 하면들 상에 배치되고, 제2 윙 플레이트(WPT2)는 제2 역곡률부(ICV2) 및 제2 연장부(EX2)의 하면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윙 플레이트(WPT1) 및 제2 윙 플레이트(WPT2)는 제1 및 제2 비폴딩부들(NFP1,NFP2)의 하면들 상에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PLT)에 회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윙 플레이트(WPT1) 및 제2 윙 플레이트(WPT2)는 지지 플레이트(PLT)에 대해 회전하여 지지 플레이트(PLT)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윙 플레이트(WPT1)는 제1 역곡률부(ICV1) 및 제1 연장부(EXP1)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윙 플레이트(WPT2)는 제2 역곡률부(ICV2) 및 제2 연장부(EXP2)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의 제1 감지 코일들을 보여주는 디지타이저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의 제2 감지 코일들을 보여주는 디지타이저의 평면도이다.
예시적으로 도 12 및 도 13은 디지타이저(DGT) 위에서 바라본 디지타이저(DGT)의 평면도이며, 제2 비폴딩부(NFP2)가 제1 비폴딩부(NFP1)보다 우측에 배치되도록 도시되었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지타이저(DGT)의 평면 상의 영역은 활성 영역(AA) 및 활성 영역(AA) 주변의 비활성 영역(NAA)을 포함할 수 있다. 비활성 영역(NAA)은 활성 영역(AA)을 둘러쌀 수 있다. 활성 영역(AA)은 전술한 표시 영역(DA)에 중첩하고, 비활성 영역(NAA)은 전술한 비표시 영역(NDA)에 중첩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DGT)는 커낵터(CNT), 복수개의 제1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1), 및 복수개의 제1 감지 코일들(RF)을 포함할 수 있다. 커낵터(CNT)는 디지타이저(DGT)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커낵터(CNT)는 우측의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될 수 있다. 커낵터(CNT)는 제2 비폴딩부(NFP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1)은 우측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1)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고,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되어 커낵터(CNT)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감지 코일들(RF)은 제1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감지 코일들(RF)은 제1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1)을 통해 커낵터(CNT)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감지 코일들(RF)은 비활성 영역(NAA) 및 활성 영역(AA)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감지 코일들(RF)은 제2 비폴딩부(NFP2)에서 제1 비폴딩부(NFP1)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감지 코일들(RF)은 활성 영역(AA)에서 개구부들(OP) 사이를 지나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지 코일들(RF)은 폴딩부(FP)에서 개구부들(OP) 사이를 지나 연장할 수 있다. 제1 감지 코일들(RF)은 폴딩부(FP)에서 개구부들(OP)의 테두리들을 따라 굴곡되도록 연장할 수 있다.
제1 감지 코일들(RF)은 제1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1)과 함께 루프 형상을 이루도록 커낵터(CNT)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낵터(CNT)로부터 연장된 제1 감지 코일들(RF)은 우측 비활성 영역(NAA), 활성 영역(AA), 및 좌측의 비활성 영역(NAA)으로 연장 한후, 다시 활성 영역(AA) 및 우측 비활성 영역(NAA)으로 연장하여 제1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1)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일부 제1 감지 코일들(RF)이 루프 형상으로 도시되고, 나머지 제1 감지 코일들(RF)은 루프 형상을 생략하고, 활성 영역(AA) 내에서 제2 방향(DR2)으로만 연장되도록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으로 생략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나머지 제1 감지 코일들(RF)도 루프 형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감지 코일들(RF) 각각은 복수개의 제1 연장 배선들(EL1) 및 복수개의 제1 연결 배선들(CL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 배선들(EL1)은 활성 영역(AA)에 배치되어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고,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감지 코일들(RF) 각각은, 한쌍의 제1 연장 배선들(EL1)을 포함하고, 한쌍의 제1 연장 배선들(EL1)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할 수 있다.
제1 감지 코일들(RF)의 제1 연장 배선들(EL1)은 활성 영역(AA)에서 한쌍씩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2 방향(DR2)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 배선들(EL1)은 개구부들(OP) 사이를 지나 연장할 수 있다. 제1 연장 배선들(EL1)은 폴딩부(FP)에서 개구부들(OP)의 테두리들을 따라 굴곡되도록 연장할 수 있다.
제1 연장 배선들(EL1)의 길이는 제1 연결 배선들(CL1)의 길이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장 배선들(EL1)은 제1 연결 배선들(CL1)보다 더 길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연결 배선들(CL1)은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되어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연결 배선들(CL1)은 좌우측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배선들(CL1)은 제1 연장 배선들(EL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지 코일들(RF) 각각의 제1 연결 배선들(CL1)은 제1 감지 코일들(RF) 각각의 제1 연장 배선들(EL1)의 양단들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장 배선들(EL1)은 제1 연결 배선들(CL1)과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배선들(CL1)은 제1 연장 배선들(EL1)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배선들(CL1)은 컨택홀들(CH)을 통해 제1 연장 배선들(EL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적층 구성은 이하 도 25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1)은 우측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된 제1 연결 배선들(CL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1)은 제1 연장 배선들(EL1)과 동일층에 배치되고, 제1 연결 배선들(CL1)과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배선들(CL1)은 제1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1)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배선들(CL1)은 컨택홀들(CH)을 통해 제1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장 배선들(EL1) 각각은 제1 및 제2 비폴딩부들(NFP1,NFP2)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연장부들(EX1) 및 폴딩부(FP)의 곡면부(CSP)에 배치되는 제1 패턴부(P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들(EX1)은 제1 및 제2 비폴딩부들(NFP1,NFP2)에서 각각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연장부들(EX1)은 제1 및 제2 역곡률부들(ICV1,ICV2) 및 제1 및 제2 연장부들(EXP1,EXP2)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패턴부(PP1)는 개구부들(OP) 사이를 지나 연장할 수 있다. 제1 패턴부(PP1)는 폴딩부(FP)에서 개구부들(OP)의 테두리들을 따라 굴곡되도록 연장할 수 있다. 제1 패턴부(PP1)는 제1 연장부들(EX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1 패턴부(PP1)는 제1 연장부들(EX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디지타이저(DGT)는 복수개의 제2 감지 코일들(CF), 복수개의 브릿지 배선들(BL), 및 복수개의 제2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지 코일들(CF)은 제2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2)에 연결되고, 제2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2)은 커낵터(CNT)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감지 코일들(CF)은 제2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2)을 통해 커낵터(CNT)에 연결될 수 있다. 브릿지 배선들(BL)은 제2 감지 코일들(CF)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감지 코일들(CF)은 제2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2)과 함께 루프 형상을 이루도록 커낵터(CNT)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일부 제2 감지 코일들(CF)이 루프 형상으로 도시되고, 나머지 제2 감지 코일들(CF)은 루프 형상을 생략하고, 활성 영역(AA) 내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도록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으로 생략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나머지 제2 감지 코일들(CF)도 루프 형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브릿지 배선들(BL)은 제2 감지 코일들(CF)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브릿지 배선들(BL)은 복수개의 제1 브릿지 배선들(BL1), 복수개의 제2 브릿지 배선들(BL2), 및 복수개의 제3 브릿지 배선들(BL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서 일부 제1 브릿지 배선들(BL1), 일부 제2 브릿지 배선들(BL2), 및 일부 제3 브릿지 배선들(BL3)은 생략되었다.
제1 브릿지 배선들(BL1)은 디지타이저(DGT)의 상측 및 하측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브릿지 배선들(BL2) 및 제3 브릿지 배선들(BL3)은 디지타이저(DGT)의 상측에 인접한 제1 브릿지 배선들(BL1) 및 디지타이저(DGT)의 하측에 인접한 제1 브릿지 배선들(BL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릿지 배선들(BL1)은 개구부들(OP)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브릿지 배선들(BL1)은 제1 비폴딩 영역(NFP1)과 곡면부(CSP) 사이 및 제2 비폴딩 영역(NFP2)과 곡면부(CS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및 제3 브릿지 배선들(BL2,BL3)은 개구부들(OP)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브릿지 배선들(BL2)은 제2 비폴딩 영역(NFP2)과 곡면부(CS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브릿지 배선들(BL3)은 제1 비폴딩 영역(NFP1)과 곡면부(CS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제3 브릿지 배선들(BL3)은 제1 비폴딩 영역(NFP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감지 코일들(CF)은 복수개의 제2 연장 배선들(EL2), 복수개의 제2 연결 배선들(CL2), 복수개의 제2 패턴부들(PP2), 및 복수개의 제3 연결 배선들(CL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장 배선들(EL2)은 활성 영역(AA)에 배치되어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고,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연장 배선들(EL2)은 제1 및 제2 비폴딩부들(NFP1,NFP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장 배선들(EL2)은 제1 및 제2 연장부들(EXP1,EXP2) 및 제1 및 제2 역곡률부들(ICV1,ICV2)에 배치될 수 있다. 활성 영역(AA)에서 제2 연장 배선들(EL2)은 한쌍씩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1 방향(DR1)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 배선들(EL2)은 제1 연장 배선들(EL1)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활성 영역(AA)에서 제2 감지 코일들(CF)은 제1 감지 코일들(RF)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장 배선들(EL2)은 제1 연결 배선들(CL1)과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배선들(CL2)은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되어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연결 배선들(CL2)은 상측 및 하측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배선들(CL2)은 제1 연장 배선들(EL1)과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배선들(CL2)은 컨택홀들(CH')을 통해 제2 연장 배선들(EL2)의 양단들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배선들(CL2) 중 일부 제2 연결 배선들(CL2)은 컨택홀들(CH')을 통해 제1 브릿지 배선들(BL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패턴부들(PP2)은 폴딩부(FP)의 곡면부(CSP)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턴부들(PP2)은 개구부들(OP) 사이를 지나 연장할 수 있다. 제2 패턴부들(PP2)은 개구부들(OP)의 테두리들을 따라 굴곡되도록 연장할 수 있다. 제2 패턴부들(PP2)은 컨택홀들(CH')을 통해 제1, 제2, 및 제3 브릿지 배선들(BL1,BL2,BL3)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패턴부들(PP2)은 제2 연장 배선들(EL2)과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턴부들(PP2)은 제1 패턴부들(PP1)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턴부들(PP2)은 제1 브릿지 배선들(BL1)에 연결된 제2-1 패턴부들(PP2-1) 및 제2 및 제3 브릿지 배선들(BL2,BL3)에 연결된 제2-2 패턴부들(PP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폴딩부(NFP1)에 배치된 일부 제2 연결 배선들(CL2) 및 제2 비폴딩부(NFP2)에 배치된 일부 제2 연결 배선들(CL2)은 제1 브릿지 배선들(BL1) 및 제2-1 패턴부들(PP2-1)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2)은 커낵터(CNT)에 연결되어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2)은 전술한 제1 연장 배선들(EL1)과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2) 중 일부는 제2 연결 배선들(CL2)에 연결되고, 다른 일부는 활성 영역(AA)으로 연장하여 일부 제2 연장 배선들(EL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2)은 복수개의 제2-1 배선들(L2-1), 복수개의 제2-2 배선들(L2-2), 및 복수개의 제2-3 배선들(L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배선들(L2-1)은 우측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될 수 있다. 제2-1 배선들(L2-1)은 컨택홀들(CH')을 통해 제3 연결 배선들(CL3)에 연결될 수 있다. 제2-1 배선들(L2-1)은 제3 연결 배선들(CL3)을 통해 제2 연결 배선들(CL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2 배선들(L2-2)은 제2 비폴딩 영역(NFP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2 배선들(L2-2)은 활성 영역(AA)으로 연장하여, 컨택홀들(CH')을 통해 일부 제2 연장 배선들(EL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2 배선들(L2-2)은 활성 영역(AA)에 배치된 일부 제2 연장 배선들(EL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2 배선들(L2-2)은 제2 연장 배선들(EL2)과 함께 루프 형상을 이루도록 제2 연장 배선들(EL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장 배선들(EL2) 중 일부 제2 연장 배선들(EL2) 각각은 제2-1 연장 배선(EL2-1), 제2-2 연장 배선(EL2-2), 및 제2-3 연장 배선(EL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연장 배선(EL2-1)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여, 컨택홀들(CH')을 통해 대응하는 한쌍의 제2 연결 배선들(CL2)의 일단들에 연결될 수 있다.
제2-2 연장 배선(EL2-2) 및 제2-3 연장 배선(EL2-3)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여, 컨택홀들(CH')을 통해 대응하는 한쌍의 제2 연결 배선들(CL2)의 타단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활성 영역(AA)에서 제2-2 연장 배선(EL2-2) 및 제2-3 연장 배선(EL2-3)은, 컨택홀들(CH')을 통해 대응하는 한쌍의 제2-2 배선들(L2-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3 배선들(L2-3)은, 제2 비폴딩 영역(NFP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3 배선들(L2-3)은 활성 영역(AA)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3 배선들(L2-3)은, 활성 영역(AA)에서 컨택홀들(CH')을 통해 제2 브릿지 배선들(BL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브릿지 배선들(BL2)은 컨택홀들(CH')을 통해 제2-2 패턴부들(PP2-2)에 연결될 수 있다. 한쌍의 제2-3 배선들(L2-3)이 대응하는 한쌍의 제2 브릿지 배선들(BL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2 패턴부들(PP2-2)은 컨택홀들(CH')을 통해, 제1 비폴딩 영역(NFP1)에 배치된 일부 제2 연장 배선들(EL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폴딩 영역(NFP1)에 배치된 일부 제2 연장 배선들(EL2) 각각의 제2-2 연장 배선(EL2-2) 및 제2-3 연장 배선(EL2-3)은 대응하는 한쌍의 제2-2 패턴부들(PP2-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한쌍의 제2-2 패턴부들(PP2-2)은 대응하는 한쌍의 제3 브릿지 배선들(BL3)을 통해 제2-2 연장 배선(EL2-2) 및 제2-3 연장 배선(EL2-3)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2 패턴부들(PP2-2)과 제2-2 및 제2-3 연장 배선들(EL2-2,EL2-3)의 끝단들 사이에 제3 브릿지 배선들(BL3)이 배치될 수 있다.
제2-2 패턴부들(PP2-2)은 컨택홀들(CH')을 통해, 제3 브릿지 배선들(BL3)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브릿지 배선들(BL3)은 컨택홀들(CH')을 통해, 제2-2 연장 배선(EL2-2) 및 제2-3 연장 배선(EL2-3)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비폴딩 영역(NFP1)에 배치된 일부 제2 연장 배선들(EL2) 각각은, 대응하는 한쌍의 제3 브릿지 배선들(BL3) 및 대응하는 한쌍의 제2-2 패턴부들(PP2-2)을 통해 대응하는 한쌍의 제2 브릿지 배선들(BL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에 따라, 제2 연장 배선들(EL2), 제3 브릿지 배선들(BL2), 제2-2 패턴부들(PP2-2), 제2 브릿지 배선들(BL2), 및 제2-3 배선들(L2-3)은 루프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2 패턴부들(PP2)이 배치되지 않은 개구부들(OP) 사이에는 복수개의 더미 패턴부들(DPT)이 배치될 수 있다. 더미 패턴부들(DPT)은 주변 도전체들과 절연되어 플로팅 상태일 수 있다.
제3 연결 배선들(CL3)은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되어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3 연결 배선들(CL3)은 좌우측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될 수 있다.
우측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된 제3 연결 배선들(CL3)은 컨택홀들(CH')을 통해 제2 비폴딩부(NFP2)에 배치된 제2 연결 배선들(CL2) 및 제2-1 배선들(L2-1)에 연결될 수 있다. 좌측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된 제3 연결 배선들(CL3)은 컨택홀들(CH')을 통해 제1 비폴딩부(NFP1)에 배치된 제2 연결 배선들(CL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라, 제2 감지 코일들(CF)이 코일 형상을 갖도록 커낵터(CNT)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감지 코일들(CF)은 구동 코일들로 정의되고, 제1 감지 코일들(RF)은 감지 코일들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제2 감지 코일들(CF)에 전류가 흐르면, 제2 감지 코일들(CF)과 제1 감지 코일들(RF) 사이에 자기력선이 유도될 수 있다. 제1 감지 코일들(RF)은 전자기 펜에서 방출된 유도 전자기력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로써 제1 감지 코일들(RF) 각각의 일 단자들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디지타이저(DGT)는 복수개의 더미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미 배선들은 이하,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될 것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폴딩부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개구부들(OP)은 k 번째 행으로 배열된 제1 개구부들(OP1) 및 k+1 번째 행으로 배열될 제2 개구부들(O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부들(OP1) 및 제2 개구부들(OP2)은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행은 제2 방향(DR2)에 대응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제1 개구부들(OP1)의 개수가 제2 개구부들(OP2)의 개수보다 작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연장 배선들(EL1)은 제1 개구부들(OP1) 및 제2 개구부들(OP2) 사이를 지나 연장할 수 있다. 제1 연장 배선들(EL1)은 제1 개구부들(OP1)의 테두리들 및 제2 개구부들(OP2)의 테두리들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제1 연장 배선들(EL1)은 제1 개구부들(OP1)의 테두리들 및 제2 개구부들(OP2)의 테두리들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굴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부들(PP1)은 제1 개구부들(OP1) 및 제2 개구부들(OP2) 사이에서, 제1 개구부들(OP1)의 테두리들 및 제2 개구부들(OP2)의 테두리들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굴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 배선들(EL1)은 제1 개구부들(OP1) 각각의 상부 테두리(UE1) 및 하부 테두리(LE1)에 인접하여 상부 테두리(UE1) 및 하부 테두리(LE1)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장 배선들(EL1)은 제2 개구부들(OP2) 각각의 상부 테두리(UE2) 및 하부 테두리(LE2)에 인접하여 상부 테두리(UE2) 및 하부 테두리(LE2)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부 테두리들(UE1,UE2) 각각은, 평면 상에서 봤을 때,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개구부들(OP) 각각의 중심부보다 위에 형성된 개구부들(OP) 각각의 부분의 테두리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테두리들(LE1,LE2) 각각은, 평면 상에서 봤을 때,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개구부들(OP) 각각의 중심보다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들(OP) 각각의 부분의 테두리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연장 배선들(EL1) 중 서로 인접한 한쌍의 제1 연장 배선들(EL1)은 제1-1 연장 배선(EL1-1) 및 제1-2 연장 배선(EL1-2)로 정의될 수 있다. 제1-1 연장 배선들(EL1-1) 각각은 폴딩부(FP)에서 제1 개구부들(OP1) 각각의 상부 테두리(UE1) 및 제2 개구부들(OP2) 각각의 상부 테두리(UE2)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제1-2 연장 배선들(EL1-2) 각각은 폴딩부(FP)에서 제1 개구부들(OP1) 각각의 하부 테두리(LE1) 및 제2 개구부들(OP2) 각각의 하부 테두리(LE2)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패턴부들(PP1)은 제1 개구부들(OP1) 각각의 상부 테두리(UE1) 및 하부 테두리(LE1)에 인접하여 상부 테두리(UE1) 및 하부 테두리(LE1)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패턴부들(PP1)은 제2 개구부들(OP2) 각각의 상부 테두리(UE2) 및 하부 테두리(LE2)에 인접하여 상부 테두리(UE2) 및 하부 테두리(LE2)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일부 제1 연장 배선들의 확대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연장부들(EX1) 각각의 폭은 곡면부(CSP)에 배치된 제1 패턴부들(PP1) 각각의 폭보다 클 수 있다. 개구부들(OP) 사이의 면적이 제한되므로, 제1 연장 배선들(EL1)이 개구부들(OP) 사이를 통과하기 위해, 제1 연장 배선들(EL1)의 폭이 개구부들(OP) 사이에서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폭은 배선들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측정된 수치로 정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패턴부들(PP1) 각각의 폭은 40 내지 8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도 16은 도 14에 도 13에 도시된 제2 패턴부들을 더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16에서 제2 패턴부들(PP2)은 점선으로 도시되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2 패턴부들(PP2)은 제2 개구부들(OP2)의 각각의 상부 테두리(UE2) 및 하부 테두리(LE2)에 인접하여 상부 테두리(UE2) 및 하부 테두리(LE2)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제2 패턴부들(PP2)은 제1 개구부들(OP1)의 각각의 상부 테두리(UE1) 및 하부 테두리(LE1)를 따라 연장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패턴부들(PP2)은 상부 테두리(UE1) 및 하부 테두리(LE1) 주변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패턴부들(PP2)은 제1 패턴부들(PP1) 중 제1 개구부들(OP1)의 테두리들을 따라 연장하는 제1 패턴부들(PP1) 아래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패턴부들(PP2)은 제1 패턴부들(PP1) 중 제2 개구부들(OP2)의 테두리들을 따라 연장하는 제1 패턴부들(PP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패턴부들(PP2)과 제1 패턴부들(PP1)을 구분하기 위해 제2 패턴부들(PP2)을 제1 패턴부들(PP1)과 이격시켜 도시하였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평면 상에서 봤을 때, 제2 패턴부들(PP2)은 제2 개구부들(OP2)의 테두리들을 따라 연장하는 제1 패턴부들(PP1)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의 순차적인 층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17 내지 도 19에는 활성 영역(AA)이 도시되었다. 도 17 부터 도 19 까지 배치된 층들은 상부에서 하부로 적층된 구조이며, 이하, 도 17 부터 도 19에 도시된 층들은 제1, 제2, 및 제3 층들(LY1,LY2,LY3)로 각각 정의된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디지타이저(DGT)는 제1, 제2, 및 제3 층들(LY1,LY2,LY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배선들은 제1, 제2, 및 제3 층들(LY1,LY2,LY3)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활성 영역(AA)에서 최상층인 제1 층(LY1)에는 제1 감지 코일들(RF)의 제1 연장 배선들(EL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층(LY1)에는 제2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2)이 배치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DGT)는 제1 층(LY1)에 배치된 제1 더미 배선들(DML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더미 배선들(DML1)은 제1 감지 코일들(RF)의 제1 연장 배선들(EL1)과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더미 배선들(DML1)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여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더미 배선들(DML1)은 폴딩축(FX)에 평행하게 연장할 수 있다. 제1 더미 배선들(DML1)은 제1 감지 코일들(RF)의 제1 연장 배선들(EL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봤을 때, 제1 더미 배선들(DML1)은 곡면부(CSP)에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더미 배선들(DML1)은 곡면부(CSP)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봤을 때, 제1 더미 배선들(DML1)은 제1 및 제2 역곡률부들(ICV1,ICV2) 및 제1 및 제2 비폴딩부들(NFP1,NFP2)에 중첩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제1 층(LY1) 아래에 제2 층(LY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층(LY2)에는 제2 감지 코일들(CF)의 제2 연장 배선들(EL2)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층(LY2)에는 제2 패턴부들(PP2) 및 더미 패턴부들(DPT)이 배치될 수 있다.
활성 영역(NAA)에서, 제2 감지 코일들(CF)의 제2 연장 배선들(EL2), 제2 패턴부들(PP2), 및 더미 패턴부들(DPT)은 제1 감지 코일들(RF)의 제1 연장 배선들(EL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DGT)는 제2 층(LY2)에 배치된 제2 더미 배선들(DM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더미 배선들(DML2)은 제2 감지 코일들(CF)의 제2 연장 배선들(EL2)과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더미 배선들(DML2)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여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더미 배선들(DML2)은 폴딩축(FX)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더미 배선들(DML2)은 제2 감지 코일들(CF)의 제2 연장 배선들(EL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봤을 때, 제2 더미 배선들(DML2)은 곡면부(CSP)에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더미 배선들(DML2)은 곡면부(CSP)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봤을 때, 제2 더미 배선들(DML2)은 제1 및 제2 역곡률부들(ICV1,ICV2) 및 제1 및 제2 비폴딩부들(NFP1,NFP2)에 중첩할 수 있다.
도 17,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2 층(LY2) 아래에 제3 층(LY3)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층(LY3)에는 브릿지 배선들(BL)이 배치될 수 있다. 활성 영역(AA)에서 브릿지 배선들(BL)은 제2 감지 코일들(CF)의 제2 연장 배선들(EL2), 제2 패턴부들(PP2), 및 더미 패턴부들(DPT)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DGT)는 제3 층(LY3)에 배치된 제3 더미 배선들(DML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더미 배선들(DML3)은 브릿지 배선들(BL)과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더미 배선들(DML3)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여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3 더미 배선들(DML3)은 폴딩축(FX)에 평행하게 연장할 수 있다. 제3 더미 배선들(DML3)은 브릿지 배선들(BL) 주변 및 브릿지 배선들(B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봤을 때, 제3 더미 배선들(DML3)은 곡면부(CSP)에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3 더미 배선들(DML3)은 곡면부(CSP)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봤을 때, 제3 더미 배선들(DML3)은 제1 및 제2 역곡률부들(ICV1,ICV2) 및 제1 및 제2 비폴딩부들(NFP1,NFP2)에 중첩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DML1,DML2,DML3)은 제1 및 제2 감지 코일들(RF,CF) 및 브릿지 배선들(BL)과 분리되어 플로팅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DML1,DML2,DML3) 중 적어도 2 종류의 더미 배선들은 같은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3 더미 배선들(DML1,DML3)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더미 배선들(DML2)은 제1 및 제3 더미 배선들(DML1,DML3)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더미 배선들(DML2)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더미 배선들(DML1,DML2)이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3 더미 배선들(DML3)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DML2,DML3)이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고, 제1 더미 배선들(DML1)이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DML1,DML2,DML3)이 디지타이저(DGT)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제1 감지 코일들(RF) 및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제2 감지 코일들(CF)이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다. 브릿지 배선들(BL)의 주변 영역에 별도의 배선들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브릿지 배선들(BL)도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감지 코일들(RF) 사이, 제2 감지 코일들(CF) 사이, 및 브릿지 배선들(BL) 주변에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DML1,DML2,DML3)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감지 코일들(RF), 제2 감지 코일들(CF), 및 브릿지 배선들(BL)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제1 구조물들이 서로 멀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2개의 제1 구조무들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될 경우, 2개의 제1 구조물들은 외부에서 잘 시인될 수 있다. 빈 공간이 클수록, 띄엄띄엄 배치된 구조물들은 외부에서 잘 시인될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제1 구조물들 사이의 빈 공간이 복수개의 제2 구조물들로 채워질 경우, 다수의 제1 및 제2 구조물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빈 공간이 축소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로 이격된 2개의 제1 구조물은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제1 더미 배선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제2 더미 배선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 더미 배선들(DML1)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더미 배선들(DML1) 중 일부 제1 더미 배선들(DML1)의 상단들이 서로 연결되고, 일부 제1 더미 배선들(DML1)의 하단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2 더미 배선들(DML2)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더미 배선들(DML2) 중 일부 제2 더미 배선들(DML2)의 일측들이 서로 연결되고, 일부 제2 더미 배선들(DML2)의 타측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및 제2 더미 배선들(DML1,DML2)과 유사하게 제3 더미 배선들(DML3)도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2는 도 18에 도시된 제2 더미 배선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도 19, 및 도 22를 참조하면, 제2 더미 배선들(DML2')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여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더미 배선들(DML2')은 제2 연장 배선들(EL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DML1,DML2',DML3)은 같은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DML1,DML2',DML3)은 폴딩축(FX)에 평행한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 23은 도 17,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배선들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23에는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DML1,DML2,DML3)이 도시되고, 다른 배선들은 생략되었다.
도 17, 도 18, 도 19, 및 도 23을 참조하면, 디지타이저(DGT)는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로 적층된 제1 지지층(GF1), 제2 지지층(GF2), 제3 지지층(GF3), 및 제4 지지층(GF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지지층들(GF1,GF2,GF3,GF4)은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더미 배선들(DML3)은 제1 지지층(GF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3 더미 배선들(DML3)과 동일층에 배치된 브릿지 배선들(BL)도 제1 지지층(GF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층(GF2)은 제1 지지층(GF1) 및 제3 더미 배선들(DML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더미 배선들(DML2)은 제2 지지층(GF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더미 배선들(DML2)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2 감지 코일들(CF)의 제2 연장 배선들(EL2)도 제2 지지층(GF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지지층(GF3)은 제2 지지층(GF2) 및 제2 더미 배선들(DML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더미 배선들(DML1)은 제3 지지층(GF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더미 배선들(DML1)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1 감지 코일들(RF)의 제1 연장 배선들(EL1)도 제3 지지층(GF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지지층(GF4)은 제1 더미 배선들(DML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디지타이저(DGT)는 제1, 제2, 제3, 및 제4 지지층들(GF1,GF2,GF3,GF4)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DML1,DML2,DML3)을 커버하는 복수개의 절연층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제1, 제2, 제3, 및 제4 지지층들 각각의 평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1, 제2, 제3, 및 제4 지지층들(GF1,GF2,GF3,GF4)은 섬유 라인들(FL1, FL2)을 포함할 수 있다. 섬유 라인들(FL1, FL2)은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일 수 있다. 섬유 라인들(FL1, FL2)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교번 배열되어 평면상에서 직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지지층들(GF1,GF2,GF3,GF4) 각각의 제1 방향(DR1)에 대한 모듈러스는 제1, 제2, 제3, 및 제4 지지층들(GF1,GF2,GF3,GF4) 각각의 제2 방향(DR2)에 대한 모듈러스와 같을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지지층들(GF1,GF2,GF3,GF4) 각각은 제1 방향(DR1)에 대해 휘어지거나 제2 방향(DR2)에 대해 휘어질 때, 동일한 굽힘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제2, 제3, 및 제4 지지층들(GF1,GF2,GF3,GF4)은 등방성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제2, 제3, 및 제4 지지층들(GF1,GF2,GF3,GF4) 각각의 모듈러스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대해 15 기가 파스칼(GPa) 내지 28 기가 파스칼(GPa)일 수 있다.
도 25는 도 12에 도시된 제1 연장 배선과 제1 연결 배선들의 연결 구성 및 도 13에 도시된 제2-2 패턴부와 브릿지 배선들의 연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25에서,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DML1,DML2,DML3)은 생략되었다.
도 25를 참조하면, 제1 지지층(GF1) 상에 제2 브릿지 배선(BL2) 및 제3 브릿지 배선(BL3)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층(GF2) 상에 제2-2 패턴부(PP2-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2 패턴부(PP2-2)는 제2 지지층(GF2)에 정의된 컨택홀들(CH')을 통해 제2 브릿지 배선(BL2) 및 제3 브릿지 배선(BL3)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지지층(GF2) 상에 제1 연결 배선들(CL1)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지지층(GF3) 상에 제1 연장 배선(EL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장 배선(EL1)은 제3 지지층(GF3)에 정의된 컨택홀들(CH)을 통해 제1 연결 배선들(CL1)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연장 배선(EL1)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2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도 제3 지지층(GF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3 배선들(L2-3)은 제3 지지층(GF3) 및 제2 지지층(GF2)에 정의된 컨택홀들을 통해 제2 브릿지 배선들(BL2)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나머지 배선들의 연결 구성들은 도 25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6은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이 배치된 디지타이저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26에는 일부 제1 더미 배선들(DML1)이 점선으로 도시되었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제1 및 제3 더미 배선들(DML1,DML3)이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2 더미 배선들(DML2)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제1 및 제3 더미 배선들(DML1,DML3)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2 더미 배선들(DML2)보다 많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제1, 제2, 제3, 및 제4 지지층들(GF1,GF2,GF3,GF4)이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대해 동일한 모듈러스를 가지더라도, 디지타이저(DGT)는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대해 다른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DML1,DML2,DML3)이 배치될 때, 디지타이저(DGT)는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대해 다른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즉, 디자타이저(DGT)는 이방성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디지타이저(DGT)의 제1 방향(DR1)에 대한 모듈러스는 디지타이저(DGT)의 제2 방향(DR2)에 대한 모듈러스보다 클 수 있다. 즉, 디지타이저(DGT)의 제1 방향(DR1)에 대한 굽힘 강도는 디지타이저(DGT)의 제2 방향(DR2)에 대한 굽힘 강도보다 클 수 있다.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3 더미 배선들(DML1,DML3)에 의해 디지타이저(DGT)의 제2 방향(DR2)에 대한 모듈러스가 작아져 디지타이저(DGT)의 제2 방향(DR2)에 대한 굽힘 강도가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디지타이저(DGT)의 폴딩부(FP)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폴딩축(FX)을 중심으로 제2 방향(DR2)으로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2 방향(DR2)에 대한 디지타이저(DGT)의 모듈러스는 20 기가 파스칼(GPa) 내지 35 기가 파스칼(GPa)일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더미 배선들(DML2')까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여,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DML1,DML2',DML3) 모두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면, 디지타이저(DGT)의 제2 방향(DR2)에 대한 굽힘 강도가 더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디지타이저(DGT)의 폴딩부(FP)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폴딩축(FX)을 중심으로 제2 방향(DR2)으로 더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폴딩부(FP)가 보다 용이하게 휘어지므로, 제1 및 제2 역곡률부들(ICV1,ICV2)이 보다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디지타이저(DGT)의 제2 방향(DR2)에 대한 모듈러스가 작아지므로, 제1 및 제2 역곡률부들(ICV1,ICV2)이 제2 방향(DR2)으로 보다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역곡률부들(ICV1,ICV2)을 보다 용이하게 휘기 위해, 제1 및 제2 역곡률부들(ICV1,ICV2)에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홈들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요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DML1,DML2,DML2',DML3) 중 적어도 2종류의 더미 배선들이 폴딩축(FX)에 평행하게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타이저(DGT)의 제2 방향(DR2)에 대한 굽힘 강도가 작아지므로, 홈들을 형성할 필요없이 제1 및 제2 역곡률부들(ICV1,ICV2)이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DML1,DML2,DML2',DML3)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DML1,DML2,DML2',DML3)은 방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 장치(DD)는 방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방열층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DD)의 두께가 작아질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의 순차적인 층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타이저(DGT)는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층들(LY1,LY2,LY3)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28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층들(LY1,LY2,LY3,LY4)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구성들과 다른 구성들을 위주로, 도 28 내지 도 31에 도시된 구성들이 설명될 것이다.
도 28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디지타이저(DGT)는 제1, 제2, 제3, 및 제4 층들(LY1,LY2,LY3,LY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배선들은 제1, 제2, 제3, 및 제4 층들(LY1,LY2,LY3,LY4)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제1 감지 코일(RF)은 제1 층(LY1)에 배치된 제1-1 감지 코일들(RF1-1) 및 제1 층(LY1)에 배치된 제1-2 감지 코일들(RF1-2)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 영역(AA)에서 제1-1 감지 코일들(RF1-1)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고 제1 개구부들(OP1)의 테두리들을 따라, 굴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활성 영역(AA)에서 제1-2 감지 코일들(RF1-2)은 제1-1 감지 코일들(RF1-1)과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활성 영역(AA)에서 제1-2 감지 코일들(RF1-2)은 제1-1 감지 코일들(RF1-1)과 이격되어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2 감지 코일들(RF1-2)은 제1 및 제2 비폴딩부들(NFP1,NFP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2 감지 코일들(RF1-2)은 제1 및 제2 역곡률부들(ICV1,ICV2) 및 제1 및 제2 연장부들(EXP1,EXP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2 감지 코일들(RF1-2)은 제2 개구부들(OP2)의 테두리들을 따라 연장하지 않을 수 있다. 제1-2 감지 코일들(RF1-2)은 곡면부(CSP)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2 감지 코일들(RF1-2)은 곡면부(CSP)에서 분리되어 제1 및 제2 비폴딩부들(NFP1,NFP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7과 달리 제2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2)은 제1 층(LY1)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더미 배선들(DML1)은 제1 층(LY1)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1-1 더미 배선들(DML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더미 배선들(DML1)은 제1-1 및 제1-2 감지 코일들(RF1-1,RF1-2)과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1-1 더미 배선들(DML1-1)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여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1 더미 배선들(DML1-1)은 제1 및 제2 비폴딩부들(NFP1,NFP2) 및 제1 및 제2 역곡률부들(ICV1,ICV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1 더미 배선들(DML1-1)은 제1-1 및 제1-2 감지 코일들(RF1-1,RF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제1 감지 코일(RF)은 제2 층(LY2)에 배치된 연결 패턴부들(CPP)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패턴부들(CPP)은 제2 개구부들(OP2)의 테두리들을 따라, 굴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제1 패턴부들(PP1) 중 제1 개구부들(OP1)의 테두리들을 따라 배치된 제1 패턴부들(PP1)이 도 28에서 제1 층(LY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제1 패턴부들(PP1) 중 제2 개구부들(OP2)의 테두리들을 따라 배치된 제1 패턴부들(PP1)이 연결 패턴부들(CPP)로 정의되어 도 29에서 제2 층(LY2)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패턴부들(CPP)은 컨택홀들(CH'')을 통해 제1-2 감지 코일들(RF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더미 배선들(DML1)은 제2 층(LY2)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1-2 더미 배선들(DML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 더미 배선들(DML1-2)은 연결 패턴부들(CPP)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2 더미 배선들(DML1-2)은 제1 및 제2 비폴딩부들(NFP1,NFP2) 및 제1 및 제2 역곡률부들(ICV1,ICV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2 더미 배선들(DML1-2)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여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제3 층(LY3)에는 제2 감지 코일들(CF), 제2 패턴부들(PP2), 및 더미 패턴부들(DPT)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층(LY3)에 제2 더미 배선들(DML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더미 배선들(DML2)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여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더미 배선들(DML2)은 제2 감지 코일들(CF)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더미 배선들(DML2)은 실질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구성과 같을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제4 층(LY4)에는 브릿지 배선들(BL) 및 제2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브릿지 배선들(BL2)은 제2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2)의 제2-3 배선들(L2-3)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4 층(LY4)에 제3 더미 배선들(DML3)이 배치될 수 잇다. 제3 더미 배선들(DML3)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여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3 더미 배선들(DML3)은 브릿지 배선들(BL) 주변, 브릿지 배선들(BL) 사이, 및 제2 커낵터 연결 배선들(CCL2)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제1-1 더미 배선들(DML1-1), 제1-2 더미 배선들(DML1-2), 및 제3 더미 배선들(DML3)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고, 제2 더미 배선들(DML2)은 제2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 32는 도 28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배선들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32에는 제1-1, 제1-2,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DML1-1,DML1-2,DML2,DML3)이 도시되고, 다른 배선들은 생략되었다.
도 28 내지 도 32를 참조하면, 디지타이저(DGT)는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로 적층된 제1, 제2, 제3, 제4, 및 제5 지지층들(GF1,GF2,GF3,GF4,GF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제3, 제4, 및 제5 지지층들(GF1,GF2,GF3,GF4,GF5)은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더미 배선들(DML3)은 제1 지지층(GF1) 상에 배치되고, 제2 더미 배선들(DML2)은 제2 지지층(GF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2 더미 배선들(DML1-2)은 제3 지지층(GF3) 상에 배치되고, 제4 지지층(GF4) 상에 제1-1 더미 배선들(DML1-1)이 배치될 수 있다. 제4 지지층(GF4) 및 제1-1 더미 배선들(DML1-1) 상에 제5 지지층(GF5)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3은 도 32에 도시된 디지타이저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제1-1, 제1-2, 및 제3 더미 배선들(DML1-1, DML1-2, DML3)이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2 더미 배선들(DML2)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제1-1, 제1-2, 및 제3 더미 배선들(DML1-1, DML1-2, DML3)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2 더미 배선들(DML2)보다 많을 수 있다.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제1-1, 제1-2, 및 제3 더미 배선들(DML1-1, DML1-2, DML3)에 의해 디지타이저(DGT)의 제2 방향(DR2)에 대한 모듈러스가 작어져 디지타이저(DGT)의 제2 방향(DR2)에 대한 굽힘 강도가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폴딩부(FP)가 제1 방향(DR1)에 평행한 폴딩축(FX)을 중심으로 제2 방향(DR2)으로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역곡률부들(ICV1,ICV2)이 제2 방향(DR2)으로 보다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도 34 및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도 28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배선들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2에 도시된 구성과 다른 구성들을 위주로, 도 34 및 도 35에 도시된 구성들이 설명될 것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제1 지지층(GF1)은 제1 지지 필름(FM1) 및 제1 접착층(AL1)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지지층(GF5)은 제2 지지 필름(FM2) 및 제2 접착층(A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더미 배선들(DML3)은 제1 지지 필름(FM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층(AL1)은 제3 더미 배선들(DML3)과 제1 지지 필름(FM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더미 배선들(DML3)은 제1 접착층(AL1)에 의해 제1 지지 필름(FM1)에 부착될 수 있다.
제4 지지층(GF4) 상에 제2 지지 필름(FM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 필름(FM2)은 제1-1 더미 배선들(DML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 필름(FM2)과 제1-1 더미 배선들(DML1-1) 사이에 제2 접착층(AL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 필름(FM2)은 제2 접착층(AL2)에 의해 제1-1 더미 배선들(DML1-1)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 필름들(FM1,FM2)은 폴리 이미드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접착층들(AL1,AL2)은 감압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제1 지지층(GF1) 및 제5 지지층(GF5)은 제2 내지 제4 지지층들(GF2~GF4)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층(GF1) 및 제5 지지층(GF5)은 PSR(photo sensitive resist)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층(GF1) 및 제5 지지층(GF5)은 코팅층일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DP: 표시 패널
DGT: 디지타이저 RF: 제1 감지 코일
CF: 제2 감지 코일 EL1: 제1 연장 배선
EL2: 제2 연장 배선 PP: 패턴부
BL: 브릿지 배선 CL1: 제1 연결 배선
CL2: 제2 연결 배선 PP1: 제1 패턴부
PP2: 제2 패턴부
DGT: 디지타이저 RF: 제1 감지 코일
CF: 제2 감지 코일 EL1: 제1 연장 배선
EL2: 제2 연장 배선 PP: 패턴부
BL: 브릿지 배선 CL1: 제1 연결 배선
CL2: 제2 연결 배선 PP1: 제1 패턴부
PP2: 제2 패턴부
Claims (22)
-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 사이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활성 영역 및 상기 활성 영역 주변의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된 디지타이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기 활성 영역에 배치된 제1 감지 코일;
상기 제1 감지 코일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1 더미 배선;
상기 활성 영역에서 상기 제1 감지 코일 아래에 배치된 제2 감지 코일;
상기 제2 감지 코일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2 더미 배선;
상기 제2 감지 코일 아래에 배치된 브릿지 배선; 및
상기 브릿지 배선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3 더미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 중 적어도 2개의 더미 배선들은 같은 방향으로 연장하는 표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더미 배선들은 같은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더미 배선은 상기 제1 및 제3 더미 배선들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표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은 같은 방향으로 연장하는 표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은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코일들 및 상기 브릿지 배선과 분리되어 플로팅 상태인 표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코일들 각각, 및 상기 브릿지 배선은 복수개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들은 상기 복수개의 제1 감지 코일들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더미 배선들은 상기 복수개의 제2 감지 코일들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들 중 일부 제1 더미 배선들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더미 배선들 중 일부 제2 더미 배선들은 서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브릿지 배선들 중 한쌍의 브릿지 배선은, 상기 복수개의 제2 감지 코일들 중 대응하는 제2 감지 코일과 루프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대응하는 제2 감지 코일에 연결된 표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은 제1 방향에 평행한 폴딩축을 중심으로 폴딩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표시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더미 배선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더미 배선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표시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표시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코일은,
제1-1 감지 코일;
상기 제1-1 감지 코일과 동일층에 배치되어 상기 제1-1 감지 코일과 이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에 각각 배치된 제1-2 감지 코일들; 및
상기 제1-1 및 제1-2 감지 코일들 아래에서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에 배치된 상기 제1-2 감지 코일들을 연결하는 연결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더미 배선은,
상기 제1-1 및 제1-2 감지 코일들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1-1 더미 배선; 및
상기 연결 패턴부와 동일층에 배치된 제1-2 더미 배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더미 배선, 상기 제1-2 더미 배선, 및 상기 제3 더미 배선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더미 배선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표시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로 적층된 제1 지지층, 제2 지지층, 제3 지지층, 및 제4 지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 배선과 상기 제3 더미 배선은 상기 제1 지지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감지 코일과 상기 제2 더미 배선은 상기 제2 지지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감지 코일과 상기 제1 더미 배선은 상기 제3 지지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지지층은 상기 제1 감지 코일과 상기 제1 더미 배선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지지층들은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봤을 때,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하는 상기 디지타이저의 폴딩부에 복수개의 개구부들이 정의되고,
상기 개구부들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h 번째 열에 배치된 개구부들 및 h+1 번째 열에 배치된 개구부들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상기 열은 상기 제1 방향에 대응되고, h는 자연수인 표시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코일은,
상기 활성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상기 개구부들을 지나 연장하는 제1 연장 배선들;
상기 비활성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연장 배선들의 양단들에 연결되는 제1 연결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감지 코일은,
상기 활성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2 연장 배선들; 및
상기 비활성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연장 배선들의 양단들에 연결되는 제2 연결 배선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 배선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에 중첩하는 상기 디지타이저의 제1 및 제2 비폴딩부들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연장부들; 및
상기 폴딩부에 배치되는 제1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부는 상기 제1 연장부들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제1 연장부들 각각의 폭은 상기 제1 패턴부의 폭보다 큰 표시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 배선들은, 상기 개구부들 중 k 번째 행으로 배열된 제1 개구부들의 상부 및 하부 테두리들 및 k+1 번째 행으로 배열된 제2 개구부들의 상부 및 하부 테두리들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행은 상기 제2 방향에 대응되고, k는 자연수인 표시 장치.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 코일은 상기 제1 개구부들의 상기 상부 및 하부 테두리들을 따라 연장하지 않고, 상기 제2 개구부들의 상기 상부 및 하부 테두리들을 따라 연장하는 제2 패턴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 배선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2 연결 배선들의 일단들에 연결된 제2-1 연장 배선; 및
상기 제2 연결 배선들의 타단들에 각각 연결된 제2-2 연장 배선 및 제2-3 연장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2 연장 배선 및 상기 제2-3 연장 배선은 상기 제2 패턴부들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브릿지 배선은 복수개로 제공되고, 상기 제2 패턴부들은 상기 복수개의 브릿지 배선들에 연결된 표시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개구부들이 정의된 곡면부; 및
상기 곡면부와 상기 제1 및 제2 비폴딩부를 사이에 배치된 제1 및 제2 역곡률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들은 상기 제1 및 제2 역곡률부들에 정의되지 않고, 평면 상에서 봤을 때, 상기 제1, 제2, 및 제3 더미 배선들은 상기 곡면부에 중첩하지 않고, 제1 및 제2 역곡률부들 및 상기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에 중첩하는 표시 장치. - 제1 감지 코일;
상기 제1 감지 코일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1-1 더미 배선;
상기 제1 감지 코일 아래에 배치된 연결 패턴부;
상기 연결 패턴부와 동일층에 배치된 제1-2 더미 배선;
상기 연결 패턴부 아래에 배치된 제2 감지 코일;
상기 제2 감지 코일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2 더미 배선;
상기 제2 감지 코일 아래에 배치된 브릿지 배선; 및
상기 브릿지 배선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3 더미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1, 제1-2, 및 제3 더미 배선들은 같은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더미 배선은 상기 제1-1, 제1-2, 및 제3 더미 배선들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디지타이저. - 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은 제1 방향에 평행한 폴딩축을 중심으로 폴딩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활성 영역 및 상기 활성 영역 주변의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된 디지타이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기 활성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제1 감지 코일들;
상기 제1 감지 코일들과 동일층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감지 코일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1 더미 배선들;
상기 활성 영역에서 상기 제1 감지 코일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제2 감지 코일들;
상기 제2 감지 코일들과 동일층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감지 코일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2 더미 배선들;
상기 제2 감지 코일들 아래에 배치된 복수개의 브릿지 배선들; 및
상기 브릿지 배선들과 동일층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3 더미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3 더미 배선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더미 배선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65884A KR20240082456A (ko) | 2022-12-01 | 2022-12-01 | 디지타이저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US18/469,320 US20240184332A1 (en) | 2022-12-01 | 2023-09-18 | Digitiz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CN202311589466.5A CN118131936A (zh) | 2022-12-01 | 2023-11-27 | 包括数字化器的显示装置 |
EP23213657.2A EP4379514A1 (en) | 2022-12-01 | 2023-12-01 | Digitiz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65884A KR20240082456A (ko) | 2022-12-01 | 2022-12-01 | 디지타이저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82456A true KR20240082456A (ko) | 2024-06-11 |
Family
ID=8907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65884A KR20240082456A (ko) | 2022-12-01 | 2022-12-01 | 디지타이저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184332A1 (ko) |
EP (1) | EP4379514A1 (ko) |
KR (1) | KR20240082456A (ko) |
CN (1) | CN118131936A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124054B2 (ja) * | 2018-03-07 | 2022-08-23 | 株式会社ワコム | センサ |
KR20210142039A (ko) * | 2020-05-14 | 2021-11-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20220063796A (ko) * | 2020-11-09 | 2022-05-1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
2022
- 2022-12-01 KR KR1020220165884A patent/KR20240082456A/ko unknown
-
2023
- 2023-09-18 US US18/469,320 patent/US20240184332A1/en active Pending
- 2023-11-27 CN CN202311589466.5A patent/CN118131936A/zh active Pending
- 2023-12-01 EP EP23213657.2A patent/EP4379514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40184332A1 (en) | 2024-06-06 |
CN118131936A (zh) | 2024-06-04 |
EP4379514A1 (en) | 2024-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18497728U (zh) | 显示装置 | |
EP4400949A1 (en) |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same | |
US20230145647A1 (en) |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KR20210041664A (ko) | 표시 장치 | |
KR20220167819A (ko) | 표시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240082456A (ko) | 디지타이저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KR20230056821A (ko) | 전자 장치 | |
CN221125450U (zh) | 显示装置 | |
CN219553167U (zh) | 显示装置 | |
US12039138B1 (en) | Input sensing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20240284609A1 (en) |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settled cover layer | |
US20230195170A1 (en) | Display device | |
US20240211088A1 (en) | Input sensor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CN221040398U (zh) | 显示装置 | |
KR20240048607A (ko) | 표시 장치 | |
KR20240069919A (ko) | 표시 장치 | |
KR20240071450A (ko) | 입력 센싱부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KR20240159708A (ko)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 | |
KR20240062168A (ko) | 표시 장치 | |
KR20240003049A (ko) | 표시 장치 | |
CN118695719A (zh) | 显示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