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203B1 - 니들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사기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니들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사기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203B1
KR102409203B1 KR1020210158861A KR20210158861A KR102409203B1 KR 102409203 B1 KR102409203 B1 KR 102409203B1 KR 1020210158861 A KR1020210158861 A KR 1020210158861A KR 20210158861 A KR20210158861 A KR 20210158861A KR 102409203 B1 KR102409203 B1 KR 102409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needle cap
cap
load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수
Original Assignee
케이엠디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엠디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엠디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8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 A61M2207/10Device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니들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사기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주사기 제조장치는 개구부 주위로 제1 외경을 가진 그립부 및 상기 제1 외경보다 작은 제2 외경을 가진 바디부가 형성된 니들캡을 포함하는 주사기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받침판; 상기 니들캡의 그립부가 상기 받침판에 안착되도록 상기 받침판에 상기 니들캡을 공급하는 니들캡 로딩부; 상기 제1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제1 내경홈이 일면에 형성된 제1 클램프부재; 상기 제1 클램프부재를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니들캡의 그립부를 상기 제1 내경홈 내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2 클램프부재; 상기 제2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제2 내경홈이 일면에 형성된 제1 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재를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니들캡의 바디부를 상기 제2 내경홈 내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니들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사기 제조장치{SYRINGE MANUFACTUR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NEEDLE DEFECTS}
본 발명은 주사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니들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사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사기는 혈관이나 피하에 약액을 직접 주입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서 의료 분야에서 필수불가결한 도구이다. 주사기의 니들이 대상의 혈관이나 피하에 침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주사기의 피스톤을 누르면, 주사기의 배럴 내의 약액이 니들을 통해 대상의 혈관이나 피하로 주입되는 것이다.
주사기의 니들(혹은 캐뉼라) 부분은 환자의 혈관에 침투하는 부분으로서, 니들이 쉽게 혈관이나 피하에 침입할 수 있도록 그 단부가 매우 정교하게 제조되어야 한다. 니들 단부에서 뾰족한 침 밑 그 양옆의 블레이드 부분이 정교하게 제조되지 않거나 제조 후 충격이 가해져 손상되는 경우, 해당 주사기의 니들이 환자의 혈관이나 피하에 쉽게 진입하지 못해 사용자는 더 큰 힘을 가해야 하고 이로 인해 환자가 느끼는 고통은 가중될 수 있다.
주사기를 폐기할 때, 사용자는 주사기 니들이 다른 사람 또는 물체를 찌르지 못하도록 주사기의 니들에 캡을 다시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매우 가는 니들을 매우 좁은 캡에 삽입해야 하는 이 과정 중 부주의로 인해 사용자 본인이 니들에 찔리는 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의료 업계 종사자의 경우 업무 중 주사기를 다루어야 하는 횟수가 매우 많으므로 니들에 찔릴 가능성이 그만큼 더 높다. 이미 사용한 주사기는 니들이 다른 사람의 혈관에 이미 접촉한 상태이므로, 사용된 주사기의 니들에 찔리는 것은 전염의 가능성을 수반한 매우 위험한 사건에 해당한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 주사기의 니들을 쉽게 다시 커버할 수 있는 안전 주사기(safety syringe)가 개발된 바 있는데, 안전 주사기에는 니들을 좁은 캡의 입구에 삽입할 필요 없이 다른 방법으로 캡을 재장착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유형의 주사기가 포함된다. 안전 주사기의 한 가지 유형에서는 니들캡이 힌지 구조에 의해 주사기에 결합되어 있고 니들캡에는 가느다란 슬릿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니들캡을 힌지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주사기의 니들이 니들캡의 슬릿을 통과하여 니들캡 내부에 위치하도록 니들캡이 장착된다.
주사기를 제조하는 과정에는 허브에 니들이 결합된 니들허브 조립체의 상부에 니들캡을 정렬한 후 니들캡을 낙하시켜 니들허브 조립체에 결합시키는 공정이 포함된다. 그러나 제조되는 주사기가 안전 주사기인 경우와 같이 니들캡의 무게중심이 정가운데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니들캡이 낙하하면서 소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주사기에서 니들과 니들캡 모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지므로, 니들캡이 약간만 회전하여 낙하하더라도 니들캡이 니들과 충돌할 수 있고, 이는 니들이 부러지거나 니들 단부의 침 밑 블레이드 부분이 손상되는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니들 단부의 침 밑 블레이드 부분이 손상된 저품질의 니들은 해당 주사기의 사용시 환자에게 큰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미국 등록특허공보 US 4,046,616 (공고일: 1977. 09. 06.)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173532 (공개일: 1996. 07. 0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93628호 (공고일: 2005. 06. 1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8097호 (공고일: 2005. 09. 29.)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니들캡을 니들허브 조립체에 결합할 때 니들캡이 니들에 충돌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니들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사기 제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주사기 제조장치는 개구부 주위로 제1 외경을 가진 그립부 및 상기 제1 외경보다 작은 제2 외경을 가진 바디부가 형성된 니들캡을 포함하는 주사기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받침판; 상기 니들캡의 그립부가 상기 받침판에 안착되도록 상기 받침판에 상기 니들캡을 공급하는 니들캡 로딩부; 상기 제1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제1 내경홈이 일면에 형성된 제1 클램프부재; 상기 제1 클램프부재를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니들캡의 그립부를 상기 제1 내경홈 내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2 클램프부재; 상기 제2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제2 내경홈이 일면에 형성된 제1 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재를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니들캡의 바디부를 상기 제2 내경홈 내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클램프부재에는 관통슬롯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가이드부재는 상기 관통슬롯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클램프부재 또는 제2 클램프부재에는 관통슬롯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받침판은 상기 관통슬롯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 클램프부재의 일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주사기 제조장치는 상기 받침판 아래에서 상기 니들캡이 장착될 니들허브 조립체를 상기 받침판에 안착된 니들캡의 개구부의 아래에 지지하는 지그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니들캡의 바디부가 상기 제2 내경홈 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판이 이동하면 상기 니들캡이 낙하여 상기 니들허브 조립체의 니들이 상기 니들캡의 개구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가이드부재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니들의 상단까지의 수직 거리는 상기 니들캡의 수직 방향 길이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주사기 제조장치는 상기 지그에 지지된 상기 니들허브 조립체의 니들에 대응하는 높이에 배치된 제1 니들정렬부재; 및 상기 제1 니들정렬부재를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니들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2 니들정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니들정렬부재 및 상기 제2 니들정렬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삼각형 형상의 니들정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니들캡 로딩부는, 지지프레임; 상기 제2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로딩홈이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가 위를 향하도록 상기 로딩홈에 상기 니들캡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로딩랙; 상기 로딩랙의 일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구속부재; 상기 구속부재를 상기 로딩랙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부재구동부; 및 상기 로딩랙 및 상기 구속부재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랙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딩홈에 상기 니들캡이 삽입되면, 상기 랙회전부가 상기 로딩랙 및 상기 구속부재를 회전시키기 전에 상기 로딩홈에 수용된 니들캡의 그립부가 상기 구속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부재구동부가 상기 구속부재를 하향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파괴 주사기 제조장치는 니들캡이 니들허브 조립체에 낙하하여 결합되게 하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이용하여 주사기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와 관련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파괴 주사기 제조장치는 니들캡이 니들허브 조립체에 낙하하는 과정 중에 니들캡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니들캡이 니들에 충돌하여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제조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사기 제조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사기 제조장치의 니들캡 로딩부를 좌측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사기 제조장치의 니들캡 결합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니들캡 결합부의 일부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니들캡 결합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니들캡 결합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니들캡 결합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제조장치(100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사기 제조장치(1000)의 일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제조장치(1000)는 니들캡(10)을 포함하는 주사기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니들캡(10)은 단부의 개구부 주위로 형성된 그립부(11)와 그립부(11)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 바디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주사기 제조장치(1000)는 허브에 니들(22)이 결합된 니들허브 조립체(22) 상에 니들캡(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니들캡(10)을 구성하는 그립부(11)의 외경을 제1 외경이라 지칭하고, 제1 외경보다 작은 바디부(12)의 외경을 제2 외경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제조장치(1000)는 크게 니들캡 공급부(100), 니들캡 로딩부(200) 및 니들캡 결합부(300)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니들캡 공급부(100), 니들캡 로딩부(200) 및 니들캡 결합부(3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구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러한 명칭으로 인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사기 제조장치(1000)의 구성요소들은 본체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니들캡 공급부(100)는 사전에 제작된 니들캡(10)을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호퍼(120), 트랙(130), 및 게이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호퍼(120)에는 사전에 제작된 니들캡(10)이 투입될 수 있고, 호퍼(120)에 투입된 니들캡(10)은 정리 및 배열되어 트랙(130)에 제공될 수 있다.
트랙(130)은 니들캡(10)이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통로슬롯이 형성될 수 있고, 니들캡 로딩부(200)를 향해 하향 경사질 수 있다. 각각의 니들캡(10)은 그립부(11)가 상측을 향한 상태로 소정 단턱에 그립부(11)가 걸치도록 통로슬롯에 삽입될 수 있으며, 하향 경사를 따라 니들캡 로딩부(20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는 일부 위치의 니들캡(10)이 생략되어 있고, 통로슬롯의 대부분이 상부커버(135)에 의해 가려져 있다.
게이트(140)는 트랙(130)에 설치되어 정해진 수의 니들캡(10)만이 니들캡 로딩부(20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140)는 각 통로슬롯에 배치되어 해당 통로슬롯을 개폐하는 게이트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는데, 게이트부재(150)가 위로 인발되어 통로슬롯이 개방되면 니들캡(10)이 게이트(140)를 통과하고, 게이트부재(150)가 아래로 삽입되어 통로슬롯이 개방되면 그 후방의 니들캡(10)은 게이트(140)를 통과하지 못한 채 대기할 수 있다.
트랙(130)에서 게이트(140) 이외의 부분에서는 상부커버(135)가 배치되어 트랙(130)에 이물질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140)의 하측에는 분사노즐(160)이 구비될 수 있는데, 분사노즐(160)은 트랙(130)의 각 통로슬롯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게이트(140)를 통과한 니들캡(10)이 원활하게 니들캡 로딩부(200)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는 일부 위치의 분사노즐(160)이 생략되어 있다.
니들캡 로딩부(200)는 니들캡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니들캡(10)을 니들캡 결합부(300)에 로딩하는 부분이다. 니들캡(10)이 이송될 때에는 일반적으로 더 큰 외경을 가진 그립부(11)가 위를 향한 상태에서 이송되는데, 더 큰 제1 외경을 가진 그립부(11)와 더 작은 제2 외경을 가진 바디부(12) 사이에 자연히 형성되는 단턱을 이용하여 니들캡(10)을 이송하기가 더 용이하기 때문이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니들캡 결합부(300)는 니들캡(10)을 낙하시켜 니들허브 조립체(20) 상에 결합시키는데, 이를 위해서는 개구부가 내측에 형성된 그립부(11)가 아래를 향해야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사기 제조장치(1000)의 니들캡 로딩부(200)를 좌측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니들캡 로딩부(200)는 지지프레임(210), 로딩랙(220), 구속부재(230), 부재구동부(240) 및 랙회전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10)은 니들캡 로딩부(200)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본체프레임(110)에 결합된 것이거나 본체프레임(110)의 일부일 수 있다. 지지프레임(210)에는 로딩랙(22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로딩랙(220)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일면에는 다수의 로딩홈(225)이 형성될 수 있다. 로딩홈(225)의 개수는 트랙(130)의 통로슬롯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로딩홈(225)은 니들캡(10)의 바디부(12)의 외경(즉, 제2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니들캡 로딩부(200)는 좌측 후방에서 바라본 것으로서, 로딩홈(225)들은 트랙(130)을 향하고 있다. 로딩랙(220)은 로딩홈(225)들이 트랙(130)의 통로슬롯과 인접한 위치에서 통로슬롯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게이트(140)를 통과하여 트랙(130)의 통로슬롯을 따라 이동한 복수의 니들캡(10)들은 통로슬롯의 말단에서 자연히 트랙(130)을 이탈하는 동시에 로딩랙(220)의 로딩홈(225)에 삽입될 수 있다. 도 3에 묘사된 바와 같이, 니들캡(10)들은 그립부(11)가 로딩홈(225)의 상부에 걸쳐지고 바디부(12)가 로딩홈(225) 내부에 위치하도록 로딩랙(220)에 공급될 수 있다.
구속부재(230)는 로딩랙(220)의 일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속부재(230)는 로딩랙(220) 위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부재구동부(240)에 의해 배치된 특정 위치에서는, 로딩랙(220)에 수용된 니들캡(10)의 그립부(11) 위로 연장될 수 있다.
니들캡 로딩부(200)는 로딩랙(220) 아래로 연장되는 보호부재(235)도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재(235)는 로딩랙(220) 및 로딩홈(225)에 수용된 니들캡(10)을 보호할 수 있는데, 특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로딩랙(220)이 회전된 후에는 보호부재(235)가 로딩랙(220) 위에서 로딩랙(220) 및 니들캡(10)을 보호할 수 있다.
부재구동부(240)는 구속부재(230)를 로딩랙(2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부품이다. 부재구동부(240)는 다양한 구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구속부재(230)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공압실린더, 액츄에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랙회전부(250)는 로딩랙(220)을 지지프레임(2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부품이다. 랙회전부(250) 역시 다양한 구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딩랙(220)의 일부를 가압하여 로딩랙(220)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는 공압실린더, 액츄에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니들캡 공급부(100)의 트랙(130)으로부터 니들캡(10)이 공급될 때에는 니들캡(10)이 로딩홈(225)에 삽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구속부재(23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속부재(230)는 트랙(130)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방향으로 로딩랙(220)에 대해 후퇴한 위치에 있거나 니들캡(10)의 이동 경로를 방해하지 않는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로딩랙(220)의 각 로딩홈(225)에 니들캡(10)이 배치되면, 부재구동부(240)는 구속부재(230)를 하향 이동시켜 구속부재(230)가 니들캡(10)의 상부(즉, 그립부(11)의 상부)를 가압하게 할 수 있다. 구속부재(230)가 이와 같이 니들캡(10)을 모두 고정한 상태에서, 랙회전부(250)는 로딩랙(220)과 구속부재(230)를 회전시켜 니들캡(10)의 그립부(11)가 아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랙회전부(250)가 로딩랙(220)과 구속부재(230)를 회전시키는 동안 구속부재(230)는 로딩랙(220)에 대해 이동하지 않으며, 따라서 그립부(11)가 아래를 향하도록 로딩랙(220)과 구속부재(230)가 회전된 후에는 구속부재(230)가 니들캡(10)의 하부(즉, 그립부(11)의 하부)를 가압하여 고정하고 있다.
이어서 부재구동부(240)는 구속부재(230)를 이동시켜 니들캡(10) 모두가 그립부(11)가 아래를 향한 상태로 니들캡 결합부(300)에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즉, 구속부재(230)가 더 이상 로딩홈(225)의 하부를 막지 않도록 부재구동부(240)가 구속부재(230)를 이동시키면, 더 이상 니들캡(10)의 그립부(11)가 상부에 위치하지 않아 그립부(11)가 로딩홈(225)에 걸리지 않으므로 로딩홈(225) 내에 수용된 니들캡(10)은 아래로 낙하하여 니들캡 결합부(300)에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부재구동부(240)가 구속부재(230)를 이동시키기 전에 또는 이동시키는 중에, 캡정렬부재(260)가 니들캡(10)을 향해 이동하여 니들캡(10)의 낙하를 가이드할 수도 있다.
니들캡 결합부(300)는 니들캡 로딩부(200)에서 공급되는 니들캡(10)을 니들허브 조립체(20)에 결합하는 부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니들캡(10)은 사전에 제작된 니들캡(10)은 호퍼(120)에 투입되어 니들캡 공급부(100)와 니들캡 로딩부(200)를 거쳐 공급될 수 있고, 니들캡(10)과 결합될 니들허브 조립체(20)는 별도의 구동부에 의해 이동하는 지그(170)에 안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지그(170)는 니들캡 결합부(300)의 하부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니들허브 조립체(20)를 공급하는 한편 니들캡(10)이 결합된 후의 니들허브 조립체(20)를 후속 공정을 위해 다른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니들캡 결합부(300)는 받침판(330)에 배치된 니들캡(10)이 낙하하여 니들허브 조립체(20)에 결합되게 하되, 니들캡(10)이 낙하하는 중에도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사기 제조장치(1000)의 니들캡 결합부(300)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니들캡 결합부(300)의 일부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니들캡 결합부(300)는 지지프레임(310, 320), 받침판(330),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410, 420),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10, 520) 및 제1 및 제2 니들정렬부재(610, 6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310, 320)은 니들캡 결합부(300)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본체프레임(110)에 결합된 것이거나 본체프레임(110)의 일부일 수 있다. 지지프레임(310, 320)에는 캡정렬부재(260), 받침판(330),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410, 420),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10, 520), 제1 및 제2 니들정렬부재(610, 620) 및 지그정렬부재(65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265, 335, 415, 425, 515, 525, 615, 625, 655) 및/또는 가이드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구동부(265, 335, 415, 425, 515, 525, 615, 625)가 캡정렬부재(260), 받침판(330),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410, 420),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10, 520) 및 제1 및 제2 니들정렬부재(610, 620)의 중간에 형성되고 가이드가 양측에 형성된 것으로 묘사되어 있고, 반대로 지그정렬부재(650)의 구동부(655)는 양측에 형성되고 가이드가 그 내측에 형성된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위 구성요소들을 위한 구동부 및 가이드의 개수 및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캡정렬부재(2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로딩홈(225)에 수용된 니들캡(10)을 로딩랙(220)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부재구동부(240)가 구속부재(230)를 이동시킬 때 니들캡(10)을 향해 이동하여 니들캡(10)을 제위치에 정렬시킴으로써 니들캡(10)의 낙하를 가이드할 수 있다. 구동부(265)가 작동하면, 캡정렬부재(260)는 주사기 제조장치(1000)의 전방을 향하고 있는 로딩랙(220)을 향해 이동할 수 있으며, 로딩랙(220)으로부터 분리되는 니들캡(10)이 제1 클램프부재(410)와 제2 클램프부재(420) 사이의 올바른 위치에 도달하도록 도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캡정렬부재(260)가 생략될 수도 있다.
받침판(330)은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니들캡 로딩부(200)에서 공급되는 니들캡(10)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받침판(330)은 그 상면이 편평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별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부(335)의 작동에 따라 받침판(330)은 니들캡(10)을 지지하는 위치와 지지하지 않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받침판(330)의 반대편에는 받침판(330)의 이동을 특정 범위로 제한하는 스토퍼(34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클램프부재(410)와 제2 클램프부재(420)는 함께 니들캡(10)을 대략적으로 정렬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제1 클램프부재(410)와 제2 클램프부재(420)는 받침판(330)에 안착된 니들캡(10)을 사이에 두고 서로를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니들캡(10)을 고정하는데, 니들캡(10)의 그립부(11)가 가장 큰 외경을 가지므로 제1 클램프부재(410)와 제2 클램프부재(420) 사이에는 그립부(11)가 양측에서 고정될 수 있다. 제1 클램프부재(410)와 제2 클램프부재(420)가 서로를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함은 제1 클램프부재(410)와 제2 클램프부재(420)가 모두 서로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도 포함하지만 제1 클램프부재(410)와 제2 클램프부재(420) 중 어느 하나만이 다른 하나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도 포함함은 물론이다. 제1 클램프부재(410)와 제2 클램프부재(420) 중 어느 하나가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된 실시예에서는 해당 제1 또는 제2 클램프부재(410, 420)의 구동부(415, 425)도 생략될 것이다.
니들캡(10)을 더욱 효과적으로 정렬시키기 위해, 제1 클램프부재(410)의 제2 클램프부재(420)를 향하는 일면 및/또는 제2 클램프부재(420)의 제1 클램프부재(410)를 향하는 일면에는 제1 내경홈(43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내경홈(4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램프부재(410)와 제2 클램프부재(420) 모두에 형성될 수 있으나,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1 클램프부재(410)와 제2 클램프부재(420) 중 어느 하나에만 제1 내경홈(43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내경홈(430)은 그립부(11)의 외경(즉, 제1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경홈(430)이 제1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함은, 제1 내경홈(430)의 내경이 제1 외경과 거의 동일하되, 제1 클램프부재(410)와 제2 클램프부재(420)가 니들캡(10)의 양측을 구속할 때 니들캡(10)의 낙하를 방지하는 정도의 마찰력을 제공하지는 않도록 제1 외경보다 약간은 크다는 의미이다. 도면에 묘사된 것과 같이 제1 내경홈(430)은 제1 외경과 거의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진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니들캡(10)이 삽입되었을 때 그립부(11)를 효과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는 한 다각형 등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제1 클램프부재(410)가 주사기 조립장치(1000)의 전방에 위치하고 제2 클램프부재(420)가 그 후방에 위치한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클램프부재(410, 420)들의 위치 및 형상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제1 가이드부재(510)와 제2 가이드부재(520)는 함께 니들캡(10)을 더 세밀하게 정렬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제1 가이드부재(510)와 제2 가이드부재(520)는 받침판(330)에 안착된 니들캡(10)을 사이에 두고 서로를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니들캡(10)을 고정하는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10, 520)는 니들캡(10)의 바디부(12)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제1 가이드부재(510)와 제2 가이드부재(520) 사이에는 바디부(12)가 양측에서 고정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510)와 제2 가이드부재(520)가 서로를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함은 제1 가이드부재(510)와 제2 가이드부재(520)가 모두 서로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도 포함하지만, 제1 가이드부재(510)와 제2 가이드부재(520) 중 어느 하나만이 다른 하나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도 포함함은 물론이다. 제1 가이드부재(510)와 제2 가이드부재(520) 중 어느 하나가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된 실시예에서는 해당 제1 또는 제2 가이드부재(510, 520)의 구동부(515, 525)도 생략될 것이다.
니들캡(10)을 더욱 효과적으로 정렬시키기 위해, 제1 가이드부재(510)의 제2 가이드부재(520)를 향하는 일면 및/또는 제2 가이드부재(520)의 제1 가이드부재(510)를 향하는 일면에는 제2 내경홈(53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내경홈(5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재(510)와 제2 가이드부재(520) 모두에 형성될 수 있으나,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1 가이드부재(510)와 제2 가이드부재(520) 중 어느 하나에만 제2 내경홈(53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내경홈(530)은 바디부(12)의 외경(즉, 제2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내경홈(530)이 제2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함은, 제2 내경홈(530)의 내경이 제2 외경과 거의 동일하되, 제1 가이드부재(510)와 제2 가이드부재(520)가 니들캡(10)의 양측을 구속할 때 니들캡(10)의 낙하를 방지하는 정도의 마찰력을 제공하지는 않도록 제2 외경보다 약간은 크다는 의미이다. 도면에 묘사된 것과 같이 제2 내경홈(530)은 제2 외경과 거의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진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니들캡(10)이 삽입되었을 때 바디부(12)를 효과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는 한 다각형 등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제1 가이드부재(510)가 주사기 조립장치(1000)의 전방에 위치하고 제2 가이드부재(520)가 그 후방에 위치한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 등의 용어는 가이드부재(510, 520)들의 위치 및 형상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도시되지 않은 일실시예에서는 제1 가이드부재(510)가 제1 클램프부재(410)의 일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1 가이드부재(510)와 제1 클램프부재(41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니들캡(10)이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410, 420) 사이에 공급될 때 제1 가이드부재(510)와 제1 클램프부재(410)가 충분한 거리를 이동하여 제1 가이드부재(510)가 니들캡(10)의 낙하를 방해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주사기 조립장치(1000)는 제1 및 제2 니들정렬부재(610, 6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니들정렬부재(610)와 제2 니들정렬부재(620)는 함께 니들캡(10) 하부에 배치된 니들허브 조립체(20)의 니들(22)을 정렬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구동부(615, 625)의 작동에 따라, 제1 니들정렬부재(610)와 제2 니들정렬부재(620)는 니들(22)을 사이에 두고 서로를 향해 이동하여 니들(22)을 정렬할 수 있다.
주사기 조립장치(1000)는 또한 지그정렬부재(6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지그정렬부재(650)는 니들허브 조립체(20)를 지지하는 지그(170)를 정렬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구동부(655)의 작동에 따라, 지그정렬부재(650)는 니들허브 조립체(20)를 향해 이동하여 지그(170)를 정렬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니들캡 결합부(300)의 구조를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니들캡 결합부(300)의 일부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5는 니들캡(10)을 기준으로 전방(도 4의 좌측)에 위치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내고 도 6은 니들캡(10)을 기준으로 후방(도 4의 우측)에 위치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캡정렬부재(260)는 로딩랙(220)의 좌우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로딩랙(220)을 향한 일면에 정렬홈(270)이 형성될 수 있다. 정렬홈(270)은 니들캡(10)의 제1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캡정렬부재(260)가 로딩랙(220)을 향해 이동하면, 니들캡(10)은 정렬홈(270)을 통과하면서 낙하하여 받침판(330) 상면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받침판(330)은 로딩랙(220)의 좌우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클램프부재(410)에 형성된 관통슬롯(443)을 통과해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받침판(330)이 관통슬롯(443)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구성으로 인해 받침판(330)은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410, 420)에 의해 양측에서 구속된 니들캡(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받침판(330)에 안착된 그립부(11)가 받침판(330)의 바로 위에서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410, 4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 클램프부재(410)에 관통슬롯(443)을 형성하는 대신 제1 클램프부재(410)의 하부가 받침판(330)의 바로 위까지만 도달하게 형성하는 방법도 가능하겠으나, 받침판(330)이 관통슬롯(443)을 통과하게 하는 구성은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410, 420)에 대해 받침판(330) 자체를 정위치에 정렬시키는 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받침판(330)은 제1 클램프부재(410)에 형성된 관통슬롯(443)뿐만이 아니라 제2 클램프부재(420)에 형성된 관통슬롯(453)도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 클램프부재(420)에 제1 내경홈(430)이 형성된 경우 특히 유리할 수 있는데, 받침판(330)의 단부가 관통슬롯(453)을 통과함으로써 제2 클램프부재(420)의 제1 내경홈(430)에서도 니들캡(10)의 하부가 받침판(330)에 지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2 클램프부재(420)의 관통슬롯(453)이 생략되고 제2 클램프부재(420)의 하부가 받침판(330)의 바로 위까지만 도달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2 클램프부재(420)의 관통슬롯(453)이 제2 클램프부재(420)를 온전히 관통하지 않는 홈의 형태로 구현되고, 받침판(330)이 관통슬롯(453)이 허용하는 위치까지만 이동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2 클램프부재(420)에 관통슬롯(453)이 생략되고, 받침판(330)의 단부가 제2 클램프부재(420) 일면에 형성된 제1 내경홈(430)의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받침판(330)의 단부가 제2 클램프부재(420)의 제1 내경홈(430)과 치합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물론, 제2 클램프부재(420)에 제1 내경홈(430)이 형성되지 않은 실시예에서는 받침판(330)의 단부도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클램프부재(410)는 로딩랙(220)의 좌우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제1 클램프부재(410)에 받침판(330)과 제1 가이드부재(510)가 각각 통과하기 위한 관통슬롯(443, 445)이 형성된 경우에는 받침판(330) 및 제1 가이드부재(510)보다는 약간 더 큰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클램프부재(410)의 일면에는 제1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제1 내경홈(430)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클램프부재(420) 역시 로딩랙(220)의 좌우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되, 제2 클램프부재(420)에 받침판(330)과 제2 가이드부재(520)가 각각 통과하기 위한 관통슬롯(453, 455)이 형성된 경우에는 받침판(330) 및 제2 가이드부재(520)보다는 약간 더 큰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클램프부재(420)의 제1 클램프부재(410)를 향하는 면에도 제1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제1 내경홈(430)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내경홈(430)을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410, 420) 중 하나에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410, 420)의 제1 내경홈(430)이 반드시 동일한 형상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410, 420) 중 하나 이상에 관통슬롯(443, 445, 453, 455)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한데, 예를 들어 제1 클램프부재(410)가 받침판(330)의 상면과 제1 가이드부재(510)의 하면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경우와, 제2 클램프부재(420)가 받침판(330)의 상면과 제2 가이드부재(520)의 하면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경우 그러하다. 다만, 니들캡(10)이 니들캡 로딩부(200)로부터 낙하하여 공급되고 니들허브 조립체(20)에도 낙하하여 결합되는 것이므로, 받침판(330)과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10, 520)가 관통슬롯(443, 445, 453, 455)을 통과하여 이동하게 하고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410, 420)가 더 큰 높이에 대응하는 범위에 형성되게 하는 것이 니들캡(10)의 낙하를 특정 위치로 가이드하는 측면에서 더 유리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510)는 로딩랙(220)의 좌우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클램프부재(410)에 형성된 관통슬롯(445)을 통과해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510)의 일면에는 제2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제2 내경홈(53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가이드부재(510)에 형성된 제2 내경홈(530) 각각은 제1 클램프부재(410)에 형성된 제1 내경홈(430)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되 그 크기만 더 작아, 니들캡(10)의 그립부(11)가 아닌 바디부(12)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가이드부재(520) 역시 로딩랙(220)의 좌우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클램프부재(420)에 형성된 관통슬롯(455)을 통과해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재(520)의 제1 가이드부재(510)를 향하는 면에도 제2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제2 내경홈(530)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내경홈(530)을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10, 520) 중 하나에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10, 520)의 제2 내경홈(530)이 반드시 동일한 형상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10, 520)는,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410, 420)가 니들캡(10)을 고정하기 위해 이동한 후에 또는 이동하는 동시에, 구동부(515, 525)의 작동에 따라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410, 420)의 관통슬롯(445, 455)을 통과하여 니들캡(10)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니들캡(10)에서 더 큰 외경(제1 외경)을 가진 그립부(11)가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410, 420)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10, 520)는 니들캡(10)에서 더 작은 외경(제2 외경)을 가진 바디부(12)를 구속할 수 있다. 클램프부재(410, 420)들과 가이드부재(510, 520)의 작동에 대해서는 이후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니들정렬부재(610)는 로딩랙(220)의 좌우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클램프부재(410) 아래에서 지그(170) 상에 배치된 니들허브 조립체(20)의 니들(22)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니들정렬부재(610)의 단부에는 니들(22)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편평한 띠 형상의 돌출부(6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니들정렬부재(620) 역시 로딩랙(220)의 좌우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클램프부재(420) 아래에서 지그(170) 상에 배치된 니들허브 조립체(20)의 니들(22)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니들정렬부재(620)는 그 단부에 각 니들(22)의 배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된 니들정렬홈(630)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제1 니들정렬부(610)의 돌출부(64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치합홈(645)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니들정렬홈(630)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니들정렬부재(610) 또는 제2 니들정렬부재(620) 아래에 지그정렬부재(650)도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는 지그정렬부재(650)의 일부가 생략되어 있으나, 지그정렬부재(650)는 로딩랙(220)의 좌우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니들정렬부재(610) 아래에서 지그(170) 상에 배치된 니들허브 조립체(20)를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410, 420)가 니들캡(10)을 고정하기 위해 이동하기 전에 또는 이동하는 동시에, 지그정렬부재(650)는 구동부(655)의 작동에 따라 니들허브 조립체(20)를 향해 이동하여 각각의 니들허브 조립체(20)를 지그(170) 상에 정렬할 수 있다. 각 니들허브 조립체(20)는 지그(170)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안착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는데, 지그정렬부재(650)는 예를 들어 정면에서 니들허브 조립체(20)가 안착된 지그(170)를 가압하여 니들허브 조립체(20)가 틀어진 상태가 아닌 정위치로 정렬되었음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지그정렬부재(650)가 니들허브 조립체(20)를 지지하는 지그(170)를 고정하기 위해 이동한 후에 또는 이동하는 동시에, 제1 및 제2 니들정렬부재(610, 620)는 구동부(615, 625)의 작동에 따라 니들(22)을 향해 이동하여 각각의 니들(22)이 정위치에 정렬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니들정렬부재(610, 620)는, 니들(22)이 후면에서는 제2 니들정렬부재(620)의 니들정렬홈(630)의 내측을 접촉하고 정면에서는 제1 니들정렬부재(610)의 돌출부에 접촉하게 함으로써 니들(22)을 정렬하되, 니들(22)이 수직 방향으로 니들캡(10)과 정렬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니들캡 결합부(300)의 작동을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니들캡 결합부(30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지그(170)에 니들허브 조립체(20)가 공급되고 받침판(330) 상에 니들캡(10)이 공급된 상태를 묘사하고 있다. 니들허브 조립체(20)는 제1 및 제2 니들정렬부재(610, 620) 및 지그정렬부재(650)에 의해 정렬되었고, 니들캡(10)은 캡정렬부재(260)에 의해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410, 420) 사이에서 받침판(330) 상에 공급된 상태이다.
도 7에서와 같이, 받침판(330)은 고정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410, 420)가 니들캡(10)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받침판(330)은 제1 클램프부재(410)의 관통슬롯(443) 내부에 위치하므로 받침판(330)이 고정된 상태에서도 제1 클램프부재(410)의 이동이 가능하다.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410, 420)가 최대한 이동하면 니들캡(10)은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410, 420) 내측의 제1 내경홈(430)에 접촉하게 되는데, 니들캡(10) 중에서도 더 큰 외경(제1 외경)을 가진 그립부(11)가 제1 내경홈(430)의 내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내경홈(430)은 제1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그립부(11)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니들캡(10)을 구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니들캡(10)의 그립부(11)만이 정렬된 상태에서 받침판(330)을 제거하면, 니들캡(10)이 낙하할 때 그립부(11) 이외의 부분 주위의 공간으로 인해 니들캡(10)이 회전할 여지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안전 주사기의 경우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안전 주사기의 니들캡(10)은 일반 주사기에 비해 더 복잡한 구조를 가져 무게중심이 정가운데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무게중심이 정가운데에 있지 않아 니들캡(10)이 낙하하면서 회전하게 되면, 낙하 이전에 니들캡(10)이 니들(22)과 정렬되어 있다 하더라도 니들캡(10)의 일부가 니들(22)의 단부와 충돌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니들(22)의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도 8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410, 420)가 니들캡(10)의 그립부(11)를 구속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10, 520)가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410, 420)의 관통슬롯(445, 455)을 통과하여 니들캡(10)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10, 520)가 관통슬롯(445, 455)을 통과하므로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410, 420)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10, 520)의 이동이 가능하다.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10, 520)가 최대한 이동하면 니들캡(10)은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10, 520) 내측의 제2 내경홈(530)에 접촉하게 되는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10, 520)는 니들캡(10) 중 바디부(12)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더 작은 외경(제2 외경)을 가진 바디부(12)가 제2 내경홈(530)의 내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내경홈(530)은 제2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바디부(12)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니들캡(10)을 구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니들캡(10)의 그립부(11)와 바디부(12)가 모두 구속된 상태에서, 도 9에서와 같이, 바닥판(330)이 제거될 수 있다. 받침판(330)은 제1 클램프부재(410)의 관통슬롯(443)을 통과해 이동하므로 받침판(330)이 이동할 때에도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410, 42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바닥판(330)이 제거되어 니들캡(10)이 낙하할 때, 바디부(12)의 일부가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10, 520)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는 니들캡(10)의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니들캡(10)의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10, 520)가 형성된 위치를 벗어나기까지는 니들캡(10)이 회전하지 않고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10, 520)의 하면과 니들(22)의 단부까지의 수직 거리(d)가 니들캡(10)의 수직 방향 길이보다 작도록 설계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니들(22)의 단부가 니들캡(10)의 개구부에 삽입될 때까지 니들캡(10)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니들캡(10)의 일부가 니들(22)의 단부와 충돌하여 니들(22)의 단부가 손상되는 불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파괴 주사기 제조장치(1000)는 니들캡(10)이 니들허브 조립체(20)에 낙하하여 결합되게 하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이용하여 주사기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와 관련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파괴 주사기 제조장치(1000)는 니들캡(10)이 니들허브 조립체(20)에 낙하하는 과정 중에 니들캡(10)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니들캡(10)이 니들(22)에 충돌하여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더 낮은 불량률 및 더 높은 생산수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파괴 주사기 제조장치(1000)는 니들캡(10)의 무게중심이 정가운데에 위치하지 않는 안전 주사기의 경우 특히 효과적으로 불량률을 낮출 수 있으나, 안전 주사기가 아닌 일반 주사기에서도 불량률을 낮추고 생산수율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니들캡
100: 니들캡 공급부 200: 니들캡 로딩부
300: 니들캡 결합부 330: 받침판
410: 제1 클램프부재 420: 제2 클램프부재
430: 제1 내경홈 443, 445, 453, 455: 관통슬롯
510: 제1 가이드부재 520: 제2 가이드부재
610: 제1 니들정렬부재 620: 제2 니들정렬부재
1000: 주사기 제조장치

Claims (9)

  1. 개구부 주위로 제1 외경을 가진 그립부 및 상기 제1 외경보다 작은 제2 외경을 가진 바디부가 형성된 니들캡을 포함하는 주사기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받침판;
    상기 니들캡의 그립부가 상기 받침판에 안착되도록 상기 받침판에 상기 니들캡을 공급하는 니들캡 로딩부;
    상기 제1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제1 내경홈이 일면에 형성된 제1 클램프부재;
    상기 제1 클램프부재를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니들캡의 그립부를 상기 제1 내경홈 내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2 클램프부재;
    상기 제2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제2 내경홈이 일면에 형성된 제1 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재를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니들캡의 바디부를 상기 제2 내경홈 내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부재에는 관통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가이드부재는 상기 관통슬롯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부재 또는 제2 클램프부재에는 관통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판은 상기 관통슬롯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 클램프부재의 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 아래에서 상기 니들캡이 장착될 니들허브 조립체를 상기 받침판에 안착된 니들캡의 개구부의 아래에 지지하는 지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니들캡의 바디부가 상기 제2 내경홈 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판이 이동하면 상기 니들캡이 낙하여 상기 니들허브 조립체의 니들이 상기 니들캡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제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재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니들의 상단까지의 수직 거리는 상기 니들캡의 수직 방향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제조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에 지지된 상기 니들허브 조립체의 니들에 대응하는 높이에 배치된 제1 니들정렬부재; 및
    상기 제1 니들정렬부재를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니들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2 니들정렬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니들정렬부재 및 상기 제2 니들정렬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삼각형 형상의 니들정렬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제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캡 로딩부는,
    지지프레임;
    상기 제2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로딩홈이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가 위를 향하도록 상기 로딩홈에 상기 니들캡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로딩랙;
    상기 로딩랙의 일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구속부재;
    상기 구속부재를 상기 로딩랙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부재구동부; 및
    상기 로딩랙 및 상기 구속부재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랙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제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홈에 상기 니들캡이 삽입되면, 상기 랙회전부가 상기 로딩랙 및 상기 구속부재를 회전시키기 전에 상기 로딩홈에 수용된 니들캡의 그립부가 상기 구속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기 부재구동부가 상기 구속부재를 하향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제조장치.
KR1020210158861A 2021-11-17 2021-11-17 니들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사기 제조장치 KR102409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861A KR102409203B1 (ko) 2021-11-17 2021-11-17 니들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사기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861A KR102409203B1 (ko) 2021-11-17 2021-11-17 니들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사기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203B1 true KR102409203B1 (ko) 2022-06-15

Family

ID=8198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861A KR102409203B1 (ko) 2021-11-17 2021-11-17 니들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사기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2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098B1 (ko) * 2024-01-22 2024-04-09 주식회사 바이오비쥬 하나의 라인으로 자동화된 프리필드 시린지의 포장설비 및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6616A (en) 1976-09-13 1977-09-06 V-Mark Automation Ltd. Automatic assembly apparatus of syringes
JPH08173532A (ja) 1994-12-26 1996-07-09 Shibuya Kogyo Co Ltd シリンジ製造装置
US6651405B1 (en) * 1999-10-30 2003-11-25 Arzneimittel Gmbh Apotheker Vetter & Co. Ravensburg Apparatus for mounting a tip cap on a syringe subassembly
KR100493628B1 (ko) 2003-07-28 2005-06-10 백우인 주사기 자동 조립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주사기 자동 조립방법
KR100518097B1 (ko) 1996-07-15 2005-09-29 스타 스린지 리미티드 주사기 및 그 제조장치
KR101761563B1 (ko) * 2016-12-27 2017-07-26 주식회사 삼웅테크 자동 멀티 주사 바늘 조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6616A (en) 1976-09-13 1977-09-06 V-Mark Automation Ltd. Automatic assembly apparatus of syringes
JPH08173532A (ja) 1994-12-26 1996-07-09 Shibuya Kogyo Co Ltd シリンジ製造装置
KR100518097B1 (ko) 1996-07-15 2005-09-29 스타 스린지 리미티드 주사기 및 그 제조장치
US6651405B1 (en) * 1999-10-30 2003-11-25 Arzneimittel Gmbh Apotheker Vetter & Co. Ravensburg Apparatus for mounting a tip cap on a syringe subassembly
KR100493628B1 (ko) 2003-07-28 2005-06-10 백우인 주사기 자동 조립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주사기 자동 조립방법
KR101761563B1 (ko) * 2016-12-27 2017-07-26 주식회사 삼웅테크 자동 멀티 주사 바늘 조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098B1 (ko) * 2024-01-22 2024-04-09 주식회사 바이오비쥬 하나의 라인으로 자동화된 프리필드 시린지의 포장설비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9203B1 (ko) 니들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사기 제조장치
CN105307709A (zh) 流动通路子组件
EP3142930B1 (en) Filling device
US5756905A (en) Automatic injector
US20160331587A1 (en) Injector for intraocular lens
CN102036705A (zh) 皮下注射针头保护罩
CN104800912B (zh) 安瓿瓶配药装置及配药方法
BRPI0711868A2 (pt) dispositivo de injeção com engate de portador de seringa com a tampa
BRPI0712697A2 (pt) dispositivo de injeção
KR101875013B1 (ko) 약제 조제장치 및 조제방법
KR101656975B1 (ko) 인 오보 주입 장치용 에그 트레이 전진 시스템 및 관련 방법
KR101681380B1 (ko) 화장품 용기용 거울 조립유닛 및 이를 갖는 화장품 용기 조립장치
KR102408967B1 (ko) 주사기 충전장치
JP7082732B2 (ja) 注入器具セット
KR102094257B1 (ko) 철판절곡기의 철판자동공급장치
CN111246731B (zh) 卵内注射设备
EP2694411B1 (de) Transportvorrichtung
CN105251080A (zh) 一种蝴蝶针保护套和蝴蝶针组件
JP3268544B2 (ja) 注射器充填装置および充填方法
JP2006510557A (ja) 保持手段およびコンベヤシステム
KR102431195B1 (ko) 주사기 조립장치
CN105283595B (zh) 用于分离针的设备
KR101741023B1 (ko) 주사기용 필터니들 제조방법
CN106012354B (zh) 缝纫机的穿线装置
KR100493628B1 (ko) 주사기 자동 조립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주사기 자동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