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9989A -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9989A
KR20240079989A KR1020220163460A KR20220163460A KR20240079989A KR 20240079989 A KR20240079989 A KR 20240079989A KR 1020220163460 A KR1020220163460 A KR 1020220163460A KR 20220163460 A KR20220163460 A KR 20220163460A KR 20240079989 A KR20240079989 A KR 20240079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rimer composition
adhesion
functional sho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3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제환
정부영
천정미
Original Assignee
한국소재융합연구원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소재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소재융합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40079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998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1/00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1/003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26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28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09J123/286Chlorinated poly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2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pretreatment of the surfaces to be jo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62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fabrication of shoes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유무기 나노컴파운드, 점착부여제 및 3종 이상의 용제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페놀,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유해성 방향족 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에 대한 접착력 및 치수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유해성 방향족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의 접착성 및 치수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생분해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 등과 같은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와 접착제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분자설계로부터 조성물의 종류와 조성비를 선정하고, 또한 방향족 탄화수소계를 제외한 용제와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와의 상용성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PRIMER COMPOSITION FOR FUNCTIONAL DIFFICULTY ADHESION SHOE MATERIAL}
본 발명은 유해성 방향족 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생분해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 등과 같은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에 대한 접착력 및 치수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신발산업에서는 신발용 부품으로 에텔렌비닐아세테이트계 폼 소재가 미드솔 및 인솔 용도로 다수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 소재가 비극성이기 때문에 접착이 어려워 통상적으로 프라이머 처리에 의한 표면처리를 한 후 UV를 조사하고 프라이머 및 접착제 순으로 도포하여 신발용 부품들을 접착하고 있지만 저장 안정성 및 접착력을 신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에텔렌비닐아세테이트계 폼 소재와 같은 난접착 신발 소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극성 용제를 사용하여 프라이머를 제조하였으나 이는 작업자들의 건강을 저해하고 작업시 불쾌감을 유발하며 환경보호의 측면에서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가능한 자극적인 용제의 사용을 최대한 줄이고 프라이머의 접착력 등 접착물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연구개발들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1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8473호와 같은 프라이머 조성물을 선출원하였으며, 상기 선출원된 프라이머 조성물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에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접착증진제, 실란 커플링제, 저독성 용제를 사용하여 프라이머를 제조함으로써, 난접착성 신발소재에 대한 접착력을 향상시키면서도 작업자가 휘발성 유독 유기용제로부터 받는 위생성의 피해를 감소시켜 쾌적한 작업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최근 각종 산업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부품 소재들은 기능성과 환경친화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제품 사용 후 생태계에서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생분해성 소재를 사용하여 신발 부품을 제조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자연적으로 분해가 되지 않는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에 자연적으로 분해될 수 있는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등을 30~40%정도 사용하여 생분해성 신발용 폼을 제조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과 같은 프라이머 조성물은, 에텔렌비닐아세테이트계 폼 소재와 같은 난접착 신발 소재에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폴리락트산 등의 생분해성 물질이 포함된 난접착 신발 소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그 이유는, 폴리락트산 등의 생분해성 물질이 포함된 난접착 신발 소재에 단순히 방향족계 저독성 용제를 사용하면 프라이머의 주성분인 폴리머의 용해가 쉽지 않고 생분해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에 젖음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치수안정성이 저하되고 부품 표면이 훼손되어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생분해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 등과 같은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유해성 방향족 용제와 화합물 및 장기적으로 작업자의 건강 및 환경을 해칠 수 있는 할로겐 함유 수지를 사용하지 않는 프라이머 조성물이 부재한 실정이며, 이에 대한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8473호 "접착보강용 프라이머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유무기 나노컴파운드, 점착부여제 및 3종 이상의 용제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페놀,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유해성 방향족 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에 대한 접착력 및 치수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성 방향족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의 접착성 및 치수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생분해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 등과 같은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와 접착제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분자설계로부터 조성물의 종류와 조성비를 선정하고, 또한 방향족 탄화수소계를 제외한 용제와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와의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2 ~ 6 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0 ~ 2.5 중량% 및 유무기 나노컴파운드 0.5 ~ 1.5 중량%, 점착 부여제 0.5 ~ 1.5 중량% 및 용제 88.5 ~ 96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해성 방향족 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에 대한 접착력 및 치수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소재가 사용되는 분야인 신발 산업 뿐만 아니라 가구 산업 분야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도 널리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본 발명은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용 프라이머(primer)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부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modified chlorinated polyolefin) 수지 2 ~ 6 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수지 1.0 ~ 2.5 중량% 및 유무기 나노컴파운드(organic-inorganic nano compound) 0.5 ~ 1.5 중량%, 점착 부여제 0.5 ~ 1.5 중량% 및 용제 88.5 ~ 96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는 피착재의 표면젖음성 및 응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며, 그 함량이 2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기재에 대한 부착성, 내알칼리성 등의 화학적 성능이 저하되어 접착력이 감소하게 될 우려가 있으며, 6 중량%를 초과할 경우 고가의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사용량에 따른 가격이 상승하므로 이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상승 정도를 고려할 때 경제적으로 타당하지 않으며. 또한 수지 용액의 점도가 증가하고 작업성 및 용제에 대한 용해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는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관능성 액시드계 모노머(acid based monomer) 5 ~ 30 중량부를 그라프트(graft)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염화도가 10 ~ 50 중량%이고 연화점이 40 ~ 120℃인 염화폴리프로필렌(chlorinated polypropylene)이나 염화폴리에틸렌(chlorinatedpolyethylene) 등의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관능성 액시드계 모노머를 5 ~ 30 중량부를 사용하여 그라프트 중합하는데, 액시드계 모노머의 사용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프라이머의 접착력이 향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30 중량부를 초과될 경우 분자량이 감소하여 오히려 피착제에 대한 계면 응집력이 낮아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시드계 모노머로는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염산, 옥살산, 말산, 안식향산, 황산, 아미노산(amino acid), 구연산,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질산, 아세트산(acetic acid)류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그라프트 중합 시, 반응개시제인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를 희석시킨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접착강도, 내노화성, 응집력이 우수하고 높은 강도를 발현하는 수지로서, 취급하기에 용이하고 다른 수지와의 혼합이 용이하며, 그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응집력이 저하되어 접착력이 감소하게 될 우려가 있고, 2.5 중량%를 초과하면 프라이머의 점도가 증가하여 작업성이 떨어져 접착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프라이머의 사용량이 많아져 경제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점도가 10 ~ 1000 cps인 것이 바람직하며, 점도가 10 cps 미만일 경우에는 응집력이 떨어지며, 1000 cps를 초과할 경우에는 프라이머의 점도가 증가하여 작업성이 떨어지고 저독성 용제에 대하여 용해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방향족 및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를 사용한 경우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무기 나노컴파운드는 프라이머의 응집력 및 젖음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사용하며, 그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일 때는 첨가 효과가 떨어져 프라이머의 응집력이 떨어지며 1.5 중량부를 초과 사용하였을 때는 유무기 나노컴파운드에 포함되어 있는 나노 무기물에 의해 프라이머의 저장 안정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무기 나노컴파운드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및 유기 몬모릴로나이트(organic montmorillonite)를 교반 및 분산시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를 유기 몬모릴로나티트의 층상에 삽입시킨 후 용매로 세척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무기 나노컴파운드는 유기 몬모릴로나이트 내에 거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를 교반 및 분산시켜 원심분리 및 용매로 세척하여 제조하는데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 몬모릴로나이트 100 ~ 300 중량부를 교반 및 분산시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를 유기 몬모릴로나티트의 층상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유기 몬모릴로나이트의 함량이 100 중량부 미만일 경우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의 함량이 너무 많아 유기 몬모릴로나이트 내에 삽입되지 않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의 잔여물이 접착을 방해 할 수 있으며, 30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가 유기 몬모릴로나티트의 층상에 충분히 삽입되지 못해 접착증가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는 폴리에틸렌메타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methacrylat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meglycol), 폴리에틸렌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acrylate),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액시드(polyethyleneglycoldiacid)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용매로는 아세톤(acetone),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에탄올(ethanol), 메탄올(methanol),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부여제는 점착성 부여를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그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초기 점착력이 감소하게 될 우려가 있고,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프라이머 조성에 저분자량이 많아 프라이머의 응집력이 감소하고 특히 점착력이 높아 프라이머의 물성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점착부여제는 석유수지계, 변성 석유수지, 알킬페놀(alkylphenol)수지, 열가소성 테르펜(terpene)변성 페놀수지, 로진(rosin) 및 로진에스테르(rosin ester)수지, 쿠마론인덴(coumarone indene)수지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용제의 함량은 88.5 ~ 96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프라이머 조성물의 고형분이 5 ~ 10 중량%가 되도록 점도를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톨루엔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프라이머의 용해도가 현저히 떨어지므로 용제를 필히 3종 이상 사용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용제는 노말 헥산(normal hexane),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alcohol), 에탄올, 메탄올, 싸이클로헥산(cyclohexane), 메틸싸이클로헥산(methacyclohe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3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성성분을 갖는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은 사용시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혼합시켜 사용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프라이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적인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 5 ~ 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소시아네이트는 통상적인 용제형 경화제로서 NCO 함량이 6 ~ 20% 범위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경화제의 혼합량이 5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이소시아네이트 혼합량의 부족으로 인해 프라이머 조성물이 제대로 경화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경화제의 혼합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화속도가 빨라 작업시간이 짧아짐에 따라 불량률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들면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의 제조
(제조예 1)
혼합용기에 환류 냉각기와 교반기, 온도계 및 질소주입장치를 설치한 500ml 반응기에 염화폴리올레핀 수지(Superchlon 930, NIPPON PAPER CHEMICALS) 100 중량부, 카르복실산 5 중량부에 메틸에틸케톤 1000 중량부를 투입한 다음 70℃에서 1시간을 100 rpm 의 교반속도로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반응개시제인 벤조일퍼옥사이드 1 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 100 중량부에 희석시킨 다음 4회에 걸쳐 1시간 단위로 투입하고 온도를 80℃로 승온하여 80 rpm의 교반 속도를 유지하여 그라프트 반응을 시킨 후 메탄올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용제를 휘발시켜 개질된 폴리염화폴리올레핀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혼합용기에 환류 냉각기와 교반기, 온도계 및 질소주입장치를 설치한 500ml 반응기에 염화폴리올레핀 수지(Superchlon 930, NIPPON PAPER CHEMICALS) 100 중량부, 아미노산 30 중량부에 메틸에틸케톤 1000 중량부를 투입한 다음 70℃에서 1시간을 100 rpm 의 교반속도로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반응개시제인 벤조일퍼옥사이드 1 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 100 중량부에 희석시킨 다음 4회에 걸쳐 1시간 단위로 투입하고 온도를 80℃로 승온하여 80 rpm의 교반 속도를 유지하여 그라프트 반응을 시킨 후 메탄올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용제를 휘발시켜 개질된 폴리염화폴리올레핀 수지를 제조하였다.
2. 유무기 나노컴파운드의 제조
(제조예 3)
환류 냉각기와 교반기, 온도계 및 질소주입장치를 설치한 500ml 반응기에 에틸아세테이트와 아세톤을 1:1의 비율로 혼합시킨 용매를 100 중량부, 진공건조된 유기 몬모릴리나이트 100 중량부, 폴리에텔렌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를 가하여 고반기로 상온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고 원심분리한 것을 아세톤으로 수차례 반복하여 세척한다. 그 후 진공건조기에서 25℃, 48시간 동안 건조하여 층간 삽입된 유무기 나노컴파운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환류 냉각기와 교반기, 온도계 및 질소주입장치를 설치한 500ml 반응기에 에틸아세테이트와 아세톤을 1:1의 비율로 혼합시킨 용매를 100 중량부, 진공건조된 유기 몬모릴리나이트 300 중량부, 폴리에틸렌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를 가하여 고반기로 상온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고 원심분리한 것을 아세톤으로 수차례 반복하여 세척한다. 그 후 진공건조기에서 25℃, 48시간 동안 건조하여 층간 삽입된 유무기 나노컴파운드를 제조하였다.
3.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온도조절과 속도조절이 가능한 혼합용기에 아래 [표 1]의 조성으로 투입하여 50℃의 온도에서 8시간 교반하여 용해시킨 혼합액의 총고형분이 6.5 중량%인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온도조절과 속도조절이 가능한 혼합용기에 아래 [표 1]의 조성으로 투입하여 50℃의 온도에서 8시간 교반하여 용해시킨 혼합액의 총고형분이 8 중량%인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온도조절과 속도조절이 가능한 혼합용기에 아래 [표 1]의 조성으로 투입하여 50℃의 온도에서 8시간 교반하여 용해시킨 혼합액의 총고형분이 7.5 중량%인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온도조절과 속도조절이 가능한 혼합용기에 아래 [표 1]의 조성으로 투입하여 50℃의 온도에서 8시간 교반하여 용해시킨 혼합액의 총고형분이 7 중량%인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온도조절과 속도조절이 가능한 혼합용기에 아래 [표 1]의 조성으로 투입하여 50℃의 온도에서 8시간 교반하여 용해시킨 혼합액의 총고형분이 5 중량%인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온도조절과 속도조절이 가능한 혼합용기에 아래 [표 1]의 조성으로 투입하여 50℃의 온도에서 8시간 교반하여 용해시킨 혼합액의 총고형분이 7 중량%인 프라이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화승 T&C사에서 생산한 프라이머 제품인 PR-708(톨루엔 포함)을 사용하였다.
(단위 : 중량%)
조성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1) 2 6 3 3 0.5 5 PR-708(화승 T&C사, 톨루엔 포함)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2) 2.5 2.0 2.5 1.0 2.5 1.0
유무기 나노컴파운드3) 1 0.5 1.5 1.5 1 -
점착 부여제4) 1 0.5 0.5 1.5 1 1
아세톤 50 49 50 50 49 50
노말헥산 24.5 27 27 26 27 27
사이클로헥산 19 15 15.5 17 19 16
주)
1)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실시예 1, 3 및 비교예 1 - 제조예 1 사용
실시예 2, 4 및 비교예 2 - 제조예 2 사용
2)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 Pearstic 45-50/18(MERQUINSA)
3) 유무기 나노컴파운드
실시예 1, 3 및 비교예 1 - 제조예 3 사용
실시예 2, 4 및 비교예 2 - 제조예 4 사용
4) 점착부여제 - SU-120(코오롱유화)
4.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의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의거하여 프라이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인 이소시아네이트 5 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생분해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ethylene vinyl acetate foam) 부품]에 적용하여 고무와의 접착력을 아래 방법에의해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2]의 내용과 같다.
가,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와 고무 시편의 접착
25×100mm의 크기의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에 메틸에틸케톤으로 세척한 후 건조한 다음 상기 제조된 프라이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동성화학 DRF) 5 중부를 혼합한 후 도포하고 60℃에서 5분간 건조하였다.
아울러, 고무 시트도 25×100mm의 크기로 준비하여 세척한 후 건조한 다음 고무용 프라이머(화승 T&C PR-700)를 도포한 후 60℃에서 5분간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위의 두 피착재에 접착제를 각각 도포한 후 60℃에서 5분간 건조한 후 접합하여 10kg의 하중으로 압착하여 접착하였다. 이때 동일 시험에 사용하는 시험 시편은 5개를 사용하였다.
나, 초기 접착력 평가
제조된 접착시편을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만능인장시험기(UTM)를 사용하여 100mm/분의 인장속도로 박리하여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다, 상태 접착력 평가
제조된 접착시편을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만능인장시험기(UTM)를 사용하여 100mm/분의 인장속도로 박리하여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특성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초기 접착력
(kgf/cm)
2.9 2.8 2.9 2.5 3.1 1.8 2.6
상태 접착력
(kgf/cm)
3.8 3.6 3.4 3.4 3.6 2.2 2.9
치수안정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 조성물은 비교예에 비하여, 유해성 방향족 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에 대한 초기 접척력과 상태 접착력이 모두 우수하였으며, 특히 상태 접착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비교예 3에 비하여 치수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되었으며, 접착력 또한 우수하게 나타났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은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그 우수성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에 있어서,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2 ~ 6 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0 ~ 2.5 중량% 및 유무기 나노컴파운드 0.5 ~ 1.5 중량%, 점착 부여제 0.5 ~ 1.5 중량% 및 용제 88.5 ~ 96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된 염화폴리올레핀 수지는,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관능성 액시드계 모노머 5 ~ 30 중량부를 그라프트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나노컴파운드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 몬모릴로나이트 100 ~ 300 중량부를 교반 및 분산시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를 유기 몬모릴로나티트의 층상에 삽입시킨 후 용매로 세척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노말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이소프로필알콜, 에탄올, 메탄올, 싸이클로헥산, 메틸싸이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3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KR1020220163460A 2022-11-29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KR20240079989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9989A true KR20240079989A (ko) 2024-06-05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66626B2 (ja) 一成分低粘度湿分硬化性組成物
KR101297673B1 (ko)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TWI382957B (zh) 經表面調整、結構上調整之燻過的矽石
KR101129522B1 (ko) 탄성중합체용 접착제
KR20080044188A (ko) 탄성중합체용 수계 접착제
CN109072028B (zh) 光学粘合剂组合物和包含其固化产物的光学粘合层
KR101357270B1 (ko) 비할로겐 타입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KR101484906B1 (ko) 폴리우레탄계 사출부품용 프라이머 조성물
KR20240079989A (ko) 기능성 신발 난접착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KR101157113B1 (ko)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탄성체용 프라이머 조성물
KR101577768B1 (ko)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
CN108504292B (zh) 一种橡胶制品的粘合方法
KR101399329B1 (ko) 프라이머 조성물
JPH036274A (ja) プライマー組成物
KR101027662B1 (ko) 페놀 수지 및 톨루엔을 함유하지 않은 폴리아마이드계 신발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
KR102102684B1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광학용 점착 필름
KR101168956B1 (ko) 전처리공정이 필요 없는 충격흡수 고무겔용 프라이머 조성물
JP2008189823A (ja) 熱硬化性接着剤組成物
KR101116296B1 (ko) 재박리가 용이한 탁구 라켓용 수성 접착제 조성물
JP3100706B2 (ja) 湿気架橋性ポリクロロプレン系接着剤
KR101149741B1 (ko)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
KR101366102B1 (ko) 난접착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KR101224972B1 (ko) 난슬립 고무용 선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난슬립 고무의 접착방법
US20230348768A1 (en) Adhesive composition
WO2024015660A1 (en) Curable adhesive compositions for bonding one or more substr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