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8263A - 형체장치용 안전가드 - Google Patents

형체장치용 안전가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8263A
KR20240078263A KR1020230010351A KR20230010351A KR20240078263A KR 20240078263 A KR20240078263 A KR 20240078263A KR 1020230010351 A KR1020230010351 A KR 1020230010351A KR 20230010351 A KR20230010351 A KR 20230010351A KR 20240078263 A KR20240078263 A KR 20240078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amping device
wall
safety guard
roll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0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진회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78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82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84Safety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2037/94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장치와 나란히 배치된 형체장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 간을 연결하기 위한 출입구를 구비하는 벽체; 및 상기 벽체에 결합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장치; 를 포함하는 형체장치용 안전가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개폐 동작 시 안전가드의 전체적인 흔들림을 개선하면서도 도어의 휨 발생 가능성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형체장치용 안전가드 {SAFETY GUARD OF CLAMPING APPARATUS}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계에 구비되는 형체장치용 안전가드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기계는 열을 가하여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 고무 등의 재료를 금형(mold)들 간 형성된 캐버티(cavity, 공동)에 주입하여 원하는 모양의 제품을 성형·생산하는 기계이다.
이때, 사출성형기계는 서로 쌍을 이루는 금형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며 상기 금형들을 개폐하는 형체장치, 제품의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재료를 용융시킨 후 노즐을 통해 제품 형상의 캐버티에 주입하는 사출장치 및 그 외 기타장치(제어, 구동원 등)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사출성형기계를 통한 작업은 금형 또는 노즐로부터 재료의 비산(splash)위험 그리고 금형, 가열장치 또는 사출재료에 의한 화상위험 등 작업자의 안전이 위협될 수 있는 요소들이 존재한다. 이에, 사출성형기계처럼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위험이 수반되는 기계나 기구를 사용할 경우에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호조치가 필수적으로 취해져야한다.
방호조치의 일예로, 방호 기능을 수행하는 물리적 방벽인 가드(guard)의 설치가 있다.
사출성형기계 역시 방호조치의 일환으로, 사출성형기계 주변을 감싸듯 결합되는 안전가드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참고로, 종래 안전가드(10)는 형체장치(CA)의 둘레를 가리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안전가드가 적용되는 사출성형기계의 경우, 그 중량이 톤 단위의 큰 크기를 가지므로, 측벽 형태의 벽체(11) 만을 구비하더라도 작업자의 신체일부가 형체장치(CA)에 노출되지 않아 작업자의 안정성이 보장되었다.
도1 내지 도2는 종래 사출성형기계용 안전가드(이하, ‘종래 안전가드’라 칭함)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여 종래 안전가드(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종래 안전가드(10)는 벽체(11) 및 도어(12)를 포함한다.
벽체(11)는 형체장치(CA)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작업자가 형체장치(CA)에 접근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출입구를 구비한다.
도어(12)는 벽체(11)와 결합되어 출입구를 개폐한다.
이러한 종래 안전가드(10)에서 도어(12)의 출입구 개폐 방식은 다음과 같이 제안된 바 있다.
먼저, 도어(12)가 벽체(11)에 결합되되, 출입구와 인접 배치된 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며 출입구를 개폐하는 여닫이 구조로 제안된 바 있다.
이때 도어(12)는 그 폭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이 회동축과 결합되며, 타측과 출입구 간의 이격 각도가 조절되며 도어(12)의 출입구 개폐를 위한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사출성형기계 주변에 도어(12)의 회동을 위한 추가 공간이 확보될 필요성이 있었다.
또한 사출성형기계가 커질수록 도어(12)의 무게 또한 증량될 수 있는데, 벽체(11)와 결합된 회동축 만으로 그 무게를 버텨야하므로, 도어(12)의 무게로 인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방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었다. 이러한 도어(12)의 기울어짐은 도어(12)의 개폐 동작을 어렵게 할뿐 아니라, 도어(12)의 손상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었다.
다음으로, 도어(12)가 벽체(11)의 벽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며 출입구를 개폐하는 미닫이 구조로 제안된 바 있다.
도2는 종래 안전가드(10)의 일예를 예시한 것이다. 이때, 도2(a)는 도어(12)가 폐쇄된 경우를 확대 도시한 것이고, 도2(b)는 도어(12)가 개방된 경우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2를 참조하여 종래 안전가드(10)에서 벽체(11)와 도어(12) 간의 결합 관계를 살펴보면, 도어(12)가 벽체(11)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결합되는데 있어, 도어(12)의 이동 및 지지를 위한 구성이 롤러(11L) 즉, 단일 구성뿐이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었다.
첫째, 도어(12)의 개폐 동작 시 도어(12)뿐 아니라 도어(12)와 인접 배치된 벽체(11)가 함께 흔들릴 수 있었으며, 이는 안전가드(10)의 전체적인 흔들림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둘째, 도어(12)가 개방되도록 이동하는 경우, 벽체(11)의 벽면과 도어(12) 간의 이격 간격(d1<d2)이 점차 벌어지며, 벽체(11) 및 도어(12)의 흔들림뿐 아니라 도어(12)의 휨이 야기될 수 있었다.
이러한 안전가드의 전체적인 흔들림과 도어의 휨 발생은 도어의 이동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도어의 이동 과정에서 도어가 이동 경로를 이탈할 경우에 주변 작업자를 다치게 하는 등의 안정성 문제로 이어질 수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은 안전가드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과도 직결되므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32728호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539130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 견고하면서도 내구성이 있는 형체장치용 안전가드 구조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안출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체장치용 안전가드는 사출장치와 인접하게 배치된 형체장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 간을 연결하기 위한 출입구를 구비하는 벽체; 및 상기 벽체에 결합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장치는,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벽체 측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상부를 지지하며, 상기 도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부재; 및 상기 사출장치와 상기 형체장치를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도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러를 가지는 제1 롤러군; 및 상기 제1 롤러군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러를 가지는 제2 롤러군; 을 포함하고, 상기 소정 간격은 상기 제1 롤러군의 폭 및 상기 제2 롤러군의 폭보다 더 길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는, 판 형상의 도어패널; 상기 도어패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롤러군 및 제2 롤러군에 구성되어 있는 가이드롤러들에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도어패널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도어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는 이동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도어패널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는,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보조프레임;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분; 및 상기 고정부분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형체장치가 배치된 내부 방향을 향해 소정거리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 롤러들이 결합되는 결합부분; 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출입구와 인접한 벽체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보조프레임의 일부가 상기 출입구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이 제안한 형체장치용 안전가드는 가장자리의 일부가 상기 벽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형체장치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지지프레임;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이 제안한 형체장치용 안전가드는, 상기 형체장치와 상기 벽체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형체장치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소정각도 구부러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밴딩구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첫째, 안전가드의 전체적인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도어의 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안전가드의 전체적인 흔들림 및 도어의 휨을 방지함에 따라, 도어의 개폐 동작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넷째, 도어의 개폐 동작이 용이하게 수행됨에 따라, 도어의 이동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도어의 이동경로 이탈 사고 등 작업자의 안전성과 직결되는 문제들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체장치용 안전가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도3에 예시된 형체장치용 안전가드에서 도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5 및 도6은 도4에 예시된 형체장치용 안전가드의 도어장치에서 보조프레임이 추가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7 및 도8은 도3 내지 도6에 예시된 형체장치용 안전가드에서 상부 지지를 위한 지지프레임이 추가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주지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참고로, 본 발명은 사출장치(미도시), 형체장치(CA) 및 베이스프레임(BF)을 포함하는 사출성형기계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가드이다. 이때, 본 발명이 제안하는 형체장치용 안전가드(이하, ‘안전가드’로 칭함)는 형체장치(CA)에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전가드(10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체장치용 안전가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4는 도3에 예시된 형체장치용 안전가드에서 도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며, 도5 및 도6은 도4에 예시된 형체장치용 안전가드의 도어장치에서 보조프레임이 추가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7 및 도8은 도3 내지 도6에 예시된 형체장치용 안전가드에서 상부지지를 위한 지지프레임이 추가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3 내지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가드(100)는 벽체(110) 및 도어장치(120)를 포함한다.
벽체(110)는 사출장치(미도시)와 인접 배치된 형체장치(CA)가 수용되는 수용공간(S)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공간(S)과 외부 간을 연결하기 위한 출입구(E)를 구비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10)는 형체장치(CA)에 적용되기 위해, ‘ㄷ’자 형태로 베이스프레임(BF)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벽체(110)의 개방된 일 측에는 형체장치(CA)에 포함된 고정형판(F)이 위치되며 벽체(110) 및 고정형판(F)에 의해 수용공간(S)과 외부 간이 구획될 수 있다.
이러한 벽체(110)는 커버(111) 및 메인프레임(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111)는 판 형상의 패널 부재이다.
메인프레임(112)은 베이스프레임(BF)에 결합되어, 커버(111)를 지지하기 위한 골조를 형성한다.
일 예로, 커버(111)는 ‘ㄷ’자 형상을 가진 단일 패널로 마련되어 메인프레임(112)에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커버(111)는 사출성형기계의 크기에 따라 수십 톤 내지 수백 톤에 이르는 무게를 가질 수 있으므로, 그 무게와 설치의 용이성을 고려할 경우, 커버(111)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다수개의 패널로 마련되어 메인프레임(112)에 결합될 수도 있다.
참고로, 고정형판(F)의 양측에는 후술할 도어장치(120)의 개폐 동작 시 도어(121)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상부 스토퍼(TS)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장치(120)는 벽체(110)에 결합되어, 출입구(E)를 개폐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장치(120)는 도어(121), 상부 가이드부재(122) 및 하부 가이드부재(123)를 포함한다.
도어(121) 출입구(E)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이때, 도어(121)는 도어패널(121a), 가이드레일(121b) 및 이동부재(121c)를 포함한다.
도어패널(121a)은 판 형상의 구성으로, 도어패널(121a)의 일 영역에는 외부에서 수용공간(S) 내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재질의 확인창(W)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21b)은 도어패널(121a)의 상부에 배치되어, 후술할 제1 롤러군(122a) 및 제2 롤러군(122b)에 구성되어 있는 가이드롤러(GL)들에 의하여 지지되며, 도어패널(121a)의 이동을 안내한다.
참고로, 가이드롤러(GL)의 경우, 지지축(미도시)과 지지축에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분(미도시)으로 구성된다. 가이드롤러(GL)의 회전부분은 도어(121)의 개폐에 따라 도어패널(121a)과 함께 이동하는 가이드레일(121b) 상에서 회전하며 도어(121)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가이드레일(121b)은 상술한 가이드롤러(GL)가 인입 배치되어 그 이동이 안내될 수 있도록 형체장치(CA)의 진퇴방향과 대응되는 가이드레일(121b)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단면이‘凹’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레일(121b)은 회전부분(미도시)의 측부를 지지하며, 도어패널(121a)이 벽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 즉, 내/외부 방향으로 흔들리며 그 이동경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레일(121b)은 도어패널(121a)의 폭(WD)과 동일하거나,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만약, 가이드레일(121b)의 길이(L)는 동일하되, 그 길이(L)가 도어패널(121a)의 폭(WD)보다 길면, 도어패널(121a)의 폭(WD)과 가이드레일(121b)의 길이(L)가 동일한 경우보다 도어패널(121a)의 크기 및 무게가 줄어들어, 후술할 하부 가이드부재(123)에 전해지는 하중이 감소될 수 있다.
이동부재(121c)는 도어패널(121a)의 하부에 배치되어, 후술할 하부 가이드부재(123)에 의해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재(121c)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도어패널(121a)의 하중을 분산하여 부담하며, 각각의 이동부재(121c)는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하부 가이드부재(123)는 도어(121)의 하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이에 관한 설명은 후술하고자 한다.
이동부재(121c)는 형체장치(CA)의 진퇴방향과 대응되는 하부 가이드부재(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부 가이드부재(123)의 형상에 따라 상이한 타입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가이드부재(123)가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된 경우, 이동부재(121c)는 중심부가 소정 깊이 오목한 형태로 마련되며, 그 중심부에 하부 가이드부재(123)가 끼움 결합되어 하부 가이드부재(1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부재(122)는 벽체(110) 측에 결합되어 도어(121)의 상부를 지지하며, 도어(121)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부 가이드부재(12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러(GL)를 가지는 다수개의 롤러군(122a, 122b)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개의 롤러군(122a, 122b)으로 구성된 경우에 한해 설명하지만, 경우에 따라 추가 롤러군을 포함함으로써 도어(121)의 개폐 동작 시 그 이동을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부 가이드부재(122)는 제1 롤러군(122a) 및 제2 롤러군(122b)를 포함한다.
제1 롤러군(122a)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러(GL)를 가진다.
제2 롤러군(122b)은 제1 롤러군(122a)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러(GL)를 가진다.
이때, 소정 간격(D)은 제1 롤러군(122a)의 폭(W1) 및 제2 롤러군(122b)의 폭(W2)보다 더 길다. 이는, 도어(121)의 개폐 동작 시 복수개의 지지구간을 구성함으로써, 도어(121)의 휨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도어(121) 개폐 동작 시 흔들림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제1 롤러군(122a) 또는 제2 롤러군(122b)에 구성된 가이드롤러(GL)의 수가 하나인 경우, 그 폭은 단일 가이드롤러(GL)가 가지는 폭을 의미하며, 제1 롤러군(122a) 또는 제2 롤러군(122b)에 구성된 가이드롤러(GL)의 수가 복수개인 경우, 그 폭은 어느 하나의 롤러군을 구성하는 가이드롤러(GL)들 중 양단에 배치된 가이드롤러(GL) 간의 간격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 롤러군(122a) 및 제2 롤러군(122b)에 구성된 가이드롤러(GL)의 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롤러군(122a) 및 제2 롤러군(122b)은 벽체(110) 자체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상부 가이드부재(122)는 제1 롤러군(122a) 및 제2 롤러군(122b)을 벽체(110)에 결합시키기 위한 보조프레임(122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프레임(122c)은 고정부분(122c-1) 및 결합부분(122c-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분(122c-1)은 벽체(110)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이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커버(111)와 결합된 메인프레임(112)에 고정 설치된다.
결합부분(122c-2)은 고정부분(122c-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형체장치(CA)가 배치된 내부 방향을 향해 소정거리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되어, 다수개의 롤러군(122a, 122b)을 구성하는 가이드롤러(GL)들이 결합된다.
이러한 보조프레임(122c)은 ‘ㄴ’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보조프레임(122c)에 결합된 가이드롤러(GL)들의 회전부분이 벽체(110)의 벽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참고로, 보조프레임(122c)은 출입구(E)와 인접한 벽체(110)에 고정 설치되어서, 다수개의 롤러군(122a, 122b) 간의 이격 간격에 따라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5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보조프레임(122c)의 설치에 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일 예로, 도5를 참조하면, 보조프레임(122c)은 출입구(E)와 인접한 벽체(110)에 고정 설치되되, 양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122c-a)가 출입구(E)와 인접한 벽체(110)의 단부(110-a)와 벽체(110)의 두께 방향인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출입구(E)를 통해 수용공간(S) 내 진입할 경우, 출입경로 상에 부딪침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들이 배치되지 않게 된다.
참고로, 상술한 경우, 가이드롤러(GL)들은 벽체(110)에 직접적으로 설치될 수 있기에, 보조프레임(122c)은 안전가드(100)를 구성하는데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다만, 보조프레임(122c)이 포함되어 구성된다면, 최초 설계와 달리 가이드롤러들(GL)의 이동 배치 또는 추가 설치가 요구되는 경우에 벽체(110) 자체에 가이드롤러들(GL)을 설치하는 것이 아닌 기 장착된 보조프레임(122C)에 설치하면 되므로 벽체(1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보조프레임(122c)의 길이는 최초 설계에 포함된 롤러군들(122a, 122b) 간의 간격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벽체(1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6을 참조하면, 보조프레임(122c)은 출입구(E)와 인접한 벽체(110)에 고정 설치되되, 보조프레임(122c)의 일부가 출입구(E)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프레임(122c)의 양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122c-a)가 출입구(E)와 인접한 벽체(110)의 단부(110-a)를 벗어나도록 돌출되어 배치되고, 돌출된 부분의 단부(122c-a) 측에 어느 하나의 롤러군(122a)이 결합되어 도어패널(121a)의 상부를 지지한다.
이 경우, 도어패널(121a)을 지지하는 지지구간이 도어패널(121a)과 벽체(110) 간이 일부 중첩되는 부분에서 도어패널(121a) 측으로 이동 배치되어, 도어패널(121a)의 일 구간을 지지함에 따라, 도어패널(121a)의 개폐 동작 시 그 흔들림 뿐 아니라, 도어패널(121a)의 휨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참고로, 도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어패널(121a)이 열린 경우, 출입구(E) 측으로 돌출된 보조프레임의 단부(122c-a)는 도어패널(121a)이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패널(121a)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양 단부 중 출입구(E)와 인접한 일단(121a-a)과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되게 된다. 이때, 도어패널(121a)은 상술한 배치위치를 가지도록 도어패널 타단(121a-b)의 일 영역이 하부 가이드부재(123)에 구비된 하부 스토퍼(BS)에 마주 접하며 적절한 위치에서 그 이동이 멈춰질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출입구(E)를 통해 수용공간(S) 내 진입할 경우, 출입경로 상에 부딪침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하부 가이드부재(123)는 형체장치(C)를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BF)에 결합되어 도어(121)의 하부를 지지하며, 도어(121)의 이동을 안내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안전가드(100)는 복수개의 롤러군(122a, 122b)이 도어패널(121a)의 상부를 지지함에 따라 도어패널(121a)의 지지구간이 늘어나게 되고, 도어(121)의 개폐 동작 시 도어패널(121a) 및 주변 벽체(110)의 흔들림뿐 아니라 도어패널(121a)의 휨 발생을 개선하며 그 이동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만약, 두 개의 롤러군(122a, 122b)의 구성으로 그 흔들림이나 휨 발생을 개선하는데 부족하다면, 상부 가이드부재(122)에 추가 롤러군을 포함하여 구성하거나, 상부 가이드부재(122)에 포함된 롤러군 간의 간격(D)을 넓히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보조프레임(122c)의 길이를 조정하거나, 보조프레임(122c)의 배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보조프레임(122c)에 결합된 롤러군(122a, 122b)의 배치위치를 벽체(110) 이외의 위치로 가변하는 것 또한 고려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전가드(100)는 보다 견고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상부지지를 위한 추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7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이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7 내지 도8은 도3 내지 도6에 예시된 형체장치용 안전가드에서 상부지지를 위한 지지프레임이 추가 구성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도7은 안전가드의 사시도이며, 도8은 도7에 도시된 안전가드의 정면도이다. 참고로, 도8의 경우, 후술할 연결프레임(140)의 설명을 위해 일부 구성은 삭제하여 도시하였다.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전가드(100)는 지지프레임(1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프레임(130)은 가장자리 일부가 벽체(110)에 의해 지지되며, 형체장치(CA)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어 수용공간(S)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구성이다.
지지프레임(130)은 도어패널(121a)의 개폐 동작 시, 벽체(110)의 상부를 지지하며 그 흔들림을 잡아준다. 이때 지지프레임(130)은 형체장치(CA)의 양측 즉, 좌우방향에 배치된 측벽 상호 간을 지지하며,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전가드(100)가 종래 안전가드 대비 훨씬 더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일 예로, 지지프레임(1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이프 형태로 마련되어, 각각이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벽체(110)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지지프레임(130)은 도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S)의 상부를 덮는 패널 형상의 커버로 마련되어 벽체(110)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지지프레임(130)은 수용공간(S) 내 작업자의 출입 용이성을 고려하여 출입구(E)를 제외한 벽체(110)의 배치위치에만 한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30)을 추가 구성하는 것만으로도 안전가드(100)의 전체적인 흔들림을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지만, 일부 구간(특히, 도어(120) 인접 구간)에는 소정의 흔들림이 유발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전가드(100)는 연결프레임(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140)은 형체장치(CA)와 벽체(110) 사이에 배치되어서, 베이스프레임(BF) 및 지지프레임(130)을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연결프레임(140)은 상단이 지지프레임(130)에 고정되고, 하단이 베이스프레임(BF)에 설치되되, 형체장치(CA)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소정각도 구부러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밴딩구간(C1, C2)을 구비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형체장치(CA)를 기준으로 형체장치(CA)의 진퇴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형체장치(CA)의 양 측면에 안전가드(100)의 상/하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연결프레임(140)이 각각 배치된다.
복수개의 연결프레임(140) 중 어느 하나의 연결프레임(이하, ‘제1 연결프레임(141)’이라 칭함)은 베이스프레임(BF)에 인접한 하측에 도어(121)에 구비된 이동부재(121c)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도 그 상측에 위치한 형체장치(CA)의 일부를 회피하기 위한 밴딩구간(C1)을 구비하며, 밴딩구간(C1)부터 제1 연결프레임(141)의 상단까지는 직선구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연결프레임(140) 중 다른 하나의 연결프레임(이하, ‘제2 연결프레임(142)’이라 칭함)은 베이스프레임(BF)에 인접한 하측에 도어(121)에 구비된 이동부재(121c)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도 그 상측에 위치한 형체장치(CA)의 일부(예컨대, 유압블록(B))를 회피하기 위한 제1 밴딩구간(C1)을 구비한다.
제2 연결프레임(142)은 제1 연결프레임(141)과 달리 제1 밴딩구간(C1)에서 제2 연결프레임(142)의 상단까지 직선구간으로 형성될 경우에 지지프레임(130)의 끝단에 걸쳐 설치되어 안전가드의 상단과 하단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어려우므로, 지지프레임(130)의 가장자리에서 일부 인입된 위치에 제2 연결프레임(142)의 상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밴딩구간(C1)과 상이한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2 밴딩구간(C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밴딩구간(C2)으로부터 제2 연결프레임(142)의 상단은 직선구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복수개의 연결프레임(140)은 흔들림이 가장 심하게 유발되는 구간인 출입구(E)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그 배치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제안하는 안전가드(100)는 지지프레임(130) 및 연결프레임(140)을 통해 벽체(110) 전체를 베이스프레임(BF)에 고정함으로써, 안전가드(100)의 전체적인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복수개의 롤러군(122a, 122b)을 포함함에 따라 도어패널(121a)의 지지구간을 늘림으로써, 도어(121)의 개폐 동작 시 도어패널(121a)의 휨 발생 가능성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며, 다양한 응용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이 위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국한되게 이해되면 아니 된다. 대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별도로 기재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종래 안전가드
11 : 벽체
12 : 도어
100 : 안전가드
110 : 벽체
111 : 커버
112 : 메인프레임
E : 출입구
S : 수용공간
120 : 도어장치
121 : 도어
121a : 도어패널
121b : 가이드레일
121c : 이동부재
122 : 상부 가이드부재
122a, 122b : 제1 롤러군, 제2 롤러군
GL : 가이드롤러
122c : 보조프레임
122c-1 : 고정부분
122c-2 : 결합부분
TS: 상부 스토퍼
123 : 하부 가이드부재
BS: 하부 스토퍼
130 : 지지프레임
140 : 연결프레임
C1, C2 : 밴딩구간

Claims (7)

  1. 사출장치와 인접하게 배치된 형체장치(CA)가 수용되는 수용공간(S)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 간을 연결하기 위한 출입구(E)를 구비하는 벽체(110); 및
    상기 벽체(110)에 결합되어 상기 출입구(E)를 개폐하는 도어장치(120);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장치(120)는,
    상기 출입구(E)를 개폐하는 도어(121);
    상기 벽체(110) 측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121)의 상부를 지지하며, 상기 도어(121)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부재(122); 및
    상기 사출장치와 상기 형체장치(CA)를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BF)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121)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도어(121)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부재(123);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12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러(GL)를 가지는 제1 롤러군(122a); 및
    상기 제1 롤러군(122a)과 소정 간격(D) 이격되게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러(GL)를 가지는 제2 롤러군(122b); 을 포함하고,
    상기 소정 간격(D)은 상기 제1 롤러군의 폭(W1) 및 상기 제2 롤러군(W2)의 폭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장치용 안전가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21)는,
    판 형상의 도어패널(121a);
    상기 도어패널(121a)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롤러군(122a) 및 제2 롤러군(122b)에 구성되어 있는 가이드롤러들(GL)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도어패널(121a)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21b); 및
    상기 도어패널(121a)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123)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는 이동부재(121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장치용 안전가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21b)은, 상기 도어패널의 폭(WD)보다 긴 길이(L)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장치용 안전가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122)는, 상기 벽체(110)에 고정되는 보조프레임(122c);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프레임(122c)은,
    상기 벽체(11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분(122c-1); 및
    상기 고정부분(122c-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형체장치(CA)가 배치된 내부 방향을 향해 소정거리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롤러군(122a) 및 제2 롤러군(122b)에 구성되어 있는 가이드롤러(GL)들이 결합되는 결합부분(122c-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장치용 안전가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122c)은 상기 출입구(E)와 인접한 벽체(110)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보조프레임(122C)의 일부가 상기 출입구(E) 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장치용 안전가드.
  6. 제1항에 있어서,
    가장자리의 일부가 상기 벽체(11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형체장치(CA)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S)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지지프레임(13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장치용 안전가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형체장치(CA)와 상기 벽체(110)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BF)과 상기 지지프레임(130) 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4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140)은, 상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30)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BF)에 설치되되, 상기 형체장치(CA)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소정각도 구부러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밴딩구간(C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장치용 안전가드.
KR1020230010351A 2022-11-25 2023-01-26 형체장치용 안전가드 KR202400782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954 2022-11-25
KR20220159954 2022-1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8263A true KR20240078263A (ko) 2024-06-03

Family

ID=91496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0351A KR20240078263A (ko) 2022-11-25 2023-01-26 형체장치용 안전가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826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1307U (ko) 1976-12-27 1978-07-26
KR20210032728A (ko) 2019-09-17 2021-03-2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사출기 도어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1307U (ko) 1976-12-27 1978-07-26
KR20210032728A (ko) 2019-09-17 2021-03-2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사출기 도어 감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9093B2 (ja) ウィンドウリフタ用のガイドレールおよび車両ドア用のドアシステム
KR101154162B1 (ko) 플랫폼용 스텝 장치
KR101211298B1 (ko) 선회가능한 롤러를 갖춘 컨베이어
EP3088612B1 (en) Operator&#39;s cab arrangement for a construction machine
KR101269701B1 (ko)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JPS62101517A (ja) 自動車滑り屋根のケ−ブル案内装置
KR20240078263A (ko) 형체장치용 안전가드
RU2104155C1 (ru) Бестравер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мыкания формы литьевых машин (варианты)
EP0597121B1 (en) Injection moulding machine
DE19823226A1 (de) Kippbarer Lichtbogenofen
KR102432510B1 (ko) 사출 성형기의 형체장치
CN110712347B (zh) 注塑成型机
JP3265104B2 (ja) 射出成形機における安全扉装置
KR101802496B1 (ko) 프레임과의 연결부에 가동연결부가 구비된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를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KR102409203B1 (ko) 니들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사기 제조장치
CN103419345A (zh) 注塑成型机的安全门装置
JP6418563B2 (ja) 引戸装置
KR102174731B1 (ko) 여닫이 도어용 유격 조절장치
CA2212648C (en) Mold closing device for a plastics molding machine, in particula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EP0782658B1 (en) Lifting folding door
KR20210012204A (ko) 사출기 도어 스토퍼 기구
KR102597589B1 (ko) 사출성형기용 도어장치
KR20230166859A (ko) 사출성형기용 도어장치
MXPA05001558A (es) N-aril-2-oxazolidinonas y sus derivados.
KR102475747B1 (ko) 사출성형기용 도어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