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7354A - 오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7354A
KR20240077354A KR1020220159838A KR20220159838A KR20240077354A KR 20240077354 A KR20240077354 A KR 20240077354A KR 1020220159838 A KR1020220159838 A KR 1020220159838A KR 20220159838 A KR20220159838 A KR 20220159838A KR 20240077354 A KR20240077354 A KR 20240077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gastrointestinal
extract
gastrointestinal function
impr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9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1714B1 (ko
Inventor
이현태
김현복
임정대
이지영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59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1714B1/ko
Publication of KR20240077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7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1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1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7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Zoology (AREA)
  • Vi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여 위장관 연동운동 활성을 통해 위장관 기능 개선을 나타낼 수 있으며, 위장관 기능을 개선하여 포함함으로써 부작용의 문제가 없으면서도 기능성 및 기호도가 우수한 조성물,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 식품,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GASTROINTESTINAL FUNCTION COMPRISING MULBERRY FRUI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오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오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위장관 운동 능력을 개선함으로써 위장관 기능 개선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부작용의 문제가 없으면서도 기호도 및 기능성이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세틸콜린 (Acetylcholine, ACh) 수용체 [Muscarinic receptor (mAChR), nicotinic receptor (nAChR)]는 위장관의 생리학적 운동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진다. 포유동물의 위장관에 주로 분포하는 mAChR(Muscarinic receptor)의 아형은 M2와 M3이며, 위장관 운동의 조절은 주로 이들 mAChR 아형의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위장관에 분포하는 nAChR (Nicotinic receptor)도 장관운동의 조절에 관여하는데 이들 수용체는 위장관의 전신경접합부에 장관 세로평활근에 연접한 신경총의 흥분성 운동신경세포 (Myenteric excitatory motorneuron)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장관에 주로 분포하는 mAChR 수용체 아형인 M3 수용체의 활성은 세포막의 PIP2 (Phosphatidyl inositol 4,5-bisphosphate)를 가수분해시켜 세포내 Ca2+ 이온의 증가를 일으킴으로써 장관운동을 증가시키며, 전신경연접부 말단에 분포하는 nAChR은 ACh의 유리를 일으킴으로써 세로근을 수축 시킨다.
한편, 위장관 운동 장애는 위 및 식도 역류, 기능성 소화불량, 과민성 대장염, 위장관 마비, 구토, 당뇨병성 위장운동장애, 화학요법으로 인한 위장운동장애, 소화관 운동장애로 인한 장폐색, 수술 후 장폐색을 포함하는 수술 후 위장관 기능 장애, 근긴장성 이영양증으로 인한 위장관 운동 장애 등과 같이 정상적인 위장관 운동이 장애, 저해, 손상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위장관 운동 장애는 선진국은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상당히 많이 발생하며, 다양한 증상을 보이는데, 그 중 특히 위장관 마비 증상이 주로 나타나 일상생활에 있어 고통과 불편함을 야기한다. 이러한 위장관 운동 장애는 위장관의 조직 병리학적 및 생화학적인 병변이 아닌 위장관 연동운동에 관련된 기능적 증상이다.
현재 위장관 운동 장애는 뚜렷한 기질적 병변이 없는, 여러 가지 다양한 증상의 진단을 통해 진단하기 때문에 치료 또한 단순하지 않고, 대부분의 증상이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며 음식, 스트레스 등에 의해 변화가 심하다.
현재 대표적인 위장관 운동 촉진제로서, 돔페리돈 (Domperidone), 메토클로프라마이드(metoclopramide), 레보설 프라이드(levosulpiride), 모사프라이드(mosapride), 이토프라이드(itopride) 등의 약물이 있다.
그 중 메토클로프라미드(metoclopramide), 돔페리돈(domperidone), 시사프라이드(cisapride), 레보설프라이드 (levosulpride),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등의 위장운동 촉진제는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알려져 있으며, 메토클로프라미드는 가장 흔히 사용되는 항도파민 약제로서, 중추신경계과 위장관의 도파민 수용체를 억제하는데 도파민은 위장관 운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메토클로프라미드는 위십이지장의 운동을 증 강시키고 위 배출기능을 호전시키며 진통작용이 있어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같이 위장관 운동 장애에 따른 질환 을 겪는 환자들의 증상을 개선하나, 장기간 사용시 증상의 호전효과가 감소하고 중추신경계의 도파민 수용체에 작용하여 많게는 약 24%의 환자에서 신경계통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위장관 운동 장애는 호전과 악화를 반복되기 때문에 장기복용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은 바, 장기복용 시에도 인체에 안전한, 천연물 유래 위장관 운동 촉진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원발명에서는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부작용의 문제가 없으면서도 위장관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 이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0607705 B1 KR 10-2022-0074353 A
본 발명의 목적은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여 위장관 기능 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위장관 기능 개선은 위장관 연동 운동(gastric motility) 활성을 통해 나타나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위식도 역류성 질환, 기능성 소화불량, 과민성 대장염, 위장관 마비, 구토, 당뇨병성 위장운동장애, 화학요법으로 인한 위장운동장애, 소화관 운동장애로 인한 장폐색, 수술 후 장폐색, 수술 후 위장관 기능 장애, 근긴장성 이영양증으로 인한 위장관 운동장애, 영아산통 및 변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어느 하나 이상의 증상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장관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장관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은 상기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장관 기능 저하에 의한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상기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용어가 적용되는 질환 또는 질병, 또는 상기 질환 또는 질병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용어가 적용되는 질환 또는 질병, 또는 상기 질환 또는 질병의 하나 이상의 증상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치료'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상기 용어가 적용되는 질환 또는 질병, 또는 상기 질환 또는 질병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역전시키거나, 완화시키거나, 그 진행을 억제하거나, 또는 예방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원에서 사용된 상기 '치료' 용어는 '치료하는'이 상기와 같이 정의될 때 치료하는 행위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식물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위장관(gastrointestinal tract)이란 구강, 식도, 위, 장 등 구강에서 항문까지의 긴 관으로, 위장관은 인체 생존을 위한 에너지와 신체조직구성에 필요한 성분을 공급하며 음식물의 섭취와 이동, 섭취된 음식물의 분해, 음식물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enzyme), 호르몬(hormone) 및 전해질(electrolyte) 분비, 소화된 음식물의 흡수, 배설 등의 기능을 통해 음식물 섭취 및 이로부터 영양소를 흡수하고 남은 물질을 배출함으로써 인체에 에너지 및 신체 조직구성에 필요한 성분을 흡수할 수 있다.
위장관 기능은 인체에 있어 음식물로부터 영양소 및 에너지를 흡수하는 데 중요함에 따라 본원발명 오디 추출물에 의한 위장관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상기 오디(Morus alba L.)는 뽕나무 또는 산뽕나무의 열매로 상심, 상심자라고도 한다. 검자주색의 핵과로 지름은 2cm이며, 생김새는 포도와 비슷하며 처음에는 연한 녹색에서 점차 붉은색으로 자라다가 완전히 익으면 붉은빛이 섞인 검붉은색으로 바뀐다. 품종에 따라 다르나, 5월 하순경부터 익기 시작하여 6월 중순경까지 2~3주간에 걸쳐 대부분 익으며, 6월 초여름부터 7월까지 짧은 기간 수확할 수 있다. 원산지는 동아시아이며, 열대지역에서부터 온대지역까지 널리 분포하고, 대부분의 뽕나무 품종은 아시아에서 수입된 것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충북 보은, 강원 원주, 경북 상주, 전북 완주, 정읍 등지에서 주로 재배하고 있다.
당나라 때부터 약으로 쓰기 시작한 것으로 약성은 온화하고, 맛은 달고 시다. 성분은 당 종류가 많고 유기산과 점액질,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C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은 이뇨작용과 진해, 강장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빈혈로 어지럽고 귀에서 소리가 나며 얼굴이 창백할 때에 사용하며, 전신의 기능쇠약으로 머리가 갑자기 희게 되고, 귀가 잘 들리지 않으며 눈에 피로와 어지러움을 많이 느낄 때도 효과가 있다. 또한, 당뇨병 환자가 갈증을 많이 느낄 때에 복용하면 갈증이 해소되며, 이밖에 신경쇠약으로 신경이 과민한 사람에게도 효과가 있고, 동맥경화증이나 고혈압으로 머리가 무겁고 어지러울 때도 복용한다. 그리고, 알코올 중독을 해독시키며 이뇨작용도 있다. 사람이 오래도록 복용하면 하체가 건강하게 되고, 눈이 맑아지며, 흰머리가 검게 되고 강장기능에도 유익한 반응을 얻게 된다. 그러나 설사를 할 때는 쓰지 않는 것이 좋다.
상기 오디에 의해 본원발명은 위장관 운동 활성을 향상시키며, 위장관 기능 저하에 따른 증상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위장관 기능 개선은 위장관 연동 운동(gastric motility) 활성을 통해 나타나는 것이다.
상기 위장관의 연동운동은 소화관 등에서 전파성의 수축파를 형성하는 근육운동으로, 기본적인 목적은 음식물을 식도, 위, 장, 항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있다. 종주근, 환상근이 서로 길항하는 평활근계와 양자를 상호적으로 지배하는 종주성 신경계로 이루어지는 신경근계의 독립적이거나 자동적인 활동에 의해 일어나며, 보다 상세하게 관모양의 기관에서 주로 세로방향의 근육(종주근)들이 수축을 하며 음식물을 이동시킬 수 있고, 이때 가로방향의 근육(환상근)도 관여하게 된다.
상기 위장관의 연동운동 장애는 위장관 평활근의 비정상적인 수축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변비, 설사, 복부팽만 등을 유발할 수 있고, 복통이 동반되기도 한다.
이에, 본원발명에서는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위장관의 연동운동을 촉진시킴으로써 위장관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위식도 역류성 질환, 기능성 소화불량, 과민성 대장염, 위장관 마비, 구토, 당뇨병성 위장운동장애, 화학요법으로 인한 위장운동장애, 소화관 운동장애로 인한 장폐색, 수술 후 장폐색, 수술 후 위장관 기능 장애, 근긴장성 이영양증으로 인한 위장관 운동장애, 영아산통 및 변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어느 하나 이상의 증상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오디 추출물에 추가 천연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제주찔레 추출물, 달개비 추출물 및 산비장이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주찔레(Rosa luciae)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 활엽 관목으로, 산기슭의 양지바른 곳이나 습한 하천지대에 자란다. 높이 1∼2m이다. 가지 끝이 아래로 처져서 덩굴 모양이 된다. 포기 전체에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5∼9개이며 타원 모양이거나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고 길이 2∼3cm이다. 잎 양끝이 좁고 턱잎은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다. 꽃은 5∼6월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으로 피는데, 새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작은 꽃자루에는 털이 없거나 선모(腺毛)가 난다. 꽃받침조각은 바소꼴이며 뒤로 젖혀진다.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으로 끝이 오목하며 향기가 있다. 암술대에 털이 난다. 열매는 둥근 모양이며 9월에 붉게 익는다. 열매 속에는 지름 약 3mm의 수과가 여러 개 들어 있는데 흰빛이며 털이 난다. 어린 잎은 나물로 먹고 열매는 한방과 민간에서 부종·관절염·부스럼 등에 약재로 쓴다.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상기 달개비(Commelina communis)는 외떡잎식물 분질배유목 닭의장풀과의 한해살이풀로, 달개비·닭의밑씻개라고도 한다. 길가나 풀밭, 냇가의 습지에서 흔히 자란다. 줄기 밑 부분은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며 땅을 기고 마디에서 뿌리를 내리며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 윗부분은 곧게 서고 높이가 15∼5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며 길이가 5∼7cm, 폭이 1∼2.5cm이다. 잎 끝은 점점 뾰족해지고 밑 부분은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의 잎집으로 된다. 꽃은 7∼8월에 하늘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줄기 끝의 포에 싸여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포는 넓은 심장 모양이고 안으로 접히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길이가 2cm 정도이다. 꽃받침조각은 3개이고 타원 모양이며 길이가 4mm이다. 꽃잎은 3개인데, 그 중 2개는 크고 둥글며 하늘색이고, 나머지 하나는 바소 모양이고 흰색이며 작다. 3개의 수술과 꽃밥이 없는 3개의 헛수술이 있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타원 모양의 삭과이고 마르면 3개로 갈라진다. 봄에 어린 잎을 식용한다. 한방에서 잎을 압척초(鴨)라는 약재로 쓴다. 열을 내리는 효과가 크고 이뇨 작용을 하며 당뇨병에도 쓴다. 생잎의 즙을 화상에 사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 우수리강(江) 유역, 사할린,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상기 산비장이(Serratula coronata subsp. insularis)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30∼140cm이다. 세로줄이 있고 뿌리줄기가 나무처럼 단단하며 줄기는 곧게 선다. 뿌리에 달린 잎은 달걀 모양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깃처럼 완전히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11∼30cm이다. 줄기에 달린 잎은 뿌리에 달린 잎과 비슷하지만 위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 꽃은 7∼10월에 연한 붉은 자줏빛으로 피고 두화(頭花)는 지름 3∼4cm이며 가지 끝과 줄기 끝에 1개씩 달린다. 총포는 종 모양이고 노란빛을 띠는 녹색이다. 포조각은 6줄로 늘어서는데, 바깥조각과 가운뎃조각은 끝이 뾰족하고 겉에 거미줄 같은 털이 약간 난다. 열매는 수과(瘦果)로서 원통형이며 길이 약 6mm이다. 관모는 길이 11∼14mm로서 갈색이고 깃 같은 털이 없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한국·일본에 분포한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오디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주찔레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 달개비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 및 산비장이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중량범위에 의하면, 제주찔레, 달개비 및 산비장이에 의해 조성물의 기능성이 유지 또는 소폭 향상될 수 있으면서도 기호도가 향상될 수 있어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혼합에 의해 위장관 기능 개선 효과가 상승되는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천연 추출물의 사용에 의한 세포 독성 문제가 없으며, 장기간 복용이 가능하고 기호도가 개선된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로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이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침출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천연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며, 추출용매는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추출하며, 추출용매로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로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환류 추출법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 또는 물 100mL 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 것이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장관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약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약 0.01 내지 10g의 비율로 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음료 조성물인 경우,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탐 등)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고,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중요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약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장관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은 상기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여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포함함으로써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말하는 "건강기능식품"은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원료에 들어있는 특정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으로 건강보조식품을 포함하며, 기타, 식품성분이 갖는 생체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으로서, 질병의 예방 및 질병의 회복 등과 관련된 기능도 갖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장관 기능 저하에 의한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상기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과 이의 분획물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 또는 예방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사용된 본 발명의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공지된 면역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함으로써 기능성이 우수하면서도 기호도 높은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오디 추출물의 세포독성 평가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 오디 추출물의 제조]
1. 오디 추출물(ME)의 제조
오디를 물에 세척한 후, 동결 건조시켰다. 이후, 동결 건조된 오디를 믹서기로 분쇄한 뒤, 80% 에탄올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침출시킨 후 시료를 여과(filter) 하여 오디 추출물(ME)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
1. 조성물의 제조
천연 추출물의 제조
제주찔레를 물에 세척한 후, 동결 건조시켰다. 이후, 동결 건조된 제주찔레를 믹서기로 분쇄한 뒤, 80% 에탄올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침출시킨 후 시료를 여과(filter) 하여 제주찔레 추출물(JE)을 제조하였다.
기타 천연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주찔레 추출물(JE)과 동일한 방법으로 천연물만 달개비, 산비장이로 교체하여 달개비 추출물(DE) 및 산비장이 추출물(SE)을 제조하였다.
복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오디 추출물(ME), 제주찔레 추출물(JE), 달개비 추출물(DE) 및 산비장이 추출물(SE)을 하기 표 1의 중량부 범위 내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MX 1 내지 MX8)로 제조하였다.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ME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JE - 40 - - 20 30 40 50 60
DE - - 40 - 20 30 40 50 60
SE - - - 40 20 30 40 50 60
(단위 : 중량부)
[실험예 1 : 천연 추출물의 세포 독성 평가]
1. 세포 생존율 측정
세포 배양
마우스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cell은 한국세포주은행(KCLB)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상기 RAW 264.7 세포는 10% FBS 및 1% penicillinstreptomycin을 포함하는 DMEM 배지를 이용하여 37 ℃, 5% CO2로 조절된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생존율 측정
RAW 264.7 세포를 96-well plate에 1X104 cell/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오디 추출물(ME) 시료를 농도 별(50, 150, 200 ug/mL)로 처리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1 ug/mL의 지방질 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를 처리하였으며 24시간 배양한 후에는 CCK-8 solution(10 mL/well)을 각 well에 첨가시켜 37 ℃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하여 450 nm파장에서 ELISA reader(TECAN, Mnnedorf, Switzerland)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1에 나타내었으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오디 추출물은 양성 대조군에 비해 모든 농도에서 9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므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오디 추출물(ME)의 세포 독성 평가와 동일하게 제주찔레 추출물(JE), 달개비 추출물(DE) 및 산비장이 추출물(SE)의 각각 세포 독성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모든 농도에서 9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냄에 따라 상기 천연 추출물을 이용함에 따른 세포 독성의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 오디 추출물(ME)의 위장관 기능 개선 효과]
상기 오디 추출물(ME)의 위장관 운동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2-1. 장운동 촉진 및 장운동성 호르몬 분비 촉진 효과 확인
1) 장운동 촉진 효과 확인
오디 추출물(ME)의 장 운동성 촉진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장내 음식물 이동률(Gastrointestinal transit)을 분석 하였다. 먼저 SD 랫트(rat)를 세 그룹으로 분류하였다(대조군: Vehicle 그룹, 저농도 오디 추출물 투여군(MELo 군, 200mg), 고농도 오디 추출물 투여군(MEHi군, 400mg), 정상대조군(No). 그런 후 각 실험군의 랫트에 로페라미드(Loperamide)를 투여하여 위 장관 운동을 저하시키고 목탄(charcoal(0.5% 수성 메틸셀룰로오스(aqueous methylcellulose)에 3%의 활성탄 (activated charcoal) 현탁)(Sigma-Aldrich Co.))를 3ml씩 경구투여한 후, 30분 후에 안락사시켰다. 안락사된 랫트의 장을 채취하여 전체 장 길이와 활성탄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였고, 장내 음식물의 이동률은 하기와 같이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장내 음식물의 이동률(%) = [(총 소장(small intestine)의 길이 - 활성탄의 이동거리)/총 소장의 길이)] ×100
소장의 길이(cm) 활성탄 이동률(%)
No 132.5 82.7
Vehicle 110.2 40.0
MELo 120.7 67.8
MEHi 131.8 75.2
(단위 : cm, %)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위장관 운동성이 저하된 Vehicle 군에 비해 오디 추출물을 투여한 군의 활성탄의 이동이 더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이동률 또한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다.
2) 장운동성 호르몬 분비 촉진 효과 확인
대장에서 분비되는 장 운동성 호르몬의 발현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오디 추출물(ME)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장 운동성 호르몬인 콜레시스토키닌(cholecystokinin, CCK), 가스트린(gastrin) 및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 SS)의 발현을 측정하기 위하여 ELISA kit (Cusabio Biotech Co., Ltd., Wuhan, 중국)를 사용하였다. 대장 조직 100 mg을 정량하여 얼음에 보관한 인산완충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pH 7.2-7.4) 1㎖을 첨가하여 분쇄한 후 4℃에서 1,000 xg의 속도로 5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수득하였다. 이에 상기 3 종류의 호르몬 항체(각 웰에 별도로)를 첨가한 후, 37℃에서 1시간 배양한 후에 HRP-스트렙타비딘 용액(HRP-Streptavidin solution)을 첨가하고 37℃에서 1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그리고 TMP 원스텝 기질 시약(TMP One-Step Substrate Reagent)을 첨가하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에 정지(stop)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그 후 Molecular Devices VERSA max Plate reader (Sunnyvale, CA, 미국)를 이용하여 흡광도 450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CCK Gastrin SS
No 1.0 1.0 1.0
Vehicle 0.4 0.2 0.5
MELo 0.7 0.4 0.7
MEHi 0.9 0.5 0.9
(단위 : cm, %)
그 결과 상기 표 3과 같이, 위장관 운동이 저해된 Vehicle 그룹에서는 3 종류의 장내 호르몬 농도가 감소한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디 추출물을 투여한 MELo군과 MEHi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오디 추출물은 위장관 운동 감소로 인한, 저하된 장 운동성 호르몬의 농도를 회복시켜주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2-2. 억류 스트레스 유도 위배출 지연 개선 효과
1) 위배출 지연 억제 효과
본원발명의 오디 추출물(ME)의 위배출 지연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랫트 모델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원발명의 오디 추출물(ME)을 시험군으로 하여 위배출률에 대한 약효를 비교하였다. 대조군(No)으로 물을 투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모사프라이드를 투여하였다.
7 주령의 수컷 Sprague-Dawley 랫트를 중앙실험동물로부터 구입하여 1 주일 간의 순화기간을 거친 후 체중이 250 ~ 270 g인 건강한 랫트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오디 추출물 MELo(200 mg/kg), MEHi(400 mg/kg)과 양성대조물질로 모사프라이드 10 mg/kg을 24 시간 절식, 3 시간 절수한 랫트에게 1 회 경구투여한 다음 60 분 후에 반고형 식이(Semisolid test meal: 사료 30 g를 0.5 % 메틸 셀룰로오스 90 mL에 혼합하여 사용)를 2 mL씩 일회용 존데(sonde)를 이용하여 강제 경구투여 하였다. 반고형식이를 강제 섭취한 뒤 30 분이 지난 뒤 동물을 CO2를 이용하여 마취시킨 후 개복하여 위를 적출하였다. 적출한 위의 분문부와 유문부쪽을 봉합한 뒤 무게를 측정하였다. 무게 측정이 끝나고 나면 대만부 쪽을 절개하여 위 내용물을 증류수에 모두 씻어낸 후 건조한 빈 위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동일시험을 3 회 반복한 결과를 분석하여 위 잔존 반고형 식이의 무게(Stomach weight) 측정치를 이용하여 평균 위 배출율(Gastric emptying rate, GER)을 하기 수학식 2로 계산하여 산출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위 배출율 (Gastric emptying, %) = [1 - (약물투여 후 위 잔존 반고형식이 무게 / 0 시간 위 잔존 반고형식이 무게)] x 100
위 배출율(%, 평균 ± 표준오차)
No 13.28±3.16
양성대조군 모사프라이드 (10mg/kg) 50.66±4.99
MELo ME(200mg/kg) 38.16±1.84
MEHi ME(400mg/kg) 46.25±3.52
(단위 : %)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오디 추출물에 의해 위배출 지연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농도 의존적으로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디 추출물에 의해 위장관 기능 개선 효과를 통해 위배출 지연 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억류 스트레스 유도 식욕억제 회복 효과
오디 추출물이 위장관 수송능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랫트 모델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7 주령의 수컷 Sprague-Dawley 랫트를 중앙실험동물로부터 구입하여 1주일 간의 순화기간을 거친 후 체중이 250 ~ 270 g인 건강한 랫트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식욕억제 회복능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20시간 절식, 3 시간 절수한 랫트를 랫트 보정틀에 6시간 억류시켜 스트레스를 유도하였다. 그 후 오디 추출물 10mg/kg, 200mg/kg, 400mg/kg과 대조물질 모사프라이드 3 mg/kg를 1회 경구 투여하고 60분간 억류 스트레스를 추가로 적용하였다. 정상 랫트에는 vehicle(담체)을 경구투여하고 스트레스를 유도하지 않았다. 약물투여 후 미리 측량한 사료를 주고 30분 동안 사료섭취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상기 vehicle(담체)로서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사료 섭취량(g)
정상군(No)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 4.50±0.85
대조군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스트레스 유도) 1.90±0.95
양성대조군 모사프라이드 (10mg/kg) 2.00 ±1.03
ME ME(10mg/kg) 2.10±1.09
MELo ME(200mg/kg) 2.88±0.99
MEHi ME(400mg/kg) 3.50±0.89
(단위 : g)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본원발명 오디 추출물의 경우 양성대조군에 투입된 모사프라이드에 비해 보다 더 우수한 사료 섭취 감소에 대한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오디 추출물 농도 증가에 따른 효과가 보다 더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3) 억류 스트레스 유도 위배출 지연에 미치는 효과
7 주령의 수컷 Sprague-Dawley 랫트를 중앙실험동물로부터 구입하여 1주일 간의 순화기간을 거친 후 체중이 250 ~ 270g인 건강한 랫트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위배출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24시간 절식시킨 후, 약물 투여 3시간 전부터 절수한 랫트에 오디 추출물 30, 200, 400 mg/kg, 양성대조군으로 이토프라이드 30mg/kg을 투여하였다. 약물투여 60분 후, 미리 측량한 1.5g의 사료를 10분 동안 자유 섭취를 유도한 후 사료섭취량을 측정하였다. 자유섭취 후 보정틀에 90분 동안 억류하여 스트레스를 유발하였다. 스트레스 유발된 랫트를 CO2가스를 이용하여 치사시키고 위를 적출하여 위 내용물을 수거한 후 건조시켜 위배출율을 산출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위배출률(%)
정상군(No) Vehicle 82.2±10.8
대조군 Vehicle(스트레스 유도) 60.8±11.2
양성대조군 이토프라이드 (30mg/kg) 65.4±13.7
ME ME(30mg/kg) 66.2±10.1
MELo ME(200mg/kg) 72.6±11.5
MEHi ME(400mg/kg) 78.1±12.7
(단위 : %)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본원발명 오디 추출물에 의해 위배출률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양성대조군인 이토프라이드를 투여한 경우에 비해 본원발명 오디 추출물을 투여함으로써 보다 더 우수한 위배출 지연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 본원발명 조성물(MX1 내지 9)의 위장관 기능 개선 효과 실험]
본원발명 조성물의 위장관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추출물 만을 상기 본원발명 조성물로 교체하였다.
또한, 상기 결과는 오디 추출물(MEHi)을 지수 3으로 고정하여 이에 대한 비교 결과 값을 나타내었으며, 지수는 1 내지 10 사이의 숫자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숫자는 높을수록 위장관 기능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이며, 그 결과는 하기 표 7 에 종합적으로 나타내었다.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장운동 촉진 효과 3 3 4 4 6 7 9 9 8
장운동성
호르몬 분비 촉진 효과
3 4 3 4 6 8 9 9 7
위배출 지연 억제 효과 3 4 4 3 5 7 8 9 5
억류 스트레스 유도 위배출 지연에 미치는 효과 3 4 3 4 6 8 9 9 7
(단위 : 지수)
상기 표 7을 참조하면, 단일 추출물인 오디 추출물(ME) 이외에 제주찔레 추출물(JE), 달개비 추출물(DE), 산비장이 추출물(SE)를 각각 포함하는 MX2 내지 4의 경우 오디 추출물(ME)만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소폭 향상된 장운동 촉진 효과 및 장운동성 호르몬 분비 촉진 효과, 위배출 지연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 제주찔레, 달개비, 산비장이의 천연물을 모두 포함하는 MX5 내지 MX9의 경우 그 효과가 보다 더 향상되었으며, 특히 오디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주찔레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 달개비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 및 산비장이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하는 MX6 내지 MX8의 경우 보다 더 우수한 위장관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 본원발명 조성물의 기호도 개선 효과]
상기 복합 조성물(MX1 내지 MX9)을 각각 포함하는 차 음료를 제조하여, 이를 20 내지 50대 성인남녀 40인의 시험자에게 시음하게 한 뒤 향과 맛을 평가하게 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기호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상대적인 평가를 위해 물에 침지시켜 추출된 본원발명 MX1(ME)를 지수 3으로 고정하여 상대적인 지수 값으로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종합하여 평균한 뒤 소수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하기의 표 8에 종합적으로 나타내었다.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3.0 3.5 4.0 3.5 7.0 8.5 9.0 9.0 8.0
3.0 4.0 4.0 4.0 7.5 8.5 9.0 9.0 7.5
종합
기호도
3.0 3.8 4.0 3.8 7.3 8.5 9.0 9.0 7.8
(단위 : 지수)
상기 표 8을 참조하면, 본원발명 오디 추출물(ME)만을 포함하는 MX1에 비해 제주찔레 추출물(JE), 달개비 추출물(DE), 산비장이 추출물(SE)을 각각 추가로 포함하는 MX2 내지 MX4의 경우 기호도가 상승됨을 확인할 수 있다.
단일 추출물로 포함하는 것이 아닌 복합 추출물의 형태로 포함하는 MX5 내지 MX9의 경우 그 효과는 보다 더 향상되었으며 이는 천연 추출물을 혼합 사용함에 따라 단일 천연물의 고유 향이 완화되어 맛 및 향의 조화를 통해 보다 더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바람직한 중량부인 오디 추출물(ME)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주찔래 추출물(JE) 30 내지 50 중량부, 달개비 추출물(DE) 30 내지 50 중량부 및 산비장이 추출물(SE) 30 내지 50 중량부로 혼합하는 경우 맛 및 향에 대한 종합 기호도가 가장 우수하여 기호도 높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혼합 조성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부작용의 문제가 없고, 위장관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맛 및 향에 대한 평가가 우수하여 기능성 및 기호도 높은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로의 제공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관 기능 개선은 위장관 연동 운동(gastric motility) 활성을 통해 나타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위식도 역류성 질환, 기능성 소화불량, 과민성 대장염, 위장관 마비, 구토, 당뇨병성 위장운동장애, 화학요법으로 인한 위장운동장애, 소화관 운동장애로 인한 장폐색, 수술 후 장폐색, 위장관 기능 장애, 근긴장성 이영양증으로 인한 위장관 운동장애, 영아산통 및 변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어느 하나 이상의 증상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인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저하에 의한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20159838A 2022-11-24 2022-11-24 오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671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838A KR102671714B1 (ko) 2022-11-24 2022-11-24 오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838A KR102671714B1 (ko) 2022-11-24 2022-11-24 오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7354A true KR20240077354A (ko) 2024-05-31
KR102671714B1 KR102671714B1 (ko) 2024-06-03

Family

ID=91330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9838A KR102671714B1 (ko) 2022-11-24 2022-11-24 오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17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0259A (ja) * 2003-08-08 2005-03-10 Food Staff Japan 胃痛の抑制又は防止剤及び飲食品用組成物。
KR100607705B1 (ko) 2005-03-09 2006-08-02 주식회사 바이오톡스텍 Mig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관 운동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20220074353A (ko) 2020-11-27 2022-06-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감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운동 촉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0259A (ja) * 2003-08-08 2005-03-10 Food Staff Japan 胃痛の抑制又は防止剤及び飲食品用組成物。
KR100607705B1 (ko) 2005-03-09 2006-08-02 주식회사 바이오톡스텍 Mig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관 운동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20220074353A (ko) 2020-11-27 2022-06-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감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운동 촉진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Zou et al., Mulberry (Morus atropurpurea) Supplementation Relieve Constipation in Mice Based on Gut Microbiota Regulation. Current Developments in Nutrition. June 2020, Vol. 4, Supplement 2 1부.* *
이찬규. 상심자의 화학적 성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1714B1 (ko) 202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hamiwon et al. Diabetes and medicinal benefits of Passiflora edulis
KR20110129673A (ko)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189108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595057B1 (ko) 항비만용 커피 분말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음료
KR20150040392A (ko) 스테비아 음료원액제조방법
KR100552398B1 (ko)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20240023560A (ko) 쓴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CN106456690A (zh) 包含来自荜茇的提取物的用于预防、治疗和改善排尿功能障碍的组合物
KR20140034620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174701B1 (ko) 진저레논 에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비만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비만 치료용 동물용 의약품
KR100638491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KR102671714B1 (ko) 오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673204B1 (ko) 뇌신경세포 보호 기능이 있는 천연물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건강 음료
US7399491B2 (en) Health promoting functional foods fortified with herbs
KR100881369B1 (ko) 감초로부터 분리된 이소리퀴리티게닌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115471A (ko) 돌콩의 열처리 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248378B1 (ko)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20140032961A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682338B1 (ko) 두충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1227B1 (ko)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생리활성 및 해독작용을 위한 조성물
KR102682331B1 (ko) 두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9283B1 (ko) 건강 추출물 및 석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84312B1 (ko) 땃두릅이 함유된 음료
KR102427768B1 (ko) 배초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7726B1 (ko) 백지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