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6301A -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6301A
KR20240076301A KR1020220158731A KR20220158731A KR20240076301A KR 20240076301 A KR20240076301 A KR 20240076301A KR 1020220158731 A KR1020220158731 A KR 1020220158731A KR 20220158731 A KR20220158731 A KR 20220158731A KR 20240076301 A KR20240076301 A KR 20240076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orly soluble
soluble compound
complex
water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8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송
정형재
권형준
이인철
류영배
김우식
Original Assignee
바이오텐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76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630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7Compounds covalently linked to a(n inert) carrier molecule, e.g. conjugates, pro-fragr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1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irradi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수용성 커큐민-스테비올 배당체 복합체를 난용성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추출물에 첨가하고, 마이크로웨이브 처리시, 난용성 화합물 단독 또는 추출물 내에 함유된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수용성화, 혈중 전체 흡수량 및 혈중 최고 농도 값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생체이용률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수용성 커큐민-스테비올 배당체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난용성 화합물 수용성화 및 이들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Composition for improving solubilization and bioavailability of poorly soluble compounds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 대사산물(secondary metabolite)은 생명체에 있어 일반적인 성장, 발달 혹은 생식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유기 화합물을 말한다. 일차 대사산물과 달리 이차 대사산물의 결핍은 즉각적인 생명체의 죽음을 초래하지 않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생명체의 생존율이나 생식율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이차 대사산물 중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또는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등은 지용성 등의 고유 특성으로 인해 생체내 흡수가 어려워 생체이용률이 낮은바, 이의 생체내 흡수율과 지속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파이토좀 또는 리포좀 등에 담지하거나, 나노화시키거나, 또는 약물, 오일, 계면활성제, 공계면활성제 및 용제 등으로 이루어진 자가유화전달 시스템(self-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을 적용하는 등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17(2019) 310.). 특히,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자가유화전달 시스템을 적용하여 낮은 용해도 및 생체이용률을 개선하고 있으나, 이 경우 다량의 폴리소르베이트류와 같은 합성 계면활성제나, 식품용이 아닌 헥산과 같은 유기 용매를 다량 사용함으로 인해 위염이나 위궤양 같은 위장장애가 있는 사용자에게 더 자극을 주거나, 설사, 복통 등을 일으키는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등재 및 미국 FDA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 등급을 받은 식품 소재로 안정성이 이미 확인된 커큐민을 포함하는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스테비올 배당체를 이용하여, 건강에 이로우나 생체이용률이 낮은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 생체내 흡수와 이용률을 향상시키는 조성물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스테비올 배당체(steviol glycosid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a) 본 발명의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용 조성물; 및 난용성 화합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조한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스테비올 배당체(steviol glycosid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기, 또는 C1 내지 C10의 알콕시기이고, 상기 n 및 m은 1≤n≤5 및 1≤m≤5이다.
일 예로, 상기 화학식 1의 R1 는 R2 와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기, 또는 C1 내지 C10의 알콕시기일 수 있으며, R2 는 R1 과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기, 또는 C1 내지 C10의 알콕시기일 수 있다.
또한, n≥2인 R1 에서, R1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기, 또는 C1 내지 C10의 알콕시기일 수 있고, n≥2인 R2 에서,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기, 또는 C1 내지 C10의 알콕시기일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4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기 화학식 2는 커큐민(curcumin), 하기 화학식 3은 상기 커큐민의 자연적인 유사체(analogues/congeners)인 데메톡시커큐민(Demethoxycurcumin), 하기 화학식 4는 상기 커큐민의 자연적인 유사체인 비스데메톡시커큐민(Bisdemethoxycurcumin)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 내지 4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의 예로, 상기 커큐민, 데메톡시커큐민 및 비스데메톡시커큐민의 조합은 총 중량 100을 기준으로 커큐민 : 데메톡시커큐민 : 비스데메톡시커큐민이 50 내지 98 : 1 내지 25 : 1 내지 25 [w/w], 60 내지 90 : 5 내지 20 : 5 내지 20 [w/w] 또는 70 내지 80 : 10 내지 15 : 10 내지 15 [w/w] 비율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은 심황색소와 혼용될 수 있다. 또한, 커큐민, 데메톡시커큐민, 비스데메톡시커큐민 또는 이들의 조합도 심황색소와 혼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은 심황(Curcuma longa Linnι) 또는 강황(Turmeric)의 건조근경을 에탄올, 유지 또는 유기용제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나(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및 식품첨가물공전),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은 커큐민, 데메톡시커큐민, 비스데메톡시커큐민 또는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추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은 상기 커큐민, 데메톡시커큐민, 및 비스데메톡시커큐민 뿐만 아니라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에 속하는 화합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큐민, 데메톡시커큐민, 및 비스데메톡시커큐민의 유도체 또는 이성질체 또한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유도체(derivative)"는 상기 화합물의 구조 일부를 다른 원자나 원자단으로 치환하여 얻어지는 화합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이성질체(isomer)"는 분자식은 같지만 분자 내에 있는 구성 원자의 연결 방식이나 공간 배열이 동일하지 않은 화합물을 말한다. 이성질체는 예를 들면, 구조 이성질체(structural isomers), 및 입체이성질체(strereoisomer)를 포함한다.
전술한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이의 유사체, 유도체 및 이성질체들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심황, 강황과 같은 식물로부터 추출 분리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심황 추출물 또는 강황 추출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심황 추출물, 강황 추출물, 심황 또는 강황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스테비올 배당체(steviol glycoside)"는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 Bertoni)로부터 유래하는, 설탕의 300배 당도를 가지는 천연 다당류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스테비올 배당체는 스테비올 배당체 A1, A2, 스테비올 1, 2, 3, 둘코사이드, 레바우디오사이드 a, b, c, e, f 등 다양한 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스테비올 배당체는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레바우디오사이드 A(Rebaudioside A) 등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스테비오사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테비올 배당체는 바람직하게는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 Bertoni)로부터 유래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테비올 배당체는 스테비아의 잎 부위로부터 얻어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일 예로, 스테비올 배당체는 스테비아의 건조된 잎을 열수로 추출하여 얻어진 수용성 추출물을 흡착수지로 처리하여 농축한 다음,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재결정 등의 정제를 거친 후 건조하여 얻을 수 있으나(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및 식품첨가물공전),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테비올 배당체 스테비아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복합체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스테비올 배당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복합체는 "수용성 커큐민-스테비올 배당체 복합체"와 혼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체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과 스테비올 배당체의 비율을 당업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그 예로 이들의 혼합 비율은 복합체 총 중량 100을 기준으로 스테비올 배당체 :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이 90 내지 99.9 : 0.1 내지 10 [w/w], 92 내지 99 : 0.5 내지 8 [w/w], 94 내지 98.5 : 1.5 내지 6 [w/w], 95 내지 98 : 2 내지 5 [w/w], 95.5 내지 97.5 : 2.5 내지 4.5 [w/w] 또는 96 내지 97 : 3 내지 4 [w/w] 비율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양이온과 음이온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하고 있는 물질인 염 중에서도 약제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의 염으로서, 비교적 비독성이고 무해한 유효작용을 갖는 농도로서 이 염에 기인한 부작용이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과 스테비올 배당체의 이로운 효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상기 화합물의 임의의 모든 유기 또는 무기부가염을 의미한다. 이러한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되는 산부가염 또는 염기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염이 있다.
상기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레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fumaric acid), 만데르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요오드화수소산(hydroiodic acid)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과 스테비올 배당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상기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과 스테비올 배당체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 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염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로브롬화물,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술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술포네이트(토실레이트) 염 등이 있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체는 난용성 화합물과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복합체와 난용성 화합물에 의해 형성되는 복합체는 "수용성화 복합체"로도 명명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용성화 복합체는 본 발명의 복합체와 난용성 화합물을 혼합하고, 마이크로웨이브 처리하여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체는 난용성 화합물과 수용성화 복합체를 형성하여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를 개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체는 난용성 화합물과 수용성화 복합체를 형성하여 난용성 화합물의 생체이용률을 개선하는 것일 수 있다.본 발명에서 용어, "난용성 화합물"은 물 등의 용매에 잘 녹지 않는 성질을 갖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목적상, 수용성이 낮은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난용성 화합물은 실리빈(Silybin), 소포리코사이드(Sophoricoside), 코로솔산(Corosolic acid), 모나콜린K(Monacolin K), 데커신(Decursin), 데커시놀엔젤레이트(Decursinol angelate), 캠프페롤(Kaempferol) 및 퀘르세틴(Quercetin) 등일 수 있으나,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화합물이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난용성 화합물은 난용성 화합물 단독 또는 추출물 내에 함유된 난용성 화합물일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난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은 밀크씨슬 추출물, 회화나무열매 추출물, 바나바잎 추출물 등일 수 있으나, 난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직접 제조하거나,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추출물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은 식물체 등을 추출 처리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 정제물, 분획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예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식물체 등을 분쇄하여 얻은 건조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4(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나,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추출용매로 추출된 추출물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출 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분획물"은 다양한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그룹을 분리하는 분획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상기 분획물은 예를 들면, 추출물을 물로 현탁한 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비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함으로써 극성 용매 분획물과 비극성 용매 분획물을 각각 수득할 수 있다. 그 예로, 조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한 후, 현탁액의 약 1 내지 100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배 부피의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비극성 용매를 가하여 1회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5회에 걸쳐 비극성 용매 가용층을 추출, 분리하여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Harborne J.B. Phytochemical methods: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3rd Ed. p6-7, 1998).
난용성 화합물은 수용성화, 생체이용률, 생체내 안정성 및 분산성 등이 현저히 낮은 특성을 가짐에 따라 그 활용도가 상당히 저하되는바, 난용성 화합물을 수용성화하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등재 및 미국 FDA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 등급을 받은 식품 소재로 안정성이 이미 확인된 소재를 이용하여, 상기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를 증진시켜, 생체이용률을 개선할 수 있는 소재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수용성화"란, 계면활성제와 같은 물질의 존재에 의해 물에 잘 녹지 않는 물질의 용해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수용성화를 위한 방법으로 유용성 비타민이나 호르몬 등을 가용화하여 수용성으로 바꾸거나 에멀션 중합을 촉진하는 방법 등이 널리 응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용화제로서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스테비올 배당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수용성 커큐민-스테비올 배당체 복합체를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의 수용성 커큐민-스테비올 배당체 복합체가 난용성 화합물과 혼합되어, 난용성 화합물이 물(또는 혈액)에 용해되기 쉬운 구조를 가지는 수용성화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성화 복합체에 함유된 난용성 화합물은 수용성화가 증진 또는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생체이용률 개선"은 난용성 화합물이 물(또는 혈액)에 용해되기 쉬운 구조를 가지는 수용성화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생체내 안정성 및 분산성이 증대되어 건강에 유익한 생체조절기능의 효율이 증대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생체이용률의 개선 여부는 난용성 화합물의 혈중 전체 흡수량, 혈중 최고 농도 값 등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체와 수용성화 복합체를 형성한 난용성 화합물은, 본 발명의 복합체와 수용성화 복합체를 형성하지 않은 난용성 화합물에 비해 혈중 전체 흡수량이 증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체와 수용성화 복합체를 형성한 난용성 화합물은, 본 발명의 복합체와 수용성화 복합체를 형성하지 않은 난용성 화합물에 비해 혈중 최고 농도 값이 증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수용성 커큐민-스테비올 배당체 복합체와, 난용성 화합물로서 실리마린 중 일성분인 실리빈을 함유하는 밀크씨슬 추출물, 소포리코사이드를 함유하는 회화나무열매 추출물 또는 코로솔산을 함유하는 바나바잎 추출물에 대해 각각 수용성화 복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다음, 시간 경과에 따른 혈장 내 실리빈, 소포리코사이드 및 코로솔산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수용성화 복합체 내 난용성 화합물의 생체이용률이 추출물 투여시 대비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3, 5, 7 및 도 1 내지 3).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수용성 커큐민-스테비올 배당체 복합체를 이용하여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 복합체를 형성할 경우, 난용성 화합물 단독 또는 추출물 내에 함유된 난용성 화합물의 혈중 전체 흡수량 및 혈중 최고 농도 값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생체이용률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수용성 커큐민-스테비올 배당체 복합체를 구성하는 커큐민을 포함하는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스테비올 배당체는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등재되고, 미국 FDA에서 GRAS 등급을 받은 식품 원료로서 안전성이 이미 확인된바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수용성 커큐민-스테비올 배당체 복합체를 이용하여 생체이용률이 개선된 난용성 화합물은 안전성에 대한 우려 없이 투여 또는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a)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스테비올 배당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조한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스테비올 배당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난용성 화합물, 수용성화, 생체이용률 개선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스테비올 배당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화학식 1]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기, 또는 C1 내지 C10의 알콕시기이고, 상기 n 및 m은 1≤n≤5 및 1≤m≤5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은 커큐민, 이의 자연적인 유사체인 데메톡시커큐민 및/또는 비스데메톡시커큐민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스테비올 배당체는 스테비올 배당체 A1, A2, 스테비올 1, 2, 3, 둘코사이드, 레바우디오사이드 a, b, c, e, f 등 다양한 당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비오사이드, 레바우디오사이드 A 등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스테비오사이드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혼합물은 본 발명의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용 조성물과 난용성 화합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추출물의 혼합 비율은 혼합물 총 중량 100을 기준으로 스테비올 배당체 :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이 90 내지 99.9 : 0.1 내지 10 [w/w], 92 내지 99 : 0.5 내지 8 [w/w], 94 내지 98.5 : 1.5 내지 6 [w/w], 95 내지 98 : 2 내지 5 [w/w], 95.5 내지 97.5 : 2.5 내지 4.5 [w/w] 또는 96 내지 97 : 3 내지 4 [w/w] 비율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혼합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제조한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제조한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하에서 교반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10,000 W 내지 14,000 W의 강도로 처리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10,000 W 내지 14,000 W, 10,500 W 내지 13,500 W, 11,000 W 내지 13,000 W, 11,500 W 내지 12,500 W 또는 10,000 W 내지 14,000 W의 강도로 처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30분 내지 90분간 처리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35분 내지 85분, 40분 내지 80분, 45분 내지 75분, 50분 내지 70분 또는 55분 내지 65분간 처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처리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처리는 마이크로웨이브 교반 추출기(한국등록특허 제10-1436464호)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b) 단계 이후 마이크로웨이브 처리된 혼합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여과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a) 본 발명의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용 조성물; 및 난용성 화합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조한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난용성 화합물, 수용성화, 생체이용률 개선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본 발명의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용 조성물; 및 난용성 화합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난용성 화합물은 난용성 화합물 단독 또는 추출물 내에 함유된 난용성 화합물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난용성 화합물은 실리빈, 소포리코사이드, 코로솔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다른 일 예로, 상기 추출물은 실리빈, 소포리코사이드, 코로솔산 등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혼합물은 본 발명의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용 조성물과 난용성 화합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추출물의 비율을 당업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그 예로 이들의 혼합 비율은 혼합물 총 중량 100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용 조성물 : 난용성 화합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추출물이 50 내지 99.9 : 0.1 내지 50 [w/w], 55 내지 99 : 1 내지 45 [w/w], 60 내지 98 : 2 내지 40 [w/w], 62 내지 97 : 3 내지 38 [w/w], 64 내지 95 : 5 내지 36 [w/w] 또는 66 내지 93 : 7 내지 34 [w/w] 비율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혼합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제조한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제조한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하에서 교반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10,000 W 내지 14,000 W의 강도로 처리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10,000 W 내지 14,000 W, 10,500 W 내지 13,500 W, 11,000 W 내지 13,000 W, 11,500 W 내지 12,500 W 또는 10,000 W 내지 14,000 W의 강도로 처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30분 내지 90분간 처리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35분 내지 85분, 40분 내지 80분, 45분 내지 75분, 50분 내지 70분 또는 55분 내지 65분간 처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처리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처리는 마이크로웨이브 교반 추출기(한국등록특허 제10-1436464호)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b) 단계 이후 마이크로웨이브 처리된 혼합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여과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b) 단계 이후 마이크로웨이브 처리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건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건조는 동결건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가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난용성 화합물의 생체이용률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이 개선된 난용성 화합물은 혈중 전체 흡수량이 증가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이 개선된 난용성 화합물은 혈중 최고 농도 값이 증가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본 발명의 난용성 화합물의 생체이용률 개선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이 개선된 난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본 발명의 난용성 화합물의 생체이용률 개선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이 개선된 난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난용성 화합물, 수용성화, 생체이용률 개선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용 조성물은 수용성 커큐민-스테비올 배당체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라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이 개선된 난용성 화합물은 난용성 화합물 단독 또는 추출물 내에 함유된 난용성 화합물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난용성 화합물은 실리빈, 소포리코사이드, 코로솔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할 수 있는 성분으로는, 필수 성분으로 유효성분인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이 개선된 난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생약 추출물, 식품 보조 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의 함량은 사용 목적(예방, 개선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보조 첨가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식품 보조 첨가제, 예를 들어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에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건강보조식품은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 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 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제형 또한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용성 커큐민-스테비올 배당체 복합체를 구성하는 커큐민을 포함하는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스테비올 배당체는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등재되고, 미국 FDA에서 GRAS 등급을 받은 식품 원료로서 안전성이 이미 확인된바, 본 발명의 수용성 커큐민-스테비올 배당체 복합체를 이용하여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이 개선된 난용성 화합물은 안전성에 대한 우려 없이 투여 또는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용성 커큐민-스테비올 배당체 복합체를 난용성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추출물에 첨가하고 마이크로웨이브 처리시, 난용성 화합물 단독 또는 추출물 내에 함유된 난용성 화합물의 혈중 전체 흡수량 및 혈중 최고 농도 값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수용성 커큐민-스테비올 배당체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밀크씨슬 추출물 및 이를 이차 대사산물의 수용성화 복합체로 제조한 실시예 1을 경구 투여한 마우스의 시간별 혈장 내 실리빈 농도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2는 회화나무열매 추출물 및 이를 이차 대사산물의 수용성화 복합체로 제조한 실시예 2를 경구 투여한 마우스의 시간별 혈장 내 소포리코사이드 농도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3은 바나바잎 추출물 및 이를 이차 대사산물의 수용성화 복합체로 제조한 실시예 3을 경구 투여한 마우스의 시간별 혈장 내 코로솔산 농도를 나타낸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수용성 커큐민-스테비올 배당체 복합체 제조
물 1L에 스테비올 배당체(steviol glycoside)로서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200g을 넣어 용해시킨 다음(농도 20%[v/v]), 순도 약 95% 이상의 인도산 심황색소(커큐민(curcumin) : 데메톡시커큐민(demethoxycurcumin) : 비스데메톡시커큐민(bisdemethoxycurcumin) = 75 : 15 : 10 [w/w])를 8g 넣어 혼합하였다. 스테비올 배당체 수용액에 심황색소 혼합시 심황색소가 30~35% 정도 용해되었으며, 용해된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교반 추출기(한국등록특허 제10-1436464호)에 넣어 12,000 W로 60분간 교반 추출하고, 여과지로 정제하여 수용성 커큐민-스테비올 배당체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커큐민-스테비올 배당체 복합체는 전체 분말 중량 203g 당 스테비올 배당체를 200 g 이하로 포함하고, 심황색소를 3.0 g 이상으로 포함하였다.
제조예 2: 난용성 이차 대사산물의 수용성화 복합체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수용성 커큐민-스테비올 배당체 복합체에 이차 대사산물로서 실리빈, 소포리코사이드 또는 코로솔산을 각각 포함하는 밀크씨슬 추출물(실리마린 함량 53.8%, NaturScent Co.), 회화나무열매 추출물(소포리코사이드 함량 10.13%, Botanic healthcare Pvt. Ltd.) 또는 바나바잎 추출물(코로솔산 함량 1.0%, Ambe phytoextracts Pvt. Ltd.)을 혼합한 다음, 제조예 1과 동일한 마이크로웨이브 조건으로 추출하고, 진공 동결건조하여 이차 대사산물의 수용성화 복합체의 분말을 각각 수득하였다(실시예 1~3). 수용화된 이차 대사산물의 양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LC-MS)를 이용하여 정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스테비오
사이드
(g)
커큐민(g) 밀크씨슬 추출물 (g) 화화나무
열매
추출물 (g)
바나바잎 추출물 (g) 수용화된 이차 대사산물 함량 (g/kg)
실시예1 200 8 100 - - 22.76
실시예2 200 8 - 200 - 23.4
실시예3 200 8 - - 20 0.449
실험예 1: 실리빈(Silybin)의 수용성화 복합체의 생체이용률 평가
밀크씨슬 추출물 및 이를 이차 대사산물의 수용성화 복합체로 제조한 실시예 1의 생체이용률을 비교하기 위해, ICR 마우스에 밀크씨슬 추출물 또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실리빈 농도를 기준으로 50mg/kg씩 경구 투여한 다음, 시간 경과에 따라 총 8회(0분, 15분, 30분, 45분, 60분, 180분, 300분, 360분) 채혈하여 혈장 내 실리빈 농도를 LC-MS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 분석컬럼: Zorbox Eclips XDB-C18, 50 * 2.1mm, 5um
- 이동상: A 용매- 0.1% 포름산을 함유하는 물, B 용매- 0.1% 포름산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 구배 조건: 0분에서 A 용매 95% 및 B 용매를 5% 조건에서 시작하여, 1분 동안 B 용매 농도를 100%로 상승시켰다. 5분까지 B 용매 농도를 100%로 유지하였다. 평형시간은 3분이었다.
- 유속: 0.4 mL/min
- 컬럼온도: 30℃
Mass 분석 조건(MRM(Multiple Reaction Monitoring))은 하기 표 2와 같았다.
analyste Q1 Q3 Dwell Time DP EP CE CXP
Silybin-1 480.93 300.8 150 -85 -10 -30 -13
Silybin-2 480.93 124.9 150 -85 -10 -46 -21
표준물질(Warfarin) 306.876 160.9 150 -70 -10 -36 -39
그 결과, 하기 표 3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밀크씨슬 추출물에 비하여 주성분인 실리마린 중 실리빈의 혈중 전체 흡수량 및 혈중 최고 농도 값이 모두 크게 증가하였다. 즉, 실리빈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수용성화 복합체로 제조할 경우, 실리빈의 생체이용률이 추출물 투여시 대비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ime (min) 혈장 내 실리빈 농도 (ng/mL)
밀크씨슬 추출물 (대조구) 실시예 1
0 0 ± 0 0 ± 0
15 10.2 ± 5 164.2 ± 67.1
30 18.7 ± 6.4 317.5 ± 185.4
45 20.9 ± 16.8 63.9 ± 16.3
60 7.6 ± 4.1 62.8 ± 32.6
180 0 ± 0 0 ± 0
300 0 ± 0 0 ± 0
360 0 ± 0 0 ± 0
실험예 2: 소포리코사이드(Sophoricoside)의 수용성화 복합체의 생체이용률 평가
회화나무열매 추출물 및 이를 이차 대사산물의 수용성화 복합체로 제조한 실시예 2의 생체이용률을 비교하기 위해, ICR 마우스에 회화나무열매 추출물 또는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소포리코사이드 농도를 기준으로 25mg/kg씩 경구 투여한 다음, 시간 경과에 따라 총 8회(0분, 15분, 30분, 45분, 60분, 180분, 300분, 360분) 채혈하여 혈장 내 소포리코사이드 농도를 LC-MS로 분석하였다.
HPLC 분석 조건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Mass 분석 조건은 하기 표 4와 같았다.
analyste Q1 Q3 Dwell Time DP EP CE CXP
Sophoricoside-1 430.985 267.8 150 -100 -10 -52 -7
Sophoricoside -2 430.985 239 150 -100 -10 -70 -31
표준물질(Warfarin) 306.876 160.9 150 -70 -10 -36 -39
그 결과, 하기 표 5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는 회화나무열매 추출물에 비하여 주성분인 소포리코사이드의 혈중 전체 흡수량 및 혈중 최고 농도 값이 모두 크게 증가하였다. 즉, 소포리코사이드를 함유하는 추출물을 수용성화 복합체로 제조할 경우, 소포리코사이드의 생체이용률이 추출물 투여시 대비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ime (min) 혈장 내 소포리코사이드 농도 (ng/mL)
회화나무열매 추출물 (대조구) 실시예 2
0 0 ± 0 0 ± 0
15 17.5 ± 11.4 375.8 ± 338.2
30 21.0 ± 9.4 55.2 ± 22.7
45 14.8 ± 4.4 41.9 ± 22.7
60 26.6 ± 17 33.3 ± 4.0
180 5.6 ± 9.7 3.6 ± 6.3
300 0 ± 0 0 ± 0
360 0 ± 0 0 ± 0
실험예 3: 코로솔산(Corosolic acid)의 수용성화 복합체의 생체이용률 평가
바나바잎 추출물 및 이를 이차 대사산물의 수용성화 복합체로 제조한 실시예 3의 생체이용률을 비교하기 위해, ICR 마우스에 바나바잎 추출물 또는 실시예 3의 조성물을 코로솔산 농도를 기준으로 2mg/kg씩 경구 투여한 다음, 시간 경과에 따라 총 8회(0분, 15분, 30분, 45분, 60분, 180분, 300분, 360분) 채혈하여 혈장 내 코로솔산 농도를 LC-MS로 분석하였다.
HPLC 분석 조건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Mass 분석 조건은 하기 표 6과 같았다.
analyste Q1 Q3 Dwell Time DP EP CE CXP
Corosolic acid-1 473.222 409.3 150 91 10 19 18
Corosolic acid-2 473.222 455.3 150 91 10 13 18
Corosolic acid-3 473.222 205.1 150 91 10 29 10
표준물질(Warfarin) 309.018 163.1 150 71 10 23 8
그 결과, 하기 표 7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은 바나바잎 추출물에 비하여 주성분인 코로솔산의 혈중 전체 흡수량 및 혈중 최고 농도 값이 모두 크게 증가하였다. 즉, 코로솔산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수용성화 복합체로 제조할 경우, 코로솔산의 생체이용률이 추출물 투여시 대비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ime (min) 혈장 내 코로솔산 농도 (ng/mL)
바나바잎 추출물 (대조구) 실시예 3
0 0 ± 0 0 ± 0
15 17.5 ± 11.4 375.8 ± 338.2
30 21.0 ± 9.4 55.2 ± 22.7
45 14.8 ± 4.4 41.9 ± 22.7
60 26.6 ± 17 33.3 ± 4.0
180 5.6 ± 9.7 3.6 ± 6.3
300 0 ± 0 0 ± 0
360 0 ± 0 0 ± 0
상기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수용성 커큐민-스테비올 배당체 복합체를 난용성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추출물에 첨가하고 마이크로웨이브 처리시, 난용성 화합물 단독 또는 추출물 내에 함유된 난용성 화합물의 혈중 전체 흡수량 및 혈중 최고 농도 값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수용성화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생체이용률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수용성 커큐민-스테비올 배당체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스테비올 배당체(steviol glycosid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용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기, 또는 C1 내지 C10의 알콕시기이고,
    상기 n 및 m은 1≤n≤5 및 1≤m≤5.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4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인, 조성물:
    [화학식 2]

    [화학식 3]

    [화학식 4]
    .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스테비올 배당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복합체는, 난용성 화합물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를 개선하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스테비올 배당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복합체는, 난용성 화합물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난용성 화합물의 생체이용률을 개선하는 것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스테비올 배당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복합체와 복합체를 형성한 난용성 화합물은 복합체를 형성하지 않은 난용성 화합물에 비해 혈중 전체 흡수량이 증가한 것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스테비올 배당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복합체와 복합체를 형성한 난용성 화합물은 복합체를 형성하지 않은 난용성 화합물에 비해 혈중 최고 농도 값이 증가한 것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용성 화합물은 난용성 화합물 단독 또는 추출물 내에 함유된 난용성 화합물인 것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용성 화합물은 실리빈, 소포리코사이드, 코로솔산, 모나콜린K, 데커신, 데커시놀엔젤레이트, 캠프페롤 및 퀘르세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조성물.
  9. a) 제1항의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용 조성물; 및 난용성 화합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조한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으로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이 개선된 난용성 화합물은 난용성 화합물 단독 또는 추출물 내에 함유된 난용성 화합물인 것인,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난용성 화합물은 실리빈, 소포리코사이드, 코로솔산, 모나콜린K, 데커신, 데커시놀엔젤레이트, 캠프페롤 및 퀘르세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방법.
KR1020220158731A 2022-11-23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40076301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6301A true KR20240076301A (ko) 2024-05-30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5238B2 (en) Composition for oral intake
KR20130014451A (ko) 스테비올 배당체 또는 감초, 및 난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체
JP6046056B2 (ja) 脱ラムノシルアクテオシド含有オリーブ抽出物
US20040076690A1 (en) Compositions for weight loss with improved taste
JP4094332B2 (ja) 水分散性又は水溶解性のバナバ葉抽出物組成物
US9174925B2 (en) Phorbol type diterpene compou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r prevention of viral infectious diseases including same
KR101742830B1 (ko) 퍼옥시다아제를 이용한 중성하의 소취 조성물
KR20240076301A (ko) 난용성 화합물의 수용성화 및 생체이용률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0999872B1 (ko) 홍경천 추출물, 홍경천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이의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131817A (ko) 난용성 물질인 커큐민을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복합체
KR20190127207A (ko)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JP2010184886A (ja) 新規化合物
KR20220046736A (ko) 구절초 및 꾸지뽕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WO2020214892A1 (en) Aromatic alkamid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in taste modulation
US10183050B2 (en) Bean leaves or bean stems having high isoflavone derivatives content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EP3941220B1 (de) Nahrungsergänzungsmittel und nahrungsmittel
JPWO2019021485A1 (ja) グネチンc高含有メリンジョエキ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80873B1 (ko) 양파로부터 쿼세틴의 함량이 증가된 양파 추출물을 생산하는 방법
KR100668067B1 (ko) 페닐부테노이드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170001681A (ko) 호노키올 및 마그놀올 함량이 증강된 후박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593793B1 (ko) 신규한 리그난계 화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981296B1 (ko) 홍경천 추출물, 홍경천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이의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169737A (ko) 천연 테르펜 글리코시드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의 피이지 프리 수용화 조성물
KR20230141962A (ko) 생강즙 및 레몬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07822A (ko)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줄기 및 그 제조 방법