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195B1 - 주사기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주사기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195B1
KR102431195B1 KR1020200135718A KR20200135718A KR102431195B1 KR 102431195 B1 KR102431195 B1 KR 102431195B1 KR 1020200135718 A KR1020200135718 A KR 1020200135718A KR 20200135718 A KR20200135718 A KR 20200135718A KR 102431195 B1 KR102431195 B1 KR 102431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vertical
support guide
guide
p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1962A (ko
Inventor
백우인
Original Assignee
세계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계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계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5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195B1/ko
Publication of KR20220051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2005/3131Syringe barrels 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sealing or sli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22Materials for reducing fri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 A61M2207/10Device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2Equipment for testing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기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사기 외통의 내측둘레면에 실리콘이 정상적으로 도포되지 못한 불량주사기를 조립과정에서 지체없이 자동으로 배출시켜 주도록 함에 따라 작업성 향상에 의한 생산성 증대와 함께 작업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주사기 밀대에 가스켓이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못한 불량주사기도 자동으로 배출시켜 주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2조립인덱스(8)의 구성요소인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220)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배출공간부(85) 영역내에서 상기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220)에 가이된 상태로 이송되는 주사기(1)의 밀대(1b)가 필요이상 상승된 경우 이를 감지하는 주사기 감지기(250)와, 상기 제2조립인덱스(8)의 구성요소인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주사기 감지기(250)의 감지신호를 제어부를 통해 전달받아 상하로 이동력을 부여하는 수직실린더(260)와,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에 절단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면서도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에 형성된 지지홈(230a)과는 수평방향으로 연통된 연통공간(290)과, 상기 수직실린더(260)의 실린더로드에 고정되어 수직실린더의 상하이동력을 받아 연통공간(290)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는 개폐편(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사기 조립장치{Syringe assembly device}
본 발명은 의료현장에서 환자에게 약물을 주입하는 주사기를 자동으로 조립하는 주사기 조립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사기 조립과정 중 주사기의 외통에 밀대가 정상적으로 끼워지지 않은 불량주사기를 자동으로 배출시켜 주도록 한 주사기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1)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일단에 단차진 상태로 결합관을 갖는 외통(1a)과, 상기 외통의 공간부에 끼워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밀대(1b)와, 상기 밀대 중 외통(1a)의 공간부로 끼워진 끝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밀대(1b)의 이동시 외통(1a) 내측둘레면과 기밀접촉되면서 이동방향에 따라 압축력을 제공하거나 흡입력을 제공하는 가스켓(1c)과, 상기 외통(1a)의 결합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밀대(1b)의 이동방향에 따라 주사액이 흡입되거나 배출되는 주사바늘(1d)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주사바늘은 유통과정 및 사용과정에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보호커버(1e)로서 보호되어 있다.
상기한 주사기는 주사기 조립장치을 통해 자동으로 조립되어 포장되고, 의료현장에서 사용시에는 포장을 제거한 다음 사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외통(1a)의 내측둘레면에는 주사기를 주사기 조립장치를 통해 조립하는 초기 단계에서 별도의 실리콘 분사기(도시는 생략됨)에 의해 실리콘이 분사되어 도포된 상태인데, 이는 주사기의 사용시 밀대(1b)에 결합된 가스켓(1c)이 고무재질로 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밀대(1b)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카스켓(1c)과 외통(1a)의 접촉에 의한 마찰저항이 발생하더라도 이 마찰저항을 가볍게 이기고 원할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불필요한 힘을 들이는 일이 없도록 함에 따라 상기 주사기의 흔들림으로 인한 환자의 고통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그럼 여기서 일반적인 주사기 조립장치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같이 도시하지 않은 실리콘 분사기를 통해 내측둘레면으로 실리콘이 도포된 주사기 외통(1a)이 외통공급인덱스(3)를 거져 순차적으로 제1조립인덱스(4)에 진입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밀대공급슈트(6)를 통해 공급된 주사기 밀대(1b)가 밀대공급인덱스(5)를 거쳐 순차적으로 상기 제1조립인덱스(4)에 진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조립인덱스(4)로 동시에 진입한 주사기 외통(1a)과 밀대(1b)는 상기 제1조립인덱스(4)를 따라 회전하면서 캠(4a)을 통해 일정거리 범위에서 상하로 왕복하도록 동작되는 제1누름판(7)에 의해 상기 밀대(1b)가 외통(1a) 내부로 일차 소량 진입되게 가압되면서 가조립 상태로 제2조립인덱스(8)에 진입한다.
상기 제2조립인덱스(8)로 진입된 가조립상태의 외통(1a)과 밀대(1b)는 상기 제2조립인덱스(8)를 따라 회전하면서 캠(8a)을 통해 일정거리 범위에서 상하로 왕복하도록 동작되는 제2누름판(9)이 상기 가조립된 밀대(1b)를 하방으로 가압하므로 상기 밀대가 외통(1a) 내부로 완전히 진입되면서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한 제1조립인덱스(4)와 제2조립인덱스(8)는 한스탭씩 동작이 이루어지는데, 한스탭에서 하나의 주사기가 이송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한스탭에서 두개의 주사기가 이송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주사기 조립장치에 있어서는 주사기 밀대(1b)의 조작력(외통의 내측둘레면에 실리콘이 정상적으로 도포되어 있느냐에 따른 밀대의 이동력)과는 상관없이 캠운동을 통해 상기 밀대(1b)를 눌러주도록 동작되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은 실리콘 분사기의 작동 오류 등으로 주사기 외통(1a)의 내측둘레면에 실리콘이 정상적으로 도포되지 않았을 경우(도포되지 않았거나 비정상적으로 적게 도포되었을 경우)에 발생되는 불량주사기를 선별해 내기가 매우 어려웠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한 전수검사를 통해 상기 밀대(1b)의 조작력을 테스트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일반적인 주사기 조립장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출원인이 제10-2011-0098717호로 특허출원하여 제10-1206053호로 등록된 주사기 조립장치가 종래 일 실시예로 제공되고 있다.
상기한 선출원 제10-2011-0098717호는 주사기 외통(1a)의 내측둘레면에 실리콘이 정상적으로 도포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사기가 조립되는 경우 이를 작업자가 조립 완료전 단계에서 육안으로 쉽게 판별할 수 있게하는 주사기 조립장치이다.
상기 종래 일 실시예의 기술인 선출원 제10-2011-0098717호에 대해 도 3 내지 8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사기 밀대(1b)를 눌러서 외통(1a)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일정거리 범위내에서 상하로 왕복운동하는 누름판(100)을 구비하는데, 상기 누름판은 앞서 설명된 일반적인 주시기 조립장치에서 언급한 제2누름판(9)에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제2조립인덱스(8)에 구비된 캠(8a)을 따라 이동하는 구름롤러(A)가 구름회전 가능하게 고정편(B)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편은 수직봉(C)에 의해 누름판(100)과 이격된 상태로 상부에 위치되게 고정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판(100)에는 수직관통공(110)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관통공에는 마그넷링(120)이 끼워진 상태로 고정됨과 함께 누름핀(130)이 여우있게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누름핀의 상단에는 상기 마그넷링(120)의 자력에 의해 부착이 가능하도록 자성체로 이루어진 헤드부(14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누름핀(130)의 하단은 주사기 밀대(1b)의 상단에 접촉이 가능하도록 상기 누름판(10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길이 노출되고, 상기 누름핀(130)에는 누름핀이 상승할 때 누름판(100)의 저면에 눌려 압축되도록 탄성부재(160)가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누름핀(130)의 하단에는 상기 탄성부재(16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블럭(170)이 고정된다.
따라서 누름판(100)이 제2조립인덱스(8)를 따라 회전하면서 캠운동을 통해 일정거리를 하강,상승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누름판(100)의 하강이 진행될 때 누름핀(130)의 하단이 주사기 밀대(1b)의 상단을 가압하게 되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 외통(1a)의 내측둘레면에 실리콘이 정상적으로 도포된 경우에는 주사기(1)의 가스켓(1c)과 외통(1a)의 마찰력이 정상적임에 따라 큰 가압력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상기 외통(1a) 내부로 밀대(1b)가 원활하게 진입되면서 상기 밀대(1b)가 외통(1a)에 정상적으로 조립 완료된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 외통(1a)의 내측둘레면에 실리콘이 정상적으로 도포되지 않은 경우에는 가스켓(1c)과 외통(1a)의 마찰력이 정상적이지 못함에 따라 상기 밀대(1b)를 외통(1a)에 진입시키는데 큰 가압력이 요구되고, 이 경우 누름핀(130)이 밀대(1b)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상기 누름핀(130)이 탄성부재(160)의 압축력을 받으면서 상승하므로 상기 누름핀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는 헤드부(140)는 마그넷링(120)과 이격되기 시작한다.
계속해서 누름판(100)은 제2조립인덱스(8)의 캠(8a) 곡선으로 인해 하강하게 되지만 누름핀(130)은 주사기 밀대(1b)를 더이상 가압하지 못한 상태가 되면서 상승하게 되고, 이후 상기 누름판(100)이 캠(8a) 곡선에 의한 캠운동으로 다시 상승하게 될 때 상기 누름핀(130)은 자중 및 탄성부재(160)의 인장력을 받아 하강하면서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이때에는 헤드부(140)가 마그넷링(120)에 다시 달라 붙게된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주사기 외통(1a)에 밀대(1b)가 완전히 진입되지 못한 상태로 조립된 주사기가 육안으로 식별된 경우 상기 외통(1a)의 내측둘레면에 실리콘이 정상적으로 도포되지 못한 불량주사기로 판단하여 제거할 수 있으므로 불량주사기를 걸러낼 수 있고, 이로 인해 의료종사자가 불량주사기를 사용하여 환자에게 약물을 주입하는 경우가 거의 없게됨은 이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종래 일 실시예의 주사기 조립장치에서는 주사기 외통의 내측둘레면에 실리콘이 정상적으로 도포되지 못한 경우의 불량주사기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식별하고, 이 식별된 불량주사기를 수작업에 의해 인위적으로 제거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됨에 따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작업과정에서의 안전성이 확보되지 못하여 안전사고가 다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제10-2014-0065977호로 특허출원하여 제10-1592901호로 등록된 주사기 조립장치가 종래 다른 실시예로 제공되고 있다.
상기한 선출원 제10-2014-0065977호는 주사기 밀대(1b)에 가스켓(1c)이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못한 불량상태(밀대에 가스켓이 결합되지 않았거나 결합되었더라도 잘못 결합된 상태)로 주사기가 조립되는 경우 이를 작업자가 조립 완료전 단계에서 자동으로 배출시켜 줄 수 있게하는 주사기 조립장치로서, 종래 다른 실시예로 하여 참고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데, 종래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표기함을 미리 밝히는 바 이다.
제1조립인덱스(4)를 통해 조립이 완료된 주사기를 받아 순차이동시키는 제2조립인덱스(8)와, 주사기 밀대(1b)만 상승시키는 유도슬라이드(200)와, 상기 밀대(1b)에 가스켓(1c)이 결합되지 못하였거나 불량하게 결합된 불량주사기를 상기 제2조립인덱스(8)로 부터 배출시키는 공기분사기(210)와, 상기 밀대(1b)에 가스켓(1c)이 정상적으로 결합된 주사기의 밀림을 차단하는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220)로 구성된다.
상기 제2조립인덱스(8)는 종래 일 실시예와 극히 유사한 구성으로서, 수평으로 회전하는 원형베이스(81)와, 상기 원형베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주사기 안착홈(82)과, 상기 원형베이스(81)의 외측을 따라 원형베이스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주사기 안착홈(82)에 안착된 주사기가 이송 중 탈락되는 것을 막아주는 주사기 이송가이드(83)와, 캠(8a) 운동을 통해 일정거리를 상하로 왕복이동하면서 주사기 안착홈(82)에 안착된 주사기의 밀대(1b)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외통(1a) 내부로 완전히 진입시켜 주는 누름판(1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조립인덱스(8)에서는 가스켓(1c)이 결합된 밀대(1b)가 외통(1a) 내부에 완전히 끼워진 상태로 주사기(1)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이 완료된 주사기(1)는 제2조립인덱스(8)로 부터 순차적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제2조립인덱스(8)로 이동되는 주사기 외통(1a)에는 주사바늘(1d)이 보호커버(1e)에 의해 보호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음은 이해 가능한데, 어떤 경우에는 상기 제2조립인덱스(8)의 전 단계에서 외통(1a)에 주사바늘(1d)이 결합되어 있지 않았거나 상기 주사바늘은 결합되었더라도 보호커버(1e)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상기 유도슬라이드(200)는 수평선상으로 볼 때 주사기 외통(1a)과 밀대(1b) 사이에 시작단(200a)이 위치하도록 제2조립인덱스(8)에 고정된 금속편으로서 주사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져 있어 그 종단(200b)은 시작단(200a)과 수평선상으로 볼 때 높이 차이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2조립인덱스(8)의 주사기 이송가이드(83)에는 일부 구간을 절단함에 따라 배출공간부(85)가 형성된 것으로, 유도슬라이드(200)의 종단(200b)에서 부터 주사기의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공기분사기(210)에 의한 주사기의 밀림을 허용한다. 여기서 밀림이 이루어지는 주사기들은 가스켓(1c)이 밀대(1b)에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못한 불량주사기들도 있고, 상기 가스켓(1c)은 밀대(1b)에 정상적으로 결합되었더라도 외통(1a)에 주사바늘(1d)이 결합되지 않았거나 상기 주사바늘은 결합되어 있더라도 보호커버(1e)가 결합되지 않은 불량주사기들도 있는데, 이 모든 불량주사기들은 배출공간부(85)를 통해 제2조립인덱스(8)로 부터 배출된다.
또한, 정상 조립된 주사기의 밀림을 차단하는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220)가 주사기 이송가이드(83)의 상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220)는 주사기 이송가이드(83)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주사기 이송가이드에 형성된 배출공간부(85)를 상부에서 이어주는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주사기 이송가이드(83)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있음은 물론 수평선상에서 볼 때 유도슬라이드(200)의 종단(200b)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에서 유도슬라이드(200)와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220) 사이는 서로 떨어진 상태로서 이격공간부(240)를 가지므로 가스켓(1c)이 밀대(1b)에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못한 불량주사기들은 물론 외통(1a)에 주사바늘(1d)이 결합되지 않았거나 상기 주사바늘은 결합되어 있더라도 보호커버(1e)가 결합되지 않은 불량주사기들은 모두 밀대(1b)가 상기 유도슬라이드(200)를 따라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이격공간부(240) 영역으로 들어오는 순간 그 상승상태를 계속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때 가스켓(1c)이 밀대(1b)에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못한 불량주사기들은 상기 밀대(1b)가 외통(1a) 내부로 자유낙하하게 되고, 외통(1a)에 주사바늘(1d)이 결합되지 않았거나 상기 주사바늘은 결합되어 있더라도 보호커버(1e)가 결합되지 않은 불량주사기들은 전체가 자유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주사기 이송가이드(83)의 하부에는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가 설치되는데,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는 주사기 이송가이드(83)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주사기 이송가이드에 형성된 배출공간부(85)와 이격공간부(240)를 하부에서 이어주는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주사기 이송가이드(83)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있음은 물론 정상주사기(1)의 경우 주사바늘(1d)을 보호하고 있는 보호커버(1e) 하단이 끼워지도록 상부 및 좌우측부가 개방됨과 함께 하부 및 전후방부가 폐쇄된 ㄷ자 레일형의 지지홈(230a)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유도슬라이드(200)는 주사기 이송가이드(83)의 상면으로 부터 시작단(200a)이 일정높이(주사기 외통(1a)의 상단과 밀대(1b)의 상단 사이)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2조립인덱스(8)에 의해 순차이동하는 주사기로 부터 밀대(1b)만 상승시킨다. 즉, 주사기 밀대(1b)의 상단 턱부분 저면이 유도슬라이드(200)의 상면에 지지된 상태로 그 상면을 따라 상기 유도슬라이드(200)의 종단(200b)을 향해 점진적으로 상향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주사기 외통(1a)이 밀대(1b)를 따라 상승하는 경우 상기 외통(1a)의 상단은 유도슬라이드(200)의 저면에 접촉되면서 상승이 제한됨은 이해 가능하다.
공기분사기(210)는 원형베이스(81)의 하방에 위치되어 유도슬라이드(200)를 통과한 주사기를 주사기 이송가이드(83)를 절단함에 따라 형성된 배출공간부(85) 영역에서 제2조립인덱스(8) 밖으로 밀어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다른 실시예의 주사기 조립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으로 동작된다.
먼저 제2조립인덱스(8)가 작동하면 원형베이스(81)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원형베이스의 주사기 안착홈(82)에 안착된 주사기가 주사기 이송가이드(8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누름판(100) 측으로 이송되는데, 이때의 주사기는 가스켓(1c)이 결합된 밀대(1b)가 외통(1a)에 끼워진 가조립상태이다.
상기 주사기(1)가 누름판(100)의 하방에 위치하게 되면, 캠(8a) 운동을 통해 일정거리를 상하로 왕복하도록 동작되는 상기 누름판(100)이 주사기 밀대(1b)를 하방으로 가압하므로 상기 밀대는 어느순간 외통(1a) 내부로 완전히 진입하게 되며, 이로 인해 밀대(1b)와 외통(1a)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한 작용에 의해 밀대(1b)와 외통(1a)의 조립이 완료된 주사기(1)는 유도슬라이드(200) 쪽으로 이송되는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사기가 유도슬라이드(200)에 도달하면 주사기 외통(1a)의 상단과 밀대(1b)의 상단 사이로 상기 유도슬라이드(200)의 시작단(200a)이 통과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밀대(1b)만 유도슬라이드(200)를 타고 종단(200b)으로 이송되는데, 상기 유도슬라이드(200)의 종단(200b)이 시작단(200a) 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밀대(1b)는 상승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밀대(1b)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밀대에 가스켓(1c)이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못하였다면 상기 가스켓(1c)은 밀대(1b)에서 떨어져 나와 외통(1a)의 내부에 남겨지게 된다.
상기 유도슬라이드(200)를 통과한 주사기는 이격공간부(240)를 경유하여 배출공간부(85) 영역으로 이송되는데, 상기 이격공간부(240)를 경우하는 과정에서 밀대(1b)에 가스켓(1c)이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못한 불량주사기들은 상기 밀대(1b)가 지지력을 상실한 상태임을 감안할 때 외통(1a)의 내부로 완전히 낙하하게 된다. 반면 가스켓(1c)이 밀대(1b)에 정상적으로 결합된 주사기들은 상기 밀대가 가스켓(1c)으로 인해 외통(1a)과의 지지력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승된 상태에서 그대로 머물러 있게 된다.
한편, 주사기(1)가 이격공간부(240)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밀대(1b)에 가스켓(1c)이 정상적으로 결합되었더라도 외통(1a)에 주사바늘(1d)이 결합되지 못하였거나 아니면 주사바늘은 정상적으로 결합되었더라도 보호커버(1e)가 결합되지 못한 불량주사기들이 있다면 상기 불량주사기는 지지력을 상실하여 자중에 의해 전체적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가스켓(1c)이 밀대(1b)에 정상적으로 결합된 정상주사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되는 제2조립인덱스(8)의 작동에 따라 상기 밀대(1b)가 이격공간부(240)를 지나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220)에 가이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배출공간부(85) 영역을 지나게 되지만 비정상적으로 결합된 불량주사기들은 밀대(1b)가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220)에 가이드되지 못한 상태로 상기 배출공간부(85) 영역을 지나게 되는데, 이때에는 공기분사기(210)가 상기 배출공간부(85)를 지나는 모든 주사기에 공기를 분사시켜 배출력을 제공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220)에 가이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정상적인 주사기들은 공기분사기(210)에 의한 공기의 배출력을 이기고 계속해서 후공정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220)에 가이드되지 못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비성장적인 불량주사기들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분사기(210)에 의한 공기의 배출력을 이기지 못하고 점선으로 도시된 것 처럼 제2조립인덱스(8)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제2조립인덱스에서 배출되므로 결국 주사기 밀대(1b)에 가스켓(1c)이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못한 불량주사기들이 걸러지게 됨은 물론 외통(1a)에 주사바늘(1d)이 결합되지 못하였거나 아니면 주사바늘은 정상적으로 결합되었더라도 보호커버(1e)가 결합되지 못한 불량주사기들도 걸러지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한 과정에서 주사기 이송가이드(83)의 하부에는 상기 주사기 이송가이드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주사기 이송가이드에 형성된 배출공간부(85) 및 이격공간부(240)를 하부에서 이어주는 형태로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불량주사기를 포함한 모든 주사기들은 그 하단(정상적인 주사기들은 보호커버의 하단이고, 주사바늘이 결합되지 못하였다면 외통의 하단이며, 주사바늘이 결합되어 있고 보호커버가 결합되지 못하였다면 주사바늘 하단일 것임)이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에 지지되므로 불량주사기라도 상기 배출공간부(85) 영역에서 공기분사기(210)에 의해 공기가 분사되면서 배출력이 제공되기 전까지는 수직지지력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는 주사기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주사바늘(1d)을 보호하고 있는 보호커버(1e)의 하단이 끼워지도록 상부 및 좌우측부가 개방됨과 함께 하부 및 전후방부가 폐쇄된 ㄷ자 레일형의 지지홈(230a)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배출공간부(85)를 통과하는 주사기의 하단은 상기 지지홈(230a)에 끼워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상기 배출공간부(85) 영역에서는 정상적인 주사기일 경우 상기 배출공간부(85)를 완전히 통과할 때까지 수직지지력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밀대(1b)에 가스켓(1c)이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못한 불량주사기들과 외통(1a)에 주사바늘(1d)이 결합되지 못하였거나 아니면 주사바늘은 정상적으로 결합되었더라도 보호커버(1e)가 결합되지 못한 불량주사기들은 배출공간부(85) 영역에서 공기분사기(210)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배출력을 이길 수 있을 때 까지만 수직지지력을 유지할 뿐 임은 이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다른 실시예의 주사기 조립장치는, 주사기 밀대(1b)에 가스켓(1c)이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못한 상태의 불량주사기들과 외통(1a)에 주사바늘(1d)이 결합되지 못하였거나 아니면 주사바늘은 정상적으로 결합되었더라도 보호커버(1e)가 결합되지 못한 불량주사기들은 자동으로 배출시켜 주고 있지만, 주사기 외통(1a)의 내측둘레면에 실리콘이 정상적으로 도포되지 못함으로서 윤할작용의 부족으로 제2조립인덱스(8)에서 주사기 외통(1a) 내부로 밀대(1b)를 완전히 진입시키지 못함에 따라 상기 밀대(1b)가 상승된 상태의 불량주사기가 배출공간부(85)를 통과할 때 이를 정상적인 주사기로 인식할 수 밖에 없으므로 작업자가 실리콘 도포 문제로 인한 불량주사기를 수동적으로 걸러내지 못할 경우 조립 완료된 주사기는 모두 정상적인 주사기로 보고 의료현장에 납품되어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098717호(2012.11.28.등록공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065977호(2016.02.11.등록공고)
본 발명은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등록된 종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의 주사기 조립장치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사기 외통의 내측둘레면에 실리콘이 정상적으로 도포되지 못한 불량주사기를 조립과정에서 지체없이 자동으로 배출시켜 주도록 함에 따라 작업성 향상에 의한 생산성 증대와 함께 작업과정에서 안전사고의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함은 물론 일부 구성을 추가할 경우 주사기 밀대에 가스켓이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못한 불량주사기들은 물론 외통에 주사바늘이 결합되지 못하였거나 아니면 주사바늘은 정상적으로 결합되었더라도 보호커버가 결합되지 못한 불량주사기들 까지도 자동으로 배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주사기 조립장치의 제2조립인덱스는, 외축둘레면에 주사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주사기 안착홈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형베이스와, 상기 원형베이스의 외측에 위치하며 원형베이스와 동일한 곡률을 가진 상태로 고정되어 원형베이스의 회전에 따라 주사기가 이송될 때 상기 이송되는 주사기를 가이드하는 주사기 이송가이드와, 상기 원형베이스의 상부에 원형베이스를 따라 회전하면서 캠을 통해 일정거리 범위내에서 상하로 왕복 동작하는 복수개의 누름판과, 상기 각 누름판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누름판이 하부로 이동할 때 주사기의 밀대를 탄력적으로 가압시켜 줌과 함께 가압지지력이 작용할 경우 복원력을 가지면서 상승하는 누름핀과, 상기 주사기 이송가이드의 일부 영역을 절단하여 형성된 배출공간부와, 상기 주사기 이송가이드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며 배출공간부를 상부에서 이어주면서 배출공간부 영역에서 이송되는 주사기의 상부를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와, 상기 주사기 이송가이드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며 배출공간부를 하부에서 이어주면서 배출공간부 영역에서 이송되는 주사기의 하부를 수직상태로 지지하는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와, 상기 원형베이스의 하방에 구비되어 배출공간부 영역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기를 포함하고;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에는 주사기 이송가이드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면서 이송되는 주사기의 하부를 지지하여 주도록 상부 및 좌우측부가 개방됨과 함께 하부 및 전후방부가 폐쇄된 ㄷ자 레일형의 지지홈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배출공간부 영역내에서 상기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에 가이된 상태로 이송되는 주사기의 밀대가 필요이상 상승된 경우 이를 감지하는 주사기 감지기와,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주사기 감지기의 감지신호를 제어부를 통해 전달받아 상하로 이동력을 부여하는 수직실린더와,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에 절단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면서도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에 형성된 지지홈과는 수평방향으로 연통된 연통공간과, 상기 수직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고정되어 수직실린더의 상하이동력을 받아 연통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는 개폐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의 상부면에 수직고정대의 하부를 고정하고, 상기 수직고정대의 상부에 주사기 감지센서를 고정함에 따라 상기 주사기 감지센서가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의 하부면 양측에 간격유지구의 상단을 고정하고, 상기 간격유지구의 하단에 수평고정대를 고정하며, 상기 수평고정대에 주사기 수직실린더를 고정함에 따라 상기 주사기 수직실린더가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의 주사기 조립장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주사기 외통의 내측둘레면에 실리콘이 정상적으로 도포되지 못한 불량주사기를 조립과정에서 지체없이 자동으로 배출시켜 주도록 함에 따라 작업성 향상에 의한 생산성 증대와 함께 작업과정에서 안전사고의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와 함께 일부 구조를 추가할 경우 주사기 밀대에 가스켓이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못한 불량주사기들은 물론 외통에 주사바늘이 결합되지 못하였거나 아니면 주사바늘은 정상적으로 결합되었더라도 보호커버가 결합되지 못한 불량주사기들까지도 자동으로 배출시켜 주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은 주사기의 구조를 참고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주사기 조립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조립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종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조립장치의 구성요소인 누름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은 종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조립장치의 구성요소인 누름판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7은 종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조립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외통의 내측둘레면에 실리콘이 정상적으로 도포된 경우의 동작상태 도면
도 8은 종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조립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외통의 내측둘레면에 실리콘이 비정상적으로 도포된 경우의 동작상태 도면
도 9는 종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조립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종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조립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종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배출공간부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종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조립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배출공간부 영역을 지나는 주사기에 공기가 분사되어 불량주사기 만을 제2조립인덱스 외부로 밀어 배출하는 상태의 측면도면
도 13은 본 발명 주사기 조립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주사기 조립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주사기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배출공간부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16은 도 15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 주사기 조립장치의 구성요소인 누름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분해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조립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배출공간부 영역을 지나는 주사기 중 외통에 실리콘이 비정상적으로 도포됨으로 인한 불량주사기 만을 제2조립인덱스 외부로 밀어 배출하기 전 상태의 측면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조립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배출공간부 영역을 지나는 주사기에 공기가 분사되어 주사기 외통에 실리콘이 비정상적으로 도포됨으로 인한 불량주사기 만을 제2조립인덱스 외부로 밀어 배출하는 상태의 측면도면
이하, 첨부한 도 13 내지 도 20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종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기 종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 부여한 도면 부호를 그대로 부여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3은 본 발명 주사기 조립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 주사기 조립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 주사기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배출공간부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17은 본 발명 주사기 조립장치의 구성요소인 누름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8는 도 17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조립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배출공간부 영역을 지나는 주사기 중 외통에 실리콘이 비정상적으로 도포됨으로 인한 불량주사기를 제2조립인덱스 외부로 밀어 배출하기 전 상태의 측면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조립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배출공간부 영역을 지나는 주사기에 공기가 분사되어 주사기 외통에 실리콘이 비정상적으로 도포됨으로 인한 불량주사기를 제2조립인덱스 외부로 밀어 배출하는 상태의 측면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주사기 조립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주사기 조립장치의 제2조립인덱스(8) 구성요소 중 외측둘레면에 주사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주사기 안착홈(82)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형베이스(81)와, 상기 원형베이스의 외측에 위치하며 원형베이스(81)와 동일한 곡률을 가진 상태로 고정되어 원형베이스의 회전에 따라 주사기가 이송될 때 상기 이송되는 주사기를 가이드하는 주사기 이송가이드(83)와, 상기 원형베이스(81)의 상부에 원형베이스를 따라 회전하면서 캠(8a)을 통해 일정거리 범위내에서 상하로 왕복 동작하는 복수개의 누름판(100)과, 상기 각 누름판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누름판(100)이 하부로 이동할 때 주사기의 밀대(1b)를 탄력적으로 가압시켜 줌과 함께 가압지지력이 작용할 경우 복원력을 가지면서 상승하는 누름핀(130)과, 상기 주사기 이송가이드(83)의 일부 영역을 절단하여 형성된 배출공간부(85)와, 상기 주사기 이송가이드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며 배출공간부(85)를 상부에서 이어주면서 배출공간부 영역에서 이송되는 주사기의 상부를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220)와, 상기 주사기 이송가이드(83)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며 배출공간부(85)를 하부에서 이어주면서 배출공간부 영역에서 이송되는 주사기의 하부를 수직상태로 지지하는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와, 상기 원형베이스(81)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배출공간부(85) 영역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기(210)를 포함하고;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에는 주사기 이송가이드(83)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면서 이송되는 주사기의 하부를 지지하여 주도록 상부 및 좌우측부가 개방됨과 함께 하부 및 전후방부가 폐쇄된 ㄷ자 레일형의 지지홈(230a)이 형성된 것은 종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하 본 발명 요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220)의 상부에는 배출공간부(85) 영역내에서 상기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220)에 가이된 상태로 이송되는 주사기(1)의 밀대(1b)가 필요이상 상승되었을 경우 이를 감지하는 주사기 감지기(250)가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에서 주사기 감지기(250)가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220)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은, 상기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220)의 상부면에 수직고정대(260)의 하부를 고정하고, 상기 수직고정대의 상부에 주사기 감지기(250)를 고정함에 따라 가능하다.
또한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의 하부에는 주사기 감지기(250)의 감지신호를 제어부를 통해 전달받아 상하로 이동력을 부여하는 수직실린더(260)가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에서 수직실린더(260)가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은,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의 하부면 양측에 간격유지구(270)의 상단을 고정하고, 상기 간격유지구의 하단에 수평고정대(280)를 고정하며, 상기 수평고정대에 수직실린더(260)를 고정함에 따라 가능하다.
한편,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에는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면서도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에 형성된 지지홈(230a)과는 수평방향으로 연통된 상태로 연통공간(290)이 절단 형성되고, 상기 수직실린더(260)의 실린더로드에는 수직실린더의 상하이동력을 받아 연통공간(290)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는 개폐편(300)이 고정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 주사기 조립장치에서 누름판(100)은 종래 일 실시예의 구성요소인 누름판(100)과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도 17 내지 도 18과 같이 상기 누름판에 설치되어 있는 일부 구성요소의 위치가 다르다고 할 수 있을 것이나, 이는 안정성을 고려하여 헤드부(140)와 탄성부재(160)를 상기 누름판(100)의 위쪽에서 보호관(170)으로 보호하였을 뿐 각 구성요소는 물론 그 구성요소에 대한 작용은 종래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고 하겠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주사기 조립장치에 대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본 발명 구성의 주사기 조립장치에서 주사기(1)의 외통으로 밀대(1b)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2조립인덱스(8)의 구성요소인 원형베이스(81)의 회전에 따라 주사기 안착홈(82)에 안착된 주사기(1)는 주사기 이송가이드(83)를 따라 안내되면서 캠(8a) 운동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누름판(100)에 의해 주사기 밀대(1b)가 외통(1a) 내부로 가압되면서 상기 주사기 이송가이드(83)를 절단하여 형성된 배출공간부(85)로 이송된다.
상기 주사기(1)가 배출공간부(85)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주사기 밀대(1b)에 가스켓(1c)이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못한 불량주사기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밀대(1b)의 상단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음에 따라 배출공간부(85) 영역을 지나는 동안 상기 주사기 이송가이드(83)의 상부에서 배출공간부(85)를 연결하고 있는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220)에 지지된 상태에 있게 되는데, 이때에는 주사기 외통(1a)의 내측둘레면에 실리콘이 정상적으로 도포되지 않은 불량주사기라면 상기 배출공간부(85) 영역으로 이동되기 직전 주사기 밀대(1b)가 외통(1a) 내부로 완전하게 가압되지 않은 상태임에 따라 상기 밀대(1b)가 필요이상 높게 상승된 상태에 있게된다.
따라서 주사기 외통(1a)에 실리콘이 정상적으로 도포되지 않은 불량상주사기와 주사기 외통(1a)에 실리콘이 정상적으로 도포된 정상주사기 모두 상기 배출공간부(85) 영역에서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220)에 지지된 상태에 있게됨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 주사기의 조립 과정에서 배출공간부(85) 영역으로 들어가기 전 주사기 밀대(1b)에 가스켓(1c)이 불량으로 결합되어 있는 불량주사기들은 밀대(1b)가 필요이상 내려가 있는 상태임은 물론 외통(1a)에 주사바늘(1d)이 결합되지 못하였거나 아니면 주사바늘은 정상적으로 결합되었더라도 보호커버(1e)가 결합되지 못한 불량주사기들은 주사기 전체가 필요이상 내려가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종래 다른 실시예에서와 상기 밀대의 상부가 주사기 수평지지대(220)에 지지되지 못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한편, 조립되는 주사기 중 외통(1a)에 주사바늘(1c)이 결합되지 못하였거나 결합되어 있더라도 보호커버(1e)가 결합되지 못한 불량주사기들을 제외한 나머지 주사기들은 정상주사기냐 불량주사기냐를 떠나서 모두 배출공간부(85) 영역에서는 주사기의 주사바늘(1d)을 보호하고 있는 보호커버(1e)가 받쳐지고 있으므로 결국 상기 주사기(1)가 수직지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주사기 이송가이드(83)의 하부에서 배출공간부(85) 하부를 이어주도록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에는 주사기 이송가이드(83)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면서 상부 및 좌우측부가 개방됨과 함께 하부 및 전후방부가 폐쇄된 ㄷ자 레일형의 지지홈(230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능하다. 다시말해, 주사기(1)의 구성요소인 보호커버(1e)의 하단은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에 형성되어 있는 ㄷ자 레일형의 지지홈(230a)으로 끼워져 지지된 상태에서 이송되는 것이다.
여기까지 설명된 본 발명 주사기 조립장치의 작용은 종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다고 하겠다.
이하 본 발명 요부 구성요소에 대한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조립과정에서 이송되는 모든 주사기(1)가 배출공간부(85) 영역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주사기 외통(1a)에 실리콘이 정상적으로 도포되지 못한 불량주사기와 함께 모든게 정상적인 정상주사기의 경우 주사기 밀대(1b)가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220)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기분사기(210)를 통한 분사공기의 배출력을 받고만 있을 뿐 실제로 기울어지면서 배출되지 못한 상태에 머물러 있게 되는데, 이때 밀대(1b)에 가스켓(1c)이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못한 불량주사기가 있다면 이 불량주사기의 밀대(1b)는 주사기 수평지지지가이드(220)에 지지되지 못한 상태에 있으므로 종래 다른 실시예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분사기(210)를 통한 분사공기의 배출력으로 인해 하부인 주사기 수직지지부재(230)의 지지점을 기준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곧바로 기울어지면서 배출되므로 상기 가스켓 결합불량의 주사기는 자동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밀대(1b)에 가스켓(1c)이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못한 불량주사기가 배출될 때 외통(1a)에 주사바늘(1c)이 결합되지 못하였거나 결합되어 있더라도 보호커버(1e)가 결합되지 못한 불량주사기가 있다면 이 불량주사기들 또한 공기분사기()의 배출력으로 함께 자동으로 배출될 것임은 이해 가능하다.
하지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정상주사기가 아닌 주사기 외통(1a)에 실리콘이 비정상적으로 도포된 불량주사기는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2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정상주사기 보다 밀대(1b)가 상승된 상태에서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220)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는 주사기 감지기(250)가 가스켓(1c)이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못한 불량주사기를 감지하여 이 감지신호를 제어부(도시는 생략됨)로 보내게 되고, 상기 제어부는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수평고정대(280)의 수직실린더(260)에 보내게 되며, 상기 제어신호를 받은 수직실린더는 작동하여 하부로의 수직이동력을 부여하므로 실린더로드가 하부로 잡아당겨지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직실린더(260)가 작동하여 하부로의 수직이동력을 부여하면 상기 수직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고정되어 있는 개폐편(300)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에는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면서도 상기 수직지지가이드에 형성된 지지홈(230a)과는 수평방향으로 연통된 상태로 연통공간(290)이 절단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실린더(260)의 실린더로드에 고정되어 있는 개폐편(300)이 상하이동력에 의해 상기 연통공간(290)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고 있음에 따라 상기 개폐편(300)이 하부로 이동 완료되는 순간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에 형성된 연통공간(290)은 개방상태가 된다.
상기 작용에 의해 연통공간(290)이 개방되면, 주시기(1)의 하부인 보호커버(1e)의 하단이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에 형성된 지지홈(230a)으로 끼워져 있다고는 하지만 상기 연통공간(290)의 개방으로 인해 사실상 주사기 하부가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에서 걸림은 해제된 상태에 있게 되고, 이 경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배출공간부(85) 영역의 모든 주사기(1)는 공기분사기(210)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배출압력을 계속해서 받고 있음을 감안할 때 주사기 외통(1a)에 실리콘이 정상적으로 도포되지 못한 상기 불량주사기는 하부지지력의 상실로 인해 하부분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기울어짐과 함께 이동하면서 기울어지는 어느 순간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인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220)의 지지력도 상실되므로 상기 주사기 외통(1a)에 실리콘이 정상적으로 도포되지 못한 불량주사기가 제2조립인덱스(8)를 빠져나온 상태로 자동 배출된다.
상기 주사기 감지기(250)와 수직실린더(260)를 도면에 도시된 것 처럼 한쌍으로 하여 주사기 감지기(250)에 의한 불량주사기의 감지시점과 수직실런더(260)에 의한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의 연통공간(290) 개폐시점을 두곳으로 늘릴수도 있는데, 이는 제2조립인덱스(8)의 작동에 따른 주사기의 이송이 한스탭씩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한스템이 주사기 두개를 동시에 주사기 배출공간(85)으로 이송시키는 경우에 가능하고, 이 경우 불량주사기의 배출을 위한 공기분사기(210)의 공기 분사구도 두개이어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주사기 외통(1a)에 실리콘이 정상적으로 도포되지 못한 불량주사기가 배출되고 난 다음에 주사기 감지기(250)에 의한 불량주사기의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가 될 경우 수직실린더(260)는 다시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아 작동하여 실린더로드를 상승시켜 주고,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로드에 고정되어 있는 개폐편(300)이 다시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에 형성되어 있는 연통공간(290)을 폐쇄시켜 주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주사기 감지기(250)가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220)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은, 주사기의 외통(1a)에 실리콘이 정상적으로 도포되지 못한 불량주사기의 경우 밀대(1b)가 정상주사기 보다 상승된 상태에 있으므로 이에 대한 거리를 확보하기 위함에 있고, 이를 위해 상기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220)의 상부면에 수직고정대(260)의 하부를 고정하고, 상기 수직고정대의 상부에 주사기 감지기(250)를 고정한 것이다.
또한 수직실린더(260)가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은,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에 형성된 연통공간(290)을 가폐시켜 주는 개폐편(300)의 수직이동거리를 확보하기 위함에 있고, 이를 위해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230)의 하부면 양측에 간격유지구(270)의 상단을 고정하고, 상기 간격유지구의 하단에 수평고정대(280)를 고정하며, 상기 수평고정대에 수직실린더(260)를 고정한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본발명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주사기 8 --- 제2조립인덱스
81 --- 원형베이스 82 --- 주사기 안착홈
83 --- 주사기 이송가이드 85 --- 배출공간부
100 --- 누름판 111 --- 원형베이스
210 --- 공기분사기 220 ---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
230 ---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 230a --- 지지홈
240 --- 이격공간부 250 --- 주사기 감지기
260 --- 수직실린더 270 --- 간격유지구
280 --- 수평고정대 290 --- 연통공간
300 --- 개폐편

Claims (3)

  1. 주사기 조립장치의 제2조립인덱스는, 외축둘레면에 주사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주사기 안착홈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형베이스와, 상기 원형베이스의 외측에 위치하며 원형베이스와 동일한 곡률을 가진 상태로 고정되어 원형베이스의 회전에 따라 주사기가 이송될 때 상기 이송되는 주사기를 가이드하는 주사기 이송가이드와, 상기 원형베이스의 상부에 원형베이스를 따라 회전하면서 캠을 통해 일정거리 범위내에서 상하로 왕복 동작하는 복수개의 누름판과, 상기 각 누름판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누름판이 하부로 이동할 때 주사기의 밀대를 탄력적으로 가압시켜 줌과 함께 가압지지력이 작용할 경우 복원력을 가지면서 상승하는 누름핀과, 상기 주사기 이송가이드의 일부 영역을 절단하여 형성된 배출공간부와, 상기 주사기 이송가이드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며 배출공간부를 상부에서 이어주면서 배출공간부 영역에서 이송되는 주사기의 상부를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와, 상기 주사기 이송가이드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며 배출공간부를 하부에서 이어주면서 배출공간부 영역에서 이송되는 주사기의 하부를 수직상태로 지지하는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와, 상기 원형베이스의 하방에 구비되어 배출공간부 영역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기를 포함하고;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에는 주사기 이송가이드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면서 이송되는 주사기의 하부를 지지하여 주도록 상부 및 좌우측부가 개방됨과 함께 하부 및 전후방부가 폐쇄된 ㄷ자 레일형의 지지홈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배출공간부 영역내에서 상기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에 가이된 상태로 이송되는 주사기의 밀대가 필요이상 상승된 경우 이를 감지하는 주사기 감지기와,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주사기 감지기의 감지신호를 제어부를 통해 전달받아 상하로 이동력을 부여하는 수직실린더와,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에 절단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면서도 상기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에 형성된 지지홈과는 수평방향으로 연통된 연통공간과,
    상기 수직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고정되어 수직실린더의 상하이동력을 받아 연통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는 개폐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조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의 상부면에 수직고정대의 하부를 고정하고, 상기 수직고정대의 상부에 주사기 감지센서를 고정함에 따라 상기 주사기 감지센서가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조립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주사기 수직지지가이드의 하부면 양측에 간격유지구의 상단을 고정하고, 상기 간격유지구의 하단에 수평고정대를 고정하며, 상기 수평고정대에 주사기 수직실린더를 고정함에 따라 상기 주사기 수직실린더가 주사기 수평지지가이드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조립장치.
KR1020200135718A 2020-10-20 2020-10-20 주사기 조립장치 KR102431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718A KR102431195B1 (ko) 2020-10-20 2020-10-20 주사기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718A KR102431195B1 (ko) 2020-10-20 2020-10-20 주사기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962A KR20220051962A (ko) 2022-04-27
KR102431195B1 true KR102431195B1 (ko) 2022-08-18

Family

ID=81390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718A KR102431195B1 (ko) 2020-10-20 2020-10-20 주사기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19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771B1 (ko) * 1992-07-10 1995-03-02 김기표 불량 주사바늘 자동선별장치
DE102008044116A1 (de) 2008-11-27 2010-06-02 Evonik Degussa Gmbh Pigmentgranulat,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KR20140065977A (ko) 2012-11-22 2014-05-30 양경오 캐노피용 지주의 고정구
KR101592901B1 (ko) * 2014-05-30 2016-02-11 세계정밀(주) 주사기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962A (ko) 202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3770B2 (en) Pallet for surgical stapling cartridge
JPH054196A (ja) 積層シート状材料の切断装置
KR102431195B1 (ko) 주사기 조립장치
US20100134570A1 (en) Ink refill device and method
CN205668798U (zh) 一种高温淬火用自动上料装置
KR102053876B1 (ko) 정밀 절단 장치
KR101592901B1 (ko) 주사기 조립장치
CN105188459B (zh) 拉链组装装置
JPS5952560B2 (ja) 縦方向に送られる素子插入装置
KR101790270B1 (ko)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 자동 결합장치
EP3142929A1 (en) Filling station for filling containers with a liquid
JP6739786B2 (ja) 液体材料吐出装置、その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CA1116460A (en) Safety apparatus for a bacon press or the like
KR200447204Y1 (ko) 재활용 비닐 압축기
KR102409203B1 (ko) 니들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사기 제조장치
US6804940B2 (en) Apparatus for inserting tuft assemblies in a mattress
JPH081446A (ja) 部品供給方法および装置
KR101741023B1 (ko) 주사기용 필터니들 제조방법
KR101874377B1 (ko) 보호캡 분리장치를 이용한 주사기용 필터니들 제조방법
KR20220133489A (ko) 에어리스튜브 조립장치
CN105838865B (zh) 一种全自动高温淬火装置
KR101874375B1 (ko) 주사기용 필터니들 제조방법
KR102083113B1 (ko) 정제의 품질 관리가 가능한 정제 투입 장치
US2019027679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lacing disks, such as antibiotic disks
KR0131709Y1 (ko) 일회용 주사기의 피스톤 링 개스킷 불량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